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133A - Tray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 and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 Google Patents

Tray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 and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133A
KR20160136133A KR1020150069922A KR20150069922A KR20160136133A KR 20160136133 A KR20160136133 A KR 20160136133A KR 1020150069922 A KR1020150069922 A KR 1020150069922A KR 20150069922 A KR20150069922 A KR 20150069922A KR 20160136133 A KR20160136133 A KR 20160136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mpression
guide
implant
implant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혁수
Original Assignee
권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수 filed Critical 권혁수
Priority to KR102015006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133A/en
Priority to PCT/KR2015/005358 priority patent/WO2015183012A1/en
Publication of KR20160136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1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Means or methods for correctly replacing a dental model, e.g. dowel pins; Dowel pin positioning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y for taking an implant impression which is capable of solving conventional problems such as excessive consumption of impression material and inaccurate impression taking by enabling a through hole to be formed in an accurate position of the impression tray based on the position after accurately grasping a position where an implant fixture is implanted using the transparent guide tray, and a transparent guide tray used in the tray for taking the implant impression. A tray (1) for taking an implant impre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uide tray (10) which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grasp a position where an implant fixture (101) is implanted when the guide tray (10) is installed at a tooth part of the oral cavity, and which also plays a role of an external tray; and an internal tray (20b) which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guide tray (10) to form a through hole (h) along with the guide tray (10) with respect to the implantation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101) that is checked through the guide tray (10) such that the guide tray (10) and the internal tray (20b) as one body play an impression tray role of coping a region at which the implant fixture (101) is implanted.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marking part is formed on the guide tray (10) such that the guide marking part expresses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101) is implanted.

Description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및 이에 사용되는 투명 가이드 트레이{Tray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 and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impression tray and a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본 발명은 인상채득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임플란트 부위를 본뜨고자 할 때에 사용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투명 가이드 트레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ession taking 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ession impression tray used when a user views an implant sit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transparent guide tray suitable for use in the above-mentioned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나사모양의 티타늄 합금으로 된 인공치근, 즉 픽스쳐(fixture)를 치조골에 심은 후에 픽스쳐 주위의 뼈가 아물어 단단해지면 그 위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하고, 여기에 인공치아인 보철물(prosthesis)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Generally, an implant is an artificial root made of a screw-shaped titanium alloy, that is, after a fixture has been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e abutment is combined with the bone around the fixture when the bone is hardened, And prosthesis, which is an artificial tooth.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피시술자의 치아형태에 맞게 맞춤형으로 보철물을 제작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는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인상재로 본떠서 정확한 복제석고모형을 제조한 후 이 모형을 가지고 해당 피시술자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한다. For this purpose,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prosthesis is manufactured and positioned accurately in accordance with the tooth shape of the patient. In order to do so, the replica plaster model is manufactured using the impression material, To make a prosthesis that fits the patient.

이 때, 임플란트 인상채득 방식으로 잘 알려진 공지기술로는 픽업 방식(pick-up style)과 트랜스퍼 방식(transfer style)이 있다. At this time, there are known pick-up style and transfer style, which are known well as an implant impression method.

여기서, 픽업 방식은 픽스쳐(fixture)에 체결되는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이 인상재에 박히도록 치아본을 뜬 후 복제석고모형을 만드는 것인데, 임프레션 코핑이 주변 치아보다 위로 더 돌출되게 설치되고, 또한 치아본을 뜨는 과정에서 임프레션 코핑의 체결에 사용되었던 코핑 스크류(coping screw)를 푸는 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코핑 스크류와 임프레션 코핑이 인상 트레이 밖으로 관통하여 나오도록 인상 트레이에 관통홀을 형성시켜야 한다. Here, the pick-up method is to make a replica plaster model after the impression copings imprinted on a fixture are put on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impression copings are installed so as to protrude above the surrounding teeth, Since a process of unscrewing the coping screw used for fastening the impression copings is required in the course of lifting the pattern, a through hole should be formed in the impression tray so that the coping screw and the impression coping penetrate out of the impression tray.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관통홀을 형성시켜야 할 위치를 인상 트레이에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어서 대충 그 위치라고 생각되는 부분에 눈짐작으로 여유있게 관통홀을 형성시킬 수밖에 없었다. However, conventionally, it is impossible to precisely specify the position at which the through hole should be formed in the pull-up tray, so that it is inevitably necessary to form the through hole with sufficient space by the eyes.

그러다 보니 관통홀이 불필요하게 크게 형성되어 인상재가 이 부위로 과다하게 누설됨으로써 인상재가 쓸데없이 과다하게 소비될 뿐만 아니라 인상채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과다하게 크게 형성된 관통홀 부위를 다른 재질을 이용하여 막고서 본을 채득해야 하는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As a result, the through hole is formed unnecessarily large, and the impression material is excessively leaked to the area,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unnecessarily consumed unnecessarily and the impression is not accurately made. Or to overcome the inconvenience that the excessively large through-hole portion should be blocked by using other materials to prepare the bon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투명 가이드 트레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인상 트레이의 정확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및 이에 사용되는 투명 가이드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parent guide tray that can precisely grasp a position where an implant fixture is placed, and then form a through hole at an accurate position of the impression tray, And a transparent guide tray to be used therefor.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트레이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mplant fixtur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can be grasped when the implant fixture is installed in a tooth part of the oral cavity and has a guide marking part for expressing the position coordinates at which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는,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plant lifting tray,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트레이;A guide tra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a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when the implant fixture is installed in a tooth part of the oral cavity can be grasped and a guide marking part can be formed to express the position coordinates at which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치아부에 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표식부에 의해서 표현되는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곳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표식부에 매칭되는 관통위치 표식부가 형성되는 인상 트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mplant fix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uide fixture is mounted on the tooth portion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tray so as to protrude a por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A pull-up tray on which a penetrating position marking portion matched with the guide marking portion is formed; And a control unit.

이 때, 상기 인상 트레이는 외부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로 구분되고, 상기 내부 트레이에는 인상재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ulling tray is divided into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and the inner tray preferably has an impression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does not fall off easily.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는,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comprising: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부 트레이의 역할을 겸하는 가이드 트레이; 및A guide tra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serving also as an outer tra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can be grasped when the implant fixture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And

상기 가이드 트레이를 통하여 확인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함께 관통홀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트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An inner tray installed inside the guide tray so as to form a through hole together with the guide tray with respect to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identified through the guide tray; And,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가 한 몸체로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는 인상 트레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uide trays and the inner trays serving as one body serve as an impression tray for observing the site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이 때, 상기 내부 트레이에는 인상재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impression material catching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so as not to fall off is formed on the inner tray.

상기 내부 트레이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tray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하기 위한 가이드 표식부가 상기 가이드 트레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marking part for expressing the position coordinates at which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is formed on the guide tray.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는,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comprising:

바닥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 및A tray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bottom thereof; And

상기 개방부를 막도록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바닥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ottom member of a transparent material installed to close the opening; And a control unit.

상기 바닥부재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ttom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vinyl material.

상기 트레이 몸체의 바닥 위부분에 인상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몸체에 인상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내측에는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tray body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can be receiv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tray body and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상기 인상재 캐치부는 좌우 양옆 및 윗부분은 막히고 아랫부분은 개방되는 오목홈 형상을 하도록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has a concave groove shape in which both sides and upper portions are closed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ed.

상기 인상재 캐치부는 상기 오목홈 형상으로 옆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의 측벽을 의미하는 캐치부 측벽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ideways concave grooves, and the side wall of the catch portion, which means the sidewall of the concave groove,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상기 캐치부 측벽은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가늘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ide wall of the catch portion has a trapezoidal cross section whose thickness decreases toward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상기 캐치부 측벽은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에서 들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tch portion side wall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be lifted from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상기 캐치부 측벽은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tch portion side wall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는,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comprising: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 바닥 각각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트레이의 개방부 또는 외부 트레이의 개방부를 막도록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inner tray and the outer tray bottom and a bottom memb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provided to cover the opening portion of the inner tray or the opening portion of the outer tray, do.

상기 바닥부재는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ttom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vinyl material.

상기 내부 트레이에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n impression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on the inner tray is preferably formed.

상기 인상재 캐치부는 상기 내부 트레이의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art has a through-hole formed in a sidewall of the inner tray.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 가이드 트레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인상 트레이의 정확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기 때문에, 관통홀을 쓸데없이 크게 형성시킬 필요없어 인상재의 과다 소비없이 정확한 인상채득이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is precisely detected using the transparent guide tray,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impression tray based on the position, the through hole is unnecessarily enlarged, Accurate impression can be achieved without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impression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many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는 가이드 트레이(10)와 인상 트레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impression pull-up tra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tray 10 and a pull-up tray 20. As shown in FIG.

가이드 트레이(10)는 치아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한쪽 면에 치아수용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 트레이(10)를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하였을 때에 일반 치아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분도 치아수용부(11)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밖에서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가이드 트레이(1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uide tray 10 includes a tooth receiving portion 11 on one side so that the tooth can be inserted and received. When the guide tray 10 is installed in the tooth portion of the oral cavity, not only the general teeth but also the por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is located in the tooth accommodating portion 11.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is visible The guide tray 1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여기서 투명이란 100% 투명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안에 있는 임플란트 부위를 들여다보면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이면 족하다. 물론,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하여 투명도가 높을수록 바람직할 것이다. Transparency does not mean that it should be 100% transparent, but it is enough to be able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implant by looking into the implant site. Of course, the higher the transparency is, the more desirable it will be for accurate positioning.

가이드 트레이(10)의 손잡이(12)까지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치아수용부(11)의 기저면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물론, 치아수용부(11)의 측면까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면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확인하는데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handle 12 of the guide tray 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base surface of the tooth receiving portion 11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f course, if i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up to the side of the tooth receiving portion 11, it is more preferable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가이드 트레이(10)에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위치좌표로 표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표식부(13)는 숫자표시부(13a), 중심표시부(13b), 구간표시부(1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marking portion 13 is formed in the guide tray 1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can be expressed by positional coordinates. The guide marking section 13 preferably includes a numeric display section 13a, a center display section 13b, and a section display section 13c.

통상적으로 사람의 치아는 상악과 하악 각각에 좌측으로 8개, 우측으로 8개 형성되어 윗니 16개, 아랫니 16개가 존재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숫자표시부(13a)는 치아의 위치에 순번을 매길 수 있도록 구강 중심을 기점으로 하여 좌측으로 1~8번, 우측으로 1~8번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ormally, human teeth are formed in the maxilla and mandible, respectively, 8 left and 8 right. There are 16 upper teeth and 16 lower teeth. In view of this,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erical value display unit 13a is displayed in the form of 1 to 8 numbers to the left and 1 to 8 numbers to the right, starting from the oral cavity center, so as to place the order of teeth on the teeth.

중심표시부(13b)는 각 번호의 중심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열십자(+)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숫자표시부(13a)와 중심표시부(13b)는 중첩되게 표시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게 표시될 수도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전자의 경우가 바람직할 것이다. 구간표시부(13c)는 치아 사이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숫자 사이에 구분선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표시부(13b)의 열십자에는 각 사분면을 나타내는 표시가 있으면 좋은데, 도면에서는 이에 대해 A, B, C, D라 표현되었다. The center display unit 13b is preferably displayed in a positive (+) form so that the center position of each number can be grasped. The numeric display unit 13a and the central display unit 13b may be displayed superimposedly or not, but the former case is preferable as in the drawing. The section display section 13c is for displaying the boundary between teeth, and is preferably indicated by a dividing line between the numbers. It is preferable that there is a mark indicating each quadrant on the cross of the center display portion 13b. In the drawing, it is expressed as A, B, C, D in this figure.

이러한 가이드 표식부(13)는 치아수용부(11)가 형성된 반대편 면에 형성되는 것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보기에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치아수용부(11)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marking portion 13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n which the tooth receiving portion 11 is formed from the outside. Of course, it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tooth receiving portion 11 as occasion demands, which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상 트레이(20)는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가이드 트레이(10)로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파악한 우 이를 제거한 상태에서 치아부에서 설치된다. The impression tray 20 is used to look up a por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and is installed at the tooth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abutment of the implant fixture is detected by the guide tray 10.

인상 트레이(20)에는 인상재가 수용되는 인상재 수용부(22)가 형성되며, 인상재 수용부(22)가 치아부에 물리도록 설치함으로써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게 된다. The impression tray 20 is provided with an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22 in which an impression material is accommodated. The impression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22 is provided so as to be held against the tooth portion, so that a por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is seen.

인상 트레이(20)에 관통홀을 형성한 후에 본뜨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 때 가이드 표식부(13)에 의해서 파악되는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곳에 정확하게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13)에 매칭되는 관통위치 표시부(23)가 인상 트레이(2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pulling tray 20, the work is carried out. In this case, the guide markers 13 (13) are formed so as to accurately form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s recognized by the guide markers 13 The penetration position indicating portion 23 is preferably formed on the pulling tray 20.

예컨대, 가이드 표식부(13)로서 표시된 숫자, 선, 기호 등의 표식을 인상 트레이(20)의 같은 위치에 같은 형식으로 관통위치 표시부(23)로서 표시하여, 가이드 트레이(10)를 통해 파악되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인상 트레이(20)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위치 표시부(23)는 숫자표시부(23a), 중심표시부(23b), 구간표시부(23c)를 포함할 것이다. For example, a mark such as a number, a line, a symbol, or the like displayed as the guide marking portion 13 is displayed on the same position of the pulling tray 20 as the through position display portion 23 in the same manner and is recognized through the guide tray 10 And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pulling tray 20 so as to exactly match the placement positions of the implant fix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netration position display section 23 will include a numeric display section 23a, a center display section 23b, and a section display section 23c.

인상 트레이(20)는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으면서도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ll-up tray 20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because the through-hole can be formed with a certain degree of strength.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10)를 임플란트 픽스쳐(101)가 식립되어 있는 치아부에 설치한다. 이 때 가이드 트레이(10)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이드 트레이(10)를 통하여 임플란트 픽스쳐(101)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해당 위치에 대해 가이드 트레이(10)의 가이드 표식부(13)에 참조번호 A와 같이 마킹한다. First, as shown in FIG. 2A, a guide tray 10 is installed in a tooth por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101 is placed. In this case, since the guide tray 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101 is placed can be grasped visually through the guide tray 10, and the position of the guide tray 10 The guide marking portion 13 is marked with a reference mark A as shown in FIG.

이러한 마킹은 시술자가 유성펜 등을 통하여 직접 마킹할 것인데, 이렇게 가이드 트레이(10)에 직접 마킹하지 않고 그 위치좌표를 진료카드에 기재하여 둘 수도 있다. 또는 진료카드에 가이드 표식부(13)와 동일한 표식부를 미리 만들어 두었다가 해당 위치에 직접 체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Such a marking will be directly marked by a practitioner through a lubricant pen or the like. Thu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marker may be written on the medical care card without directly marking the guide tray 10. Alternatively, the same marking part as the guide marking part 13 may be made in advance on the medical care card, and the marking part may be directly checked and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경우에 따라, 가이드 트레이(10)의 설치는 코핑 스크류(103)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픽스쳐(101)에 임프레션 코핑(102)을 설치한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some cases, the guide tray 10 may be installed after the impression copings 102 are installed on the implant fixture 101 using the coping screws 103.

다음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상 트레이(20)의 관통위치 표시부(23)를 보면서 가이드 표식부(13)에 의해 특정된 위치좌표와 동일한 곳에 관통홀(h)을 뚫는다. Next, as shown in Fig. 2B, the through hole h is drilled at the same position coordinate specified by the guide marking section 13 while looking at the through position display section 23 of the pulling tray 20. Fig.

이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핑 스크류(103)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픽스쳐(101)에 임프레션 코핑(102)을 설치하고, 인상 트레이(20)에 인상재를 채운 다음에, 도 2d에서와 같이 인상재 수용부(22)가 치아부에 물리도록 하여 본을 뜬다. 이 때 임프레션 코핑(102)과 코핑 스크류(103)는 주위의 치아보다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임프레션 코핑(102) 및 코핑 스크류(103)가 관통홀(h)을 통하여 인상 트레이(20) 밖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2C, an impression coping 102 is installed on the implant fixture 101 using the coping screw 103, the impression tray 20 is filled with an impression material, and then,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22 is held by the tooth portion and the bone is lifted. Since the impression copings 102 and the coping screws 103 are higher than the surrounding teeth, the impression copings 102 and the coping screws 103 are removed from the impression tray 20 through the through holes h It will pop out.

인상 트레이(20)에 인상재를 채울 때에 관통홀(h)을 통하여 인상재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쉽게 찢어지는 재질, 예컨대 비닐 등으로 관통홀(h)이 있는 부위를 커버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링할 때 이렇게 쉽게 찢어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는 관통홀(h)을 통하여 코핑 스크류(103) 및 임프레션 코핑(102)이 뚫고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When the impression tray 20 is filled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covered with a material such as vinyl, which is easily torn to prevent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leaking through the through hole h. The reason for using this easily tearable material in covering is to allow the coping screws 103 and the impression copings 102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s h.

다음에, 도 2e에서와 같이 코핑 스크류(103)를 풀고 인상 트레이(20)를 들어내면 임플란트 픽스쳐(101)는 가만히 있고 임프레션 코핑(102)만 딸려오면서 인상 트레이(20)의 인상재 내에 임프레션 코핑(102)이 박혀있는 상태로 치아본이 떠진다. 2E, the impression tray 20 is lifted and the impression tray 101 is still pressed and impression copings 102 (FIG. 2C) are formed in the impression material of the impression tray 20 with only the impression copings 102 102), the toothbrush is lifted.

종래에는 인상재 트레이(20)에 관통홀을 형성시킬 때에 대충 눈 짐으로 하였기 때문에 위치 선정의 에러를 감안하여 관통홀을 크게 형성시킬 수밖에 없었다. 이 경우 인상과정에서 인상재가 관통홀을 통하여 과다하게 밖으로 누설되기 때문에 인상재 과다소비 뿐만 아니라 인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ly, whe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mpression material tray 20, the through hole is largely formed.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form the through hole in consideration of the error in positioning. In this case, since the impression material leaks out excessively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e impression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not overly consumed as well as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impression material.

그러나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10)를 이용하여 인상 트레이(20)의 정확한 위치에 관통홀(h)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관통홀(h)을 쓸데없이 크게 형성시킬 필요 없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rough hole h is form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pulling tray 20 by using the guide tray 10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through hole h unnecessarily large, do.

도 3을 참조하여 계속해서 후속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ollow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상 트레이(20)에 박혀있는 임프레션 코핑(102)에 임플란트 픽스쳐(101)와 동일한 기공용 아날로그(lab analog, 101')를 끼우고, 코핑 스크류(103')를 통하여 기공용 아날로그(101')를 고정시킨다. 이때의 코핑 스크류(103')는 앞서 사용된 것과 같은 것 일수도 있지만 새것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A, the impression tray 20 has the same impression coping 102 as the implant fixture 101 and a lab analog 101 'as shown in FIG. 3A, and the coping screw 103' Thereby fixing the public analogue 101 '. At this time, the coping screw 103 'may be the same as that used previously, but is preferably used as a new one.

다음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상 트레이(20)에 석고를 부은 후, 도 3c에서와 같이, 석고가 굳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코핑 스크류(103')를 풀어서 제거한 다음에 석고를 떼어내면 기공용 아날로그(101')가 박혀있는 상태의 복제석고모형(110)이 완성된다. Next, as shown in FIG. 3B, after the plaster is poured into the pulling tray 20, the plaster is released by loosening and removing the coping screw 103 'until the plaster is hardened as shown in FIG. 3C, The replica gypsum model 110 in which the common analog 101 'is embedded is completed.

이후에는 이러한 복제석고모형(110)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체결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보철물(prosthesis)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Thereafter, an abutment is fastened to this replica gypsum pattern 110 and the manufacture of the prosthesis is performed in a conventional manner.

[실시예 2][Example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인상 트레이(20)의 구성에서 차이가 난다. 사용방법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mpression pull-up tray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ffers from the impression tray 20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method of use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인상 트레이(20)는 외부 트레이(20a)와 내부 트레이(20b)로 구분되며, 이들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거나 혹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ull-up tray 20 is divided into an outer tray 20a and an inner tray 20b, which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분리 가능한 체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4에서는 후크(25)를 통한 체결방식이 도시되었다. 이 경우 후크(25)는 외부 트레이(20a)와 내부 트레이(20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것이며, 후크(25)에 체결되는 후크 결합홈은 그 상대방측에 설치될 것인데, 도 4에서는 외부 트레이(20a)에 후크(25)가 설치되고 그 상대방인 내부 트레이(20b)에 후크 결합홈이 설치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이 때 후크(25)는 내부 트레이(20b)의 중앙부위를 피해서 가장자리 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크(25)에 의해 인상재의 채워짐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detachable fastening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which is shown in FIG. 4 by way of a hook 25. In this case, the hook 25 will be installed in one of the outer tray 20a and the inner tray 20b and the hook coupling groove to be fastened to the hook 25 will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 hook 25 is provided in the inner tray 20a and a hook coupling groove is provided in the inner tray 20b as a counterpart thereof.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 25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edge of the inner tray 20b in order to prevent the filling of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being hindered by the hook 25.

내부 트레이(20b)가 덜거덕 거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내부 트레이(20b)의 측벽 윗단에 바깥으로 향하다가 밑으로 약간 절곡되는 걸침부(24)를 두어, 걸침부(24)가 외부 트레이(20a)의 테두리에 걸쳐지면서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oking portion 24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tray 20a so that the hooking portion 24 of the hooking portion 24 is bent upward so that the inner tray 20b does not rattle or move, And it is preferable to fit on the rim.

내부 트레이(20b)는 인상 트레이(20)를 치아에서 들어낼 때에 인상재가 치아가 아닌 인상 트레이(20) 쪽에 잘 달라붙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 트레이(20b)에는 인상재 캐치부(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인상재 캐치부(21)는 관통홀, 단턱부, 또는 돌출부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인상재 캐치부(21)가 관통홀 형태로 구현된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The inner tray 20b is for allowing the impression material to adhere to the impression tray 20 side rather than to the teeth when the impression tray 20 is lifted from the teeth.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art 21 is formed on the inner tray 20b.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art 21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hrough hole, a step, or a protrusion. In Fig. 4,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21 is shown as an example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실시예 3][Example 3]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별도의 외부 트레이(20a)가 있는 제2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가이드 트레이(10)가 외부 트레이(20a)의 역할을 겸함으로써, 가이드 트레이(10)와 내부 트레이(20b)가 한 세트를 이루어 하나의 인상 트레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mpression pulling-up tray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a separate external tray 20a is provided, The guide tray 10 and the inner tray 20b serve as one set of the impression tray 20a.

내부 트레이(20b)는 가이드 트레이(10)를 통하여 확인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관통홀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가이트 트레이(10)의 내측에 체결 설치된다. The inner tray 20b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gutter tray 10 so as to form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dentified through the guide tray 10 is formed.

내부 트레이(20b)와 가이드 트레이(10)는 한 몸체를 이루어 하나의 인상 트레이로서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는 데 사용될 것이지만,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 파악을 위하여 가이드 트레이(10)만을 먼저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내부 트레이(20b)와 가이드 트레이(10)는 일체형을 이루기보다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tray 20b and the guide tray 10 may be used as a single impression tray to mount the implant fixture on the body. However, in order to grasp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only the guide tra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tray 20b and the guide tray 10 are constructed so that they can be detached from each other rather than being integrally formed.

분리 가능한 체결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25)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 트레이(20b)가 가이드 트레이(10)에 제대로 고정되도록 걸침부(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tachable fastening may be realized through hooks 25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ing part 24 is formed so that the inner tray 20b is firmly fixed to the guide tray 10.

내부 트레이(20b)는 인상재가 잘 달라붙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상재 캐치부(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inner tray 20b is provided to allow the impression material to adhere well, and includes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21 as described above.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impression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10)를 임플란트 픽스쳐(101)가 식립되어 있는 치아부에 설치한다. 이 때, 가이드 트레이(10)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이드 트레이(10)를 통하여 임프레션 코핑(102) 내지 코핑 스크류(103)가 있는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해당 위치에 대해 가이드 트레이(10)에 참조번호 A와 같이 마킹한다. First, as shown in Fig. 6A, the guide tray 10 is installed in a tooth por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101 is placed.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tray 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position where the impression copings 102 to the coping screws 103 are present can be grasped visually through the guide tray 10, (10)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A.

이러한 마킹은 가이드 트레이(10)가 구강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구강 밖으로 꺼낸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가이드 표식부(13)가 없을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시술자가 위치좌표를 기억했다가 가이드 트레이(10)를 꺼낸 후 마킹이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가이드 트레이(10)에 가이드 표식부(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marking may be performed while the guide tray 10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or may be performed after it is taken out of the oral cavity. In the latter case, since the practitioner memorizes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then takes out the guide tray 10 and performs marking, the guide markers (10) 13 are formed.

다음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10)와 내부 트레이(20b)을 결합시킨 다음에 가이드 트레이(10)의 마킹 부위(A)에 내부 트레이(20b)까지 관통되도록 관통홀(h)을 형성시킨다. 그러면 관통홀(h)이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정확하게 형성될 것이다. 6B, after the guide tray 10 and the inner tray 20b are coupled to each other, a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marked portion A of the guide tray 10 so as to penetrate to the inner tray 20b. h). Then, the through hole h will be accurately formed at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이어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10)와 내부 트레이(20b)가 한 몸체를 이룬 상태에서 가이드 트레이(10)의 치아수용부(11)에 인상재를 채운다. 이 때 인상재는 인상재 캐치부(21)에 의해 내부 트레이(20b)에 강하게 붙들리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6C, the impress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tooth receiving portion 11 of the guide tray 10, with the guide tray 10 and the inner tray 20b being one body. At this time, the impression material is strongly held on the inner tray 20b by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21. [

이 과정에서 한편으로는 코핑 스크류(103)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픽스쳐(101)에 임프레션 코핑(102)을 설치한다. 가이드 트레이(10)를 설치하기 위한 도 6a의 과정 전에 이미 임프레션 코핑(102)의 설치과정이 선행될 수도 있다. In this process, on the other hand, an impression coping 102 is installed on the implant fixture 101 by using the coping screw 103.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impression coping 102 may be performed before the process of FIG. 6A for installing the guide tray 10.

내부 트레이(20b)가 설치된 가이드 트레이(10)에 인상재를 채울 때에 관통홀(h)을 통하여 인상재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쉽게 찢어지는 재질, 예컨대 비닐 등으로 관통홀(h)이 있는 부위를 커버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impress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guide tray 10 provided with the inner tray 20b, the through hole h is formed of a material easily tearable, for example, vinyl, as described above so as to prevent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leaking through the through hole h It is preferable to cover the area where the part is located.

다음에,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10)의 치아수용부(11)가 치아부에 물리도록 하여 본을 뜬다. 이 때 임프레션 코핑(102) 및 코핑 스크류(103)가 주위의 치아보다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임프레션 코핑(102) 및 코핑 스크류(13)가 관통홀(h)을 통하여 가이드 트레이(10)의 밖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6D, the tooth receiving portion 11 of the guide tray 10 is held by the tooth portion, and the bone is lifted. Since the impression copings 102 and the coping screws 103 are higher than the surrounding teeth at this time, the impression copings 102 and the coping screws 13 are inserted into the guide trays 10 through the through holes h. It will pop out.

이어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핑 스크류(103)를 풀고 한 몸체 상태의 가이드 트레이(10)와 내부 트레이(20b)를 들어내면 임플란트 픽스쳐(101)는 가만히 있고 임프레션 코핑(102)만 딸려오면서 인상재 내에 임프레션 코핑(102)이 박혀 있는 상태로 치아본이 떠진다. 6E, when the coping screw 103 is loosened and the guide tray 10 and the inner tray 20b in a single body are lifted, the implant fixture 101 is still and only comes with an impression coping 102 As the impression copings 102 are inserted into the impression material, the toothbrush drifts.

한편, 가이드 트레이(10) 뿐만 아니라 내부 트레이(20b)도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면,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파악함에 있어서 가이드 트레이(10)만을 먼저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 트레이(10)와 내부 트레이(20b)가 한 몸체를 이룬 상태에서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파악하는 작업과 본뜨는 작업이 모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If the inner tray 20b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s well as the guide tra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tray 10 need not be used separately before grasping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That is, both the operation of grasping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in the state where the guide tray 10 and the inner tray 20b are formed as one body, and the operation of performing this operation can be performed.

이렇게 내부 트레이(20b)까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가이드 트레이(10)와 내부 트레이(20b)가 반드시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일체형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When the inner tray 20b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guide tray 10 and the inner tray 20b need not necessarily be removably fastened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실시예 4][Example 4]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트레이 몸체(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plant lifting tray 1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y body 100 of FIG.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의 트레이 몸체(100)는 바닥에 개방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부(111)를 막도록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재(112)가 트레이 몸체(100)의 바닥에 설치된다. 바닥부재(112)는 임프레션 코핑(102) 및 코핑 스트류(103)가 쉽게 관통되어 나올 수 있도록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7 and 8, the tray body 100 of the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has an opening 111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a bottom member 111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cover the opening 111, (112)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tray body (100). The bottom member 112 is preferably made of a vinyl material so that the impression copings 102 and the coring strips 103 can easily penetrate.

트레이 몸체(100)의 바닥 윗부분에는 인상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인상재 수용부(105)가 형성된다. 수용부 측벽(104)의 내측에는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상재 캐치부(121)는 좌우양옆과 윗부분은 막히고 아랫부분은 개방되어 있는 오목홈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상재 캐치부(121)가 상기 오목홈 형상으로 옆으로 복수개 형성될 경우 인접한 오목홈 형상들은 캐치부 측벽(122)을 공유하게 될 것이다.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105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ray body 100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can be received. It is preferable that an impression material catching portion 121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side wall 104.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art 121 preferably has a concave groove shape in which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side are closed and the lower part is open. When a plurality of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s 121 are formed laterally in the concave groove shape, the adjacent concave groove shapes will share the catch portion side wall 122.

캐치부 측벽(122)은 단면이 사각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4실시예에서는 일정한 두께를 가져서 그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을 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atch portion side wall 122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catch portion side wall 122 has a certain thickness and its cross section has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캐치부 측벽(122)은 참조부호 t1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인상재 수용부(105)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캐치부 측벽(122)의 말단과 인상재 수용부(105) 바닥 사이의 틈에 인상재가 끼어들어가게 되어 인상재가 캐치부 측벽(122)에 의해서도 더욱 강하게 붙들리게 된다. 또한 인상재가 치아에 가압되면서 눌려 밀착되기 때문에 치아의 형태가 더 정확하게 나오게 된다.
The catch portion side wall 122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105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t1. The impression material is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end of the catch part side wall 122 and the bottom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art 105,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more strongly caught by the catch part side wall 122 as well. In addition, since the impression material is pressed against the teeth, the shape of the teeth is more accurately obtained.

[실시예 5][Example 5]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트레이 몸체(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y body 100 of FIG.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는 캐치부 측벽(122)의 단면이 사각 형상을 하되, 수용부 측벽(104) 쪽의 두께가 더 가늘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한다는 점에서 제4실시예와 차이가 난다. 이렇게 개치부 측벽(122)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하면 인상재가 인상재 캐치부(121)에 더 강하게 붙들려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9 and 10, the fifth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fth embodiment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catch portion side wall 122 is a quadr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catch portion side wall 104 is trapezoidal,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The trapezoidal cross section of the opening portion side wall 122 is preferable because the impression material is more strongly caught in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121.

[실시예 6][Example 6]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은 도 11의 트레이 몸체(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plant impression taking tray 1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y body 100 of FIG.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6실시예는 캐치부 측벽(122)이 수용부 측벽(104)에서 참조부호 t2로 표시한 바와 같이 약간 들뜨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4 및 제5 실시예와 차이가 난다. 그러면 캐치부 측벽(122)과 수용부 측벽(104) 사이의 들떠있는 틈(t2)으로 인상재가 끼어들어가게 되어, 인상재가 캐치부 측벽(122)에 의해서도 더욱 강하게 붙들릴 뿐만 아니라 인상재가 치아에 가압되면서 눌려 밀착되기 때문에 치아의 형태가 더 정확하게 나오게 된다. 11 and 12, the sixth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in that the catch portion side wall 122 is slightly bulky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t2 in the receiving portion side wall 104 There is a difference. This allows the impression material to engage with the clearance t2 between the catch portion side wall 122 and the receiving portion side wall 104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more strongly held by the catch portion side wall 122 as well as the impression material is pressed So that the shape of the teeth can be more accurately obtained.

[실시예 7][Example 7]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내부트레이(2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plant lifting tray 1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ner tray 220 of FIG.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1)는 외부 트레이(210)와 내부 트레이(220)를 포함하며, 외부 트레이(210)와 내부 트레이(220)의 바닥 각각에는 개방부(201)가 형성된다. 13 and 14, the implant lifting tray 1 includes an outer tray 210 and an inner tray 220, and has an opening (not shown) on the bottom of the outer tray 210 and the inner tray 220, A portion 201 is formed.

외부 트레이(210)의 개방부(201) 또는 내부 트레이(220)의 개방부(201)를 막도록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재가 설치되는데, 도 13에서는 이러한 바닥부재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상기 바닥부재는 내부 트레이(220)의 안쪽에 설치되거나, 내부 트레이(220)와 외부 트레이(210) 사이에 설치되거나, 외부 트레이(210)의 바깥쪽에 설치될 수 있다. A bottom memb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provided to cover the opening 201 of the outer tray 210 or the opening 201 of the inner tray 220. In FIG. The bottom memb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ner tray 220 or between the inner tray 220 and the outer tray 210 or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outer tray 210.

내부 트레이(220)에는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2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상재 캐치부(221)는 관통홀, 단턱부, 또는 돌출부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제7실시예에서는 관통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내부 트레이(220)에 관통홀이 형성되더라도 이러한 관통홀 형성부위가 외부 트레이(210)에 의해 막혀있으므로 인상재가 밖으로 흘러내리지는 않는다. The inner tray 2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221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art 22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hrough hole, a step, or a protrusion.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art 221 is realized as a through hole. Even if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ner tray 220, the through hole forming portion is blocked by the outer tray 210,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does not flow out.

1: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10: 가이드 트레이
11: 치아수용부 12: 손잡이
13: 가이드 표식부 13a, 23a: 숫자표시부
13b, 23b: 중심표시부 13c, 23c: 구간표시부
20: 인상 트레이 20a: 외부 트레이
20b: 내부 트레이 21, 121, 221: 인상재 캐치부
22, 105: 인상재 수용부 23: 관통위치 표시부
24: 걸침부 25: 후크
100: 트레이 몸체 101: 임플란트 픽스쳐
101': 기공용 아날로그(lab analog, 101') 102: 임프레션 코핑
103, 103': 코핑 스크류 104: 수용부 측벽
110: 복제석고모형 111, 201: 개방부
112: 바닥부재 122: 캐치부 측벽
210: 외부 트레이 220: 내부트레이
A: 마킹
t1: 캐치부 측벽(122)과 인상재 수용부(105) 바닥 사이의 틈
t2: 캐치부 측벽(122)과 수용부 측벽(104) 사이의 틈
1: Implant impression tray 10: Guide tray
11: tooth receiving part 12: handle
13: guide marking parts 13a, 23a: numeric display part
13b, 23b: center display portions 13c, 23c:
20: Raised tray 20a: External tray
20b: inner tray 21, 121, 221: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22, 105: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23: through position display portion
24: hooks 25: hooks
100: Tray body 101: Implant fixture
101 ': lab analog (101') 102: Impression coping
103, 103 ': Coating screw 104:
110: Clone plaster model 111, 201: Open section
112: bottom member 122: catch portion side wall
210: External tray 220: Internal tray
A: Marking
t1: a clearance between the catch portion side wall 122 and the bottom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105
t2: a gap between the catch portion side wall 122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side wall 104

Claims (19)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에 사용되는 가이드 트레이로서,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As a guide tray used in an implant impression tray,
Wherein a guide marking portion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be able to grasp a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when the implant fixture is installed in a tooth portion of the oral cavity and a positional coordinate at which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can be expressed.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트레이; 및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치아부에 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표식부에 의해서 표현되는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곳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표식부에 매칭되는 관통위치 표식부가 형성되는 인상 트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A guide tra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a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when the implant fixture is installed in a tooth part of the oral cavity can be grasped and a guide marking part can be formed to express the position coordinates at which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And
The implant fix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uide fixture is mounted on the tooth portion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tray so as to protrude a por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A pull-up tray on which a penetrating position marking portion matched with the guide marking portion is formed; And an impression holding tray for holding the impres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 트레이는 외부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로 구분되고, 상기 내부 트레이에는 인상재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The impression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mpression tray is divided into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and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so as not to fall off is formed on the inner tray.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부 트레이의 역할을 겸하는 가이드 트레이; 및
상기 가이드 트레이를 통하여 확인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함께 관통홀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트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가 한 몸체로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는 인상 트레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A guide tra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serving also as an outer tra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can be grasped when the implant fixture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And
An inner tray installed inside the guide tray so as to form a through hole together with the guide tray with respect to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identified through the guide tray; And,
Wherein the guide tray and the inner tray serve as a lifting tray for lifting a por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as one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에는 인상재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The impression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inner tray is provided with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so as not to fall of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The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nner tray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하기 위한 가이드 표식부가 상기 가이드 트레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5. The impression taking tray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guide marking unit is formed on the guide tray for expressing the position coordinates at which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바닥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 및
상기 개방부를 막도록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바닥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A tray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bottom thereof; And
A bottom member of a transparent material installed to close the opening; And an impression holding tray for holding the impress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가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The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bottom member is made of a vinyl materi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몸체의 바닥 위부분에 인상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몸체에 인상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내측에는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n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tray body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can be receiv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tray body, and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Implant Impression Tra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재 캐치부가 좌우 양옆 및 윗부분은 막히고 아랫부분은 개방되는 오목홈 형상을 하도록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11. The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ing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ing portion has a concave groove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portion are closed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재 캐치부가 상기 오목홈 형상으로 옆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의 측벽을 의미하는 캐치부 측벽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The impression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 plurality of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s are formed laterally in the concave groove shape, and the side wall of the catch portion, which means the side wall of the concave groove,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부 측벽이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가늘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13. The impression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catch portion side wall has a trapezoidal cross-section that is tapered toward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부 측벽이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에서 들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13. The impression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catch portion side wall is formed so as to be lifted from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부 측벽이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The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ide wall of the catch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 바닥 각각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트레이의 개방부 또는 외부 트레이의 개방부를 막도록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Wherein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inner tray and the outer tray bottom and a bottom memb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provided to cover the opening portion of the inner tray or the opening portion of the outer tray, Implant Impression Tra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가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17. The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bottom member is made of a vinyl materia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에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The impression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an impression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on the inner tray is form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재 캐치부가 상기 내부 트레이의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The impression impression receiving tray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impression catch part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on a side wall of the inner tray.
KR1020150069922A 2014-05-28 2015-05-19 Tray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 and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KR2016013613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922A KR20160136133A (en) 2015-05-19 2015-05-19 Tray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 and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PCT/KR2015/005358 WO2015183012A1 (en) 2014-05-28 2015-05-28 Dental impression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922A KR20160136133A (en) 2015-05-19 2015-05-19 Tray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 and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133A true KR20160136133A (en) 2016-11-29

Family

ID=5770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922A KR20160136133A (en) 2014-05-28 2015-05-19 Tray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 and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13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615A1 (en) * 2018-12-26 2020-07-02 주식회사 임솔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preliminary guide for manufacturing same, and guide tray
WO2020256187A1 (en) * 2019-06-17 2020-12-24 주식회사 지니덴탈 Multifunc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CN113226217A (en) * 2018-12-26 2021-08-06 林松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 guide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a dental implant, preliminary guide device and guide tray for producing such a guide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a dental impla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615A1 (en) * 2018-12-26 2020-07-02 주식회사 임솔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preliminary guide for manufacturing same, and guide tray
CN113226217A (en) * 2018-12-26 2021-08-06 林松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 guide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a dental implant, preliminary guide device and guide tray for producing such a guide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a dental implant
CN113226217B (en) * 2018-12-26 2022-07-26 林松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 guide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a dental implant, preliminary guide device and guide tray for producing such a guide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a dental implant
US11622838B2 (en) 2018-12-26 2023-04-11 Imsol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and preliminary guide and guide tray therefor
WO2020256187A1 (en) * 2019-06-17 2020-12-24 주식회사 지니덴탈 Multifunc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KR20200144009A (en) * 2019-06-17 2020-12-28 (주)지니덴탈 Dental impression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6023A1 (en) Method for pre-operative visualization of instrumentation used with 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US7018207B2 (en) Dental implant analog having retention groove for soft tissue modeling
US20220338962A1 (en) Method of identification of positioning of an implant for dental restoration
ES2929618T3 (en) Healing element for a dental restoration
US8535055B2 (en)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dental implant drilling guides
KR20160136133A (en) Tray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 and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US20120251974A1 (en) Method and kit for dental implant drilling guides
US20100003634A1 (en) Orthodontic implant device
KR102612186B1 (en) Assembly for tooth restoration
US20200163620A1 (en) Dental appliance for use in supporting sensing devices within an oral cavity
WO2006006923A1 (en) Dental implanting system, a device and a method
KR101312787B1 (en) Drill indicator for implant
ES2965219T3 (en) Tooth healing element
EP3067012A1 (en)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 dental prosthesis, and custom dental prosthesis
US8074799B2 (en) Holding tray
KR102653126B1 (en) Teeth Restoration Methods
KR20150033995A (en) Dental Implant Apparatus
KR101455067B1 (en) Processing member for implant surgical guiding hole
WO2013138308A1 (en) Method and kit for dental implant drilling guides
KR20210083576A (en) A dentes implant assembly
BR102017024445B1 (en) MULTIFUNCTIONAL Abutment APPLIED IN IMPLANT odontology
WO2008119846A1 (en) Master model with reinforced detachable stump for dental pro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IT201600068763A1 (en) TOOL SET WITH MONOPHASIC DENTAL SYSTEMS WITH INCLINED AXIS
BR102014023130A2 (en) creation of implant-shaped analog for dental die
ES1077876U (en) Appendix for the printing in dental implantology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