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259A -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 설치방법 및 완충재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 설치방법 및 완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259A
KR20160134259A KR1020150068017A KR20150068017A KR20160134259A KR 20160134259 A KR20160134259 A KR 20160134259A KR 1020150068017 A KR1020150068017 A KR 1020150068017A KR 20150068017 A KR20150068017 A KR 20150068017A KR 20160134259 A KR20160134259 A KR 20160134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ing
noise
shock
plate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표
Original Assignee
김종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표 filed Critical 김종표
Priority to KR102015006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4259A/ko
Publication of KR2016013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 설치방법 및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서 ,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아파트와 연립주택을 포함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구조물의 바닥 완충재를 설치하여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파를 흡수하여 분산 및 감쇄하고 충격음을 베란다로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여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 설치방법 및 완충재{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shock-absorbing materials to reducing the noise between floors and the shock-abcoring materials}
본 발명은 아파트와 연립주택을 포함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구조물의 바닥 완충재를 설치하여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파를 흡수하여 분산 및 감쇄하고 충격음을 베란다로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여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방법 및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간의 바닥에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부로부터 하부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차폐하고 억제하기 위하여, 다층 구조물에는 층간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 방지 시설재가 시공된다.
건축물의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떨림이나 소리로 전달된다. 즉, 진동은 한 물체가 충격을 받았을 때 생긴 파장대에 의해서 생기는 현상으로 떨림이나 소리로 나타나는데, 모든 건축물에서는 이러한 진동과 소음을 해결하기 위하여 밀도가 낮은 저밀도의 소재 또는 진동이나 소리 전달 파장대가 완만한 완충재를 바닥면에 깔거나 붙여서 진동을 줄이고 있다.
한편, 아파트 등의 거주용 건축물에 권장되는 진동 및 소음은 중량충격에서 50db이하, 경량충격에서 58db이하이다.
따라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층간 진동방지재 및 구조재료를 사용한 시설재들이 알려져 있는데, 공통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밀도가 낮고 부드러운 연질성 진동방지용 시설재를 깔아 진동이나 소리의 파장대가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고 분산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중량 충격음은 완충재에 의해서 기준치 이하가 되지 않는다는데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완충재에 의해서 중량 충격음의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면 슬래브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런데 슬래브의 강성은 슬래브 단면의 2차 모멘트와 정비례하므로 슬래브 두께를 크게 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다.
그렇다고 중량 충격음을 기준치 이하가 되게 하기 위하여 슬래브 두께를 크게 할 수만 있는 것도 아니며, 슬래브 두께가 커지면 건축비가 상승되기 때문이다.
건축비 상승과 중량 충격음 저감과의 적정화가 요구된다. 현재의 사정을 감안할 때 슬래브 두께를 크게 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하다.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7-7950호 "층간소음 방지재와 측벽소음 방지재 및 이들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의 층감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충격음의 저감과 충격력의 흡수 완화에 동시에 효과적인 층감소음 완충재와 그 층간소음 완충재의 바람직한 이용방법을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바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완충볼이 상면에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하부 플레이트를 설치한 다음,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완충볼 상부에 금속판을 설치한 다음, 상기 금속판의 상부에는 저면에 구형상으로 형성된 완충볼이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상부 플레이트를 설치한 다음 베란다 방향으로 소음이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를 형성한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방법 및 완충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고체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하며, 이러한 고체 충격음과 함께 층간소음의 원인이 되는 공기 전달음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감쇄시켜 배출구를 통해 베란다로 배출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격력의 흡수 완충이 가능하여 슬래브 또는 벽체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파 소음을 유리하게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완충재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완충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완충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완충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완충재가 설치된 바닥에서 배출구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완충재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완충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완충재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완충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완충재가 설치된 바닥에서 배출구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1)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완충볼(4)이 상면에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하부 플레이트(3)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의 완충볼(4) 상부에 금속판(5)과, 상기 금속판(5)의 상부에는 저면에는 구형상의 완충볼(4)이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상부 플레이트(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완충재(1)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공동주택의 바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슬래브(8) 위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완충볼(4)이 상면에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하부 플레이트(3)를 연접되게 설치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의 완충볼(4) 상부에 금속판(5)을 연접되게 설치한다.
상기 금속판(5)의 상부에는 저면에는 구형상의 완충볼(4)이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상부 플레이트(2)를 설치한다.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8) 위에 설치된 상·하부 플레이트(2, 3) 사이에서 소음이 흡수 완충되고 일부는 베란다(6)로 배출될 수 있도록 베란다(6) 방향으로 배출구(7)가 형성한다.
1: 완충재 2: 상부 플레이트
3: 하부 플레이트 4: 완충볼
5: 금속판 6: 베란다
7: 배출구 8: 콘크리트 슬래브

Claims (2)

  1.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완충재 설치방법에 있어서,
    공동주택의 바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완충볼이 상면에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하부 플레이트를 연접되게 설치하는 단계; 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완충볼 상부에 금속판을 연접되게 설치하는 단계; 와
    상기 금속판의 상부에는 저면에는 구형상의 완충볼이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상부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설치된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소음이 흡수 완충되고 일부는 베란다로 배출될 수 있도록 베란다 방향으로 배출구가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 설치방법.
  2.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완충재에 있어서,
    공동주택의 바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완충볼이 상면에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하부 플레이트; 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완충볼 상부에 금속판; 과
    상기 금속판의 상부에는 저면에는 구형상의 완충볼이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상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
KR1020150068017A 2015-05-15 2015-05-15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 설치방법 및 완충재 KR20160134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017A KR20160134259A (ko) 2015-05-15 2015-05-15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 설치방법 및 완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017A KR20160134259A (ko) 2015-05-15 2015-05-15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 설치방법 및 완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259A true KR20160134259A (ko) 2016-11-23

Family

ID=5754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017A KR20160134259A (ko) 2015-05-15 2015-05-15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 설치방법 및 완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42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950A (ko) 2004-04-28 2007-01-16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해석 방법, 노광 장치 및 노광 장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950A (ko) 2004-04-28 2007-01-16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해석 방법, 노광 장치 및 노광 장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062B1 (ko)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890416B1 (ko) 층간 소음 방지 패드
KR2017008714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0386633Y1 (ko) 다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용 방음패드
KR101356556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장치
KR101639555B1 (ko)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패드 조립체
KR101976928B1 (ko)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KR101929628B1 (ko) 층간소음 차음재
KR20190079758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방법
KR100707384B1 (ko) 공동주택용 층간 소음방지 구조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100803350B1 (ko) 층간 소음방지용 패널
KR100995303B1 (ko)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37498B1 (ko) 층간소음 방지 차음재
KR101351755B1 (ko)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4884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0998282B1 (ko) 층간 소음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KR20160134259A (ko)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완충재 설치방법 및 완충재
KR200386447Y1 (ko) 소음 및 진동 방지용 바닥 방진판
KR20200018884A (ko) 주택 건축물의 층간소음 바닥패널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78892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101176496B1 (ko) 착좌 성능이 개선된 온돌 기능을 가지는 방진 방음 패널
KR200453109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0473232Y1 (ko) 층간소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