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602A -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 - Google Patents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602A
KR20160135602A KR1020150069165A KR20150069165A KR20160135602A KR 20160135602 A KR20160135602 A KR 20160135602A KR 1020150069165 A KR1020150069165 A KR 1020150069165A KR 20150069165 A KR20150069165 A KR 20150069165A KR 20160135602 A KR20160135602 A KR 20160135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ir
cooling
led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우
박장식
송종관
이철헌
Original Assignee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5602A/ko
Publication of KR2016013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V29/0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6Cooling arrangements using liquid coo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21V29/61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일반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공급용 에어공급라인과 연결 가능하여 내부 압력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열교환이 되도록 하기 위한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에 관한 것이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 엘이디등은, 하방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후드와, 후드의 하방을 밀폐하도록 후드에 고정체결되고 하면에 엘이디가 장착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커버플레이트의 상면에 구성되어 후드의 내부에 위치하고 냉각수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워터재킷과, 워터재킷의 하면에 장착되는 엘이디와, 워터재킷의 상면에 부착되어 후드에 수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수용된 복수 개의 냉각키트와, 후드 일측에 구비되어 에어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에어커플링장치와, 후드 타측에 구비되어 후드 내 온도가 상승하면 출구가 개구(開口)되어 후드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은 후드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강제적으로 후드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COOLING LED LIGHT using air supply line}
본 발명은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공급용 에어공급라인과 연결 가능하게 하여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공기를 유입시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냉각 엘이디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엘이디등(LED 燈)은 엘이디(LED; Light-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제작한 등(燈, light)으로서, 형광등이나 백열전구와 같은 종래의 조명등에 비해서 효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조명등은 엘이디등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렇게 효율이 우수한 엘이디도 전기의 인가로 인해서 저항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저항열은 엘이디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엘이디와 기판을 연결하는 땜납을 녹이게 되어, 엘이디가 기판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체 냉각이 가능한 냉각 엘이디등(1)이 한국 특허등록 10-0854084호로 등록된바 있다.
상기 냉각 엘이디등(1)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방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서 외측면에 방열핀(13)이 다수 개 형성된 후드(10)가 구성되고, 상기 후드(10)의 하방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투광판(20)이 커버된다. 그리고, 상기 투광판(20)의 상부에 배치되어 후드(10)에 고정되고 내부에 냉각수(R)의 수용이 가능한 판상의 엘이디 고정구(4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 고정구(40)의 하면에는 엘이디(3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드(10) 내부의 상부에는 냉각수(R)를 수용할 수 있는 냉각수함(50)이 구획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함(50)의 내부에는 냉각수(R)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60)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함(50)과 엘이디 고정구(40)를 연결하는 파이프(70)가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냉각 엘이디등(1)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냉각수함(50)에 냉각수(R)가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30)에 전기를 인가하여 빛을 조사(照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60)에 전기를 인가시켜서 냉각수함(50)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R)가 상기 파이프(70)를 통해서 엘이디 고정구(40)의 내부를 거쳐서 다시 복귀하도록 하는 순환 과정이 반복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엘이디(30)에서 발생한 열은 엘이디 고정구(40)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R)에 의해 흡열된 후, 냉각수함(50)으로 복귀된다. 상기 냉각수함(50)으로 복귀된 냉각수(R)는 상기 후드(10)의 외측면에 구성된 방열핀(13)을 통해서 외부로 열을 발산하게 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상기 엘이디 고정구 내부에서 엘이디에 의해 데워진 냉각수가 냉각수함으로 복귀된 후, 다시 엘이디 고정구로 유입되는 사이클이 반복하게 된다. 이때, 냉각수는 엘이디에 의해 지속적으로 데워지게 되어, 더 이상 엘이디에 발생한 고열을 외부로 방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냉각수함에서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없으므로 엘이디의 열이 계속 축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방열핀이 구성되어 있지만, 방열핀 쪽의 최외곽에 있는 냉각수의 열만 소량 방열될 뿐, 냉각수함에 수용된 전체 냉각수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번호 제10-1266836호인 "하방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후드와, 상기 후드의 하방을 가리도록 상기 후드에 고정되고 하면에 엘이디가 장착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면에 구성되어 상기 후드의 내부에 위치하고 냉각수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워터재킷과, 상기 워터재킷의 하면에 장착되는 엘이디와, 상기 워터재킷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후드에 수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수용된 다수개의 냉각키트와, 상기 후드에 관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 후 배출되는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엘이디등"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된 냉각 엘이디등(COOLING LED LIGHT)에서 더욱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즉, 자연적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으로는 냉각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강제적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냉각 엘이디등의 냉각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10-0854084 (2008.08.19.) 한국 특허등록 10-1266836 (2013.05.16.)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경기장, 공장, 대교(bridge)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공급용 에어공급라인과 연결하여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공기를 후드 내로 유입시켜 강제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냉각 엘이디등은;
하방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후드(210)와,
상기 후드(210)의 하방을 밀폐하도록 상기 후드(210)에 고정체결되고 하면에 엘이디(240)가 장착되는 커버플레이트(215)와,
상기 커버플레이트(215)의 상면에 구성되어 상기 후드(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냉각수(R)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워터재킷(220)과,
상기 워터재킷(220)의 하면에 장착되는 엘이디(240)와,
상기 워터재킷(220)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후드(210)에 수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냉각수(R)가 수용된 복수 개의 냉각키트(260)와,
상기 후드(210) 일측에 구비되는 에어커플링장치(280)와,
상기 후드(210)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드(210) 내 온도가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면 출구(291)가 개구(開口)되어 상기 후드(210)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개폐장치(290)와,
상기 후드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한 온도를 수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의하여 작동 여부가 결정되며 에어공급라인을 통하여 상기 에어커플링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에어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가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면 상기 에어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후드(210) 내부로 소정의 공기압을 제공하여 상기 출구(291)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가 설정된 하한값에 도달하면 상기 에어펌프의 작동을 중지시켜 상기 출구(291)를 폐구(閉口)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은 후드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강제적으로 후드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냉각 엘이디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제안된 냉각 엘이디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제안된 냉각 엘이디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제안된 냉각 엘이디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제안된 냉각 엘이디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되었던 종래 발명은 내부에 냉각 키트(160)를 다수 개 구성하고,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각 키트(160)로부터 열을 흡수한 후 배출되도록 구성하므로, 엘이디(140)의 열을 신속하게 방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발명보다 발열 효율을 더욱 높이고자 종래 후드(11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113)을 폐쇄하고 밀폐되는 후드(210) 일측에 구비되어 경기장, 공장, 대교 등과 같은 위락시설, 생산시설, SOC시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공급라인(미도시)과 연결되는 에어커플링장치(280)와, 후드(210) 타측에 구비되어 후드(210) 내 공기의 온도가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면 출구(291)가 개구(開口)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개폐장치(29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경기장, 공장, 대교(bridge) 등과 같은 위락시설, 생산시설 또는 SOC시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엘이디등에 있어서, 하방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후드(210)와, 후드(210)의 하방을 밀폐하도록 후드(210)에 고정체결되고 하면에 엘이디(240)가 장착되는 커버플레이트(215)와, 커버플레이트(215)의 상면에 구성되어 후드(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냉각수(R)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워터재킷(220)과, 워터재킷(220)의 하면에 장착되는 엘이디(240)와, 워터재킷(220)의 상면에 부착되어 후드(210)에 수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냉각수(R)가 수용된 복수 개의 냉각키트(260)와, 후드(210) 일측에 구비되어 에어공급라인(Air Supply Line)과 연결되는 에어커플링장치(280)와, 후드(210) 타측에 구비되어 후드(210) 내 온도가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면 출구(291)가 개구(開口)되어 후드(210)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개폐장치(29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특히, 출구개폐장치(290)는 일측에 탑재된 온도센서의 신호에 따라 출구(291)를 개폐(開閉)시킬 수 있다.
또한, 출구개폐장치(290)는 온도센서의 신호가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면 출구(291)를 개구(開口)시켜 에어공급라인의 공기가 에어커플링장치(280)를 거쳐 후드(210) 내로 유입되어 출구(291)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내부 온도가 낮아지고 온도센서의 신호가 설정된 하한값으로 떨어지면 상기 출구(291)를 폐구(閉口)시킬 수 있다.
즉, 출구개폐장치(290)는 후드(210) 내 온도를 온도센서가 감지하여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면 출구(291)를 개구(開口)하고 설정된 하한값으로 떨어지면 출구(291)를 폐구(閉口)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200)에 대한 상기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커버플레이트(215)는 하면(217)에 기판(230)이 부착된 후, 기판(230)에 엘이디(240)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엘이디(240)의 하방을 커버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광판(250)이 커버플레이트(215)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일례로서, 커버플레이트(215)의 하면(217)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기판(230)은 오목한 하면(217)에 부착되며, 커버플레이트(215)의 하단(K)에 투광판(250)이 부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워터재킷(220)에 장착되어 상기 워터재킷(220) 내부의 냉각수(R)를 순환시키는 순환장치(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순환장치(270)는 일례로서 워터재킷(220)의 내부에 수용되어 냉각수(R)를 흡입한 후 배출하는 펌프(271)와, 펌프(271)에 연결되어 냉각수(R)가 배출되는 관(273)을 포함한다. 펌프(271)는 수중펌프이고, 관(273)은 반원형으로 휘어져 구성되므로 배출되는 냉각수(R)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펌프(271)에 모터가 장착되어 구성됨은 물론이다.
순환장치(270)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워터재킷(220)의 상면에 고정된 모터(미도시)와, 모터에 연결되어 워터재킷(220)의 내부에 수용된 팬(fan)을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미도시)가 구동하게 되면 팬이 돌면서 냉각수(R)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냉각키트(26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며, 커버플레이트(215)의 상면에 세워져서 장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커버플레이트(215)의 상면에는 냉각키트(260)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한 쌍의 돌기가 구성된다. 또는 커버플레이트(215)의 상면에 냉각키트(260)의 하단이 삽입되는 홈(미도시)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냉각키트(260)는 냉각키트(260)의 상면에 다른 냉각키트(260)의 하단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므로 상방으로 다층으로 적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의 접촉면적을 넓혀서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각키트(260)는 방사상으로 커버플레이트(215)의 상면에 배치되므로 출구개폐장치(290)에 의해 출구(291)가 개구되면 에어커플링장치(280)을 통해 에어공급라인의 공기가 유입되어 냉각키트(260)의 좌우 측면을 거쳐서 출구(291)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워터재킷(220)과 냉각키트(260)의 내부에는 냉각수(R)로서 물도 가능하지만, 에틸렌글리콜처럼 겨울에 동결되지 않고 부식성이 없으며, 열을 흡수하고 방열하는 효율이 뛰어난 전용 냉각수를 충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글리콜을 물과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에어커플링장치(280)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통상의 산업 현장에서 압축공기 공급원 즉,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에 의해서 공기가 공급되는 에어공급라인(Air Supply Line)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에어공급라인 일측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에어커플링장치(280)는 암니플과 숫니플로 구성되는데, 암니플은 에어공급라인 일측과 볼트조임이나 용접으로 연결되고 숫니플은 후드(210) 일측과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후드(21) 내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와 연계되어 후드(21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면 출구(291)를 개폐(開閉)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장치로 엘이디등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드(210) 내 온도가 상승하면 이를 온도센서가 감지하고 제어부는 온도센서의 값을 수신하여 소정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면 에어 펌프를 작동시켜 소정의 공기압(출구(291)을 개방시킬 정도의 공기압)을 후드(210) 내부로 공급하여 출구개폐장치(290)의 출구(291)를 개방시키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소정의 설정된 하한값으로 낮아지는 경우 제어부는 에어 펌프의 작동을 중단시켜 자연스럽게 출구(291)가 닫히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펌프와 같은 공기공급원을 가동시켜 에어공급라인에 소정 압력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다음, 엘이디(240)에 전기를 인가한 후, 순환장치(270)에 전기를 인가하여 구동시킨다. 순환장치(270)가 펌프(271)일 때에는 냉각수(R)를 흡수하여 관(273)을 통해서 배출하게 되는데, 관(273)이 휘어져 있으므로 회전하게 된다. 또는, 순환장치(270)가 모터(미도시)와 팬으로 구성되었을 때에는 모터의 구동으로 팬이 회전하므로 냉각수(R)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240)로부터 발생한 열은 커버플레이트(215)를 통해서 워터재킷(220)에 수용된 냉각수(R)로 전달된다. 이때, 순환장치(270)가 없다면 맨 아래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냉각수(R)가 데워지므로 냉각키트(260)까지 열을 전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순환장치(270)로 인해서 냉각수(R)가 회전하면서 혼합되므로 신속하게 냉각키트(260)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렇게 해서 워터재킷(220)에 전달된 열은 냉각키트(260)에 수용된 냉각수(R)로 전달된다.
이때, 후드(210) 일측에 구비되어 에어 펌프로부터 연장된 에어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에어커플링장치(280)와, 후드(210) 타측에 구비되어 후드(210) 내 온도가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면 출구(291)가 개구(開口)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개폐장치(290)가 구비된다. 후드(210) 내부 온도는 후드 내부 또는 출구개폐장치(290)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센서에서 측정한다.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소정의 상한값에 도달하면 제어부를 이를 감지하고 에어 펌프를 작동시켜 소정의 공기압을 후드 내부로 제공하여 출구개폐장치(290)의 출구(291)를 개방시켜 내부의 온도를 다운시키기 시작한다.
즉, 에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공기가 에어커플링장치(280)를 통하여 후드(210) 내로 유입되어 출구(291)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내부 온도를 냉각시킨다.
이때, 후드(2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키트(260)의 사이로 통과하면서 열을 흡수한 후, 출구개폐장치(290)의 출구(291)를 통해서 배출된다.
즉, 유입된 공기는 출구개폐장치(290)의 개구된 출구(291)에 의해서 공기 유로가 형성되므로 엘이디(240)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적극적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엘이디(240)의 수명이 연장되고, 엘이디(240)를 부착시키는 땜납이 녹아서 엘이디(240)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후드(210) 내부의 공기가 냉각되어 온도가 소정의 설정된 하한값으로 낮아지면 제어부를 이를 감지하여 에어 펌프의 가동을 중지시켜 출구개폐장치(290)의 출구(291)가 닫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에어 펌프를 통하여 공기 흐름을 강제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00 : 냉각 엘이디등 210 : 후드
220 : 워터재킷 230 : 기판
240 : 엘이디 250 : 투광판
260 : 냉각키트 270 : 순환장치
280 : 에어커플링장치 290 : 출구개폐장치

Claims (1)

  1. 경기장, 공장, 대교(bridge) 등과 같은 위락시설, 생산시설, SOC시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 엘이디등에 있어서,
    하방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후드(210)와,
    상기 후드(210)의 하방을 밀폐하도록 상기 후드(210)에 고정체결되고 하면에 엘이디(240)가 장착되는 커버플레이트(215)와,
    상기 커버플레이트(215)의 상면에 구성되어 상기 후드(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냉각수(R)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워터재킷(220)과,
    상기 워터재킷(220)의 하면에 장착되는 엘이디(240)와,
    상기 워터재킷(220)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후드(210)에 수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냉각수(R)가 수용된 복수 개의 냉각키트(260)와,
    상기 후드(210) 일측에 구비되는 에어커플링장치(280)와,
    상기 후드(210)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드(210) 내 온도가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면 출구(291)가 개구(開口)되어 상기 후드(210)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개폐장치(290)와,
    상기 후드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한 온도를 수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의하여 작동 여부가 결정되며 에어공급라인을 통하여 상기 에어커플링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에어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가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면 상기 에어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후드(210) 내부로 소정의 공기압을 제공하여 상기 출구(291)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가 설정된 하한값에 도달하면 상기 에어펌프의 작동을 중지시켜 상기 출구(291)를 폐구(閉口)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
KR1020150069165A 2015-05-18 2015-05-18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 KR20160135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165A KR20160135602A (ko) 2015-05-18 2015-05-18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165A KR20160135602A (ko) 2015-05-18 2015-05-18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02A true KR20160135602A (ko) 2016-11-28

Family

ID=5770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165A KR20160135602A (ko) 2015-05-18 2015-05-18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56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440A (ko) * 2021-02-08 2022-08-17 스마트아이티 주식회사 적외선 led 항공장애표시등 시스템
KR102541081B1 (ko) * 2022-04-27 2023-06-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넥스트온 공기 주입 방식을 갖는 led 장치
CN117869852A (zh) * 2024-03-11 2024-04-12 苏州弘磊光电有限公司 一种具有降温结构的led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440A (ko) * 2021-02-08 2022-08-17 스마트아이티 주식회사 적외선 led 항공장애표시등 시스템
KR102541081B1 (ko) * 2022-04-27 2023-06-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넥스트온 공기 주입 방식을 갖는 led 장치
WO2023211002A1 (ko) * 2022-04-27 2023-11-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넥스트온 공기 주입 방식을 갖는 led 장치
CN117869852A (zh) * 2024-03-11 2024-04-12 苏州弘磊光电有限公司 一种具有降温结构的led灯
CN117869852B (zh) * 2024-03-11 2024-05-10 苏州弘磊光电有限公司 一种具有降温结构的led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6166B1 (en) Light
CN101865385B (zh) 液冷式led照明装置
CN103339439B (zh) 半导体发光模块和车灯
US8651704B1 (en) Solid state light fixture with cooling system with heat rejection management
CA2628115C (en) Luminaire system with thermal chimney effect
KR20160135602A (ko) 에어공급라인을 이용한 냉각 엘이디등
JP5961645B2 (ja) Led集魚灯装置
RU2010112831A (ru) Устройство охлаждения для лампы с мощным светоизлучающим диодом
KR200447539Y1 (ko) 엘이디를 이용한 투광기
KR200453879Y1 (ko)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JP2010287647A (ja) 水冷式led光源及びこれを備えた太陽電池評価装置
JP5280537B2 (ja) 集魚システム
KR101151550B1 (ko) 땅속의 냉기를 이용한 발광램프용 수랭식 방열장치
KR101266836B1 (ko) 냉각 엘이디등
KR102168123B1 (ko) Led를 이용한 자외선 살균 보온등
KR102078415B1 (ko) 온풍기 겸용 조명기구
KR101406836B1 (ko) 수냉식 냉각수단을 갖는 엘이디 가로등
KR101257033B1 (ko) 방열 기능이 우수한 led 조명 기구
US20120113655A1 (en) Street Lamp
KR100976998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기구
JP5384991B2 (ja) 水冷式led照明装置
KR20210127019A (ko) 승강식 방열 구조형 엘이디 조명기구
CN110805850A (zh) 一种利用流体相变循环强化散热的led工矿灯
RU154181U1 (ru) Прожектор
KR101733562B1 (ko) 방열장치 및 이 방열장치가 탑재된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