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90622A1 -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플러그 삽입 감지부, 그리고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 - Google Patents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플러그 삽입 감지부, 그리고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90622A1
WO2016190622A1 PCT/KR2016/005390 KR2016005390W WO2016190622A1 WO 2016190622 A1 WO2016190622 A1 WO 2016190622A1 KR 2016005390 W KR2016005390 W KR 2016005390W WO 2016190622 A1 WO2016190622 A1 WO 20161906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ug
plug insertion
state
outle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3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6190622A9 (ko
Inventor
신동환
이영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Priority to EP16797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00183A4/en
Priority to EP19208119.8A priority patent/EP3627633A2/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6211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71878B1/ko
Publication of WO20161906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90622A1/ko
Publication of WO2016190622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90622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tandby current setting and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by plug insertion, a control method thereof,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and a USB plug insertion detecting module.
  • a power outlet such as a socket, that is, a socket, inserts plugs of various electronic products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products.
  • the power connector includes only one plug insertion hole to supply power to on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as well as a plurality of plug insertion holes to supply power to one or mor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each plug insertion hole. It has a (multi-tap) form.
  • the size of the standby power is much smaller than th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when the actual electronic product is being driven, but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also increases as the number of the total products consuming standby power increases.
  • Korean Laid Open Patent [10-1183617] discloses a power strip for blocking standby power and leakage curr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standby current of the electronic product us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ut off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when the plug is insert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user or administrator to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standby power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control and monitoring operation status when each plug of the outlet.
  • the automatic standby current setting and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by plug insertion includes a plug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lug of an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and an electronic product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 a plug insertion detector for outputting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f a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whether a plug of the plug is inserted; a current detection unit outputting a current detection signal of a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lug insertion hole;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power;
  • an outlet including a switch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plug insertion ports, and an outlet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the current sensing unit, and the switching unit.
  • the outlet control unit controls the switch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port in the previous state but is inserted in the current state based on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Outputs a signal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in a connected state so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on port, and the current measured current value consumed at the plug insertion port based on a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value as the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on hole.
  •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a moving part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hole and the middle insertion hole of the plug insertion hole is installed to be movable, the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oving portion, the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portion,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tch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moving part and the contact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part to output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 the mo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rotated by the force acting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and the left and right linear movement or vertical linear movement to expose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 the switch may include a contact plate whose position changes as the moving part moves, a contact point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late to contact the contact plate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and an input terminal to which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applied;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act plate is pressed (contacted) between the contact plate and the contact point.
  •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may be located between an upper insertion hole and an intermediate insertion hole of the plug insertion hole, and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an elastic member and an outlet that may change state depending on a moving state of the moving part.
  • the upper plate and the middle plate of the through and respectively, the operation pin is lowered by the force applied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lug insertion hole, and is located below the operation pin, by the lower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tch for outputting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by changing the contact state.
  • the switch is located under the operation pin, the contact plate is changed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the contact plate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act plate, the contact contact with the contact plate by the lower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whether an input terminal to which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applied is applied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late and the contact point.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wherein the outlet control unit operates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while measuring the current value.
  • the plug insertion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B plug (USB) type is inserted into the USB plug
  • the power supply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utput from the DC power supply for supplying DC power.
  •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switch positioned adjacent to the plug insertion port to change a contact state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USB plug is inserted to output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having a corresponding state.
  • the switch may include a contact plate whose posi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USB plug, a contact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ntact plate and contact with the contact plate by the insertion of the USB plug, and an input of applying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depending on whether th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late and the contact.
  • 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wherein the outlet control unit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to indicate that power is applied to the plug insertion port so that an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on port may be used. Characterized in that.
  • the outlet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by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the outlet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so that the switching unit is disconnected.
  • the contro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on port is cut off.
  • the automatic standby current setting and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by plug inser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use switch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and the outlet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both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state by the electronic device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utlet use switch is operated by us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outlet use switch, and the outlet use switch is opera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plug insertion port from the power supply line by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and read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to read the current value detected at the plug insertion port Measured, measured before If the value exceeds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plug,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s maintained in a connected state, and if the measured current value is determined as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plug,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s controlled to be disconnected. do.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devic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control unit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wherein the outlet control unit may include a standby current for the outlet insertion port, whether an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a current consumption value, and whether the switching unit is oper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outside.
  •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the moving por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hole and the middle insertion hole of the plug insertion port, is installed to be movable, the elasticity is connected to the moving portion and the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portion And a switch positioned adjacent to the moving part to change the contact state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part to output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 the mo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rotated by the force acting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and the left and right linear movement or vertical linear movement to expose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 the switch may include a contact plate whose position changes as the moving part moves, a contact point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late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and whether the contac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int. And an output terminal whose state of the output signal varies.
  •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the moving por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hole and the middle insertion hole of the plug insertion port, the mobile unit is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the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unit
  • An elastic member, the upper plate and the middle plate of the outlet are respectively penetrated, the operation pin which is lowered by the force applied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lug insertion hole, and is located below the operation pin,
  • the contact state is changed by the lowering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tch for outputting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 the switch is a contact plate which is located below the operation pin and the position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the contact point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late by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to correspond to the contact plate, and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of a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whether an input terminal to which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applied and whether the contact plate is pressed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late and the contact point.
  • the USB plug insertion detection module includes a plug insertion hole into which a USB plug is inserted (connected) and a plug insertion hole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USB plug to change a contact state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USB plug is inserted. And a switch for outputting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wherein the switch comprises: a contact plate whose posi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USB plug; and a contact plat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ntact plate, thereby inserting the contact plate by inserting the USB plug.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whether a contact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and an input terminal to which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applied and whether the contac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late.
  • a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a standby current of an outlet by a plug insertion and controlling the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may include: a plug control unit reading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a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and then inserting the plug in a previous state.
  • the outlet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but is inserted in the current state, wherein the outlet control unit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in the previous state, bu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in the current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let control unit controls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n the connected state so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on port, the outlet control unit reads the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at the plug insertion port Measure the sensed current value And determining this as a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on port. The outlet controller compares the current measured current value with the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on port, and if the current measured current value exceeds the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on port.
  •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s maintained in the connected state, and if the current measured current value is less than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plug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s controlled in a non-connected state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shutting off the supply.
  • the outlet control unit measures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plug insertion port, and while determining it as a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 the outlet control unit may compare the current measured value with the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on hole, and if the current measured value exceeds the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on hole, read the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And measuring the current value sensed at the plug insertion hole and determining the current value for the plug insertion hole.
  •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by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disconnect the switch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plug insertion hole from the power supply line.
  • the outlet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shutting off driving power suppli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ith all the switching units in a non-connected state.
  • an automatic standby current setting and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for a socket outlet by plug insertion, a control method thereof, a plug insertion detector, and a USB plug insertion detection module may include a plug insertion hole using a plug insertion detector.
  • the standby current for the connected electronics is automatically set whenever the electronics are connected to the electronics,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 the power supply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product By blocking the current, the standby current consumed by the electronic product in the inoperative state is prevented.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outle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to 5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used in the outle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B plug insertion detection module used in the outle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code and a description thereof that can be used when transmitted between an outlet control unit and an outlet monitoring apparatus that is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utlet state data transmitted between an outlet control unit and an outlet monitoring apparatus that is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to 11 are flowcharts illustrating operations of an outlet control unit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ransmission control unit of 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outlet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outle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to 5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s used in an outle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code that can be used when transmitted between the outlet control unit and the server outlet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cription thereof
  • Figure 8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utlet state data transmitted between an outlet control unit and an outlet monitoring apparatus that is a server.
  • FIGS. 9 to 11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utlet control unit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ransmission control unit of 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of a monitoring device.
  • the automatic standby current setting and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by inserting the plug shown in FIG. 1 includes a power supply line 10 for supplying power such as commercial power, an outle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10, that is, a power connection device. 20, a transmission device 30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 an outlet monitoring device 40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device 3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60, and a connection with the outlet monitoring device 40.
  • a storage unit 50 is provided.
  • the power supply line 10 supplies power such as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220V, etc.) or DC power.
  • AC alternating current
  • DC DC power
  • the power output from the DC power supply unit may b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line 10, and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may be used as the DC power supply unit. .
  •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 the DC power supply unit supplies (outputs) the DC power available at the USB terminal.
  • the DC power supply may be used by receiving a commercial alternating current (ACV) or a DC power.
  • ACV commercial alternating current
  • a battery can be used.
  • the DC power supply unit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converts it into a power source that can be used in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plug body 100, or internally embeds a battery in the plug body 100. Can supply DC power available.
  • the power connector 2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electronic product to perform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product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plug insertion holes (211-21n) (water port),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is inserted into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s (including USB plugs)
  • a plurality of outlet use switches (SW21-SW2n) A plurality of outlet use switches (SW21-SW2n), a main switch capable of blocking electrical connection of all plug insertion holes (211-21n), and a plurality of plug insertion detection parts (221) connected to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 a plurality of relays i.e., a plurality of switching units
  • RY1-RY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10 and each plug plug insertion hole 211-21n,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and each plug insertion hole
  • a plurality of current sensing units 231-23n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the storage unit 25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the plurality of operation state display units 261-26n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and the outlet control unit 24.
  • the communication unit 27 which is present can be provided.
  •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on holes 211-21n may further include a main switch (not shown) that may cut off power.
  •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on ports 211-21n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10 through the respective relays RY1-RYn and ar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o be applied to the power supply line 10. To supply.
  •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lug insertion holes (211-21n),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only one plug insertion hole. In this case, the number of each of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the current sensing unit relay, and the outlet use switch may also correspond to one plug insertion hole.
  • the plurality of outlet use switches SW21-SW2n are switches operated by a user to use an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211-21n.
  • SW21-SW2n is operated to output the signal of the state to the outlet control section 24.
  • the outlet control unit 24 determines whether the outlet use switch SW21-SW2n is in an operating state by using a state of a signal applied from the outlet use switches SW21-SW2n.
  • the outlet control unit 24 When the outlet use switch SW21-SW2n is determined to be in an operating state, the outlet control unit 24 operates the relay RY1-RY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port 211-21n to connect the corresponding plug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 the power supply to the insertion holes 211-21n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can be performed.
  •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s 221-22n have the same structure, and detect whether or not a plug of an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g insertion openings 211-21n to detect a corresponding state signal A1-An.
  •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on detectors 221-22n are installed in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 Each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221-22n may change the state of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221-22n by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when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opening 211-21n.
  •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detection portion 221-22n is changed to an initial state and is different from the first state.
  • the outlet control unit 24 uses the state of the detection signal A1-An input from each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221-22n to insert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n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port 211-21n. Can be determined.
  • the power connector 20 includes a plug body insertion groove H11 into which a plug body 100 in which a plug 110 of an electronic product is formed is inserted, and a plug 110 of an electronic product.
  • the upper plate 1a is formed below the upper plate 1a and the upper plate 1a to be inserted into the vehicle, and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221-22n and the middle inserting hole MH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inserting hole TH.
  • An intermediate plate 1b, and a lower plate 1c disposed below the intermediate plate 1b and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insertion hole MH, and having a lower insertion hole BH on which the power supply line 10 is located.
  • the upper insertion hole TH, the middle insertion hole MH, and the lower insertion hole BH of the socket 2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form one plug insertion hole 211-21n, and the plug 110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the upper insertion hole.
  • TH the middle insertion hole
  • MH middle insertion hole
  • BH lower insertion hole
  • Each plug insertion detecting portion 221-22n is formed to correspond to one plug insertion hole 211-21n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2, in the seating groove H12 located in the intermediate plate 1b. It is installed.
  • the plug insertion detectors 221-22n are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21 and the moving part 21 which are positioned under the upper insertion hole TH and are movable (rotable). It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member 22 whose state changes with the moving state (for example, rotational state) of the moving part 21, and the switch 23 whose contact state changes with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part 21 is provided.
  • the moving part 21 has a pair of blocking plates 21b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about the insertion hole 21a and the insertion hole 21a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P11 protruding from the seating groove H12. It can be provided.
  • a pin (not shown)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P11 to prevent the moving part 21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P11 from being separated.
  •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block the middle insertion hole MH located at the bottom thereof.
  • the elastic member 22 is positioned between one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and the mounting groove H12, and is compressed or released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blocking plate 21b is rotated.
  • the switch 23 is located adjacent to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and is like a plate spring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a physical force appli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 Contact 23b having elastic force and contact 23b positioned corresponding to contact plate 23a and contacting or releasing contact with contact plate 23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contact plate 23a, corresponding size Is applied to the common terminal COM, an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23b is applied according to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23b.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contact the common terminal COM or release the contact state.
  • the common terminal COM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or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power terminal.
  • the common terminal COM contacts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second The contact terminal 23 is not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OUT2.
  • the common terminal COM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Rather of being in contact with OUT2,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is not in contact with the outlet control unit 24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Will be printed.
  •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TH,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through the upper insertion hole TH.
  •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tinuously inserted in this state,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exerts a physical force on 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which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he elastic member is caused by the physical force.
  • the state of the 22 is changed from the initial state to the compressed state so that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22 is formed around the projection P11 (eg, the A direction).
  • the plugs of the electronic products are respectively blocked by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by moving the blocking plates 21b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 while moving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inserted into the exposed intermediate insertion hole MH and then penetrated and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hole BH.
  • the blocking plate 21b rotates.
  •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is pushed toward the contact 23b so that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23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common terminal CO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state of the signal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becomes the first state. And output as detection signals A1-An of the state.
  • the common terminal CO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 the state of the signal becomes the second state and is output as the detection signals A1-An of the state.
  • FIG. 3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each of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s 221-22n is illustrated in FIG. 3.
  •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s 221-22n shown in FIG. 3 are also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mounting grooves H12 of the intermediate plate 1b, located under the upper insertion hole TH, and moveable (
  • the elastic member 22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movable portion 21x, the movable portion 21x and the mounting groove H12, and whose stat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able portion 21x,
  • the switch 23 which changes a contact state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part 21 is provided.
  • the moving part 21x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21xa and an insertion hole 21xa which ar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P12 protruding from the seating groove H12, facing each other, and being positioned at opposite sides and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termediate insertion hole MH. ) Is provided with a pair of blocking plates 21xb that respectively block.
  • the moving part 21x shown in FIG. 3 is a linear direction (e.g., left and right direction B) instead of the rotation direction A due to the plugg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 Whereby the inclined directions of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xb become the same direction (i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switch 23 is located).
  • the insertion hole 21a has a circular planar shape
  • the insertion hole 21xa of FIG. 3 has a substantially elliptical planar shape formed long in a moving linear direction.
  • the moving portion 21x moves toward the switch 23. It moves linearly and exerts a force on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and makes the contact plate 23a contact the contact 23b.
  •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plate 21xb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2 to release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23b.
  • the plug insertion detectors 221-22n shown in FIG. 4 are also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insertion hole TH and are movable parts 21y and movable parts ( The elastic member 22 positioned between 21y and the mounting groove H12 and whose stat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part 21y, and the switch 23 whose contact stat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part 21y. It is provided.
  •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21y is also a linear direction, not a rotational direction.
  •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21y of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parts 221-22n shown in FIG. 4 is a straight line direction (eg, front and rear direction C) that crosses the moving direction B of FIG. 3. .
  • the moving part 21y is position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21ya and the center 21ya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22, and a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insertion hole TH and the middle insertion hole MH. And a pair of blocking plates 21yb positioned correspondingly to and closing the intermediate insertion holes MH.
  • the surfaces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yb also have inclined surfaces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inclined directions are in the same direction, i.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switch 23 is located.
  • the moving portion 21y is straight toward the switch 23. It is moved to apply a force to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to contact the contact plate 23a to the contact 23b, and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pulled out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2 ( The position of 21yb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to release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23b.
  • the plug insertion detectors 221-22n illustrated in FIGS. 3 and 4 are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FIG. 2, so that the movement directions of the moving units 21x and 21y and the movements of the moving units 21x and 21y are different.
  •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except that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surfaces of the blocking plates 21xb and 21yb for different is different.
  • the plug insertion detectors 221-22n shown in FIG. 5 are located on the intermediate plate 1b and operate on the same principle as shown in FIG. 2, the movable part 21, the elastic member 22, and the switch 23. ).
  • the moving part 21 has a pair of blocking plates 21b which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ortion P11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seating groove H12 and centered on the protruding portion P11. The rotation is mad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D).
  • the plug 110 of the plug body 100 when the plug 110 of the plug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TH to apply a physical force to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the plug 110 of the plug body 100 may be mov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bout the protrusion pin P11). D) is rotated to open the middle insertion hole (MH)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21b), the plug 110 is inserted into the open intermediate insertion hole (MH) and the shovel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hole (BH). To help.
  • the moving part 21 returns to an initial position by blocking the intermediate insertion hole MH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2. .
  • the switch 23 is located below the moving part 21 instead of being located at the side of the moving part 21.
  •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portions 221-22n have through holes H21 formed in the plug body insertion groove H11 of the upper plate 1a and through holes H22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H12 of the intermediate plate 1b. It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pin (MP11) that is inserted into.
  • the elastic member MS11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operation pin MP11.
  • the operating pin MP11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H21, ie, penetrates the upper plate 1a to protrude out of the plug body insertion groove H11,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H22, that is, the intermediate plate. It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located below by passing through 1b.
  • the plug 111 when the plug 111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TH) of the plug body insertion groove (H11),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pin (MP11)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H21) is in contact with the plug body 100, the plug The operating pin MP11 itself moves downward by the force applied by the main body 100.
  •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pin MP11 presses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positioned below the contact pin 23a to contact the contact 23b.
  •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23b is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of the signal of the state, so that the plug 110 can be recognized. .
  • the intermediate plate 1b having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221-22n inserts the insertion hole H31 into the insertion pin CP11 located at the upper plate 1a, and between the upper plate 1a and the lower plate 1c. It is fixedly installed.
  • the switch 23 is a three-terminal switch having one input terminal COM and two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but is not limited thereto, such as having one input terminal and one output terminal. Other types of switches can be used.
  •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s 221-22n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to change the contact state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plug main body 100 is inserted. It may include a switch 23 for outputting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f.
  • USB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and the switch is pressed.
  • the plug insertion detectors 221-22n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but one example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plug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plug (wiring) 111 in accordance with the type.
  • FIG. 6 five plugs 111 are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four wires are possible, and for the mini or micro type, five wires are also possible. Of course it is possible.
  • Each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221-22n is mounted to correspond to one plug insertion hole 211-21n as described above.
  • the plug insertion detectors 221-22n may be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such as to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plug insertion port (211-21n).
  • the switch 23 is located adjacent to th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and the elastic force is changed like a plate spring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the physical force that the USB plug is fitted to th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 a contact 23b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plate 23a and contacting the contact plate 23a or releasing the contact s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state of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size. (Eg, 5V) is applied and the common terminal COM whose connection stat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23b and the common state according to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23b.
  •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ar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COM or the contact state is released.
  • the common terminal COM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troller 24 or a separate power terminal.
  • the common terminal COM contacts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second The contact terminal 23 is not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OUT2.
  • the plug is removed from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when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23b is released, the common terminal COM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 Instead of contacting OUT2,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is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ignal of the state (first state or second state)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to the terminal controller 24. Will be printed.
  • the common terminal CO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state of the signal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becomes the first state. And output as detection signals A1-An of the state.
  • the common terminal CO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 the state of the signal becomes the second state and is output as the detection signals A1-An of the state.
  • the switch 23 is a three-terminal switch having one input terminal COM and two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s one input terminal and one output terminal.
  • Other types of switches may be used, such as.
  • the plurality of current detectors 231-23n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to detect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so as to detec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mount of current ( Outputs B1-Bn) to the outlet control section 24,
  • the outlet control unit 24 measures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at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using the detection signals B1-Bn applied from the plurality of current detection units 231-23n. .
  • the plurality of relays RY1-RYn all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re located between the outlet control section 24 and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ports 241-24n.
  • Each of the relays RY1-RYn changes its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outlet control unit 24 to determine whether to supply power (that is, power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10)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To control.
  • Each of the relays RY1-RYn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coil L11 and the power supply line 10, respectively, which are grounded, and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211. -21n), the switches SW11 and SW12 having the other terminals connected thereto.
  • the power supply to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home appliance, a server, a power supply, or the like connected by using a plug to a plug insertion hole 241-24n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through a corresponding relay RY1-RYn.
  • Supply is made to ensure that each corresponding action is taken.
  • the outlet control unit 24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211-.
  •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s measured by using the corresponding sensing signals B1-Bn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s 231-23n connected to the 21n) to determine the standby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Determine the size.
  • the storage unit 25 stores a magnitude of the standby current connected to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as a memory, and store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outlet control unit 24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It may be provided in the outlet.
  • the storage unit 25 may be located inside the outlet control unit 22 unlike in FIG. 1.
  • the plurality of operation state display units 261-26n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and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outlet control unit 24 to control the state of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Notify external users.
  • the plurality of operation state display units 261-26n have the same structure, and each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261-26n is connected between the outlet control unit 24 and the ground and has different light (for example, red, yellow). And light emitting diodes (LED1, LED2) emitting green, blue, and the like.
  •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261 may indicate that the standby current of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is measured (for example, green),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262 may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 a stat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blue) so that an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211-21n may be used.
  • a third light emitting diode may be further provided to display a state in which the standby current is cut off (for example, red), and a fourth light emitting diode may be further included to indicate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in operation (for example, yellow). have.
  • the communication unit 27 controls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ssion device 30 a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ssion device 30.
  • the communication unit 27 controls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with the transmission device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control other wired type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 the transmission device 3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 for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 a transmission control unit 32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31, and a storage unit 33 connected with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2.
  • the communication unit 31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PLC like the communication unit 27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
  •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2 stores the socket state data which is an operation state of each plug insertion port 211-21n, the relays RY1-RYn, and the current detection unit 231-23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 And when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or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is changed, the outlet monitoring is performed. Transmit to device 40.
  • the storage unit 33 may store the outlet state data and may be located insid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2 unlike FIG. 1.
  • the outlet monitoring device 40 includes a monitoring control unit 41 and a data output unit 42 connected to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 the outlet monitoring device 40 may be a smart phone, a server, a computer such as a notebook or a personal computer.
  •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may determine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 by using the outlet stat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device 30.
  •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Since the outlet status data includes standby current for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current consumption value, and operation of the relays RY1-RYn,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transmits the outlet. Status data is output to the data output section 42 so that the statuses of the respective plug insertion ports 211-21n and the relays RY1-RYn can be determined.
  • the data output unit 42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power connector 20 is controlled by the monitoring controller 41. Displays the operation status of.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the storage unit 50 may include a memory or a database. When the storage unit 50 includes a memory, the storage unit 50 may be embedded in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code that can be used when it is transmitted between the outlet control unit 24 and the outlet monitoring apparatus 40 serving as a server and a description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7 shows a code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 a large category is named P_ code
  • a small category is named S_ code
  • both are described as PS_ codes.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utlet state data transmitted between an outlet control unit 24 and an outlet monitoring apparatus 40 serving as a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8 shows an example of a data format transmitted along with other information including P_Code and S_Code of FIG. 7.
  •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of the outlet monitoring device 40 transmits the transmitted outlet state data to the storage unit 50. Storing, and outputting the transmitted outlet state data to the data output unit 42 (S33), the operation state of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of the power connector 20, of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the accumulated consumption current amount, the operation state of each relay RY1-RYn,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on the data output unit 42.
  • the manager uses the outlet state data outputted to the data output unit 42 to determine whether the respectiv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are operated, the consumption current amount and the cumulative consumption current amount of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and the electronics. You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product is connected or relayed.
  • the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power connector 20 and the outlet monitoring device 40 is via the transmission device 30, but in the alternative example does not have a separate transmission device 30, the power connector (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 may communicate with the outlet monitoring device 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7 of 20.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0 of the transmission device 30 is performed by the outlet control unit 24.
  • the hysteresis process such as the plug insertion detector operation process, the current sensor recognition process, the relay operation process, the user display unit operation process, the switch operation process, and the power meter amount.
  • each outlet outlet is also independently generated the same type of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water-by-water monitoring is possible.
  • the automatic standby current setting and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of an outlet by inserting a plug further includes a bandpass filter of a specific frequency (eg, 58 to 62 Hz), wherein the bandpass filter is connected to the outlet.
  • a bandpass filter of a specific frequency eg, 58 to 62 Hz
  • the bandpass filter is connected to the outlet.
  •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use swit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connected in series) so as to control to flow only a current of a specific frequency (for example, 58 ⁇ 62 Hz). This is to remove unnecessary noise when measuring current.
  • the bandpass filter can be combined with a connection (connecting such that only the bandpass filter is disconnected by a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bandpass filter can be started and stopped as needed.
  • stopping the bandpass filter means controll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utlet use switch without removing noise, and enabling the bandpass filter means operating a specific frequency band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utlet use switch (eg, , 58 ⁇ 62 Hz) means to control the current.
  • the band pass filter may be operated by measuring the standby current.
  • the standby current is a relatively small value, so that the measurement reliability due to noise is reduced, thereby eliminating unnecessary noise in the standby current measurement to increase the standby current measurement reliability.
  • a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so that the outlet control unit 24 is applied.
  • the outlet control unit 24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10 by an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power supply unit 10 or by a command (cord or the like) to supply power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 At least one direct current (DC)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nector 20 (operation of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the current detecting unit, the switching unit, and the outlet control unit) by using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connected to the direct current) is supplied with driving power from the outlet control unit 24 from a DC power supply (not shown) for outputting power.
  • DC direct current
  • a command (cord, etc.) to supply power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may include a human body sensor (not shown), a main switch (not shown) that can cut off the power of the entir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Can be created by phone, remote control, etc.
  • the outlet control unit is driven by a command (cord or the lik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wer connector 20 to the power supply line 10 or supply power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 the outlet control unit reads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opening in the previous state and then is inserted in the current state (SA). .
  • the outlet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in the previous state bu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in the current state
  • the outlet control unit controls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to be in a connected state from the power supply line.
  • a step (SB) of supplying power to the plug insertion hole is performed.
  • the outlet control unit controls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por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outlet use switch (manual button) is chang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PS_ code) 10),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11 to PS_ code), using a smartphone (12 to PS_ code), computer (13 to PS_ code), etc. Can generate a power supply command (see FIG. 7).
  • the outlet control unit reads a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measures a current value detected at the plug insertion opening, and determines it as a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on opening (SC).
  • the measured current value can be determined as the standby current. This i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when the standby current (the electronic product is turned off) is determined later.
  • the measured current value may mean an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PS_code may output an associated signal (signal indicating that standby power is being measured) for each 22) (see FIG. 7).
  • the outlet control unit compares the current measured current value with the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on hole (SD1), and if the current measured current value exceeds the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on hole, maintains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n the connected state. If the current measured value is less than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plug for a predetermined time,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to be disconnected to cut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on port (SD2) ( SD).
  •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lug insertion hole is measured (SD1) so that power is supplied (SD2) when the electronic product is in use, and the power is cut off (SD3) when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used.
  • the power supply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10 in order to change the power supply line 10 and the plug insertion hole to the state in which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20) electrically connected, plug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nto the plug inlet, or switch the main switch or plug inlet outlet switch from OFF to ON, using a human body sensor You can use your computer, smartphone, remote control, and more for remote control.
  • the outlet control unit may measure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plug insertion port, and operate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while determining it as a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on port.
  •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LED1 of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s 261-26n may be turned on while measuring the standby current.
  • the user knows that the outlet controller 24 is performing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standby current value of the newly connected electronic product, and thus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LED1 is turned off. Until the use of such electronic products will be refrained.
  • the outlet control unit compares the current measured current value with the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on port, and if the current measured current value exceeds the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on port, reads the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to th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plug insertion hole and determining it as the current consumption for the plug insertion hole (SD3).
  • the PS_code may output an associated signal (a signal indicating that power consumption is being measured) every 32) (see FIG. 7).
  •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s controlled in a connected state so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on port (SA), and the current measured value of the plug insertion port is It may be characterized by proceeding sequentially from the step of comparing with the standby current.
  • the re-drive signal refers to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sing a device, such as a human body sensor, a computer, a smart phone, a remote control.
  • the control unit when the outlet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by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SF),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so as to output the switching unit.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power to be disconnected so that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on hole is cut off.
  •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removed from the plug insertion hole (separating the electronic product), the power supplied to the plug insertion hole can be cut off. This can prevent an unexpected electric shock or an electric leakage accident in advance.
  • a related signal (signal related to the SMPS cut-off) can be output for each cut-off by the cutoff setting (54 with the PS_ code) (see FIG. 7).
  • PS_codes may be generated with reference to FIG. 7,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applications may be made to the PS_codes.
  • various signals PS_codes may transmit information by applying a data format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as illustrated in FIG. 8.
  • the outlet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blocking driving power suppli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ith all the switching units in a non-connected state.
  • the outlet control unit 24 When the operation of the outlet control unit 24 is started, the outlet control unit 24 first reads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s A1-An input from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s 221-22n to insert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A1.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n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using the state of -An), and it determines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ion state of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 (S11). In this case, a result of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as plug state data. This is to compare the current state with the previous state of each plug insertion port (211-21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initial value of the plug state data to the unconnected state. This is to allow the standby current to be measured normally even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connector 2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 the outlet control unit 22 is the current of the determined plug insertion hole (211-21n)
  • the current plug insertion state (that is, the state no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which is a stat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as a previous plug insertion state (S13).
  • the outlet control unit 22 turn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relay RY1-RY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into a non-connected state (that is, the switches SW11 and SW12 are turned off). Control the state of the signal applied to (S14). At this time, if the state of the relay (RY1-RYn)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on port (211-21n) is in a non-connected state, the current state is maintained.
  • the outlet control unit 22 determines that the determined plug insertion state (ie, connected with the electronic produc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ame as the previous plug insertion state (that is, the previous state) stored in 25 (S16).
  • the outlet control unit 24 may store the determined current plug insertion state in the storage unit 25 as a previous state (S17).
  • step S12 If the current plug insertion state determined in step S12 is the same as the previous plug state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25, that is, from the previous step to the current step in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port 211-21n.
  • the outlet control unit 24 receives the re-drive signal from the outlet use switch SW21-SW2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211-21n (S19), and then the outlet control unit 24.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operated the outlet use switch (SW21-SW2n) to operate th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on port (211-21n).
  • the re-drive signal refers to a signal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in a state where the plug insertion port (water outlet)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 cuts off the standby current, and uses an outlet switch (manual button). ) May be input even when the switch is chang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 the restart signal may be input using a smartphone, a computer,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 the outlet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state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coil L11 of the corresponding relay RY1-RY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211-21n to connect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relay RY1-RYn.
  •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SB).
  • SB plug insertion holes 211-21n
  • the operation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standby current consumed by the newly connected electronic product may be performed.
  • the outlet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state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coil L11 of the corresponding relay RY1-RY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211-21n to connect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relay RY1-RYn.
  • the state that is, the switches SW11 and SW12 are turned on
  •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ays RY1 to RYn may als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as the outlet state data.
  • the power supply SB is made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openings 211-21n to which electronic products are newly connected.
  • the outlet control unit 24 reads the current detection signals B1-Bn applied from the current detection units 231-23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for a predetermined time (S110, S111).
  • the current value consumed at th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that is, the current value to be used for measuring the standby current) can be measured (calculated) (S112), and this can be registered (stored) as the standby current (S113). .
  • the average value of the signal (sinusoidal wave, RMS value, etc.) measuring the current can be determined as the standby current.
  • the outlet control unit 24 detects the current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231-23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211-21n for a set time.
  • the signals B1-Bn are read (S115, S116) to measure (calculate) the current value consumed (S117).
  • the outlet controller 24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value measured during the set time is greater than the standby current for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by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SD1).
  • the outlet control unit 24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is operating.
  • the outlet control unit 24 uses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relays RY1 to RYn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relays RY1 to RYn in a connected state, and thus, the plug insertion port 211-to the power supply line 10. 21n),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allow norma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values for the corresponding outlet plugs 211-21n may be stored as part of the outlet state data.
  • the current consumption S118
  • step SD1 if the current value measured in step SD1 is smaller than the standby current, the outlet control section 24 waits for a non-operation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211-21n are not operated for a set time. Judging by the current consumption only.
  • the outlet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state of the relays RY1-RY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ports 211-21n to be in a non-connected state, so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to the electronic product in an inoperative state.
  • Blocking (SD2) to prevent the standby current consumption in the electronic products.
  • the state of the relay RY1-RYn is controlled to be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on hole 211-21n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Allow the furnace to be powered.
  • the state of the relays RY1-RYn is controlled to be in a non-connected stat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Power consumption due to standby power consumption is prevented by preventing standby current consumption at the plug insertion holes 211-21n.
  •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2 stores the transmitted outlet state data in the storage unit 33 and stores the outlet stat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 at a predetermined time in a communication network ( 60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let monitoring device 40 (S23-S25).
  •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transmits the outlet state data to the transmission device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of the transmission device 30. It is determined whether is transmitted (S31).
  •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stores the transmitted outlet state data in the storage unit 50 (S32).
  •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outputs the transmitted outlet state data to the data output unit 42 (S33),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each plug insertion hole 211-21n of the power connection device 20 is the data output unit. (42).
  • the manager quickly and accurately grasps the standby current, the consumption current,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whether the relay is operated by using the socket state data output to the data output unit 42. d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플러그 삽입구, 전자 제품이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해당 상태의 전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스위칭부, 그리고 콘센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콘센트 제어부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에서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부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현재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플러그 삽입 감지부, 그리고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
본 발명은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플러그 삽입 감지부, 그리고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concent) 즉, 소켓(socket)과 같은 전원 연결장치는 각종 전자 제품의 플러그(plug)가 삽입되어 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연결장치는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만을 구비하여 하나의 전기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가 구비되어 있어 각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자 제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 탭(multi-tap) 형태를 갖고 있다.
전원 연결 장치의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전자 제품을 구동하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 전자 제품의 동작 준비를 위해 소비되는 대기 전력(standby power)이 발생한다.
이러한 대기 전력의 크기는 실제 전자 제품이 구동 중일 때 발생하는 소비 전력보다 훨씬 작은 값을 갖고 있지만, 대기 전력을 소비하는 전제 제품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 역시 증가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대기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자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일일이 해당 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에서 탈거하거나 전원 연결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공급 스위치를 오프시켜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대기 전력 소모 방지 기능을 갖는 전원 연결 장치일 경우, 사용자는 제공되는 사용 설명서를 숙지한 후 수동 동작을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의 크기를 입력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 원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의 크기 입력 동작이 매우 복잡하므로 일반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는 전자 제품이 변경될 때마다 매번 사용자는 대기 전력의 크기 입력 동작을 행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유발되어 이용률이 크게 감소한다.
한국공개특허 [10-1183617]에서는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10-1183617](등록일자: 2012년09월11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의 크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 삽입시 콘센트의 대기 전류를 자동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의 각 플러그 삽입 시 대기 전력 자동 셋팅과 자동 제어 및 모니터링 동작 상태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해당 상태의 전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된 콘센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근거로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근거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현재 소비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되어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현재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삽입구는 유에스비 플러그가 삽입되는 유에스비(USB)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원 공급선은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의 삽입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전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임을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콘센트 사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통신하는 전송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 전자 제품 연결 여부, 소비 전류값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전송 장치로 외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되어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출력 신호의 상태가 달라지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은, 유에스비(USB) 플러그가 삽입(연결)되는 플러그 삽입구, 그리고 플러그 삽입구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의 삽입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콘센트 제어부가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전자 제품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았다가 현재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콘센트 제어부는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 이하의 상태로 일정시간 경과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동안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소비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재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모든 스위칭부의 상태가 비연결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되면,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플러그 삽입 감지부, 그리고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에 의하면, 플러그 삽입 감지부를 이용하여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연결될 때마다 연결된 전자 제품에 대한 대기 전류가 자동 셋팅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소비전류값과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대기 전류를 비교하여,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전자 제품이 비동작 상태인 경우, 전자 제품으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비동작 상태의 전자 제품에 의해 소비되는 대기 전류를 방지한다.
더욱이, 전자 제품에 연결되지 않은 플러그 삽입구로 인가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플러그 삽입구에 의해 소비되는 대기 전류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정 내의 기존 전원선과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으로 전자제품의 소비 전류값과 대기 전류값을 측정하여 제어하고 모니터링 한다.
또한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장부에 전류값을 전송하고, 소비자가 전력을 판단할 수 있도록 콘센트 상태 모니터링 및 이를 바탕으로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자발적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감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감시 시스템에 사용된 플러그 삽입 감지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감시 시스템에 사용된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 간에 전송될 때 사용 가능한 전송 코드 및 이에 대한 설명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 간에 전송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콘센트 제어부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의 전송 제어부에 대한 동작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감시 시스템에 사용된 플러그 삽입 감지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 간에 전송될 때 사용 가능한 전송 코드 및 이에 대한 설명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 간에 전송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콘센트 제어부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의 전송 제어부에 대한 동작순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상용 전원과 같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10), 전원 공급선(10)에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 즉, 전원 연결장치(20), 전원 연결장치(20)와 연결되어 있는 전송 장치(30), 통신망(60)을 통해 전송 장치(30)와 연결되는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 그리고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50)를 구비한다.
전원 공급선(10)은 상용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전원(220V 등)이나 직류 전원 등과 같은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전원 공급선(10)으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직류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선(10)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직류전원공급부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직류전원공급부는 유에스비 단자에서 사용 가능한 직류전원을 공급(출력)한다.
이때, 상기 직류전원공급부는 상용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전원(220V 등)이나 직류 전원 등을 입력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직류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플러그 본체(1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거나,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내장하여 플러그 본체(100)에서 사용 가능한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연결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제품과 연결되어,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원 연결장치(20)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유에스비(USB) 플러그 포함)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수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 모든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메인 스위치,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전원 공급선(10)과 각 플러그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복수의 릴레이(즉, 복수의 스위칭부)(RY1-RYn),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와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각 릴레이(RY1-RYn)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 복수의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 및 복수의 릴레이(RY1-RYn)에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 제어부(24), 콘센트 제어부(24)에 연결되어있는 저장부(25), 콘센트 제어부(24)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 그리고 콘센트 제어부(24)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 전체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는 메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각 해당 릴레이(RY1-RYn)를 통하여 전원 공급선(10)과 연결되어 자신에게 삽입되어 있는 전자 제품으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본 예에서 전원 연결장치(20)는 복수 개의 플러그 삽입구(211-21n)를 구비하고 있지만, 한 개의 플러그 삽입구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런 경우, 플러그 삽입 감지부, 전류 감지부 릴레이 및 콘센트 사용 스위치 각각의 개수 역시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되게 한 개가 된다.
복수의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로서, 사용자는 해당 전자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를 동작시켜 해당 상태의 신호를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한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가 동작 상태인지 판단한다.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가 동작 상태로 판단되면, 콘센트 제어부(24)는 대응되는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릴레이(RY1-RYn)를 동작시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n)를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한다.
따라서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전원 연결장치(20)에 설치되어 있다.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연결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면 전자 제품의 삽입 동작에 의해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상태가 변하여 각 출력 단자(OUT1, OUT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가 변해 해당 상태[예, OUT1= 1', OUT2 ='0'(제1 상태)]의 감지 신호(A1-An)를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하게 된다.
반대로 플러그 삽입부(211-21n)에 삽입되어 있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뽑히게 되면 해당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상태는 초기 상태로 변하여 제1 상태와는 다른 상태[예, OUT1= '1', OUT2 ='0'(제2 상태)]의 감지 신호(A1-An)를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콘센트 제어부(24)는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A1-An)의 상태를 이용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다양한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2를 참고로 하면, 전원 연결장치(20)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110)가 형성된 플러그 본체(100)가 삽입되는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과 전자 제품의 플러그(110)가 1차로 삽입되는 상부 삽입구(TH)가 형성되어 있는 상판(1a), 상판(1a)아래에 위치하고 상부 삽입구(TH)에 대응되게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와 중간 삽입구(MH)가 위치하는 중간판(1b), 그리고 중간판(1b)에 하부에 위치하고 중간 삽입구(MH)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전원공급선(10)이 위치하는 하부 삽입구(BH)를 구비한 하판(1c)을 구비한다.
따라서 서로 대응하는 소켓(20)의 상부 삽입구(TH), 중간 삽입구(MH) 및 하부 삽입구(BH)는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를 형성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110)는 상부 삽입구(TH), 중간 삽입구(MH) 및 하부 삽입구(BH)를 차례로 관통하여 하부 삽입구(BH)에 위치한 전원 공급선(10)에 연결된다.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중간판(1b)에 위치한 안착홈(H12)에 장착되어 있다.
도 2를 참고로 하면,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상부 삽입구(TH) 하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회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는 이동부(21), 이동부(21)에 연결되어 있고 이동부(21)의 이동 상태(예, 회전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22), 그리고 이동부(21)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는 스위치(23)를 구비한다.
이동부(21)는 안착홈(H12)에 돌출되는 돌출부(P11)에 삽입되는 삽입홀(21a), 삽입홀(21a)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편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막음판(21b)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P11)에는 핀(pin)(도시하지 않음) 등이 삽입되어 돌출부(P11)에 삽입된 이동부(2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 쌍의 막음판(21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하부에 위치한 중간 삽입구(MH)를 각각 막고 있다.
탄성 부재(22)는 한 쌍의 막음판(21b) 중 하나와 장착홈(H12)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막음판(21b)의 회전 여부에 따라 압축되거나 압축 상태가 해제된다.
스위치(23)는 한 쌍의 막음판(21b)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고, 한 쌍의 막음판(21b)의 회전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위치가 변하는 판 스프링(plate spring)과 같이 탄성력을 갖고 있는 접촉판(23a), 접촉판(23a)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접촉판(23a)의 위치 상태에 따라 접촉판(23a)과 접촉하거나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 접점(23b), 해당 크기의 전압(예, 5V)이 인가되고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에 따라 연결 상태가 변하는 공통 단자(COM), 그리고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에 따라 공통 단자(COM)와 접촉하거나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를 구비한다.
이때, 공통 단자(COM)는 콘센트 제어부(24)와 연결되거나 별도의 전원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삽입되면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가 되면 공통 단자(COM)는 제1 출력 단자(OUT1)와 접촉하고 제2 출력 단자(OUT2)와는 비접촉되며, 반대로 플러그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부터 제거되면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공통 단자(COM)는 제2 출력 단자(OUT2)와 접촉하는 대신 제1 출력 단자(OUT1)와는 비접촉하게 되어, 해당 상태(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신호를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플러그 삽입 갑지부(221-22n)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부 삽입구(TH)로 삽입되면 상부 삽입구(TH)를 관통하여 한 쌍의 막음판(21b)의 표면에 접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계속 삽입되면, 전자 제품의 플러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한 쌍의 막음판(21b)의 각 경사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탄성 부재(22)의 상태는 초기 상태에서 압축 상태로 변하게 되어 한 쌍의 막음판(21)은 돌출부(P11)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 부재(22)가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예, A 방향).
이로 인해, 전자 제품의 플러그는 한 쌍의 막음판(21b)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막음판(21b)을 해당 방향(A)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막음판(21b)에 의해 각각 막혀 있는 중간 삽입구(MH)를 노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는 노출된 중간 삽입구(MH)로 삽입된 후 관통하여 하부 삽입구(BH)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자 제품의 플러그 삽입 동작에 의해 한 쌍의 막음판(21b)의 회전 상태가 최대가 되면 즉,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중간 삽입구(MH)에 완전히 삽입되면, 회전하는 막음판(21b)에 의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이 접점(23b) 쪽으로 밀리게 되어 접촉판(23a)과 접점(23b)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판(23a)과 접점(23b)이 접촉하게 되면, 공통 단자(COM)은 제1 출력 단자(OUT1)와 접하게 되어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는 제1 상태로 되어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n)로서 출력된다.
이런 상태에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빠지게 되면, 탄성 부재(22)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이 해제되므로 탄성 부재(22)의 압축 상태는 해제되어 탄성 부재(22)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고, 이러한 탄성 부재(22)의 복원 동작에 의해 한 쌍의 막음판(21b)이 위치 역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중간 삽입구(MH)를 막게 된다.
이렇게 한 쌍의 막음판(21b)의 위치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면, 막음판(21b)에 의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 역시 해제되어 접촉판(23a)의 상태 역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접촉판(23a)과 접점(23b)간의 접촉은 해제된다.
이러한 접촉판(23a)과 접점(23b)간의 접촉 해제에 의해 공통 단자(COM)은 제1 출력 단자(OUT1)에서 제2 출력 단자(OUT2)과 접하게 되어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는 제2 상태로 되어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n)로서 출력된다.
이러한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구조에 대한 다른 예는 도 3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 3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역시 중간판(1b)의 해당 장착홈(H12)에 위치하고, 상부 삽입구(TH) 하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예, 직선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는 이동부(21x), 이동부(21x)와 장착홈(H12)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부(21x)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22), 그리고 이동부(21)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는 스위치(23)를 구비한다.
이동부(21x)는 안착홈(H12)에 돌출되는 돌출부(P12)에 삽입되는 삽입홀(21xa), 삽입홀(21xa)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고 반대편에 위치하고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중간 삽입구(MH)를 각각 막고 있는 한 쌍의 막음판(21xb)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이동부(21)와 달리, 도 3에 도시한 이동부(21x)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의 삽입 동작에 의해 회전 방향(A)이 아닌 직선 방향[예, 좌우 방향(B)]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막음판(21xb)의 경사진 표면의 경사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즉, 스위치(23)가 위치한 쪽의 반대 방향]이 된다.
또한, 도 2의 경우 삽입홀(21a)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반면 도 3의 삽입홀(21xa)은 이동하는 직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대략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부 삽입구(TH)를 관통하여 이동부(21x)의 막음판(21xb)의 경사면에 닿게 되고 경사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이동부(21x)는 스위치(23) 쪽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힘을 가해 접촉판(23a)을 접점(23b)에 접촉시킨다.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빠지게 되면 탄성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막음판(21xb)의 위치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접촉판(23a)과 접점(23b)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역시 도 2 및 도 3과 유사하게 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삽입구(TH)에 하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한 이동부(21y), 이동부(21y)와 장착홈(H12)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부(21y)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22), 그리고 이동부(21y)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는 스위치(23)를 구비한다.
이때, 이동부(21y)의 이동 방향 역시 회전 방향이 아닌 직선 방향이다.
하지만, 도 4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이동부(21y)의 이동 방향은 도 3의 이동 방향(B)과 교차하는 직선 방향[예, 전후 방향(C)]이 된다.
이를 위해, 이동부(21y)는 탄성 부재(22)와 접해있는 중심부(21ya)와 중심부(21ya)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삽입구(TH)와 중간 삽입구(MH)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중간 삽입구(MH)를 막고 있는 한 쌍의 막음판(21yb)을 구비한다.
한 쌍의 막음판(21yb)의 표면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고, 경사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 즉, 스위치(23)가 위치한 쪽의 반대 방향이 된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부 삽입구(TH)를 관통하여 이동부(21y)의 막음판(21yb)의 경사면에 접하여 경사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이동부(21y)는 스위치(23) 쪽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힘을 가해 접촉판(23a)을 접점(23b)에 접촉시키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빠지게 되면 탄성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막음판(21yb)의 위치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접촉판(23a)과 접점(23b)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달리, 이동부(21x, 21y)의 이동 방향과 이동부(21x, 21y)의 이동을 위한 막음판(21xb, 21yb)의 표면의 경사면의 경사 방향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게 동작한다.
도 5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중간판(1b)에 위치하고,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는 이동부(21), 탄성부재(22) 및 스위치(23)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부(2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한쌍의 막음판(21b)을 구비하고 있고, 안착홈(H12)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P11)에 삽입되어 돌출부(P11)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D)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플러그 본체(100)의 플러그(110)가 상부 삽입구(TH)에 삽입되어 한 쌍의 막음판(21b)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돌출핀(P11)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D)으로 회전하게 되어 막음판(21b) 하부에 위치한 중간 삽입구(MH)를 개방해, 개방된 중간 삽입구(MH)로 플러그(110)가 삽입되어 하부 삽입구(BH)로 차례로 삽이 동작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플러그(110)가 상부 삽입구(TH)로부터 탈거되면 탄성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21)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중간 삽입구(MH)를 막게 된다.
하지만, 도 2와 달리, 도 5에 도시한 예의 경우, 스위치(23)는 이동부(21)의 측부에 위치하고 있는 대신 이동부(2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상판(1a)의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내에 형성된 관통구(H21)와 중간판(1b)의 장착홈(H12) 내에 형성된 관통구(H22)에 삽입되는 동작핀(MP11)을 더 구비하고 있다. 동작핀(MP11)의 중간에는 탄성 부재(MS11)가 위치한다.
이 동작핀(MP11)은 관통구(H21)를 통과해, 즉 상판(1a)을 관통해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하며, 관통구(H22)를 통과해, 즉 중간판(1b)을 통과해 하부에 위치한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의 상부 삽입구(TH) 속으로 플러그(111)가 삽입되면 관통구(H21)를 통과한 동작핀(MP11)의 상부는 플러그 본체(100)에 접하게 되고, 플러그 본체(100)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동작핀(MP11) 자체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핀(MP11)의 하강 동작에 의해, 동작핀(MP11)의 하부는 그 밑에 위치한 스위치(23)의 접촉판(23a)을 누르게 되어 접촉판(23a)을 접점(23b)에 접촉시킨다.
이러한 접촉판(23a)과 접점(23b)간의 접촉 상태에 따라 해당 상태의 신호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되어, 플러그(110)의 삽입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반대로, 플러그(110)가 빠지게 되면, 탄성부재(MS11)의 복원력에 의해 동작핀(MP11)의 상태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상부 삽입구(TH)로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접점(23b)과 접촉 상태인 스위치(23)의 접촉판(23a) 역시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 접점(23b)과의 접촉 상태는 해제되어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한다.
이러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을 구비하고 있는 중간판(1b)는 삽입구(H31)를 상판(1a)에 위치한 삽입핀(CP11)에 삽입하여, 상판(1a)과 하판(1c) 사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본 예에서, 스위치(23)는 하나의 입력 단자(COM)와 두 개의 출력 단자(OUT1, OUT2)를 갖는 3단자 스위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입력 단자와 하나의 출력 단자를 갖는 것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211-21n)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 본체(100)가 삽입된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에스비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끼움결합 되면서,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 가능하나, 이 중 하나의 예를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본체(100)에는 타입에 맞추어 플러그(배선)(111)가 형성된다.
도 6에서 플러그(111)이 5 개 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스탠다드 타입의 경우 4 개의 배선도 가능하고 미니 또는 마이크로 타입의 경우 5 개의 배선도 가능하며, 그 외에도 다양한 유에스비 배선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장착되어 있다.
이때, 도 6과 같이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가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가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측면에 설치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스위치(23)는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고, 유에스비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끼움결합 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위치가 변하는 판 스프링(plate spring)과 같이 탄성력을 갖고 있는 접촉판(23a), 접촉판(23a)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접촉판(23a)의 위치 상태에 따라 접촉판(23a)과 접촉하거나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 접점(23b), 해당 크기의 전압(예, 5V)이 인가되고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에 따라 연결 상태가 변하는 공통 단자(COM), 그리고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에 따라 공통 단자(COM)와 접촉하거나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를 구비한다.
이때, 공통 단자(COM)는 단자 제어부(24)와 연결되거나 별도의 전원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삽입되면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가 되면 공통 단자(COM)는 제1 출력 단자(OUT1)와 접촉하고 제2 출력 단자(OUT2)와는 비접촉되며, 반대로 플러그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부터 제거되면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공통 단자(COM)는 제2 출력 단자(OUT2)와 접촉하는 대신 제1 출력 단자(OUT1)와는 비접촉하게 되어, 해당 상태(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신호를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단자 제어부(24)로 출력하게 된다.
유에스비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완전히 삽입되면, 유에스비 플러그에 의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이 접점(23b) 쪽으로 밀리게 되어 접촉판(23a)과 접점(23b)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판(23a)과 접점(23b)이 접촉하게 되면, 공통 단자(COM)은 제1 출력 단자(OUT1)와 접하게 되어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는 제1 상태로 되어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n)로서 출력된다.
유에스비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완전히 탈거되면, 유에스비 플러그에 의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 역시 해제되어 접촉판(23a)의 상태 역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접촉판(23a)과 접점(23b)간의 접촉은 해제된다.
이러한 접촉판(23a)과 접점(23b)간의 접촉 해제에 의해 공통 단자(COM)은 제1 출력 단자(OUT1)에서 제2 출력 단자(OUT2)과 접하게 되어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는 제2 상태로 되어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n)로서 출력된다.
도 2의 예에서, 스위치(23)는 하나의 입력 단자(COM)와 두 개의 출력 단자(OUT1, OUT2)를 갖는 3단자 스위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입력 단자와 하나의 출력 단자를 갖는 것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의 양에 해당하는 신호(B1-Bn)를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한다,
이로 인해, 콘센트 제어부(24)는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B1-Bn)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하게 된다.
복수의 릴레이(RY1-RYn)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콘센트 제어부(24)와 각 해당 플러그 삽입구(241-24n) 사이에 위치한다.
각 릴레이(RY1-RYn)는 콘센트 제어부(24)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각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즉, 전원 공급선(10)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한다.
이러한 릴레이(RY1-RYn)는 각각 콘센트 제어부(24)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코일(L11)과 전원 공급선(10)에 각각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타측 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11, SW12)를 구비한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각 릴레이(RY1-RYn)의 코일(L11)을 자화시키거나 자화 상태를 해제하여 스위치(SW11, SW12)가 온되는 연결 상태가 되면, 해당 릴레이(RY1-RYn)에 연결된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해당 릴레이(RY1-RYn)를 통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고 있는 플러그 삽입구(241-24n)에 플러그를 이용하여 연결된 가전 제품, 서버 또는 전원 공급 장치 등과 같은 전자 제품으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각 해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콘센트 제어부(24)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A1-An)를 이용하여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감지 신호(B1-Bn)를 이용하여 소비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의 크기를 판정한다.
그런 다음, 해당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값과 판정된 대기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 제품의 사용 여부를 판정하고,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품이 사용 중일 경우 해당 릴레이(RY1-RYn)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에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원을 공급하고,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품이 미사용 중일 경우 전원 공급선(10)에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저장부(25)는 메모리(memory)로서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대기 전류의 크기를 저장하고, 콘센트 제어부(24)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해당 콘센트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5)는 도 1과는 달리 콘센트 제어부(2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콘센트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상태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복수의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각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는 콘센트 제어부(24)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다른 빛(예, 적색, 황색, 녹색, 청색 등)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ED1, LED2)를 구비한다.
제1 발광 다이오드(261)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를 측정하는 상태임을 표시(예: 녹색)할 수 있고, 제2 발광 다이오드(262)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표시(예: 청색)할 수 있다.
그 외에 제3 발광 다이오드를 더 구비하여 대기전류를 차단한 상태 등을 표시(예: 적색)할 수 있고, 제4 발광 다이오드를 더 구비하여 전자제품이 동작 중임을 포시(예: 황색)할 수 있다.
통신부(27)는 전송 장치(3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전송 장치(30)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본 예에서, 통신부(27)는 전송 장치(30)와의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을 제어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선 종류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전송 장치(30)는 전원 연결장치(2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31), 통신부(31)와 연결된 전송 제어부(32) 및 전송 제어부(32)와 연결된 저장부(33)를 구비한다.
통신부(31)는 전원 연결장치(20)의 통신부(27)와 같이 PLC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다.
전송 제어부(32)는 통신부(31)를 통해 전송되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 릴레이(RY1-RYn) 및 전류 감지부(231-23n)의 동작 상태인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33)에 저장하고, 정해진 시간 주기마다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하거나, 플러그 삽입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 또는 전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전류 감지 신호가 변경될 때 마다 해당 정보를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33)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도 1과 달리 전송 제어부(3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는 모니터링 제어부(41), 모니터링 제어부(41)와 연결된 데이터 출력부(42)를 구비한다.
이러한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서버(server), 노트북(notebook)이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같은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 장치(30)를 통해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원 연결장치(20)의 동작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삽입감지부에 플러그 본체의 삽입 여부, 전류 감지부에 감지된 전류, 스위치 동작상태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콘센트 상태 데이터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대기 전류, 전자 제품 연결 여부, 및 소비 전류값 그리고 릴레이(RY1-RYn)의 동작 여부 등을 구비하므로,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와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출력부(42)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발광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로 이루어져 있고, 모니터링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해 해당 전원 연결장치(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저장부(50)는 메모리(memory)나 데이터베이스(database)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메모리로 이루어질 경우, 저장부(50)는 모니터링 제어부(41)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질적인 이벤트 발생 및 그에 따른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24)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간에 전송될 때 사용 가능한 전송 코드 및 이에 대한 설명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 7은 이벤트 발생에 따른 코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7 에서는 대분류를 P_코드라 명명하고, 소분류를 S_코드라 명명하였으며 이 둘을 합하여 PS_코드라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제어부(24)와 서버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간에 전송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 8은 도 7의 P_Code와 S_Code를 포함하여 다른 정보들과 함께 전송되는 데이터 포맷의 예를 보여준다.
전송 장치(30)로부터 콘센트 상태 데이터(도 8 참조)가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되면,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의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50)에 저장하고,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하여(S33), 전원 연결장치(20)의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동작 상태,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현재 소비 전류량 및 누적 소비 전류량, 각 릴레이(RY1-RYn)의 동작 상태 등이 데이터 출력부(42)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동작 여부,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소비 전류량과 누적 소비 전류량, 전자 제품 연결 여부, 릴레이 동작 여부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전원 연결장치(20)와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 간의 데이터 전송은 전송 장치(30)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별도의 전송 장치(30)를 구비하지 않고 전원 연결장치(20)의 통신부(27)를 통해 전원 연결장치(20)는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와의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장치(30)의 전송 제어부(30)의 동작은 콘센트 제어부(24)에 의해 행해진다.
즉, 플러그 삽입 감지부 동작과정, 전류 감지부 인식과정, 릴레이 동작 과정, 사용자 표시부 동작과정, 스위치 동작과정, 전력 미터량 등 이력과정을 분석 할수 있다.
도 8의 내용은 콘센트 하나의 수구에서 발생되는 이력과정이며, 각각의 콘센트 수구 또한 독립적으로 같은 형태의 데이터가 발생되어 서버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구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각각의 수구에서 전력을 사용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수구에 연결된 전자기기 별로 언제부터 언제까지 얼마만큼의 전력을 사용하였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이는, 전기 요금을 절약하기 위해 어떤 전자기기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을지 예측하여 전기 사용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특정 주파수(예, 58~62 Hz)의 밴드패스 필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밴드패스 필터가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 중 특정 주파수(예, 58~62 Hz)의 전류만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직렬 연결 가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전류 측정 시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밴드패스 필터를 필요에 의해 가동시키고 필요에 의해 중지시킬 수 있도록 연결(스위칭 작동에 의해 직렬 연결 또는 밴드패스 필터만 단선되도록 연결 가능)와 함께 할 수 있다.
여기서 밴드패스 필터를 중지시킨다는 의미는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노이즈 제거 없이 통과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고, 밴드패스 필터를 가동시킨다는 의미는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 중 특정 주파수 대역(예, 58~62 Hz)의 전류만 흐르도록 제어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밴드패스 필터를 대기 전류 측정 시에 의해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대기 전류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노이즈로 인한 측정 신뢰성이 감소되기 때문에, 대기 전류 측정 시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대기 전류 측정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대기전류 자동 인식 및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전원 연결장치(20)의 콘센트 제어부(24)에 의해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해당 전자 제품에서의 대기 전류 소비 여부를 감시하여 차단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콘센트 제어부(24)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어 콘센트 제어부(24)의 구동이 시작된다(SA0).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선(10)에 전원 연결장치(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콘센트 제어부(24)에 전원을 공급하라는 명령(코드 등)에 의해, 콘센트 제어부(24)는 전원 공급선(10)에 연결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이용해 전원 연결장치(20)의 동작(플러그 삽입 감지부, 전류 감지부, 스위칭부, 콘센트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직류(DC, direct current) 전원을 출력하는 직류 전원 공급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콘센트 제어부(24)의 구동 전원을 인가 받는다.
이때, 콘센트 제어부(24)에 전원을 공급하라는 명령(코드 등)은 인체감지센서,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 전체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는 메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컴퓨터, 스마트폰, 리모콘 등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인체감지센서에 인체가 감지되었을 경우(PS_코드로 00), 인체감지센서의 동작버튼을 입력하였을 경우(PS_코드로 01), 메인 스위치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하였을 경우(PS_코드로 02), 컴퓨터(PS_코드로 03), 스마트폰(PS_코드로 04), 리모콘(PS_코드로 05) 등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 명령을 생성(SMPS 일괄 재생)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전원 공급선(10)에 전원 연결장치(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콘센트 제어부(24)에 전원을 공급하라는 명령(코드 등)에 의해 콘센트 제어부가 구동된다.
이후, 콘센트 제어부가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A)를 수행한다.
이는, 상기 전원 연결장치(20)의 플러그 삽입구(수구)가 대기 전류를 차단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방법 중 하나로 해당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제거하였다가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전자 제품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았다가 현재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콘센트 제어부는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SB)를 수행한다.
즉, 전자 제품이 새로이 연결되면, 콘센트 제어부는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에서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가 삽입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콘센트 사용 스위치(수동버튼)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하였을 경우(PS_코드로 10),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가 삽입된 경우(PS_코드로 11), 스마트폰(PS_코드로 12), 컴퓨터(PS_코드로 13) 등을 이용하여, 수구별 전원 공급(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SC)를 수행한다.
즉, 전자 제품이 오프(OFF) 상태이기 때문에 이때 측정된 전류값을 대기 전류로 판정할 수 있다. 이는 추후 대기 전류(전자 제품이 오프(OFF) 상태)로 판정되면,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 전류로 소모되는 전기 소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여기서, 측정된 전류값은 일정 시간동안 측정된 전류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대기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를 시작할 경우(PS_코드로 20), 대기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 중 일 경우(PS_코드로 21), 대기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를 마칠할 경우(PS_코드로 22) 마다 관련된 신호(대기 전력 측정 중임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SD1)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 이하의 상태로 일정시간 경과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SD2) 하는 단계(SD)를 수행한다.
즉, 플러그 삽입구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SD1)하여, 전자 제품을 사용 중인 경우는 전원이 공급(SD2)되도록 하고, 전자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전원을 차단(SD3)한다.
이로 인하여, 대기 전류로 소모되는 전기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전자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플러그 삽입구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자동 차단)된 경우(PS_코드로 40), 전자 제품의 사용 종료 후 플러그 삽입구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자동 차단)된 경우(PS_코드로 41), 전자 제품을 사용 중(PS_코드로 42),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제거한 경우(PS_코드로 43), 컴퓨터(PS_코드로 44), 스마트폰(PS_코드로 45) 등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과부하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PS_코드로 46), 차단설정에 의해 차단된 경우(PS_코드로 47) 마다 관련된 신호(수구별 전원 관리와 관련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7 참조)
전원 공급선(10)과 플러그 삽입구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대기 전류 차단)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선(10)과 플러그 삽입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전원 공급선(10)에 전원 연결장치(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연결하거나, 메인 스위치 또는 플러그 삽입구 콘센트 사용 스위치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바꾸거나,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하거나, 컴퓨터, 스마트폰, 리모콘 등으로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동안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전류를 측정하는 동안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의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의 점등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콘센트 제어부(24)가 새롭게 연결된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중임을 알게 되어 제1 발광 다이오드(LED1)가 소등될 때까지 해당 전자 제품의 사용을 자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소비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SD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전자 제품이 소비하는 전류를 모니터링 하여, 추후 해당 전자 제품의 이상 여부(누전 등)를 판별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소비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를 시작할 경우(PS_코드로 30), 대기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 중 일 경우(PS_코드로 31), 대기 전류 측정을 위해 전류 감지를 마칠할 경우(PS_코드로 32) 마다 관련된 신호(소비 전력 측정 중임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7 참조)
또,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재구동 신호가 입력되면(SE)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SA),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재구동 신호는 인체감지센서, 컴퓨터, 스마트폰, 리모콘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말한다.
즉, 상기 전원 연결장치(20)의 플러그 삽입구(수구)가 대기 전류를 차단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방법 중 하나로 재구동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SF),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로부터 분리(전자 제품 분리)하면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는, 혹시 모를 감전 사고 또는 누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메인 스위치를 오프(OFF)시켰을 경우(PS_코드로 50), 콘센트 사용 스위치 오프(OFF)시켰을 경우(PS_코드로 51), 컴퓨터(PS_코드로 52) 또는 스마트폰(PS_코드로 53) 등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차단설정에 의해 차단된 경우(PS_코드로 54) 마다 관련된 신호(SMPS 일괄 차단과 관련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신호(PS_코드)가 생성될 수 있음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PS_코드로 다양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신호(PS_코드)는 도 8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포맷을 적용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모든 스위칭부의 상태가 비연결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되면,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콘센트를 장기간 미 사용 시 콘센트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전원까지 차단하여 소모되는 전기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의 SA 단계를, 도 10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콘센트 제어부(24)의 동작이 시작되면, 콘센트 제어부(24)는 먼저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로부터 입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A1-An)를 판독하여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A1-An)의 상태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의 전자 제품 연결 상태를 판정한다(S11). 이때,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전자 제품 연결 여부에 대한 결과를 플러그 상태 데이터로서 저장부(25)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를 비교하기 위함이며, 플러그 상태 데이터의 초기값을 비연결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전원 연결장치(20)에 전원을 인가하였을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대기 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상태가 전자 제품이 연결된 상태인지 판정하여(S12), 전자 제품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콘센트 제어부(22)는 판정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현재 상태인 현재 플러그 삽입상태(즉, 전자 제품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저장부(25)에 이전 플러그 삽입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S13).
다음, 콘센트 제어부(22)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즉, 스위치(SW11, SW12)가 턴오프 상태]가 되도록 코일(L11)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제어한다(S14). 이때,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가 비연결 상태인 경우 현 상태를 유지한다.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현재 플러그 삽입상태(즉 현재 상태)가 전자 제품과 연결된 상태인 경우, 콘센트 제어부(22)는 판정된 플러그 삽입상태(즉, 전자 제품과 연결된 상태)가 저장부(25)에 저장된 이전 플러그 삽입상태(즉, 이전 상태)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16).
단계(S12)에서 판정된 현재 플러그 삽입상태가 저장부(25)에 저장된 이전 플러그 상태와 상이한 경우, 즉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이전 단계에서는 전자 제품이 연결되지 않았다가 현재 단계에서 전자 제품이 연결된 상태(신규 전자제품 연결)인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판정된 현재 플러그 삽입상태를 이전 상태로 저장부(25)에 저장(S17)할 수 있다.
다시 단계(S16)로 넘어가, 단계(S12)에서 판정된 현재 플러그 삽입상태가 저장부(25)와 저장된 이전 플러그 상태와 동일한 경우, 즉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이전 단계에서부터 현재 단계까지 전자 제품이 계속 연결되어 있는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는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로부터 재구동 신호가 입력(S19)되면 ,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를 작동시킨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재구동 신호는 상기 전원 연결장치(20)의 플러그 삽입구(수구)가 대기 전류를 차단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신호를 말하는 것으로, 콘센트 사용 스위치(수동버튼)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하였을 경우에도 재구동 신호가 입력될 수 있으나, 스마트폰, 컴퓨터,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재구동 신호가 입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해당 릴레이(RY1-RYn)의 코일(L11)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제어하여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의 전원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인가되도록 한다(SB). 이로 인해, 해당 전자 제품으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해당 전자 제품은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9의 SB 단계를, 도 10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새롭게 연결된 전자 제품에 의해 소비되는 대기 전류를 자동으로 판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해당 릴레이(RY1-RYn)의 코일(L11)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제어하여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즉, 스위치(SW11, SW12)가 켜짐(Turn On)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러한 릴레이(RY1-RYn)의 동작 상태 역시 콘센트 상태 데이터로서 저장부(25)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해당 릴레이(RY1-RYn)의 연결 상태로 인해, 새롭게 전자 제품이 연결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 공급(SB)이 이루어진다.
이후, 대기 전류로 등록(설정)된 값이 있는지 확인(S18)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미리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대기 전류를 등록해 두고 대기 전류를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건너뛰어 전자 기기의 사용을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함이다.
도 9의 SC 단계를 도 10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B1-Bn)를 설정 시간 동안 판독(S110, S111)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값(즉, 대기 전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전류값)을 측정(산정)(S112)할 수 있고, 이를 대기 전류로 등록(저장)(S113)할 수 있다.
이때, 전류를 측정한 신호(정현파, 실효값 등)의 평균값을 대기 전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의 SD 단계를, 도 11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 제품에 대한 대기 전류를 자동 판정하는 동작이 완료(SC)되면, 콘센트 제어부(24)는 설정 시간 동안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B1-Bn)를 판독(S115, S116)하여 소비되는 전류값을 측정(산정)한다(S117).
다음, 콘센트 제어부(24)는 저장부(2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 시간 동안 측정된 전류값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대기 전류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D1).
측정된 전류값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대기 전류 이상인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릴레이(RY1-RYn)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원 공급이 행해져 정상적으로 전자 제품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측정된 해당 콘센트 플러그(211-21n)에 대한 소비 전류값은 콘센트 상태 데이터의 일부로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소비 전류로 등록(설정)된 값이 있는지 확인(S118)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미리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소비 전류를 등록해 두고 전자 기기의 작동 상태 또는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소비 전류로 등록(설정)된 값이 없다면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소비 전류로 등록(저장)(S119)할 수 있다.
하지만, 단계(SD1)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대기 전류보다 작으면,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품이 설정 시간 동안 동작되지 않은 미동작 상태로서 대기 전류만 소비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비동작 상태의 전자 제품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SD2)하여 전자 제품에서의 대기 전류 소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즉,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동작 상태인 경우,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비동작 상태이면,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의 대기 전류 소비를 방지하여 대기 전력 소모로 인한 전력 낭비가 방지된다.
다음, 전원 연결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전송 받은 전송 장치(30)의 동작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2를 참고로 하여 전송 장치(30)의 동작이 시작되어 전송 제어부(30)의 동작 역시 시작되면, 통신부(31)를 통해 전원 연결장치(20)로부터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한다(S21).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전원 연결장치(20)로부터 전송되면 전송 제어부(32)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33)에 저장한 후 정해진 시간마다 저장부(33)에 저장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통신망(60)을 거쳐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S23-S25).
상기에서 도 12를 예로 들어 정해진 시간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예를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이벤트가 발생되거나 감지된 정보가 변경되는 등(도 7 내지 도 8의 PS_ 코드 변동) 상태의 변화가 발생될 때 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 도 13을 참고로 하여, 전송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원 연결장치(2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의 동작이 시작되어 모니터링 제어부(41)가 동작되면(S30),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 장치(30)의 통신부(31)를 통해 전송 장치(30)로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1).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전송되면,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50)로 저장한다(S32).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하여(S33), 전원 연결장치(20)의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동작 상태가 데이터 출력부(42)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대기 전류, 소비 전류, 전자 제품 연결 여부, 릴레이 동작 여부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6)

  1.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해당 상태의 전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된 콘센트 제어부
    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근거로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근거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현재 소비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되어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는
    유에스비 플러그가 삽입되는 유에스비(USB)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원 공급선은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의 삽입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10. 제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현재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11. 제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전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임을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12. 제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13. 제1항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콘센트 사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14. 제1항에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통신하는 전송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 전자 제품 연결 여부, 소비 전류값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전송 장치로 외부에 전송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15.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16. 제15항에서,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되어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17. 제16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출력 신호의 상태가 달라지는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18.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19. 제18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20. 유에스비(USB) 플러그가 삽입(연결)되는 플러그 삽입구, 그리고
    플러그 삽입구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의 삽입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눌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
  21. 콘센트 제어부가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전자 제품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았다가 현재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콘센트 제어부는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 이하의 상태로 일정시간 경과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동안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3. 제2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여, 현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소비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4. 제2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재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현재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5. 제2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6. 제2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모든 스위칭부의 상태가 비연결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되면,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PCT/KR2016/005390 2015-05-22 2016-05-20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플러그 삽입 감지부, 그리고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 WO201619062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797444.3A EP3300183A4 (en) 2015-05-22 2016-05-20 MONITORING SYSTEM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AND AUTOMATICALLY CUTTING A CURRENT CURRENT FROM A CURRENT SOCKET WITH THE INTRODUCTION OF A PLUG AND ITS CONTROL METHOD, SINGLE PLUG DETECTION UNIT, AND SENSOR DETECTION UNIT USB PLUG INTRODUCTION
EP19208119.8A EP3627633A2 (en) 2015-05-22 2016-05-20 System of automatic setting and shutting down standby current of electrical outlet by plug inser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tector for plug insertion and module of detecting usb plug inse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026 2015-05-22
KR1020150072026 2015-05-22
KR10-2016-0062115 2016-05-20
KR1020160062115A KR101871878B1 (ko) 2015-05-22 2016-05-20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에 의한 유에스비 소켓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60062112A KR101871870B1 (ko) 2015-05-22 2016-05-20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
KR10-2016-0062112 2016-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0622A1 true WO2016190622A1 (ko) 2016-12-01
WO2016190622A9 WO2016190622A9 (ko) 2017-12-28

Family

ID=5739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390 WO2016190622A1 (ko) 2015-05-22 2016-05-20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플러그 삽입 감지부, 그리고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1906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2380A (zh) * 2019-06-14 2019-09-0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低耗能的智能插座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30B1 (ko) * 2011-01-14 2011-09-30 주식회사 담솔 스마트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KR20120057039A (ko) * 2010-11-26 2012-06-05 (주)에스피에스 삽입 감지용 유에스비 커넥터
US20120169123A1 (en) * 2009-09-11 2012-07-05 Kim Chang-Ho Standby power shut-off outle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183617B1 (ko) 2012-02-02 2012-09-18 주식회사 위너스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KR101372891B1 (ko) *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알람 기능이 구현된 콘센트 장치
KR20150018152A (ko) * 2013-08-09 2015-02-23 한국전기연구원 대기전력 저감을 위한 콘센트의 웨이크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9123A1 (en) * 2009-09-11 2012-07-05 Kim Chang-Ho Standby power shut-off outlet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20057039A (ko) * 2010-11-26 2012-06-05 (주)에스피에스 삽입 감지용 유에스비 커넥터
KR101069430B1 (ko) * 2011-01-14 2011-09-30 주식회사 담솔 스마트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KR101183617B1 (ko) 2012-02-02 2012-09-18 주식회사 위너스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KR20150018152A (ko) * 2013-08-09 2015-02-23 한국전기연구원 대기전력 저감을 위한 콘센트의 웨이크업 장치
KR101372891B1 (ko) *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알람 기능이 구현된 콘센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2380A (zh) * 2019-06-14 2019-09-0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低耗能的智能插座
CN110212380B (zh) * 2019-06-14 2024-03-2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低耗能的智能插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0622A9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07998A2 (ko) 콘센트
WO2015016660A1 (ko) 구내방송장치용 이상부하분석 처리방법 및 장치
WO2019039892A1 (en) METHOD AND ELECTRONIC MODE SWITCHING DEVICE 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CARRIER
WO2016111604A1 (ko) 에너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017139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ccording to wireless power-sharing
WO2016148470A1 (en) Method for generating load of wireless power receiver in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wireless power receiver
WO2014112800A1 (en) Smart home system using portable device
WO2018194201A1 (ko) 교류전원의 위상각 제어 통신을 이용한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7000216A1 (zh) 充电控制电路、充电装置、充电系统及充电控制方法
WO2019083135A1 (ko)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085265A1 (ko) 대전류용 반복형 퓨즈
WO2013187616A1 (ko) 다양한 아크 및 과부하를 감지하여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전원 차단 장치
WO2016190622A1 (ko)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플러그 삽입 감지부, 그리고 유에스비 플러그 삽입감지 모듈
WO2017022930A1 (en) Refrigerator
WO2021029606A1 (ko) 블렌더
WO2021029608A1 (ko) 블렌더
WO2017155353A1 (ko) 센서 모듈,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측정장치
WO2021029605A1 (ko) 블렌더
WO2021210855A1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EP381843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212370A1 (ko) Usb장치의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usb포트 보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스 접근 제한 방법
WO2022025360A1 (ko) Ai 학습법 및 부유물 벡터 정보에 기초한 수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WO2021029600A1 (ko) 검침기 및 검침기의 제어 방법
WO2022191396A1 (ko) 테스트 장치
WO2021162300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센서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7974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974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797444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