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510A - 수중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수중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510A
KR20160135510A KR1020150068905A KR20150068905A KR20160135510A KR 20160135510 A KR20160135510 A KR 20160135510A KR 1020150068905 A KR1020150068905 A KR 1020150068905A KR 20150068905 A KR20150068905 A KR 20150068905A KR 20160135510 A KR20160135510 A KR 20160135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iameter
interlocking
shaft
speed incr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543B1 (ko
Inventor
이광덕
Original Assignee
신광의료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의료기산업(주) filed Critical 신광의료기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06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54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5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the user, e.g. exercising one body part against a resistance provided by anothe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에서 상체의 적은 힘으로 트레드밀부의 벨트를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체 운동 범위, 즉 팔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안전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수중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양팔로 각각 파지 가능하고, 양팔의 회전 동작으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측 손잡이와;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좌,우측 손잡이의 단부와 각각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손잡이의 회전시 일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증속시키기 위한 증속부와;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측에 마련되는 제1연동기어와; 상부에 상기 제1연동기어와 기어이 맞물림 결합되는 제2연동기어가 마련되고, 하부에 제3연동기어가 마련되는 연동축과; 상기 본체의 하측에 마련되고, 복수의 롤러와 상기 복수의 롤러를 감싸는 벨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3연동기어와 기어 맞물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4연동기어를 갖는 구동축이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는 트레드밀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중 운동기구{AQUATIC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수중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조 내의 수중에서 상체의 적은 힘으로 트레드밀부의 벨트를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체 운동 범위, 즉 팔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안전하게 수중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수중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온동기구는 물의 부력으로 근육, 관절, 뼈를 받쳐주므로 물 밖에서 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이나 스트레스가 거의 없기 때문에 물은 사실상 위험이 전혀 없는 최적의 완벽한 운동환경이라고 할 수 있어, 수중에서 운동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의 수중 운동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수영장이 사람들에게 주는 기능은 보통 아이들이랑 어른들이 수영을 배우고 물에 친해지게 해 주는 지극히 유희적인 요소에 많은 초점을 두어 운영이 되었다. 이로 인해 수영장에서는 수영이 가능하도록 넓은 장소에 설치하였지만, 수영장을 이용하는 인구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수중에서 재활 운동을 받는 노인이나 환자들은 수영하는 사람들에 의해 제대로 재활 치료를 받을 공간을 확보하지 못해 제대로 재활 치료를 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많은 수영장에서는 따로 수중 운동 기구들을 설치하여 수영을 하는 사용자나 재활 운동을 받는 사람들이 간단하게 운동을 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상기 수중 운동 기구란 단순히 제자리 걷기나 제자리에서 뛰기만 하는 등의 간단한 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오랫동안 운동을 하다 보면 사용자들이 쉽게 질려 제대로 사용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단순히 물속에서 걷기 등의 운동을 하는 경우 물 밖에서 운동하는 것에 비해 관절의 무리를 줄일 수 있으나 운동의 효과는 물 밖에서 하는 것에 비해 운동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수중 운동 기구는 수중에 잠겨 있어 평상시나 사용을 하지 않는 상황이나 모두 마찬가지로 계속 물속에 잠겨 있어 상기 수중 운동기구에서 여러 부위에서 부식이 발생하여 결국에는 수중 운동 기구 자체가 망가져 고가의 수중운동기구를 교환해야 하는 사태가 발생하며, 부유물이 발생하여 수영장을 더럽히는 문제는 물론,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건강을 해치고 미관에 안 좋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수중 운동 기구는 물속에 잠겨 있는 관계로 운동을 할 때 수중운동기구에 사용자는 더 많은 힘을 주게 되어 수중 운동기구에 가해지는 충격이 물 밖에 있는 운동기구에 비해 더 강하게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용접되어 결합한 각 부위가 충격에 의해 쉽게 망가지기도 하고,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사용자에게 올바른 운동이나 재활치료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수중 운동기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24889호 "전신 단련 수중 운동기구"(등록일자 :2006.08.2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신 단련 수중 운동기구는 수중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수중에서 운동하는 수중 운동기구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하나씩 형성되는 틈; 내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소정크기의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의 일측과 연결되어 후면으로 일부가 노출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ㄱ'자 형상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하나씩 형성되며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외측에 하나 이상의 돌출바를 형성하고, 그 하부는 내측으로 소정길이만큼 톱니부위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스프라켓과 맞물려져 있는 두 개의 손잡이부; 소정의 크기를 갖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좌/우 틈에 각기 위치하여 상기 내부로 삽입된 각 손잡이부의 하부와 각기 연결되는 페달바와 상기 페달바의 상부에 부착되는 발판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페달부;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본체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시에 회전하는 프로펠러; 'ㅗ'자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본체 후면에 위치하여 본체의 상부와 하부를 수평방향으로 각기 하나씩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며, 수평방향부위의 양끝단에는 실리콘 재질의 바퀴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벽면과 지지하는 지지대; 소정의 판 형상으로 일측에 나란히 두 개의 가이드공을 형성하여 상기 두 개의 손잡이부가 관통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대의 외경과 동일한 연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가 관통되는 가이드 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일측이 상기 가변부재 연결되며, 타측은 지면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연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그 길이를 조절하고, 소정의 형태로 지면과 고정되어 상기 수중운동기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 것이다.
종래 수중 운동기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24890호 " 하체 단련 수중 운동기구" (등록일자 : 2006.08.2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형성되는 원형의 회전체와 그 일측면과 타측면의 소정위치에 각기 일체로 형성되는 페달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날개부위가 좌, 우로 각기 형성된 안장; 상기 본체의 소정위치에 노출형성되는 조임체와 소정길이로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조임체의 일측과 결합하는 조임볼트 및 상기 조임볼트와 연결되어 회전체의 일부와 접하며, 회전체의 회전력 강약을 조절하는 브레이크패드로 이루어진 강도조절기; 'ㅗ'자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본체의 타측과 연결되며, 수평방향부위의 양끝단에는 바퀴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연결되어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변부재;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일측이 상기 가변부재 연결되며, 타측은 고정부재와 연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그 길이를 조절하고, 소정의 형태로 지면과 고정되어 상기 수중운동기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수중 운동기구들은 단순히 페달의 상,하 운동으로 높이 가변방식으로 하체를 운동하거나, 사이클 방식으로 페달을 밟아서 운동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전신 부위의 운동 효율이 나오지 못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 속도 및 운동 각도를 제한하기 어렵고 상체의 상체의 적은 힘으로 트레드밀 운동을 수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24889호 "전신 단련 수중 운동기구"(등록일자 :2006.08.2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24890호 " 하체 단련 수중 운동기구" (등록일자 : 2006.08.21)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중에서 상체의 적은 힘으로 트레드밀부의 벨트를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체 운동 범위, 즉 팔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안전하게 수중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수중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양손으로 각각 파지 가능하고, 양팔의 회전 동작으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측 손잡이와;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좌,우측 손잡이의 단부와 각각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손잡이의 회전시 일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증속시키기 위한 증속부와;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측에 마련되는 제1연동기어와; 상부에 상기 제1연동기어와 기어이 맞물림 결합되는 제2연동기어가 마련되고, 하부에 제3연동기어가 마련되는 연동축과; 상기 본체의 하측에 마련되고, 복수의 롤러와 상기 복수의 롤러를 감싸는 벨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3연동기어와 기어 맞물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4연동기어를 갖는 구동축이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는 트레드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좌,우측 손잡이가 연결되는 부위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배치된다.
상기 증속부는 상기 연동축의 일단부 측에 연동되도록 마련되고 외주연 둘레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대경기어와, 상기 제1대경기어와 이격되게 내측으로 배치되고 외주연 둘레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2대경기어와, 상기 제1,2대경기어 사이에 배치되고 제2대경기어와 일체로 결합되는 소경기어와, 상기 제1대경기어의 기어이와 치합되어 연동되고 고정축의 단부에 베어링 결합되며 상기 제1대경기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증속기어와, 상기 제1증속기어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증속기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소경기어와 치합되는 제2증속기어와, 상기 제2대경기어의 기어이와 치합되어 연동되도록 상기 고정축에 베어링 결합되며 플라이휠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3증속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제1,2,3,4연동기어는 베벨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연동기어의 직경보다 상기 제2연동기어의 직경이 작고, 상기 제3연동기어의 직경보다 상기 제4연동기어의 직경이 작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트레드밀부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경사를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좌,우측 손잡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연결바와, 상기 제1,2연결바의 단부가 좌,우 양측에 연결되고 중간부위가 상기 본체에 연결핀으로 피벗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좌,우측 단부가 상기 연결핀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바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수조 내에서 사용자가 좌,우측 손잡이를 번갈아 밀어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축에 일방향 회전력을 전달하고, 회전축의 일방향 회전력이 증속부를 거치면서 증속되어 다시 회전축에 전달됨에 따라 연동축을 거쳐서 트레드밀부의 벨트를 궤도 회전시켜 사용자의 수중 보행운동을 보조함으로써, 단순 구조로 구성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체의 적은 힘으로 수중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팔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증속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양손으로 각각 파지 가능하고, 양팔의 회전 동작으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측 손잡이(210,220)와;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좌,우측 손잡이(210,220)의 단부와 각각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손잡이(210,220)의 회전시 일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회전축(300)과;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증속시키기 위한 증속부(400)와; 상기 회전축(300)의 타단부측에 마련되는 제1연동기어(510)와; 상부에 상기 제1연동기어(510)와 기어이 맞물림 결합되는 제2연동기어(520)가 마련되고, 하부에 제3연동기어(530)가 마련되는 연동축(525)과;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 마련되고, 복수의 롤러(610)와 상기 복수의 롤러(610)를 감싸는 벨트(620)로 구성되며, 상기 제3연동기어(530)와 기어 맞물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4연동기어(540)를 갖는 구동축(630)이 상기 벨트(620)를 회전시키는 트레드밀부(60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상부와 하부의 테두리 부위가 4개의 프레임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00)는 하부 테두리에 받침다리가 배치되어 지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좌,우측 손잡이(210,220)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연결바(710,720)와, 상기 제1,2연결바(710,720)의 단부가 좌,우 양측에 연결되고 중간부위가 상기 본체(100)에 연결핀(735)으로 피벗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손잡이(210,220)의 회전에 따라 좌,우측 단부가 상기 연결핀(735)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바(7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좌,우측 손잡이(210,220)가 연결되는 부위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0)이 배치됨에 따라, 회전축(300)이 좌,우측 손잡이(210,220)의 회전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3,4연동기어(510,520,530,540)는 베벨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연동기어(510)의 직경보다 상기 제2연동기어(520)의 직경이 작고, 상기 제3연동기어(530)의 직경보다 상기 제4연동기어(540)의 직경이 작게 형성된 것으로, 연동축(525)을 이용하여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증속시켜 트레드밀부(600)의 구동축(63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트레드밀부(600)는 공회전 가능한 복수의 롤러(610)를 벨트(620)가 감싸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연동축(525)과 연동되는 구동축(630)이 벨트(62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벨트(620)가 궤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드밀부(60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경사진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도 4 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증속부(400)는 상기 연동축(525)의 일단부 측에 연동축(525)의 회전과 연동되도록 마련되고 외주연 둘레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대경기어(410)와, 상기 제1대경기어(410)와 이격되게 내측으로 배치되고 제1대경기어(4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연 둘레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2대경기어(420)와, 상기 제1,2대경기어 사이에 배치되고 제2대경기어(420)와 일체로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소경기어(430)와, 상기 제1대경기어(410)의 기어이와 치합되어 연동되고 고정축(440)의 단부에 베어링 결합되며 상기 제1대경기어(4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증속기어(450)와, 상기 제1증속기어(450)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증속기어(45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소경기어(430)와 치합되는 제2증속기어(460)와, 상기 제2대경기어(420)의 기어이와 치합되어 연동되도록 상기 고정축(440)에 베어링 결합되며 플라이휠(480)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3증속기어(470)로 구성된다.
제1,2,3증속기어(450,460,470) 및 플라이휠(480)은 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축(44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베어링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하부가 물이 담겨져 있는 수조(10)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하고, 사용자가 트레드밀부(600)의 벨트(620) 상에 올라간 후에, 양손으로 좌,우측 손잡이(210,220)를 파지한 후에, 좌,우측 손잡이(210,220)를 번갈아 밀어서 회전시키면, 좌,우측 손잡이(210,22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0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축(3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좌,우측 손잡이(210,220)의 단부와 회전축(300)은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축(300)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한 좌,우측 손잡이(210,220)는 연결된 제1,2연결바(710,720)를 통해 중간부위가 상기 본체(100)에 연결핀(735)으로 피벗 연결된 회전바(730)를 좌,우측으로 회전시키면서 번갈아 회전 운동시키게 된다.
이어서, 회전축(300)의 일단부에 마련된 증속부(400)의 동작경로는 회전축(300)의 회전력이 제1대경기어(410)에 전달되며, 제1대경기어(410)가 회전됨에 따라, 제1대경기어(410)와 치합된 제1증속기어(450)를 연동 회전시키며, 제1증속기어(450)와 일체로 구성된 제2증속기어(460)가 연동되고, 제2증속기어(460)와 치합된 소경기어(430)가 연동 회전되고, 소경기어(430)와 일체로 구성된 제2대경기어(420)가 연동회전되면서 회전축(300)에 증속된 회전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증속부(400)는 제2대경기어(420)의 회전시 제2대경기어(420)와 치합된 제3증속기어(470)를 연동 회전시키게 되고, 제3증속기어(470)와 일체로 구성된 플라이휠(48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1증속기어(450)는 제1대경기어(4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소경기어(430)는 제2증속기어(460)의 직경보다 작은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축(300)의 초기 회전속도보다 증속된 회전력을 회전축(300)에 전달하게 된다.
증속된 회전력이 전달된 회전축(300)은 타단부에 마련된 제1연동기어(510)에 치합된 제2연동기어(520)를 통해 연동축(525)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연동축(525)은 하부에 마련된 제3연동기어(530)와 치합된 제4연동기어(540)가 연동 회전되면서 구동축(630)을 회전시켜 벨트(620)를 궤도회전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트레드밀부(600)의 벨트(620)에 서있는 사용자는 벨트(620)의 궤도 회전시 제자리에서 보행할 수 있게 되어 수중에서 보행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손으로 좌,우측 손잡이(210,220)를 파지한 상태로 양팔로 번갈아 좌,우측 손잡이(210,220)를 밀어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바(730)에 의해 좌,우측 손잡이(210,22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므로, 신체 부위의 조절이 원활하지 못한 사용자도 안전하게 수중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조(10) 내에서 사용자가 좌,우측 손잡이(210,220)를 번갈아 밀어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축(300)에 일방향 회전력을 전달하고, 회전축(300)의 일방향 회전력이 증속부(400)를 거치면서 증속되어 다시 회전축(300)에 전달됨에 따라 연동축(525)을 거쳐서 트레드밀부(600)의 벨트(620)를 궤도 회전시켜 사용자의 수중 보행운동을 보조함으로써, 단순 구조로 구성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체의 적은 힘으로 수중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팔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 : 수조 100 : 본체
210,220 : 좌,우측 손잡이
300 : 회전축 310 :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400 : 증속부 410 : 제1대경기어
420 : 제2대경기어 430 : 소경기어
440 : 고정축 450 : 제1증속기어
460 : 제2증속기어 470 : 제3증속기어
480 : 플라이휠 510 : 제1연동기어
520 : 제2연동기어 525 : 연동축
530 : 제3연동기어 540 : 제4연동기어
600 : 트레드밀부 610 : 롤러
620 : 벨트 630 : 구동축
710,720 : 제1,2연결바 730 : 회전바
735 : 연결핀

Claims (6)

  1. 사용자의 양손으로 각각 파지 가능하고, 양팔의 회전 동작으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측 손잡이(210,220)와;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좌,우측 손잡이(210,220)의 단부와 각각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손잡이(210,220)의 회전시 일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회전축(300)과;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속도를 증속시키기 위한 증속부(400)와;
    상기 회전축(300)의 타단부측에 마련되는 제1연동기어(510)와;
    상부에 상기 제1연동기어(510)와 기어이 맞물림 결합되는 제2연동기어(520)가 마련되고, 하부에 제3연동기어(530)가 마련되는 연동축(525)과;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 마련되고, 복수의 롤러(610)와 상기 복수의 롤러(610)를 감싸는 벨트(620)로 구성되며, 상기 제3연동기어(530)와 기어 맞물림 결합되어 연동되는 제4연동기어(540)를 갖는 구동축(630)이 상기 벨트(620)를 회전시키는 트레드밀부(6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좌,우측 손잡이(210,220)가 연결되는 부위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0)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속부(400)는 상기 연동축(525)의 일단부 측에 연동되도록 마련되고 외주연 둘레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대경기어(410)와,
    상기 제1대경기어(410)와 이격되게 내측으로 배치되고 외주연 둘레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2대경기어(420)와,
    상기 제1,2대경기어 사이에 배치되고 제2대경기어(420)와 일체로 결합되는 소경기어(430)와,
    상기 제1대경기어(410)의 기어이와 치합되어 연동되고 고정축(440)의 단부에 베어링 결합되며 상기 제1대경기어(4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증속기어(450)와,
    상기 제1증속기어(450)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증속기어(45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소경기어(430)와 치합되는 제2증속기어(460)와,
    상기 제2대경기어(420)의 기어이와 치합되어 연동되도록 상기 고정축(440)에 베어링 결합되며 플라이휠(480)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3증속기어(4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3,4연동기어(510,520,530,540)는 베벨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연동기어(510)의 직경보다 상기 제2연동기어(520)의 직경이 작고,
    상기 제3연동기어(530)의 직경보다 상기 제4연동기어(540)의 직경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부(60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경사를 갖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손잡이(210,220)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연결바(710,720)와,
    상기 제1,2연결바(710,720)의 단부가 좌,우 양측에 연결되고 중간부위가 상기 본체(100)에 연결핀(735)으로 피벗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손잡이(210,220)의 회전에 따라 좌,우측 단부가 상기 연결핀(735)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바(7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KR1020150068905A 2015-05-18 2015-05-18 수중 운동기구 KR101724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905A KR101724543B1 (ko) 2015-05-18 2015-05-18 수중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905A KR101724543B1 (ko) 2015-05-18 2015-05-18 수중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510A true KR20160135510A (ko) 2016-11-28
KR101724543B1 KR101724543B1 (ko) 2017-04-07

Family

ID=5770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905A KR101724543B1 (ko) 2015-05-18 2015-05-18 수중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5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323A (ko) * 2001-10-13 2003-04-21 (주)이도전자 수동식 런닝머신기
KR20040024889A (ko) 2002-09-17 2004-03-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보제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와, 이의 정보제공 방법
KR20040024890A (ko) 2002-09-17 2004-03-24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원격 검침 시스템용 자동 검침 단말장치
KR20090120109A (ko) * 2008-05-19 2009-11-24 최병열 체중 답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런닝머신과 그 런닝벨트구동방법
KR20100020755A (ko) * 2008-08-13 2010-02-23 창 주 이 스텝운동기구
KR20120038273A (ko) * 2010-10-13 2012-04-23 전정호 비전동식 런닝머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323A (ko) * 2001-10-13 2003-04-21 (주)이도전자 수동식 런닝머신기
KR20040024889A (ko) 2002-09-17 2004-03-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보제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와, 이의 정보제공 방법
KR20040024890A (ko) 2002-09-17 2004-03-24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원격 검침 시스템용 자동 검침 단말장치
KR20090120109A (ko) * 2008-05-19 2009-11-24 최병열 체중 답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런닝머신과 그 런닝벨트구동방법
KR20100020755A (ko) * 2008-08-13 2010-02-23 창 주 이 스텝운동기구
KR20120038273A (ko) * 2010-10-13 2012-04-23 전정호 비전동식 런닝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543B1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3978B2 (ja) 多目的運動器具
RU2677715C2 (ru) Тренажер верховой езды
JP2007044452A (ja) 「運動機器&訓練装置」
KR101564841B1 (ko) 수영 연습 및 수영 동작 자전거
US4162788A (en) Swimming and exercising apparatus
KR102124918B1 (ko) 생존수영을 위한 평영 연습장치
EP1719489A1 (en) Station for gymnastics in water
EP1020205A1 (en) A sub-aqua bicycle
KR101724543B1 (ko) 수중 운동기구
US20040192515A1 (en) Gymnastic apparatus for walking and running exercises
JP2007044453A (ja) 運動訓練装置
WO2016195322A1 (ko)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JP2004237053A (ja) 健康ローラーバイク
JP2006218045A (ja) 自動ツイスター
CN210963733U (zh) 一种水下理疗恢复用攀爬机
CN211912609U (zh) 一种用于体操训练的劈叉辅助装置
KR20080098782A (ko)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US20180193684A1 (en) Immersible, Adjustable, Surface Compliant Device and Methods of Use
CN202605639U (zh) 健腹装置
KR101966398B1 (ko) 수중 로잉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시스템
KR100638717B1 (ko) 봉형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보조기구
GR20150100499A (el) Εγκατασταση γυμναστικης, αδυνατισματος και θεραπειας
KR20010020069A (ko) 사지운동용 실내자전거
KR102330726B1 (ko) 싸이클형 운동기구
KR200424889Y1 (ko) 전신 단련 수중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