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164A -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 Google Patents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164A
KR20160132164A KR1020150063144A KR20150063144A KR20160132164A KR 20160132164 A KR20160132164 A KR 20160132164A KR 1020150063144 A KR1020150063144 A KR 1020150063144A KR 20150063144 A KR20150063144 A KR 20150063144A KR 20160132164 A KR20160132164 A KR 20160132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unit
mirror body
backlight
mirror
accommod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양구
Original Assignee
(주)씨에이치앤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이치앤제이 filed Critical (주)씨에이치앤제이
Priority to KR102015006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2164A/ko
Publication of KR20160132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거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두운 곳에서 거울 이용이 가능함은 물론, 백라이트를 이용한 면광원을 통해 고르게 빛을 분산시켜 조명할 수 있는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상방으로 개구되는 거울몸체수용부와, 상방으로 개구되어 거울몸체수용부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며 거울몸체수용부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백라이트유닛수용부를 갖춘 케이스와; 거울몸체수용부에 수용되며, 사물이 비치는 거울몸체와; 백라이트수용부에 수용되며, 상방으로 조명하는 고리 형상의 백라이트유닛과; 백라이트유닛의 측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광원과;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광원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부드러운 면광원을 나타내는 백라이트유닛을 통해 눈부심 없이 고르게 빛을 분산시켜 부드럽게 조명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 손거울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백라이트유닛의 부피를 줄이더라도 충분한 발광효과를 내고, 백라이트유닛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백라이트유닛의 제조에 사용되는 소재의 사용을 적게 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백라이트유닛의 부피를 줄이면서 충분한 발광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을 줄일 수 있어,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백라이트유닛과 거울몸체 간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백라이트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빛과 거울몸체간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여, 백라이트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거울몸체의 둘레부에 반사되어 거울몸체의 둘레부에 빛 번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용모 정리 또는 긴급사용에 필요한 도구를 수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실용성이 매우 높으며, 실제 제품으로 출시될 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HAND MIRROR USING A BACKLIGHT}
본 발명은 손거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두운 곳에서 거울 이용이 가능함은 물론, 백라이트를 이용한 면광원을 통해 고르게 빛을 분산시켜 조명할 수 있는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에 관한 것이다.
손거울은 몸에 지니고 다니는 작은 거울을 말한다.
손거울은 일반적으로 외출 시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꺼내어 거울에 투영되는 모습을 확인하고 용모를 단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손거울은 특히 여성들이 많이 사용하는데, 화장을 하거나 고치는데 주로 사용한다.
한편, 손거울에 사용되는 거울은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의 일면에 주석, 아말감 등의 반사물질을 도포하여 제조되며, 표면에 반사막이 형성되어 피사체가 비쳐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울은,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와 같이 광량이 없는 곳이나 광량이 제한되는 경우에는, 거울을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피사체의 전체 모습을 제대로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거울에 조명장치를 장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종래의 손거울은 조명장치로부터의 빛이 집중 조명되기 때문에 눈부심이 심했으며 부드러우면서 고르게 조명하는 것이 어려웠다.
등록실용신안 20-024629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두운 곳에서 거울 이용이 가능함은 물론, 눈부심을 방지하며 부드러우면서 고르게 조명이 가능한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산단가가 낮으며, 적은 전력사용을 통해 손거울 주변을 밝게 조명할 수 있고, 조명에 의한 거울의 빛번짐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방으로 개구되는 거울몸체수용부와, 상방으로 개구되어 거울몸체수용부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며 거울몸체수용부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백라이트유닛수용부를 갖춘 케이스와;
거울몸체수용부에 수용되며, 사물이 비치는 거울몸체와;
백라이트수용부에 수용되며, 상방으로 조명하는 고리 형상의 백라이트유닛과;
백라이트유닛의 측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광원과;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광원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울몸체는, 거울몸체수용부의 측부 상단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거울몸체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백라이트유닛은, 백라이트수용부의 측부 상단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백라이트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를 이용한 광원이고,
상기 백라이트유닛수용부 및 백라이트유닛은 사각 고리 형상 또는 원형 고리 형상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는, 개폐가능하며 하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루어 수납용품이 수용되는 수납용품수용부와, 수납용품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추고서 케이스의 저면에 구비되는 수납용품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부드러운 면광원을 나타내는 백라이트유닛을 통해 눈부심 없이 고르게 빛을 분산시켜 부드럽게 조명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 손거울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백라이트유닛의 부피를 줄이더라도 충분한 발광효과를 내고, 백라이트유닛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백라이트유닛의 제조에 사용되는 소재의 사용을 적게 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백라이트유닛의 부피를 줄이면서 충분한 발광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을 줄일 수 있어,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백라이트유닛과 거울몸체 간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백라이트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빛과 거울몸체간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여, 백라이트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거울몸체의 둘레부에 반사되어 거울몸체의 둘레부에 빛 번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용모 정리 또는 긴급사용에 필요한 도구를 수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실용성이 매우 높으며, 실제 제품으로 출시될 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X-X선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Y-Y선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X-X선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Y-Y선 부분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케이스(100)와, 거울몸체(200)와, 백라이트유닛(300)과, 광원(400)과, 배터리(500) 및, 스위치(600)를 포함하여, 손거울 주변을 조명한다.
케이스(100)는 거울몸체수용부(110)와,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와, 광원수용부(130)와, 배터리수용부(140)와, 수납용품수용부(150) 및, 수납용품고정구(160)를 갖춘다.
거울몸체수용부(110)는 상방으로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울몸체수용부(110)는 직사각 홈 형상을 이루지만,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거울몸체수용부(110)을 개폐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거울몸체(200)가 배치될 시 거울몸체(200)의 상부에 위치한다.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거울몸체수용부(110)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며 거울몸체수용부(110)로부터 외측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는 사각 고리 홈 형상을 이루지만, 원형 고리 홈 형상 등 가운데가 빈 고리 홈 형상을 이루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를 개폐하는 투명 재질의 고리 형상의 커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백라이트유닛(300)이 배치될 시 백라이트유닛(300)의 상부에 위치한다.
광원수용부(130)는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의 외측방에 구비되어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수용부(130)는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배터리수용부(140)는 거울몸체수용부(110)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수용부(140)는 하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루며, 개폐를 위한 커버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의 개폐방식은 TV 리모콘의 건전지 수용홈 개폐방식일 수 있으며, 상기 커버의 개폐방식은 배터리수용부(140)을 개폐할 수 있으면 공지의 다양한 개폐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수납용품수용부(150)는 거울몸체수용부(110)의 하방에 위치하고, 배터리수용부(140)에 이웃되게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용품수용부(150)는 하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루며 소형 빗, 메모지 등이 수납되며, 개폐를 위한 커버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의 개폐방식은 TV 리모콘의 건전지 수용홈 개폐방식일 수 있으며, 상기 커버의 개폐방식은 수납용품수용부(150)을 개폐할 수 있으면 공지의 다양한 개폐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수납용품고정구(160)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저면에 구비된다. 이때 수납용품고정구(160)에는 이쑤시개, 쪽집게 등의 수납용품이 착탈가능하게 수납된다.
거울몸체(200)는 거울몸체수용부(110)의 측부 상단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거울몸체수용부(110)에 수용된다. 여기서 거울몸체(200)는 거울몸체수용부(110)의 측부 상단 보다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백라이트유닛(30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거울몸체(200)에 의해 반사되어 빛 번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울몸체(200)는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필름미러(Film Mirror, 210)에 커버글래스(Cover Glass, 220)가 적층된 구조를 이루지만, 사물이 비치는 것이면 공지의 다양한 거울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거울몸체(200)의 상부에는 거울몸체수용부(110)의 커버가 위치하여, 거울몸체(200)가 보호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300)은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의 측부 상단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에 수용되어, 상방으로 조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유닛(300)은 반사시트(310)와, 도광판(320)과, 확산시트(330) 및, 프리즘시트(340)를 갖추며, 사각 고리 형상을 이룬다.
반사시트(Reflector Sheet, 310)는 사각 고리 형상을 이루며,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에 수용된다. 이러한 반사시트(310)는 도광판(320)의 입광부로부터 들어온 빛이 사방으로 방사될 시, 하방으로 방사되는 빛을 상방으로 반사시켜 빛의 효율을 높힌다. 즉 반사시트(310)는 도광판(320)의 하방에 위치하여, 광원(40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광판(Light Guide Panel, 320)은 사각 고리 형상을 이루고,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에 수용되어 반사시트(310)의 상부에 적층된다. 이러한 도광판(320)은 PMMA 이라는 수지로 만들어져 있는 투명한 아크릴 패널을 이용해 광원(40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받아들이고, 이 아크릴 표면에 증착 된 일정 면적과 모양을 가진 패턴을 통해 패널 전 영역에 걸쳐 빛을 균일하게 분포 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확산시트(Diffuse Sheet, 330)는 사각 고리 형상을 이루고,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에 수용되어 도광판(320)의 상부에 적층된다. 이러한 확산시트(330)는 도광판(320)으로부터 나온 빛이 균일하게 확산하여 프리즘시트(Prism Sheet 및 Panel로 전달하고,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을 은폐한다.
프리즘시트(Prism Sheet, 340)는 사각 고리 형상을 이루고,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에 수용되어 확산시트(330)의 상부에 적층된다. 이러한 프리즘시트(340)는 확산시트에서 나오는 빛을 굴절, 집광시켜 휘도를 상승시킨다. 이때 프리즘시트(340)는 수직프리즘시트(341) 및 수평프리즘시트(342)가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져, 확산시트(330)를 지나면서 수직 및 수평 양 방향으로 확산되어 낮아진 휘도를 높힌다. 여기서 프리즘시트(340)의 상부에는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의 커버가 위치하여, 백라이트유닛(300)이 보호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유닛(300)은 사각 고리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백라이트유닛(300)을 제조하기 위한 소재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으며, 광원(4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전기 소비량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유닛(300)은 백라이트유닛수용부(120)의 측부 상단 보다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백라이트유닛(30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거울몸체(200)에 의해 반사되어 빛 번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원(400)은 백라이트유닛(300)의 둘레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발광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400)은 광원수용부(130) 양측방에 수용되어, 이웃하는 도광판(320)으로 빛을 방출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기술을 이용한 광원이 적용되며, 빛을 방출할 수 있는 것이면 공지의 다양한 광원이 적용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유닛(300)이 사각 고리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광원(40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백라이트유닛(300)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광원(400)이 필요하다.
배터리(500)는 배터리수용부(140)에 수용되며, 광원(4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500)로는 건전지, 수은전지, 충전용 배터리 등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공지의 다양한 배터리가 사용가능하다.
스위치(600)는 케이스(100)의 둘레부에 설치되며, 광원(400)을 온 또는 오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변이 어두운 곳에서 손거울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 손거울의 스위치(600)를 온 한다.
그러면 광원(400)은 도광판(320)으로 빛을 방출하고, 도광판(320)은 전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빛을 분포시킨다. 이때 도광판(320)에서 도광판(320)의 하방으로 방출된 빛은 반사시트(310)에 의해 상방으로 반사된다.
이후 도광판(320)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확산시트(330)에 의해 균일하게 확산된다. 이때 확산시트(330)는 도광판(320)에 형성된 패턴을 은폐한다.
계속해서 확산시트(330)에서 방출된 빛은 프리즘시트(340)에 의해 굴절, 집광되어 휘도가 상승된 상태로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방출 빛(조명)은 면광원의 형태로 고르게 분산되어 눈부심 없이 부드러운 조명이 가능하다.
따라서 손거울 사용자는 백라이트유닛(300)을 통해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여 어두운 곳에서 용모 정리등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납용품수용부(150) 및 수납용품고정구(160)이 구비 되기 때문에, 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메모지, 용모 정리에 사용할 수 있는 이쑤시개 및 쪽집게 등을 손거울에 수납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손거울과 함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부드러운 면광원을 나타내는 백라이트유닛(300)을 통해 눈부심 없이 고르게 빛을 분산시켜 부드럽게 조명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 손거울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백라이트유닛(300)의 부피를 줄이더라도 충분한 발광효과를 내고, 백라이트유닛(300)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백라이트유닛(300)의 제조에 사용되는 소재의 사용을 적게 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백라이트유닛(300)의 부피를 줄이면서 충분한 발광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광원(40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량을 줄일 수 있어,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백라이트유닛(300)과 거울몸체(200) 간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백라이트유닛(30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과 거울몸체(200)간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여, 백라이트유닛(30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거울몸체(200)의 둘레부에 반사되어 거울몸체(200)의 둘레부에 빛 번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손거울은 용모 정리 또는 긴급사용에 필요한 도구를 수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100; 케이스 110; 거울몸체수용부
120; 백라이트유닛수용부 130; 광원수용부
140; 배터리수용부 150; 수납용품수용부
160; 수납용품고정구 200; 거울몸체
210; 필름미러 220; 커버글래스
300; 백라이트유닛 310; 반사시트
320; 도광판 330; 확산시트
340; 프리즘시트 400; 광원
500; 배터리 600; 스위치

Claims (3)

  1. 상방으로 개구되는 거울몸체수용부와, 상방으로 개구되어 거울몸체수용부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며 거울몸체수용부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백라이트유닛수용부를 갖춘 케이스와;
    거울몸체수용부에 수용되며, 사물이 비치는 거울몸체와;
    백라이트수용부에 수용되며, 상방으로 조명하는 고리 형상의 백라이트유닛과;
    백라이트유닛의 측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광원과;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광원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몸체는, 거울몸체수용부의 측부 상단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거울몸체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백라이트유닛은, 백라이트수용부의 측부 상단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백라이트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를 이용한 광원이고,
    상기 백라이트유닛수용부 및 백라이트유닛은 사각 고리 형상 또는 원형 고리 형상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는, 개폐가능하며 하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루어 수납용품이 수용되는 수납용품수용부와, 수납용품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추고서 케이스의 저면에 구비되는 수납용품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KR1020150063144A 2015-05-06 2015-05-06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KR20160132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144A KR20160132164A (ko) 2015-05-06 2015-05-06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144A KR20160132164A (ko) 2015-05-06 2015-05-06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164A true KR20160132164A (ko) 2016-11-17

Family

ID=5754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144A KR20160132164A (ko) 2015-05-06 2015-05-06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21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683B1 (ko) * 2019-12-12 2021-03-26 (주)아라모드 Led 조명을 구비한 거울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297Y1 (ko) 2001-04-26 2001-10-12 송인강 손거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297Y1 (ko) 2001-04-26 2001-10-12 송인강 손거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683B1 (ko) * 2019-12-12 2021-03-26 (주)아라모드 Led 조명을 구비한 거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6173U (ja) 発光レンズ構造
KR101977451B1 (ko) 조명장치
CA2603620A1 (en) Multi-clarity lenses
CN106766474A (zh) 冰箱搁物架及冰箱
US8079742B2 (en) Illumination structure
CN101543382B (zh) 切菜板
CN207922683U (zh) 一种具有发光层架的冰箱
USD602884S1 (en) Light-emitting diode
JP2004247298A (ja) 旋回可能な光学系を備える懐中電燈
US20050174756A1 (en) Illuminating assemblies with mirrors
KR20160132164A (ko) 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
CN104225937B (zh) 绘图台玩具
JP4796203B1 (ja) 着脱可能な環状照明器具
KR101009764B1 (ko) 라이트 패널을 부착한 시스템 가구
CN209262880U (zh) 一种夜灯
KR20050077828A (ko) 평활성 빛을 제공할수 있는 조명기구
CN2758579Y (zh) 小夜灯
CN201175287Y (zh) 切菜板
CN220582316U (zh) 一种相框氛围灯
CN210642960U (zh) 带发光镜片的箱包
JP2004327094A (ja) 収納ケース
CN211232607U (zh) 一种led导光板筒灯
CN218819943U (zh) 发光收纳盒及收纳盒组件
JP3166800U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照明装置
CN216516699U (zh) 一种带灯壁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