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250A - 차량용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250A
KR20160137250A KR1020150072123A KR20150072123A KR20160137250A KR 20160137250 A KR20160137250 A KR 20160137250A KR 1020150072123 A KR1020150072123 A KR 1020150072123A KR 20150072123 A KR20150072123 A KR 20150072123A KR 20160137250 A KR20160137250 A KR 20160137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nt portion
lens
light source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038B1 (ko
Inventor
박종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03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283
    • F21S48/10
    • F21S48/1317
    • F21W2101/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차량의 전방에 개별적으로 점멸 가능한 복수의 단위 빔 패턴을 조사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이며,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초점이 형성되도록 인접 설치되는 복수의 광원 및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과 일대일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단위 빔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렌즈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상기 렌즈 내부로 입사된 빛을 상기 렌즈의 후방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 상기 렌즈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인접하는 일측의 너비는 타측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출사면 및 상기 렌즈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출사면을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램프{Head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방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들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램프들 중, 헤드 램프는 야간 주행 시에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램프로서, 일반적으로 차량 전방의 근거리에 빛이 조사되는 로우빔(하향빔)과 차량 전방의 원거리까지 빛이 조사되는 하이빔(상향빔)을 동시 또는 따로 조사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로우빔과 하이빔을 동시에 조사하는 것이 차량 전방의 근거리 및 원거리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므로 차량에 운행에 가장 안전한 방법이지만, 하이빔은 마주오는 대항 차량의 운전자 또는 마주오는 보행자의 눈부심을 유발하여 명순응 및 암순응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 시야를 확보할 수 없도록 하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대항 차량 또는 보행자 등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하이빔의 ON/OFF 동작을 반복하는 것 역시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해치고, 운전자는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를 보완하여, 대항 차량 및/또는 선행 차량의 유무에 따라 하이빔을 자동으로 ON/OFF 제어하거나, 도로 상황(시가지, 고속도로, 교차로 등)에 따라 로우빔/하이빔의 조사 각도 및/또는 밝기를 제어하는 등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되었다.
최근에는, 차량 전방의 영상 이미지로부터 대항 차량, 선행 차량, 보행자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 보행자 등이 위치하는 곳에는 하이빔이 조사되지 않도록 램프 조사각을 변화시키거나 광원을 OFF시키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Adaptive drive beam, ADB)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리플렉터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전방으로 소정의 빔 패턴을 출사하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차량의 전방에 개별적으로 점멸 가능한 복수의 단위 빔 패턴을 조사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이며,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초점이 형성되도록 인접 설치되는 복수의 광원 및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과 일대일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단위 빔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렌즈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상기 렌즈 내부로 입사된 빛을 상기 렌즈의 후방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 상기 렌즈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인접하는 일측의 너비는 타측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출사면 및 상기 렌즈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출사면을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입사면은 상기 렌즈의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렌즈의 전면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출사면은 상기 렌즈의 전면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입사면 및 상기 렌즈의 전면을 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는 역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출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을 연결하는 측면은 상기 입사면과 인접하는 일측의 두께가 타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면은, 제1 변곡부, 상기 제1 변곡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변곡부 및 상기 제1 변곡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 변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제1 변곡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변곡부 및 상기 제3 변곡부에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변곡부와 상기 제2 변곡부 사이로 입사된 빛을 상기 제2 반사면의 일측으로 반사하고, 상기 제1 변곡부와 상기 제3 변곡부 사이로 입사된 빛을 상기 제2 반사면의 타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제1 변곡부에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변곡부 및 상기 제3 변곡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변곡부와 상기 제2 변곡부 사이에서 반사된 빛과 상기 제1 변곡부와 상기 제3 변곡부 사이에서 반사된 빛을 상호 교차하도록 상기 제2 반사면을 향해 반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해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일부는 상기 입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반사면에서 상기 제2 반사면을 향해 반사되고 상기 제2 반사면에서 상기 출사면을 향해 반사된 후 상기 출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입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출사면에서 상기 제2 반사면을 향해 반사되고, 상기 제2 반사면에서 상기 출사면을 향해 반사된 후 상기 출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좌측에 위치하는 좌광원과 우측에 위치하는 우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좌광원 및 상기 우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1 반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 빔 패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 반사면, 상기 출사면 및 상기 제2 반사면은, 상기 복수의 단위 빔 패턴 중 상기 좌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 빔 패턴은 상기 우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 빔 패턴 보다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별도의 리플렉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 전방으로 빔 패턴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렌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렌즈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출사면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렌즈에 의해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렌즈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가 형성하는 복수의 단위 빔 패턴과 복수의 광원의 대응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 의해 대항 차량의 출현 위치에 따라 복수의 단위 빔 패턴 중 일부가 소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렌즈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렌즈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렌즈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렌즈(10)와 광원(2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0)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갖고, 베이스면(15), 입사면(11), 제1 반사면(12), 제2 반사면(13), 출사면(14) 및 측면(16)을 포함하는 입체 구조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면(15)과 입사면(11)은 렌즈(10)의 하면을 형성한다. 입사면(11)은 베이스면(15)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렌즈(10)의 광축(X)에 대해 전방으로 하향 형성되는 역경사면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0)은 입사면(11)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광원(20)은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 7 참고).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렌즈(10)를 통해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복수의 단위 빔 패턴(L1, L2, L3, L4, L5; 도 7 참고)을 형성한다(도 7 참고). 복수의 단위 빔 패턴(L1, L2, L3, L4, L5)은 마주오는 대항 차량의 위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점멸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패턴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은 컨트롤러(미도시)와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점멸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빔 패턴(L1, L2, L3, L4, L5)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도록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은 서로 다른 위치에 초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은 입사면(11) 및 제1 반사면(12)을 향해 빛을 출사하도록 설치된다. 그 결과, 렌즈(10)의 광축(X)에 대해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광원(21, 22, 23, 24, 25)을 이용해 5개의 단위 빔 패턴(L1, L2, L3, L4, L5)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전방에 조사되는 단위 빔 패턴의 수에 따라 광원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을 일렬로 배열하여 복수의 단위 빔 패턴(L1, L2, L3, L4, L5)이 일렬로 연장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광원을 복수 열로 배열하여 복수 열로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 빔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면(12) 및 출사면(14)은 렌즈(10)의 전면을 형성한다.
제1 반사면(12)은 렌즈(10)의 전면 하부를 형성하고, 출사면(14)은 렌즈(10)의 전면 상부를 형성한다. 제1 반사면(12)과 출사면(14)은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면(12)은 전체적으로 렌즈(10)의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다만, 제1 반사면(12)의 중앙부는 세로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면(12)은 3개의 변곡부(12a, 12b, 12c)를 포함한다. 변곡부는 곡면의 형상이 상향 경사에서 하향 경사로 변경되며 볼록한 형상을 이루거나, 하향 경사에서 상향 경사로 변경되며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면(12)은, 제1 반사면(1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 변곡부(12a), 제1 변곡부(12a)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변곡부(12b) 및 제1 변곡부(12a)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 변곡부(12c)를 포함한다.
제1 반사면(12)은 제1 변곡부(12a)에서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제1 변곡부(12a)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12b)와 제3 변곡부(12c)에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1 반사면(12)은 광 반사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크롬 등의 금속층이 코팅되어,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으로부터 출사되어 입사면(11)을 통해 렌즈(10) 내로 입사된 빛이 제2 반사면(13)을 향해 효과적으로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면(14)은 제1 반사면(12)과 인접하는 하부 영역의 너비(WL)가 반대측인 상부 영역의 너비(WH)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출사면(14)의 하부 영역의 너비(WL)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부 영역의 너비(WH)가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도시하였지만, 렌즈(10)를 통해 출사되는 빔 패턴에 따라, 하부 영역 중 일부의 너비(WL)가 상부 영역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갖거나, 상부 영역의 너비(WH)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0)는 제1 반사면(12) 및 출사면(14)을 제2 반사면(13)과 연결하는 측면(16)을 포함한다.
측면(16)은 하부 측면(16a)과 상부 측면(16b)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하부 측면(16a)은 제1 반사면(12)의 일부와 출사면(14)의 하부 영역을 제2 반사면(13)과 연결하고, 상부 측면(16b)은 출사면(14)의 상부 영역을 제2 반사면(13)과 연결한다.
출사면(14)의 상부 영역의 너비(WH)는 출사면(14)의 하부 영역의 너비(WL)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부 측면(16b)은 하부 측면(16a)과 경사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사면(13)은 후방으로 대략 볼록한 형상을 갖고 출사면(14) 역시 전방으로 대략 볼록한 형상을 가지므로, 하부 측면(16a)의 두께(TL)는 상부 측면(16b)의 두께(TH)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사면(13)은 렌즈(10)의 후면을 형성한다.
제2 반사면(13)은 베이스면(15)의 후단과 출사면(14)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제2 반사면(13)으로 입사된 빛을 출사면(14)으로 반사한다.
제2 반사면(13) 역시 광 반사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크롬 등의 금속층이 코팅되어, 제2 반사면(13)으로 입사된 빛이 출사면(14)을 향해 효과적으로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수직 방향 광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0)에서 출사된 빛(LA, LB) 중 일부(LA)는 입사면(11)을 통해 렌즈(10) 내부로 입사된 후,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되어 제2 반사면(13)으로 향하고, 다시 제2 반사면(13)에서 반사되어 출사면(14)을 통해 렌즈(10)로부터 출사되어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광원(20)에서 출사된 빛(LA, LB) 중 다른 일부(LB)는 입사면(11)을 통해 렌즈(10) 내부로 입사된 후, 출사면(14)에서 전반사되어 제2 반사면(13)을 향하고, 다시 제2 반사면(13)에서 반사되어 출사면(14)을 통해 렌즈(10)로부터 출사되어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출사면(14)은 광원(20)에서 출사된 빛(LA, LB) 중 제1 반사면(12)으로 향하지 않고 출사면(14)으로 진행하는 빛을 제2 반사면(13)을 향해 전반사할 수 있는 곡률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0)에서 출사된 빛(LA, LB) 중 제1 반사면(12)과 제2 반사면(13)에서 반사되어 출사면(14)으로 출사되는 빛(LA)은 대부분 출사면(14)의 하부를 통해 차량 전방으로 조사된다. 그리고, 광원(20)에서 출사된 빛(LA, LB) 중 출사면(14)에서 전반사된 후 제2 반사면(13)에서 반사되어 출사면(14)으로 출사되는 빛(LB)은 대부분 출사면(14)의 상부를 통해 차량 전방으로 조사된다.
광원(20)에서 출사된 빛(LA, LB) 중 제1 반사면(12)과 제2 반사면(13)에서 반사되어 출사면(14)으로 출사되는 빛(LA)은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되는 반사각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해당 빛(LA)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좁게 형성되어 광도가 상대적으로 강한 빔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광원(20)에서 출사된 빛(LA, LB) 중 출사면(14)에서 전반사된 후 제2 반사면(13)에서 반사되어 출사면(14)으로 출사되는 빛(LB)은 출사면(14)에서 반사되는 반사되는 반사각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해당 빛(LB)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넓게 형성되어 광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빔 패턴을 형성한다.
도 5는 출사면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렌즈에 의해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0)에서 출사된 빛(LA, LB)은 렌즈(10)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반사되어 출사면(14)을 통해 출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달리, 출사면(14)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상에 표현되는 빔 패턴(A1)이 상부로 갈수록 광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출사된다.
이러한 빔 패턴이 마주오는 대항 차량의 위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점멸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패턴의 단위 빔 패턴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특정 영역을 비추는 단위 빔 패턴을 소등하더라도, 소등된 단위 빔 패턴의 양측에 형성되는 단위 빔 패턴의 빛이 소등되어야 하는 특정 영역 내를 비추게 된다. 따라서, 적응형 드라이빙 빔 패턴으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10)는 출사면(14)의 상부 영역의 너비(WH)는 하부 영역의 너비(WL)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부 영역의 너비(WH)는 상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광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빔 패턴(A2)이 출사된다. 이와 같은 빔 패턴(A2)은 필요에 따라 특정 영역에 대한 소등이 가능한 적응형 드라이빙 빔 패턴의 단위 빔 패턴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도 7은 도 1의 렌즈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수평 방향 광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광원(20)에서 출사된 빛 중 제1 반사면(12)과 제2 반사면(13)에 의해 반사되어 출사면(14)을 통과하는 빛의 수평 방향 광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사면(11) 및 출사면(14)은 표현하지 않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0)은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으로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의 명칭을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제1 광원(21), 제2 광원(22), 제3 광원(23), 제4 광원(24), 제5 광원(25)이라 지칭한다.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로는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은 입사면(11) 및 제1 반사면(12)을 향해 일렬로 배열된다. 필요에 따라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은 2열 이상의 배열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3 광원(23)은 제1 변곡부(12a)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 광원(21), 제2 광원(22), 제4 광원(24), 제5 광원(25)은 제3 광원(23)을 중심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원(21)과 제2 광원(22)은 제1 변곡부(12a)와 제3 변곡부(12c) 사이의 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광원(24)과 제5 광원(25)은 제1 변곡부(12a)와 제2 변곡부(12b) 사이의 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면(12)은 제1 변곡부(12a)에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3 광원(23)으로부터 출사된 빛(L3)은 제1 변곡부(12a)에서 반사되며 제3 광원(23)의 후방으로 빔 패턴이 확장되며 제2 반사면(13)의 중앙부로 입사된다.
제2 반사면(13)은 제3 광원(23)으로부터 출사된 빛(L3)을 출사면(미도시, 도 4 참고)을 향해 반사하며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 중 중앙에 위치하는 단위 빔 패턴(L3, 도 9 참고)을 형성한다.
한편, 제3 광원(23)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광원(22)에서 출사된 빛(L2)은 제1 변곡부(12a)와 제3 변곡부(12c) 사이의 곡면으로 입사된다. 제3 변곡부(12c)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1 변곡부(12a)는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제2 광원(22)에서 출사된 빛(L2)이 입사되는 제1 변곡부(12a)와 제3 변곡부(12c) 사이의 곡면은 제1 변곡부(12a)를 향해 하향 경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2 광원(22)에서 출사된 빛(L2)은 제1 변곡부(12a)와 제3 변곡부(12c) 사이의 곡면에서 좌측 후방으로 반사되며 빔 패턴이 확장된다.
제2 반사면(13)은 제2 광원(22)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2)을 우측 전방으로 반사하여, 제3 광원(23)에 의해 형성된 단위 빔 패턴(L3, 도 9 참고)의 우측에 위치하는 단위 빔 패턴(L2, 도 9 참고)을 형성한다.
한편, 제2 광원(22)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광원(21)에서 출사된 빛(L1) 역시 제1 변곡부(12a)와 제3 변곡부(12c) 사이의 곡면으로 입사된다. 다만, 제1 광원(21)에서 출사된 빛(L1)은 제2 광원(22)에서 출사된 빛(L2) 보다 제3 변곡부(12c)에 인접하도록 입사될 수 있다.
제1 광원(21)에서 출사된 빛(L1) 역시 제1 변곡부(12a)와 제3 변곡부(12c) 사이의 곡면에서 좌측 후방으로 반사되며 빔 패턴이 확장된다. 다만, 제1 광원(21)에서 출사된 빛(L1)은 제2 광원(22)에서 출사된 빛(L2)보다 좌측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원(21)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1)은 제2 광원(22)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2) 보다 제2 반사면(13)에서 좌측으로 편향되어 입사될 수 있다.
제2 반사면(13)은 제1 광원(21)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1)을 우측 전방으로 반사한다. 제2 반사면(13)은 제1 광원(21)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1)이 제2 광원(22)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L2)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반사한다. 그 결과, 제1 광원(21)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1)은 제2 광원(22)에 의해 형성된 단위 빔 패턴(L2, 도 9 참고)의 우측에 위치하는 단위 빔 패턴(L1, 도 9 참고)을 형성한다.
한편, 제3 광원(23)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 광원(24)에서 출사된 빛(L4)은 제1 변곡부(12a)와 제2 변곡부(12b) 사이의 곡면으로 입사된다. 제2 변곡부(12b)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1 변곡부(12a)는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제4 광원(24)에서 출사된 빛(L4)이 입사되는 제1 변곡부(12a)와 제2 변곡부(12b) 사이의 곡면은 제1 변곡부(12a)를 향해 하향 경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4 광원(24)에서 출사된 빛(L4)은 제1 변곡부(12a)와 제2 변곡부(12b) 사이의 곡면에서 우측 후방으로 반사되며 빔 패턴이 확장된다.
제2 반사면(13)은 제4 광원(24)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4)을 좌측 전방으로 반사하여, 제3 광원(23)에 의해 형성된 단위 빔 패턴(L3, 도 9 참고)의 좌측에 위치하는 단위 빔 패턴(L4, 도 9 참고)을 형성한다.
한편, 제4 광원(24)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5 광원(25)에서 출사된 빛(L5) 역시 제1 변곡부(12a)와 제2 변곡부(12b) 사이의 곡면으로 입사된다. 다만, 제5 광원(25)에서 출사된 빛(L5)은 제4 광원(24)에서 출사된 빛(L4) 보다 제2 변곡부(12b)에 인접하도록 입사될 수 있다.
제5 광원(25)에서 출사된 빛(L5) 역시 제1 변곡부(12a)와 제2 변곡부(12b) 사이의 곡면에서 우측 후방으로 반사되며 빔 패턴이 확장된다. 다만, 제5 광원(25)에서 출사된 빛(L5)은 제4 광원(24)에서 출사된 빛(L4)보다 우측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광원(25)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5)은 제4 광원(24)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4) 보다 제2 반사면(13)에서 우측으로 편향되어 입사될 수 있다.
제2 반사면(13)은 제5 광원(25)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5)을 좌측 전방으로 반사한다. 제2 반사면(13)은 제5 광원(25)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5)이 제4 광원(24)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L4)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반사한다. 그 결과, 제5 광원(25)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2)에서 반사된 빛(L5)은 제4 광원(24)에 의해 형성된 단위 빔 패턴(L4, 도 9 참고)의 좌측에 위치하는 단위 빔 패턴(L5, 도 9 참고)을 형성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출사면(14) 중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전반사되는 부분에는 제1 반사면(12)과 유사하게 3개의 변곡부(12a, 12b, 12c)가 형성되어, 빔 패턴을 확장하며 제2 반사면(13)으로 전반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렌즈(10)는 3개의 변곡부(12a, 12b, 12c)를 갖는 제1 반사면(12)을 이용해, 밀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형성하는 빔 패턴을 확장하며 제2 반사면(13)으로 반사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차량 전방에 넓게 펼쳐지는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반사면(13)이 제3 광원(23)에 의해 형성된 단위 빔 패턴(L3)을 중심으로 제1 광원(21) 및 제2 광원(22)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과 제4 광원(24) 및 제5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L4, L5)이 교차되도록 전방을 향해 반사하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차량 전방에 넓게 펼쳐지는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헤드램프의 광학계가 광원과 렌즈, 그리고 광원에서 출사된 빛을 렌즈를 향해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기본으로 구성됨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별도의 리플렉터 없이 광원(20)과 렌즈(10)를 이용해 빔 패턴을 형성한다.
따라서, 리플렉터의 설계를 위한 시간, 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플렉터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어 보다 콤팩트한 차량용 헤드램프의 제작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110)는 제1 반사면(112)이 형상이 전술한 실시예의 렌즈(10)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110)의 제1 반사면(112) 역시 3개의 변곡부(112a, 112b, 112c)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면(112)은, 제1 반사면(11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 변곡부(112a), 제1 변곡부(112a)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변곡부(112b) 및 제1 변곡부(112a)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 변곡부(112c)를 포함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110)의 제1 반사면(112)은 제1 변곡부(112a)에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제1 변곡부(112a)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112b)와 제3 변곡부(112c)에서 오목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1 반사면(112)은 제1 변곡부(112a)에서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3 광원(23)으로부터 출사된 빛(L3)은 제1 변곡부(112a)에서 반사되며 제3 광원(23)의 후방으로 빔 패턴이 확장되며 제2 반사면(113)의 중앙부로 입사된다.
제2 반사면(131)은 제3 광원(23)으로부터 출사된 빛(L3)을 출사면(미도시, 도 4 참고)을 향해 반사하며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 중 중앙에 위치하는 단위 빔 패턴(L3, 도 9 참고)을 형성한다.
한편, 제3 광원(23)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광원(22)에서 출사된 빛(L2)은 제1 변곡부(112a)와 제3 변곡부(112c) 사이의 곡면으로 입사된다. 제3 변곡부(112c)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변곡부(112a)는 볼록하게 형성되므로, 제2 광원(22)에서 출사된 빛(L2)이 입사되는 제1 변곡부(112a)와 제3 변곡부(112c) 사이의 곡면은 제1 변곡부(112a)를 향해 상향 경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2 광원(22)에서 출사된 빛(L2)은 제1 변곡부(112a)와 제3 변곡부(112c) 사이의 곡면에서 우측 후방으로 반사되며 빔 패턴이 확장된다.
제2 반사면(113)은 제2 광원(22)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2)을 전방 또는 우측 전방으로 반사하여, 제3 광원(23)에 의해 형성된 단위 빔 패턴(L3, 도 9 참고)의 우측에 위치하는 단위 빔 패턴(L2, 도 9 참고)을 형성한다.
한편, 제2 광원(22)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광원(21)에서 출사된 빛(L1) 역시 제1 변곡부(112a)와 제3 변곡부(112c) 사이의 곡면으로 입사된다. 다만, 제1 광원(21)에서 출사된 빛(L1)은 제2 광원(22)에서 출사된 빛(L2) 보다 제3 변곡부(112c)에 인접하도록 입사될 수 있다.
제1 광원(21)에서 출사된 빛(L1) 역시 제1 변곡부(112a)와 제3 변곡부(112c) 사이의 곡면에서 우측 후방으로 반사되며 빔 패턴이 확장된다. 다만, 제1 광원(21)에서 출사된 빛(L1)은 제2 광원(22)에서 출사된 빛(L2)보다 우측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원(21)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1)은 제2 광원(22)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2) 보다 제2 반사면(113)에서 우측으로 편향되어 입사될 수 있다.
제2 반사면(113)은 제1 광원(21)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1)을 전방 또는 우측 전방으로 반사한다. 제2 반사면(113)은 제1 광원(21)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1)이 제2 광원(22)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L2)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반사한다. 그 결과, 제1 광원(21)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1)은 제2 광원(22)에 의해 형성된 단위 빔 패턴(L2, 도 9 참고)의 우측에 위치하는 단위 빔 패턴(L1, 도 9 참고)을 형성한다.
한편, 제3 광원(23)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 광원(24)에서 출사된 빛(L4)은 제1 변곡부(112a)와 제2 변곡부(112b) 사이의 곡면으로 입사된다. 제2 변곡부(112b)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변곡부(112a)는 볼록하게 형성되므로, 제4 광원(24)에서 출사된 빛(L4)이 입사되는 제1 변곡부(112a)와 제2 변곡부(112b) 사이의 곡면은 제1 변곡부(112a)를 향해 상향 경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4 광원(24)에서 출사된 빛(L4)은 제1 변곡부(112a)와 제2 변곡부(112b) 사이의 곡면에서 좌측 후방으로 반사되며 빔 패턴이 확장된다.
제2 반사면(113)은 제4 광원(24)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4)을 전방 또는 좌측 전방으로 반사하여, 제3 광원(23)에 의해 형성된 단위 빔 패턴(L3, 도 9 참고)의 좌측에 위치하는 단위 빔 패턴(L4, 도 9 참고)을 형성한다.
한편, 제4 광원(24)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5 광원(25)에서 출사된 빛(L5) 역시 제1 변곡부(112a)와 제2 변곡부(112b) 사이의 곡면으로 입사된다. 다만, 제5 광원(25)에서 출사된 빛(L5)은 제4 광원(24)에서 출사된 빛(L4) 보다 제2 변곡부(112b)에 인접하도록 입사될 수 있다.
제5 광원(25)에서 출사된 빛(L5) 역시 제1 변곡부(112a)와 제2 변곡부(112b) 사이의 곡면에서 좌측 후방으로 반사되며 빔 패턴이 확장된다. 다만, 제5 광원(25)에서 출사된 빛(L5)은 제4 광원(24)에서 출사된 빛(L4)보다 좌측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광원(25)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5)은 제4 광원(24)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4) 보다 제2 반사면(113)에서 좌측으로 편향되어 입사될 수 있다.
제2 반사면(113)은 제5 광원(25)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5)을 전방 또는 좌측 전방으로 반사한다. 제2 반사면(113)은 제5 광원(25)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5)이 제4 광원(24)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L4)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반사한다. 그 결과, 제5 광원(25)에서 출사되어 제1 반사면(112)에서 반사된 빛(L5)은 제4 광원(24)에 의해 형성된 단위 빔 패턴(L4, 도 9 참고)의 좌측에 위치하는 단위 빔 패턴(L5, 도 9 참고)을 형성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렌즈(10)는 제2 반사면(13)이 제1 광원(21) 및 제2 광원(22)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과 제4 광원(24) 및 제5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L4, L5)이 교차되도록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구조를 갖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렌즈(110)는 제1 반사면(112)이 제1 광원(21) 및 제2 광원(22)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과 제4 광원(24) 및 제5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L4, L5)이 교차되도록 후방을 향해 반사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가 형성하는 복수의 단위 빔 패턴과 복수의 광원의 대응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는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이용해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L1, L2, L3, L4, L5)을 형성한다.
광원(20)은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광원들(21, 22, 23, 24, 25)은 빔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빔 패턴(L1, L2, L3, L4, L5)을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 빔 패턴(L1, L2, L3, L4, L5)은 인접하는 단위 빔 패턴과 일정 부분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 의한 단위 빔 패턴(L1, L2, L3, L4, L5)들의 배열 순서는 복수의 광원(21, 22, 23, 24, 25)의 배열 순서와 좌우 방향으로 반전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제2 반사면(13) 또는 제1 반사면(112)에서 제1 광원(21) 및 제2 광원(22)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과 제4 광원(24) 및 제5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L4, L5)이 교차되도록 반사하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 의해 대항 차량의 출현 위치에 따라 복수의 단위 빔 패턴 중 일부가 소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에 의해 대항 차량의 출현 위치에 따라 복수의 단위 빔 패턴 중 일부가 소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마주오는 대항 차량이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영역을 비추는 단위 빔 패턴(L2)이 소등되도록 해당 단위 빔 패턴(L2)의 광원(22)을 소등한다. 그리고, 해당 영역에서 대항 차량이 사라진 경우에는 다시 해당 영역을 비추는 단위 빔 패턴(L2)이 점등되도록 해당 단위 빔 패턴(L2)의 광원(22)을 점등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패턴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10: 렌즈
11: 입사면
12, 112: 제1 반사면
12a, 12b, 12c, 112a, 112b, 112c: 변곡부
13, 113: 제2 반사면
14: 출사면
15: 베이스면
16: 측면
16a: 하부 측면
16b: 상부 측면
20, 21, 22, 23, 24, 25: 광원

Claims (9)

  1. 차량의 전방에 개별적으로 점멸 가능한 복수의 단위 빔 패턴을 조사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초점이 형성되도록 인접 설치되는 복수의 광원; 및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과 일대일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단위 빔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렌즈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상기 렌즈 내부로 입사된 빛을 상기 렌즈의 후방측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
    상기 렌즈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반사면과 인접하는 일측의 너비는 타측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출사면; 및
    상기 렌즈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1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출사면을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은 상기 렌즈의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렌즈의 전면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출사면은 상기 렌즈의 전면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입사면 및 상기 렌즈의 전면을 지향하도록 설치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는 역경사를 형성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을 연결하는 측면은 상기 입사면과 인접하는 일측의 두께가 타측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은,
    제1 변곡부;
    상기 제1 변곡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변곡부; 및
    상기 제1 변곡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 변곡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제1 변곡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변곡부 및 상기 제3 변곡부에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변곡부와 상기 제2 변곡부 사이로 입사된 빛을 상기 제2 반사면의 일측으로 반사하고,
    상기 제1 변곡부와 상기 제3 변곡부 사이로 입사된 빛을 상기 제2 반사면의 타측으로 반사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제1 변곡부에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변곡부 및 상기 제3 변곡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변곡부와 상기 제2 변곡부 사이에서 반사된 빛과 상기 제1 변곡부와 상기 제3 변곡부 사이에서 반사된 빛을 상호 교차하도록 상기 제2 반사면을 향해 반사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해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일부는 상기 입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반사면에서 상기 제2 반사면을 향해 반사되고 상기 제2 반사면에서 상기 출사면을 향해 반사된 후 상기 출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입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출사면에서 상기 제2 반사면을 향해 반사되고, 상기 제2 반사면에서 상기 출사면을 향해 반사된 후 상기 출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좌측에 위치하는 좌광원과 우측에 위치하는 우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좌광원 및 상기 우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제1 반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 빔 패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 반사면, 상기 출사면 및 상기 제2 반사면은,
    상기 복수의 단위 빔 패턴 중 상기 좌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 빔 패턴은 상기 우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 빔 패턴 보다 우측에 형성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0150072123A 2015-05-22 2015-05-22 차량용 헤드램프 KR10230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123A KR102301038B1 (ko) 2015-05-22 2015-05-22 차량용 헤드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123A KR102301038B1 (ko) 2015-05-22 2015-05-22 차량용 헤드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250A true KR20160137250A (ko) 2016-11-30
KR102301038B1 KR102301038B1 (ko) 2021-09-10

Family

ID=5770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123A KR102301038B1 (ko) 2015-05-22 2015-05-22 차량용 헤드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03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306A (ja) * 1995-10-18 1997-05-02 Denso Corp 車両用前照灯における配光形成用レンズ
JP2006324013A (ja) * 2005-05-17 2006-11-30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KR20080083466A (ko) * 2007-03-12 2008-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멀티 캐비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JP2013175391A (ja) * 2012-02-27 2013-09-05 Panasonic Corp 車両用前照灯
JP2013183078A (ja) * 2012-03-02 2013-09-12 Asahi Rubber Inc レンズ付きled装置及び多方向照明装置
KR20140007306A (ko) * 2013-11-29 2014-01-1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멀티 칩 엘이디 패키지
JP2014212115A (ja) * 2013-04-17 2014-11-13 ヴァレオ ビジョンValeo Vision 自動車の光学モジュールならびに照明および/または信号装置
JP5816031B2 (ja) * 2011-09-05 2015-11-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306A (ja) * 1995-10-18 1997-05-02 Denso Corp 車両用前照灯における配光形成用レンズ
JP2006324013A (ja) * 2005-05-17 2006-11-30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KR20080083466A (ko) * 2007-03-12 2008-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멀티 캐비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JP5816031B2 (ja) * 2011-09-05 2015-11-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13175391A (ja) * 2012-02-27 2013-09-05 Panasonic Corp 車両用前照灯
JP2013183078A (ja) * 2012-03-02 2013-09-12 Asahi Rubber Inc レンズ付きled装置及び多方向照明装置
JP2014212115A (ja) * 2013-04-17 2014-11-13 ヴァレオ ビジョンValeo Vision 自動車の光学モジュールならびに照明および/または信号装置
KR20140007306A (ko) * 2013-11-29 2014-01-1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멀티 칩 엘이디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038B1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5357B2 (en) Vehicle lamp
JP7042615B2 (ja) 車両用前照灯
US9644811B2 (en) Vehicular headlamp
KR102663209B1 (ko) 차량의 라이다 통합 램프 장치
JP4541290B2 (ja) 車両用コーナリングランプ
JP7364409B2 (ja) 車両用ランプ
JP5640306B2 (ja) 灯具ユニット
US11168860B1 (en) Automotive lamp
CN112443812B (zh) 转向信号灯
KR20180076708A (ko) 차량용 램프
KR20170112268A (ko) 차량용 램프
KR102145189B1 (ko) 차량용 램프
KR10195979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180073069A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8729A (ko) 차량용 램프
KR101717686B1 (ko) 차량용 헤드램프
JP6940632B2 (ja) 車両用灯具
KR101987295B1 (ko) 차량용 램프
KR20220091243A (ko) 차량용 램프
KR102348896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160137250A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1694327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2522911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137249A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160140039A (ko) 차량용 헤드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