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009A - Dental impression tray - Google Patents

Dental impression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009A
KR20200144009A KR1020190071817A KR20190071817A KR20200144009A KR 20200144009 A KR20200144009 A KR 20200144009A KR 1020190071817 A KR1020190071817 A KR 1020190071817A KR 20190071817 A KR20190071817 A KR 20190071817A KR 20200144009 A KR20200144009 A KR 20200144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frame
hole
protrusion
frame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3222B1 (en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주)지니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니덴탈 filed Critical (주)지니덴탈
Priority to KR102019007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222B1/en
Priority to PCT/KR2019/007429 priority patent/WO2020256187A1/en
Publication of KR2020014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2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used to create a mold of teeth or gum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anitary multifunc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which is manufactured to maximally prevent leakage of impression materials and to enable implant holes, which a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n inner tray that supports the teeth and performing an artificial tooth implantation surgical procedure, to be conveniently formed.

Description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DENTAL IMPRESSION TRAY}Multifunc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DENTAL IMPRESSION TRAY}

본 발명은 치아나 잇몸의 형상을 본뜨기 위해 사용되는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상재의 누출을 최대한 방지하고, 치아를 지지하는 내부 트레이의 탈착 및 인공치아 식립 시술을 위한 홀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제작된 위생적인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used to imitate the shape of a tooth or gum,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leakage of the impression material as much as possible, and a hole for desorption of the inner tray supporting the tooth and implantation of artificial teeth. It relates to a hygienic dental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manufactured to easily form.

일반적으로 사람의 구강은 잇몸과 치아로 구성되는데, 치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충치로 인해서 치아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손상된 치아를 복원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손상된 치아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인공치아로 알려진 임플란트 시술 또는 보철 시술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교정치료 등의 목적으로 치열 구조에 대한 형상을 본떠서 교정치료계획을 세워 진행하는 과정을 갖는다.In general, a person's oral cavity is composed of gums and teeth, and there are cases in which teeth are damaged due to caries in the process of using teeth. As one of the methods for restoring or treating the damaged tooth, the damaged tooth is removed, and an implant procedure known as an artificial tooth or a prosthetic procedure is performed thereon.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orthodontic treatment, etc.,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orthodontic treatment plan after the shape of the dental structure is carried out.

이와 같은 시술을 수행하기 위해 구강내 모양을 만드는 과정은 인상재를 이용하여 인상 채득 과정을 거쳐 구강내의 잇몸과 치아의 모형을 만든다. 이 때 인상재를 이용하여 인상 채득을 하기 위해서는 치과용 기구중 하나인 치과용 인상 트레이가 사용된다. In order to perform such a procedure, the process of creating a shape in the oral cavity is to make a model of the gums and teeth in the oral cavity through the process of taking an impression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At this time, in order to take an impression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a dental impression tray, which is one of the dental instruments, is used.

종래의 치과용 인상 트레이는 트레이 전체가 금속재로 일체형으로 구성되면서 인상재(印象材)를 수용하기 위한 인상재 수용부 및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형상을 유지와 인상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In the conven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the entire tray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n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main body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and preventing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flowing down. It consists of a handle part provided.

상기의 종래 인상 트레이는 인상재를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 어렵고, 멸균과 소독을 하여 보관한 후 재사용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위생적인 측면에서 꺼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impression tray, the process for removing the impression material is difficult, and after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are stored and reused, there is a problem of being reluctant in terms of hygiene.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인상 트레이가 개시되었지만, 치아 자국이 음각된 인상재가 트레이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트레이와 인상재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인상재의 변형으로 인해 정밀한 치아 형상을 채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n impression tray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s been recently disclosed, but the impression material with engraved teeth marks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so it is difficult to obtain a precise tooth shap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material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tray and the impression material. There were difficultie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내부 트레이의 간편한 탈착이 가능하여 치아 형상을 본뜨기 위한 시술시 트레이의 탈착이 용이함은 물론 인공치아 식립을 위해 잇몸에 식립되는 임플란트핀의 위치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ygienic use is possible, and easy detachment of the inner tray is possible, so that the tray can be easily detached during a procedure to emulate the shape of teeth, as well as to the gums for artificial tooth placem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that can easily set the position of an implant pin to be placed.

본 발명의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는 구강의 치아의 형상을 채득하기 위해 상악과 하악에 각각 사용되며, 치아의 형상을 본뜨기 위한 인상재가 수용될 수 있다. The dental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each of the upper and lower jaws to acquire the shap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and an impression material for imitating the shape of the teeth may be accommodated.

본 발명의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는 인상재가 충진되는 충진공간(S)이 형성되도록 중공되며, 상기 충진공간(S)으로 치아가 삽입되도록 상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측과 대칭을 이루는 일측에 개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개방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이 개방되도록 함입 형성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상기 개방홀에 탈부착되어 상기 개방홀을 개폐하고, 가장자리에 상기 장착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for dentist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llow to form a filling space (S) into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is filled, and the upper side is opened so that the teeth are inserted into the filling space (S), and is opened on one side that is symmetric with the opened upper side. An outer frame having a hole formed therethrough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recessed to open one side along an edge of the open hole; And an inner frame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en hole of the outer frame to open and close the open hole, and a coupling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mounting groove at an edge is formed to protrude.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개방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일측면이 안착되면서 내부프레임을 탄성지지하는 지지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frame may include a support rod disposed in the open hole to elastically support the inner frame while one side of the inner frame is seated.

또한, 상기 장착홈은 상기 내부프레임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내부프레임을 삽입 반대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장착홈에 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groove is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ner frame, an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the support rod pushes the inner fram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mounted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또한, 상기 충진공간(S)으로 치아가 삽입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외부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되어 일측에 파지가 가능한 파지부가 형성되는 견인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duce the teeth to be inserted into the filling space (S), it may further include a traction rod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frame to form a gripping portion capable of gripping on one side.

또한, 상기 견인로드는 상기 외부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단에 상기 견인로드와 일체로 회전하는 견인 지지로드가 구비되되, 상기 견인로드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견인 지지로드가 상기 내부프레임의 일측면을 가압 또는 해제하여 상기 내부프레임의 탈부착을 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ction rod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frame, a traction support rod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traction rod is provided at one end, the traction support ro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raction rod By pressing or releasing one side of the inner frame, it is possible to assist in attaching and detaching the inner frame.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내부프레임을 관통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홀커버; 및 상기 홀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바 형상의 연결로드를 가지는 제1 내부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frame may include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inner frame; A hole cover covering the through hole; And a first inner frame having a bar-shaped connection rod connecting an edge of the hole cover and an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내부프레임을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홀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홀커버의 측면에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에는 상기 홀커버이 회전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에는 내측면을 따라 점차적으로 상기 관통홀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밀착돌기 및 상기 밀착돌기의 끝단에 상기 홀커버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홀커버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밀착돌기를 가압하면서 상기 관통홀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frame include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inner frame and a hole cover covering the through hole, a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hole cover, and the hole co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frame. A through hole is formed, wherein a contact protrusion formed to gradually narrow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a locking protrusion preventing rotation of the hole cover are formed at an end of the contact protrusion, and the The hole cover may be fixed to the through hole while the fastening protrusion presses the contact protrusion as it rotates.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은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홀과 상기 내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필름을 가지는 제2 내부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frame may include a second inner frame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disposed between the open hole and the inner frame to cl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 hole.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은 내측면에 상기 내부프레임의 삽입 시 상기 결합돌기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삽입위치를 안내해주는 위치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가장자리에는 위치안내돌기가 삽입되는 위치안내홈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frame has a guide rod for guid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when the inner frame is inserted, and a position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inner frame protrud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hole. It is formed, and a location guide groove into which a location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may be recessed at an edge of the inner frame.

본 발명은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며, 내부프레임만 교체하여 계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인상재의 간편한 제거 및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임플란트핀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홀커버의 간편한 탈착방법으로 인한 시술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separate and combine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and by replacing only the inner frame, the impression material can be easily removed and used, and the hole cover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implant pin can be easily removed.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provided by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의 결합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견인로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내부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의 결합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프레임 및 외부 프레임과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mbination of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raction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n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bination of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of Figure 6;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mbination of an inner frame and an oute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for dentistr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in consideration of only ease of writ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impart a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by themselves. Therefore,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When such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an actual application,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elem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replaced by descriptions of the above-described elements and may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형상, 구조, 기능, 및 특성의 일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embodiments indicated here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mutually exclusive. One embodiment of a specific shape, structure, function, and characteristic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the components mention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an perform all fun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본 발명은 구강의 치아의 형상을 채득하기 위해 상악 및 하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사용되며, 치아 또는 잇몸의 형상을 본뜨기 위한 인상재가 수용되어 구강 내에 삽입되는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which is used for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jaws in order to acquire the shap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and is accommodated and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with an impression material for imitating the shape of the teeth or gums.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의 결합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견인로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내부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bination of an outer frame and an inn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raction rod, and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n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는 하악에 장착되는 하악 트레이(1000)와 상악에 장착되는 상악 트레이(100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1 and 2, the dental multi-function impression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ne of a mandibular tray 1000 mounted on the lower jaw and a maxillary tray 1000 ′ mounted on the upper jaw.

상악 트레이(1000)와 하악 트레이(1000') 중 어느 하나인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는 외부프레임(100, 100'), 및 내부프레임(200, 20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프레임은 합성수지, 금속, 또는 그 조합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dental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which is one of the maxillary tray 1000 and the mandibular tray 1000', may include outer frames 100 and 100', and inner frames 200 and 200'. Each frame can be made of synthetic resin, metal, or a combination thereof.

외부프레임(100)은 치아의 배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외부프레임(100)은 'U'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프레임(100)의 내부는 인상재 충진공간(S)이 형성되도록 중공될 수 있다. 외부프레임(100)은 충진공간(S)으로 치아가 삽입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부프레임(100)은 좌우측 끝단의 측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충진공간(S)에 치아가 삽입될 수 있다.The outer frame 1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eeth.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frame 100 has a'U' shape.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100 may be hollow to form an impression material filling space (S). The outer frame 100 may have an open upper side so that the teeth are inserted into the filling space S. The outer frame 10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side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ends are op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tooth may be inserted into the filling space (S).

외부프레임(100)은 그 측면에 외부프레임(100)의 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은 연성의 충진된 인상재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치아 삽입시 인상재가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하여 인상재 압력이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The outer frame 100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side of the outer frame 100 on its side. This through hole stably accommodates the soft-filled impression material, and allows the impression material to go out when teeth are inserted,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pressure is lowered.

외부프레임(100, 100')은 개방홀(110, 110')을 구비할 수 있다.The outer frames 100 and 100 ′ may have open holes 110 and 110 ′.

개방홀(110)은 외부프레임(100)의 개방된 상측과 대칭을 이루는 일측인 외부프레임(100)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open hole 110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0, which is one side symmetrical with the open upper side of the outer frame 100.

내부프레임(200)은 외부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The inner frame 200 may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0.

내부프레임(200)은 외부프레임(100)의 개방홀(11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200)은 개방홀(110)에 탈부착되면서, 개방홀(110)을 개폐할 수 있다. 시술자는 개방홀(110)에 내부프레임(200)을 장착하고 인상재를 충진하여, 충진공간(S)에 인상재를 수용할 수 있으며 수용된 인상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ner frame 20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en hole 110 of the outer frame 100. The inner frame 200 may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open hole 110 to open and close the open hole 110. The operator may install the inner frame 200 in the open hole 110 and fill the impression material, thereby accommodating the impression material in the filling space S, and prevent leakage of the received impression material.

내부프레임(200)은 관통홀(200H), 및 홀커버(210)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ner frame 200 may include a through hole 200H and a hole cover 210.

관통홀(200H)은 내부프레임(20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200H may be formed through the inner frame 200.

홀커버(210)은 관통홀(200H)을 커버할 수 있다. 홀커버(210)는 관통홀(200H)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커버(210)는 내부프레임(200)에 관통홀(200H)을 형성하기 위해, 내부프레임(200)(또는, 관통홀(200H))에 탈부착될 수 있다.The hole cover 210 may cover the through hole 200H. The hole cover 210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200H. The hole cover 21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frame 200 (or the through hole 200H) in order to form the through hole 200H in the inner frame 200.

홀커버(210) 및 관통홀(200H)은 다양한 방법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The hole cover 210 and the through hole 200H may be attached and detached in various ways.

일례로, 홀커버(210) 및 관통홀(200H)은 내부프레임(200)에 구비된 연결로드(210-1)에 의해 탈부착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le cover 210 and the through hole 200H may be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connection rod 210-1 provided in the inner frame 200.

연결로드(210-1)는 홀커버(210)의 가장자리와 관통홀(200H)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바 형상일 수 있다. 연결로드(210-1)는 한 쌍의 홀커버(210)와 관통홀(200H)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 바를 2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rod 210-1 may have a bar shape connecting the edge of the hole cover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00H.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rod 210-1 includes two or more connection bars connecting the pair of hole covers 210 and the through hole 200H.

홀커버(210) 및 연결로드(210-1)의 두께는 홀커버(21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연결로드(210-1)의 두께는 홀커버(210)의 두께 보다 작은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홀커버(210) 제거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The thickness of the hole cover 210 and the connection rod 210-1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ole cover 210.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rod 210-1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ole cover 210, because it is more advantageous in removing the hole cover 210 to be described later.

관통홀(200H) 및 홀커버(210)는 그 동심이 치아의 중심과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홀(200H) 및 홀커버(210) 쌍은 다수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 hole 200H and the hole cover 210 are arranged such that their concentricity is close to the center of the tooth.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the through hole 200H and the hole cover 21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irs.

시술자가 다수의 홀커버(210) 중 어느 하나의 홀커버(210)을 제거하여 관통홀(200H)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술자는 연결로드(210-1)를 쉽게 끊는 동작으로 홀커버(210)를 관통홀(200H)에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The operator may remove any one hole cover 210 of the plurality of hole covers 210 to open the through hole 200H. For example, the operator may remove the hole cover 210 from the through hole 200H by an operation of easily breaking the connection rod 210-1.

도 5를 참조하면, 홀커버(210) 및 관통홀(200H)의 탈부착의 다른 예로, 홀커버(210)는 내부프레임(200)과 회전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s another examp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hole cover 210 and the through hole 200H, the hole cover 210 may be rotationally coupled to the inner frame 200.

이를 위해, 홀커버(210)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체결돌기(2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211)는 내부프레임(200)의 관통홀(200H)이 배치된 부분과 나사 결합 및/또는 억지 끼움 결합을 할 수 있다.To this end, a pair of fastening protrusions 211 may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hole cover 210. The fastening protrusion 211 may be screwed and/or force-fitted with a por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200H of the inner frame 200 is disposed.

내부프레임(200)은 관통홀(200H)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밀착돌기(203)를 구비할 수 있다. 밀착돌기(203)는 관통홀(200H)의 한 쪽 원주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관통홀(200H)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frame 200 may include a contact protrusion 203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00H. The contact protrusion 203 may be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00H gradually decreas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200H.

홀커버(210)가 일측으로 회전하면, 홀커버(210)의 체결돌기(211)가 밀착돌기(203)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억지 끼움 또는 나사 체결 방식과 같은 체결돌기(211)와 밀착돌기(203)의 결합에 의해, 홀커버(210)는 내부프레임(200)에 고정되어 부착될 수 있다.When the hole cover 210 rotates to one side, the fastening protrusion 211 of the hole cover 210 may be closely supported by the contact protrusion 203. The hole cover 210 may be fixed to and attached to the inner frame 200 by coupling the fastening protrusion 211 and the close contacting protrusion 203 such as force fitting or screwing.

내부프레임(200)은 밀착돌기(203)의 끝단에 걸림턱(204)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04)은 홀커버(210)이 더이상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The inner frame 200 may have a locking protrusion 204 formed at the end of the contact protrusion 203. The locking projection 204 may prevent the hole cover 210 from rotating any more.

홀커버(2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홀커버(210)는 내부프레임(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When the hole cover 21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hole cover 210 may be separated from the inner frame 200.

인상 채득시, 인상용 코핑(impression coping)이 사용될 수 있다. 인상용 코핑은 임플란트의 정확한 위치를 구강 외 모델에서 정확히 재현하기 위해 인상 채득시 임플란트의 위치를 지시하는 바, 스크류, 또는 그 조합 등을 의미한다. 코핑의 일단은 인상용 트레이 외부로 관통되는 경우가 많은데,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시술 위치를 눈으로 쉽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애, 시술자는 코핑이 돌출되는 부분의 트레이에 임플란트 홀을 인위적으로 공구를 이용하여 생성한다.When taking an impression, impression coping can be used. Impression coping refers to a bar, screw, or a combination thereof indicating the position of an implant when taking an impression in order to accurately reproduce the exact position of the implant in a model other than the oral cavity. One end of the coping is often penetrated outside the impression tray, in order for the operator to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with the eye. For this, the operator artificially creates an implant hole in the tray where the coping protrudes using a tool.

본 실시예에서, 개방된 관통홀(200H)은 인상용 코핑의 일단이 내부프레임(200)을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ned through hole 200H may allow one end of the impression coping to penetrate the inner frame 200.

연결로드(210-1) 제거 또는, 체결돌기(211)와 밀착돌기(203)의 분리를 통해, 인상용 코핑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200H)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이의 바닥면을 닛퍼 등으로 제거하는 기존의 경우 필요한 부분 보다 더 넓게 관통홀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미리 가공된 관통홀(200H)은 적절한 관통 면적을 제공하여 불필요하게 관통 부분이 더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절한 관통 면적은 인상재가 트레이 외부로 과다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인상 채득을 할 수 있다.By removing the connecting rod 210-1 or separating the fastening protrusion 211 and the contact protrusion 203, a through hole 200H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coping can pass can be easily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is removed with a nipple, etc., through holes are formed wider than necessary parts, wherea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pre-processed through holes 200H provide an appropriate through area to penetrate unnecessarily. It is possible to prevent further formation of the part. An appropriate penetration area prevents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being excess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ray, so that an accurate impression can be obtained.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는 견인로드(300, 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may further include traction rods 300 and 300'.

견인로드(300)는 외부프레임(100)의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외부프레임(100)이 구강내에 삽입되었을 때 견인로드(300)는 구강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부프레임(100)은 좌우측 끝단을 기준으로 외부프레임(100)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ction rod 300 may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frame 100. When the outer frame 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e traction rod 300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frame 100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ends so that the traction rod 300 remain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Do.

견인로드(300)의 일측에는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310)를 구비 수 있다. 시술자는 파지부(310)을 파지한 상태로 외부프레임(100)을 구강 내에 삽입하여 충진공간(S)으로 치아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traction rod 300 may be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310 capable of being gripped by the operator. The operator may insert the outer frame 100 into the oral cavity while holding the gripping portion 310 so that the teeth are inserted into the filling space S.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부프레임(100)은 장착홈(111)을 구비하고, 내부프레임(200)은 결합돌기(201)를 구비할 수 있다.1 and 3, the outer frame 100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111, and the inner frame 200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201.

장착홈(111)은 개방홀(110)의 가장자리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111)의 개방된 일측은 외부프레임(100)의 하측방향으로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홈(111)은 개방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111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so that one side is opened at the edge of the open hole 110. It is preferable that an open side of the mounting groove 111 is open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100.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11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open hole 110

결합돌기(201)는 내부프레임(200)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01)는 장착홈(111)에 끼워질 수 있다. 결합돌기(201)가 장착홈(111)에 끼워지면서 내부프레임(200)과 외부프레임(100)이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200)이 개방홀(110)에 지지되어, 내부프레임(200)이 외부프레임(10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20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inner frame 200. The coupling protrusion 201 may be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11. As the coupling protrusion 201 is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11, the inner frame 200 and the outer frame 100 may be strongly coupled. Since the inner frame 200 is supported by the open hole 110, the inner frame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er frame 100.

외부프레임(100)은 내측면에 배치되는 가이드로드(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outer frame 1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od 120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가이드로드(120)는 내부프레임(200)이 외부프레임(100)의 개방된 상측으로 삽입 시 결합돌기(201)의 결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결합돌기(201)는 가이드로드(120)에 접촉되면서 장착홈(111)으로 안내될 수 있다.The guide rod 120 may guide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201 when the inner frame 200 is inserted into the open upper side of the outer frame 100. The coupling protrusion 201 may be guided to the mounting groove 111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guide rod 120.

가이드로드(120)는 장착홈(111)의 좌우측 끝단에 한쌍의 가이드 벽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01)는 가이드로드(120)의 이격된 한쌍의 가이드 벽 사이로 유입되면서 내부프레임(200)의 삽입위치를 안내 받을 수 있다.The guide rod 120 may be formed to form a pair of guide walls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mounting groove 111. The coupling protrusion 201 may be guided to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inner frame 200 as it flows into between a pair of guide wall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od 120.

개방홀(110)의 내측면에는 내부프레임(200)의 삽입위치를 안내해주는 위치안내돌기(1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200)의 가장자리에는 위치안내돌기(112)가 삽입되는 위치안내홈(290)이 함입형성 될 수 있다.A position guide protrusion 112 for guid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inner frame 200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side of the open hole 110. A location guide groove 290 into which the location guide protrusion 112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inner frame 200.

위치안내돌기(112) 및 위치안착홈(290)은, 내부프레임(200)이 개방홀(110)에 삽입될 때 어긋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position guide protrusion 112 and the position seating groove 290 may be prevented from shifting when the inner frame 200 is inserted into the open hole 110.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외부프레임(100)은 개방홀(110)에 배치되어, 개방홀(110)을 가로지르는 지지로드(130)를 구비할 수 있다.1 to 2, the outer frame 100 may be disposed in the open hole 110 and may have a support rod 130 crossing the open hole 110.

내부프레임(200)이 개방홀(110)에 끼워지면, 내부프레임(200)의 일측면이 지지로드(130)의 일측면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로드(130)는 안착된 내부프레임(200)을 지지할 수 있다.When the inner frame 200 is inserted into the open hole 110, one side of the inner frame 200 may be sea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rod 130. The support rod 130 may support the seated inner frame 2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착홈(111)의 개방되는 방향은 내부프레임(200)의 삽입방향(A)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결합돌기(201)가 장착홈(111)에 삽입되면, 지지로드(130)는 내부프레임(200)을 삽입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용할 수 있다. 장착홈(111)의 개방되는 방향이 지지로드(130)가 작용하는 힘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돌기(201)는 장착홈(111)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프레임(200)이 견고하게 개방홀(110)에 고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mounting groove 111 may be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A of the inner frame 200.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01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11, the support rod 130 may exert a force pushing the inner frame 2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on. Since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mounting groove 111 is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ce acting by the support rod 130, the coupling protrusion 20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groove 111. Accordingly, the inner frame 200 may be firmly fixed to the open hole 110.

지지로드(1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로드(130)는 외부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rod 13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support rod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frame 100.

도 4를 참조하면, 견인로드(300)는 외부프레임(10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견인로드(300)는 별도의 회전축에 지지되는 힌지결합으로 외부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traction rod 30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frame 10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raction rod 30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frame 100 by hinge coupling supported on a separate rotation shaft.

견인로드(300)는 견인 지지로드(3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traction rod 300 may further include a traction support rod 320.

견인 지지로드(320)는 견인로드(300)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견인로드(30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견인 지지로드(320)가 일방향 끝에 배치된 경우, 견인 지지로드(320)는 내부프레임(200)을 지지할 수 있다.The traction support rod 3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raction rod 300 and may rotate integrally with the traction rod 300. When the traction support rod 320 is disposed at the end in one direction, the traction support rod 320 may support the inner frame 200.

견인 지지로드(320)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내부프레임(200)의 일측면을 가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또는 해제로, 견인 지지로드(320)는 내부프레임(200)의 탈부착을 보조할 수 있다. 견인 지지로드(320)가 내부프레임(200)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방향은 장착홈(111)의 개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이다. 이렇기 때문에 견인 지지로드(320)가 내부프레임(200)을 가압하도록 견인로드(300)가 회전하면, 결합돌기(201)가 장착홈(111)에 더욱 밀착되면서 내부프레임(20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The traction support rod 320 may press or release one side of the inner frame 200 according to its rotation direction. With this pressurization or release, the traction support rod 320 may assist in attaching and detaching the inner frame 200.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ction support rod 320 presses one side of the inner frame 200 is opposite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mounting groove 111. Therefore, when the traction rod 300 rotates so that the traction support rod 320 presses the inner frame 200, the coupling protrusion 201 is more closely contacted with the mounting groove 111, making the inner frame 200 more robust. It is fixed properly.

내부프레임(200)은 견인 지지로드(320)가 안착되는 안착홈(20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202)은 견인 지지로드(320)의 끝단과 결합하는 걸림턱(202-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frame 200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groove 202 in which the traction support rod 320 is seated. The mounting groove 202 may have a protruding protruding protruding protrusion 202-1 coupled to the end of the traction support rod 320.

견인 지지로드(320)의 끝단에는 걸림턱(202-1)에 안착되는 걸림돌기(3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311)와 걸림턱(202-1)은 견인 지지로드(320)가 내부프레임(200)을 지지할 때 견인로드(30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 수 있다.At the end of the traction support rod 320, a locking protrusion 311 seated on the locking protrusion 202-1 may protrude. The locking protrusion 311 and the locking protrusion 202-1 may prevent the traction rod 300 from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traction support rod 320 supports the inner frame 200.

그리고, 본 발명의 외부프레임(100'), 내부프레임(200') 및 견인로드(300') 등은 각각 대응되는 외부프레임(100), 내부프레임(200) 및 견인로드(300)의 상세한 설명에 준한다.And, the outer frame 100 ′, the inner frame 200 ′, and the traction rod 300 ′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orresponding outer frame 100, the inner frame 200 and the traction rod 300, respectively Conforms to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의 결합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appearanc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bination of an outer frame and an inner frame of FIG. 6. See FIGS. 1 to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는 외부프레임(100), 및 내부프레임(400)을 구비할 수 있다.6 and 7, a dental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uter frame 100 and an inner frame 400.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는 견인로드(3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for dentistr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raction rod 300.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프레임(100) 및 견인로드(300)는 도 1 내지 도 5의 외부프레임(100) 및 견인로드(300)과 각각 대응된다.The outer frame 100 and the traction rod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rrespond to the outer frame 100 and the traction rod 300 of FIGS. 1 to 5,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프레임(400)은 도 1 내지 도 5의 내부프레임(200)과 상당 부분 대응된다. 예를 들어, 내부프레임(400)은 도 1 등의 내부프레임(200)의 결합돌기(201), 위치안착홈(290), 안착홈(202)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내부프레임(400)은 외부프레임(100)의 개방홀(110)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탈부착은 외부프레임(100)의 장착홈(111)과 내부프레임(400)의 결합돌기(201)에 끼움 결합으로 서로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부프레임(400)은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로드(120)에 지지될 수 있는 등, 도 1 내지 도 5의 관통홀(200H)과 홀커버(210)를 제외한 구성요소는 서로 대응된다.The inner fram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inner frame 200 of FIGS. 1 to 5 in a substantial part. For example, the inner frame 400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201 of the inner frame 200 of FIG. 1, a positioning groove 290, a seating groove 202,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nner frame 40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en hole 110 of the outer frame 100, and such detachment is performed by the coupling protrusion 201 between the mounting groove 111 of the outer frame 100 and the inner frame 400. ) Can be firmly bond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inner frame 400 may be supported by the guide rod 120 of the outer frame 100, and components other than the through hole 200H and the hole cover 210 of FIGS. 1 to 5 correspond to each other. do.

내부프레임(400)은 내부에 개구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410)는 개구부(410)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내부프레임(400)은 외곽에만 형성되는 테나 틀 형상일 수 있다.The inner frame 400 may have an opening 410 formed therein. The opening 410 occupies most of the opening 410, and the inner frame 400 may have a tena-frame shape formed only on the outer side.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는 필름(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may further include a film 450.

필름(450)은 내부프레임(400)과 외부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름(450)은 내부프레임(400) 및 외부프레임(100)의 면적 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450)은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The film 4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400 and the outer frame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450 has a larger area than the areas of the inner frame 400 and the outer frame 100. The film 450 may be a transparent material.

내부프레임(400)이 외부프레임(100)에 결합되면, 필름(450)은 내부프레임(400)과 외부프레임(100) 사이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필름(450)은 개방홀(110)과 개구부(410)를 폐쇄하여, 인장재를 수용할 수 있다. 필름(450)은 인장재가 일부 빠져 나오도록 하는 다수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inner frame 400 is coupled to the outer frame 100, the film 450 may be coupled between the inner frame 400 and the outer frame 100 in a force-fitting manner. In this case, the film 450 may accommodate the tension member by closing the open hole 110 and the opening 410. The film 450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tension member partially exits.

필름(450)은 인장재를 감싸안을 정도의 인장력을 가지되, 막대기나 뾰족한 부분에 쉽게 천공될 수 있는 필름 형상의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m 450 has a tensile force enough to wrap the tension member, but is preferably made of a film-shaped plastic or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can be easily perforated in a stick or pointed por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프레임 및 외부 프레임과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한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e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n inner frame and an oute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S. 1 to 7.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보 도면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는 하악에 장착되는 하악 트레이는 외부 프레임(100) 및 내부 프레임(500, 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악에 장착되는 상악 트레이는 본 하악 트레이와 대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8 to 11, the beam diagram is another dental multi-function impression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dibular tray mounted on the lower jaw may include an outer frame 100 and inner frames 500, 600. Although not shown, the maxillary tray mounted on the maxilla may correspond to the mandibular tray.

각 프레임은 합성수지, 금속, 또는 그 조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외부프레임(100)은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내부 프레임(500, 60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 수 있다.Each frame can be made of synthetic resin, metal,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outer frame 1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inner frames 500 and 6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도 8,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프레임(100)은 'U'자 형상을 가지고, 내부는 인상재 충진공간(S)이 형성되도록 중공될 수 있다. 외부프레임(100)은 개방홀(110)을 구비할 수 있는 등,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프레임(100)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7의 외부프레임(100)의 구성요소와 대부분 대응될 수 있다.8, 10, and 11, the outer frame 100 has a'U' shape, the inside may be hollow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filling space (S) is formed. The outer frame 100 may have an open hole 110, etc., and the components of the outer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outer frame 100 of FIGS. 1 to 7 I can.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프레임(100)은 프레임 안착턱(1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outer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rame seating protrusion 190.

프레임 안착턱(190)은 개방홀(110)의 안쪽 하방에 형성된 턱으로, 내부 프레임(500, 600)의 제1 및 제2 안착돌기(590, 690)를 안착시킬 수 있다. 프레임 안착턱(190)은 내부 프레임(500, 600)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The frame seating protrusion 190 is a protrusion formed below the open hole 110 and may seat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rotrusions 590 and 690 of the inner frames 500 and 600. The frame seating protrusion 190 may support the inner frames 500 and 600 so as not to fall downward.

내부 프레임(500, 600)은 외부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The inner frames 500 and 600 may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0.

내부 프레임(500, 600)은 도 8 내지 도 10의 제1 내부프레임(500) 및 도 11의 제2 내부프레임(600)을 구비할 수 있다.The inner frames 500 and 600 may include a first inner frame 500 of FIGS. 8 to 10 and a second inner frame 600 of FIG. 11.

제1 내부프레임(500)은 도 1 내지 도 5의 내부프레임(200)과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내부프레임(600)은 도 6 및 도 7의 내부프레임(400)에 대응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frame 500 may correspond to the inner frame 200 of FIGS. 1 to 5, and the second inner frame 600 may correspond to the inner frame 400 of FIGS. 6 and 7.

제1 및 제2 내부 프레임(500, 600)은 각각 제1 및 제2 안착돌기(590, 6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안착돌기(590) 및 제2 안착돌기(690)은 각각 외부프레임(100)의 프레임 안착턱(190)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nner frames 500 and 600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seating protrusions 590 and 690,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rotrusions 590 and 690 may be respectively seated on the frame seating protrusions 190 of the outer frame 100.

제1 내부프레임(500) 및 제2 내부프레임(600)의 제1 결합돌기(501) 및 제2 결합돌기(601)은 외부프레임(100)의 장착홈(111)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돌기(501, 601)와 장착홈(111)에 인접한 외부프레임(100)의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외부프레임(100)과 제1 및 제2 내부 프레임(500, 600) 중 어느 하나가 결합할 때, 제1 및 제2 결합돌기(501, 601)가 안쪽으로 휘어지며 장착홈(111)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돌기(501, 601)가 안측되면 구부러진 부분이 다시 원위치 되며, 걸림턱과 같은 기능을 하여, 외부프레임(100)과 제1 및 제2 내부 프레임(500, 600)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501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601 of the first inner frame 500 and the second inner frame 600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11 of the outer frame 100.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501 and 601 and the protrusion of the outer frame 100 adjacent to the mounting groove 111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when any one of the outer frame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inner frames 500 and 600 are couple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501 and 601 are bent inward and the mounting groove ( 111). Wh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501, 601) are inside, the bent porti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functions as a locking jaw, so that the outer frame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inner frames 500 and 600 are solid. Can be combined.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트레이는 재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로서, 외부프레임(100)은 반 영구적으로 계속 사용될 수 있다.The dental tr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reusable tray, and the outer frame 100 can be used semi-permanently.

제1 내부프레임(500)은 임플란트 홀을 홀 커버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인상 작업 후 제1 내부프레임(500)은 버려지고 외부프레임(100)은 재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frame 500 may be formed by removing the hole cover for the implant hole. After the pulling operation, the first inner frame 500 is discarded and the outer frame 100 may be reused.

제2 내부프레임(600)은 개구부(610)를 덮는 실링 필름(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실링 필름은 제2 내부프레임(60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실링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내부프레임(400)과 다른 점이다.The second inner frame 600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film (not shown) covering the opening 610. The sealing film may be sealed and coupled to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second inner frame 600. It is different from the inner frame 400 of FIGS. 6 and 7.

필림 등의 재질로 실링한 후 사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 홀은 실링에 쉽게 홀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It can be used after sealing with a material such as film. The implant hole can be formed in such a way as to easily form a hole in the sealing.

제1 및 제2 내부 프레임(500, 600)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프레임(100)과 제1 내부프레임(500)이 결합된 트레이로 판매하고, 제2 내부프레임(600)은 교환용으로 따로 판매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nner frames 500 and 600 may be selectively used. For example, the outer frame 100 and the first inner frame 500 may be sold as a combined tray, and the second inner frame 600 may be sold separately for exchang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외부프레임 110: 개방홀
111: 장착홈 112: 위치안내돌기
120: 가이드로드 130: 지지로드
200: 내부프레임 201: 보조프레임
201: 결합돌기 202: 위치안내홈
203: 밀착돌기 204: 걸림턱
210: 홀커버 211: 체결돌기
300: 견인로드 310: 파지부
320: 견인 지지로드 400: 내부프레임
410: 개구부 450: 필름
500: 제1 내부프레임 600: 제2 내부프레임
100: outer frame 110: open hole
111: mounting groove 112: position guide projection
120: guide rod 130: support rod
200: inner frame 201: auxiliary frame
201: coupling protrusion 202: location guide groove
203: contact protrusion 204: stopping jaw
210: hole cover 211: fastening protrusion
300: traction rod 310: grip
320: traction support rod 400: inner frame
410: opening 450: film
500: first inner frame 600: second inner frame

Claims (7)

구강의 치아의 형상을 채득하기 위해 상악과 하악 중 어느 하나에 사용되며, 치아의 형상을 본뜨기 위한 인상재가 수용되는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로서,
인상재가 충진되는 충진공간(S)이 형성되도록 중공되며, 상기 충진공간(S)으로 치아가 삽입되도록 상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측과 대칭을 이루는 일측에 개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개방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이 개방되도록 함입 형성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상기 개방홀에 탈부착되어 상기 개방홀을 개폐하고, 가장자리에 상기 장착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
As a dental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which is used in either the maxilla or the mandible to acquire the shap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and accommodates an impression material for imitating the shape of the teeth,
It is hollow to form a filling space (S) into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is filled, and the upper side is opened so that the teeth are inserted into the filling space (S), and an open hole is formed through one side that is symmetrical with the open upper side, and An outer frame having a mounting groove recessed to open one side along the edge; And
A dental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comprising: an inner fram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en hole of the outer frame to open and close the open hole, and protruding a coupling protrusion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t an ed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개방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의 일측면이 안착되면서 내부프레임을 탄성지지하는 지지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내부프레임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내부프레임을 삽입 반대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장착홈에 밀착되는,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frame is disposed in the open hole and has a support rod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inner frame while one side of the inner frame is seated,
The mounting groove is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ner frame, an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the support rod pushes the inner fram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Close-fitting, multifunc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S)으로 치아가 삽입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외부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되어 일측에 파지가 가능한 파지부가 형성되는 견인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견인로드는 상기 외부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단에 상기 견인로드와 일체로 회전하는 견인 지지로드가 구비되되,
상기 견인로드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견인 지지로드가 상기 내부프레임의 일측면을 가압 또는 해제하여 상기 내부프레임의 탈부착을 보조하는,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In order to induce the teeth to be inserted into the filling space (S), it further comprises a traction rod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frame to form a gripping portion capable of gripping on one side,
The traction ro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frame, and a traction support rod that rotates integrally with the traction rod is provided at one en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raction rod, the traction support rod pressurizes or releases one side of the inner frame to assist in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inner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내부프레임을 관통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홀커버; 및
상기 홀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바 형상의 연결로드를 가지는 제1 내부프레임을 구비하는,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frame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inner frame;
A hole cover covering the through hole; And
A multifunc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having a first inner frame having a bar-shaped connection rod connecting the edge of the hole cov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내부프레임을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홀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홀커버의 측면에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에는 상기 홀커버이 회전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에는 내측면을 따라 점차적으로 상기 관통홀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밀착돌기 및 상기 밀착돌기의 끝단에 상기 홀커버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홀커버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밀착돌기를 가압하면서 상기 관통홀에 고정되는,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frame ha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frame and a hole cover covering the through hole,
A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hole cover,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ole cover is rotatably coupled is formed in the inner frame,
In the through hole, a contact protrusion formed to gradually narrow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long an inner surface and a locking protrusion preventing rotation of the hole cover are formed at an end of the contact protrusion,
The hole cover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while the fastening protrusion presses the contact protrusion as it rotates, a dental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홀과 상기 내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필름을 가지는 제2 내부프레임을 구비하는,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frame
An opening is formed inside,
It is disposed between the open hole and the inner frame, provided with a second inner frame having a film for 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 hole, dental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은 내측면에 상기 내부프레임의 삽입 시 상기 결합돌기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삽입위치를 안내해주는 위치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가장자리에는 위치안내돌기가 삽입되는 위치안내홈이 함입형성되는, 치과용 다기능 인상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frame has a guide rod guid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when the inner frame is inserted on the inner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 hole, a position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inner frame is protruded,
At the edge of the inner frame, a location guide groove into which a location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indented, a dental multifunctional impression tray.
KR1020190071817A 2019-06-17 2019-06-17 Dental impression tray KR1022132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817A KR102213222B1 (en) 2019-06-17 2019-06-17 Dental impression tray
PCT/KR2019/007429 WO2020256187A1 (en) 2019-06-17 2019-06-20 Multifunc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817A KR102213222B1 (en) 2019-06-17 2019-06-17 Dental impression t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009A true KR20200144009A (en) 2020-12-28
KR102213222B1 KR102213222B1 (en) 2021-02-05

Family

ID=7403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817A KR102213222B1 (en) 2019-06-17 2019-06-17 Dental impression tra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3222B1 (en)
WO (1) WO202025618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405453A1 (en) * 2019-06-25 2020-12-31 Louie Al-Faraje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Prostheses onto Dental Implan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608A (en) * 2007-11-01 2007-12-27 최숙 Dental impreddion implant tray
KR20080062451A (en) * 2006-12-29 2008-07-03 박태순 Tooth impression tray unit
KR20110029456A (en) * 2009-09-15 2011-03-23 (주)우리메카 Separable tooth impression tray
WO2015183012A1 (en) * 2014-05-28 2015-12-03 권오달 Dental impression tray
KR20160136133A (en) * 2015-05-19 2016-11-29 권혁수 Tray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 and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912A (en) * 2015-10-14 2017-04-24 권혁수 Dental impression tray for various purpose
CA2983515A1 (en) * 2016-10-24 2018-04-24 Gilbert ACKEL Improved dental tray molding kit and method for dental mold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451A (en) * 2006-12-29 2008-07-03 박태순 Tooth impression tray unit
KR20070121608A (en) * 2007-11-01 2007-12-27 최숙 Dental impreddion implant tray
KR20110029456A (en) * 2009-09-15 2011-03-23 (주)우리메카 Separable tooth impression tray
WO2015183012A1 (en) * 2014-05-28 2015-12-03 권오달 Dental impression tray
KR20160136133A (en) * 2015-05-19 2016-11-29 권혁수 Tray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 and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405453A1 (en) * 2019-06-25 2020-12-31 Louie Al-Faraje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Prostheses onto Dental Im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222B1 (en) 2021-02-05
WO2020256187A1 (en)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851B1 (en) Intraoral appliance for merging image of impression model and patient ct
KR100948074B1 (en) Multi-functional paint
US5716214A (en) Dental prosthesis
JP2006512179A (en) Improved components for removable and adjustable permanent dentures and bridges
KR20120020405A (en) Hook type attachment for false teeth
KR20180132222A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use diastema
KR102213222B1 (en) Dental impression tray
US6139321A (en) Device for dispensing artificial teeth
US20060014121A1 (en) Multi-tooth flosser
KR101690468B1 (en) Dental impression byte trays with disposable pads
KR102068525B1 (e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20200053276A (e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200369308Y1 (en) Dental Impression Trays
KR20170043912A (en) Dental impression tray for various purpose
JP2002000628A (en) Dental model
KR200456293Y1 (en) Onebody solid abutment
KR101027331B1 (en) Device for alveolar bone rgeneration
EA009499B1 (en) Sectional or modular impression tray
US11925527B2 (en) Dental implant device and technique
KR20160071279A (en) Guide device for drilling occlusal hall in dental implant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100881224B1 (en) Dental template and method for transplanting implante usnig the smae
KR100651015B1 (en) teeth Impression Tray
KR20100117384A (en) Implant tray for image matching
KR20210123114A (en) fitting zig for angled abutment for denture
CN214175375U (en) Simulation teaching aid for oral root canal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