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811A -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및 용접 설비 - Google Patents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및 용접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811A
KR20160131811A KR1020150064910A KR20150064910A KR20160131811A KR 20160131811 A KR20160131811 A KR 20160131811A KR 1020150064910 A KR1020150064910 A KR 1020150064910A KR 20150064910 A KR20150064910 A KR 20150064910A KR 20160131811 A KR20160131811 A KR 20160131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unit
arc
shaping
cal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호
조상명
박정현
김성률
Original Assignee
(주)종합기계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피씨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기계,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피씨앤비 filed Critical (주)종합기계
Priority to KR102015006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811A/ko
Publication of KR2016013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40Making wire or rods for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및 용접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을 구비하며 선형 용가재를 받아 단면상 호(弧)형상으로 변형시켜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송출하되, 제1 성형 롤러유닛은 선형 용가재를 받아 통과시키며 단면형상을 변형 가공하고 제2 성형 롤러유닛은 제1 성형 롤러유닛에서 단면형상 변형가공된 용가재를 받아 통과시키며 호형상 벤딩 가공하여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송출하는 것인, 변형가공 유닛; 제2 성형 롤러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를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홀과 전방 및 후방 측에서 각각 상하측으로 개방된 롤러 안착홀들을 구비하는 가이드 유닛, 그리고 가이드 유닛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롤러 안착홀 각각에 안착된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을 구비하며, 변형가공 유닛에서 성형된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센터 및 곡률을 교정하며 송출하되, 제1 교정 롤러유닛은 가이드 유닛의 입구 측 가이드홀을 통해 유입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센터를 조정하고 제2 교정 롤러유닛은 센터 교정된 호형 와이어 용가재를 받아 송급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설정에 미달된 곡률에 대한 교정을 수행하며 송출하는 것인, 교정 유닛; 및 적어도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기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그를 포함하는 용접 설비가 제안된다.

Description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및 용접 설비{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D CORRECTING ARC SHAPE WIRE FILLER METAL, AND WELDING EQUIPMENT}
본 발명은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및 용접 설비에 관한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선형 용가재를 호형상의 와이어 용가재로 변형가공하여 바른 방향으로 송급시키기 위한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및 용접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이라 하면 2개 혹은 그 이상의 물체나 재료를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하여 여기에 용가재(용접봉, 와이어)를 넣어 접합하는 것으로 재료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다양한 용접방법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모재라 불리는 두 물체사이나 또는 한 물체의 일정 부분의 용접부에 용접봉을 첨가하여 간접적으로 접합시키는 용접은 그 방식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 특수한 용접부를 공기와 차단한 상태에서 용접하기 위하여 특수 토치에서 불활성 가스를 전극봉 지지기를 통하여 용접부에 공급하면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열원으로 사용되는 전극 즉, 텅스텐 봉이 아크 열에 의해 녹지 않는 비소모식인 TIG(TUNGSTEN INERT GAS) 용접은 원자력 및 항공기 제품의 용접에 주로 적용되는 용접방식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정밀하게 용접하는 방식이다.
불활성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inert gas tungsten arc welding)은 피복 아크 용접이나 가스용접으로 용접이 불가능한 각종 금속의 용접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용접법의 하나이다. 이 용접 방법은 약칭 TIG(Tungsten Inert Gas)용접이라 하며 혹은 GTAW이라고도 한다. 그 용접 방법에 따라 토치와 용가재를 용접사가 손으로 조작하는 수동용접과 용가재의 송급은 기계적으로 자동 송급하고 토치만을 손으로 조작하는 반자동용접, 용가재의 공급과 용접진행을 자동으로 조작하는 자동용접으로 구분한다.
용접기 본체에 용접 와이어를 지속적으로 송급하는 기능은 와이어 송급장치에 의해 수행된다.와이어 송급장치는 와이어를 스풀 또는 릴에서 뽑아 스프링 라이너를 통해 용접부까지 설정된 속도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용가재 송급방식은 2가지 형식으로 푸시방식과 풀방식이 있다. 푸시방식은 와이어 송급장치의 롤러가 와이어를 밀어내어서 스프링 라이너를 통과시킨 후 아크쪽으로 공급하면서 용접이 진행되며, 풀방식은 스프링 라이너의 토치쪽에 와이어 송급장치가 부착되어 와이어를 잡아당겨 아크쪽으로 송급하면서 용접하는 방식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4864호 (2013년 12월 24일 공고)
종래의 봉형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호형 와이어 용가재를 사용하여 용접하기 위해서는 선형 와이어 용가재를 성형 및 교정하여 공급하는 새로운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형 용가재를 호형상의 와이어 용가재로 변형가공하여 바른 방향으로 송급시키는 호형 와이어 송급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용접설비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을 구비하며 선형 용가재를 받아 단면상 호(弧)형상으로 변형시켜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송출하되, 제1 성형 롤러유닛은 선형 용가재를 받아 통과시키며 단면형상을 변형 가공하고 제2 성형 롤러유닛은 제1 성형 롤러유닛에서 단면형상 변형가공된 용가재를 받아 통과시키며 호형상 벤딩 가공하여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송출하는 것인, 변형가공 유닛; 제2 성형 롤러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를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홀과 전방 및 후방 측에서 각각 상하측으로 개방된 롤러 안착홀들을 구비하는 가이드 유닛, 그리고 가이드 유닛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롤러 안착홀 각각에 안착된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을 구비하며, 변형가공 유닛에서 성형된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센터 및 곡률을 교정하며 송출하되, 제1 교정 롤러유닛은 가이드 유닛의 입구 측 가이드홀을 통해 유입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센터를 조정하고 제2 교정 롤러유닛은 센터 교정된 호형 와이어 용가재를 받아 송급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설정에 미달된 곡률에 대한 교정을 수행하며 송출하는 것인, 교정 유닛; 및 적어도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기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성형 롤러유닛은 제1 상부 성형롤러 및 제1 하부 성형롤러를 구비하고 선형 용가재를 제1 상부 및 하부 성형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며 단면형상을 변형 가공하고, 제2 성형 롤러유닛은 제2 상부 성형롤러 및 제2 하부 성형롤러를 구비하고 단면형상 변형가공된 용가재를 제2 상부 및 하부 성형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며 호형상 벤딩 가공하여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송출하고, 제1 교정 롤러유닛은 제1 상부 교정롤러 및 제1 하부 교정롤러를 구비하고 가이드 유닛의 전방 측 롤러 안착홀에 상하측에서 안착된 제1 상부 및 하부 교정롤러 사이로 입구 측 가이드홀을 통해 유입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센터를 조정하고, 제2 교정 롤러유닛은 제2 상부 교정롤러 및 제2 하부 교정롤러를 구비하고 가이드 유닛의 후방 측 롤러 안착홀에 상하측에서 안착된 제2 상부 및 하부 교정롤러 사이로 제1 교정 롤러유닛을 통과한 호형 와이어 용가재를 받아 송급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설정에 미달된 곡률에 대한 교정을 수행하며 송출하고, 구동기어유닛은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 각각의 하부 성형롤러 또는 각각의 하부 및 상부 성형롤러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과 함께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의 하부 교정롤러 또는 각각의 하부 및 상부 교정롤러를 구동시킨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과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은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를 구비하고,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는, 용가재가 통과하는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 각각의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조절유닛 및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의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간격조절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 그리고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상부 롤러 및 중심쪽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된 하부 롤러를 구비하고, 제2 교정 롤러유닛의 각 볼록부 및 오목부의 곡률이 제1 교정 롤러유닛의 각 볼록부 및 오목부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교정 롤러유닛에 의해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곡률이 교정되며 송출되고, 제2 교정 롤러유닛의 후방인 가이드 유닛의 후방 가이드홀의 하면 곡률이 가이드 유닛의 입구 측 가이드홀의 하면 곡률보다 크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 각각의 하부 롤러의 단면상 오목부의 양측에서 수직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 롤러의 돌출부는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 각각의 상부 롤러의 단면상 볼록부의 양측에 형성된 수평단부 측으로 돌출되며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 개재되는 선형 용가재의 단면상 측방향으로의 인장범위를 제한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의 하부 롤러는 단면상 오목부의 양측에 수평단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상부 롤러는 단면상 볼록부의 양측에 수평단부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의 하부 롤러의 수평단부와 각각의 상부 롤러의 수평단부가 이격되게 하부 및 상부 롤러가 형성되고,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 개재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오목부 곡면 상에서의 좌우 스윙범위가 상부 롤러의 수평단부에 의해 제한된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1 성형 롤러유닛으로 유입되는 선형 용가재는 단면상 직사각형 형상의 띠형 용가재이고, 제1 성형 롤러유닛은 띠형 용가재를 1차로 벤딩하며 단면형상을 호형상으로 가공하고 제2 성형 롤러유닛은 1차 가공된 용가재를 2차로 벤딩하며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성형하여 송출한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변형가공 유닛은 제1 성형 롤러유닛 전단에서 봉형 와이어인 선형 용가재를 평탄화시켜 단면상 직사각형 형상의 띠형 용가재로 성형하는 평압연 롤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성형 롤러유닛으로 유입되는 선형 용가재는 봉형 와이어 용가재이고, 제1 성형 롤러유닛은 봉형 와이어 용가재를 단면상 수평방향으로 슬림화시키면서 1차 벤딩 가공하고 제2 성형 롤러유닛은 1차 가공된 용가재를 2차로 벤딩하며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성형하여 송출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선형 용가재를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단면형상 변형시켜 모재에 용접시키는 용접 설비에 있어서, 전술한 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설비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선형 용가재를 호형상의 와이어 용가재로 변형가공하여 바른 방향으로 송급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곡률을 교정하여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의 성형 롤러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의 교정 유닛의 가이드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의 교정 유닛의 가이드 유닛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의 교정 유닛에서의 교정 진행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때,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을 의미하고, 설명되는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다른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도면부호와 동일 구성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 및 2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의 성형 롤러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의 교정 유닛의 가이드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의 교정 유닛의 가이드 유닛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의 교정 유닛에서의 교정 진행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는 변형가공 유닛(100), 교정 유닛(300) 및 구동기어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는 간격조절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변형가공 유닛(100)은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을 구비하며, 선형 용가재(1a)를 받아 단면상 호(弧)형상으로 변형시켜 호형 와이어 용가재(1)로 송출한다. 본 명세서에서 선형 용가재(1a)는 봉형 와이어 형상이나 띠형 와이어 형상의 용가재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호(弧)형상 또는 호형이란 하향으로 아치형을 이루는 형상, 즉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말한다. 즉, 변형가공 유닛(100)은 호형 와이어 용가재(1)를 모재에 용접시키기 위해 선형 용가재(1a)를 호형상으로 변형시키는 장치이다.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은 몸체 프레임(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성형 롤러유닛(110)은 선형 용가재(1a)를 받아 통과시키며 단면형상을 변형 가공한다. 제1 성형 롤러유닛(110)은 선형 용가재(1a)를 롤러유닛 사이로 통과시키며 선형 용가재(1a)를 가압하여 단면형상을 변경시킨다. 예컨대, 제1 성형 롤러유닛(110)은 선형 용가재(1a)의 단면형상을 효과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열가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1 성형 롤러유닛(110)은 제1 상부 성형롤러(113) 및 제1 하부 성형롤러(111)를 구비하고 선형 용가재(1a)를 제1 상부 및 하부 성형롤러(113, 111) 사이로 통과시키며 단면형상을 변형 가공한다.
또한, 제2 성형 롤러유닛(130)은 제1 성형 롤러유닛(110)에서 단면형상 변형가공된 용가재를 받아 통과시키며 호형상 벤딩 가공하여 호형 와이어 용가재(1)로 송출한다. 예컨대, 제2 성형 롤러유닛(130)은 단면형상 변형가공된 용가재를 효과적으로 호형상 벤딩 가공하기 위해 열가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2 성형 롤러유닛(130)은 제2 상부 성형롤러(133) 및 제2 하부 성형롤러(131)를 구비하고 단면형상 변형가공된 용가재를 제2 상부 및 하부 성형롤러(133, 131) 사이로 통과시키며 호형상 벤딩 가공하여 호형 와이어 용가재(1)로 송출한다.
또한,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볼록부(113a)가 형성된 상부 롤러(113, 133) 및 중심쪽으로 오목한 오목부(111a)가 형성된 하부 롤러(111, 1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2a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의 하부 롤러(111, 131)의 단면상 오목부(111a)의 양측에서 수직 돌출된 돌출부(111b)가 형성된다. 이때, 하부 롤러(111, 131)의 돌출부(111b)는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의 상부 롤러(113, 133)의 단면상 볼록부(113a)의 양측에 형성된 수평단부(113b) 측으로 돌출되며 오목부(111a)와 볼록부(113a) 사이에 개재되는 선형 용가재(1a)의 단면상 측방향으로의 인장범위를 제한한다.
또는,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의 돌출부(11b) 대신에 상부 롤러(113, 133)의 단면상 볼록부(113a)의 양측에 형성된 수평단부(113b)와 마찬가지로 하부 롤러(111, 131)의 단면상 오목부(111a)의 양측에 수평단부(113b)가 형성되고, 볼록부(113a)의 수평단부(113b)와 오목부(111a)의 수평단부(113b)의 이격 공간에 선형 용가재(1a)의 단면상 측방향으로의 인장범위를 제한하는 블럭(115)이 추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은 하부 롤러(111, 131)의 오목부(111a) 및 돌출부(111b) 그리고 상부 롤러(113, 133)의 볼록부(113a) 및 수평단부(113b)에 의해 단면상 형성되는 공간(G)을 통해 단면상 직사각형 와이어 용가재(1a)가 통과하며 호형 와이어 용가재(1)로 단면 변형된다.
도 1에서 상부 성형롤러(113, 133)의 상부측에 롤러커버(1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교정 유닛(300)을 살펴본다. 교정 유닛(300)은 가이드 유닛(310) 및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을 구비한다.
먼저, 가이드 유닛(310)을 살펴본다. 가이드 유닛(310)은 다수의 가이드홀(1313, 1313a, 1313b, 1313c)과 롤러 안착홀들(310a)을 구비한다. 예컨대, 도 3a를 참조하면, 가이드 유닛(310)은 가이드 몸체(311)에 형성된 롤러 안착홀들(310a)과 각각 가이드홀(1313a, 1313b, 1313c)을 구비하는 다수의 가이더(313a, 313b, 313c)를 포함하고 있다. 도 3a은 가이드 몸체(311)와 다수의 가이더(313, 313a, 313b, 313c)가 분리/교체 가능하게 착탈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유닛(310) 상에 다수의 가이드홀(1313) 및 롤러 안착홀들(310a)이 형성되거나 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가이드홀(1313a, 1313b, 1313c)을 구비한 다수의 가이더(313a, 313b, 313c)가 롤러 안착홀들(310a)이 형성된 가이드 몸체(311)의 가이더 안착부(311a)에 안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유닛(310)의 다수의 가이드홀(1313, 1313a, 1313b, 1313c)은 제2 성형 롤러유닛(130)으로부터 송출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1)를 안내한다. 이때, 도 3b, 4a 및/또는 4b를 참조하면, 다수의 가이드홀(1313, 1313a, 1313b, 1313c)은 적어도 하면이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호형 와이어 용가재(1)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홀(1313, 1313a, 1313b, 1313c)의 단면 형상은 활꼴형, 럭비공형, 고리의 일부인 호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a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가이드홀(1313a, 1313b, 1313c)은 가이드 유닛(310)의 가이더(313a, 313b, 313c)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a에서 가이더(313)는 가이드 몸체(311)에 형성된 가이더 안착부(311a)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필요에 따라 가이드홀(1313a, 1313b, 1313c)의 크기를 달리하는 가이더(313a, 313b, 313c)로 교체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가이드 몸체(311)의 전방과 후방 측 각각의 롤러 안착홀(310a)을 사이에 두도록 가이드 유닛(310)의 입구 측, 즉 전방 측 롤러 안착홀(310a)의 전방에, 가이드 유닛(310)의 중간에, 즉 전방 및 후방 측 롤러 안착홀들(310a)의 사이에, 그리고 가이드 유닛(310)의 후방에, 즉 후방 측 롤러 안착홀(310a)의 후방에 가이더 안착부(311a)가 형성되고, 가이더 안착부(311a) 각각에 순차로 제1, 제2 및 제3 가이더(313a, 313b, 313c)가 안착된다. 도 3a와 달리, 가이드 유닛(310)의 중간을 제외한 입구 측과 후방에만 가이더(313)가 설치되며 가이드 유닛(310)의 입구 측과 후방에 가이드홀(1313)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a 및/또는 4b를 참조하면,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가이더(313a)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홀(1313a)의 크기가 제3 가이더(313c)에 형성된 제3 가이드홀(1313c)의 크기보다 또는 제2 및 제3 가이더(313b, 313c)에 형성된 제2 및 제3 가이드홀(1313b, 1313c)의 크기보다 크다. 즉, 입구 측의 제1 가이드 홀(1313a)의 크기가 후방 측 제3 가이드홀(1313c) 또는 제2 및 제3 가이드홀(1313b, 1313c)의 크기보다 크다.
가이드 유닛(310)의 롤러 안착홀(310a)은 가이드 유닛(310)의 전방 및 후방 측에서 각각 상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은 각각 가이드 유닛(31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롤러 안착홀(310a)에 안착된다. 이때, 롤러 안착홀(310a)에 상하측에서 안착되는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상하부 롤러 사이로 가이드 유닛(310)의 입구 측 가이드홀(1313a)을 통해 안내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1)가 개재되며 송급된다.
교정 유닛(300)은 가이드 유닛(310) 및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을 통해 변형가공 유닛(100)에서 성형된 호형 와이어 용가재(1)의 센터 및 곡률을 교정하며 송출한다.
도 3a 및 4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2 교정 롤러유닛(350)의 후방인 가이드 유닛(310)의 후방 가이드홀(1313c), 즉 제3 가이드 홀(1313c)의 하면 곡률이 가이드 유닛(310)의 입구 측 가이드홀(1313a), 즉 제1 가이드 홀(1313a)의 하면 곡률보다 클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예컨대,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은 프레임(320) 상에 설치된다. 먼저, 제1 교정 롤러유닛(330)을 살펴본다. 제1 교정 롤러유닛(330)은 가이드 유닛(310)의 입구 측 가이드홀(1313a)을 통해 유입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1)의 센터를 조정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교정 롤러유닛(330)은 제1 상부 교정롤러(333) 및 제1 하부 교정롤러(331)를 구비하고, 가이드 유닛(310)의 전방 측 롤러 안착홀(310a)에 상하측에서 안착된 제1 상부 및 하부 교정롤러(333, 331) 사이로 입구 측 가이드홀(1313a)을 통해 유입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1)의 센터를 조정한다.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측 가이드 홀(1313a) 또는 도 3a의 제1 가이드 홀(1313a)을 통과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1)의 센터가 가이드 홀(1313)의 센터에 일치하지 않고 틀어져 있는 경우, 호형 와이어 용가재(1)가 제1 교정 롤러유닛(330)의 상부 및 하부 교정롤러(333, 331) 사이를 통과하며 센터가 조정된다. 도 4a의 후단 그림은 제1 교정 롤러유닛(330)를 통과하며 센터가 교정된 호형 와이어 용가재(1)가 제2 교정 롤러유닛(350)의 후단의 후방 가이더(313c)의 가이드홀(1313c)을 통과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제1 교정 롤러유닛(330)에서 단면상 상부 교정롤러(333)의 볼록부(333a)의 양측에 형성된 수평단부(333b)와 하부 교정롤러(331)의 오목부(331a)의 양측에 형성된 수평단부(331b) 사이의 거리가 볼록부(333a)의 정점과 오목부(331a)의 저점 사이의 거리보다 크므로 센터가 틀어진 호형 와이어 용가재(1)가 제1 교정 롤러유닛(330)의 상부 및 하부 교정롤러(333, 331) 사이로 삽입되고, 롤러의 회전에 따라 호형 와이어 용가재(1)의 단부가 접촉되는 상부 교정롤러(333)의 볼록부(333a) 양측의 수평단부(333b)의 높이가 낮아지며 호형 와이어 용가재(1)의 센터가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교정 롤러유닛(350)을 살펴본다. 제2 교정 롤러유닛(350)은 센터 교정된 호형 와이어 용가재(1)를 받아 송급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설정에 미달된 곡률에 대한 교정을 수행하며 송출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2 교정 롤러유닛(350)은 제2 상부 교정롤러(353) 및 제2 하부 교정롤러(351)를 구비하고, 가이드 유닛(310)의 후방 측 롤러 안착홀(310a)에 상하측에서 안착된 제2 상부 및 하부 교정롤러(353, 351) 사이로 제1 교정 롤러유닛(330)을 통과한 호형 와이어 용가재(1)를 받아 송급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설정에 미달된 곡률에 대한 교정을 수행하며 송출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단 그림에서, 제2 교정 롤러유닛(350)의 전단, 구체적으로 제1 교정 롤러유닛(330) 보다도 전단에 형성된 입구 측 가이더(313a)의 가이드홀(1313a)을 통과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1)의 곡률(1/R1)이 변형되거나 설정에 미달된 경우가 도시되고, 후단 그림에서, 제2 교정 롤러유닛(350)를 통과하여 곡률(1/R3)이 교정된 호형 와이어 용가재(1)가 제2 교정 롤러유닛(350)의 후단의 후방 가이더(313c)의 가이드홀(1313c)을 통과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제2 교정 롤러유닛(350)은 필요에 따라 호형 와이어 용가재(1)를 적절한 곡률을 갖도록 교정할 수 있도록 몸체 프레임(320)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교정롤러(353)와 하부 교정롤러(351)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이에 개재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1)의 곡률을 송급과정에서 필요에 맞게 교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교정 롤러유닛(350)의 상부 교정롤러(353)와 하부 교정롤러(351) 사이의 간격은 제2 간격조절유닛(530)에 의해 조절되며 설정된 곡률에 맞게 호형 와이어 용가재(1)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볼록부(333a)가 형성된 상부 롤러(333, 353) 및 중심쪽으로 오목한 오목부(331a)가 형성된 하부 롤러(331, 351)를 구비한다. 도 3b에서 제1 교정 롤러유닛(330)의 상부 교정롤러(333)와 하부 교정롤러(331)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교정 롤러유닛(350)도 마찬가지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2 교정 롤러유닛(350)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곡률이 제1 교정 롤러유닛(330)의 볼록부(333a) 및 오목부(331a)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교정 롤러유닛(350)에 의해 호형 와이어 용가재(1)의 곡률이 교정되며 송출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하부 롤러(331, 351)는 단면상 오목부(331a)의 양측에 수평단부(331b)가 형성되며 각각의 상부 롤러(333, 353)는 단면상 볼록부(333a)의 양측에 수평단부(333b)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하부 롤러(331, 351)의 수평단부(331b)와 각각의 상부 롤러(333, 353)의 수평단부(333b)가 이격되게 하부 및 상부 롤러가 형성된다. 이때, 오목부(331a)와 볼록부(333a) 사이에 개재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1)의 오목부(331a) 곡면 상에서의 좌우 스윙범위가 상부 롤러(333, 353)의 수평단부(333b)에 의해 제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성형 롤러유닛(110)으로 유입되는 선형 용가재(1a)는 단면상 직사각형 형상의 띠형 용가재(1a)일 수 있다. 이때, 제1 성형 롤러유닛(110)은 띠형 용가재(1a)를 1차로 벤딩하며 단면형상을 호형상으로 가공하고, 제2 성형 롤러유닛(130)은 1차 가공된 용가재를 2차로 벤딩하며 호형 와이어 용가재(1)로 성형하여 송출한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으나, 또 하나의 예에서, 변형가공 유닛(100)은 평압연 롤러유닛(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평압연 롤러유닛(도시되지 않음)은 제1 성형 롤러유닛(110) 전단에서 봉형 와이어인 선형 용가재를 평탄화시켜 단면상 직사각형 형상의 띠형 용가재(1a)로 성형할 수 있다. 예컨대, 평압연 롤러유닛(도시되지 않음)은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과 마찬가지로 상부 압연롤러와 하부 압연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상부측에 형성되는 하나의 압연 롤러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평압연 롤러유닛(도시되지 않음)의 압연 롤러 또는 상부 및 하부 압연롤러의 단부 형상은 도 2와 달리 평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직접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성형 롤러유닛(110)으로 유입되는 선형 용가재는 봉형 와이어 용가재일 수 있다. 이때, 도 1의 제1 성형 롤러유닛(110)은 봉형 와이어 용가재를 단면상 수평방향으로 슬림화시키면서 동시에 1차 벤딩 가공하고 제2 성형 롤러유닛(130)은 1차 가공된 용가재를 2차로 벤딩하며 호형 와이어 용가재(1)로 성형하여 송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구동기어유닛(400)을 살펴보면, 구동기어유닛(400)은 적어도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을 구동시킨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구동기어유닛(400)은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의 하부 성형롤러(111, 131) 또는 각각의 하부 및 상부 성형롤러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과 함께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하부 교정롤러(331, 351) 또는 각각의 하부 및 상부 교정롤러를 구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를 살펴보면,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는 제1 및 제2 간격조절유닛(510, 530)을 포함하는 간격조절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간격조절유닛(500)은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과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제1 간격조절유닛(510)은 용가재가 통과하는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의 상부 롤러(113, 133)와 하부 롤러(111, 13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예컨대, 제1 간격조절유닛(510)은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의 상부 또는 부근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의 상부 롤러(113, 133)의 설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의 상부 성형롤러들(113, 133)이 결합된 상부 프레임(323)과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의 하부 성형롤러들(111, 131)이 결합된 하부 프레임(321)과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의 상부 롤러(113, 133)와 하부 롤러(111, 13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간격조절유닛(510)이 상부 성형롤러들(113, 133)이 결합된 상부 프레임(323)과 하부 성형롤러들(111, 131)이 결합된 하부 프레임(321)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 상부 프레임(323)과 하부 프레임(321) 각각은 다시 전방과 후방으로 분리되어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110, 130) 각각의 간격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성형 롤러유닛(110)의 상부 롤러(113)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자와 제2 성형 롤러유닛(130)의 상부 롤러(133)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자가 각기 개별적으로 간격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성형 롤러유닛(110)은 제2 성형 롤러유닛(130)에 앞서 선형 용가재(1a)의 단면형상을 변형 가공하므로 제1 성형 롤러유닛(110)에서의 상하부 롤러 간격이 제2 성형 롤러유닛(130)에서의 상하부 롤러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간격조절유닛(530)은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상부 롤러(333, 353)와 하부 롤러(331, 35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예컨대, 제2 간격조절유닛(530)은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상부 교정롤러들(333, 353)이 결합된 상부 프레임(323)이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하부 교정롤러들(331, 351)이 결합된 하부 프레임(321)과 결합되는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상부 롤러(333, 353)와 하부 롤러(331, 35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상부 롤러(333, 353)와 하부 롤러(331, 351)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조절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간격조절유닛(530)은 하나로서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상부 롤러(333, 353)와 하부 롤러(331, 35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간격조절유닛(530)은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330, 350) 각각의 상부 롤러(333, 353)의 상부 또는 부근에 각각 설치되며 개별적으로 간격조절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호형 와이어 송급장치에서 송급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1)는 예컨대 티그(TIG) 용접에 사용되는 용가재일 수 있다. 재질면에서 호형 와이어 용가재(1)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다. 용가재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티그(TIG) 용접용 용가재에 사용되는 다른 재질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른 용접 설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전술한 하나의 모습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의 실시예들 및 도 1 내지 4b가 참조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선형 용가재(1a)를 호형 와이어 용가재(1)로 단면형상 변형시켜 모재에 용접시키는 용접 설비는 전술한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용접 설비는 선형 용가재(1a)가 감긴 릴(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를 송급되며 선형 용가재(1a)가 호형 와이어 용가재(1)로 단면형상 변형되어 용접 토치(도시되지 않음)로 송출되며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용접 설비는 TIG 용접 설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 호형 와이어 용가재 1a: 선형 용가재
100: 변형가공 유닛 110: 제1 성형 롤러유닛
111, 131: 하부 성형롤러 111a, 331a: 오목부
111b: 돌출부 113, 133: 상부 성형롤러
113a, 333a: 볼록부 113b, 331b, 333b: 수평단부
120, 320: 프레임 130: 제2 성형 롤러유닛
400: 구동기어유닛 300: 교정 유닛
310: 하부 프레임 310: 가이드 유닛
310a: 롤러 안착홀 311: 가이드 몸체
311a: 가이더 안착부 313, 313a, 313b, 313c: 가이더
1313, 1313a, 1313b, 1313c: 가이드홀
300: 교정 유닛 330: 제1 교정 롤러유닛
331, 351: 하부 교정롤러 333, 353: 상부 교정롤러
350: 제2 교정 롤러유닛 500, 510, 530: 간격조절유닛

Claims (10)

  1.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을 구비하며 선형 용가재를 받아 단면상 호(弧)형상으로 변형시켜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송출하되, 상기 제1 성형 롤러유닛은 상기 선형 용가재를 받아 통과시키며 단면형상을 변형 가공하고 상기 제2 성형 롤러유닛은 상기 제1 성형 롤러유닛에서 단면형상 변형가공된 용가재를 받아 통과시키며 호형상 벤딩 가공하여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송출하는 것인, 변형가공 유닛;
    상기 제2 성형 롤러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를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홀과 전방 및 후방 측에서 각각 상하측으로 개방된 롤러 안착홀들을 구비하는 가이드 유닛, 그리고 상기 가이드 유닛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롤러 안착홀 각각에 안착된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변형가공 유닛에서 성형된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센터 및 곡률을 교정하며 송출하되, 상기 제1 교정 롤러유닛은 상기 가이드 유닛의 입구 측 가이드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센터를 조정하고 제2 교정 롤러유닛은 상기 센터 교정된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를 받아 송급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설정에 미달된 곡률에 대한 교정을 수행하며 송출하는 것인, 교정 유닛; 및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기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성형 롤러유닛은 제1 상부 성형롤러 및 제1 하부 성형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선형 용가재를 상기 제1 상부 및 하부 성형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며 단면형상을 변형 가공하고,
    상기 제2 성형 롤러유닛은 제2 상부 성형롤러 및 제2 하부 성형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단면형상 변형가공된 용가재를 상기 제2 상부 및 하부 성형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며 호형상 벤딩 가공하여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송출하고,
    상기 제1 교정 롤러유닛은 제1 상부 교정롤러 및 제1 하부 교정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의 전방 측 롤러 안착홀에 상하측에서 안착된 상기 제1 상부 및 하부 교정롤러 사이로 상기 입구 측 가이드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센터를 조정하고,
    상기 제2 교정 롤러유닛은 제2 상부 교정롤러 및 제2 하부 교정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의 후방 측 롤러 안착홀에 상하측에서 안착된 상기 제2 상부 및 하부 교정롤러 사이로 상기 제1 교정 롤러유닛을 통과한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를 받아 송급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설정에 미달된 곡률에 대한 교정을 수행하며 송출하고,
    상기 구동기어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 각각의 하부 성형롤러 또는 각각의 하부 및 상부 성형롤러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의 하부 교정롤러 또는 각각의 하부 및 상부 교정롤러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은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는, 상기 용가재가 통과하는 상기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 각각의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조절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의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간격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상부 롤러 및 중심쪽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된 하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교정 롤러유닛의 각 볼록부 및 오목부의 곡률이 상기 제1 교정 롤러유닛의 각 볼록부 및 오목부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교정 롤러유닛에 의해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곡률이 교정되며 송출되고,
    상기 제2 교정 롤러유닛의 후방인 상기 가이드 유닛의 후방 가이드홀의 하면 곡률이 상기 가이드 유닛의 입구 측 가이드홀의 하면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 각각의 하부 롤러의 단면상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서 수직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롤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성형 롤러유닛 각각의 상부 롤러의 단면상 상기 볼록부의 양측에 형성된 수평단부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선형 용가재의 단면상 측방향으로의 인장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6. 청구항 4 또는 5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의 하부 롤러는 단면상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수평단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상부 롤러는 단면상 상기 볼록부의 양측에 수평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교정 롤러유닛 각각의 하부 롤러의 수평단부와 각각의 상부 롤러의 수평단부가 이격되게 하부 및 상부 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의 상기 오목부 곡면 상에서의 좌우 스윙범위가 상기 상부 롤러의 수평단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성형 롤러유닛으로 유입되는 상기 선형 용가재는 단면상 직사각형 형상의 띠형 용가재이고,
    상기 제1 성형 롤러유닛은 상기 띠형 용가재를 1차로 벤딩하며 단면형상을 호형상으로 가공하고 상기 제2 성형 롤러유닛은 1차 가공된 상기 용가재를 2차로 벤딩하며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성형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변형가공 유닛은 상기 제1 성형 롤러유닛 전단에서 봉형 와이어인 상기 선형 용가재를 평탄화시켜 단면상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띠형 용가재로 성형하는 평압연 롤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9.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성형 롤러유닛으로 유입되는 상기 선형 용가재는 봉형 와이어 용가재이고,
    상기 제1 성형 롤러유닛은 상기 봉형 와이어 용가재를 단면상 수평방향으로 슬림화시키면서 1차 벤딩 가공하고 상기 제2 성형 롤러유닛은 1차 가공된 상기 용가재를 2차로 벤딩하며 상기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성형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10. 선형 용가재를 호형 와이어 용가재로 단면형상 변형시켜 모재에 용접시키는 용접 설비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설비.
KR1020150064910A 2015-05-08 2015-05-08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및 용접 설비 KR20160131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10A KR20160131811A (ko) 2015-05-08 2015-05-08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및 용접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10A KR20160131811A (ko) 2015-05-08 2015-05-08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및 용접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811A true KR20160131811A (ko) 2016-11-16

Family

ID=5754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910A KR20160131811A (ko) 2015-05-08 2015-05-08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및 용접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8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864B1 (ko) 2012-12-10 2013-12-2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와이어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864B1 (ko) 2012-12-10 2013-12-2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와이어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8135B2 (en) Z-bar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butt welding
EP3225321B1 (en) A method of producing a steel pipe
CN103813882A (zh) 用于制造定制的板式带材或金属型材的装置和方法
US7028882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oiler tube panel welding and straightening
KR101749745B1 (ko) 턴테이블 방식 티그용접장치
AU73472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 tubes
EP2841232B1 (en) Flux cored 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US8829384B2 (en) Guiding and shaping system
KR20160131811A (ko) 호형 와이어 용가재 성형 및 교정장치 및 용접 설비
JP5593191B2 (ja) 金属管の製造装置
KR101662578B1 (ko) 호형 와이어 송급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용접 설비
KR101749746B1 (ko) 포지셔너 방식 티그용접장치
JPH09271847A (ja) 断面多角形閉状態の管の製造方法
KR101334622B1 (ko) 롤 레이저 용접기용 가이드 장치
JP2001269785A (ja) テーラードブランク材用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160057975A (ko) 금속 스트립 연결 방법
JP3578586B2 (ja) 溶接ワイヤ用矯正装置
KR101749744B1 (ko) 호형와이어 성형 및 권취 장치 및 방법, 호형와이어 송급릴장치
KR101699726B1 (ko) 와이어 용가재 송급 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티그 용접 설비
JP2005334947A (ja) 電縫管の製造装置
US20220288713A1 (en) Welding machine
JPS59125214A (ja) 管成形法
CN213196210U (zh) 一种卷管钢板对焊装置
JP5867071B2 (ja) 厚肉電縫鋼管の製造方法
KR101800452B1 (ko) 용가재 복합재 분리 유닛 및 방법, 티그 자동용접장치 및 티그 용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