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061A - 자전거 보관대 - Google Patents

자전거 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061A
KR20160137061A KR1020150071607A KR20150071607A KR20160137061A KR 20160137061 A KR20160137061 A KR 20160137061A KR 1020150071607 A KR1020150071607 A KR 1020150071607A KR 20150071607 A KR20150071607 A KR 20150071607A KR 20160137061 A KR20160137061 A KR 2016013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icycle
locking bar
lock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1348B1 (ko
Inventor
이애숙
Original Assignee
이애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애숙 filed Critical 이애숙
Priority to KR102015007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34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를 보관하는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삽입 홈부(11)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삽입 홈부(11)에 삽입되어 축부(20)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자전거의 바퀴(2)를 감싸 지지하는 로킹바(30)로 구성하되, 상기 로킹바(30)는 축부(20)에 고정되는 고정바(31)(31)와, 상기 고정바(31)(31)에 양측 삽입부가 삽입되는 신장바(32)로 분리 구성하여 자전거의 바퀴 사이즈에 따라 신장바의 길이를 신장 조절하면서 간편하게 지지하도록 하므로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보관대{A bicycle depository}
본 발명은 자전거를 보관하는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본체에서 상하 회동하는 로킹바에 의해 자전거의 바퀴를 감싸 지지하되, 상기 로킹바를 고정바와 신장바로 분리 구성하여 자전거의 바퀴 사이즈에 따라 신장바의 길이를 탄발적으로 신장 조절하면서 간편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출퇴근이나 통학 또는 가정 등에서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사용하거나 건강 또는 취미생활 등의 레저활동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자전거는 이동 후 보관시 도난 발생 위험이 많아 보관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유원지, 공원, 학교나 지하철 역사 등에 자전거 도난 방지 및 보관의 편리성을 위해 자전거 보관대를 확대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 자전거 보관대는 지면 상부에 자전거의 바퀴를 올려 놓을 수 있는 거치부를 갖는 프레임 구조를 돌출 설치하여 거치부와 자전거의 바퀴를 자물쇠로 잠금하여 도난을 방지하도록 보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자전거 보관대는 자전거를 보관하거나 보관하지 않을 때 모두 지면 상부에 거치부를 갖는 프레임 구조가 노출되기 때문에 주변의 미관을 해침은 물론 넓은 설치 면적이 요구되고 주변 통행의 방해를 유발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자전거 보관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지면에 매립 설치한 후 자전거 보관시만 지상으로 노출시켜 사용하는 매립형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지면에 매립 설치되는 본체의 삽입 홈부에 "U"형의 로킹바를 삽입하되 상기 로킹바를 상 방향으로 축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자전거 보관시 자건거의 바퀴를 본체 상부에 위치시키고 "U"형의 로킹바를 상 방향 회동시켜 바퀴를 감싸도록 지지한 후 자물쇠로 잠금 처리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매립형 자전거 보관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U"형 로킹바가 일체로 형성되어 자전거의 바퀴 사이즈에 따라 보관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전거의 종류나 어린이용 또는 성인용 자전거에 따라 바퀴의 사이즈가 달라 보관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둘째, 상기 "U"형 로킹바가 본체의 삽입 홈부에 단순 삽입되어 있어 이를 꺼내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로킹바를 자전거 바퀴 위치까지 들어 올려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또한 다시 매립시 로킹바가 본체의 삽입 홈부로 자중에 의해 낙하되기 때문에 손이 찡기는 안전사고가 유발되어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10-1362737 특허문헌 2: 공개특허 10-2011-009208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본체에서 상하 회동하는 로킹바에 의해 자전거의 바퀴를 감싸 지지하되, 상기 로킹바를 고정바와 신장바로 분리 구성하여 자전거의 바퀴 사이즈에 따라 신장바의 길이를 탄발적으로 신장 조절하면서 간편하게 지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로킹바를 탄발 회전수단에 의해 상 방향으로 탄발 회전시켜 사용자가 자전거의 바퀴에 지지 설치함이 간편하고 로킹바에 의해 손이 찡기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삽입 홈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삽입 홈부에 삽입되어 축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자전거의 바퀴를 감싸 지지하는 로킹바로 구성하되, 상기 로킹바는 축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양측 삽입부가 삽입되는 신장바로 분리 구성하여 자전거의 바퀴 사이즈에 따라 신장바의 길이를 신장 조절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고정바와 신장바의 내부에는 탄발 인장수단이 연결 설치되어 신장바를 탄발적으로 신장, 복귀시키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탄발 인장수단은 고정바 내부에 각각 인장 스프링을 내장하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양 단부를 축부와 신장바에 연결 고정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탄발 인장수단은 고정바와 신장바 내부에 단일의 인장 스프링을 내장하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양 단부를 축부에 연결 고정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로킹바는 본체의 삽입 홈부에서 축부를 중심으로 상 방향으로 탄발 회전하도록 탄발 회전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본체에는 로킹바를 본체의 삽입 홈부에서 탄발 회전수단에 의한 상 방향 탄발 회동을 제한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설치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지지수단은 좌우 텐션편 사이에 로킹바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형성하여 로킹바를 탄발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으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로킹바는 고정바에 삽입되는 신장바의 양측 삽입부에 걸림링을 삽입 고정하고, 상기 고정바 상단에 걸림링이 걸려 이탈 방지되는 걸림 부싱을 안착되게 내 삽입 고정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에서 상하 회동하는 로킹바에 의해 자전거의 바퀴를 감싸 지지하되, 상기 로킹바를 고정바와 신장바로 분리 구성하여 자전거의 바퀴 사이즈에 따라 신장바의 길이를 탄발적으로 신장 조절하면서 지지하므로 사용 편리성, 효율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킹바를 탄발 회전수단에 의해 상 방향으로 탄발 회전시켜 사용자가 자전거의 바퀴에 지지 설치함이 간편하고 로킹바에 의해 손이 찡기는 안전사고가 방지되어 사용 안전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자전거 보관대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로킹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작동도.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자전거 보관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정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로킹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지지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자전거 보관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로킹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자전거 보관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로킹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전거 보관대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매립 설치히는 본체(10)와 자전거 바퀴(2)를 감싸 지지하는 로킹바(3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본체(10)에는 U 형태의 삽입 홈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 홈부(11)에 로킹바(30)를 삽입 설치하되, 상기 로킹바(30)의 축부(20)가 본체(10)에 축 결합되어 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킹바(30)는 축부(2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바(31)(31)와, 상기 고정바에 양측 삽입부(32a)(32a)에 의해 삽입되어 자전거 바퀴(2) 사이즈에 따라 길이를 신장 조절하도록 하는 신장바(32)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31)(31)와 신장바(32)의 내부에는 탄발 인장수단(40)이 연결 설치되어 신장바(32)를 탄발적으로 신장,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발 인장수단(40)은 인장 스프링이 바람직하나 그 밖에 신장바(32)를 탄발적으로 신장, 복귀가 가능한 모든 수단이 가능하다.
즉, 상기 탄발 인장수단(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31)(31)와 신장바의 양측 삽입부(32a)(32a) 내부에 각각 인장 스프링(41)(41)을 내장하고, 상기 인장 스프링(41)(41)의 양 단부를 축부의 걸고리(33)와 신장바의 삽입부 내부에 축 고정된 고정핀(34)에 걸어 고정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31)(31)와 신장바(32) 내부에 단일의 인장 스프링(42)을 내장하고, 상기 인장 스프링(42)의 양 단부를 축부의 걸리고(33)에 각각 걸어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바(31)(31)의 내부에는 축부(20)에 인접 위치로 완충 스프링(45) 또는 이와 유사하게 완충 작동하는 완충 부재(예를 들면 고무 부싱)를 삽입 설치하여 신장바(32)를 탄발적으로 신장 사용 후 원위치 복귀시킬 때 신장바의 양측 삽입부(32a)(32a) 끝단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단일의 인장 스프링(42)은 신장바(32) 일측의 밴딩 부위에서 신장, 복귀 기능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인장 스프링(42)을 늘리거나 펼치도록 형성하여 삽입 작업이 용이하고 재료 절감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바(30)를 본체의 삽입 홈부(11)에서 축부(20)를 중심으로 상 방향으로 탄발 회동시키도록 탄발 회전수단(50)을 연결하고, 상기 본체(10)에는 로킹바(30)를 본체의 삽입 홈부(11)에서 탄발 회전수단(50)에 의한 상 방향 탄발 회동을 제한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60)을 더 설치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탄발 회전수단(50)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50)은 로킹바(30)를 지지 상태에서 사용자가 로킹바를 들어 올리는 작은 외력에 의해 지지 해제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텐션편(62)(62) 안쪽에 로킹바(3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로킹바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홈(63)을 형성하는 지지 브라켓(61)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 브라켓(61)은 본체의 삽입 홈부(11) 바닥 또는 측벽 등에 리벳팅, 볼팅 또는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 설치하되, 로킹바(30)의 신장바(32) 양 측 위치에 지지하도록 설치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킹바(30)는 도 9에서와 같이 원형 파이프로 제조하고 신장바(32)는 밴딩 절곡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사각 파이프로 제조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신장바(32)는 밴딩 부위를 절결하여 직각으로 절곡 형성하도록 제조하며, 그 밖에 상기 로킹바(30)의 소재나 형상의 단순 변경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로킹바(30)의 고정바(31)(31)와 신장바(32)는 고정바(31)(31)에서 신장바(32) 양측 삽입부(32a)(32a)가 일정 간격 신장 가능하나 완전 이탈 방지되는 걸림 구조가 적용되는데, 이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31)(31)에 삽입되는 신장바(32)의 양측 삽입부(32a)(32a)에 걸림링(35)을 삽입 고정하고, 상기 고정바(31)(31) 상단에 걸림링(35)이 걸려 이탈 방지되는 걸림 부싱(36)을 안착되게 내 삽입 고정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신장바(32)의 양측 삽입부(32a)(32a)에 걸림 부싱(36)을 삽입하고 걸림링(35)을 삽입 고정한 후 고정바(31)(31) 내부에 삽입하면서 걸림 부싱(36)을 고정바(31)(31) 상단에 안착되게 내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서, 15는 로킹바(30)를 지지하는 지지바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체(10)를 지면에 매립 상태로 설치한다.
이와 같은 설치 상태에서 자전거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전거의 바퀴(2)를 본체(10)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삽입 홈부(11)에 삽입되어 있는 로킹바(30)를 들어 올린다.
이때, 상기 로킹바(30)는 지지브라켓(61)의 지지홈(65)에 삽입 지지된 상태에서 들어 올리는 외력에 의해 지지홈(65) 양측의 좌우 텐션편(62)(62)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로킹바(30)의 지지 상태를 해제한다.
이와 같이 상기 로킹바(30)가 지지브라켓(61)에서 지지 해제되면, 작업자가 로킹바(30)를 들어 올리지 않아도 로킹바(30)에 연결된 비틀림 스프링과 같은 탄발 회전수단(50)에 의해 축부(20)를 중심으로 상 방향으로 자동 탄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로킹바(30)가 상 방향으로 탄발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로킹바(30)로 자전거의 바퀴(2)를 감싸 지지한다.
특히, 상기 로킹바(30)는 축부(20)에 고정 결합된 고정바(31)(31)에 신장바(32) 양측의 삽입부(32a)(32a)가 삽입되어 있어 자전거의 바퀴(2) 사이즈에 따라 고정바(31)(31)에서 신장바(32)의 길이를 신장 조절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바(31)(31)와 신장바(32)의 내부에는 인장 스프링과 같은 탄발 인장수단(40)이 연결되어 있어 신장바(32)를 잡아 당겨 길이를 탄발적으로 신장 조절한 후 신장바(32)를 잡아 당기던 외력을 낮추면 탄발 인장수단(40)에 의해 고정바(31)(31)로 탄발 복귀하면서 자전거의 바퀴(2) 사이즈에 맞추어 자동 조절되어 바퀴(2)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로킹바(30)는 고정바(31)(31)에서 신장바(32)를 탄발 인장수단(40)에 의해 탄발 인장, 복귀하면서 자전거 바퀴 사이즈, 예를 들면 성인용이나 어린이용의 차이에도 바퀴 사이즈에 맞추어 길이 조절된 상태로 바퀴에 밀착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로킹바(30)의 신장바(32)는 고정바(3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를 신장 조절하되, 신장바(32) 양측의 삽입부(32a)(32a)에 삽입 고정된 걸림링(35)이 고정바(31)(31) 끝단에 내 삽입 고정된 걸림 부싱(36)에 걸려 신장바(32)가 고정바(31)(31)에서 완전 이탈 분리되지 않는 범주내에서 신장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장바(32)의 탄발 복귀시에는 고정바(31)(31) 내부에 축부(20)에 인접 위치로 완충 스프링(45)이 설치되어 있어 신장바의 양측 삽입부(32a)(32a) 끝단의 복귀 충격을 완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로킹바(30)의 길이를 신장 조절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바퀴(2)를 감싸 지지한 상태에서 자물쇠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전거를 보관하다가 자전거를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물쇠를 해제한 후 자전거 바퀴(2)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자전거 바퀴(2)에 감싸 지지되어 있던 로킹바(30)는 자전거 바퀴(2)의 구름에 의해 바퀴(2)에서 이탈되고 이와 함께 로킹바의 신장바(32)가 신장된 상태에서 탄발 인장수단(40)에 의해 고정바(31)(31) 내부로 다시 삽입되면서 원위치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로킹바(30)는 자전거 바퀴(2)의 구름에 의해 눌려져 본체의 삽입 홈부(11)로 다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본체의 지지브라켓(61)에 의해 다시 고정 지지되는데, 이는 로킹바(30)를 눌러 주는 외력에 의해 지지브라켓의 좌우 텐션편(62)(62)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로킹바(30)가 지지홈(63)에 탄발 삽입되어 다시 지지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로킹바(30)를 수작업으로 본체에 원위치 삽입하는 작업 없이 자전거의 바퀴(2)를 굴려 로킹바(30)를 눌러 주는 외력에 의해 로킹바(30)가 신장된 상태에서 원위치 복귀함과 함께 본체의 삽입 홈부(11)에 삽입되어 지지브라켓(61)에 다시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 때 로킹바(30)를 고정바와 신장바로 분리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한 것에 차이를 갖는 것이다.
즉, 상기 로킹바(30)에 탄발 회전수단(50)을 적용하고 본체에는 로킹바(30)를 지지하는 지지수단(60)을 적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 예는 로킹바(30)를 자전거의 바퀴(2) 사이즈에 따라 길이를 신장 조절할 수 없을 뿐 그 밖에 기능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 본체 11: 삽입 홈부
20: 축부 30: 로킹바
31: 고정바 32: 신장바
35: 걸림링 36: 걸림 부싱
40: 탄발 인장수단 41: 인장 스프링
50: 탄발 회전수단 60: 지지수단
61: 지지브라켓 62: 텐션편
65: 지지홈

Claims (8)

  1. 삽입 홈부(11)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삽입 홈부(11)에 삽입되어 축부(20)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자전거의 바퀴(2)를 감싸 지지하는 로킹바(30)로 구성되는 자전거 보관대에 있어서,
    상기 로킹바(30)는 축부(2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바(31)(31)와, 상기 고정바(31)(31)에 양측 삽입부가 삽입되는 신장바(32)로 분리 구성하여 자전거의 바퀴 사이즈에 따라 신장바의 길이를 신장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31)(31)와 신장바(32)의 내부에는 탄발 인장수단(40)이 연결 설치되어 신장바(32)를 탄발적으로 신장,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인장수단(40)은 고정바(31)(31) 내부에 각각 인장 스프링(41)(41)을 내장하고, 상기 인장 스프링(41)의 양 단부를 축부(20)와 신장바(32)에 연결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인장수단(40)은 고정바(31)(31)와 신장바(32) 내부에 단일의 인장 스프링(42)을 내장하고, 상기 인장 스프링(42)의 양 단부를 축부(20)에 연결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바(30)는 본체의 삽입 홈부(11)에서 축부(20)를 중심으로 상 방향으로 탄발 회전하도록 탄발 회전수단(50)을 연결하고,
    상기 본체(10)에는 로킹바(30)를 본체의 삽입 홈부(11)에서 탄발 회전수단(50)에 의한 상 방향 탄발 회동을 제한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60)을 더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60)은 좌우 텐션편(62)(62) 사이에 로킹바(30)가 삽입되는 지지홈(65)을 형성하여 로킹바를 탄발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6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바(30)는 고정바(31)(31)에 삽입되는 신장바(32)의 양측 삽입부(32a)(32a)에 걸림링(35)을 삽입 고정하고, 상기 고정바(31)(31) 상단에 걸림링(35)이 걸려 이탈 방지되는 걸림 부싱(36)을 안착되게 내 삽입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8. 삽입 홈부(11)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삽입 홈부(11)에 삽입되어 축부(20)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자전거의 바퀴(2)를 감싸 지지하는 로킹바(30)로 구성되는 자전거 보관대에 있어서,
    상기 로킹바(30)는 본체의 삽입 홈부(11)에서 축부(20)를 중심으로 상 방향으로 탄발 회전하도록 탄발 회전수단(50)을 연결하고,
    상기 본체(10)에는 로킹바(30)를 본체의 삽입 홈부(11)에서 탄발 회전수단(50)에 의한 상 방향 탄발 회동을 제한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60)을 설치 구성하되,
    상기 지지수단(60)은 좌우 텐션편(62)(62) 사이에 로킹바(30)가 삽입되는 지지홈(65)을 형성하여 로킹바를 탄발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6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KR1020150071607A 2015-05-22 2015-05-22 자전거 보관대 KR101731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607A KR101731348B1 (ko) 2015-05-22 2015-05-22 자전거 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607A KR101731348B1 (ko) 2015-05-22 2015-05-22 자전거 보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061A true KR20160137061A (ko) 2016-11-30
KR101731348B1 KR101731348B1 (ko) 2017-04-28

Family

ID=5770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607A KR101731348B1 (ko) 2015-05-22 2015-05-22 자전거 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490U (ko) 2018-03-28 2019-10-08 김재석 자전거 보관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388B1 (ko) * 2010-07-30 2011-04-07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자전거 고정용 클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348B1 (ko) 201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6640B2 (en) Retractable vertical mount bicycle storage rack
CN106536343B (zh) 可调整皮艇椅子
US9969411B2 (en) Hand truck
CN106660599B (zh) 侧箱紧固设备和侧箱
KR101731348B1 (ko) 자전거 보관대
WO1999012611A2 (en) Low profile golf bag stand system
JP4801011B2 (ja) 梯子長調整装置
CN206327274U (zh) 自行车保持装置
US11679724B2 (en) Collapsible and adaptable car roof rack
KR101048216B1 (ko) 수목 지지구
EP3046808B1 (en) A carrier device for vehicles
JP3219795U (ja) 自転車用携帯駐輪ラックの転倒防止装置
US20220297613A1 (en) Roof bicycle carrier
CN104908659B (zh) 一种车载行李架
JP2016125194A (ja) 仮設囲い
KR101155551B1 (ko) 자전거 거치대
KR101074669B1 (ko) 매설형 자전거 보관대의 안전장치
KR101546682B1 (ko) 기립형 자전거 거치대
KR101154263B1 (ko) 트럭용 범퍼 스텝
KR101043845B1 (ko)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JP5601975B2 (ja) 子乗せ装置付自転車
KR100917638B1 (ko) 자전거 거치대
JP3164255U (ja) ゴルフカート装着用雨除け兼日除けテント
KR200437181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JP2005535514A (ja) 寝台を具備する運転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