KR20160139600A -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600A
KR20160139600A KR1020150074781A KR20150074781A KR20160139600A KR 20160139600 A KR20160139600 A KR 20160139600A KR 1020150074781 A KR1020150074781 A KR 1020150074781A KR 20150074781 A KR20150074781 A KR 20150074781A KR 20160139600 A KR20160139600 A KR 20160139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molding
space
dimensional space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806B1 (ko
Inventor
이성배
김규태
Original Assignee
이성배
김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배, 김규태 filed Critical 이성배
Priority to KR1020150074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80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 B44F1/06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comprising at least two transparent elements, e.g. sheets,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물질로 채워지는 3차원의 입체공간 내에 조형물 구성요소들로 원하는 형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을 입체공간에 설치하여 조형물을 제작할 때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투명한 캐리어와 고정수단인 투명한 캐리어를 이용하여 조형물의 형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ARTICLE IN THREE- DIMENSIONAL TRANSPARENT DIM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 물질로 채워지는 3차원의 입체공간 내에 제작되는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요소인 글, 그림, 내부 조형물 및 실물과 고정수단인 투명 바인더나 이동수단인 투명 캐리어를 수용하여 조형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3차원의 투명한 입체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의 조형물을 구성하는 요소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이 있고, 이들은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표현 범위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의 순서로 넓지만, 사실감은 이와 반대로 실물, 조형물, 그림 및 글의 순서로 크다.
일반적으로, 2차원(면) 상에서 점, 선, 면 및 입체를 이용하여 표현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ㅧ)은 아래의 테이블에 요약한 것과 같다. 즉, 점, 선 및 면으로 글 및 그림을 각각 표현할 수 있지만 조형물이나 실물은 표현할 수 없고, 입체로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을 표현할 수 없다.
Figure pat00001
3차원(입체) 상에서 점, 선, 면 및 입체를 이용하여 표현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은 아래의 테이블과 같다. 즉, 입체로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을 모두 표현할 수 있지만, 면,선 및 점으로는 글과 그림만을 표현할 수 있을 뿐 조형물이나 실물은 표현할 수 없다.
Figure pat00002
이와 같이, 종래에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일부는 점,선 및 면으로 표현할 수 없었던 바, 이들 모두를 원하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투명한 공간 내에서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이 자유롭게 표현되는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투명한 입체영역 내에서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투명 캐리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이 자유롭게 표현되는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투명한 공간 내에서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투명 바인더 및 투명 캐리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이 자유롭게 표현되는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은, 글, 그림, 내부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를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투명 바인더;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은,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에 설치되는 투명 캐리어;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은,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투명 캐리어;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및 상기 투명 캐리어를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투명 바인더 ;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은, (a) 조형물이 자리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입체공간 내에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물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c)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를 상기 수용틀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투명한 물질을 채워넣은 후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은, (a) 조형물이 자리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입체공간 내에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물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c)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캐리어를 상기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투명한 물질을 채워넣은 후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은, (a) 조형물이 자리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입체공간 내에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물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c)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캐리어를 상기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d)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상기 조형 구성물 및 상기 투명 캐리어를 상기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투명한 물질을 채워넣은 후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투명한 바인더나 투명한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투명한 바인더 및 투명한 캐리어 모두를 이용하여 투명한 공간 내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시각 디자인하여 투명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명 조형물을 사실감 있고 다양하며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 선, 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 대상물들을 투명한 바인더나 투명한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투명한 바인더 및 투명한 캐리어 모두를 이용하여 투명한 공간 내에서 설치할 때 빈 공간에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 투명 더미를 채워 넣음으로써,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제작 시간을 단축하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완제품 상태 이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면체 형상의 수용틀의 개략도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캐리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바인더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완제품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예로써 맥주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제작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제작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투명 조형물의 제작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투명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조형물을 구성하는 조형물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공간 내에서의 조형물은 아래와 같이 점, 선, 면 및 입체를 이용하여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서는 조형물의 구성요소인 글, 그림, 내부 조형물 및 실물과 고정수단인 투명 바인더나 이동수단인 투명 캐리어를 수용하여 조형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3차원 투명 조형물의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형물(10)은, 조형물(10)이 설치되는 입체공간(10A)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용틀(11); 상기 입체공간(10A)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인 내부조형물(12A), 실물(12B), 그림(12C) 및 글(13E); 글, 그림, 조형물,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투명한 재질의 투명 캐리어(13A,13B,13C,13E); 상기 조형물(12A), 실물(12B), 그림(12C) 및 글(13E)과, 상기 투명 캐리어(13)를 상기 수용틀에 고정시키는 투명 바인더(14); 및 상기 입체공간(10A) 내에서 일정 공간을 차지하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더미(15)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투명 캐리어(13)는 상기 투명 캐리어(13A,13B,13C,13E)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그림(12C)은 실제 그림이 투명캐리어에 직접 그려진 예를 나타낸 것이다. 내부조형물(12A)은 상기 입체공간(10A)의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형상의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상기 제3 실시예의 조형물 구성요소 중에서 투명 캐리어가 생략된 구성을 갖고, 제2 실시예는 상기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에서 투명 바인더가 생략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를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용틀(11)은 조형물(10)이 자리잡는 입체공간(10A)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후 제거되는 것으로, 이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차원 투명 조형물(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틀(11)은 육면체 또는 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육면체 형상의 수용틀(11)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틀(11)의 상부는 개방되고 측면과 하부가 일체형으로 밀폐되며, 상부에서 하부까지는 비워진 구조를 갖는다.
마감재(11A)는 상기 수용틀(11)의 내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3차원 투명 조형물(10)의 제작 공정이 완료된 후 별도로 표면처리를 하는 마감공정을 생략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특히 3차원 투명 조형물(10)의 표면에 글이나 그림이 실리는 경우 별도의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원하는 형태의 표면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감재(11A)는 아크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틀(11)의 내측에 형성되는 입체공간(10A)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공간(10A)의 외부는 투명한 고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는 투명한 고체, 젤을 포함하는 투명한 액체 및 투명한 기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어질 수 있다. 여기서, 투명이란 완전한 투명 뿐만 아니라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정도로 환하게 비치는 것을 의미한다.
조형물(10)은 구성요소로 내부조형물(12A), 실물(12B), 그림(12C) 및 글(13E)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조형물(12A)은 사람이나 기계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이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도 1에서는 나무 형상의 내부조형물(12A)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실물(12B)은 자연에 존재하는 각종 실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는 실물(12B)의 예로써 흙(또는 자갈)을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실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림(12C)은 투명 캐리어에 직접 그려진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글(13E)은 사람에 의해 직접 필기되거나 피씨 등을 통해 프린트되거나, 음각이나 양각으로 제작되거나, 입체적인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거나, 이밖에 다른 과정을 통해 제작되어 상기 입체공간(10A)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낱개의 글이 투명캐리어에 포함된 형태로 설치된 예를 나타내었다.
투명 캐리어(13A,13B,13C,13E)는 고체, 액체 및 기체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태인 투명한 공간 내에 점,선,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글, 그림, 조형물,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실물은 기체, 고체 및 액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캐리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a)는 고체 상태의 투명한 판넬 영역에 북두칠성의 그림이 포함된 판넬형 투명 캐리어(13A)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고체 상태의 투명공간에 글, 원 무늬 및 격자가 포함된 입체형 캐리어(13B)를 나타낸 것이고, (c)는 고체 상태의 투명공간에 기체 상태의 구름이 포함된 입체형 캐리어(13C)를 나타낸 것이고, (d)는 고체 상태의 투명공간에 액체(물)가 포함된 입체형 캐리어(13D)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캐리어(13A-13D)의 재질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투명 캐리어(13)의 예로써, 상기 판넬형 투명 캐리어(13A), 입체형 캐리어(13B),(13C) 및 개별문자(개업축하)가 포함된 입체형 캐리어(13E)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결국, 투명 캐리어(13)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조형물(10)의 외부에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조형물 구성요소를 입체공간(10A) 내로 옮겨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때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투명 바인더(14)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어, 입체공간(10A)에서 조형물(12) 및 투명 캐리어(13) 등의 조형물 구성요소를 투명물질(16) 내에서 원하는 위치(좌표)에 설치하기 위해 이들을 수용틀(11)의 바닥이나 측벽 또는 다른 조형물 구성요소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투명 바인더(14)의 재질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바인더(14)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조형물 구성요소를 고정시키는데 적당하게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투명 바인더(14)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형상, L자 형상, T자 형상 및 블록 형상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투명 더미(15)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입체공간(10A)에 설치된 조형물 구성요소들의 사이에 존재하는 빈 공간에 채워진다.
따라서, 입체공간(10A)에 상기와 같은 조형물 구성요소들을 설치(디자인)한 후 나머지의 빈 공간에 투명물질(16)이 채워지는 마감공정을 수행할 때 투명물질(16)이 투명 더미(15)의 공간만큼 덜 채워지므로, 그만큼 마감공정의 시간이 단축된다.
상기와 같은 마감공정이 수행된 후 상기 입체공간(10A)으로부터 상기 수용틀(11)이 철거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입체공간(10A) 내에 설치된 투명 캐리어(13), 투명 바인더(14), 투명 더미(15) 및 상기 투명물질(16)은 공히 투명한 재질(예: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들간의 경계면이 보이지 않고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동일한 투명공간으로 보이게 된다.
한편, 도 6은 투명 캐리어를 이용하여 맥주캔을 시각 디자인하여 제작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물질(61), 점(62), 선(63), 면(64) 및 실물(65)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물질(61)은 조형물 구성요소를 제외한 공간에 채워지는 물질로서 아크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점(62)은 실물을 잘라서 만든 것으로, 이의 재질은 각종 천이나 비닐류. 플라스틱류, 목재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62)은 캔 형상의 투명물질의 외부에 붙여진 예를 나타내었다. 선(63)은 실물을 잘라서 만든 것으로, 이의 재질은 천이나 비닐류. 플라스틱류, 목재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63)은 캔 형상의 투명물질의 외부에 붙여진 예를 나타내었다.
면(64)은 실물을 잘라서 만든 것으로, 이의 재질은 천이나 비닐류. 플라스틱류, 목재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64)은 캔 형상의 투명물질의 외부에 붙여진 예를 나타내었다. 실물(65)은 맥주캔으로서, 이의 재질은 알루미늄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물(65)은 캔 형상의 투명물질의 외부에 붙여진 예를 나타내었다.
결국, 도 6은 상기 점(62), 선(63), 면(64) 및 실물(65)이 투명물질인 캐리어와 결합되어 맥주캔의 형상이 보다 편리하고 실감나게, 그리고 다양하게 표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형물은 광고용으로 사용되거나 액서사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틀 설치 단계(S71),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72), 조형물 구성요소를 투명 바인더로 고정하는 단계(S73), 입체공간을 투명한 물질로 채우는 단계(S74) 및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75)를 포함한다.
수용틀 설치 단계(S71)에서는 3차원 투명 조형물이 자리를 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원하는 형상으로 설치한다.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72)에서는 조형물 구성요소가 3차원의 투명한 입체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는 점,선,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조형물, 실물, 그림 및 글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조형물 구성요소를 투명 바인더로 고정하는 단계(S73)에서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공간에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를 원하는 위치(좌표)에 설치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는 상기 투명 바인더에 의해 상기 수용틀의 바닥이나 측벽 또는 다른 조형물 구성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바인더의 재질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입체공간을 투명한 물질로 채우는 단계(S74)에서는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간의 빈 공간에 투명물질이 채워지는 마감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간의 빈 공간에 투명 물질로 형성된 투명 더미가 채워진 후 상기 투명물질이 채워질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그만큼 마감공정의 시간이 단축된다.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75)에서는 상기 입체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틀 설치 단계(S81),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82), 투명 캐리어 배치 단계(S83), 입체공간을 투명물질로 채우는 단계(S84) 및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85)를 포함한다.
수용틀 설치 단계(S81)에서는 3차원 투명 조형물이 자리를 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원하는 형상으로 설치한다.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82)에서는 조형물 구성요소가 3차원의 투명한 입체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는 점,선,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조형물, 실물, 그림 및 글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캐리어 배치 단계(S83)에서는 글, 그림, 조형물,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투명 캐리어가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좌표)에 배치된다.
입체공간을 투명한 물질로 채우는 단계(S84)에서는 상기 입체공간 내의 빈 공간에 투명물질이 채워지는 마감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입체공간 내의 빈 공간에 투명 물질로 형성된 투명 더미가 채워진 후 상기 투명물질이 채워질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그만큼 마감공정의 시간이 단축된다.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85)에서는 상기 입체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틀 설치 단계(S91),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92), 투명 캐리어 배치 단계(S93), 조형물 구성요소 및 투명 캐리어를 투명 바인더로 고정하는 단계(S94), 입체공간을 투명물질로 채우는 단계(S95) 및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96)를 포함한다.
수용틀 설치 단계(S91)에서는 3차원 투명 조형물이 자리를 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원하는 형상으로 설치한다.
조형물 구성요소 배치 단계(S92)에서는 조형물 구성요소가 입체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는 점,선,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조형물, 실물, 그림 및 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캐리어 배치 단계(S93)에서는 글, 그림, 조형물,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용하는 투명 캐리어가 상기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좌표)에 배치된다. 상기 투명 캐리어는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에 포함된다.
조형물 구성요소 및 투명 캐리어를 투명 바인더로 고정하는 단계(S94)에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공간에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를 원하는 위치(좌표)에 배치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는 상기 투명 바인더에 의해 상기 수용틀의 바닥이나 측벽 또는 다른 조형물 구성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바인더의 재질 종류는 아크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입체공간을 투명수지로 채우는 단계(S95)에서는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간의 빈 공간에 투명물질이 채워지는 마감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간의 빈 공간에 투명 물질로 형성된 투명 더미가 채워진 후 상기 투명물질이 채워질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그만큼 마감공정의 시간이 단축된다.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S95)에서는 상기 입체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 : 수용틀 11A : 마감재
12A : 내부조형물 12B : 실물
12C : 그림 13A-13E : 투명 캐리어
14 : 투명 바인더 15 : 투명 더미

Claims (15)

  1. 글, 그림, 내부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를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투명 바인더;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2.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에 설치되는 투명 캐리어;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3.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형물 구성요소;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입체공간 내에 설치되는 투명 캐리어;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및 상기 투명 캐리어를 조형물이 자리잡는 상기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틀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투명 바인더 ; 및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채워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캐리어는
    기체 및 액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캐리어는
    선, 판넬 형상 및 입체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6.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캐리어는
    점,선,면 및 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글, 그림, 조형 구성요소, 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7.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물질은 아크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8.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틀은 내측 벽면에 설치된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아크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10.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공간 중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더미에 의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11. (a) 조형물이 자리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입체공간 내에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물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c)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를 상기 수용틀 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투명한 물질을 채워넣은 후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
  12. (a) 조형물이 자리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입체공간 내에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물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c)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캐리어를 상기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투명한 물질을 채워넣은 후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
  13. (a) 조형물이 자리잡는 입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틀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입체공간 내에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물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c) 글, 그림, 조형물 및 실물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캐리어를 상기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d)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 바인더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상기 조형물 구성요소 및 상기 투명 캐리어를 상기 입체공간 내의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입체공간 내에서 빈 공간에 투명한 물질을 채워넣은 후 상기 수용틀을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공간 중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더미에 의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틀은 내측 벽면에 설치된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제작 방법.
KR1020150074781A 2015-05-28 2015-05-28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169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781A KR101695806B1 (ko) 2015-05-28 2015-05-28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781A KR101695806B1 (ko) 2015-05-28 2015-05-28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613A Division KR102133568B1 (ko) 2016-09-08 2016-09-08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00A true KR20160139600A (ko) 2016-12-07
KR101695806B1 KR101695806B1 (ko) 2017-01-12

Family

ID=5757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781A KR101695806B1 (ko) 2015-05-28 2015-05-28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39A1 (ko) * 2016-11-22 2018-05-31 이성배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770B1 (ko) 2018-11-29 2020-07-03 이성배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002A (ja) * 1994-09-19 1996-04-09 Plan Tooku:Kk 展示用標本
JP2005205867A (ja) * 2004-01-21 2005-08-04 Mizutari Junichi 浮遊造形物表現装置
KR200446256Y1 (ko) * 2008-10-02 2009-10-12 조두희 수경 시설에서의 조형물의 부유 결합 구조
KR20110000571U (ko) * 2009-07-12 2011-01-19 이신영 블록 장난감 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002A (ja) * 1994-09-19 1996-04-09 Plan Tooku:Kk 展示用標本
JP2005205867A (ja) * 2004-01-21 2005-08-04 Mizutari Junichi 浮遊造形物表現装置
KR200446256Y1 (ko) * 2008-10-02 2009-10-12 조두희 수경 시설에서의 조형물의 부유 결합 구조
KR20110000571U (ko) * 2009-07-12 2011-01-19 이신영 블록 장난감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39A1 (ko) * 2016-11-22 2018-05-31 이성배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CN109982858A (zh) * 2016-11-22 2019-07-05 李成培 在三维透明空间中的造型物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806B1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opigno et al. Digital fabrication techniques for cultural heritage: a survey
CN105563820B (zh) 立体打印装置以及立体打印方法
KR101695806B1 (ko)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WO2016119539A1 (zh) 一种透光浮雕的制备方法、透光浮雕及浮雕灯
NZ74597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odeling system
CN110175423A (zh) 一种3d打印模型的几何修正方法
KR20160140520A (ko)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CN105216306B (zh) 雕刻模型生成系统及方法、雕刻模型3d打印系统及方法
KR20200078455A (ko)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US20190291505A1 (en) Sculpture in three-dimensional transparent sp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04614334U (zh) 层状矿床教学演示装置
CN108608787B (zh) 一种绘画和雕塑结合的雕塑产品及其制备方法
CN105657210B (zh) 3d打印显示方法、系统及电子设备
KR101339724B1 (ko) 음각 입체 조각물과 그 제조방법
US73934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sculpture on a container
KR102129770B1 (ko) 3차원 투명 공간에서의 조형물 및 그의 제작 방법
CN105034370A (zh) 基于掩膜固化的快速成型方法
Vilbrandt et al. Digitally interpreting traditional folk crafts
CN103448448B (zh) 浮雕的制作方法及制作模
Li Rendering technology of 3D digital Chinese ink-wash landscape paintings based on maya
TWI332449B (ko)
CN105644247A (zh) 图像装饰板
MXPA05002507A (es) Metodo y aparato para la duplicacion de objetos originales.
PL71281Y1 (pl) Drukarka 3D
JP2013035250A (ja) 表意文字入り製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