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564A -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564A
KR20160136564A KR1020150070186A KR20150070186A KR20160136564A KR 20160136564 A KR20160136564 A KR 20160136564A KR 1020150070186 A KR1020150070186 A KR 1020150070186A KR 20150070186 A KR20150070186 A KR 20150070186A KR 20160136564 A KR20160136564 A KR 20160136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luid
mixed fluid
micro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2181B1 (ko
Inventor
박영철
이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워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워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워터텍
Priority to KR1020150070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18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F3/0410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 사육수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어류배설물, 미섭취사료 등 각종 부산물)과 해수에 포함된 유해조류, 퇴적물 등을 부상분리(flotation) 기술을 사용하여 분리 제거하여 1차적으로는 사육수의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어류에 유해한 병원성미생물 발생 및 유해조류를 억제하고, 2차적으로는 양식장사육수 수질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대형현장에 적합하도록 처리용량이 우수하면서 대용량의 펌프 및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장치의 구조와 설비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FILTERING APPARATUS USING MICRO BUBBLES FOR FISH FARM}
본 발명은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식장 사육수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어류배설물, 미섭취사료 등 각종 부산물)과 해수에 포함된 유해조류, 퇴적물 등을 부상분리(flotation) 기술을 사용하여 분리 제거하여 1차적으로는 사육수의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어류에 유해한 병원성미생물 발생 및 유해조류를 억제하고, 2차적으로는 양식장사육수 수질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대형현장에 적합하도록 처리용량이 우수하면서 대용량의 펌프 및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장치의 구조와 설비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장에서는 어류생장에 필요한 적정 용존산소(DO)를 유지하기 위하여 순산소가스를 사용한다, 이 경우 일반적인 블로워 장치로 산소가스를 주입하므로 기포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산소가스가 해수에 용해되기도 전에 대기 중으로 날아가 버릴 수 있다. 이에 여름철 등 기체의 용해효율이 낮은 시기에는 과량의 산소가스를 사용하게 되어 유지비가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기포화수단은 대용량의 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압의 펌프가 필요하므로 이렇게 펌프의 용량 및 크기가 커지면 설비 자체 규모가 커지면서 이동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사육수조가 큰 양식장에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부상분리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장치는, 부상 촉진제로서 공기를 사용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으며, 공기방울은 액체가 압력을 가진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한 후 압력을 제거하는 용존공기부상분리(Dissolved-air flotation) 방식과, 대기압하에서 포기(aeration)시키는 공기부상분리 방식을 사용하여 주입하든지 생성한다.
상기 용존공기부상분리와 공기부상분리의 경우 공기방울과 입자성물질이 잘 달라붙게 하기 위해서 화학적 대부분 첨가물(응집제)을 사용한다. 또한 이에 따른 화학약품혼합조, 주입펌프, 약품저장탱크 등 부대시설이 필요하다. 또한, 용존공기부상분리의 경우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5~7기압)을 설정하기 위하여 가압탱크, 압력조절장치 등의 부대시설이 필요하다. 이밖에 공기부상분리와 용존공기부상분리법에서 수면으로 떠오른 슬러지(Sludge) 및 스컴(scum)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키밍 작용(skimming operation)이 가능한 부상분리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부상분리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장비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부대시설을 위한 일정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양식장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09-01099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양식장에 적합하도록 처리용량이 우수하면서도 대용량의 펌프 및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장치의 구조와 설비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는, 제1 탱크; 내부의 혼합유체가 넘쳐 제1 탱크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탱크에 수용된 제2 탱크; 상기 제2 탱크 내에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 상기 제2 탱크로부터 혼합유체 중 일부를 유입하는 유체유입라인; 상기 유체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된 혼합유체에 포함된 기체를 미세화시키는 미세기포화수단; 상기 미세기포화수단을 거친 혼합유체를 상기 제2 탱크로 재공급하는 유체재공급라인; 및 상기 제2 탱크에서 상기 제1 탱크로 이동된 미세기포가 포함된 혼합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라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체공급라인의 공급구는 상기 제2 탱크 내에서 상기 유체유입라인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미세기포화수단은 바이패스(bypass)방식으로 상기 유체유입라인 및 상기 유체재공급라인이 상기 제2 탱크에 각각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탱크, 상기 미세기포화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저면에 이동용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유체배출라인과 연결된 혼합유체유입부; 상기 하우징 내에 원추형상으로 설치되어 내부에 상협하광의 혼합유체이동통로를 가지며, 상기 혼합유체이동통로는 하단이 상기 혼합유체유입부와 연통되고 상단이 개방된 혼합유체이동부; 가스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혼합유체이동부 보다 위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원추형상으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혼합유체이동부를 구분하되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혼합유체이동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정화수이동부; 상기 하우징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배출구를 통과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부; 및 상기 하우징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으로 구분된 정화수이동통로를 거친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수배출부; 를 포함하는 이물질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 저면에 이동용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는, 양식장 사육수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어류배설물, 미섭취사료 등 각종 부산물)과 해수에 포함된 유해조류, 퇴적물 등을 부상분리(flotation) 기술을 사용하여 분리 제거하여 1차적으로는 사육수의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어류에 유해한 병원성미생물 발생 및 유해조류를 억제하고, 2차적으로는 양식장사육수 수질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대형현장에 적합하도록 처리용량이 우수하면서 대용량의 펌프 및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장치의 구조와 설비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와 이물질 제거부 및 양식장 사육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와 이물질제거부 및 양식장 사육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는 예컨대 면적이 넓은 양식장의 사육수조(300)에 적용된 것으로서, 미세기포 발생장치(100)와 필요시 이물질제거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세기포 발생장치(100)는 사육수조(300)로부터 공급받은 물에 기체공급부(153)를 통해 기체를 주입한 후 미세기포화하는 장치로서, 미세기포가 혼합된 물은 다시 사육수조(300)로 재공급되거나 이물질제거부(20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이물질제거부(200)를 거치지 않는 경우 미세기포 발생장치(100)는 사육수조(300)의 용존산소를 공급하는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물질제거부(200)는 미세기포 발생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은 물에서 싸이클론 작용을 통해 이물질을 분리하여 스컴(scum)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정화된 물은 사육수조(300)로 재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탱크부, 라인부 및 미세기포발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부는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혼합유체를 유입하여 수용하고 이 혼합유체의 기체를 미세기포화 하기 위한 저장고로서, 제1 탱크(120) 및 제1 탱크(120) 내에 수용된 제2 탱크(110)를 포함한다. 제1 탱크(120)는 바닥과 벽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제1 수용공간(120a)이 마련되고, 제2 탱크(110)는 바닥과 벽체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제2 수용공간(110a)이 마련된다.
이때, 제2 탱크(110)는 제1 탱크(120) 보다 낮은 높이와 작은 부피를 갖는 상대적으로 소형 탱크로 구성되며, 제1 탱크(120)의 바닥 위에 설치되되 제1 탱크(120)와 벽체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라인부는 액체공급라인(131a, 131b), 기체공급라인(132), 유체공급라인(133) 및 유체배출라인(137)을 포함한다. 이때, 액체공급라인(131b), 기체공급라인(132) 및 유체공급라인(133)은 예컨대 T자형 분기관(139)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공급라인(131a, 131b)은 예컨대 양식장의 사육수조(300)와 연결되고 제1 펌프(151)를 구비하여 제1 펌프(151)의 구동에 따라 사육수조(300)의 물을 펌핑하여 분기관(139)을 거쳐 유체공급라인(133)으로 펌핑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38은 압력게이지(pressure gauge)이다. 또한, 액체공급라인(131a, 131b)에는 필요시 액체 유입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기체공급라인(132)은 벤츄리인덱터(153)와 연결되고 벤츄리인젝터(153)에 의해 기체를 분기관(139)을 거쳐 유체공급라인(133)으로 공급하여 액체공급라인(131b)을 통해 공급된 액체에 기체를 혼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기체공급라인(132)에는 필요시 에어컴프레셔(venture injecto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체공급라인(132)에는 필요시 기체 유입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유체공급라인(133)은 혼합유체를 배출하는 부분, 예컨대 유체공급라인(133)의 단부가 제2 탱크(110)의 제2 수용공간(110a) 내에 위치하며, 액체공급라인(131b) 및 기체공급라인(132)을 통해 각각 공급되어 혼합된 혼합유체를 제2 탱크(110)의 제2 수용공간(110a)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유체공급라인(133)의 단부는 바람직하게 제2 탱크(110) 저면에 인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유체배출라인(137)은 제1 탱크(120)의 일면에 형성되며, 미세기포화 된 기체를 포함하는 혼합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세기포발생부는 미세기포화수단(140)과 유체유입라인(134) 및 유체재공급라인(13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세기포화수단(140)은 제1 탱크(120) 외부에 바람직하게 제1 탱크(120)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미세기포화수단을 유체가 유입되는 라인 쪽에 설치하면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 고압이 필요한데 이 경우 제1 펌프(151)와 에어컴프레셔(153)의 용량 및 크기가 커져야 하므로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동시키는데 제약이 따르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기포화수단이 탱크 외부 바이패스(by-pass)방식으로 설치되므로, 미세기포화수단(140)에 혼합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2 펌프(152)의 크기 및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 미세기포 발생장치(100)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시설비를 줄일 수 있고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동시키기 보다 용이해지는 것이다.
유체유입라인(134)은 일단이 제2 탱크(110)의 제2 수용공간(110a)에 위치하고 타단은 미세기포화수단(140)과 연결되어 제2 탱크(110)의 제2 수용공간(110a)에 수용된 혼합유체 중 일부를 미세기포화수단(140)으로 유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유체유입라인(134)에는 제2 탱크(110)로부터 혼합유체를 펌핑할 수 있도록 제2 펌프(152)가 구비된다. 또한, 유체유입라인(134)의 일단은 제2 탱크(110) 저면에 인접되게 구성되어 상기 라인부의 유체공급라인(133)으로부터 배출된 혼합유체가 제2 수용공간(110a) 내에서 순환되기 전에 제2 펌프(152)에 의해 유체유입라인(134)으로 최대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부호 135는 제2 펌프(152)와 미세기포화수단(140)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이다.
유체재공급라인(136)은 일단이 미세기포화수단(140)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탱크(110) 내의 제2 수용공간(110a)에 위치하여 미세기포화수단을 거쳐 미세기포화된 기체를 포함하는 혼합유체를 제2 탱크(110)의 제2 수용공간(110a)에 재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체재공급라인(136)의 타단은 제2 탱크 저면에 인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재공급된 미세기포를 포함한 유체는 제2 탱크(110)의 상단으로 넘쳐 제1 탱크(120)의 제1 수용공간(120a)로 이동하게 되고 유체배출라인(137)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미세기포는 기포 소멸시 40Khz의 초음파와 140dB의 높은 음압, 4000 내지 6000℃의 순간적인 열과 활성물질인 OH 라디컬(radical)을 발생시킴으로써, 제2 수용공간(110a)에서는 이러한 미세기포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어류생장에 유해한 각종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하는 효과를 부수적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미세기포 발생장치(100)는 프레임(16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프레임(160)은 상기 탱크부, 상기 라인부 및 상기 미세기포발생부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본체의 역할을 한다. 또한, 프레임(160) 저면에 복수의 이동용바퀴(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기포 발생장치(10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서 양식장과 같이 면적이 큰 사육수조(300)에 적용시 정화수를 사육수조(300)의 다양한 위치에 적절히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대기 중의 공기를 미세기포화 함으로써 수중의 용존산소 효율을 순산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최대 2.0ppm 높일 수 있어서, 유채배출라인(137)을 양식장의 사육수조(300)에 직접 연결하는 경우, 용존산소 공급효과를 통해 고가의 순산소가스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 용존산소가 감소하는 시기 등에는 용존산소를 어류가 생장하기 양호한 수준으로 빠른 시간에 높일 수 있어 급작스런 용존산소 감소시 비상대처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이물질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물질제거부(200)는, 하우징(210), 혼합유체유입부(260), 혼합유체이동부(230), 정화수이동부(240), 이물질배출부(250) 및 정화수배출부(27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상하가 막힌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수조이다. 이때, 하우징(210) 저면에 복수의 이동용바퀴(2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제거부(20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서 양식장과 같이 면적이 큰 사육수조(300)에 적용시 정화수를 사육수조(300)의 다양한 위치에 적절히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혼합유체유입부(260)는 하우징(210) 하부 일면에 형성되며, 미세기포 발생장치(100)의 유체배출라인(137)과 연결되어 미세기포 발생장치(100)에 의해 미세기포화된 기체가 포함된 혼합유체를 하우징(210) 하단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220)로 유입한다. 이때, 혼합유체유입부(260)는 조절밸브(261)를 가질 수 있다.
혼합유체이동부(230)는 하우징(210) 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하 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개방된 하면은 수용부(220) 및 혼합유체유입부(260)와 연통되어 혼합유체이동부(230)의 내측은 혼합유체유입부(260)를 통해 유입된 혼합유체가 하우징(210) 하단에서부터 상측으로 유압에 의해 이동하는 혼합유체이동통로(232)의 역할을 하게 된다.
혼합유체이동통로(232)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혼합유체는 미세기포의 합착능으로 인해 미세유기물 및 거대유기물이 기포와 달라붙어 플록(floc)을 형성하여 흙갈색의 거품(scum)이 된다. 미세기포는 크기가 5 내지 20㎛ 매우 작아 부상속도가 느려 플록 형성에 필요한 시간이 비교적 길어 작은 설비에서도 효율이 매우 높다.
본 실시예에서, 혼합유체이동부(230)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혼합유체이동통로(232)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혼합유체는 상협하광의 테이퍼진 형상에 의해 나선형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이동속도 또한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상측으로 갈수록 크게 증가되고, 매우 빠른 속도로 스컴으로 이루어진 상부의 거품층과 오염물질이 제거된 하부의 물과의 층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거품층과 정화수의 색깔차이에 의해 분리층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거품층은 혼합유체의 빠른 이동속도에 의해 혼합유체이동통로(232)의 상단을 통과할 때 부력에 의해 위로 떠올라 후술하는 정화수이동부의 지지판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를 통해 상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정화수이동부(240)는 지지판(241)과 격벽(242)을 포함한다. 지지판(241)은 혼합유체이동부(230)의 상단 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우징(21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중앙에 이물질배출구(241a)가 형성되어 도 5의 ①과 같이 혼합유체이동통로(232)를 통과한 혼합유체 중에서 스컴은 가스배출구(241a)를 통해 위로 빠져나가게 되고 깨끗한 물만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격벽(242)은 지지판(24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210)의 벽체와 혼합유체이동부(230) 사이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격벽(242)의 하단이 혼합유체이동부(230) 및 하우징(210)에 접촉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므로 혼합유체이동통로(232)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빠져 나온 정화수는 혼합유체이동부(230)와 격벽(242) 사이의 제1 정화수이동통로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한 후 도 5의 ②와 같이 격벽(242) 하단을 기준으로 흐름방향이 바뀌어 격벽(242)과 하우징(210)의 벽체 사이에 마련된 제2 정화수이동통로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정화수의 이동경로를 길게 함으로써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수량을 늘릴 수 있다.
이물질배출부(250)는 하우징(210) 상단에 위치하며, 혼합유체이동통로(232)를 통해 이동된 후 지지판(241)의 이물질배출구(241a)를 통해 빠져 나온 스컴(scum)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이물질배출부(250)는 조절밸브(251)를 가질 수 있다.
정화수배출부(270)는 하우징(210) 상부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 지지판(241) 하측에 위치하고, 격벽(242)으로 구분된 제1 및 제2 정화수이동통로를 거친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정화수배출부(270)는 조절밸브(27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정화수배출부(270)는 예컨대 양식장 사육수조(300)에 연결되어 정화수를 사육수조(30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미세기포 발생장치
131a, 131b ; 액체공급라인
132 ; 기체공급라인
133 ; 유체공급라인
134 ; 유체유입라인
135 ; 연결라인
136 ; 유체재공급라인
137 ; 유체배출라인
139 ; 분기관
140 ; 미세기포화수단
151 ; 제1 펌프
152 ; 제2 펌프
153 ; 벤츄리인젝터
160 ; 프레임
170, 280 ; 이동용바퀴
200 ; 이물질제거부
210 ; 하우징
220 ; 수용부
230 ; 혼합유체이동부
232 ; 혼합유체이동통로
240 ; 정화수이동부
241 ; 지지판
242 ; 격벽
250 ; 이물질배출부
260 ; 혼합유체유입부
270 ; 정화수배출부
300 ; 사육수조

Claims (6)

  1. 제1 탱크;
    내부의 혼합유체가 넘쳐 제1 탱크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탱크에 수용된 제2 탱크;
    상기 제2 탱크 내에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
    상기 제2 탱크로부터 혼합유체 중 일부를 유입하는 유체유입라인;
    상기 유체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된 혼합유체에 포함된 기체를 미세화시키는 미세기포화수단;
    상기 미세기포화수단을 거친 혼합유체를 상기 제2 탱크로 재공급하는 유체재공급라인; 및
    상기 제2 탱크에서 상기 제1 탱크로 이동된 미세기포가 포함된 혼합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라인; 을 포함하는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라인의 공급구가 상기 제2 탱크 내에서 상기 유체유입라인에 인접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화수단은 바이패스(bypass)방식으로 상기 유체유입라인 및 상기 유체재공급라인이 상기 제2 탱크에 각각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탱크, 상기 미세기포화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저면에 이동용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상기 유체배출라인과 연결된 혼합유체유입부;
    상기 하우징 내에 원추형상으로 설치되어 내부에 상협하광의 혼합유체이동통로를 가지며, 상기 혼합유체이동통로는 하단이 상기 혼합유체유입부와 연통되고 상단이 개방된 혼합유체이동부;
    가스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혼합유체이동부 보다 위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원추형상으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혼합유체이동부를 구분하되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혼합유체이동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정화수이동부;
    상기 하우징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배출구를 통과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부; 및
    상기 하우징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으로 구분된 정화수이동통로를 거친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수배출부; 를 포함하는 이물질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저면에 이동용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KR1020150070186A 2015-05-20 2015-05-20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KR10176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186A KR101762181B1 (ko) 2015-05-20 2015-05-20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186A KR101762181B1 (ko) 2015-05-20 2015-05-20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564A true KR20160136564A (ko) 2016-11-30
KR101762181B1 KR101762181B1 (ko) 2017-07-27

Family

ID=5770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186A KR101762181B1 (ko) 2015-05-20 2015-05-20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1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4253A (zh) * 2018-07-11 2018-11-23 镇沅今晨山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鱼苗孵化用水净化装置
CN112535964A (zh) * 2019-09-20 2021-03-2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微纳米气泡发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310B1 (ko) 1997-03-24 1999-08-16 최동민 고속 시약 회석기
KR200335075Y1 (ko) * 2003-09-16 2003-12-01 이석주 양어장 사료찌꺼기 및 오물 제거장치
JP5023481B2 (ja) * 2005-12-08 2012-09-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体処理方法および液体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4253A (zh) * 2018-07-11 2018-11-23 镇沅今晨山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鱼苗孵化用水净化装置
CN112535964A (zh) * 2019-09-20 2021-03-2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微纳米气泡发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181B1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4613B (zh) 一种一体化循环水养殖系统
EP3406569A2 (en) Injection type dissolved air flot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JP2009202038A (ja) 太陽光発電による浮体式水循環ろ過エアレーション水質浄化装置
CN103043798B (zh) 用于富营养化污染水体修复的浮岛系统及水体修复方法
KR20110090665A (ko)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
US20160200607A1 (en) Eductor-based membrane bioreactor
JP5717243B2 (ja) 浄化装置
JP6072254B2 (ja) 水処理装置
JP2007160178A (ja) 水域浄化装置、水性汚染生物回収船及び水性汚染生物の処理方法
KR101762181B1 (ko)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JP4927415B2 (ja) 排ガス排水処理装置
KR100791778B1 (ko) 육상 어류 양식장치 및 방법
KR20110058989A (ko) 하이브리드형 산기관 시스템
KR100762885B1 (ko) 다단 혼합 구조를 갖는 슬림형 고속 폭기장치
JP2015009165A (ja) 含油水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4014581B2 (ja) 生物濾過装置
KR20160000907A (ko) 이중 공기관을 구비한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및 폐수처리 시스템
KR101200972B1 (ko) 미세기포 발생기를 구비한 오폐수 처리장치
CN203048672U (zh) 用于富营养化污染水体修复的浮岛系统
JP4819841B2 (ja) 膜分離装置
US11254595B2 (en) Microbubble aerator
JP2017099331A (ja) 鮮度維持装置及び鮮度維持方法
JP6194650B2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JP2007275829A (ja) 浄化処理装置
KR20120138025A (ko) 부상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