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504A -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504A
KR20160135504A KR1020150068888A KR20150068888A KR20160135504A KR 20160135504 A KR20160135504 A KR 20160135504A KR 1020150068888 A KR1020150068888 A KR 1020150068888A KR 20150068888 A KR20150068888 A KR 20150068888A KR 20160135504 A KR20160135504 A KR 20160135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family
management serv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김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1020150068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5504A/ko
Publication of KR2016013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반복적으로 주문하는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소비 수량에 따른 재고 파악을 통해 권고 물량의 주문이 비교 견적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여 반복 구매 편의성과 자동 물량 보유 및 사후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복적으로 구매하는 반복 구매 식품을 등록하고 각 반복 구매 식품별 적정 및 최소 수량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소모하는 수량을 기초로 재고 수량이 일정 수량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권고 발주량으로 온라인 쇼핑몰이나 산지 직송처에 주문하여 반복 구매 식품이 항상 일정 수량 이상 유지되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정에서 반복 구매 식품의 구매 및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od and automatic ordering through food intake record of family}
본 발명은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반복적으로 주문하는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소비 수량에 따른 재고 파악을 통해 권고 물량의 주문이 비교 견적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여 반복 구매 편의성과 자동 물량 보유 및 사후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에서 소비하는 다양한 식품, 특히 냉장고에 냉장 보관되는 식품의 재고 수량이나 사용 가능 기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설정한 기준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도록 하여 식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구매 계획을 세우거나, 사용 기한 임박 정보를 기반으로 소비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상세 예시로, 냉장고에 반복 구매 식품의 바코드와 같은 고유 코드를 인지할 수 있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를 통해 인식된 코드에 대응되는 반복 구매 식품을 인식하여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리더기를 통해 냉장고에 보관할 반복 구매 식품의 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냉장고에서 보유한 반복 구매 식품의 현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인 매장에서 적용할 경우 바코드 인식이 일상적인 업무 행위로 이루어져 이점이 있으나, 이를 가정에 적용하는 경우 매번 리더기를 통해 반복 구매 식품의 바코드를 인식시켜야 하는 불필요한 부가 작업으로 여겨지게 되므로,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며 결국에는 이러한 과정을 생략하여 제대로 식품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여, 냉장고에 카메라를 부착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영상을 통해 반복 구매 식품을 인식하여 반복 구매 식품별 재고 현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분석 장치를 포함한 반복 구매 식품 관리를 위한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 역시 영상 분석에 따른 반복 구매 식품 인식시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므로, 정확한 재고 현황 파악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반복 구매 식품 관리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상술한 시스템들은 단순 식품 관리에 기능이 한정되고 있으며 현재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다양한 온라인 쇼핑몰과 전혀 연동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시스템을 이용하면서도 반복적이며 주기적으로 구매하는 반복 구매 상품을 사용자가 오프라인으로 직접 구매하여 냉장고에 입고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가정에서 반복적으로 주문하는 식품별 재고현황 파악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복 구매 상품의 자동 주문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5906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복적으로 구매하는 반복 구매 식품을 등록하고 각 반복 구매 식품별 적정 및 최소 수량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소모하는 수량을 기초로 재고 수량이 일정 수량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권고 발주량으로 온라인 쇼핑몰에 주문하여 반복 구매 식품의 구매 및 관리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구매시 구매 내역이 자동으로 관리되도록 지원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보유 식품을 입력할 필요가 없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권고 발주량으로 발주시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서로 다른 온라인 쇼핑몰의 가격을 제공하여, 가격 비교를 통해 저렴한 제품으로 구매 가능하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동일 가정에 속한 하나 이상의 가족 구성원 각각이 소모하는 수량을 취합하여 정확한 권고 발주량을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가족 구성원이 반복 구매 식품의 소모량을 적극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반복 구매 식품의 관리 정확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은 단위 가족에 대응되어 반복구매 식품 정보를 적정 및 최소 수량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반복 구매 식품 정보에 따른 반복 구매 식품의 재고 수량을 관리하면서 상기 단위 가족의 식품 소비에 따른 소비정보를 수신하여 식품 재고 수량을 갱신하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매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반복 구매 식품의 재고 수량 및 적정 수량 정보를 기초로 주문정보를 생성하고, 주문된 식품의 수량을 기준으로 식품의 재고 수량을 갱신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반복 구매 식품을 소비하는 가족 구성원 단말에 구성되어 상기 반복 구매 식품의 재고 수량에 대한 재고 현황 정보 및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소비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관리 서버가 생성한 상기 주문정보에 대한 주문을 승인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반복 구매 식품을 대분류 및 소분류와 같은 미리 설정된 분류체계에 맞추어 구분한 목록정보와 상기 목록정보에 따른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명칭 및 고유 식품 아이템 코드에 대응되어 적정 및 최소 수량과 권장 유효기간에 대한 기본값이 설정되며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재고 수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반복 구매 식품 및 재고 현황의 등록을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 관련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로 제공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반복 구매 식품을 선택하고, 선택 식품에 대응되어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기본값을 변경 또는 유지하여 상기 선택 식품에 대한 적정 수량 및 최소 수량과 유효기간을 포함하는 반복 구매 식품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보유 식품의 재고 수량에 대한 재고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소비정보의 입력을 기준으로 동작하는 슈팅, 육성, 타이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게임이나 상기 소비 정보의 입력에 따라 변화되는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소비 정보의 생성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다음 소비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소비 정보의 입력에 대한 알림정보를 상기 가족 구성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주문 정보의 승인시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식품의 명칭, 구매일자, 유통기한,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단위 가족에 대응되어 상기 구매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구매정보에 따른 유통기한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시간차이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인 식품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식품의 유통기한 임박 여부를 알리기 위한 알람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구매 정보에 포함된 식품 중 유통기한이 없는 식품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른 유통기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수신된 유통기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식품에 대한 유통기한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관리 서버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 및 산지 직송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상기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주문정보를 생성하거나, 온라인 쇼핑몰별 또는 산지 직송처의 서버별 서로 다른 주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로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각 주문정보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주문정보에 대응되어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관리 서버는 다른 단위 가족의 주문정보를 상기 단위 가족의 단말 중 미리 지정된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 서버 및 산지 직송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응되는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식품정보를 제공하며, 단위 가족을 구성하는 가족 구성원별 단말을 하나의 가족 정보로 관리하고, 상기 각 반복 구매 식품 중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선택 식품에 대한 적정 수량 및 최저 수량을 포함하는 반복 구매 식품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각 가족 구성원의 단말에 구성되며,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각 선택 식품에 대한 재고 현황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가족 구성원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각 선택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소비량에 대한 소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소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재고 현황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선택 식품 중 갱신된 재고 현황정보를 기초로 재고가 상기 최저 수량 이하인 권고 식품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각 권고 식품의 수량을 상기 적정 수량으로 맞추기 위한 상기 권고 식품의 권고 발주량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각 온라인 쇼핑몰 서버 및 산지 직송처 서버와 연동하여 생성한 후 상기 가족 구성원 중 미리 설정된 가족 구성원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주문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주문 승인정보 수신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구매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방법은 관리 서버가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 서버 및 산지 직송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응되는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식품정보를 각 단말로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단위 가족을 구성하는 가족 구성원별 단말을 하나의 가족 정보로 관리하고, 상기 각 반복 구매 식품 중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선택 식품에 대한 적정 및 최저 수량을 포함하는 반복 구매 식품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각 가족 구성원의 단말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각 선택 식품에 대한 재고 현황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족 구성원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각 선택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소비량에 대한 소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소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재고 현황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선택 식품 중 갱신된 재고 현황정보를 기초로 재고가 상기 최저 수량 이하인 권고 식품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각 권고 식품의 수량을 상기 적정 수량으로 맞추기 위한 상기 권고 식품의 권고 발주량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각 온라인 쇼핑몰 서버 및 산지 직송처 서버와 연동하여 생성한 후 상기 가족 구성원 중 미리 설정된 가족 구성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주문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주문 승인정보 수신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구매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복적으로 구매하는 반복 구매 식품을 등록하고 각 반복 구매 식품별 적정 및 최소 수량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소모하는 수량을 기초로 재고 수량이 일정 수량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권고 발주량으로 온라인 쇼핑몰이나 산지 직송처에 주문하여 반복 구매 식품이 항상 일정 수량 이상 유지되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정에서 반복 구매 식품의 구매 및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구매시 구매 내역이 자동으로 관리되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보유 식품을 입력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반복 구매 식품의 사후 관리를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적정 수량 이하로 재고 수량이 떨어진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하여 권고 발주량으로 발주시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서로 다른 온라인 쇼핑몰의 공급 가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가격 비교를 통해 저렴한 제품으로 구매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구매 효율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단위 가족에 속한 하나 이상의 가족 구성원 각각이 소모하는 수량을 취합하여 정확한 권고 발주량을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가족 구성원이 반복 구매 식품의 소모량을 적극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관리 정확도와 신뢰도 및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의 반복 구매 식품 등록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의 소비정보 및 재고현황 정보 처리에 대한 예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의 주문정보 처리에 대한 예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의 유통기한 관리 및 사이버 냉장고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의 소비 정보 입력과 연동하는 게임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의 소비 정보 입력과 연동하는 이모티콘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의 주문 정보 공유에 대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및 산지 직송처 서버(2)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 서버(10)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10)와 통신하는 단위 가족으로 구성된 복수의 단말(101, 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는 하나의 단위 가족에 속하는 복수의 단말(101, 102)에 각각 대응되는 회원정보를 그룹화하여 가족 정보로 DB(11)에 등록하고, 상기 단위 가족이 반복 구매하는 하나 이상의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반복 구매 식품 정보와 각 반복 구매 식품의 재고 현황에 대한 재고현황 정보를 상기 DB(11)의 가족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원정보는 상기 단위 가족에 속한 가족 구성원의 성명, 주소, 연락처, 회원 ID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10)는 웹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가족은 혈연으로 이루어진 가족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활을 같이하는 동거집단(기숙사, 하숙, 회사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 의미이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가족 정보에 따른 단위 가족에 속한 각 가족 구성원 중 어느 하나의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단말(101)로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단위 가족에 속한 아빠, 엄마, 아들, 딸 중 엄마를 마스터로 설정하고 엄마가 소지한 가족 구성원 단말을 마스터 단말(101)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마스터 단말(101)로부터 반복 구매하는 각 식품의 적정 수량과 최소 수량을 포함하는 반복 구매 식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단위 가족의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가족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가족 구성원이 각각 소지한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로부터 식품의 소비(섭취)에 따른 소비정보를 수신하여 DB(11)에 저장된 재고 현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관리 서버(10)는 소비 정보의 지속적인 수신에 따라 갱신된 재고 현황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반복 구매 식품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재고 수량이 상기 최소 수량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구매 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간주하고, 반복 구매 식품 정보에 따른 적정 수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최소 수량 이하로 떨어진 식품을 권고 식품으로 선정하고, 상기 권고 식품에 대한 적정 수량을 유지하기 위한 권고 발주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및 산지 직송처 서버(2) 중 적어도 하나 연동하여 권고 식품 및 권고 발주량에 따른 주문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마스터 단말(101)로 전송하여 주문 정보에 대한 주문 승인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관리 서버(10)는 주문 승인 여부에 따라 주문정보가 승인된 경우 온라인 쇼핑몰 서버(1)를 통해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주문정보에 따른 식품이 상기 단위 가족의 배송처로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위 가족의 반복 구매 식품이 항상 일정 이상 유지되도록 자동 관리할 수 있으며, 반복 구매 식품의 보유량이 일정 이하가 되면 구매시점을 자동 파악하여 이에 대한 내역을 생성한 후 가족의 반복 구매 식품을 관리하는 마스터 단말(101)로 제공하여 편리하게 반복 구매 식품의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터 단말(101)을 포함하는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 각각은 상기 관리 서버(10)와의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부(11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관리 서버(10)로부터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및 산지 직송처 서버(2)에서 제공하는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식품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는 각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및 산지 직송처 서버(2)에서 제공하는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식품 카테고리 코드 및 각 카테고리에 연동된 식품 아이템 코드를 DB(11)에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각 온라인 쇼핑몰 서버(1)로부터 특정 코드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101) 및 가족 구성원 단말(102)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마스터 단말(10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식품정보 중에서 선택된 식품에 대한 적정 수량 및 최저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반복 구매 식품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 서버(10)에 단위 가족에 대응되는 반복 구매 식품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10)는 상기 반복 구매 식품 정보에 포함된 코드를 기초로 선호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단위 가족이 선호하는 온라인 쇼핑몰에 대응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1)에서 우선적으로 주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101)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각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을 소지한 상기 가족 구성원의 입력에 따른 소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구매 시점에 상기 관리 서버(10)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주문 정보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전송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10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복 구매 식품의 주문을 관리하는 가족 구성원이 편리하게 반복 구매 식품의 주문 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술한 어플리케이션부(110)의 구성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와의 반복 구매 식품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1) 이외에도 상기 관리 서버(10)는 신선 식품을 공급하는 다양한 산지 직송처의 서버(2)와 통신할 수 있으며, 해당 산지 직송처 서버(2)와 연동하여 산지 직송처에서 제공하는 신선 식품에 대한 식품정보를 상기 마스터 단말(101)로 제공하여 산지 직송처에서 제공하는 식품에 대한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는 해당 산지 직송처 서버(2)를 상기 단위 가족에 대응되어 선호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1)로 등록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상기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족 구성원이 소지하는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 각각에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부(110)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의 상세 동작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복 구매 식품 등록 과정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DB(11)에 등록된 단위 가족에 속한 가족 구성원의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 중 마스터로 설정된 마스터 단말(101)로 다양한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식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터 단말(101)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관리 서버(10)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식품 정보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선택 식품 각각에 대한 적정 수량 및 최소 수량을 포함하는 반복 구매 식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반복 구매 식품 정보를 상기 단위 가족에 대응되는 가족 정보에 매칭하여 DB(11)에 등록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 단말(101)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상기 반복 구매 식품 정보에 포함되는 각 식품의 재고 수량에 대한 재고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DB(11)에 상기 가족 정보와 매칭하여 등록 및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관리 서버(10)는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설정과 각 반복 구매 식품의 적정 및 최소 수량에 대한 설정 및 재고수량 설정에 대한 설정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와 연동하여 설정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관리 서버(10)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및 산지 직송처 서버(2)에서 각각 제공하는 반복 구매 식품을 대분류 및 소분류로 구분하고, 상기 대분류 및 소분류로 구분된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응되어 각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및 산지 직송처 서버(2)에 저장된 식품별 고유코드와 매칭되는 식품 아이템 코드를 DB(1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는 다양한 복수의 반복 구매 식품을 대분류 및 소분류와 같은 미리 설정된 분류체계에 맞추어 구분한 목록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목록정보와 상기 목록정보에 따른 각 분류에 속한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명칭 및 상기 식품 아이템 코드가 미리 설정된 설정 인터페이스 관련 데이터를 상기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반복 구매 식품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반복 구매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입력란이 제공되고,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응되어 적정 및 최소 수량과 권장 유효기간에 대한 기본값이 설정되며,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재고 수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 관련 데이터를 상기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 중 마스터 단말(101)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목록 정보에는 상기 관리 서버(10)에 저장된 단위 가족을 구성하는 각 가족 구성원에 대한 가족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관리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반복 구매 식품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반복 구매 식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각 반복 구매 식품의 적정 및 최소 수량과 권장 유효기간에 대응되어 설정된 기본값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유지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변경한 후 입력 완료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식품 아이템 코드와 각 식품 아이템 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적정 수량 및 최소 수량 정보와 권장 유효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반복 구매 식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재고 현황 역시 사용자가 선택한 각 반복 구매 식품별로 재고 수량만을 입력받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보유 식품의 식품 아이템 코드 및 각 식품 아이템 코드에 대응되는 재고 수량 정보를 포함한 상기 재고 현황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수신된 반복 구매 식품 정보 및 재고 현황 정보를 DB(11)에 가족정보와 매칭하여 등록 및 저장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10)는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설정 편의성을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일이 반복 구매 식품의 명칭을 입력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단순 선택만으로 식품 관리 목록에서 원하는 반복 구매 식품을 포함시키거나 제외시킬 수 있으며, 각 반복 구매 식품별로 기본값으로 설정된 적정 및 최소 수량과 권장 유효기간을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유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유한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재고 수량의 입력 역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반복 구매 식품의 관리 설정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가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하여 전송하는 반복 구매 식품 정보 및 재고 현황 정보에 포함된 식품 아이템 코드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반복 구매 식품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식품 명칭이 사용자마다 불일치하여 식품 식별이 어려운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가족 구성원의 회원 가입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관리 서버(10)는 가족 정보에 포함된 각 가족 구성원이 소지한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상기 가족 구성원의 입력에 따른 소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가족 구성원은 애완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애완견의 소비량에 대해서는 사람인 가족 구성원이 대신하여 소비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애완견의 소비량에 대한 소비정보를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소비 정보의 입력 편의성을 위해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반복 구매 식품을 대분류 및 소분류로 미리 구분하고 각 분류에 속한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명칭 및 상기 식품 아이템 코드가 미리 설정된 목록정보를 포함하며, 복수의 반복 구매 식품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반복 구매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입력란이 제공되고, 선택된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소비량(섭취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별도의 설정 인터페이스를 상기 모든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별도의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반복 구매 식품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소비량을 입력받은 경우 선택된 식품 아이템 코드 및 선택된 각 식품 아이템 코드에 대응되는 소비량을 포함하는 소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소비 정보 입력시에도 반복 구매 식품의 명칭을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반복 구매 식품을 선택하고, 소비량만을 입력하는 것으로 자신의 소비 내역을 반복 구매 식품 관리에 편리하게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소비정보를 기초로 상기 DB(11)에서 가족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재고 현황 정보에 포함되는 식품별 재고 수량을 갱신할 수 있으며, 갱신된 재고 현황 정보에 포함된 각 식품에 대하여 재고 수량이 최저 수량 이하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관리 서버(10)는 재고 수량이 최저 수량 이하인 권고 식품이 발생한 경우 이를 마스터 단말(101)에 알리고, 해당 권고 식품의 구매를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DB(11)에 저장된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재고 현황 정보를 기초로 재고 수량이 최저 수량 이하인 권고 식품을 선별하고, 상기 권고 식품 발생 여부에 대한 푸시메시지와 같은 알림정보를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마스터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 단말(101)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알림 정보 수신시 이를 마스터 단말(101)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권고 식품에 대한 장보기(구매) 선택 여부에 대한 버튼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버튼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장보기(구매)가 선택된 경우 상기 관리 서버(10)로 주문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0)는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마스터 단말(101)이 속한 가족정보에 대응되는 재고 현황 정보를 기초로 재고 수량이 최저 수량 이하로 떨어진 권고 식품을 하나 이상 선별하고, 상기 각 권고 식품에 대하여 상기 DB(11)에 저장된 반복 구매 식품 정보에 따른 적정 수량으로 맞추기 위한 권고 발주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는 요청 정보 수신 시점에 갱신된 재고 현황 정보를 기초로 재고 수량이 최저 수량 이하인 권고 식품이 복수로 발생한 경우 복수의 권고 식품을 선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또는 산지 직송처 서버(2)로 상기 각 권고 식품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된 코드 및 권고 발주량을 전송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및 산지 직송처 서버(2) 각각으로부터 상기 권고 식품에 대응되는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문정보는 권고 식품의 유통기한, 권고 식품의 권고 발주량에 따른 가격, 권고 발주량, 권고 식품의 명칭, 권고 식품의 이미지, 권고 식품의 제조사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마스터 단말(101)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각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및 산지 직송처 서버(2)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각 주문정보에 대한 상세 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및 산지 직송처 서버(2)에서 제공하는 주문정보에 따른 권고 식품별 가격, 권고 발주량, 권고 식품의 이미지, 권고식품별 유통기한, 권고 식품별 제조사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마스터로 설정된 가족 구성원(일례로, 엄마)은 각 온라인 쇼핑몰과 산지 직송처에서 제공하는 권고 식품의 가격과 신선도를 비교해 볼 수 있으며, 더욱 저렴하거나 더욱 신선한 제품을 선택하여 주문을 넣을 수 있다.
이후, 상기 마스터 단말(101)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마스터로 설정된 가족 구성원의 선택 입력에 따라 복수의 주문 정보 중에서 선택된 주문 정보에 대한 주문 승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관리 서버(10)는 주문 승인 정보 수신시 선택된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또는 산지 직송처 서버(2)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결제 완료에 따른 구매정보를 상기 마스터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결제 처리를 위한 결제 관련 정보(카드정보, 회원정보 등)를 마스터 단말(101)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수신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결제 처리에 따른 구매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단위 가족의 재고 현황 정보를 갱신하며, 또한 구매 식품을 가시적으로 마스터 단말(101) 또는 가족 구성원 단말(102)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동시에 유통기한이 임박한 식품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결제 처리 완료시 구매된 식품에 대한 구매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101)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는 마스터 단말(101) 이외의 다른 가족 구성원 단말(102)에 상기 구매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구매정보는 주문 승인된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식품별로 명칭, 구매일자, 유통기한, 수량, 가격, 이미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 역시 상기 구매정보에 따라 상기 DB(11)에서 상기 단위 가족에 대응되는 가족정보에 매칭된 재고 현황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구매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구매정보에 따른 유통기한을 각 식품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는 유통기한이 설정되지 않는 사과, 고기 등과 같은 식품에 대해서 상기 마스터 단말(101)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유통기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품에 대응되어 유통기한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매정보를 수신한 마스터 단말(101)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구매한 식품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사이버 냉장고를 상기 마스터 단말(101)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및 제공하며,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된 식품 이미지를 상기 사이버 냉장고에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이버 냉장고를 식품군별로 구분될 수 있도록 복수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응되는 식품군을 설정할 수 있으며, 구매정보에서 각 영역의 식품군에 대응되는 식품의 식품이미지를 사이버 냉장고에 적용하거나 수량에 따라 식품이미지를 복수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스터 단말(101)의 사용자(가족 구성원)는 사이버 냉장고를 통해 식품 보유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0)는 각 식품별 유통기한을 관리하며, 현재 시간과 유통기한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인 식품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식품의 유통기한이 임박함을 알리기 위한 알람정보를 상기 마스터 단말(101)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알람정보 수신시 상기 알람정보를 기초로 상기 알람정보에 대응되는 식품을 식별하고, 상기 사이버 냉장고 상에서 상기 알람정보에 대응되는 식품에 유통기한 임박에 대응되는 식별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는 유통기한이 경과된 식품에 대해서도 상기 알람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101)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알람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이버 냉장고 상에서 유통기한이 경과된 식품에 대응되어 유통기한 경과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유통기한이 임박하거나 경과된 식품을 구분하여 식품을 빨리 소비하거나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10)에서 식품의 재고 현황 파악 및 구매 권고 식품의 원활한 파악을 위해서는 단위 가족에 속한 가족 구성원의 소비 정보 제공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
이와 같은 소비 정보 제공에 대한 적극적인 가족 구성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소비 정보와 연동하는 게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이 적극적으로 소비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데 이를 도 7 내지 도 8의 구성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 정보와 연동하는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례로 강아지와 같은 가상의 애완동물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소비 정보 입력시 상기 강아지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키고, 소비정보 누적에 따라 성견으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이 흥미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소비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이외에도 슈팅 게임이나 소비 정보의 입력에 따라 건물이 세워지는 타이쿤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게임 장르를 소비 정보의 입력과 연동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외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사이버 냉장고 및 소비 정보의 입력에 따라 반응 및 변화되는 이모티콘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미리 지정된 시간에 소비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이모티콘을 '만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사이버 냉장고 상에 적용된 식품 이미지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이모티콘으로 드래그하여 이모티콘을 통해 먹는 모습을 표시할 수 있으며, 실제 가족 구성원이 소비한 양만큼 상기 식품 이미지를 드래그하는 경우 자동으로 별도의 소비 정보 입력없이 식품 이미지의 이모티콘에 대한 적용 개수에 따라 소비정보를 자동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식품 이미지 중 사과에 대한 식품 이미지 2개를 상기 이모티콘으로 드래그한 경우 사과 2개에 대한 소비 정보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미리 지정된 시간에 소비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소비 정보의 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상기 이모티콘을 '불만족'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소비정보의 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소비 정보의 입력에 대한 알림정보를 가족 구성원 단말(101, 102)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족 구성원의 소비 정보 입력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식품의 재고현황 파악과 정확한 구매시점을 판단하여 식품에 대한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10)는 서로 다른 단위 가족간 주문 정보가 상호 공유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단위 가족이 다른 단위 가족의 장바구니를 참고하여 더욱 효율적인 주문이나 필요한 식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9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0)는 단위 가족 1에 대응되는 주문 정보를 단위 가족 1과 상이한 단위 가족 2의 마스터 단말(101)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단위 가족 2에 대응되는 주문정보를 단위 가족 1의 마스터 단말(10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가족 2의 주문정보를 수신한 단위 가족 1의 마스터 단말(101)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단위 가족 2의 주문정보에 대응되어 주문 승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는 단위 가족 2의 주문 정보에 포함된 식품 내역을 상기 단위 가족 1에 대응되어 구매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0)는 서로 다른 단위 가족간 주문 정보가 상호 공유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쇼핑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상기 관리 서버(10)는 서로 다른 단위 가족에 속한 단말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신선식품을 고르는 방법(원산지 구별법, 선도감별법, 품종, 특징, 보관법, 손질방법, 먹는 법)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관리 서버(10)는 유명산지 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를 각 단말로 제공하여 각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각 유명산지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신하여 취합할 수 있으며, 상기 응답정보를 기초로 호응이 높은 유명산지 정보에 대응되는 산지 직송처의 서버를 쇼핑 채널로 등록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관리 서버(10)는 식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로부터 지도상 위치, 제공 식품, 홍보사진, 홍보글 등에 대한 상기 홍보 정보를 등록받아 상기 유명산지 정보로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응답정보를 기초로 호응이 높은 경우 해당 판매자의 서버를 쇼핑 채널로 등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는 구매자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식품의 관리 및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의 일반 판매자를 제휴처로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구매자 및 판매자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등록된 산지 직송 가맹점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산지 직송 가맹점에서 구매 이력이 있는 회원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산지 직송 가맹점과 관련하여 평가 정보를 상기 홈페이지에 등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가정보는 가격, 신선도, 맛, 배송만족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는 산지 직송 가맹점에 대한 평가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당 평가 정보의 등록을 1회로 제한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관리 서버(10)는 서로 다른 산지 직송 가맹점의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평가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평가 점수가 높은 순으로 복수의 산지 직송 가맹점을 정렬하여 산지 직송 가맹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며, 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리스트 정보에서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산지 직송 가맹점에 대해서는 고객만족 인증을 위한 별도의 인증 표시를 부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홈페이지에 등록된 정보를 상기 회원의 사용자 단말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에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관리 서버(10)를 통해 쇼핑 채널로 등록된 상기 산지 직송 가맹점들 중 평가 점수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산지 직송 가맹점의 식품을 선택하여 상술한 구성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브랜드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산지 직송 가맹점에 대해서도 이용빈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의 식품 선택폭을 넓힐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의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는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및 산지 직송처 서버(2)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응되는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식품정보를 각 단말로 통신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는 단위 가족을 구성하는 가족 구성원별 단말을 하나의 가족 정보로 관리하고, 상기 각 반복 구매 식품 중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선택 식품에 대한 적정 및 최저 수량을 포함하는 반복 구매 식품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할 수 있다(S1).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각 가족 구성원의 단말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상기 각 선택 식품에 대한 재고 현황정보를 수신하고(S2), 상기 가족 구성원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각 선택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소비량에 대한 소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
이후,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소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재고 현황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선택 식품 중 갱신된 재고 현황정보를 기초로 재고가 상기 최저 수량 이하인 권고 식품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S4) 상기 각 권고 식품의 수량을 상기 적정 수량으로 맞추기 위한 상기 권고 식품의 권고 발주량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각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및 산지 직송처 서버(2)와 연동하여 생성한 후(S5) 상기 가족 구성원 중 미리 설정된 가족 구성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6).
다음,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주문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주문 승인정보 수신시(S7) 상기 주문 승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문 정보를 제공한 온라인 쇼핑몰 서버(1) 또는 산지 직송처 서버(2)와 연동하여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내역으로 구매 처리하고(S8), 구매된 식품을 상기 단위 가족에 대응되어 미리 지정된 배송처로 배송처리할 수 있다(S9).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온라인 쇼핑몰 서버 2: 산지 직송처 서버
10: 관리 서버 11: DB
101: 마스터 단말 101, 102: 가족 구성원 단말
110: 어플리케이션부

Claims (2)

  1. 단위 가족에 대응되어 반복구매 식품 정보를 적정 및 최소 수량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반복 구매 식품 정보에 따른 반복 구매 식품의 재고 수량을 관리하면서 상기 단위 가족의 식품 소비에 따른 소비정보를 수신하여 식품 재고 수량을 갱신하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매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반복 구매 식품의 재고 수량 및 적정 수량 정보를 기초로 주문정보를 생성하고, 주문된 식품의 수량을 기준으로 식품의 재고 수량을 갱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2. 관리 서버가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 서버 및 산지 직송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각 반복 구매 식품에 대응되는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식품정보를 각 단말로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단위 가족을 구성하는 가족 구성원별 단말을 하나의 가족 정보로 관리하고, 상기 각 반복 구매 식품 중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선택 식품에 대한 적정 및 최저 수량을 포함하는 반복 구매 식품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각 가족 구성원의 단말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각 선택 식품에 대한 재고 현황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족 구성원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각 선택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소비량에 대한 소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소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재고 현황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선택 식품 중 갱신된 재고 현황정보를 기초로 재고가 상기 최저 수량 이하인 권고 식품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각 권고 식품의 수량을 상기 적정 수량으로 맞추기 위한 상기 권고 식품의 권고 발주량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각 온라인 쇼핑몰 서버 및 산지 직송처 서버와 연동하여 생성한 후 상기 가족 구성원 중 미리 설정된 가족 구성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방법.
KR1020150068888A 2015-05-18 2015-05-18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20160135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888A KR20160135504A (ko) 2015-05-18 2015-05-18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888A KR20160135504A (ko) 2015-05-18 2015-05-18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504A true KR20160135504A (ko) 2016-11-28

Family

ID=5770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888A KR20160135504A (ko) 2015-05-18 2015-05-18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55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961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3469769A (zh) * 2020-03-31 2021-10-01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订单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KR20220036073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어린이 간식 구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961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3469769A (zh) * 2020-03-31 2021-10-01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订单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KR20220036073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어린이 간식 구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12348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home information management
US10410177B2 (en) Interactive inventory systems and methods
US9129249B2 (en) Enhancing a user's shopping experience
US102423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inventory of products purchased by customers from a retailer
KR101785272B1 (ko) Sns를 통해 diy 음식 콘텐츠의 리뷰에 따라 보상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EP3021271A1 (en) Smart appliance process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WO201308060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510754B1 (ko) 위치 기반 할인 상품의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109076A (ko)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12083971A (ja) 買い物支援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買い物支援プログラム
US20220151404A1 (en) Product management system, product management apparatus, and display zon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60135504A (ko) 가족의 음식 소비량 기록을 통한 식품 관리 및 자동 주문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US20220156794A1 (en) Product management system, product management apparatus, and tool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101180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recommending an item to a customer while shopping at a retail store
KR20190011399A (ko) 웰빙간식 서브스크립션 시스템
JP2019179517A (ja)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59156A (ja) 表示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21124877A (ja) 注文管理及び配送方法、システム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2020154806A (ja)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38685A (ko) 역경매 서비스 방법
CN113762933B (zh) 一种智慧社区管理系统
KR20200038600A (ko) 역경매 서비스 장치
KR20200038632A (ko) 역경매 서비스 장치
KR20200038604A (ko) 기록매체
KR20200038643A (ko) 기록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