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427A -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 - Google Patents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427A
KR20160137427A KR1020160062112A KR20160062112A KR20160137427A KR 20160137427 A KR20160137427 A KR 20160137427A KR 1020160062112 A KR1020160062112 A KR 1020160062112A KR 20160062112 A KR20160062112 A KR 20160062112A KR 20160137427 A KR20160137427 A KR 20160137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tate
outlet
uni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870B1 (ko
Inventor
신동환
이영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Priority to PCT/KR2016/00539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90622A1/ko
Publication of KR20160137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comprising a separated limit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플러그 삽입구, 전자 제품이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해당 상태의 전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스위칭부, 그리고 콘센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콘센트 제어부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에서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부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현재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ND PLUS INSERTION SENSOR}
본 발명은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concent) 즉, 소켓(socket)과 같은 전원 연결장치는 각종 전자 제품의 플러그(plug)가 삽입되어 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연결장치는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만을 구비하여 하나의 전기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가 구비되어 있어 각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자 제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 탭(multi-tap) 형태를 갖고 있다.
전원 연결 장치의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전자 제품을 구동하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 전자 제품의 동작 준비를 위해 소비되는 대기 전력(standby power)이 발생한다.
이러한 대기 전력의 크기는 실제 전자 제품이 구동 중일 때 발생하는 소비 전력보다 훨씬 작은 값을 갖고 있지만, 대기 전력을 소비하는 전제 제품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 역시 증가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대기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자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일일이 해당 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에서 탈거하거나 전원 연결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공급 스위치를 오프시켜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대기 전력 소모 방지 기능을 갖는 전원 연결 장치일 경우, 사용자는 제공되는 사용 설명서를 숙지한 후 수동 동작을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의 크기를 입력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 원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의 크기 입력 동작이 매우 복잡하므로 일반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는 전자 제품이 변경될 때마다 매번 사용자는 대기 전력의 크기 입력 동작을 행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유발되어 이용률이 크게 감소한다.
한국공개특허 [10-1183617]에서는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83617](등록일자: 2012년09월11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의 크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 삽입시 콘센트의 대기 전류를 자동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의 각 플러그 삽입 시 대기 전력 자동 셋팅과 자동 제어 및 모니터링 동작 상태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해당 상태의 전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된 콘센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근거로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근거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현재 소비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되어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현재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전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임을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콘센트 사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통신하는 전송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 전자 제품 연결 여부, 소비 전류값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전송 장치로 외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되어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출력 신호의 상태가 달라지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콘센트 제어부가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전자 제품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았다가 현재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콘센트 제어부는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 이하의 상태로 일정시간 경과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동안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소비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재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모든 스위칭부의 상태가 비연결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되면,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 의하면, 플러그 삽입 감지부를 이용하여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연결될 때마다 연결된 전자 제품에 대한 대기 전류가 자동 셋팅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소비전류값과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대기 전류를 비교하여,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전자 제품이 비동작 상태인 경우, 전자 제품으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비동작 상태의 전자 제품에 의해 소비되는 대기 전류를 방지한다.
더욱이, 전자 제품에 연결되지 않은 플러그 삽입구로 인가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플러그 삽입구에 의해 소비되는 대기 전류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정 내의 기존 전원선과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으로 전자제품의 소비 전류값과 대기 전류값을 측정하여 제어하고 모니터링 한다.
또한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장부에 전류값을 전송하고, 소비자가 전력을 판단할 수 있도록 콘센트 상태 모니터링 및 이를 바탕으로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자발적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감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감시 시스템에 사용된 플러그 삽입 감지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 간에 전송될 때 사용 가능한 전송 코드 및 이에 대한 설명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 간에 전송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콘센트 제어부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의 전송 제어부에 대한 동작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감시 시스템에 사용된 플러그 삽입 감지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 간에 전송될 때 사용 가능한 전송 코드 및 이에 대한 설명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 간에 전송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콘센트 제어부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의 전송 제어부에 대한 동작순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상용 전원과 같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10), 전원 공급선(10)에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 즉, 전원 연결장치(20), 콘센트(20)와 연결되어 있는 전송 장치(30), 통신망(60)을 통해 전송 장치(30)와 연결되는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 그리고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50)를 구비한다.
전원 공급선(10)은 상용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전원(220V 등)이나 직류 전원 등과 같은 전원을 공급한다.
콘센트(2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제품과 연결되어,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콘센트(20)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수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 모든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메인 스위치,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전원 공급선(10)과 각 플러그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복수의 릴레이(즉, 복수의 스위칭부)(RY1-RYn),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와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각 릴레이(RY1-RYn)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 복수의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 및 복수의 릴레이(RY1-RYn)에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 제어부(24), 콘센트 제어부(24)에 연결되어있는 저장부(25), 콘센트 제어부(24)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 그리고 콘센트 제어부(24)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 전체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는 메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각 해당 릴레이(RY1-RYn)를 통하여 전원 공급선(10)과 연결되어 자신에게 삽입되어 있는 전자 제품으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본 예에서 콘센트(20)는 복수 개의 플러그 삽입구(211-21n)를 구비하고 있지만, 한 개의 플러그 삽입구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런 경우, 플러그 삽입 감지부, 전류 감지부 릴레이 및 콘센트 사용 스위치 각각의 개수 역시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되게 한 개가 된다.
복수의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로서, 사용자는 해당 전자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를 동작시켜 해당 상태의 신호를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한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가 동작 상태인지 판단한다.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가 동작 상태로 판단되면, 콘센트 제어부(24)는 대응되는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릴레이(RY1-RYn)를 동작시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n)를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한다.
따라서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콘센트(20)에 설치되어 있다.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연결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면 전자 제품의 삽입 동작에 의해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상태가 변하여 각 출력 단자(OUT1, OUT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가 변해 해당 상태[예, OUT1= 1', OUT2 ='0'(제1 상태)]의 감지 신호(A1-An)를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하게 된다.
반대로 플러그 삽입부(211-21n)에 삽입되어 있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뽑히게 되면 해당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상태는 초기 상태로 변하여 제1 상태와는 다른 상태[예, OUT1= '1', OUT2 ='0'(제2 상태)]의 감지 신호(A1-An)를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콘센트 제어부(24)는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A1-An)의 상태를 이용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다양한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2를 참고로 하면, 콘센트(20)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110)가 형성된 플러그 본체(100)가 삽입되는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과 전자 제품의 플러그(110)가 1차로 삽입되는 상부 삽입구(TH)가 형성되어 있는 상판(1a), 상판(1a)아래에 위치하고 상부 삽입구(TH)에 대응되게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와 중간 삽입구(MH)가 위치하는 중간판(1b), 그리고 중간판(1b)에 하부에 위치하고 중간 삽입구(MH)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전원공급선(10)이 위치하는 하부 삽입구(BH)를 구비한 하판(1c)을 구비한다.
따라서 서로 대응하는 소켓(20)의 상부 삽입구(TH), 중간 삽입구(MH) 및 하부 삽입구(BH)는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를 형성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110)는 상부 삽입구(TH), 중간 삽입구(MH) 및 하부 삽입구(BH)를 차례로 관통하여 하부 삽입구(BH)에 위치한 전원 공급선(10)에 연결된다.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중간판(1b)에 위치한 안착홈(H12)에 장착되어 있다.
도 2를 참고로 하면,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상부 삽입구(TH) 하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회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는 이동부(21), 이동부(21)에 연결되어 있고 이동부(21)의 이동 상태(예, 회전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22), 그리고 이동부(21)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는 스위치(23)를 구비한다.
이동부(21)는 안착홈(H12)에 돌출되는 돌출부(P11)에 삽입되는 삽입홀(21a), 삽입홀(21a)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편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막음판(21b)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P11)에는 핀(pin)(도시하지 않음) 등이 삽입되어 돌출부(P11)에 삽입된 이동부(2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 쌍의 막음판(21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하부에 위치한 중간 삽입구(MH)를 각각 막고 있다.
탄성 부재(22)는 한 쌍의 막음판(21b) 중 하나와 장착홈(H12)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막음판(21b)의 회전 여부에 따라 압축되거나 압축 상태가 해제된다.
스위치(23)는 한 쌍의 막음판(21b)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고, 한 쌍의 막음판(21b)의 회전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위치가 변하는 판 스프링(plate spring)과 같이 탄성력을 갖고 있는 접촉판(23a), 접촉판(23a)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접촉판(23a)의 위치 상태에 따라 접촉판(23a)과 접촉하거나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 접점(23b), 해당 크기의 전압(예, 5V)이 인가되고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에 따라 연결 상태가 변하는 공통 단자(COM), 그리고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에 따라 공통 단자(COM)와 접촉하거나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를 구비한다.
이때, 공통 단자(COM)는 콘센트 제어부(24)와 연결되거나 별도의 전원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삽입되면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가 되면 공통 단자(COM)는 제1 출력 단자(OUT1)와 접촉하고 제2 출력 단자(OUT2)와는 비접촉되며, 반대로 플러그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부터 제거되면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공통 단자(COM)는 제2 출력 단자(OUT2)와 접촉하는 대신 제1 출력 단자(OUT1)와는 비접촉하게 되어, 해당 상태(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신호를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플러그 삽입 갑지부(221-22n)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부 삽입구(TH)로 삽입되면 상부 삽입구(TH)를 관통하여 한 쌍의 막음판(21b)의 표면에 접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계속 삽입되면, 전자 제품의 플러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한 쌍의 막음판(21b)의 각 경사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탄성 부재(22)의 상태는 초기 상태에서 압축 상태로 변하게 되어 한 쌍의 막음판(21)은 돌출부(P11)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 부재(22)가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예, A 방향).
이로 인해, 전자 제품의 플러그는 한 쌍의 막음판(21b)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막음판(21b)을 해당 방향(A)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막음판(21b)에 의해 각각 막혀 있는 중간 삽입구(MH)를 노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는 노출된 중간 삽입구(MH)로 삽입된 후 관통하여 하부 삽입구(BH)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자 제품의 플러그 삽입 동작에 의해 한 쌍의 막음판(21b)의 회전 상태가 최대가 되면 즉,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중간 삽입구(MH)에 완전히 삽입되면, 회전하는 막음판(21b)에 의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이 접점(23b) 쪽으로 밀리게 되어 접촉판(23a)과 접점(23b)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판(23a)과 접점(23b)이 접촉하게 되면, 공통 단자(COM)은 제1 출력 단자(OUT1)와 접하게 되어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는 제1 상태로 되어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n)로서 출력된다.
이런 상태에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빠지게 되면, 탄성 부재(22)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이 해제되므로 탄성 부재(22)의 압축 상태는 해제되어 탄성 부재(22)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고, 이러한 탄성 부재(22)의 복원 동작에 의해 한 쌍의 막음판(21b)이 위치 역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중간 삽입구(MH)를 막게 된다.
이렇게 한 쌍의 막음판(21b)의 위치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면, 막음판(21b)에 의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 역시 해제되어 접촉판(23a)의 상태 역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접촉판(23a)과 접점(23b)간의 접촉은 해제된다.
이러한 접촉판(23a)과 접점(23b)간의 접촉 해제에 의해 공통 단자(COM)은 제1 출력 단자(OUT1)에서 제2 출력 단자(OUT2)과 접하게 되어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는 제2 상태로 되어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n)로서 출력된다.
이러한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구조에 대한 다른 예는 도 3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 3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역시 중간판(1b)의 해당 장착홈(H12)에 위치하고, 상부 삽입구(TH) 하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예, 직선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는 이동부(21x), 이동부(21x)와 장착홈(H12)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부(21x)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22), 그리고 이동부(21)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는 스위치(23)를 구비한다.
이동부(21x)는 안착홈(H12)에 돌출되는 돌출부(P12)에 삽입되는 삽입홀(21xa), 삽입홀(21xa)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고 반대편에 위치하고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중간 삽입구(MH)를 각각 막고 있는 한 쌍의 막음판(21xb)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이동부(21)와 달리, 도 3에 도시한 이동부(21x)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의 삽입 동작에 의해 회전 방향(A)이 아닌 직선 방향[예, 좌우 방향(B)]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막음판(21xb)의 경사진 표면의 경사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즉, 스위치(23)가 위치한 쪽의 반대 방향]이 된다.
또한, 도 2의 경우 삽입홀(21a)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반면 도 3의 삽입홀(21xa)은 이동하는 직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대략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부 삽입구(TH)를 관통하여 이동부(21x)의 막음판(21xb)의 경사면에 닿게 되고 경사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이동부(21x)는 스위치(23) 쪽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힘을 가해 접촉판(23a)을 접점(23b)에 접촉시킨다.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빠지게 되면 탄성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막음판(21xb)의 위치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접촉판(23a)과 접점(23b)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역시 도 2 및 도 3과 유사하게 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삽입구(TH)에 하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한 이동부(21y), 이동부(21y)와 장착홈(H12)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부(21y)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22), 그리고 이동부(21y)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는 스위치(23)를 구비한다.
이때, 이동부(21y)의 이동 방향 역시 회전 방향이 아닌 직선 방향이다.
하지만, 도 4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이동부(21y)의 이동 방향은 도 3의 이동 방향(B)과 교차하는 직선 방향[예, 전후 방향(C)]이 된다.
이를 위해, 이동부(21y)는 탄성 부재(22)와 접해있는 중심부(21ya)와 중심부(21ya)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삽입구(TH)와 중간 삽입구(MH)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중간 삽입구(MH)를 막고 있는 한 쌍의 막음판(21yb)을 구비한다.
한 쌍의 막음판(21yb)의 표면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고, 경사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 즉, 스위치(23)가 위치한 쪽의 반대 방향이 된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부 삽입구(TH)를 관통하여 이동부(21y)의 막음판(21yb)의 경사면에 접하여 경사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이동부(21y)는 스위치(23) 쪽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힘을 가해 접촉판(23a)을 접점(23b)에 접촉시키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빠지게 되면 탄성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막음판(21yb)의 위치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접촉판(23a)과 접점(23b)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달리, 이동부(21x, 21y)의 이동 방향과 이동부(21x, 21y)의 이동을 위한 막음판(21xb, 21yb)의 표면의 경사면의 경사 방향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게 동작한다.
도 5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중간판(1b)에 위치하고,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는 이동부(21), 탄성부재(22) 및 스위치(23)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부(2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한쌍의 막음판(21b)을 구비하고 있고, 안착홈(H12)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P11)에 삽입되어 돌출부(P11)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D)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플러그 본체(100)의 플러그(110)가 상부 삽입구(TH)에 삽입되어 한 쌍의 막음판(21b)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돌출핀(P11)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D)으로 회전하게 되어 막음판(21b) 하부에 위치한 중간 삽입구(MH)를 개방해, 개방된 중간 삽입구(MH)로 플러그(110)가 삽입되어 하부 삽입구(BH)로 차례로 삽이 동작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플러그(110)가 상부 삽입구(TH)로부터 탈거되면 탄성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21)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중간 삽입구(MH)를 막게 된다.
하지만, 도 2와 달리, 도 5에 도시한 예의 경우, 스위치(23)는 이동부(21)의 측부에 위치하고 있는 대신 이동부(2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상판(1a)의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내에 형성된 관통구(H21)와 중간판(1b)의 장착홈(H12) 내에 형성된 관통구(H22)에 삽입되는 동작핀(MP11)을 더 구비하고 있다. 동작핀(MP11)의 중간에는 탄성 부재(MS11)가 위치한다.
이 동작핀(MP11)은 관통구(H21)를 통과해, 즉 상판(1a)을 관통해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하며, 관통구(H22)를 통과해, 즉 중간판(1b)을 통과해 하부에 위치한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의 상부 삽입구(TH) 속으로 플러그(111)가 삽입되면 관통구(H21)를 통과한 동작핀(MP11)의 상부는 플러그 본체(100)에 접하게 되고, 플러그 본체(100)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동작핀(MP11) 자체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핀(MP11)의 하강 동작에 의해, 동작핀(MP11)의 하부는 그 밑에 위치한 스위치(23)의 접촉판(23a)을 누르게 되어 접촉판(23a)을 접점(23b)에 접촉시킨다.
이러한 접촉판(23a)과 접점(23b)간의 접촉 상태에 따라 해당 상태의 신호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되어, 플러그(110)의 삽입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반대로, 플러그(110)가 빠지게 되면, 탄성부재(MS11)의 복원력에 의해 동작핀(MP11)의 상태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상부 삽입구(TH)로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접점(23b)과 접촉 상태인 스위치(23)의 접촉판(23a) 역시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 접점(23b)과의 접촉 상태는 해제되어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한다.
이러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을 구비하고 있는 중간판(1b)는 삽입구(H31)를 상판(1a)에 위치한 삽입핀(CP11)에 삽입하여, 상판(1a)과 하판(1c) 사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본 예에서, 스위치(23)는 하나의 입력 단자(COM)와 두 개의 출력 단자(OUT1, OUT2)를 갖는 3단자 스위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입력 단자와 하나의 출력 단자를 갖는 것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의 양에 해당하는 신호(B1-Bn)를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한다,
이로 인해, 콘센트 제어부(24)는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B1-Bn)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하게 된다.
복수의 릴레이(RY1-RYn)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콘센트 제어부(24)와 각 해당 플러그 삽입구(241-24n) 사이에 위치한다.
각 릴레이(RY1-RYn)는 콘센트 제어부(24)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각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즉, 전원 공급선(10)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한다.
이러한 릴레이(RY1-RYn)는 각각 콘센트 제어부(24)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코일(L11)과 전원 공급선(10)에 각각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타측 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11, SW12)를 구비한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각 릴레이(RY1-RYn)의 코일(L11)을 자화시키거나 자화 상태를 해제하여 스위치(SW11, SW12)가 온되는 연결 상태가 되면, 해당 릴레이(RY1-RYn)에 연결된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해당 릴레이(RY1-RYn)를 통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고 있는 플러그 삽입구(241-24n)에 플러그를 이용하여 연결된 가전 제품, 서버 또는 전원 공급 장치 등과 같은 전자 제품으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각 해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콘센트 제어부(24)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A1-An)를 이용하여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감지 신호(B1-Bn)를 이용하여 소비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의 크기를 판정한다.
그런 다음, 해당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값과 판정된 대기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 제품의 사용 여부를 판정하고,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품이 사용 중일 경우 해당 릴레이(RY1-RYn)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에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원을 공급하고,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품이 미사용 중일 경우 전원 공급선(10)에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저장부(25)는 메모리(memory)로서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대기 전류의 크기를 저장하고, 콘센트 제어부(24)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해당 콘센트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5)는 도 1과는 달리 콘센트 제어부(2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콘센트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상태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복수의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각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는 콘센트 제어부(24)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다른 빛(예, 적색, 황색, 녹색, 청색 등)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ED1, LED2)를 구비한다.
제1 발광 다이오드(261)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를 측정하는 상태임을 표시(예: 녹색)할 수 있고, 제2 발광 다이오드(262)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표시(예: 청색)할 수 있다.
그 외에 제3 발광 다이오드를 더 구비하여 대기전류를 차단한 상태 등을 표시(예: 적색)할 수 있고, 제4 발광 다이오드를 더 구비하여 전자제품이 동작 중임을 포시(예: 황색)할 수 있다.
통신부(27)는 전송 장치(3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전송 장치(30)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본 예에서, 통신부(27)는 전송 장치(30)와의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을 제어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선 종류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전송 장치(30)는 콘센트(2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31), 통신부(31)와 연결된 전송 제어부(32) 및 전송 제어부(32)와 연결된 저장부(33)를 구비한다.
통신부(31)는 콘센트(20)의 통신부(27)와 같이 PLC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다.
전송 제어부(32)는 통신부(31)를 통해 전송되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 릴레이(RY1-RYn) 및 전류 감지부(231-23n)의 동작 상태인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33)에 저장하고, 정해진 시간 주기마다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하거나, 플러그 삽입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 또는 전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전류 감지 신호가 변경될 때 마다 해당 정보를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33)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도 1과 달리 전송 제어부(3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는 모니터링 제어부(41), 모니터링 제어부(41)와 연결된 데이터 출력부(42)를 구비한다.
이러한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서버(server), 노트북(notebook)이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같은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 장치(30)를 통해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센트(20)의 동작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삽입감지부에 플러그 본체의 삽입 여부, 전류 감지부에 감지된 전류, 스위치 동작상태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콘센트 상태 데이터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대기 전류, 전자 제품 연결 여부, 및 소비 전류값 그리고 릴레이(RY1-RYn)의 동작 여부 등을 구비하므로,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와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출력부(42)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발광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로 이루어져 있고, 모니터링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해 해당 콘센트(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저장부(50)는 메모리(memory)나 데이터베이스(database)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메모리로 이루어질 경우, 저장부(50)는 모니터링 제어부(41)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질적인 이벤트 발생 및 그에 따른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24)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간에 전송될 때 사용 가능한 전송 코드 및 이에 대한 설명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 6은 이벤트 발생에 따른 코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6 에서는 대분류를 P_코드라 명명하고, 소분류를 S_코드라 명명하였으며 이 둘을 합하여 PS_코드라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24)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간에 전송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 7은 도 6의 P_Code와 S_Code를 포함하여 다른 정보들과 함께 전송되는 데이터 포맷의 예를 보여준다.
전송 장치(30)로부터 콘센트 상태 데이터(도 7 참조)가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되면,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의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50)에 저장하고,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하여(S33), 콘센트(20)의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동작 상태,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현재 소비 전류량 및 누적 소비 전류량, 각 릴레이(RY1-RYn)의 동작 상태 등이 데이터 출력부(42)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동작 여부,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소비 전류량과 누적 소비 전류량, 전자 제품 연결 여부, 릴레이 동작 여부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콘센트(20)와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 간의 데이터 전송은 전송 장치(30)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별도의 전송 장치(30)를 구비하지 않고 콘센트(20)의 통신부(27)를 통해 콘센트(20)는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와의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장치(30)의 전송 제어부(30)의 동작은 콘센트 제어부(24)에 의해 행해진다.
즉, 플러그 삽입 감지부 동작과정, 전류 감지부 인식과정, 릴레이 동작 과정, 사용자 표시부 동작과정, 스위치 동작과정, 전력 미터량 등 이력과정을 분석 할수 있다.
도 7의 내용은 콘센트 하나의 수구에서 발생되는 이력과정이며, 각각의 콘센트 수구 또한 독립적으로 같은 형태의 데이터가 발생되어 서버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구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각각의 수구에서 전력을 사용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수구에 연결된 전자기기 별로 언제부터 언제까지 얼마만큼의 전력을 사용하였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이는, 전기 요금을 절약하기 위해 어떤 전자기기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을지 예측하여 전기 사용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특정 주파수(예, 58~62 Hz)의 밴드패스 필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밴드패스 필터가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 중 특정 주파수(예, 58~62 Hz)의 전류만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직렬 연결 가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전류 측정 시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밴드패스 필터를 필요에 의해 가동시키고 필요에 의해 중지시킬 수 있도록 연결(스위칭 작동에 의해 직렬 연결 또는 밴드패스 필터만 단선되도록 연결 가능)와 함께 할 수 있다.
여기서 밴드패스 필터를 중지시킨다는 의미는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노이즈 제거 없이 통과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고, 밴드패스 필터를 가동시킨다는 의미는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 중 특정 주파수 대역(예, 58~62 Hz)의 전류만 흐르도록 제어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밴드패스 필터를 대기 전류 측정 시에 의해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대기 전류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노이즈로 인한 측정 신뢰성이 감소되기 때문에, 대기 전류 측정 시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대기 전류 측정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대기전류 자동 인식 및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도 6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콘센트(20)의 콘센트 제어부(24)에 의해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해당 전자 제품에서의 대기 전류 소비 여부를 감시하여 차단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콘센트 제어부(24)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어 콘센트 제어부(24)의 구동이 시작된다(SA0).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선(10)에 콘센트(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콘센트 제어부(24)에 전원을 공급하라는 명령(코드 등)에 의해, 콘센트 제어부(24)는 전원 공급선(10)에 연결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이용해 콘센트(20)의 동작(플러그 삽입 감지부, 전류 감지부, 스위칭부, 콘센트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직류(DC, direct current) 전원을 출력하는 직류 전원 공급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콘센트 제어부(24)의 구동 전원을 인가 받는다.
이때, 콘센트 제어부(24)에 전원을 공급하라는 명령(코드 등)은 인체감지센서,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 전체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는 메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컴퓨터, 스마트폰, 리모콘 등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인체감지센서에 인체가 감지되었을 경우(PS_코드로 00), 인체감지센서의 동작버튼을 입력하였을 경우(PS_코드로 01), 메인 스위치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하였을 경우(PS_코드로 02), 컴퓨터(PS_코드로 03), 스마트폰(PS_코드로 04), 리모콘(PS_코드로 05) 등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 명령을 생성(SMPS 일괄 재생)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전원 공급선(10)에 콘센트(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콘센트 제어부(24)에 전원을 공급하라는 명령(코드 등)에 의해 콘센트 제어부가 구동된다.
이후, 콘센트 제어부가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A)를 수행한다.
이는, 상기 콘센트(20)의 플러그 삽입구(수구)가 대기 전류를 차단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방법 중 하나로 해당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제거하였다가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전자 제품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았다가 현재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콘센트 제어부는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SB)를 수행한다.
즉, 전자 제품이 새로이 연결되면, 콘센트 제어부는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에서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가 삽입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콘센트 사용 스위치(수동버튼)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하였을 경우(PS_코드로 10),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가 삽입된 경우(PS_코드로 11), 스마트폰(PS_코드로 12), 컴퓨터(PS_코드로 13) 등을 이용하여, 수구별 전원 공급(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SC)를 수행한다.
즉, 전자 제품이 오프(OFF) 상태이기 때문에 이때 측정된 전류값을 대기 전류로 판정할 수 있다. 이는 추후 대기 전류(전자 제품이 오프(OFF) 상태)로 판정되면,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 전류로 소모되는 전기 소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여기서, 측정된 전류값은 일정 시간동안 측정된 전류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대기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를 시작할 경우(PS_코드로 20), 대기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 중 일 경우(PS_코드로 21), 대기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를 마칠할 경우(PS_코드로 22) 마다 관련된 신호(대기 전력 측정 중임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SD1)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 이하의 상태로 일정시간 경과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SD2) 하는 단계(SD)를 수행한다.
즉, 플러그 삽입구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SD1)하여, 전자 제품을 사용 중인 경우는 전원이 공급(SD2)되도록 하고, 전자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전원을 차단(SD3)한다.
이로 인하여, 대기 전류로 소모되는 전기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전자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플러그 삽입구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자동 차단)된 경우(PS_코드로 40), 전자 제품의 사용 종료 후 플러그 삽입구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자동 차단)된 경우(PS_코드로 41), 전자 제품을 사용 중(PS_코드로 42),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제거한 경우(PS_코드로 43), 컴퓨터(PS_코드로 44), 스마트폰(PS_코드로 45) 등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과부하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PS_코드로 46), 차단설정에 의해 차단된 경우(PS_코드로 47) 마다 관련된 신호(수구별 전원 관리와 관련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6 참조)
전원 공급선(10)과 플러그 삽입구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대기 전류 차단)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선(10)과 플러그 삽입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전원 공급선(10)에 콘센트(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연결하거나, 메인 스위치 또는 플러그 삽입구 콘센트 사용 스위치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바꾸거나,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하거나, 컴퓨터, 스마트폰, 리모콘 등으로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동안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전류를 측정하는 동안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의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의 점등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콘센트 제어부(24)가 새롭게 연결된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중임을 알게 되어 제1 발광 다이오드(LED1)가 소등될 때까지 해당 전자 제품의 사용을 자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소비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SD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전자 제품이 소비하는 전류를 모니터링 하여, 추후 해당 전자 제품의 이상 여부(누전 등)를 판별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소비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를 시작할 경우(PS_코드로 30), 대기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 중 일 경우(PS_코드로 31), 대기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를 마칠할 경우(PS_코드로 32) 마다 관련된 신호(소비 전력 측정 중임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재구동 신호가 입력되면(SE)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SA),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재구동 신호는 인체감지센서, 컴퓨터, 스마트폰, 리모콘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말한다.
즉, 상기 콘센트(20)의 플러그 삽입구(수구)가 대기 전류를 차단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방법 중 하나로 재구동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SF),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로부터 분리(전자 제품 분리)하면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는, 혹시 모를 감전 사고 또는 누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메인 스위치를 오프(OFF)시켰을 경우(PS_코드로 50), 콘센트 사용 스위치 오프(OFF)시켰을 경우(PS_코드로 51), 컴퓨터(PS_코드로 52) 또는 스마트폰(PS_코드로 53) 등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차단설정에 의해 차단된 경우(PS_코드로 54) 마다 관련된 신호(SMPS 일괄 차단과 관련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다양한 신호(PS_코드)가 생성될 수 있음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PS_코드로 다양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다양한 신호(PS_코드)는 도 7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포맷을 적용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모든 스위칭부의 상태가 비연결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되면,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콘센트를 장기간 미 사용 시 콘센트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전원까지 차단하여 소모되는 전기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의 SA 단계를, 도 9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콘센트 제어부(24)의 동작이 시작되면, 콘센트 제어부(24)는 먼저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로부터 입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A1-An)를 판독하여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A1-An)의 상태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의 전자 제품 연결 상태를 판정한다(S11). 이때,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전자 제품 연결 여부에 대한 결과를 플러그 상태 데이터로서 저장부(25)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를 비교하기 위함이며, 플러그 상태 데이터의 초기값을 비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콘센트(20)에 전원을 인가하였을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대기 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상태가 전자 제품이 연결된 상태인지 판정하여(S12), 전자 제품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콘센트 제어부(22)는 판정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현재 상태인 현재 플러그 삽입상태(즉, 전자 제품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저장부(25)에 이전 플러그 삽입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S13).
다음, 콘센트 제어부(22)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즉, 스위치(SW11, SW12)가 턴오프 상태]가 되도록 코일(L11)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제어한다(S14). 이때,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가 비연결 상태인 경우 현 상태를 유지한다.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현재 플러그 삽입상태(즉 현재 상태)가 전자 제품과 연결된 상태인 경우, 콘센트 제어부(22)는 판정된 플러그 삽입상태(즉, 전자 제품과 연결된 상태)가 저장부(25)에 저장된 이전 플러그 삽입상태(즉, 이전 상태)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16).
단계(S12)에서 판정된 현재 플러그 삽입상태가 저장부(25)에 저장된 이전 플러그 상태와 상이한 경우, 즉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이전 단계에서는 전자 제품이 연결되지 않았다가 현재 단계에서 전자 제품이 연결된 상태(신규 전자제품 연결)인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판정된 현재 플러그 삽입상태를 이전 상태로 저장부(25)에 저장(S17)할 수 있다.
다시 단계(S16)로 넘어가, 단계(S12)에서 판정된 현재 플러그 삽입상태가 저장부(25)와 저장된 이전 플러그 상태와 동일한 경우, 즉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이전 단계에서부터 현재 단계까지 전자 제품이 계속 연결되어 있는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는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로부터 재구동 신호가 입력(S19)되면 ,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를 작동시킨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재구동 신호는 상기 콘센트(20)의 플러그 삽입구(수구)가 대기 전류를 차단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신호를 말하는 것으로, 콘센트 사용 스위치(수동버튼)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하였을 경우에도 재구동 신호가 입력될 수 있으나, 스마트폰, 컴퓨터,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재구동 신호가 입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해당 릴레이(RY1-RYn)의 코일(L11)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제어하여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의 전원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인가되도록 한다(SB). 이로 인해, 해당 전자 제품으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해당 전자 제품은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8의 SB 단계를, 도 9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새롭게 연결된 전자 제품에 의해 소비되는 대기 전류를 자동으로 판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해당 릴레이(RY1-RYn)의 코일(L11)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제어하여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즉, 스위치(SW11, SW12)가 켜짐(Turn On)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러한 릴레이(RY1-RYn)의 동작 상태 역시 콘센트 상태 데이터로서 저장부(25)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해당 릴레이(RY1-RYn)의 연결 상태로 인해, 새롭게 전자 제품이 연결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 공급(SB)이 이루어진다.
이후, 대기 전류로 등록(설정)된 값이 있는지 확인(S18)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미리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대기 전류를 등록해 두고 대기 전류를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건너뛰어 전자 기기의 사용을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함이다.
도 8의 SC 단계를 도 9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B1-Bn)를 설정 시간 동안 판독(S110, S111)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값(즉, 대기 전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전류값)을 측정(산정)(S112)할 수 있고, 이를 대기 전류로 등록(저장)(S113)할 수 있다.
이때, 전류를 측정한 신호(정현파, 실효값 등)의 평균값을 대기 전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SD 단계를, 도 10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 제품에 대한 대기 전류를 자동 판정하는 동작이 완료(SC)되면, 콘센트 제어부(24)는 설정 시간 동안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B1-Bn)를 판독(S115, S116)하여 소비되는 전류값을 측정(산정)한다(S117).
다음, 콘센트 제어부(24)는 저장부(2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 시간 동안 측정된 전류값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대기 전류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D1).
측정된 전류값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대기 전류 이상인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릴레이(RY1-RYn)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원 공급이 행해져 정상적으로 전자 제품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측정된 해당 콘센트 플러그(211-21n)에 대한 소비 전류값은 콘센트 상태 데이터의 일부로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소비 전류로 등록(설정)된 값이 있는지 확인(S118)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미리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소비 전류를 등록해 두고 전자 기기의 작동 상태 또는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소비 전류로 등록(설정)된 값이 없다면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소비 전류로 등록(저장)(S119)할 수 있다.
하지만, 단계(SD1)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대기 전류보다 작으면,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품이 설정 시간 동안 동작되지 않은 미동작 상태로서 대기 전류만 소비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비동작 상태의 전자 제품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SD2)하여 전자 제품에서의 대기 전류 소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즉,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동작 상태인 경우,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비동작 상태이면,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의 대기 전류 소비를 방지하여 대기 전력 소모로 인한 전력 낭비가 방지된다.
다음, 콘센트(20)로부터 전송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전송 받은 전송 장치(30)의 동작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고로 하여 전송 장치(30)의 동작이 시작되어 전송 제어부(30)의 동작 역시 시작되면, 통신부(31)를 통해 콘센트(20)로부터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한다(S21).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콘센트(20)로부터 전송되면 전송 제어부(32)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33)에 저장한 후 정해진 시간마다 저장부(33)에 저장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통신망(60)을 거쳐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S23-S25).
상기에서 도 11을 예로 들어 정해진 시간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예를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이벤트가 발생되거나 감지된 정보가 변경되는 등(도 6 내지 도 7의 PS_ 코드 변동) 상태의 변화가 발생될 때 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 도 12을 참고로 하여, 전송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센트(2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의 동작이 시작되어 모니터링 제어부(41)가 동작되면(S30),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 장치(30)의 통신부(31)를 통해 전송 장치(30)로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1).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전송되면,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50)로 저장한다(S32).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하여(S33), 콘센트(20)의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동작 상태가 데이터 출력부(42)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대기 전류, 소비 전류, 전자 제품 연결 여부, 릴레이 동작 여부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전원 공급선 20: 콘센트
211-21n: 플러그 삽입구 221-22n: 플러그 삽입 감지부
231-23n: 전류 감지부 24: 콘센트 제어부
25, 33, 50: 저장부 RY1-RYn: 릴레이
SW21-SW2n: 콘센트 사용 스위치
30: 전송 장치 31: 전송 제어부
40: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 41: 모니터링 제어부
42: 데이터 출력부 60: 통신망

Claims (22)

  1.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해당 상태의 전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된 콘센트 제어부
    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근거로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근거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현재 소비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되어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현재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전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임을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9. 제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10. 제1항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콘센트 사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11. 제1항에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통신하는 전송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 전자 제품 연결 여부, 소비 전류값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전송 장치로 외부에 전송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12.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13. 제12항에서,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되어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14. 제13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출력 신호의 상태가 달라지는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15.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16. 제15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17. 콘센트 제어부가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전자 제품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았다가 현재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콘센트 제어부는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 이하의 상태로 일정시간 경과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동안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소비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17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재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1. 제17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제17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모든 스위칭부의 상태가 비연결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되면,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60062112A 2015-05-22 2016-05-20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 KR10187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5390 WO2016190622A1 (ko) 2015-05-22 2016-05-20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플러그 삽입 감지부, 그리고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026 2015-05-22
KR1020150072026 2015-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427A true KR20160137427A (ko) 2016-11-30
KR101871870B1 KR101871870B1 (ko) 2018-06-27

Family

ID=577072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112A KR101871870B1 (ko) 2015-05-22 2016-05-20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
KR1020160062115A KR101871878B1 (ko) 2015-05-22 2016-05-20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에 의한 유에스비 소켓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115A KR101871878B1 (ko) 2015-05-22 2016-05-20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에 의한 유에스비 소켓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2) EP3627633A2 (ko)
KR (2) KR1018718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826A (ko) * 2018-08-24 2020-03-0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콘센트 구조체
KR20200115974A (ko) * 2019-03-30 2020-10-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표시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형 콘센트
KR200493086Y1 (ko) * 2020-01-15 2021-02-01 이상기 자동 오프 멀티탭
CN113740627A (zh) * 2020-05-28 2021-12-03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测试架构及其测试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4726B1 (en) * 2016-01-05 2018-11-2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apid charg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adapter
KR102494706B1 (ko) * 2020-10-15 2023-02-06 주식회사 포휴먼테크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한 공구 대여 시스템 및 방법
KR102516082B1 (ko) * 2020-11-26 2023-03-30 임영근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한 공구 대여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830B1 (ko) * 2009-09-11 2010-07-28 김창호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콘센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77757A (ko) * 2009-12-30 2011-07-07 모든전기(주) 대기전력 절감장치
KR101069430B1 (ko) * 2011-01-14 2011-09-30 주식회사 담솔 스마트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KR101183617B1 (ko) 2012-02-02 2012-09-18 주식회사 위너스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KR20130042933A (ko) * 2011-10-19 2013-04-2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전, 과부하 및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KR101372891B1 (ko) *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알람 기능이 구현된 콘센트 장치
KR20150018152A (ko) * 2013-08-09 2015-02-23 한국전기연구원 대기전력 저감을 위한 콘센트의 웨이크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997B1 (ko) * 2010-11-26 2012-07-18 (주)에스피에스 삽입 감지용 유에스비 커넥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830B1 (ko) * 2009-09-11 2010-07-28 김창호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콘센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77757A (ko) * 2009-12-30 2011-07-07 모든전기(주) 대기전력 절감장치
KR101069430B1 (ko) * 2011-01-14 2011-09-30 주식회사 담솔 스마트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KR20130042933A (ko) * 2011-10-19 2013-04-2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전, 과부하 및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KR101183617B1 (ko) 2012-02-02 2012-09-18 주식회사 위너스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KR20150018152A (ko) * 2013-08-09 2015-02-23 한국전기연구원 대기전력 저감을 위한 콘센트의 웨이크업 장치
KR101372891B1 (ko) *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알람 기능이 구현된 콘센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826A (ko) * 2018-08-24 2020-03-0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콘센트 구조체
KR20200115974A (ko) * 2019-03-30 2020-10-0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표시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형 콘센트
KR200493086Y1 (ko) * 2020-01-15 2021-02-01 이상기 자동 오프 멀티탭
CN113740627A (zh) * 2020-05-28 2021-12-03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测试架构及其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0183A4 (en) 2019-05-08
KR20160137428A (ko) 2016-11-30
EP3300183A1 (en) 2018-03-28
KR101871878B1 (ko) 2018-06-27
KR101871870B1 (ko) 2018-06-27
EP3627633A2 (en)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870B1 (ko)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
EP2555004B1 (en) Power monitoring and management with remote access
KR101266047B1 (ko)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7913B1 (ko) 전기기기를 자동 감지하는 전원 콘센트, 이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10032070A1 (en) Wireless switching and energy management
KR101747342B1 (ko) 스마트 온도측정기
KR101183617B1 (ko)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KR20130125184A (ko) 스마트그리드 지원 지능형 절전콘센트
WO2017131371A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콘센트
KR100909790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장치
KR101764819B1 (ko)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
KR101362777B1 (ko)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장치 및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101227658B1 (ko) 누설전류 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KR101807766B1 (ko) 콘센트 전원 공급 제어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203117404U (zh) 一种双电源故障监测系统
KR101781055B1 (ko) 절전형 사물인터넷 스마트 플러그 커넥터
CN107534284B (zh) 用于能量分配的接线盒和网络
JP4866283B2 (ja) 動作保証機能付集合住宅幹線電流制御システム
KR20170113921A (ko) 콘센트 상태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70113855A (ko) 콘센트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672368B1 (ko)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콘센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멀티탭
KR101433710B1 (ko) 절전 기능을 갖는 멀티 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4449A (ko)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누전차단 시스템
CN204886137U (zh) 一种配电网变压器智能管控仪
KR101022586B1 (ko) 대기전원 차단장치를 구비한 멀티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