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246A -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 Google Patents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246A
KR20160134246A KR1020150067985A KR20150067985A KR20160134246A KR 20160134246 A KR20160134246 A KR 20160134246A KR 1020150067985 A KR1020150067985 A KR 1020150067985A KR 20150067985 A KR20150067985 A KR 20150067985A KR 20160134246 A KR20160134246 A KR 20160134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nection
panels
frame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774B1 (ko
Inventor
이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5006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774B1/ko
Priority to CN201620422246.2U priority patent/CN205917954U/zh
Publication of KR2016013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4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recesses in both frontal surfaces co-operating with an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층을 갖는 패널의 단부에 위치하는 패널 프레임 및 두 개의 상기 패널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패널 프레임과 끼움결합되는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 구조로 형성되어 천장 또는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간소화하고 시공시 필요한 별도의 부재사용 및 인력을 줄임으로써 공사비를 줄이고 시공시 발생하는 폐기물을 줄여 환경오염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Available frame as by ceiling panels and wall panels}
본 발명은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립식 연결구조를 갖는 프레임 구성으로 시공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복잡한 시공단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을 이용한 실내건축인테리어 및 건축공사는 많은 자원이 공사 폐기물로 버려져 왔으며, 불필요한 인력으로 비효율적인 공사비낭비가 이루어져 왔고, 시공시 발생하는 분진에 의한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편, 천장 및 벽체 시공과 관련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6430호(2013.05.22.등록, 단열재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를 예로 들 수 있다.
해당 특허 문헌에서는, "단열성을 포함한 기능의 향상과 더불어 제작과 시공이 편리한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방법으로 "단열재(1)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1)를 2개의 판체로 구성되는 거푸집(55)의 일측 내벽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1)가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상기 단열재(1)가 축조된 콘크리트벽 일측에 접착되도록 하는 단계
(중략)
단면이 디귿(ㄷ)자 형태가 되도록 직경 2 ~ 5mm 정도의 철사를 절곡하고, 절곡된 양단을 외측을 향해 벌어지게하여 형성되는 단열재고정구(59)를 준비한 다음, 상기 단열재고정구(59)의 일단을 상기 단열재(1)에 결합시키고 타단을 상기 거푸집(55)의 상단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특허 문헌 및 종래 천장 및 벽체 시공은 해당 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공 과정이 복잡하고 분진이 많이 발생하며,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시공 현장 주변에 피해를 주고 불필요한 공사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6430호(2013.05.22.등록), 단열재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로 형성되어 천장 또는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간소화하고 시공시 필요한 별도의 부재사용 및 인력을 줄임으로써 공사비를 줄이고 시공시 발생하는 폐기물을 줄여 환경오염을 막는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층을 갖는 패널의 단부에 위치하는 패널 프레임 및 두 개의 상기 패널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패널 프레임과 끼움결합된다.
이때, 상기 패널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층을 갖는 제 1 패널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 또는 적어도 상기 제 1 패널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 2 패널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3 연결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의 중심인 제 1 연결 몸체부 및 상기 제 1 연결 몸체부의 일측 단부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 프레임과 끼움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제 1 연결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중심인 제 2 연결 몸체부, 상기 제 2 연결 몸체부의 상기 제 1 패널과 결합하는 일면 양단에 위치하는 제 1 패널 연결 돌출부, 상기 제 2 연결 몸체부의 타면의 중심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하는 제 1 결합홈 및 상기 제 1 결합홈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마주보는 두 개의 제 2 연결 돌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설치홈, 상기 제 2 연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대 및 상기 제 1 패널을 중심으로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하면의 상기 제 1 결합홈에 위치하는 바닥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설치홈에는 흡음재를 충전(充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제 3 연결부의 중심인 제 3 연결 몸체부, 상기 제 3 연결 몸체부의 상기 제 2 패널과 결합하는 일면 양단에 위치하는 제 2 패널 연결 돌출부, 상기 제 3 연결 몸체부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홈 및 상기 제 2 결합홈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마주보는 두 개의 제 3 연결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제 3 연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3 연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설치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설치홈에는 흡음재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에 의하면,
첫째, 결합 부위에 별도의 연결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체결된 구조물이 견고하게 맞물려 쉽게 체결부가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
둘째, 패널 프레임이 결합 된 패널이 공장에서 제작되므로 현장에서의 페인트를 칠하거나 벽지를 바르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시공 시간이 단축된다.
셋째,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구조만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흡음재를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방음효과를 가져온다.
다섯째, 이동설치가 용이하게 되어 있어 재활용 가능하여 시설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의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높이 조절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결부와 제 1 패널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3 연결부와 패널 프레임 변형예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3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패널 프레임의 변형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둘러싼 프레임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널층은 대표적으로 하니콤을 소재로 하지만 그 외에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의 제 1 연결부(100)와 제 2 연결부(2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은 패널 프레임과 제 1 연결부(10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층을 갖는 패널의 단부에 위치하는 패널 프레임과 두 개의 패널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제 1 연결부(100)는 끼움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패널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층을 갖는 제 1 패널(500)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200), 또는 적어도 제 1 패널(50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 2 패널(600)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3 연결부(300)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결부(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제 1 연결부(100)는 제 1 연결 몸체부(110) 및 제 1 연결 돌출부(120a, 12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연결 돌출부(120a, 120b)는 제 1 연결부(100)의 중심인 제 1 연결 몸체부(110)의 일측 단부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하여, 패널 프레임과 끼움결합이 가능하게 한다.
제 1 연결부(100)를 통해 패널 프레임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체결된 구조물이 견고하게 맞물려 쉽게 체결부가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결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제 2 연결부(200)는 제 2 연결 몸체부(210), 제 1 패널 연결 돌출부(220a, 220b), 제 1 결합홈(230) 및 제 2 연결 돌출부(231a, 231b)를 포함한다.
제 1 패널 연결 돌출부(220a, 220b)는 제 2 연결부(200)의 중심인 제 2 연결 몸체부(210)의 제 1 패널(500)과 결합하는 일면 양단에 위치한다.
제 2 연결 몸체부(210)의 타면의 중심에 위치하여, 제 1 연결부(100)와 결합하는 제 1 결합홈(23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마주보는 두 개의 제 2 연결 돌출부(231a, 231b)로 인해 제 1 연결부(100)가 결합 되었을시 제 1 연결부(100)의 제 1 연결 돌출부(120a, 120b)가 걸림으로써 끼움결합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 2 연결부(200)는 제 2 연결 몸체부(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설치홈(240a, 240b) 및 제 2 연결 몸체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대(250a, 250b)를 더 포함하며, 제 1 설치홈(240a, 240b)에는 흡음재를 충전(充塡)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되는 흡음재로는 흡임효과가 있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흡음재를 충전함으로써 결합부위에서도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높이 조절부(7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높이 조절부(700)는 제 1 패널(500)을 중심으로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200)의 하면의 제 1 결합홈(230)과 결합된다.
바닥 높이 조절부(700)는 패널과 바닥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뿐만 아니라 바닥 높이 조절부(700)의 바닥과 접하는 부분에 마찰력을 주어 패널이 흔들리거나 위치를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프레임을 지지하여 보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결부(200)와 제 1 패널(500)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제 1 패널(500)은 일측면 뿐만 아니라 4개의 측면이 모두 제 2 연결부(200)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패널(600)또한 제 3 연결부(300)와 4개의 측면이 모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패널 간에 사방으로 조립이 되기 때문에 시공 현장의 층 높이, 벽 또는 천장의 넓이 등에 구애받지 않고 시공이 가능해 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3 연결부(300)와 패널 프레임 변형 예시(4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패널 프레임의 변형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널(500)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 2 패널(600)은 제 3 연결부(300)와 결합 가능하다.
제 3 연결부(300)를 패널 프레임 변형 예시(400)와의 결합상태를 예시로써 도시하였으나, 제 1 연결부(100)를 통해 패널 프레임 변형 예시(400)뿐만 아니라 제 2 연결부(200) 및 동일한 형상의 제 3 연결부(300)와의 결합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3 연결부(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제 3 연결부(300)는 제 3 연결 몸체부(310), 제 2 패널 연결 돌출부(320a, 320b), 제 2 연결 돌출부(231a, 231b) 및 제 3 연결 돌출부(331a, 331b)를 포함한다.
제 2 패널 연결 돌출부(320a, 320b)는 제 3 연결부(300)의 중심인 제 3 연결 몸체부(310)에서 제 2 패널(600)과 결합하는 일면 양단에 위치한다.
제 3 연결 돌출부(331a, 331b)는 제 3 연결 몸체부(3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제 1 연결부(100)와 결합하는 제 2 결합홈(330)의 내측방향으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제 1 연결부(100)가 결합 되었을시 제 1 연결부(100)의 제 1 연결 돌출부(120a, 120b)가 걸림으로써 끼움결합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연결부(300)는 제 3 연결 몸체부(3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 3 연결 몸체부(3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설치홈(340)을 더 포함하며, 제 2 설치홈(340)에는 흡음재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둘러싼 프레임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을 둘러싼 프레임의 홈에 코너 연결 부재(800)가 삽입되어 패널에 프레임을 고정 시킨다.
코너 연결 부재(800)가 삽입되는 홈은 제 2 연결부(200)의 제 1 설치홈(240a, 240b)이 위치하는 몸체부로부터 연장형성된 부분과 제 1 연결 돌출부(120a, 120b) 사이에 형성되는 홈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3 연결부(300)에 코너 연결 부재(800)가 삽입될 경우, 삽입 위치는 제 3 연결부(300)의 제 2 설치홈(340)이 위치하는 몸체부로부터 연장형성된 부분과 제 2 패널 연결 돌출부(320a) 사이 및 제 2 결합홈(330)과 제 2 패널 연결 돌출부(320b)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각각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은 공장에서부터 패널 면에 벽지나 판재를 덧대어 생산함으로써 현장에서 작업하는 시간을 줄이고, 다양한 색상, 무늬 및 질감의 천장 및 벽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립구조로 부분 손상시 교체가 쉽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간단하며, 재활용 가능하여 시설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 1 연결부 110...제 1 연결 몸체부
120a,120b...제 1 연결 돌출부 200...제 2 연결부
210...제 2 연결 몸체부 220a,220b...제 1 패널 연결 돌출부
230...제 1 결합홈 231a,231b...제 2 연결 돌출부
240a,240b...제 1 설치홈 250a,250b...보강대
300...제 3 연결부 310...제 3 연결 몸체부
320a,320b...제 2 패널 연결 돌출부 330...제 2 결합홈
331a,331b...제 3 연결 돌출부 340...제 2 설치홈
400...패널 프레임 변형 예시 500...제 1 패널
600...제 2 패널 700...바닥 높이 조절부
800...코너 연결 부재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층을 갖는 패널의 단부에 위치하는 패널 프레임; 및
    두 개의 상기 패널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패널 프레임과 끼움결합되는,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층을 갖는 제 1 패널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 또는 적어도 상기 제 1 패널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 2 패널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3 연결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의 중심인 제 1 연결 몸체부; 및
    상기 제 1 연결 몸체부의 일측 단부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 프레임과 끼움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제 1 연결 돌출부;를 포함하는,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중심인 제 2 연결 몸체부;
    상기 제 2 연결 몸체부의 상기 제 1 패널과 결합하는 일면 양단에 위치하는 제 1 패널 연결 돌출부;
    상기 제 2 연결 몸체부의 타면의 중심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하는 제 1 결합홈; 및
    상기 제 1 결합홈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마주보는 두 개의 제 2 연결 돌출부;를 포함하는,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제 3 연결부의 중심인 제 3 연결 몸체부;
    상기 제 3 연결 몸체부의 상기 제 2 패널과 결합하는 일면 양단에 위치하는 제 2 패널 연결 돌출부;
    상기 제 3 연결 몸체부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홈; 및
    상기 제 2 결합홈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마주보는 두 개의 제 3 연결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설치홈;
    상기 제 2 연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대; 및
    상기 제 1 패널을 중심으로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하면의 상기 제 1 결합홈에 위치하는 바닥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설치홈에는 흡음재를 충전(充塡)하는 것이 가능한,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제 3 연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3 연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설치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설치홈에는 흡음재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KR1020150067985A 2015-05-15 2015-05-15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KR101705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985A KR101705774B1 (ko) 2015-05-15 2015-05-15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CN201620422246.2U CN205917954U (zh) 2015-05-15 2016-05-11 能够用作天花板及墙体板的框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985A KR101705774B1 (ko) 2015-05-15 2015-05-15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246A true KR20160134246A (ko) 2016-11-23
KR101705774B1 KR101705774B1 (ko) 2017-02-13

Family

ID=5754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985A KR101705774B1 (ko) 2015-05-15 2015-05-15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5774B1 (ko)
CN (1) CN20591795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5172A (zh) * 2019-08-14 2020-02-18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模块式轻质隔墙造型墙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430B1 (ko) 2011-09-22 2013-05-22 장호겸 단열재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430B1 (ko) 2011-09-22 2013-05-22 장호겸 단열재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917954U (zh) 2017-02-01
KR101705774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621B1 (ko)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20190112903A (ko) 단열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설치방법
KR20170081811A (ko) 세라믹 복합판넬 및 이를 이용한 양단열 거푸집 공법
KR20130085647A (ko) 태양광 패널 구조체
KR101325301B1 (ko) 단열패널 및 그를 이용한 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705774B1 (ko)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KR100901079B1 (ko) 조립식 건축물 판넬
KR101705780B1 (ko) 복합 패널 프레임 구조
KR101872168B1 (ko) 폐합성수지를 활용한 지붕마감용 방수패널 및 이를 이용한 지붕마감 시공방법
KR101932453B1 (ko) 조립 치밀성이 향상된 조립식 패널 및 그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20010091455A (ko) 벽체용 패널의 접합구조 및 조립시공방법
KR100928722B1 (ko) 건물외단열 시공공법
KR20130087668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
KR20110086316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824021B1 (ko) 집수정의 하부 구조물
KR101655081B1 (ko) 연결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주택
KR101057766B1 (ko) 건축물용 패널
KR101231779B1 (ko) 돌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200308566Y1 (ko) 건축용 외장마감재의 연결결합구
KR101666392B1 (ko) 조립식 외벽 패널 시스템 및 방법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CN210439450U (zh) 一种拼接式房屋
CN211114359U (zh) 一种建筑用立柱型轻钢龙骨
JP5255257B2 (ja) 外壁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