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598A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598A
KR20160133598A KR1020150065991A KR20150065991A KR20160133598A KR 20160133598 A KR20160133598 A KR 20160133598A KR 1020150065991 A KR1020150065991 A KR 1020150065991A KR 20150065991 A KR20150065991 A KR 20150065991A KR 20160133598 A KR20160133598 A KR 20160133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rod
lever
inpu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531B1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531B1/ko
Priority to CN201610285807.3A priority patent/CN106158496B/zh
Publication of KR2016013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4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wherein the break is in gas
    • H01H33/65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wherein the break is in gas wherein the break is in air at atmospheric pressure, e.g. in open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01H2033/426Details concerning the connection of the isolating driving rod to a metallic p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전기신호로 작동되는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코일)를 구비하여, 원격으로 차단기의 투입 및 트립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에 힘을 전달하는 가동로드를 구비하는 투입액추에이터; 일방으로 회전되면 차단기를 투입(Close)시키도록 구성된 투입샤프트; 상기 투입샤프트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결합된 투입레버; 및 상기 투입액추에이터의 가동로드와 상기 투입레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액추에이터 가동로드의 작동하중을 상기 투입레버에 전달하는 투입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MECHANISM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신호로 작동되는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코일)를 구비하여, 원격으로 차단기의 투입 및 트립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송변전 계통이나 전기회로에 사고전류가 발생할 경우에 회로를 차단시키는 회로차단기 중에서 기중차단기(ACB, Air circuit Breaker)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매체로서 공기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기중차단기는 메커니즘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자를 고정자에 접촉 및 분리시킴으로써, 계통이나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중차단기는 가동자를 작동시키기 위한 차단부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차단부 메커니즘은 샤프트, 레버, 링크 및 스프링 등 다양한 부품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부품들이 기계적으로 연동함으로써 가동자를 고정자에 접속 및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중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메커니즘에 구비된 버튼을 직접 눌러서 투입 및 트립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코일)를 통해 투입 및 트립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기중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은 액추에이터가 투입 및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레버 또는 링크에 직접 연결되어 강한 힘으로 반복적으로 동작하므로, 장시간 투입 및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액추에이터가 힘을 가하는 부품의 파손이 빈번히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액추에이터의 작동하중에 의해 부품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에 힘을 전달하는 가동로드를 구비하는 투입액추에이터; 일방으로 회전되면 차단기를 투입(Close)시키도록 구성된 투입샤프트; 상기 투입샤프트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결합된 투입레버; 및 상기 투입액추에이터의 가동로드와 상기 투입레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액추에이터 가동로드의 작동하중을 상기 투입레버에 전달하는 투입로드;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로드는 상기 투입액추에이터의 가동로드 및 상기 투입레버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로드는 일단에 상기 투입레버에 걸리는 후크형태의 후크부와, 상기 투입액추에이터의 가동로드에 대향하도록 상기 후크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누름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전면이 눌리면 회전되는 투입버튼이 더 포함되고, 상기 투입로드는 타단이 상기 투입버튼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액추에이터, 투입샤프트 및 투입버튼이 설치되는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구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투입로드의 중앙부에는 상기 구속홀에 수용되어 상기 구속홀의 내측에서 자유로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속핀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으로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에 힘을 전달하는 가동로드를 구비하는 트립액추에이터; 타방으로 회전되면 차단기를 트립(Open)시키도록 구성된 트립샤프트; 상기 트립샤프트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구비되는 트립레버;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트립로드; 상기 트립로드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구비되며, 상기 트립로드의 회전력을 상기 트립레버에 전달하는 전달레버; 및 상기 트립로드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구비되며, 상기 트립액추에이터 가동로드의 작동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레버는 상기 트립레버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립로드와 상기 트립샤프트의 축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기를 원격조정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 액추에이터가 가하는 작동하중이 복수의 부품에 분산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내구성과 동작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이 채용된 회로차단기의 차단기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에 포함되는 투입측 구동부와 트립측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에 포함되는 투입측 구동부와 트립측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에 포함되는 투입측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투입측 구동부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투입측 구동부의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투입측 구동부의 투입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투입측 구동부의 투입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에 포함되는 트립측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트립측 구동부의 측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트립측 구동부의 정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트립측 구동부의 트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트립측 구동부의 트립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1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100)은 프레임(110), 투입액추에이터(120), 트립액추에이터(130), 가동자(140), 고정자(150), 투입스프링(160), 구동샤프트(170), 투입측 링크부(180), 트립측 링크부(190), 투입라치(200), 트립라치(210), 투입샤프트(220) 및 트립샤프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차단기본체(10)의 내측에 입설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100)의 각종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물에 해당한다.
상기 투입액추에이터(120)는 프레임(11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입액추에이터(12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부에 힘을 전달하는 가동로드(122)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입액추에이터(120)는 신호가 인가되면 가동로드(12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코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트립액추에이터(130)는 프레임(11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트립액추에이터(13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부에 힘을 전달하는 가동로드(132)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립액추에이터(130)는 신호가 인가되면 가동로드(13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코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동자(140)는 후술할 투입측 링크부(180)의 동작에 연동하여 후술할 고정자(150)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150)는 가동자(140)에 대향하도록 위치가 고정되며, 가동자(140)와 연계하여 통전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투입스프링(160)은 축세된 후 차단기 투입시 방세되면서 후술할 투입측 링크부(180)를 동작시켜 가동자(140)에 투입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샤프트(170)는 가동자(140)의 후단에 크로스 바 형태로 구비되고, 후술할 투입측 링크부(180)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가동자(140)의 투입 및 트립 동작을 도울 수 있다.
상기 투입측 링크부(180)는 투입스프링(160)의 축세상태를 유지시키며 동시에 투입스프링(160)의 방세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투입측 링크부(180)는 투입스프링(160)을 방세시켜 후술할 트립측 링크부(190)를 작동시켜 가동자(140)를 투입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입측 링크부(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링크(181), 투입측 걸림레버(182) 및 방세링크(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링크(181)는 투입스프링(160)의 후단에 구비되며, 투입스프링(160)의 방세동작에 따라 중앙부가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투입측 걸림레버(182)는 프레임(110)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할 투입라치(200)에 투입스프링(160)의 탄성복원력을 전달하여 투입라치(200)를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방세링크(183)는 절곡링크(181)의 절곡부와 투입측 걸림레버(182)에 연결되어, 절곡링크(181)에 전해지는 투입스프링(160)의 탄성복원력을 걸림레버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트립측 링크부(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스프링(160)의 탄성복원력을 가동자(14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링크 및 레버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립측 링크부(190)는 투입측 링크부(180)의 작동에 의해 투입스프링(160)이 방세되는 경우에 투입스프링(160)의 탄성복원력을 가동자(140)에 전달하여 가동자(140)를 투입시킬 수 있다.
가동자(140)가 투입된 경우, 트립측 링크부(190)는 후술할 트립라치(210)를 통해 가동자(140)의 접점반발력을 지탱하여 가동자(140)가 고정자(15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자(140)가 투입된 상태에서, 트립측 링크부(190)는 후술할 트립라치(210)가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가동자(140)의 접점반발력으로 인해 복수의 링크 및 레버가 회전되면서 가동자(140)의 투입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투입라치(200)는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할 투입샤프트(220)의 몸체에 걸려서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되, 투입샤프트(220)가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구속이 해제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투입라치(200)는 투입측 링크부(180)와 연동하여 투입스프링(160)이 방세되는 동작을 구속할 수 있고, 회전시 투입스프링(160)의 방세 구속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트립라치(210)는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할 트립샤프트(230)이 몸체에 걸려서 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되, 트립샤프트(230)가 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구속이 해제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트립라치(210)는 트립측 링크부(190)와 연동하여, 가동자(140)가 접점반발력에 의해 트립되는 동작을 구속할 수 있고, 회전시 가동자(140)의 트립 구속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투입샤프트(220)는 일방(도 2 및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투입라치(200)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여 차단기가 투입(Close)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립샤프트(230)는 타방(도 2 및 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트립라치(210)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여 차단기가 트립(Open)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100)의 투입액추에이터(120)에 의한 작동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100)은 투입레버(225), 투입로드(240) 및 투입버튼(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레버(225)는 투입샤프트(220)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입레버(225)는 투입샤프트(220)의 둘레방향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부분에는 투입샤프트(220)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핀(22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입로드(240)는 투입액추에이터(120)의 가동로드(122)와 투입레버(225) 사이에 배치되어, 투입액추에이터(120) 가동로드(122)의 작동하중을 투입레버(225)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입로드(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입로드(240)의 상단에는 상기 투입레버(225)의 걸림핀(226)의 상단에 걸릴 수 있는 후크형태의 후크부(2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42)는 걸림핀(226)의 상단에 걸리는 형태로 구성되어, 걸림핀(226)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는 힘을 가할 수 있으며, 걸림핀(226)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는 힘을 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후크부(242)의 상단에는 투입액추에이터(120)의 가동로드(122)에 대향하는 누름면(244)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입로드(240)는 누름면(244)에 가해지는 투입액추에이터(120) 가동로드(122)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정도의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누름면(244)이 형성되는 투입로드(240)의 머리부분이 두께가 있는 블록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투입버튼(250)은 프레임(110)이 전단에 구비되며, 전면이 눌리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투입로드(240)는 하단이 투입버튼(250)에 연결되어, 투입버튼(250)이 눌리는 경우에 걸림핀(226)을 하강시켜 투입레버(225)를 일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입버튼(250)의 회전축에는 눌린 투입버튼(250)을 원상복귀 시키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투입로드(24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투입액추에이터(120)의 가동로드(122) 및 투입레버(225)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액추에이터(120)의 가동로드(122)가 투입로드(240)의 누름면(244)을 하방으로 가격하는 경우에 가동로드(122)가 가하는 충격력이 걸림핀(226)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투입로드(240)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돨되게 된다.
이때, 투입액추에이터(120)의 가동로드(122)의 충격력의 일부가 투입로드(240)에 의해 흡수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투입로드(240)는 중앙부에 프레임(110) 방향으로 돌출된 구속핀(24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10)에는 관통형태의 구속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핀(246)은 구속홀(112)에 수용되어 구속홀(112)의 내측에서 자유로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투입로드(240)는 이동 범위가 구속홀(112)의 형상 범위 내로 제한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100)의 트립액추에이터(130)에 의한 작동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3 및 도 9 내지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100)은 트립레버(235), 트립로드(260), 전달레버(270) 및 작동레버(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립레버(235)는 트립샤프트(230)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립레버(235)는 트립샤프트(230)의 둘레방향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부분에는 트립샤프트(230)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핀(23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립로드(260)는 프레임(110)에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립로드(260)는 트립샤프트(230)에 평행하거나 트립샤프트(230)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달레버(270)는 트립로드(260)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구비되며, 트립로드(260)의 회전력을 트립레버(235)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전달레버(270)는 트립로드(260)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된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회전시 상기 돌출된 부분이 트립레버(235)의 돌출핀(236)을 눌러서 트립레버(23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달레버(270)는 트립레버(235)와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280)는 트립로드(260)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구비되며, 트립액추에이터(130) 가동로드(132)의 작동하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레버(280)는 트립로드(260)의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트립액추에이터(130)가 작동되는 경우 가동로드(132)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작동레버(280)의 돌출된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작동레버(280)가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립액추에이터(130)가 작동되면, 트립액추에이터(130)의 가동로드(132)가 하강하여 작동레버(280)를 회전시키고, 작동레버(280)의 회전에 의해 트립로드(260)가 회전되며, 트립로드(260)의 회전에 의해 전달레버(270)가 회전되게 된다.
이때, 회전된 전달레버(270)는 트립레버(235)의 돌출핀(236)을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트립레버(235)를 회전시키게 되고, 트립레버(235)의 회전에 의해 트립샤프트(230)가 타방으로 회전되어, 종국적으로 차단기가 트립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 메커니즘(100)은 트립액추에이터(130)의 가동로드(132)의 충격력이 직접 트립레버(235)에 전달되지 않고 작동레버(280) 및 전달레버(270)를 거쳐 간접적으로 전달되므로, 가동로드(132)의 충격력의 일부가 작동레버(280), 전달레버(270) 및 트립로드(260)에 흡수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 차단기본체 100: 차단부 메커니즘
110: 프레임 112: 구속홀
120: 투입액추에이터 122: 투입액추에이터의 가동로드
130: 트립액추에이터 132: 트립액추에이터의 가동로드
140: 가동자 150: 고정자
160: 투입스프링 170: 구동샤프트
180: 투입측 링크부 181: 절곡링크
182: 투입측 걸림레버 183: 방세링크
190: 트립측 링크부 200: 투입라치
210: 트립라치 220: 투입샤프트
225: 투입레버 226: 걸림핀
230: 트립샤프트 235: 트립레버
236: 돌출핀 240: 투입로드
242: 후크부 244: 누름면
246: 구속핀 250: 투입버튼
260: 트립로드 270: 전달레버
280: 작동레버

Claims (9)

  1.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에 힘을 전달하는 가동로드를 구비하는 투입액추에이터;
    일방으로 회전되면 차단기를 투입(Close)시키도록 구성된 투입샤프트;
    상기 투입샤프트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결합된 투입레버; 및
    상기 투입액추에이터의 가동로드와 상기 투입레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액추에이터 가동로드의 작동하중을 상기 투입레버에 전달하는 투입로드;
    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로드는 상기 투입액추에이터의 가동로드 및 상기 투입레버와 이격된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로드는 일단에 상기 투입레버에 걸리는 후크형태의 후크부와, 상기 투입액추에이터의 가동로드에 대향하도록 상기 후크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누름면을 구비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
  4. 제3항에 있어서,
    전면이 눌리면 회전되는 투입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로드는 타단이 상기 투입버튼에 연결된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액추에이터, 투입샤프트 및 투입버튼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구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투입로드의 중앙부에는 상기 구속홀에 수용되어 상기 구속홀의 내측에서 자유로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속핀이 구비된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
  6.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에 힘을 전달하는 가동로드를 구비하는 트립액추에이터;
    타방으로 회전되면 차단기를 트립(Open)시키도록 구성된 트립샤프트;
    상기 트립샤프트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구비되는 트립레버;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트립로드;
    상기 트립로드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구비되며, 상기 트립로드의 회전력을 상기 트립레버에 전달하는 전달레버; 및
    상기 트립로드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구비되며, 상기 트립액추에이터 가동로드의 작동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레버;
    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레버는 상기 트립레버와 분리된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로드와 상기 트립샤프트의 축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
  9.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에 힘을 전달하는 가동로드를 구비하는 투입액추에이터;
    일방으로 회전되면 차단기를 투입(Close)시키도록 구성된 투입샤프트;
    상기 투입샤프트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결합된 투입레버;
    상기 투입액추에이터 가동로드와 상기 투입레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액추에이터 가동로드의 작동하중을 상기 투입레버에 전달하는 투입로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에 힘을 전달하는 가동로드를 구비하는 트립액추에이터;
    타방으로 회전되면 차단기를 트립(Open)시키도록 구성된 트립샤프트;
    상기 트립샤프트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구비되는 트립레버;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트립로드;
    상기 트립로드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구비되며, 상기 트립로드의 회전력을 상기 트립레버에 전달하는 전달레버; 및
    상기 트립로드에 회전 거동이 일치되게 구비되며, 상기 트립액추에이터 가동로드의 작동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레버;
    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부 메커니즘.
KR1020150065991A 2015-05-12 2015-05-12 회로차단기 KR101689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991A KR101689531B1 (ko) 2015-05-12 2015-05-12 회로차단기
CN201610285807.3A CN106158496B (zh) 2015-05-12 2016-05-03 断路器的分断机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991A KR101689531B1 (ko) 2015-05-12 2015-05-12 회로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598A true KR20160133598A (ko) 2016-11-23
KR101689531B1 KR101689531B1 (ko) 2016-12-27

Family

ID=5735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991A KR101689531B1 (ko) 2015-05-12 2015-05-12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9531B1 (ko)
CN (1) CN1061584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2898A1 (en) * 2017-04-20 2018-10-24 LSIS Co., Ltd. Magnetic trip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225Y1 (ko) * 1982-01-29 1987-02-10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가중 차단기
KR100425355B1 (ko) * 1996-02-06 2004-06-18 쉬나이더 일렉트릭 소시에떼아노님 단락회로상에분리가능한잠금시스템을갖는회로차단기의작동기구
US20060250200A1 (en) * 2005-05-04 2006-11-09 General Electric Company Accessories for a rotatable latching shaft of a circuit breaker
KR100854387B1 (ko) * 2007-07-12 2008-09-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기구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918B1 (ko) * 2006-10-17 2007-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개폐기구
KR101278501B1 (ko) * 2011-12-30 2013-07-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계적 트립 기구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CN203631447U (zh) * 2013-12-20 2014-06-04 江苏新洛凯机电有限公司 框架式断路器操作机构
CN203690227U (zh) * 2013-12-27 2014-07-02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一种断路器的操作机构
CN204045490U (zh) * 2014-09-01 2014-12-24 福建逢兴机电设备有限公司 侧装断路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225Y1 (ko) * 1982-01-29 1987-02-10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가중 차단기
KR100425355B1 (ko) * 1996-02-06 2004-06-18 쉬나이더 일렉트릭 소시에떼아노님 단락회로상에분리가능한잠금시스템을갖는회로차단기의작동기구
US20060250200A1 (en) * 2005-05-04 2006-11-09 General Electric Company Accessories for a rotatable latching shaft of a circuit breaker
KR100854387B1 (ko) * 2007-07-12 2008-09-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기구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단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2898A1 (en) * 2017-04-20 2018-10-24 LSIS Co., Ltd. Magnetic trip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CN108735558A (zh) * 2017-04-20 2018-11-02 Ls产电株式会社 空气断路器的磁性脱扣装置
US10438763B2 (en) 2017-04-20 2019-10-08 Lsis Co., Ltd. Magnetic trip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CN108735558B (zh) * 2017-04-20 2020-01-24 Ls产电株式会社 空气断路器的磁性脱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58496B (zh) 2018-11-02
KR101689531B1 (ko) 2016-12-27
CN106158496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8672B1 (en) Circuit breaker having automatic release linkage
EP2028671B1 (en) Circuit breaker having automatic release linkage
EP2277187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charging assembly and interlock assembly therefor
US10410810B2 (en) Switching device for LV electric installations
EP2028670B1 (en) Spring charging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US11508540B2 (en) Circuit breaker
JP5711205B2 (ja) 機械的トリップ機構を備えた回路遮断器
KR101689531B1 (ko) 회로차단기
KR20080002431U (ko) 기중차단기 및 그에 사용되는 링크
CN101118821B (zh) 具有操作件的开关装置
KR101498686B1 (ko) 진공인터럽트의 투입과 개방 동작을 위한 수동 투개방 조작기
KR101704433B1 (ko) 회로차단기
KR102091533B1 (ko) 회로차단기
CN116564746A (zh) 一种隔离开关的搭接和脱离机构、操作机构及隔离开关
EP3392898B1 (en) Magnetic trip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WO2008049336A1 (fr) Disjoncteur destiné à couper rapidement un circuit à basse tension
CN213025989U (zh) 断路器用漏电显示机构
JPH0711487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JP6382905B2 (ja) 気中遮断器用遅延時間発生装置
KR200398419Y1 (ko) 진공 차단기의 다절 링크식 작동기구
CN1953123A (zh) 具有快速致动功能的低压电路断路器
CN102217023A (zh) 具有可摆动支承摇杆的电过载继电器
EP0942443B1 (en) Circuit breaker
TWI706428B (zh) 電氣開關設備以及用於該電氣開關設備的跳脫組件
US8669485B2 (en) Reversal prevention of a stored energy mechanism in a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