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140A -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140A
KR20160135140A KR1020160060217A KR20160060217A KR20160135140A KR 20160135140 A KR20160135140 A KR 20160135140A KR 1020160060217 A KR1020160060217 A KR 1020160060217A KR 20160060217 A KR20160060217 A KR 20160060217A KR 20160135140 A KR20160135140 A KR 20160135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astic
dispenser
pouc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준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준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준기업
Publication of KR20160135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B65D35/08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from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에 유해한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내용물을 분출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가공성이 뛰어나며,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펜서에 있어서,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되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 상기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의 결합구에 결합되고, 내용물의 충전/분출 통로를 갖는 차징/인젝션 수단(charing/injection means); 및 상기 차징/인젝션 수단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는 선택 연통밸브;를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DISPENS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에 유해한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내용물을 분출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가공성이 뛰어나며,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물, 세정제, 비누, 살충제, 헤어스프레이 등과 같은 화학 시약을 살포하기 위한 스프레이 병의 용도는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 병에서 내용물을 분출시키기 위하여 휘발성 유기물인 프레온 가스나 부탄가스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환경에 유해하고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물(volatile organic carbons, VOCs)을 제한하는 법령에 따라, 원래부터 담긴 상태로 제조되어 에어로졸을 통해서 살포되는 제품들이 현재에는 스프레이 디스펜서로 대체되고 있다.
압력을 이용한 스프레이 디스펜서의 일 예로, 에어 펌프 디스펜서는 일반 화장품이나 욕실용 세정 화장품, 주방 세제 등과 같은 다양한 액상 또는 젤상 제품의 정량 취출(取出)용 용기(container) 또는 베셀(vessel)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펌프 디스펜서는 용기 또는 베셀을 이루는 몸체(또는 본체)가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성형된 지내력 있는 솔리드 또는 하드(solid or hard) 용기로 제작됨이 통상적이며, 심미감 및 고급감이 중시되는 고급 화장품의 경우에는 종종 유리 또는 크리스탈 용기로 제작되어 왔다.
또한, 에어 펌프 부분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지로 제작됨이 통상적이다. 에어 펌프는 푸시 헤드 부분의 상면을 눌러 용기 내를 가압하면 밸브 경로가 개방되고 대기압과의 압력 차에 의해 일정량의 내용물이, 펌프 헤드의 토출 개구를 가지며 그 단부가 하측으로 경사져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노즐부를 통해 용기 외부로 취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압력을 이용한 스프레이 디스펜서의 종류로서, 크게 비닐주머니 방식, 펫트용기 방식이 있다. 비닐주머니 방식의 경우는 용기제조 시에 정해진 용량 외에 다양한 용량을 담기 위해서는 용량별로 구비가 필요하며, 비닐주머니 방식은 접착방식으로 제작되어 충격이나 압력에 약하며, 특히 사용자가 떨어뜨리면 찢어져서 사용을 못하는 경우가 발행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펫트용기 방식은 충격에는 강하나 정해진 용량 외에는 다양한 용량을 구비하기 위해서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금형비 및 설비 등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방식의 디스펜서의 경우 규격화된 캔용기에 집어넣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며, 특히 비닐주머니 방식의 경우 돌돌말아서 고정시켜주는 공정이 필요하고, 펫트용기는 사이즈를 작게 해주어야 하므로 제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3-0016321호(1993.08.26)
따라서, 본 발명은 환경에 유해한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내용물을 분출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가공성이 뛰어나며,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디스펜서에 있어서,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되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 상기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의 결합구에 결합되고, 내용물의 충전/분출 통로를 갖는 차징/인젝션 수단(charing/injection means); 및 상기 차징/인젝션 수단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는 선택 연통밸브;를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는 실리콘, 라텍스, 고무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징/인젝션 수단은 상기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의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는 차징/인젝션 바디; 및 상기 차징/인젝션 바디를 상기 신축주머니의 결합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연통밸브는 상기 차징/인젝션 바디의 통로 상에 구비되는 가변연통 부재; 상기 가변연통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가변연통 부재와 체결 바디의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축주머니의 결합구 부위의 두께를 상기 신축주머니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축주머니는 상기 결합구 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갈수록 두께의 구배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하거나, 상기 신축주머니의 다른 부위에서 상기 결합구 측으로 갈수록 두께의 구배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축주머니에 내용물의 충전시 충전 부하를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 수단은 상기 차징/인젝션 수단과 신축주머니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 마진을 갖도록 하고, 이 결합 마진의 구간에서 신축주머니와 차징/인젝션 수단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충진 공간을 갖는 신축 파우치; 상기 신축 파우치와 결합되는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 상기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선택적 밸브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 파우치는,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충진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켜서 충진 공간 내의 유체와 외부의 유체와 유통하도록 하고 제1 내경을 갖는 출입구를 갖되, 상기 신축 파우치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둘레에 마련되는 출입 단부는 직경 방향으로 소정의 제1 두께, 및 길이 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는,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 및 상부 체결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되, 하단에 배치되며 상방향으로 외경이 증가하는 삽입 확장부, 상기 삽입 확장부 상에 배치되며 소정의 제2 외경 및 제2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중간 넥부, 상기 중간 넥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 넥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 상에 배치되며 직경 방향으로 함몰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홈을 갖는 연결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체결 바디는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 상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단부 상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관통 홀을 갖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의 외주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단부를 둘러싸서 상기 연결단부에 결합되는 둘레 바디, 및 상기 둘레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확장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의 상기 삽입 확장부가 상기 신축 파우치의 출입구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 넥부 둘레에 상기 출입 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신축 파우치와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가 결합되며,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는,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의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되,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가 상기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의 중공 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 상에 상기 상부 체결 바디가 결합되고,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신축 파우치의 충진 공간 내의 유체와 외부의 유체와 유통되거나 또는 상기 신축 파우치 내의 충진 공간이 밀폐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는, 통기관을 갖는 가변 밸브 부재, 탄성 와셔, 및 탄성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는 상기 가변 밸브 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여 상기 통기관이 상기 탄성 와셔에 의해서 밀폐되도록 하되,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가변 밸브 부재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통기관이 노출되어 상기 신축 파우치의 충진 공간 내의 유체와 외부의 유체 간의 연통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변 밸브 부재는, 소정의 길이 및 외경의 원통형 형상을 갖는 하단 삽입 부재, 상기 하단 삽입 부재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단연통 부재, 및 상기 하단 삽입 부재와 상단연통 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상단연통 부재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관은 상기 상단 연통 부재의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관과 연통하는 측방 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와셔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중심 홀을 가져서 상기 중심 홀 내에 상기 통기부가 위치하여 상기 측방 통공을 밀폐하는 형태로 상기 탄성 와셔와 상기 가변 밸브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상단 연통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커버의 관통 홀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는 상기 하단 삽입 부재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변 밸브 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은 소정의 내경을 갖는 하단 중공, 상기 하단 중공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간 중공을 갖고,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는 상기 하단 중공 상에 지지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가 상기 하단 중공과 상기 하단 삽입 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변 밸브 부재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와셔는, 상기 둘레 바디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져서, 상면이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에 밀착하되, 하면은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의 상기 연결단부의 상단에 밀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의 상기 연결단부의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 와셔의 하면과 밀착하여 유체의 유출을 막도록 하는 밀착 돌부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단 삽입 부재의 외측 둘레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직경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하나 이상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링 형태의 금속 체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축 파우치의 상기 출입 단부의 외측 둘레에는 소정의 깊이 및 폭을 가지며 외측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외경 홈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 체결구가 상기 외경 홈에 체결되어 상기 출입 단부의 변형을 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신축성있는 재질을 이용하므로 내용물을 넣은 상태에서 충격을 받아도 터지거나 변형이 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스프레이 용기에 넣기 위한 2차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작성 및 가공성이 뛰어나고, 소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실리콘,라텍스 등의 재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로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를 분해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성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에 내용물을 소정 용량 충전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에서 내용물이 분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디스펜서의 신축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디스펜서의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디스펜서의 상부 체결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디스펜서의 선택적 밸브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디스펜서의 선택적 밸브 장치의 가변 밸브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디스펜서의 선택적 밸브 장치의 탄성 와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디스펜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디스펜서에 유체가 주입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디스펜서에서 유체가 분사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디스펜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를 분해하여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성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에 내용물을 소정 용량 충전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에서 내용물이 분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에 있어서, 일측에 결합구(coupling opening)(110)가 형성되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100); 상기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100)의 결합구(110)에 결합되고, 내용물의 충전/분출 통로를 갖는 차징/인젝션 수단(charing/injection means)(200); 및 상기 차징/인젝션 수단(200)에 구비되어 일방향(즉, 신축주머니으로의 방향)으로의 연통은 허용하고,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연통은 방지하되 반대방향으로의 연통은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선택 연통밸브(300)를 포함한다.
상기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100)는 충전되는 내용물에 의해 늘어나고 다시 초기 상태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신축성 있는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실리콘, 라텍스,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차징/인젝션 수단(200)은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100)의 결합구(110)에 삽입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며, 디스펜서의 분출 조작구(미도시)가 결합되는 차징/인젝션 바디(210); 및 상기 차징/인젝션 바디(210)를 신축주머니(100)의 결합구(110)에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한 환형의 체결 바디(220)를 포함한다.
상기 차징/인젝션 바디(210)에 형성되는 통로는 2단으로 단차진 형태의 통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상부 측의 직경이 하부 측의 직경보다 크게, 다시 말해서 직경이 큰 대경 통로부와 직경이 작은 소경 통로부를 갖는 직경이 다른 통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선택 연통밸브에 대한 설명시 설명한다.
상기 체결 바디(220)는 차징/인젝션 바디(210)가 신축주머니(100)의 결합구(11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그 삽입부의 신축주머니(100)의 외연에 체결되어 차징/인젝션 바디(210)가 견고하게 결합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선택 연통밸브(300)는 상기 차징/인젝션 수단(200)의 통로에 구비되어 신축주머니(100)와 외부 간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징/인젝션 바디(210)의 통로 상에 구비되는 가변연통 부재(310); 상기 가변연통 부재(3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320); 및 상기 가변연통 부재(310)와 체결 바디(2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 부재(3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방향  연통 밸브(300)는 외부의 조작 힘이 가해진 경우 하방으로 이동하여 외부와 연통상태를 제공하고, 외부의 힘이 해제된 경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위치되면서 연통상태를 폐쇄상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외부에서 충전되는 내용물에 의해 신축주머니(100)가 그 부피가 늘어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경우 내용물의 충전시 신축주머니(100)의 부피가 늘어날 경우, 신축주머니(100)에서는 그 입구 측(즉, 차징/인젝션 수단(200)이 결합되는 측인 결합구(110)가 형성되는 측)에서 충전에 따른 부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게되는데, 이로 인해 신축주머니가 찢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어, 본 발명은 신축주머니(100)의 결합구(110) 측(즉, 도 2의 "A"부)을 신축주머니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하거나, 이 결합구(110) 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갈수록 두께의 구배가 점차 감소하도록(다시 말해서, 신축주머니(100)의 다른 측에서 결합구 측으로 갈수록 두께의 구배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다른 실시 형태로, 본 발명은 상기 신축주머니(100)로 내용물의 충전시 충전 부하를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 수단을 더 포함한다. 즉, 신축주머니(100)로 내용물을 충전할 때 빠른 충전속도와 압력으로 충전되는데 이때 신축주머니에 순간적인 압력 부하가 작용할 때 신축주머니의 손상이 발생살 수 있으므로 신축주머니로 내용물의 충전시 충전 부하의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완충 수단의 일 실시 형태로, 차징/인젝션 수단(200)과 신축주머니(100)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 마진을 갖도록 하고, 이 결합 마진의 구간(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신축주머니와 차징/인젝션 수단(200)을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에 따르면, 신축성있는 재질을 이용하므로 내용물을 넣은 상태에서 충격을 받아도 터지거나 변형이 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스프레이 용기에 넣기 위한 2차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작성 및 가공성이 뛰어나고, 소요 비용을 절감시키며, 또한 실리콘, 라텍스 등의 재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로 친환경적인 디스펜서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도 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신축 파우치(400); 상기 신축 파우치(400)에 결합되고, 내용물의 충전/분출 통로를 갖는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charing/injection means)(600); 및 상기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600)에 구비되어 일방향(즉, 신축 파우치로의 방향)으로의 연통은 허용하고,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연통은 방지하되 반대방향으로의 연통은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선택적 밸브 장치(700)를 포함한다.
상기 신축 파우치(400)는 충전되는 내용물에 의해 늘어나고 다시 초기 상태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신축성 있는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실리콘, 라텍스,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신축 파우치(400)는 내부에 소정의 용적의 충진 공간(420)을 갖고, 상단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출입구(410)가 형성될 수 있다. 출입구(410)의 내경 D는 신축 파우치(400)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진 공간(420)의 내경 B보다 작은 크기를 갖게 구성된다. 따라서, 출입구(410)를 구성하는 출입 단부(412)는 소정의 두께를 갖되, 그 두께 C 는 타 부분의 두께 A 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출입 단부(412)는 비교적 변형이 적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입구(410)의 내경 D 는 후술하는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의 중간 넥부(620)의 외경과 대응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출입 단부(412)의 길이 E 또한, 중간 넥부(620)의 길이와 대응하거나, 또는 그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외부에서 충전되는 내용물에 의해 신축 파우치(400)가 그 부피가 늘어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경우 내용물의 충전시 신축 파우치(400)의 부피가 늘어날 경우, 신축 파우치(400)에서는 그 입구 측(즉,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600)이 결합되는 측인 출입구(410)가 형성되는 측)에서 충전에 따른 부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신축 파우치(400)가 찢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어, 본 발명은 신축 파우치(400)의 출입구(410) 측(즉, 도 2의 "A"부)을 신축 파우치(400)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하거나, 이 출입구(410) 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갈수록 두께의 구배가 점차 감소하도록(다시 말해서, 신축 파우치(400)의 다른 측에서 출입구(410) 측으로 갈수록 두께의 구배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출입구(410)의 외측 둘레 부분에는 소정의 외경 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외경 홈(430)은 소정의 깊이 및 폭 F를 갖는 홈으로 구성되되 외측 둘레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도 5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경 홈(430)에는 견고한 링 형태의 금속 체결구(500)가 체결될 수 있다. 금속 체결구(500)는 출입구(410)에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6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경 홈(430)을 둘러싸서 상기 출입 단부(412)의 변형을 저지함으로써,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600)와 신축 파우치(40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금속 체결구(500)는 이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원환 형태로 구성되며, 그 체결 방법은 후술한다.
상기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600)는 파우치(400)의 출입구(410)에 삽입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며, 디스펜서의 분출 조작구(미도시)가 결합되는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 및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 상에 결합되는 환형의 상부 체결 바디(604)를 포함한다.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부재로서,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650)이 형성된다.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외형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는 최하단의 삽입 확장부(610)와, 상기 삽입 확장부(6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 확장부(610)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중간 넥부(620)와, 상기 중간 넥부(62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 넥부(620)보다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630)를 갖되, 상기 헤드부(630)의 상부에는 고정 홈(646)이 형성된 연결단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삽입 확장부(610)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화살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삽입 확장부(610)는 하단이 좁은 외경을 가지며 상단 방향으로 외경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져서 외면에 경사면(612)이 형성된다. 삽입 확장부(610)의 상부면(614)은 편평하며 직경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원환 형상의 지지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삽입 확장부(610)와 중간 넥부(62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중간 넥부(620)는 상기 삽입 확장부(610)의 상단보다 작은 내경 H 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 G 를 갖게 구성된다. 따라서, 중간 넥부(620)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헤드부(630)는 상기 중간 넥부(620)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부(630)의 외경은 상기 삽입 확장부(610)의 상단부의 외경과 대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헤드부(630)의 하부면은 편평하며 직경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원환 형상의 지지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중간 넥부(620)와 헤드부(63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연결단부(640)는 헤드부(630)의 상단에 마련되며, 전체적으로 헤드부(630)보다 큰 외경을 갖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 직경방향으로 함몰되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홈(64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연결단부(640)는 하부의 링 형태의 제1 지지단부(642)와, 상부의 링 형태의 제2 지지단부(644) 사이에 상기 고정 홈(646)이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단부(644)의 하면은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고정 홈(646)에 인접한 하단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외경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한편, 상기 연결단부(640)의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탄성 와셔의 하면과 밀착하여 유체의 유출을 막도록 하는 밀착 돌부(648)가 구비될 수 있다. 밀착 돌부(648)은 둘레 방향으로 원환 형태로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중공(650)은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를 관통하는 통로로 구성되되, 2단 또는 3 단으로 단차진 형태의 통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최하단의 가장 좁은 내경을 갖는 하단 중공(652)과, 상기 하단 중공(652)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중간 중공(654), 및 상기 중간 중공(654)보다 더 크게 상방향으로 확장되는 내경을 갖는 상단 중공(6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단 중공(652)의 길이는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하단으로부터 중간 넥부(620)의 중간까지의 길이에 걸쳐 있음이 바람직하며, 중간 중공(654)의 길이는 상기 중간 넥부(620)의 중간으로부터 상기 연결단부(640)의 중간까지의 길이에 걸쳐 있음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간 중공(654)의 하부에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빔(658)이 하나 이상 마련되어, 후술하는 하단 삽입 부재(7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8, 도 9 에 도시된 상기 상부 체결 바디(604)는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 내에 선택적 밸브 장치(700)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차징/ 인젝션 메인 바디(602) 상부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부 체결 바디(604)는 구체적으로, 상면의 상부 커버(662), 상기 상부 커버(662)의 외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둘레 바디(663)를 갖되, 상기 둘레 바디(663)의 외주로 돌출되는 소정의 결합 확장 수단(6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662)는 원 형태를 갖되, 중간에 소정의 내경 J 를 갖는 관통 홀(661)이 형성된다. 상부 커버(662)의 직경 K 는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연결단부(640)의 외경에 대체로 대응한다.
상기 둘레 바디(663)는 상기 상부 커버(662)의 외측 둘레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둘레 바디(663)는 상기 상부 체결 바디(604)가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와 결합될 때 상기 연결단부(640)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게 구성된다. 상기 둘레 바디(663)의 길이는 상기 연결단부(640)의 길이보다 크거나 적어도 같게 구성될 수 있다.
결합 확장 수단(664)은 상기 둘레 바디(663)의 외주로 돌출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바디(663)의 하단에서 외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둘레 바디(663)의 외측 둘레에는 U 자 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확장 수단(664)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가 다른 장치와 연결되거나 다른 장치에 수납될 때 결합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택적 밸브 장치(7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택적 밸브 장치(700)는 상기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600)의 중공(650) 내에 수납되어 상기 상부 체결 바디(604)에 의해 덮여지게 배치된다. 선택적 밸브 장치(700)는 신축 파우치(400) 내의 충진 공간(420)과 외부 간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700)는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중공 내에 구비되는 가변 밸브 부재(702); 상기 가변 밸브 부재(702)의 하단에 마련되어 가변 밸브 부재(70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 부재(706); 및 상기 가변 밸브 부재(702)와 상부 체결 바디(604)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와셔(704)를 포함한다.
가변 밸브 부재(702)는 소정의 길이의 원통형 형상을 갖되, 보다 큰 외경을 갖는 하단 삽입 부재(710), 및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단연통 부재(720), 및 상기 하단 삽입 부재(710)와 상단연통 부재(720) 사이의 통기부(730)로 구성될 수 있다.
하단 삽입 부재(710)는 상기 중공의 중간 중공(654)보다 작고 상기 하단 중공(652)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하단 삽입 부재(710)가 상기 중공(650) 내에 삽입되면 상기 중간 중공(654)과 상기 하단 삽입 부재(710)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단 삽입 부재(710)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직경 방향으로 함몰된 복수 개의 함몰부(712)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단 삽입 부재(710)의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후술하는 탄성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삽입 돌부(7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단연통 부재(720)는 상기 하단 삽입 부재(710)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중간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기관(7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연통 부재(720)의 외경은 상기 상부 커버(662)의 중심 홀(661)의 내경 J 와 대응할 수 있다.
통기부(730)는 상기 상단연통 부재(720)보다 작은 외경 M 을 갖고, 상단연통 부재(720)와 하단 삽입 부재(71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통기부(730)는 상단연통 부재(720) 사이, 및 하단 삽입 부재(710) 사이에 단차를 갖는다. 이에 따라서, 가변 밸브 부재(702)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 직경 방향으로 함몰된 홈이 둘레 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통기부(730)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상단연통 부재(720)의 통기관(722)과 연결되는 측방 통공(732)을 가질 수 있다. 측방 통공(732)은 통기관(722)와 안내된다. 즉, 측방 통공(732)을 통해 유체가 측방향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유입되면 상기 유체는 상기 통기관(722)으로 안내되어 을 통해서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통기관(722)으로 주입된 유체는 측방 통공(732)으로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탄성 스프링 부재(706)는 소정의 직경을 갖고 권취된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상기 중공의 중간 중공(654)보다 작고 상기 하단 중공(652)보다 크게 구성되되, 상기 하단 삽입 부재(710) 하부의 삽입 돌부(714)에 끼워지기에 적합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와셔(704)는 원반 형태로 구성되되, 중심부에 원형의 중심 홀(742)이 형성되어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성 와셔(704)는 다른 부재와 밀착하여 공기 흐름을 차단하기에 적합하도록 탄성이 있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와셔(704)의 외경 P 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체결 바디(604)의 상부 커버(662)의 하부 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둘레 바디(663)의 내경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소정의 두께 Q 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중심 홀(742)의 내경 R 은 상기 통기부(730)의 외경 M 에 대응하거나, 또는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탄성 와셔(704)와 가변 밸브 부재(702)를 결합시킬 때, 탄성 와셔(704)의 중심 홀(742)은 상기 상단연통 부재(720)를 통과하여 상기 통기부(730)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택적 밸브 장치(700)는 외부의 조작 힘이 가해진 경우 하방으로 이동하여 외부와 연통상태를 제공하고, 외부의 힘이 해제된 경우 탄성 스프링 부재(706)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위치되면서 연통상태를 폐쇄상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각각의 부재의 결합과 배치 및 그에 따른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는 결합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가 아래에 설명하는 바에 따라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 부재(706)를 가변 밸브 부재(702)의 하단에 결합시키고, 탄성 와셔(704)를 통기부(730)에 끼운 상태로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700)를 마련한 후,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700)를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중공(650) 내에 삽입시킨다. 이때, 탄성 스프링 부재(706)의 하단은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하단 중공(652)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 체결 바디(604)를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 상에 덮어서 상기 둘레 바디(663)가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연결단부(640) 둘레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도 15 와 같이, 상기 둘레 바디(663)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둘레 바디(663)가 변형되도록 하여 둘레 바디(663)의 외측이 함몰되는 결합 함몰부(665)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 함몰부(665)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연결단부(640)의 고정 홈(646) 내로 내삽되어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700)가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중공(65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체결 바디(604)가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 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와셔(704)의 하면이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밀착 돌부(648)과 밀착한 상태로 결합되게 이루어져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와 상기 상부 체결 바디(604) 사이가 밀폐되어 그 틈 사이로 유체가 유출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신축 파우치(400)를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에 결합한다. 상기 신축 파우치(400)의 출입구(410) 내에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삽입 확장부(610) 및 중간 넥부(620)를 삽입시킨다. 삽입이 이루어져 상기 삽입 확장부(610)가 상기 출입구(410)를 빠져나오면 상기 출입구(410) 내에 중간 넥부(62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출입구(410)의 내경 D보다 상기 헤드부(630)의 외경이 크므로 더 이상의 삽입은 멈추며, 출입구(410) 내에 중간 넥부(620)가 위치한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 확장부(610)의 상단면(614)은 편평한 지지면으로 구성되어, 출입구(410)의 하단면과 서로 걸려져서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와 신축 파우치(40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41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외경 홈(430)에 금속 체결구(500)를 체결시킨다. 금속 체결구(500)의 체결은, 소정의 금속 바(bar)를 상기 외경 홈(430) 내에 위치시킨 후, 가압하여 상기 외경 홈(430)을 따라서 굴곡시켜 원환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출입구(410) 부분의 변형이 구속되어 신축 파우치(400) 내에 유체가 충진되어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와 신축 파우치(40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 부재(706)가 화살표 T 와 같이 가변 밸브 부재(702)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므로, 탄성 와셔(706)가 통기부(730) 내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탄성 와셔(706)는 측방 통공(732)을 막은 상태이므로 내, 외부의 유체가 서로 연통하지 않고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와셔(704)는 탄성을 갖고 하단 삽입부(710)의 상면과 밀착하므로 더욱 효과적인 밀폐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내로 내용물을 충진하거나, 또는 내용물을 디스펜서로부터 분사시킬 경우의 작동은 도 16 과 같이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아래 설명과 같다.
먼저, 내용물을 충진시킬 때, 상기 상단연통 부재(720)의 통기관(722)을 통해 유체 형태의 내용물이 강한 압력으로 주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체의 주입 압력, 또는 외력이 가변 밸브 부재(702)를 누르면 가변 밸브 부재(702)는 하부의 탄성 스프링 부재(70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 와셔(704)는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상단의 연결단부(640)와 상부 커버(662) 사이에 밀착하여 위치 고정되어 있으므로,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 밸브 부재(702)만이 하강하면 상기 가변 밸브 부재(702)의 통기부(730)가 탄성 와셔(704)로부터 이탈하여 측방 통공(732)이 개방되게 된다. 이때, 탄성 와셔(704)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므로, 탄성 와셔(704)의 중심 홀(742)는 변형되어 늘어나서 중심 홀(742) 내에 상단연통 부재(720)가 위치한다. 물론, 탄성 와셔(704)의 중심 홀(742)과 상단연통 부재(720)이 서로 밀착하여 그 사이로 유체의 유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단연통 부재(720)의 통기관(722)을 통해 주입된 유체 내용물은 통기부(730)의 측방 통공(732)을 통해서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중공(650) 내로 주입되며, 상기 내용물은 하방으로 유동하여 신축 파우치(400) 내의 충진 공간(420) 내로 충진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 와셔(704)는 탄성을 가져서 상기 중심 홀(742) 내에 상기 상단연통 부재(720)의 외측이 밀착되므로, 상부 커버(662)의 관통 홀(661)을 통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아니한다.
신축 파우치(400) 내에 내용물이 충진되고 내용물의 주입 또는 배출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706)의 탄성에 의해서 가변 밸브 부재(702)가 상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는 도 15 의 상태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 와셔(704)가 가변 밸브 부재(702)의 통기부(730) 내에 위치하며, 탄성 와셔(704)가 측방 통공(732)을 밀폐하여 유체의 유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신축 파우치(400) 내의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유출되지 아니한다.
한편, 내용물을 분사할 때에는 상기 설명한 내용물의 주입과 상태가 유사하되, 유체의 유동 방향이 반대가 된다. 즉, 도 17 과 같다. 외력에 의해서 가변 밸브 부재(702)가 탄성 스프링 부재(70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방으로 이동하여 측방 통공(732)이 개방되면 신축 파우치 내의 내용물이 측방 통공(732)을 통해 통기구를 지나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하단 삽입 부재(71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함몰부(712)가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내용물이 분사 및 주입이 안내되어 보다 용이한 주입 및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함몰부(712)를 통해 유체가 유동하므로 하단 삽입 부재(710)의 외경과 중간 중공(654)의 내경이 큰 차이를 갖지 않아도 되며. 분사 및 주입 과정에서 유체의 유동으로 인한 떨림 및 흔들림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 중공(654)의 하부에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된 안내 빔(658)이 하나 이상 마련되어, 상기 하단 삽입 부재(7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안내 빔(658)은 상기 함몰부(712)에 대응하여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신축 파우치(400)로 내용물의 충전시 충전 부하를 완충시키기 위한 소정의 완충 수단을 더 포함한다. 즉, 신축 파우치(400)로 내용물을 충전할 때 빠른 충전속도와 압력으로 충전되는데 이때 신축 파우치에 순간적인 압력 부하가 작용할 때 신축 파우치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축 파우치로 내용물의 충전시 충전 부하의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 수단의 일 실시 형태로,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600)과 신축 파우치(400)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 마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410)의 길이 E 가 상기 중간 넥부(620)의 길이 G 보다 작아서, 상기 출입구(410) 내에 중간 넥부(6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라서 상기 출입구(410)가 중간 넥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 마진의 구간(범위) 내에서 화살표 S 와 같이 변위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 마진의 구간(범위)에서 신축 파우치(400)가 이동 가능하게 신축 파우치(400)와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600)을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
110: 결합구
200: 차징/인젝션 수단(charing/injection means)
210: 차징/인젝션 바디
220: 체결 바디
300: 선택 연통밸브
310: 가변연통 부재
320: 탄성 부재
330: 와셔 부재
400: 신축 파우치
410: 출입구
412: 출입 단부
420: 충진 공간
500: 금속 체결구
600: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
602: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
604: 상부 체결 바디
610: 삽입 확장부
612: 경사면
614: 상부면
620: 중간 넥부
630: 헤드부
640: 연결단부
642: 제1 지지단부
644: 제2 지지단부
646: 고정 홈
648: 밀착 돌부
650: 중공
652: 하단 중공
654: 중간 중공
656: 상단 중공
661: 관통 홀
662: 상부 커버
663: 둘레 바디
664: 결합 확장 수단
700: 선택적 밸브 장치
702: 가변 밸브 부재
704: 탄성 와셔
706: 탄성 스프링 부재
710: 하단 삽입 부재
712: 함몰부
714: 삽입 돌부
720: 상단 연통 부재
722: 통기관
730: 통기부
732: 측방 통공
742: 중심 홀

Claims (15)

  1. 디스펜서에 있어서,
    일측에 결합구(110)가 형성되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100);
    상기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100)의 결합구(110)에 결합되고, 내용물의 충전/분출 통로를 갖는 차징/인젝션 수단(charing/injection means)(200); 및
    상기 차징/인젝션 수단(200)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는 선택 연통밸브(30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100)는 실리콘, 라텍스, 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디스펜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징/인젝션 수단(200)은 상기 내용물충전 신축주머니(100)의 결합구(110)에 삽입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는 차징/인젝션 바디(210); 및 상기 차징/인젝션 바디(210)를 상기 신축주머니(100)의 결합구(11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바디(220)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연통밸브(300)는 상기 차징/인젝션 바디(210)의 통로 상에 구비되는 가변연통 부재(310); 상기 가변연통 부재(3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320); 및 상기 가변연통 부재(310)와 체결 바디(2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 부재(33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주머니(100)의 결합구(110) 부위의 두께를 상기 신축주머니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하여 구성하는
    디스펜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주머니(100)는 상기 결합구(110) 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갈수록 두께의 구배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하거나, 상기 신축주머니(100)의 다른 부위에서 상기 결합구(110) 측으로 갈수록 두께의 구배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펜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주머니(100)에 내용물의 충전시 충전 부하를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완충 수단은
    상기 차징/인젝션 수단(200)과 신축주머니(100)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 마진을 갖도록 하고, 이 결합 마진의 구간에서 신축주머니와 차징/인젝션 수단(200)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8. 디스펜서에 있어서,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충진 공간(420)을 갖는 신축 파우치(400);
    상기 신축 파우치(400)와 결합되는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600);
    상기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60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선택적 밸브 장치(700);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 파우치(400)는,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충진 공간(420)을 외부와 연통시켜서 충진 공간(420) 내의 유체와 외부의 유체와 유통하도록 하고 제1 내경을 갖는 출입구(410)를 갖되,
    상기 신축 파우치(400)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구(410)를 형성하도록 상기 출입구(410)의 둘레에 마련되는 출입 단부(412)는 직경 방향으로 소정의 제1 두께, 및 길이 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차징/인젝션 연통 부재(600)는,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 및
    상부 체결 바디(604)를 포함하되,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650)을 갖고,
    하단에 배치되며 상방향으로 외경이 증가하는 삽입 확장부(610),
    상기 삽입 확장부(610) 상에 배치되며 소정의 제2 외경 및 제2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중간 넥부(620),
    상기 중간 넥부 상(620)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 넥부(620)보다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630), 및
    상기 헤드부(630) 상에 배치되며 직경 방향으로 함몰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홈(646)을 갖는 연결단부(64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체결 바디(604)는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 상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단부(640) 상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관통 홀(661)을 갖는 상부 커버(662),
    상기 상부 커버(662)의 외주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단부(640)를 둘러싸서 상기 연결단부(640)에 결합되는 둘레 바디(663), 및
    상기 둘레 바디(66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확장 수단(664)을 포함하며,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상기 삽입 확장부(610)가 상기 신축 파우치(400)의 출입구(410)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 넥부(620) 둘레에 상기 출입 단부(412)가 위치하여 상기 신축 파우치(400)와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가 결합되며,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700)는,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상기 중공(650) 내에 배치되되,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700)가 상기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중공(650) 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 상에 상기 상부 체결 바디(604)가 결합되고,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700)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신축 파우치(400)의 충진 공간(420) 내의 유체와 외부의 유체와 유통되거나 또는 상기 신축 파우치(400) 내의 충진 공간(420)이 밀폐되는 디스펜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밸브 장치(700)는,
    통기관(722)을 갖는 가변 밸브 부재(702),
    탄성 와셔(704), 및
    탄성 스프링 부재(706)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706)는 상기 가변 밸브 부재(702)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여 상기 통기관(722)이 상기 탄성 와셔(704)에 의해서 밀폐되도록 하되,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70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가변 밸브 부재(702)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통기관(722)이 노출되어 상기 신축 파우치(400)의 충진 공간(420) 내의 유체와 외부의 유체 간의 연통이 이루어지는 디스펜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밸브 부재(702)는,
    소정의 길이 및 외경의 원통형 형상을 갖는 하단 삽입 부재(710),
    상기 하단 삽입 부재(710)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단연통 부재(720), 및
    상기 하단 삽입 부재(710)와 상단연통 부재(720)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상단연통 부재(720)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통기부(730)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관(722)은 상기 상단 연통 부재(720)의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통기부(730)는 상기 통기관(722)과 연통하는 측방 통공(732)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와셔(704)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통기부(73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중심 홀(742)을 가져서 상기 중심 홀(742) 내에 상기 통기부(730)가 위치하여 상기 측방 통공(732)을 밀폐하는 형태로 상기 탄성 와셔(704)와 상기 가변 밸브 부재(702)가 결합되며,
    상기 상단 연통 부재(7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커버(662)의 관통 홀(661)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706)는 상기 하단 삽입 부재(71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변 밸브 부재(702)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디스펜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650)은 소정의 내경을 갖는 하단 중공(652), 상기 하단 중공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간 중공(654)을 갖고,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706)는 상기 하단 중공(652) 상에 지지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 부재(706)가 상기 하단 중공(652)과 상기 하단 삽입 부재(7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변 밸브 부재(702)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디스펜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와셔(704)는,
    상기 둘레 바디(663)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져서,
    상면이 상기 상부 커버(662)의 하면에 밀착하되,
    하면은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상기 연결단부(640)의 상단에 밀착하는 디스펜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징/인젝션 메인 바디(602)의 상기 연결단부(640)의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 와셔(704)의 하면과 밀착하여 유체의 유출을 막도록 하는 밀착 돌부(648)가 구비된 디스펜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삽입 부재(710)의 외측 둘레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직경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712)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디스펜서.
  15. 제8항에 있어서,
    링 형태의 금속 체결구(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축 파우치(400)의 상기 출입 단부의 외측 둘레에는 소정의 깊이 및 폭을 가지며 외측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외경 홈(430)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 체결구(500)가 상기 외경 홈(430)에 체결되어 상기 출입 단부의 변형을 저지하는 디스펜서.

KR1020160060217A 2015-05-17 2016-05-17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160135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483 2015-05-17
KR20150068483 2015-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140A true KR20160135140A (ko) 2016-11-25

Family

ID=5768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217A KR20160135140A (ko) 2015-05-17 2016-05-17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51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4907B2 (ja) 圧力制御デバイス
CN113165863B (zh) 分配龙头及其使用方法
US20070228082A1 (en) Dosing valve and device for the output of a preferably cosmetic liquid
US11358783B2 (en) Mounting cup for pressurized container
EP3446590A1 (en)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US20030071078A1 (en) Aerosol valve assembly and aerosol vessel
US7021559B2 (en)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 pressurized dispensing vessel
EP2892656B1 (en) Foam dispenser
CA2675848A1 (en) Valve assembly for pressurized dispensers
US20140183229A1 (en) Pumping device for a fluid container
US6227417B1 (en) Pressurized device
JPH11342985A (ja) バルブ作動部材と該部材を備えたバルブ並びに該バルブを備えた施与装置
KR20180011745A (ko) 비-충전 에어로졸 밸브
US6581806B2 (en) Dispenser packing for viscous or pasty material
US6698620B2 (en) Aerosol valve for high rate filling
KR20160135140A (ko) 디스펜서 및 그의 제작 방법
JP5560035B2 (ja) 内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重エアゾール製品
JP2018030639A (ja) 飲料の供給装置
KR101663206B1 (ko) 디스펜서
JP2009178685A (ja) 吐出器およびピストン部材
EP3494065B1 (en) Device for spraying a product
EP2785466B1 (en) Pumping device for a fluid container
WO2018210434A1 (en) A dispensing system for a pressurized fluid medium, a valve cup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such a system
MXPA06010004A (en) Closure for a container that holds a free-flowing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