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212A -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212A
KR20160134212A KR1020150067906A KR20150067906A KR20160134212A KR 20160134212 A KR20160134212 A KR 20160134212A KR 1020150067906 A KR1020150067906 A KR 1020150067906A KR 20150067906 A KR20150067906 A KR 20150067906A KR 20160134212 A KR20160134212 A KR 20160134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ta
information
automatic operation
coaxi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김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102015006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4212A/ko
Publication of KR2016013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Abstract

차량 항법 데이터(전기신호) 송출부; 누설동축 케이블에 의한 데이터(전기신호) 수, 발신부; 차량위치 검출부; 및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로 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을 제어하는 자동운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도로 차선의 명확한 인식 및 차량 자동운전에 필요한 데이터(전기신호)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AUTOMATED DRIVING SYSTEM}
본 발명은 다양한 경로를(GPS, 지리정보, 네비게이션, 교통정보, 차선정보 및 차량신호 정보 등) 통해 수집된 차량 항법 데이터 정보를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차량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차량의 운전을 자동 제어하는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인 차량 자동운전 기술과 관련하여 영상처리관련 기술, 센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성능 등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무인 차량 자동운전 기술에 관한 연구가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무인 차량 자동운전을 인가하여 자동차 번호판을 달고 대륙횡단 고속도로를 운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 GPS를 이용한 네비게이션은 대중화가 되었고, GPS 데이터는 정밀도가 높고 에러범위도 작아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영상 관찰 카메라와 영상 데이터 처리 기술, 레이더 센서 및 GPS 등을 활용하여 차량의 자동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영상 관찰 카메라를 통해 얻어진 영상 정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 현재 난점으로 인식되고 있는 부분은 차량의 자동운전 주행시에 도로 및 노면의 상태에 따라 차선의 명확한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것이다. 무인 차량의 자동운전 시스템은 현재 무인 차량에 부착된 영상 카메라 및 센서가 도로 및 노면에 표시된 차선 즉; 중앙선, 구분선 및 길가장자리 구역선 등을 감지하여 자동 운행 하고 있다. 그런데, 흐린날이나 우천시 또는 눈 및 노면이 오염되었거나 차선이 지워지거나 흐릿한 경우에는 이를 구분하여 자동 운전하기에는 어려웠다. 또한 GPS를 통한 무선 정보 데이터는 위성의 상태 또는 전파국의 상황 및 주변 환경에 의해 방해를 받거나 전파가 단절되거나 끊기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명확한 차선인식 정보 제공 및 차량 자동 운전 정보 데이터가 단절 되거나 끊기는 사고를 없앨 수 있는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은, 차량 항법 데이터(전기신호) 송출부; 누설동축 케이블에 의한 데이터(전기신호) 수, 발신부; 차량위치 검출부; 및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로 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을 제어하는 자동운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에 따르면, 명확한 차선인식 정보 제공 및 차량 자동 운전 정보 데이터가 단절 되거나 끊기는 사고를 없앨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운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차선 일측에 형성된 누설동축 케이블에 의해 차량 항법 데이터(전기신호) 송출부로 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차량에게 전달하는 계략도를 도시한 계략도 이다.
도 3은 건널목 신호에 의해 자동 운전 차량이 운전 정보를 전달받아 정차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다.
도 4는 각 차선별 설치되어 있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확대 도시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이다.
도 5는 건널목 정지선 및 길가장자리구역선에 설치되어 있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이다.
도 6은 건널목 정지선 및 구분선에 설치되어 있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이다.
도 7은 건널목 정지선 및 중앙선에 설치되어 있는 누설동축 케이블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여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에서 보듯이, 시스템은 차량항법 데이터(전기신호) 송출부 및 누설동축 케이블에 의한 데이터(전기신호) 수, 발신부로 부터의 데이터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동운전 제어부가 샤시부를 자동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차량위치 검출부가 누설동축 케이블로 부터 전달되는 차선신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적합한 차량위치를 검출하여 자동운전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자동운전 제어부가 샤시부를 자동제어 하게 된다. 또한 자동운전 제어부는 누설동축 케이블로 부터 전달되는 각종 정보 즉, 차선인식 정보, 차량 위치 정보, 도로 상황 정보 및 차량 신호 정보를 전달 받아 샤시부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자동운전 제어부는 누설동축 케이블로 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정보(전기신호)가 차단될 경우 경고음과 함께 수동운전으로 자동절환 되는 경고음 및 수동운전 자동 절환 장치부를 내장하게 된다. 경고음은 전기적 신호음 또는 음성 안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의 자동운전 제어부는 본 발명의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과 더블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동운전 제어 시스템 즉; 레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등 각종 거리센서 및 카메라 등 기존 차량 제어 시스템과 병용하게 된다.
도 2, 3, 4, 5, 6, 7를 참조하여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을 살펴본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차량 항법 데이터(전기신호) 송출부(1)에서 차량 자동 운전과 관련된 데이터(전기신호) 정보를 도 5, 6, 7에 확대 도시된 누설동축 케이블(2)로 송출하게 되고, 누설동축 케이블(2)은 수신된 차량 자동 운전 관련 데이터(전기신호) 정보를 차량 자동운전 제어부 및 차량위치 검출부로 발신하게 된다. 이에 차량 자동운전 제어부는 누설동축 케이블(2) 및 차량위치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자동운전 데이터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샤시부)을 제어하게 된다.
누설동축케이블(2)은 차로중앙선(40), 차로구분선(30), 길가장자리구역선(10) 및 건널목 정지선(20) 등에 장방향으로(차선로를 따라) 노출설치 또는 매입, 매설 설치하게 된다. 각 누설동축 케이블(2)들은 각자의 코드, 주파수 또는 번지수 등을 갖고 있으며 고유의 차선인식 정보 및 교통 정보를 자동운전 제어부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자동운전 제어부는 데이터 정보 수신에 필요한 무선통신부가 필요할 것이며, 누설동축 케이블(2)들은 데이터 정보 수, 발신 장치 및 데이터 정보 증폭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은 도로의 노면 상태나 차로선의 오염, 선명 유무, 기후 조건 및 눈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완벽하게 차량 자동운전 데이터(전기신호) 정보를 차량 자동운전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고, GPS나 위성정보 및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전 정보를 전달하여 차량을 안전하게 자동운전 할 수 있게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향후 이행될 차량 자동운전 대중화 시대에 맞물려 현재 기술적으로 산재해 있는 문제점(도로 차선의 명확한 인식, 자동운전 정보의 효과적 전달 방법)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므로, 이에 본 발명은 차량 자동운전 대중화 산업에 맞물려 그 산업상 이용이 무한할 것이다.
1. 차량 항법 데이터(전기신호) 송출부
2. 누설동축 케이블
10. 길가장자리구역선
20. 건널목 정지선
30. 차로 구분선
40. 차로 중앙선
50. 교통 신호
60. 자동 운전 차량
100. 건널목 차선 구역
200. 건널목 정지선 및 길가장자리구역선 구역
300. 건널목 정지선 및 차로 구분선 구역
400. 건널목 정지선 및 차로 중앙선 구역

Claims (3)

  1. 차량 항법 데이터(전기신호) 송출부;
    누설동축 케이블에 의한 데이터(전기신호) 수,발신부;
    차량위치 검출부; 및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로 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전기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을 제어하는 자동운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동축 케이블로 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전기신호) 정보에는 차선인식 정보, 차량위치 정보, 도로상황 정보 및 차량신호 정보가 포함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운전 제어부에는 누설동축 케이블에 의한 데이터(전기신호) 정보 차단시 경고음과 함께 수동운전으로 자동 절환 되는 경고음 및 수동운전 자동 절환 장치부를 내장 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
KR1020150067906A 2015-05-15 2015-05-15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 KR20160134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906A KR20160134212A (ko) 2015-05-15 2015-05-15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906A KR20160134212A (ko) 2015-05-15 2015-05-15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212A true KR20160134212A (ko) 2016-11-23

Family

ID=5754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906A KR20160134212A (ko) 2015-05-15 2015-05-15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42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9758A1 (en) 2016-10-17 2018-04-18 LG CNS Co., Ltd. Cassette push plate lock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9758A1 (en) 2016-10-17 2018-04-18 LG CNS Co., Ltd. Cassette push plate lock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8022B1 (en)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9388139B (zh) 自动化导引系统
CN107054218B (zh) 标识信息显示装置和方法
CN109219536B (zh) 用于自动化车辆的v2x物体位置验证系统
JP6435994B2 (ja) 車載装置
US9994147B2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for vehicles
US10276043B2 (en) Vehicle system using vehicle-to-infrastructure and sensor information
KR101807088B1 (ko) 차량 전방 탐지 장치 및 방법
US11361661B2 (en)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communicating with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292998A1 (en) Vehicle traveling control device
JP6934717B2 (ja) 自動車の制御
US11755019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JP5200568B2 (ja) 車載装置、車両走行支援システム
CN110164182B (zh) 车辆感知数据收集系统和方法
EP3258455B1 (en) Warning system for an automated vehicle
WO2010095236A1 (ja) 移動体位置検出装置
CN110196058B (zh) 导航系统
KR20200101324A (ko) 자동화된 차량을 위한 가변 범위 및 프레임-레이트 레이더 작동
CN111724614A (zh) 自动驾驶车辆的交通控制系统
JP2017003395A (ja) 車両の測位システム
US20210206315A1 (en) Ecu and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JP2020154622A (ja) 交通制御システム
KR101700011B1 (ko) 차량 추돌 위험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4212A (ko) 차량 자동운전 시스템
KR20190069962A (ko) 자율주행차량 및 이의 차로변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