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122A -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122A
KR20160137122A KR1020150071784A KR20150071784A KR20160137122A KR 20160137122 A KR20160137122 A KR 20160137122A KR 1020150071784 A KR1020150071784 A KR 1020150071784A KR 20150071784 A KR20150071784 A KR 20150071784A KR 20160137122 A KR20160137122 A KR 2016013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tepped
spindle motor
sleeve
lower thr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7122A/ko
Publication of KR2016013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8Reducing friction, adhesion, dra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설치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설치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스러스트 부재와, 상기 하부 스러스트 부재에 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스러스트 부재에는 기포가 베어링 간극 중 레디얼 동압홈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는 스핀들 모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Spindle motor and driving device of recording dis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Hard Disk Drive, HDD)에 사용되는 소형의 스핀들 모터는 자기 헤드가 디스크(Disk)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읽을 수 있도록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핀들 모터에는 윤활유체가 충진되는 베어링 간극이 구비되며, 베어링 간극에 충진되는 윤활유체가 동압홈에 의해 펌핑되면서 회전부의 회전시 회전부를 지지한다.
한편, 회전부의 회전시 베어링 간극에서는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즉 음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스핀들 모터에는 순환홀이 형성되어 음압 발생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음압 발생시 생성되는 기포를 이동시켜 외부로 기포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순환홀을 통해 유동되는 기포가 동압홈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경우 회전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기포가 동압홈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4-0080839호
기포의 배출이 용이한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는 설치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설치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스러스트 부재와, 상기 하부 스러스트 부재에 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스러스트 부재에는 기포가 베어링 간극 중 레디얼 동압홈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기포의 배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포가 베어링 간극 중 상,하부 레디얼 동압홈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100)는 일예로서, 베이스부재(110),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 샤프트(130), 회전부재(140) 및 캡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100)는 일예로서, 후술할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등의 정보 기록 재생장치에 채용되는 모터일 수 있다.
베이스부재(110)는 스테이터 코어(102)가 설치되는 설치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설치부(112)는 상기한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장착홀(112a)을 형성하며 축 방향 상부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설치부(112)의 외주면에는 스테이터 코어(102)를 지지하는 지지면(112b)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스테이터 코어(102)는 설치부(112)의 지지면(112b)에 안착된 상태에서 설치부(11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터 코어(102)의 내경부 측이 베이스부재(110)의 설치부(112)에 안착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테이터 코어(102)는 별도의 설치부재 또는 스테이터 코어(102)의 설치를 위해 형상이 변경된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는 설치부(112)의 장착홀(112a)에 삽입 배치되며,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의 외주면이 설치부(112)의 내주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는 접착, 압입, 용접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설치부(11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샤프트(13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설치홀(122a)이 형성되는 원반부(122)와, 원반부(122)의 가장자리로부터 축 방향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실링벽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는 회전부재(140)와 함께 윤활유체가 충진되는 베어링 간극을 형성하며, 나아가 실링벽부(124)는 회전부재(140)와 함께 윤활유체와 공기와의 계면(즉, 기액계면)이 형성되는 하부 실링부(104)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에는 기포가 베어링 간극 중 후술할 레디얼 동압홈(미도시)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부(126)가 형성된다.
단차부(126)는 원반부(122)와 실링벽부(124)의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차부(126)의 상면에는 기포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펌핑 그루브(128)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포가 회전부재(140)의 회전 시 하부 실링부(104) 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샤프트(130)는 하단부가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에 고정 설치되며, 상단부에 플랜지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샤프트(130)의 하단부는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의 설치홀(122a)에 삽입되어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100)는 샤프트(130)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샤프트(130)는 회전부재(140)와 함께 윤활유체가 충진되는 베어링 간극을 형성한다. 나아가, 샤프트(130)의 플랜지부(132)는 회전부재(140)와 함께 기액계면이 형성되는 상부 실링부(106)를 형성할 수 있다.
회전부재(140)는 샤프트(13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샤프트(130)에 설치된다. 또한, 회전부재(140)에는 샤프트(130)의 플랜지부(132)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재(140)는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 샤프트(130)와 함께 베어링 간극을 형성하는 슬리브(150) 및 슬리브(15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로터 허브(16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먼저 축 방향은 도 1에서 볼 때, 상,하 방향, 즉 샤프트(130)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하는 방향 또는 샤프트(13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반경 방향은 도 1에서 볼 때, 좌,우 방향, 즉, 샤프트(130)로부터 로터 허브(160)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 또는 로터 허브(160)의 외주면으로부터 샤프트(13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원주 방향은 샤프트(13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슬리브(150)는 샤프트(130)의 플랜지부(132)와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의 원반부(122) 사이에 배치되며, 샤프트(130),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와 함께 베어링 간극을 형성한다. 한편, 슬리브(150)에는 샤프트(130)가 관통되는 축공(1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150)의 내주면 또는 샤프트(1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레디얼 동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레디얼 동압홈은 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상,하부 레디얼 동압홈으로 이루어지며, 슬리브(150)의 회전 시 반경 방향으로의 유체 동압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140)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슬리브(150)의 하단부에는 단차부(126)에 대응되는 단차 대응부(154)가 형성된다. 단차 대응부(154)는 단차부(126)의 상면에 대향 배치되는 제1 단차면(154a)과, 제1 단차면(154a)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차면(154b)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단차면(154b)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단차면(154b)은 단차부(126)의 내주면과 형성하는 간극 중 상부의 간격이 하부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 단차면(154b)과 단차부(126)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은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부 측의 간격이 하부 측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단차면(154)과 단차부(126)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에서 상부측에 배치되는 간극에서의 압력이 하부측에 배치되는 간극에서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이에 따라, 기포가 단차 대응부(154)와 단차부(126)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으로 유입되는 경우 기포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유동되는 것이다. 나아가,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의 단차면(126) 상면에 펌핑 그루브(128)가 형성되므로, 기포는 펌핑 그루브(128)를 통해 하부 실링부(104) 측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기포가 레디얼 동압홈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슬리브(150)에는 순환홀(156)이 형성될 수 있다. 순환홀(156)은 일측이 상기한 단차부(126)의 상면과 이에 대향 배치되는 제1 단차면(154a)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에 연결되고, 타측이 플랜지부(132)의 저면과 삽입홈(142)의 바닥면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순환홀(156)이 제1 단차면(154a)과 단차부(126)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에 연결됨으로써, 단차부(126)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순환홀(156)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홀(156)에 따른 회전부재(140)의 샤프트(130)를 중심으로 한 대칭성의 불균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로터 허브(160)는 슬리브(15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 허브(160)가 슬리브(15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터 허브(160)와 슬리브(150)는 별도로 제조되어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로터 허브(160)는 원반 형상을 가지는 바디(162), 바디(162)의 가장자리로부터 축 방향 하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마그넷 설치부(164) 및 마그넷 설치부(164)의 끝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 지지부(166)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 설치부(164)의 내부면에는 구동 마그넷(164a)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마그넷(164a)의 내부면이 스테이터 코어(102)의 선단에 대향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구동 마그넷(164a)은 원주방향으로 N극, S극이 교대로 착자되어 일정 세기의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140)의 회전 구동 방식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스테이터 코어(102)에 권선된 코일(102a)에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102a)이 권선된 스테이터 코어(102)와 구동 마그넷(164a)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부재(14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발생되어 회전부재(140)가 회전되는 것이다.
즉, 구동 마그넷(164a)과, 구동 마그넷(164a)에 대향 배치되는 코일(102a)이 권선된 스테이터 코어(102)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부재(140)가 회전된다.
한편, 바디(162)의 상면에는 캡부재(170)의 설치를 위한 설치벽부(162a)가 구비될 수 있다.
캡부재(170)는 삽입홈(142)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회전부재(140)에 설치된다. 즉, 캡부재(170)는 설치벽부(162a)에 설치되어 삽입홈(142)의 상부를 차폐한다. 일예로서, 캡부재(170)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캡부재(170)의 내경부 측 저면은 플랜지부(132)의 상면과 미소 간극을 형성하여 윤활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의 단차부(126)와 슬리브(150)의 단차 대응부(154)를 통해 기포가 레디얼 동압홈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포가 베어링 간극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충격이나 윤활유체의 주입 시 기포가 베어링 간극으로 유입되는 경우 기포는 슬리브(150)의 순환홀(156)을 통해 유동된다.
이후, 기포는 단차부(126)와 단차 대응부(154)의 제1 단차면(154a)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으로 유입된다.
하지만, 제2 단차면(154b)과 단차부(126)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기포가 제2 단차면(154b)과 단차부(126)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을 통과하지 못한다.
즉, 제2 단차면(154b)과 단차부(126)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의 상부 측에서의 압력(P1)이 하부 측에서의 압력(P2)보다 작으므로, 기포가 제2 단차면(154b)과 단차부(126)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의 상부 측에서 하부측으로 유동하지 못한다.
더하여, 기포는 단차부(126)의 상면에 형성되는 펌핑 그루브(128)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유동된다.
결국, 기포는 하부 실링부(104) 측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포가 레디얼 동압홈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도면에 도시하고,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200)는 일예로서, 베이스부재(110),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 샤프트(130), 회전부재(240) 및 캡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재(110),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 샤프트(130), 캡부재(170)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부재(240)는 샤프트(13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샤프트(130)에 설치된다. 또한, 회전부재(240)에는 샤프트(130)의 플랜지부(132)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재(240)는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 샤프트(130)와 함께 베어링 간극을 형성하는 슬리브(250) 및 슬리브(25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로터 허브(160)를 구비할 수 있다.
슬리브(250)는 샤프트(130)의 플랜지부(132)와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의 원반부(122) 사이에 배치되며, 샤프트(130),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와 함께 베어링 간극을 형성한다. 한편, 슬리브(250)에는 샤프트(130)가 관통되는 축공(2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250)의 내주면 또는 샤프트(1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레디얼 동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레디얼 동압홈은 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상,하부 레디얼 동압홈으로 이루어지며, 슬리브(250)의 회전 시 반경 방향으로의 유체 동압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240)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슬리브(250)의 하단부에는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의 단차부(126)에 대응되는 단차 대응부(254)가 형성된다. 단차 대응부(254)는 단차부(126)의 상면에 대향 배치되는 제1 단차면(254a)과, 제1 단차면(254a)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차면(254b)을 구비한다.
또한, 제2 단차면(254b)은 샤프트(13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차부(126)의 상면과 제1 단차면(254a)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의 간격이 단차부(126)의 내주면과 제2 단차면(254a)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단차부(126)의 상면과 제1 단차면(254a)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에서의 압력(P3)이 단차부(126)의 내주면과 제2 단차면(254a)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에서의 압력(P4)보다 작다.
이에 따라, 기포가 단차 대응부(254)와 단차부(126)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으로 유입되는 경우 기포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유동되는 것이다. 나아가,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의 단차면(126) 상면에 펌핑 그루브(128)가 형성되므로, 기포는 펌핑 그루브(128)를 통해 하부 실링부(104) 측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기포가 레디얼 동압홈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슬리브(250)에는 순환홀(256)이 형성될 수 있다. 순환홀(256)은 일측이 상기한 단차부(126)의 상면과 이에 대향 배치되는 제1 단차면(154a)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에 연결되고, 타측이 플랜지부(132)의 저면과 삽입홈(242)의 바닥면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순환홀(256)이 제1 단차면(254a)과 단차부(126)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에 연결됨으로써, 단차부(126)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순환홀(256)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홀(256)에 따른 회전부재(140)의 샤프트(130)를 중심으로 한 대칭성의 불균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로터 허브(160)는 슬리브(15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터 허브(160)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스러스트 부재(120)의 단차부(126)와 슬리브(250)의 단차 대응부(254)를 통해 기포가 레디얼 동압홈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포가 베어링 간극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300)는 일예로서, 스핀들 모터(320), 헤드 이송부(340) 및 상부 케이스(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핀들 모터(3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스핀들 모터(320)에는 기록 디스크(D)가 탑재된다.
상기 헤드 이송부(340)는 상기 스핀들 모터(320)에 탑재된 기록 디스크(D)의 정보를 검출하는 헤드(342)를 검출하고자 하는 기록 디스크(D) 면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헤드(342)는 헤드 이송부(340)의 지지부(344) 상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360)는 상기 스핀들 모터(320)와 헤드 이송부(34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부재(322)와 조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200 : 스핀들 모터
110 : 베이스부재
120 : 하부 스러스트 부재
130 : 샤프트
140 : 회전부재
150, 250 : 슬리브
160 : 로터 허브
170 : 캡부재

Claims (10)

  1. 설치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설치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스러스트 부재;
    상기 하부 스러스트 부재에 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스러스트 부재에는 기포가 베어링 간극 중 레디얼 동압홈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는 스핀들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하부 스러스트 부재와 함께 베어링 간극을 형성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로부터 연장되는 로터 허브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차부에 대응되는 단차 대응부가 형성되는 스핀들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대응부는 상기 단차부의 상면에 대향 배치되는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단차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차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단차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핀들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차면은 상기 단차부의 내주면과 형성하는 간극이 상부의 간격이 하부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핀들 모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상면에는 기포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펌핑 그루브가 형성되는 스핀들 모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단차부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으로 일측이 연결되는 순환홀이 형성되는 스핀들 모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삽입홈에 삽입 배치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순환홀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에 타측이 연결되는 스핀들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핀들 모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러스트 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과 함께 실링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실링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윤활유체의 증발을 억제하도록 레버린스 실을 형성하는 실링벽부를 구비하는 스핀들 모터.
  10. 기록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핀들 모터;
    상기 스핀들 모터에 탑재된 기록 디스크의 정보를 검출하는 헤드를 상기 기록 디스크로 이송하는 헤드 이송부; 및
    상기 스핀들 모터와 상기 헤드 이송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형성토록 상기 스핀들 모터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재에 조립되는 상부 케이스;
    를 포함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KR1020150071784A 2015-05-22 2015-05-22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20160137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784A KR20160137122A (ko) 2015-05-22 2015-05-22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784A KR20160137122A (ko) 2015-05-22 2015-05-22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22A true KR20160137122A (ko) 2016-11-30

Family

ID=5770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784A KR20160137122A (ko) 2015-05-22 2015-05-22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1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7125B2 (en) Bearing apparatus, spindle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KR20130015159A (ko) 스핀들 모터
KR20140005539A (ko) 유체 동압 베어링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스핀들 모터
KR20130088355A (ko) 스핀들 모터
KR20130062636A (ko) 스핀들 모터
KR20130016806A (ko) 스핀들 모터
KR20130011624A (ko) 스핀들 모터
JP2013032831A (ja) スピンドルモータ
US20130129268A1 (en) Spindle motor
JP2014185772A (ja)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それを備える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KR20160137122A (ko)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US8890381B2 (en) Spindle motor
KR20130068263A (ko) 스핀들 모터
KR101101485B1 (ko) 유체 동압 베어링 어셈블리, 이를 구비하는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101452088B1 (ko)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20150090525A (ko) 스핀들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20140068A (ko) 스핀들 모터
KR20160078190A (ko)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20150016801A (ko) 스핀들 모터
KR20140003710A (ko) 스핀들 모터
US20150213832A1 (en) Spindle motor and hard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KR20160078189A (ko)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20150076851A (ko) 스핀들 모터
KR20120127960A (ko) 스핀들 모터
KR20160068507A (ko) 스핀들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