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217A -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217A
KR20160132217A KR1020150063784A KR20150063784A KR20160132217A KR 20160132217 A KR20160132217 A KR 20160132217A KR 1020150063784 A KR1020150063784 A KR 1020150063784A KR 20150063784 A KR20150063784 A KR 20150063784A KR 20160132217 A KR20160132217 A KR 20160132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smetic
plate
integral
bac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365B1 (ko
Inventor
김준영
이오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063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36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체용기 내부에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를 내장하고 상기 일체용기 상부에 배출밸브를 구비한 역류방지판을 형성하고 상기 역류방지판 상부에 배출구를 구비한 배출판을 형성하여, 퍼프로 배출판과 역류방지판을 동시에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킨 후 퍼프에 화장료를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함침부재에 퍼프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함침부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함침부재의 오염을 방지하고, 상기 배출판을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 역류방지판과 배출판 사이의 확산공간에 의해 화장료가 골고루 확산되어 배출판으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화장료를 퍼프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때 화장료가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역류방지판에 토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공에 배출밸브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배출판을 가압할 때에는 배출밸브가 열리게 되어 화장료가 토출되며, 사용자가 배출판을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배출밸브가 닫혀서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이 일체용기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일측에 결합되는 용기뚜껑(20)과, 상기 용기본체(10) 내측에 내장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일체용기(30)와, 상기 일체용기(30) 내부에 형성되는 필름 재질의 파우치용기(50)와, 상기 일체용기(30) 상단에 접합되어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며 토출공(72)이 형성된 역류방지판(70)과, 상기 역류방지판(70) 상단에 접합되며 배출구(82)가 형성된 배출판(8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having a plate preventing backdraft for antipollution of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체용기 내부에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를 내장하고 상기 일체용기 상부에 배출밸브를 구비한 역류방지판을 형성하고 상기 역류방지판 상부에 배출구를 구비한 배출판을 형성하여, 퍼프로 배출판과 역류방지판을 동시에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킨 후 퍼프에 화장료를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함침부재에 퍼프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함침부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함침부재의 오염을 방지하고, 상기 배출판을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 역류방지판과 배출판 사이의 확산공간에 의해 화장료가 골고루 확산되어 배출판으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화장료를 퍼프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때 화장료가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역류방지판에 토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공에 배출밸브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배출판을 가압할 때에는 배출밸브가 열리게 되어 화장료가 토출되며, 사용자가 배출판을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배출밸브가 닫혀서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이 일체용기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계면활성제와 같은 유화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제형의 화장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유상원료와 수상원료의 결합구조에 따라 유중수형과 수중유형의 화장료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는 수상원료 외측에 유상원료를 결합시킨 것으로서 유분감이 많아 피부 흡수가 느리고 사용감이 무겁지만 수중유형보다 지속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지속성이 필요한 화장품의 경우 땀이나 물에 대한 내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중수형 화장료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의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이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내용물의 점도를 낮추어 제조하였는데 상기 저점도 유중수형 제품은 유통 중 용기 내에서 장기간 보관 시 내상인 수상원료와 외상인 유상원료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가 용기를 흔들어서 분리된 수상원료와 유상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57628호를 개시하였는데 이는 저점도 유중수형 내용물을 함침부재에 함침시켜 콤팩트 용기에 넣은 제품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1)는 함침부재(1)를 화장품용기 내에 삽입한 다음 화장료를 함침부재(1)에 함침시켜야 하기 때문에 화장품용기 조립공정 내에 화장료 함침공정이 포함되어 있어서 화장료 충전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화장료용기 조립공정과 화장료 함침공정이 혼재되어 있어서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4689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내용기에 함침부재(1)를 삽입하여 내용물을 충전하고 상기 내용기 상부에 씰링부재(2)로 씰링하여 캡슐 화장품을 제조하며 이를 용기 조립 회사에 납품함으로써 용기 조립 회사에서는 용기 조립 시 캡슐 화장품을 하나의 부품으로 취급하여 조립함으로써 콤팩트 용기 조립 공정 내에 내용물 충전 공정을 포함하지 않아도 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화장품 사용 시 사용자가 씰링부재를 뜯어낸 후 퍼프로 함침부재를 직접 가압하여 내용물을 퍼프에 묻혀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이므로 함침부재에 반복된 퍼프의 접촉에 의해 함침부재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함침부재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먼지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사용자가 오염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할 경우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체용기 내부에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를 내장하고 상기 일체용기 상부에 배출밸브를 구비한 역류방지판을 형성하고 상기 역류방지판 상부에 배출구를 구비한 배출판을 형성하여, 퍼프로 배출판과 역류방지판을 동시에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킨 후 퍼프에 화장료를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함침부재에 퍼프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함침부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판을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 역류방지판과 배출판 사이의 확산공간에 의해 화장료가 골고루 확산되어 배출판으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화장료를 퍼프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때 화장료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함침부재의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일체용기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배출판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때 일체용기 내에 내장된 함침부재의 탄성에 의해 일체용기가 용이하게 가압되거나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판에 토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공에 배출밸브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배출판을 가압할 때에는 배출밸브가 열리게 되어 화장료가 토출되며, 사용자가 배출판을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배출밸브가 닫혀서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이 일체용기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일측에 결합되는 용기뚜껑(20)과;
상기 용기본체(10) 내측에 내장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일체용기(30)와;
상기 일체용기(30) 내부에 형성되는 필름 재질의 파우치용기(50)와;
상기 일체용기(30) 상단에 접합되어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며 토출공(72)이 형성된 역류방지판(70)과;
상기 역류방지판(70) 상단에 접합되며 배출구(82)가 형성된 배출판(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용기(50) 내에는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용기(30) 외측에는 일체용기(30)의 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탄성부재(6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용기(30)의 상부 테두리에는 제1접합돌륜(31)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용기(50) 상부 테두리에는 제2접합돌륜(51)이 형성되며, 상기 역류방지판(70)의 테두리에는 제3접합돌륜(7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판(60)의 하부 테두리에는 제4접합돌륜(81)이 형성되어 상호 접합되어 접합부(8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85)는 서로 열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고주파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판(70)과 배출판(80) 사이에는 화장료가 골고루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확산공간(8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판(70)의 토출공(72)에는 토출공(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밸브(7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 상부에는 일체용기(3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고정부재(9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는 일체용기 내부에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를 내장하고 상기 일체용기 상부에 배출밸브를 구비한 역류방지판을 형성하고 상기 역류방지판 상부에 배출구를 구비한 배출판을 형성하여, 퍼프로 배출판과 역류방지판을 동시에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킨 후 퍼프에 화장료를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함침부재에 퍼프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함침부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출판을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 역류방지판과 배출판 사이의 확산공간에 의해 화장료가 골고루 확산되어 배출판으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화장료를 퍼프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때 화장료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함침부재의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일체용기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배출판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때 일체용기 내에 내장된 함침부재의 탄성에 의해 일체용기가 용이하게 가압되거나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역류방지판에 토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공에 배출밸브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배출판을 가압할 때에는 배출밸브가 열리게 되어 화장료가 토출되며, 사용자가 배출판을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배출밸브가 닫혀서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이 일체용기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콤팩트 용기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배출판을 가압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배출판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배출판을 가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배출판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일측에 결합되는 용기뚜껑(20)과, 상기 용기본체(10) 내측에 내장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일체용기(30)와, 상기 일체용기(30) 내부에 형성되는 필름 재질의 파우치용기(50)와, 상기 일체용기(30) 상단에 접합되어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며 토출공(72)이 형성된 역류방지판(70)과, 상기 역류방지판(70) 상단에 접합되며 배출구(82)가 형성된 배출판(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12)과 상기 내벽(12)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장 형성된 외벽(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벽(12)은 외주면에 결합돌기(12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21)는 고정부재(90)에 형성된 결합홈(921)과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90)가 용기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외벽(13)의 상부 외주연에는 힌지블라켓(14)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뚜껑(20)은 일측에 힌지블럭(21)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블럭(21)은 용기본체(10)의 힌지블라켓(14)에 끼워진 후, 힌지핀(22)에 의해 용기본체(10)와 힌지 결합된다.
상기 용기본체(10) 내측에는 일체용기(30)가 내장된다.
상기 일체용기(30)는 상부 테두리에 제1접합돌륜(31)이 형성되고, 함침부재(40)의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가압되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silicone), 폴리비닐(Polyvinyl)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일체용기(3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판(80)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때 용이하게 가압되거나 회복되도록 한다.
상기 일체용기(30) 내에는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40)가 장착되며, 상기 함침부재(40)는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eral Rubber), NRSBR(Natera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라텍스, 실리콘, PVA(PolyVinyl Alcohol),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체용기(30)는 내부에 필름 재질의 파우치용기(50)가 더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용기(50)는 상부 테두리에 제2접합돌륜(51)이 형성된다.
상기 일체용기(3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32)이 더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공(32)을 통해서 파우치용기(50)의 화장료가 배출된 만큼 공기가 유입되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용기(50)가 찌그러진다.
또한, 상기 일체용기(30)의 제1접합돌륜(31) 아래와 용기본체(10)의 바닥면(11)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더 장착되며, 상기 탄성부재(60)는 일체용기(30)가 찌그러진 다음, 원래대로 복귀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일체용기(30) 상단에는 역류방지판(70)이 접합되어 배출된 화장료가 함침부재(40)로 역듀하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역류방지판(70)은 테두리에 제3접합돌륜(71)이 형성되고, 토출공(72)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공(72)의 형태는 일자형 또는 십자형 또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출공(72)에는 배출밸브(73)가 결합된다.
상기 배출밸브(73)는 토출공(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사용자가 역류방지판(70)을 가압할 때에는 배출밸브(73)가 열리게 되어 화장료가 토출되고, 사용자가 역류방지판(70)을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배출밸브(73)가 닫혀서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이 일체용기(30)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상기 역류방지판(70) 상단에는 배출판(80)이 접합되며, 상기 배출판(80)은 테두리에 제4접합돌륜(81)이 형성되고, 배출구(82)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82)로 화장료가 배출되되,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판(80)과 역류방지판(70) 사이에 형성된 확산공간(83)에 있는 화장료가 고르게 배출구(82)로 배출된다.
상기 확산공간(83)에 의해 화장료가 골고루 확산되어 배출판(80)의 배출구(82)로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할 때 화장료가 뭉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일체용기(3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제1접합돌륜(31)과, 파우치용기(5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제2접합돌륜(51)과, 역류방지판(70)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3접합돌륜(71)과, 배출판(60)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4접합돌륜(81)이 상호 접합되어 접합부(85)를 형성하여 화장료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접합부(85)는 서로 열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고주파 접합된다.
상기 접합부(85)는 용기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된 고정부재(90)의 수평연장편(91)의 아래쪽에 접한다.
상기 고정부재(90)는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연장편(91)과 상기 수평연장편(91)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연장편(92)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연장편(91)은 용기본체(10)의 내벽(12) 상단에 안착되어 접합부(85)와 맞닿아 일체용기(30)가 위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연장편(92)은 내주면에 결합홈(9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921)은 용기본체(10)의 내벽(12)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21)와 결합하여 고정부재(90)가 용기본체(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용기본체(10)에 용기뚜껑(20)을 결합한다.
이후, 상기 일체용기(30)의 내측에 제2접합돌륜(51)이 형성된 파우치용기(50)를 장착한 후, 상기 파우치용기(50)에 화장료를 직접 주입하거나 또는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40)를 수용시킨다.
그리고, 상기 일체용기(30) 상단에 제3접합돌륜(71)이 형성된 역류방지판(70)을 위치시키고, 상기 역류방지판(70) 상단에 제4접합돌륜(81)이 형성된 배출판(80)을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제1접합돌륜(31)과, 제2접합돌륜(51)과, 제3접합돌륜(71)과, 제4접합돌륜(81)을 열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고주파 접합시켜 접합부(85)를 형성하여 화장료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상기 일체용기(30)를 용기본체(10)에 장착한 후,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 고정부재(90)를 결합하여 일체용기(30)가 위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용기뚜껑(20)을 개방한 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판(80)을 가압한다.
상기 배출판(80)을 가압하면 플렉시블한 재질의 일체용기(30)가 찌그러지면서 상기 일체용기(30)에 내장된 함침부재(40)가 가압된다.
이때, 함침부재(40)에 함침된 화장료는 역류방지판(70)의 배출밸브(73)를 밀면서 토출공(72)을 통해 확산공간(83)으로 배출된 후, 배출판(80)의 배출구(82)로 배출된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판(80)의 가압이 해제되면 일체용기(30)에 형성된 공기유입공(32)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일체용기(30)는 원상태로 회복되고 파우치용기(50)는 찌그러지게 된다.
사용자가 배출판(80)을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역류방지판(70)의 배출밸브(73)가 닫혀서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이 일체용기(30)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용기본체 11:바닥면
12:내벽 121:결합돌기
13:외벽 14:힌지블라켓
20:용기뚜껑 21:힌지블럭
22:힌지핀 30:일체용기
31:제1접합돌륜 32:공기유입공
40:함침부재 50:파우치용기
51:제2접합돌륜 60:탄성부재
70:역류방지판 71:제3접합돌륜
72:토출공 73:배출밸브
80:배출판 81:제4접합돌륜
82:배출구 83:확산공간
85:접합부 90:고정부재
91:수평연장편 92:하부연장편
921:결합홈

Claims (8)

  1.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일측에 결합되는 용기뚜껑(20)과;
    상기 용기본체(10) 내측에 내장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일체용기(30)와;
    상기 일체용기(30) 내부에 형성되는 필름 재질의 파우치용기(50)와;
    상기 일체용기(30) 상단에 접합되어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며 토출공(72)이 형성된 역류방지판(70)과;
    상기 역류방지판(70) 상단에 접합되며 배출구(82)가 형성된 배출판(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용기(50) 내에는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용기(30) 외측에는 일체용기(30)의 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탄성부재(6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용기(30)의 상부 테두리에는 제1접합돌륜(31)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용기(50) 상부 테두리에는 제2접합돌륜(51)이 형성되며, 상기 역류방지판(70)의 테두리에는 제3접합돌륜(7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판(60)의 하부 테두리에는 제4접합돌륜(81)이 형성되어 상호 접합되어 접합부(8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85)는 서로 열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고주파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판(70)과 배출판(80) 사이에는 화장료가 골고루 확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확산공간(8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판(70)의 토출공(72)에는 토출공(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밸브(7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 상부에는 일체용기(3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고정부재(9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150063784A 2015-05-07 2015-05-07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45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784A KR101745365B1 (ko) 2015-05-07 2015-05-07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784A KR101745365B1 (ko) 2015-05-07 2015-05-07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217A true KR20160132217A (ko) 2016-11-17
KR101745365B1 KR101745365B1 (ko) 2017-06-12

Family

ID=5754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784A KR101745365B1 (ko) 2015-05-07 2015-05-07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401B1 (ko) * 2017-12-27 2018-08-27 김진우 밀폐 타입 화장품 용기
WO2019231123A1 (ko) * 2018-05-29 2019-12-05 펌텍코리아(주) 오염 방지 쿨링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714B1 (ko) * 2017-10-17 2019-07-25 옴니시스템주식회사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9636A (ja) 2007-04-11 2008-10-30 Kemikosu Creations Kk 粉末化粧料容器
KR101481545B1 (ko) 2013-08-16 2015-0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73573Y1 (ko) 2013-08-21 2014-07-11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과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401B1 (ko) * 2017-12-27 2018-08-27 김진우 밀폐 타입 화장품 용기
WO2019231123A1 (ko) * 2018-05-29 2019-12-05 펌텍코리아(주) 오염 방지 쿨링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190135774A (ko) * 2018-05-29 2019-12-09 펌텍코리아 (주) 오염 방지 쿨링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CN110785103A (zh) * 2018-05-29 2020-02-11 蒲木科技韩国株式会社 具有防污冷却板的粉盒容器
US11553776B2 (en) 2018-05-29 2023-01-17 Pum-Tech Korea Co., Ltd Compact container having contamination-preventing cool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365B1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2775B2 (ja) ゴム排出パッド付き化粧品容器
US20180049534A1 (en) Compact cosmetic containe
JP6307160B2 (ja) ゲル状内容物の残量防止が容易なファウンデーション容器
KR20160074982A (ko) 세라믹 재질의 배출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745365B1 (ko)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585394B1 (ko) 길이가 짧고 배출된 내용물이 썩백되는 배출펌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70121382A (ko) 외부를 녹인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KR101787034B1 (ko) 외부를 녹인 함침부재를 더 갖는 화장품
EP3443862B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mixing cushion and mixing mesh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160003510U (ko) 가압용기를 갖는 겔상 화장품 용기
JP2021529060A (ja) 排出板にスポンジがインサートされて一体に射出された排出板を有するコンパクト容器
KR101684241B1 (ko) 함침부재에 화장료저장홈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13592B1 (ko) 돌기가 형성된 배출판과 용기본체를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20180093707A (ko) 듀얼 캡슐 화장품 용기
KR20160112058A (ko) 듀얼뚜껑을 갖는 콤팩트용기
KR101844742B1 (ko) 메쉬망을 구비한 콤팩트용 캡슐용기
KR101703704B1 (ko) 이동배출판과 이중용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03703B1 (ko) 체크밸브를 갖는 이동배출판을 구비한 캡슐 화장품용기
KR200477544Y1 (ko) 체크밸브에 의한 밀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튜브
JP2018027168A (ja) 臨時貯蔵所を有するフロックチップを具備したスポイト容器
KR200477055Y1 (ko) 누출방지구조의 도포부재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0487895Y1 (ko) 메쉬망과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캡슐화장품 용기
KR101849549B1 (ko) 다층형 함침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케이스
KR20170121722A (ko) 외부를 녹인 함침부재를 더 갖는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