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785A -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785A
KR20160138785A KR1020150073087A KR20150073087A KR20160138785A KR 20160138785 A KR20160138785 A KR 20160138785A KR 1020150073087 A KR1020150073087 A KR 1020150073087A KR 20150073087 A KR20150073087 A KR 20150073087A KR 20160138785 A KR20160138785 A KR 2016013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application
periodical
shopp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836B1 (ko
Inventor
김인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5007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8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서 신청 시에 정기적으로 배송 가능한 정기배송 상품의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부와, 판매정보를 검색한 주문자로부터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및 배송주기와 함께 수신된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생성부와,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와,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여 함께 배송되도록 하는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제공부와,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선택에 의해 주문자로부터 수신한 묶음상품 및 배송일자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2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본 발명은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주문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 사업 시장이 매우 빠른 속도로 커지는 상황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수많은 온라인 쇼핑몰들 간의 더 많은 주문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은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더 많은 주문자가 접속해서 상품을 구매하도록 만들기 위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들은 자신의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접속한 주문자에게 타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보다 더 큰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대한 여러 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37553호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문자가 개별 주문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함께 배송하도록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재 설정하여, 수취자의 정기배송 상품 수취에 편리함을 주는데 있다.
또한 주문자가 개별 주문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함께 배송하도록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 상황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추천하여 줌으로써 수취자의 정기배송 상품 수령에 편리함을 주는데 있다.
또한 주문자가 개별 주문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함께 배송하도록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직접 설정하여, 편리하게 쇼핑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서 신청 시에 정기적으로 배송 가능한 정기배송 상품의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부; 상기 판매정보를 검색한 주문자로부터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및 배송주기와 함께 수신된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정보,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 정보, 상기 배송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결제 금액과 상기 금액을 일정한 일자에 자동으로 결제할 자동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로 구성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생성부; 상기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된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 상기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여 함께 배송되도록 하는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상기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제공부; 및 상기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선택에 의해 상기 주문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묶음상품 및 상기 배송일자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2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공부는, 상기 묶음 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상에,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 상황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묶음상품을 배송 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송일자를 추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배송일자 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공부는, 상기 묶음 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주문자가 직접 상기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배송일자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서 신청 시에 정기적으로 배송 가능한 정기배송 상품의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정보를 검색한 주문자로부터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및 배송주기와 함께 수신된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정보,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 정보, 상기 배송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결제 금액과 상기 금액을 일정한 일자에 자동으로 결제할 자동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로 구성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된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여 함께 배송되도록 하는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상기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선택에 의해 상기 주문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묶음상품 및 상기 배송일자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묶음 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상에,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 상황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묶음상품을 배송 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송일자를 추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묶음 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주문자가 직접 상기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주문자가 개별 주문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함께 배송하도록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재 설정하여, 수취자의 정기배송 상품 수취에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주문자가 개별 주문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함께 배송하도록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 상황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추천하여 줌으로써 수취자의 정기배송 상품 수령에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주문자가 개별 주문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함께 배송하도록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직접 설정하여, 편리하게 쇼핑을 수행하여 상품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쇼핑 서비스 정보 제공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문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문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문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주문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주문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정보 관련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품의 판매정보”라 함은, 쇼핑 서비스정보 제공 시스템이 관리하는 쇼핑몰 사이트(또는 오픈 마켓 사이트)에 실제 입점을 한 판매자 및/또는 실제 입점을 한 판매자가 아니더라도 상품의 판매를 원하는 판매자로부터 수신한 상품 또는 서비스 판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의 판매정보는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판매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구매를 유도하는 의류, 구두, 가방 등과 같이 가격이 포함된 유형의 상품 판매정보 또는 도우미, 여행, 콘서트 등과 같은 무형의 상품(서비스) 판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의 판매정보는 제1 판매정보 및 제2 판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매정보라 함은, 사용자 또는 주문자가 직관적으로 상품 판매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요약 판매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판매정보는 카테고리와 함께 상품의 이미지, 상품의 판매 타이틀, 상품의 가격, 상품의 판매 현황 정보, 상품 판매 기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판매정보라 함은, 사용자 또는 주문자가 선택된 제1 판매정보에 대한 상세 판매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상세 판매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판매정보는, 상기 제1 판매정보와 함께, 상품에 대한 설명, 상품에 대한 사용조건, 상품을 판매하는 업체에 대한 위치,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업체 정보,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리뷰 정보, 사용자 또는 구매자가 문의한 상품에 대한 문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판매정보는,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구매 메뉴 정보를 제공하여, 주문자가 상품을 구매하거나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정기배송”이라 함은, 주문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한 가격을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 지급하면, 온라인 쇼핑 사이트가 해당 상품을 정기적으로 배송해 주는 상거래를 말한다. 정기배송은 일반배송에 비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일반배송은 1회의 결제를 통하여 1회의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니즈(needs)를 느낄 때 마다 매번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매번 정해진 결제 절차에 의해 주문을 해야 하지만, 정기 배송은 1회의 결제를 통해 약속된 기간 동안, 약속된 주기로 약속된 회수만큼 구매한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상거래의 복잡한 결제 절차에 대해, 구매한 상품이 소진되어 다시 주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의성을 제공해 줄 수 있디. 또한“정기배송 상품”이라 함은, 약속된 기간 동안, 약속된 주기로 약속된 회수만큼 배송할 수 있는 상품으로, 예를 들어, 생수, 쌀, 기저귀 등과 같이 지속적으로 소비가 일어나는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라 함은,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서 주문자의 구매 편의를 위해,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결제를 완료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고, 주문자의 요구에 따라 정기배송 상품 정보를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는 선 신청/결제 후 저장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구매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결제가 완료되면,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일괄적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는, 대표 이미지, 수량, 상품 가격, 정기배송 신청 시 할인가격, 쿠폰 할인 가격, 배송비, 결제 금액, 배송주기, 첫 배송 예정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10), 메모리(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제어부(140), 데이터베이스(150) 및 쇼핑 서비스 정보 제공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과 연동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주문자 단말기(도 3 내지 도 7의 T1)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주문자 단말기(T1)로부터 쇼핑 서비스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쇼핑 서비스 정보 제공부(160)가 요청한 쇼핑 서비스 정보를 주문자 단말기(T1)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이라 함은,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주문자 단말기(T1)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로써, 주문자 단말기(T1)가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2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주문자가 요청한 쇼핑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쇼핑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제1 및 제2 판매정보를 디스플레이 처리하는 작업,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서 주문자의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를 생성하는 작업,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하는 작업,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여 함께 동일한 일자에 배송되도록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처리하는 작업,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주문자 단말기(T1)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쇼핑 서비스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그램 저장부(130)와 연계하여 쇼핑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고 주문자 단말기(T1)로 쇼핑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쇼핑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는 주문자 단말기(T1)를 이용하여 신청/결제를 완료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는 판매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획득한 상품 판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150)는 주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데이터베이스는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주문자에 대한 주문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주문자 정보에는 주문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등 주문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정보 제공부(160)는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 정기배송 상품의 제1 판매정보 또는/및 제2 판매정보를 제공하고, 제1 또는/및 제2 판매정보를 검색한 주문자로부터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및 배송주기와 함께 수신된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하고,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하고,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여 함께 배송되도록 하는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선택에 의해 주문자로부터 수신한 묶음상품 및 배송일자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종래의 일반배송은 1회의 결제를 통하여 1회의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니즈(needs)를 느낄 때 마다 매번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매번 정해진 결제 절차에 의해 주문을 해야 해서 불편하였지만, 정기배송은 1회의 결제를 통해 약속된 기간 동안, 약속된 주기로 약속된 회수만큼 구매한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상거래의 복잡한 결제 절차에 대해, 구매한 상품이 소진되어 다시 주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의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주문한 상품에 대한 주문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장바구니만이 구비되어 있고, 정기배송 신청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주문자가 마이페이지에 들어가서 다른 일반 상품의 주문내역 정보와 함께 혼재되어 있는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에 대해서는 직관적인 확인이 불편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가 구비되어 신청/결제가 완료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주문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정기배송 상품에 대해 개별 주문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각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해 일일이 수령을 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주문자가 개별 주문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함께 배송하도록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재 설정하여, 여러 번 수령해야 하는 배송의 불편함을 한 번으로 줄일 수 있어 수취자의 정기배송 상품 수취에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더 나아가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 상황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추천하여 줌으로써 수취자의 정기배송 상품 수령에 편리함을 줄 수 있고, 또한 주문자가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직접 설정하여, 편리하게 쇼핑을 수행하여 상품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쇼핑 서비스 정보 제공부(16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주문자 단말기(T1)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쇼핑 서비스 정보 요청에 의해, 쇼핑 서비스 정보 제공부(160)가 처리하는 모든 정보는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통신부(110)를 통하여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정보 제공부(160)는 제1 제공부(161), 제1 생성부(162),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3), 제2 제공부(164), 제2 생성부(165) 및 전송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공부(161)는 주문자 단말기(T1)에 표시되는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서 복수의 정기배송 상품 각각에 대한 제1 판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판매정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요약 판매 정보로서, 카테고리와 함께 정기배송 상품의 이미지, 정기배송 상품의 판매 타이틀, 정기배송 상품의 가격 및 정기배송 상품 판매 기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공부(161)는 주문자 단말기(T1) 상에서 주문자의 제스처(예를 들어, 탭)에 의한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의 제1 판매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상품의 제2 판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판매정보는 상술한 상세 판매정보로서, 제1 판매정보와 함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설명,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사용조건, 정기배송 상품을 판매하는 업체에 대한 위치,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업체 정보, 정기배송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리뷰 정보, 구매자가 문의한 상품에 대한 문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생성부(162)는 주문자 단말기(T1)에 표시되는 제2 판매정보를 검색한 주문자로부터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및 배송주기와 함께 수신된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정보,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 정보, 배송주기를 포함하는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및 정기배송 상품의 결제 금액과 금액을 일정한 일자에 자동으로 결제할 자동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로 구성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생성부(162)는 주문자 단말기(T1)에 표시되는 제2 판매정보 상에 선택 시에 정기배송 상품을 구매(1회 구매)할 수 있는 구매하기 UI(미도시)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구매하기 UI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제1 생성부(162) 정기배송 상품의 구매를 위한 상품의 종류 선택하도록 하는 상품 종류 선택 정보 및 주문/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생성부(162)는 주문자 단말기(T1)에 표시되는 제2 판매정보 상에 선택 시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을 신청할 수 있는 정기배송 신청하기 UI(미도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정기배송 신청하기 UI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상품의 구매를 위한 상품의 종류와 정기배송 주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상품 종류/배송주기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1 생성부(162)는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상품 종류/배송주기 선택을 완료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생성부(162)는 주문자 단말기(T1)로 정기배송 신청/결제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 제공 화면을 제공하고, 주문자 단말기(T1)로부터 정기배송 신청/결제와 관련하여 입력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는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는 주문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는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하는 수취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주소, 비상 연락처 및/또는 배송 시 요청사항 등을 포함하는 수취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는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주문 개수, 할인쿠폰이 적용된 상품 가격, 첫 정기배송 예정일 및/또는 배송비를 포함하는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는 총 주문 금액, 할인 쿠폰 사용 여부, 총 결제 금액 및/또는 신용카드 결제 또는 휴대폰 결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 결제수단으로 구성된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생성부(162)는 주문자에 의해 선택된 자동 결제수단에 의해 정기배송 상품을 결제하는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생성부(162)는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입력한 주문자로부터 자동 결제수단에 포함된 신용카드 결제 또는 휴대폰 결제 중 하나의 결제수단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자동 결제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자동 결제처리가 수행되면, 배송일 전에 자동으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결체 처리가 완료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생성부(162)는 신용카드 자동 결제수단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신용카드 회사, 카드번호 및/또는 유효기간 등을 입력하여 정기배송 상품 결제를 수행하는 신용카드 결제 처리 프로세스를 호출하고, 신용카드 결제 처리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 즉, 신용카드에 의한 정기배송 상품 결제 처리 결과를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생성부(162)는 휴대폰 자동 결제수단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휴대폰 통신사 및/또는 휴대폰 번호 등을 입력하여 정기배송 상품 결제를 수행하는 휴대폰 결제 처리 프로세스를 호출하고, 휴대폰 결제 처리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 즉, 휴대폰에 의한 정기배송 상품 결제 처리 결과를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3)는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3)에는 정기배송 신청 순서대로 나열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주문자의 선택에 의해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3)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확인할 때 현재 신청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와 과거에 신청한 정기배송 신청 내역 정보를 다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현재 신청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와 과거에 신청한 정기배송 신청 내역 정보의 색상, 글씨체, 그래픽 등을 다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3) 내에 제1 영역 및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을 설정하고, 제1 영역에 현재 신청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에 과거에 신청한 정기배송 신청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3)는 후술하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제공부(164)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3)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여 함께 배송되도록 하는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3)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하여 주문자의 선택에 의해 묶음상품으로 설정할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는 설정한 묶음상품의 묶음배송 배송일자를 선택하여, 선택된 배송일자에 묶음상품이 배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공부(164)는 묶음상품의 배송일자 선택을 위해, 배송일자 추천부(164-1) 및 배송일자 설정부(164-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일자 추천부(164-1)는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 상황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묶음상품으로 설정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하여, 묶음상품을 배송 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송일자를 추천하여 주문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배송일자 추천부(164-1)는 묶음상품으로 설정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 예정일자를 기준으로,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일자를 분석하여,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이 몰리는 일자를 검색하고,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이 몰리는 일자가 아닌 비교적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이 원활한 일자를 배송일자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묶음상품으로 설정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 예정일자가 배송이 몰리는 월요일 또는 금요일인 경우, 배송일자 추천부(164-1)는 화요일, 수요일 및 목요일을 배송일자로 추천하여 주문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배송일자 설정부(164-2)는 주문자가 묶음상품에 대하여 직접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 예정일자가 포함된 해당 월의 달력을 제공하고, 주문자가 달력으로부터 배송을 원하는 배송일자를 직접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생성부(165)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선택에 의해 주문자로부터 수신한 묶음상품 설정 및 배송일자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기(T1)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는 묶음상품으로 선택된 각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대표 이미지, 수량, 상품 가격, 정기배송 신청 시 할인가격, 쿠폰 할인 가격, 배송비, 결제 금액 및 배송주기와 함께 묶음상품의 배송일자 설정에 따른 첫 배송 예정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생성부(165)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기(T1)에 출력하고,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3)에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2 생성부(165)는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신청/결제가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정기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기(T1)에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2 생성부(165)는 주문자로부터 마이페이지 정보 제공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마이페이지 정보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생성부(165)는 마이페이지 정보로서, 구매내역/배송조회 정보, 취소/반품 내역 정보, 무통장 환불 내역 정보, 쿠폰/캐시 사용 현황 정보 등을 포함하는 쇼핑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마이페이지 정보에는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구매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송부(166)는 주문자의 요청에 의해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3) 내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라 함은,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를 포함한 한 명 이상의 다른 사용자일 수 있다. 전송부(166)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7)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화면(예를 들어 도 14)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예를 들어 도 13)을 수신자에게 전송하여, 수신자가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166)는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가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7)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하여, 수신자가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7)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화면(예를 들어 도 13, 도 14)이 수신자 단말기에 출력되고, 수신자는 주문자의 정기배송 상품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전송부(166)는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5) 내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166)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5) 내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을 제공하고,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으로부터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방식 및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하거나 묶음배송을 신청한 주문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는 주문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주문자의 정기배송 상품 결제하기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 또는 주문자의 묶음배송 신청하기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생성한 묶음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이메일, 문자, SNS(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와,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를 설정할 수 있는 수신자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 리스트에서는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대상의 수에 따라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자 단말기(T1)의 종류에 따라 수신자 리스트 설정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T1)가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수신자 리스트는 모바일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일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T1)가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경우, 수신자 리스트에 수신자의 이름 및 신청내역 정보 수신 경로(예를 들어, 메일 주소 또는 핸드폰 번호 등)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에 연락처 리스트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수신자 리스트는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에 기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일 수 있다.
전송부(166)는 주문자 단말기(T1)로부터 수신한 이메일 전송방식에 대응하여, 수신자 리스트에서 설정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 이메일 주소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 예로 전송부(166)는 주문자 단말기(T1)로부터 수신한 문자 전송방식에 대응하여, 수신자 리스트에서 설정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 단말기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 예로 전송부(166)는 주문자 단말기(T1)로부터 수신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과 같은 SNS 전송방식에 대응하여, 수신자 리스트에서 설정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 SNS 주소(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또는 핸드폰 번호)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문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인터넷 및/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NW)에 의하여 복수의 주문자 단말기(T1, T2, T3, …, Tn)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T1, T2, T3, …, Tn)와 구별되고 주문자 단말기(T1, T2, T3, …, Tn)와 분리된 채 네트워크(NW)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문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각각의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주문자 단말기(T1) 내에 본 실시 예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주문자들 각각이 단말기 내에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주문자 단말기(T1)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주문자 단말기(T1)에 오프라인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주문자 단말기(T1)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문자 단말기와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일부(100A)는 주문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일부(100B)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주문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부재들 중 제1 제공부(161), 제1 생성부(162),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163), 제2 제공부(164) 및 제2 생성부(165)를 포함하는 일부(100A)는 주문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일부(100A)가 주문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도 4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부재들 중 전송부(166)를 포함하는 다른 일부(100B)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주문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전송부(166)가 일부(100B)로서 주문자 단말기(T1)와 네트워크(NW)로 연결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네트워크(NW)에 의하여 주문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 구현되고, 주문자 단말기(T1)가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데이터베이스(200D)에 저장된 정보를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하거나,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를 통하여 주문자 단말기(T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D)에 저장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주문자 단말기(T1)에 표시되는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서 복수의 정기배송 상품 각각에 대한 제1 판매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주문자의 제스처(예를 들어, 탭)에 의한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의 제1 판매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상품의 제2 판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주문자 단말기(T1)에 표시되는 제2 판매정보를 검색한 주문자로부터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및 배송주기와 함께 수신된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정보,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 정보, 배송주기를 포함하는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및 정기배송 상품의 결제 금액과 금액을 일정한 일자에 자동으로 결제할 자동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로 구성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를 생성하고,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된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여 함께 배송되도록 하는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묶음상품의 배송일자 설정 시에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 상황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묶음상품으로 설정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하여, 묶음상품을 배송 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송일자를 추천하여 주문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주문자가 묶음상품에 대하여 직접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 예정일자가 포함된 해당 월의 달력을 제공하고, 주문자가 달력으로부터 배송을 원하는 배송일자를 직접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선택에 의해 주문자로부터 수신한 묶음상품 설정 및 배송일자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기(T1)에 출력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주문자의 요청에 의해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 내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는 주문자의 마이페이지 정보 제공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구매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가 포함된 마이페이지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 주문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T1)는 통신부(710), 메모리(720), 입출력부(730), 프로그램 저장부(740), 제어부(750) 및 표시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10)는, 근거리 통신부 또는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20)는 제어부(75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T1)로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7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부(730)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또는 이외의 다양한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75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출력부(730)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74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에 쇼핑 서비스와 관련한 정보를 요청하는 작업,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부터 쇼핑 서비스와 관련한 모든 정보를 수신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75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사용자 단말기(T1)에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50)는 프로그램 저장부(74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표시부(760)를 제어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부터 제공되는 일정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75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760)는 제어부(750)의 제어 하에,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부터 제공되는 정기배송 상품의 제1 판매정보 또는/및 제2 판매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표시부(760)는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및 배송주기와 함께 수신된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부터 제공되는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표시부(760)는 주문자의 요청에 의해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부터 제공되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표시부(760)는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여 함께 동일한 일자에 배송되도록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부터 제공되는 주문자가 선택한 묶음배송 상품, 묶음 배송일자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표시부(76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부터 제공되는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정기배송 신청완료 메시지 및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6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부터 제공되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을 표시하고, 또한 표시부(76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100S)로부터 제공되는 마이페이지 정보 및 마이페이지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구매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화면 예시도 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도 8의 810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복수의 정기배송 상품 각각에 대응하는 제1 판매정보를 디스플레이 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판매정보와 함께 정기배송 상품의 제1 판매정보 상에 일반 구매 즉, 1회 구매시의 제1 가격 및 정기배송 구매시의 제2 가격을 함께 제공하여 주문자가 직관적으로 가격 비교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820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주문자에 의한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의 제1 판매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제2 판매정보를 디스플레이 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2 판매정보 상에 선택 시에 정기배송 상품을 구매(1회 구매)할 수 있는 구매하기 UI(821) 및 선택 시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을 신청할 수 있는 정기배송 신청 UI(822)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2 판매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쇼핑 서비스 화면을 제1 영역(823) 및 제2 영역(824)으로 분할하고 제1 영역(823)에는 정기배송 상품의 제2 판매정보를 제공하고, 제2 영역(824)에는 구매하기 UI(821) 및 정기배송 신청 UI(822)를 제공할 수 있으며, 주문자의 제스처(예를 들어, 스크롤)에 대응하여 제1 영역을 이동시키고 제2 영역의 이동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의 830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주문자에 의한 정기배송 신청 UI(822)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선택 시에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활성화된 상품 종류 선택 UI(831) 및 선택 시에 배송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배송주기 설정 UI(832)를 디스플레이 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8의 830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 상품 종류 선택 UI(831) 및 배송주기 설정 UI(832) 외에, 무료 배송 조건 및 정기배송 신청 시 임의의 한 지점을 기준으로 첫 배송 예정일을 알려주는 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 정보는 선택 시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될 때까지 주문자 단말기(T1)에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의 840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주문자에 의한 상품 종류 선택 UI(831)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를 제공하여 주문자가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850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주문자에 의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선택이 완료된 후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주문자로 하여금 배송주기(예를 들어 2주, 4주, 8주, 12주 중 하나) 설정하도록 배송주기 설정 UI(832)를 활성화 시켜 제공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860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주문자에 의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선택 및 배송주기 설정이 완료된 후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제공하는 선택 시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되는 정기배송 신청 UI(861)를 디스플레이 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화면 예시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860에 포함된 정기배송 신청 UI(861) 선택에 의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T1)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 및 결제를 할 수 있는 정기배송 신청/결제 화면을 제공하고,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T1)로부터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 입력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정기배송 신청/결제 화면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주문자 정보,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하는 수취자 정보,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 할인쿠폰이 적용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결제 금액 및 결제 금액을 자동으로 결제할 수 있는 자동 결제수단을 입력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입력한 주문자로부터 자동 결제수단에 포함된 신용카드 결제 또는 휴대폰 결제 중 하나의 결제수단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자동 결제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자동 결제처리가 수행되면, 배송일 전에 자동으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결체 처리가 완료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정기배송 신청/결제 화면은, 정기배송 결제하기 UI(910) 및 취소하기 UI(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기배송 결제하기 UI(910)는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 및 결제를 위해 선택할 수 있고, 정기배송 결제하기 UI(910)가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할 수 있다. 취소하기 UI(920)는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 및 결제를 취소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고, 취소하기 UI(920)가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8의 810과 같은 쇼핑 서비스 화면을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에 의한 정기배송 결제하기 UI(910)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정기배송 신청 완료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정기배송 신청 완료 화면에서는,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주문자에게 전송하였다는 메시지와 함께 주문자가 신청하여 결제를 완료한 정기배송 상품의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제공한다.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는 대표 이미지, 수량, 상품 가격, 정기배송 신청 시 할인가격, 쿠폰 할인 가격, 배송비, 결제 금액, 배송주기, 첫 배송 예정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정기배송 신청 완료 화면은,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하기 UI(1010) 및 계속 쇼핑하기 UI(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하기 UI(1010)는 정기배송 신청 완료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고,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하기 UI(1010)가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할 수 있다. 계속 쇼핑하기 UI(1020)는 다른 정기배송 상품을 쇼핑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고, 계속 쇼핑하기 UI(1020)가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T1)에 도 8의 810과 같은 쇼핑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에 의한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하기 UI(1010)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 화면에서는, 주문자가 신청하여 결제를 완료한 정기배송 상품의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제공한다.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는 대표 이미지, 수량, 상품 가격, 정기배송 신청 시 할인가격, 쿠폰 할인 가격, 배송비, 결제 금액, 배송주기, 첫 배송 예정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 화면에서는, 주문자가 과거부터 현재까지 신청하여 결제를 완료한 정기배송 상품의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 화면은, 계속 쇼핑하기 UI(1110), 묶음배송 신청하기 UI(1120) 및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UI(1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 쇼핑하기 UI(1110)는 다른 정기배송 상품을 쇼핑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고, 계속 쇼핑하기 UI(1110)가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T1)에 도 8의 810과 같은 쇼핑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묶음배송 신청하기 UI(1120)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로부터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고 함께 배송되도록 하는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설정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고, 묶음배송 신청하기 UI(1120)가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도 12 및 도 13과 같은 묶음배송 신청하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UI(1130)는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고,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UI(1130)가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선택한 전송방식에 따라 선택한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11에서 묶음배송 신청하기 UI(1120)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묶음배송 신청하기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하여 주문자의 선택에 의해 묶음상품으로 설정할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묶음상품으로 선택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a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배송일자 선택 UI(1210)가 도시되어 있다. 배송일자 선택 UI(121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배송일자를 추천해 주는 배송일자 추천받기 UI(1211) 및 주문자가 직접 배송일자를 설정하는 배송일자 선택하기 UI(1212)포함할 수 있다. 도 12a에서는 주문자가 배송일자 추천받기 UI(1211)를 선택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b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주문자가 설정한 묶음상품과 함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추천하는 하나 이상의 배송일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묶음상품으로 설정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 예정일자를 기준으로,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일자를 분석하여,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이 몰리는 일자를 검색하고,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이 몰리는 일자가 아닌 비교적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이 원활한 일자를 배송일자로 추천할 수 있다.
도 12c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추천한 하나 이상의 배송일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결과에 대응하여 묶음상품에 대한 배송일자 변경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c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변경된 배송일자에 선택한 묶음상품을 배송하도록 하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UI(1220)를 제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d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UI(1230) 선택에 의해 묶음배송 신청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묶음배송 신청결과는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와 묶음배송 신청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2d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UI(1230), 계속 쇼핑하기 UI(1240) 및 묶음배송 신청을 취소하는 취소하기 UI(1250)를 제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11에서 묶음배송 신청하기 UI(1120)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묶음배송 신청하기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하여 주문자의 선택에 의해 묶음상품으로 설정할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묶음상품으로 선택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a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배송일자 선택 UI(1210)가 도시되어 있다. 배송일자 선택 UI(131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배송일자를 추천해 주는 배송일자 추천받기 UI(1311) 및 주문자가 직접 배송일자를 설정하는 배송일자 선택하기 UI(1312)포함할 수 있다. 도 13a에서는 주문자가 배송일자 선택하기 UI(1312)를 선택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b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주문자가 설정한 묶음상품과 함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고, 주문자가 묶음상품에 대하여 직접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 예정일자가 포함된 해당 월의 달력을 제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b에서는 주문자가 달력 상에서 배송을 원하는 배송일자를 직접 설정하고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c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달력 상에서 주문자가 직접 설정한 배송일자에 대응하여 묶음상품에 대한 배송일자 변경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3c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변경된 배송일자에 선택한 묶음상품을 배송하도록 하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UI(1320)를 제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d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UI(1320) 선택에 의해 묶음배송 신청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묶음배송 신청결과는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와 묶음배송 신청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3d에 도시된 주문자 단말기(T1) 상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UI(1330), 계속 쇼핑하기 UI(1340) 및 묶음배송 신청을 취소하는 취소하기 UI(1350)를 제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2d 또는 도 13d의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UI(1230 또는 1330) 선택에 대응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T1)로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을 제공하고, 주문자 단말기(T1)로부터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 방식 및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정보와,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410), 및 수신자 리스트 UI(1420)를 포함할 수 있다.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410)는 이메일, 문자, SNS(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방식을 설정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4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이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된 전송방식으로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자 리스트 UI(1420)는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를 설정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수신자 리스트 UI(1420) 중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가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된 수신자에게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전송하기 UI(1430) 및 취소하기 UI(1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하기 UI(1430)는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선택된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전송하기 UI(1430)가 선택되면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취소하기 UI(1440)는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의 전송을 취소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취소하기 UI(1440)가 선택되면 주문자 단말기(T1)에는 이전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에 포함된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410) 중 문자 전송 방식을 선택한 예를 보여주고 있고, 주문자 단말기(T1)가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로써 수신자 리스트 UI(1420)는 주문자 단말기(T1)에 기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리스트임을 보여주고 있다. 주문자는 수신자자 리스트 UI(1420)로부터 묵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주문자 단말기(T1)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1의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UI(1130) 선택에 대응하여, 도 15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T1)로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을 제공하고, 주문자 단말기(T1)로부터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 방식 및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정보와,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 UI(1510), 수신자 리스트 UI(1520),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전송하기 UI(1530) 및 취소하기 UI(15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설명은 도 14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화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주문자 이외의 한 명 이상의 결제자에게 전송하여 결제자로 하여금 결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제자 리스트로부터 결제자를 선택할 수 있고, 이메일, 문자 또는 SNS 전송방식을 포함하는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 전송방식으로부터 전송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자 리스트와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 전송방식은 상술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신자 리스트 및 이메일, 문자, SNS 전송 방식과 동일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T1)에 표시되는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서 복수의 정기배송 상품 각각에 대한 제1 판매정보를 제공하고, 주문자의 제스처(예를 들어, 탭)에 의한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의 제1 판매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상품의 제2 판매정보를 제공한다(S10).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 단말기(T1)에 표시되는 제2 판매정보를 검색한 주문자로부터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및 배송주기와 함께 수신된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정보,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 정보, 배송주기를 포함하는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및 정기배송 상품의 결제 금액과 금액을 일정한 일자에 자동으로 결제할 자동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로 구성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한다(S20).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를 생성하고,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된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한다(S30).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여 함께 배송되도록 하는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40).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묶음상품의 배송일자 설정 시에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 상황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묶음상품으로 설정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하여, 묶음상품을 배송 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송일자를 추천하여 주문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가 묶음상품에 대하여 직접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 예정일자가 포함된 해당 월의 달력을 제공하고, 주문자가 달력으로부터 배송을 원하는 배송일자를 직접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선택에 의해 주문자로부터 수신한 묶음상품 설정 및 배송일자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문자 단말기(T1)에 출력한다(S50).
선택적 실시 예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의 요청에 의해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 내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한 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자의 마이페이지 정보 제공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구매내역 정보 또는 묶음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가 포함된 마이페이지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그램 저장부
140: 제어부
150: 데이터베이스
160: 쇼핑 서비스 정보 제공부
161: 제1 제공부
162: 제1 생성부
163: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
164: 제2 제공부
165: 제2 생성부
166: 전송부

Claims (7)

  1.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서 신청 시에 정기적으로 배송 가능한 정기배송 상품의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제공부;
    상기 판매정보를 검색한 주문자로부터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및 배송주기와 함께 수신된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정보,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 정보, 상기 배송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결제 금액과 상기 금액을 일정한 일자에 자동으로 결제할 자동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로 구성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생성부;
    상기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된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
    상기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여 함께 배송되도록 하는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상기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제공부; 및
    상기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선택에 의해 상기 주문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묶음상품 및 상기 배송일자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2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공부는,
    상기 묶음 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상에,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 상황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묶음상품을 배송 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송일자를 추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배송일자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공부는,
    상기 묶음 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주문자가 직접 상기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배송일자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서 신청 시에 정기적으로 배송 가능한 정기배송 상품의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정보를 검색한 주문자로부터 어느 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및 배송주기와 함께 수신된 정기배송 신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 정보,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 정보, 상기 배송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결제 금액과 상기 금액을 일정한 일자에 자동으로 결제할 자동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로 구성된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기배송 신청이 완료된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기배송 상품 보관부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을 선택하여 함께 배송되도록 하는 묶음상품으로 설정하고, 상기 묶음상품의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는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선택에 의해 상기 주문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묶음상품 및 상기 배송일자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묶음배송 신청이 완료되었음을 고지하는 묶음배송 신청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묶음 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상에, 다른 정기배송 상품들의 배송 상황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묶음상품을 배송 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송일자를 추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묶음 배송 신청하기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주문자가 직접 상기 배송일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7.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 4항 내지 제 6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73087A 2015-05-26 2015-05-26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53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087A KR101753836B1 (ko) 2015-05-26 2015-05-26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087A KR101753836B1 (ko) 2015-05-26 2015-05-26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785A true KR20160138785A (ko) 2016-12-06
KR101753836B1 KR101753836B1 (ko) 2017-07-04

Family

ID=5757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087A KR101753836B1 (ko) 2015-05-26 2015-05-26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8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485A (ko) * 2020-05-07 2021-11-17 김미지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81079A (ko) * 2020-12-08 2022-06-15 문희선 사용자 선호도를 통한 추천 및 비교 기반의 밀키트 서비스 장치
WO2023068417A1 (ko) * 2021-10-19 2023-04-2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229060A1 (ko) * 2022-05-24 2023-11-30 쿠팡 주식회사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WO2024014604A1 (ko) * 2022-07-13 2024-01-18 쿠팡 주식회사 배송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273B1 (ko) * 2019-12-20 2021-10-14 김홍만 온라인 서브스크립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553A (ko) 2000-11-14 2002-05-22 유승렬 다자간 대화형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2119B2 (ja) * 2010-06-28 2015-09-24 アマゾン・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トート配送オプション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553A (ko) 2000-11-14 2002-05-22 유승렬 다자간 대화형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485A (ko) * 2020-05-07 2021-11-17 김미지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81079A (ko) * 2020-12-08 2022-06-15 문희선 사용자 선호도를 통한 추천 및 비교 기반의 밀키트 서비스 장치
WO2023068417A1 (ko) * 2021-10-19 2023-04-2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229060A1 (ko) * 2022-05-24 2023-11-30 쿠팡 주식회사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WO2024014604A1 (ko) * 2022-07-13 2024-01-18 쿠팡 주식회사 배송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836B1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836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US117415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g based upselling
KR101612482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6640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22679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14014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98570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629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4320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432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6430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629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00339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72940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78759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4322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1824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89011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12061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70563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01480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10586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3501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9071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71448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