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300A -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 Google Patents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300A
KR20160131300A KR1020150063326A KR20150063326A KR20160131300A KR 20160131300 A KR20160131300 A KR 20160131300A KR 1020150063326 A KR1020150063326 A KR 1020150063326A KR 20150063326 A KR20150063326 A KR 20150063326A KR 20160131300 A KR20160131300 A KR 20160131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dder
hollow shaft
stock
rudder stock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휴규
Original Assignee
(주)파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파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63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300A/ko
Publication of KR2016013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서 조타기와 방향타를 연결하는 러더스톡에 있어서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부분이 있어 중량이 감소된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무게를 줄여 러더나 러더스톡의 구동을 용이하게 하며, 선박 전체 중량 감소가 되어 선박의 추진 연료를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수직중공축부에 형성된 중공에 충진부재가 채워짐으로서, 수직중공축부 내주면의 습기생성과 부식을 방지하며,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 Rudder stock having separation structures and hollow part }
본 발명은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어 중량이 감소된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침로 변경과 방향전환을 위하여 선미에 방향타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때 방향타가 조타기로부터 발생 되는 회전력을 러더스톡을 통해 전달 받게 되며, 방향타가 러더스톡을 축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선박이 침로 변경 또는 방향전환을 하게 된다. 또한 조타기 아래쪽에 설치되는 러더케리어는 방향타와 러더스톡의 무게를 지지해 주면서 러더와 러더스톡이 원활이 잘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과 수평 방향의 베어링을 제공한다. 러더스톡과 방향타는 플랜지와 수개의 리머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거나 또는 원추형 테이퍼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타기와 방향타 사이에 설치되는 러더스톡은 조타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방향타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839호에 게시된 밴딩 모멘트에 대한 보강기능을 갖는 선박용 방향타의 러더스톡은 이미 규격화된 러더스톡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 외면에 보강부재를 개재하는 간단한 구성의 부가에 의해 밴딩모멘트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키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1100호에 게시된 러더, 그리고 러더 제작 방법은 캐스팅 날개가 러더 몸체와 결합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러더스톡의 회적력이 러더 몸체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러더스톡과 캐스팅 간에 키가 삽입 고정되므로, 러더 스톡과 캐스팅 간의 슬립 발생이 예방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384호에 게시된 스페이드 러더는 선체에 구비된 러더 스톡 및 수직베어링과 함께, 수평 베어링 및 수평 베어링 하우징을 더 구비하여 러더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대형 선박의 경우에 발생하는 베어링모멘트를 제거하고, 프로펠러로 인하여 발생하는 선체의 진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러더(방향타)나 러더스톡을 구동하는데 효과적인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러더 스톡의 중량을 줄여서 러더 및 러더스톡의 구동을 용이하게 하고 선박의 자체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839호 : 밴딩 모멘트에 대한 보강기능을 갖는 선박용 방향타의 러더스톡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1100호 : 러더, 그리고 러더 제작 방법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384호 : 스페이드 러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타기와 방향타를 연결하는 중간 구성체인 러더 스톡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선박의 조타기와 방향타 사이를 연결하여 조타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방향타에 전달하기 위한 러더스톡에 있어서, 상기 조타기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방향타 및 상기 러더스톡의 무게를 지지해주면서, 원활한 회전력을 주기 위한 베어링을 제공하는 러더케리어에 결합 되는 조타기연결부와, 상기 방향타에 형성된 상부가 개방되고 하방으로 소정거리 인입되는 러더허브에 결합 되어 상기 방향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방향타연결부와, 상기 조타기에 의해 상기 조타기연결부가 회전시 상기 방향타연결부와 함께 일체로 구동되도록 일측이 상기 조타기연결부의 하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방향타연결부의 상부와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직중공축부와, 상기 수직중공축부에 형성된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 부식방지와 습기생성방지를 위해 상기 중공에 채워지는 충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중공축부는 상기 조타기연결부와 상기 방향타연결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외주면에서 중공으로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서 상기 수직중공축부의 중공 내부로 삽입된 상기 조타기연결부와 상기 방향타 연결부의 외주면을 용접하여 상기 조타기에 의한 회전시 일체로 구동되는 것을 보강하기 위한 용접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중공축부는 구조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외경확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수직중공축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무게를 줄여 러더나 러더스톡의 구동을 용이하게 하며, 선박 전체 중량 감소가 되어 선박의 추진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수직중공축부에 형성된 중공에 충진부재가 채워짐으로서, 수직중공축부 내주면의 습기생성과 부식을 방지하며,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이 조타기와 방향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의 중공에 충진부재가 채원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적용된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에 대한 용접된 상태의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을 더욱 상세하게 말한다.
선박의 침로 변경과 방향전환을 위하여 선미에 설치되는 방향타가 사용된다.
방향타는 조타기로부터 발생 되는 회전력을 러더스톡을 통해 전달받게 된다.
방향타가 러더 스톡을 축으로 좌우로 회전하면서 선박이 침로 변경 또는 방향전환을 하게 된다.
즉, 조타기와 방향타 사이에 설치되는 러더스톡은 조타기에서 발생 되는 회전력을 방향타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이 조타기와 방향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의 중공에 충진부재가 채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의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1)은 선박의 조타기와 방향타(5)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조타기와 연결되는 조타기연결부(10)와, 조타기연결부(10)의 하부와 연결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직중공축부(20)와, 수직중공축부(20)의 하부와 연결되고 방향타(5)와 연결되는 방향타연결부(3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의 러더스톡(1)을 구분해보면, 조타기연결부(10), 수직중공축부(20), 방향타연결부(30)로 이루어진다.
조타기연결부(10)는 조타기와 연결되는 부분이며, 조타기의 아래에 설치되는 러더케리어(7)에 결합 되는 부분이다.
또한, 조타기연결부(10)는 조타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러더스톡(1)에 전달되도록 조타기의 스티어링 기어(9)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러더케리어(7)는 조타기갑판(3)에 장착되어 지지되며, 방향타(5) 및 본 발명에 따른 러더스톡(1)의 무게를 지지해주면서, 러더스톡(1)에 원활한 회전력을 주기 위한 베어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조타기연결부(10)는 러더캐리어(7)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조타기연결부(10)는 소정길이 연장되고 외경이 일정하지않은 환봉형태로서, 조타기결합부(11), 러더캐리어결합부(15), 제1삽입부(17)로 구분된다.
조타기결합부(11)는 제1테이퍼부(13)가 형성되어 스티어링기어(9)가 결합 되는 부분이다.
제1테이퍼부(13)는 스티어링기어(9)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형상이다.
조타기결합부(11)의 하부는 제1테이퍼부(13)의 하단부와 같은 외경을 가지며 소정길이 일정하게 연장된 환봉이 형성된다.
러더캐리어결합부(15)는 조타기결합부(11)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러더캐리어(7)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러더캐리어결합부(15)는 상부에 하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환봉이 형성되어 있어 계단식 환봉 형상이다.
러더캐리어결합부(15)의 하단부에는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제2테이퍼부(16)가 형성된다.
제1삽입부(17)는 상단 위로 제2테이퍼(16)부의 하단과 같은 외경을 가지며 소정길이 연장된 환봉을 두고 제2테이퍼(16)와 연결된다.
제1삽입부(17)는 후술되는 수직중공축부(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환봉 형상이다.
제1삽입부(17)의 외경은 후술되는 수직중공축부(20)의 중공이 형성하는 내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제1삽입부(17)는 조타기연결부(10)가 회전시 후술되는 수직중공축부(20)가 미끄럼 없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후술되는 수직중공축부(20)의 중공이 형성된 내주면에 이격없이 밀착되어 결합 되어야 한다.
제1삽입부(17)는 일정한 외경을 가져 외주면이 수직중공축부(20)의 내주면에 일정하게 밀착되어 결합된다.
제1삽입부(17)가 수직중공축부(20)로 삽입이 완료되면 수직중공축부(20)의 상단면과 제2테이퍼부(16)의 아래에 형성된 환봉 형상의 하단면이 맞닿는다.
수직중공축부(20)의 상단면과 제2테이퍼부(16)의 아래에 형성된 환봉 형상의 하단면이 맞닿으면서 연결되는 부분을 상호 연결되게 맞대어 금속재 용접하여 접합시켜 결합력을 높이게 한다.
수직중공축부(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하가 개방된 관 형상이다.
수직중공축부(20)는 조타기에 의해 조타기연결부(10)가 회전시 후술되는 방향타연결부(30)와 함께 일체로 구동되도록, 일측이 조타기연결부(10)의 하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후술되는 방향타연결부(30)의 상부와 결합 되는 부분이다.
즉. 수직중공축부(20)는 조타기연결부(10)의 회전력을 후술 되는 방향타연결부(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중공축부(20)는 조타기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는 휨을 대비할 수 있는 구조적인 강도를 갖기 위해서 철광석을 제련하여 만들어진 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재는 사용 면에서 내구성과 전성이 크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으며, 성질 면에서는 강도가 높고 불연성이며 용접성과 인성이 뛰어난 재료이다.
수직중공축부(20)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1)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넓게는 선박의 무게를 줄여 연료소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방향타연결부(30)는 수직중공축부(20)의 하부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수직중공축부(20)와 함께 구동되면서 방향타(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방향타연결부(30)는 선체(2)에 형성된 상부가 개방되고 하방으로 소정거리 인입되는 러더트렁크(8) 내부를 통과하고 러더 허브(6)에 결합되어 방향타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러더트렁크(8)는 조타기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방향타에 전달하는 본 발명에 따른 러더스톡(1)의 수직중공축부(20) 하부와 방향타결합부(30)를 감싸는 것으로서 속이 빈 원통 형태이다.
방향타연결부(30)는 상부에는 수직중공축부(20)의 중공이 형성된 내부로 삽입되는 제2삽입부(31)가 형성된다.
제2삽입부(31)의 외경은 수직중공축부(20)의 중공이 형성하는 내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제2삽입부(31)는 조타기연결부(10)와 수직중공축부(20)가 회전시 미끄럼 없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수직중공축부(20)의 중공이 형성된 내주면에 이격없이 밀착되어 결합 되어야 한다.
제2삽입부(31)는 일정한 외경을 가져 외주면이 수직중공축부(20)의 내주면에 일정하게 밀착결합된다.
수직중공축부(20)의 하단면과 제3테이퍼부(33)의 상단면이 맞닿는 부분을 상호 연결되게 맞대어 금속재 용접하여 접합시켜 결합력을 높이게 한다.
제2삽입부(31)의 하부로 연결되는 점점 직경이 커지는 제3테이퍼부(33)는 러더스톡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면서 러더트렁크(8)의 내경과 맞닿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직경이 형성되는 러더스톡결합부(35)가 연결되는 곳이다.
제3테이퍼부(33)의 상단부의 외경은 수직중공축부(20)의 외경과 같으나 아래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형상이다.
러더스톡결합부(35)는 상부에 제3테이퍼부(33)의 하단부와 같은 외경을 갖는 환봉이 형성된다.
러더스톡결합부(35)의 하부에는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제4테이퍼부(37)가 형성되는데, 방향타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1)은 수직중공축부(20)에 형성된 중공의 내주면에 부식방지와 습기생성방지를 위해 채워지는 충진부재(40)를 구비한다.
충진부재(40)는 중공의 내주면에 접착이 잘 되며, 시공성이 용이하면서 밀도가 낮아 러더스톡의 중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폴리우레탄폼 재질이 사용된다.
폴리우레탄은 부식과 습기생성방지하는 방수효과가 있고, 접착성이 우수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성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수직중공축부(20)에 형성된 중공에 채워지는 충진부재(40)는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수직중공축부(20)의 내부에 충진부재(40)를 채워 습기생성 및 부식 진행을 방지하고, 조타기연결부(10)와 방향타연결부(30)가 수직중공축부(20)와 결합 되면서 맞닿는 부분에 용접을 실시하여 상호 결합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바닷물의 유입을 막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구조를 갖으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의 조타기연결부의 형상은 조타기의 형상과 결합방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조타기와 조타기연결부가 결합되는 방법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의 테이퍼 구조로 결합되는 방법 외에도, 테이퍼 없이 원통형 결합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조타기와 조타기연결부가 결합 되는 부분에 상호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접합면 사이에 키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방향타에 형성된 러더허브(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향타연결부(30)는 플랜지와 다수의 리머볼트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되어 방향타와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타(5)와 결합되는 방향타연결부(30)는 테이퍼 방식 결합방법 외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환봉 형상이 방향타(5)에 결합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방향타(5)와 방향타연결부(30)가 결합되는 부분에 상호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접합 면 사이에 키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수직중공축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무게를 줄여 러더나 러더스톡의 구동을 용이하게 하며, 선박 전체 중량 감소가 되어 선박의 추진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수직중공축부에 형성된 중공에 충진부재가 채워짐으로서, 수직중공축부 내주면의 습기생성과 부식을 방지하며,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적용된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에 대한 용접된 상태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수직중공축부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수직중공축부(1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하가 개방된 관 형상이다.
수직중공축부(120)는 제1삽입부(117)와 제2삽입부(131)가 삽입 결합 되는 부분에, 외주면에서 중공으로 연통되는 홀(1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홀(122)을 통해 제1삽입부(117)와 제2삽입부(131)의 외주면이 용접되는데, 용접되는 과정에서 홀 내부에 용접부(124)가 형성된다.
용접부(124)는 제1삽입부(117)와 제2삽입부(131)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홀(122) 내부를 채우며 형성된다.
용접부(124)는 조타기에 의한 회전시 3단으로 결합된 러더스톡이 미끌림없이 일체로 구동되도록 조타기연결부(110), 수직중공축부(120) 그리고 방향타연결부(130)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에 대한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수직중공축부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수직중공축부(320)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하가 개방된 관 형태이다.
수직중공축부(320)는 상부와 하부 사이에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외경확장부(325)를 구비하며,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외경확장부(325)의 외경이 커짐에 따라 중공이 형성하는 내경도 커진다.
수직중공축부(320)의 하부는 외경확장부(325)의 하단의 외경과 같으며 소정길이 연장된 원통형으로서 상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외경확장부(325)는 수직중공축부(320)가 하부로 갈수록 구조적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외경확장부(325)의 외경이 커짐에 따라 내경도 함께 커지므로 중공에 더 많은 충진부재를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방향타연결부(330)는 수직중공축부(3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조타기의 회전력을 방향타에 전달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방향타연결부(330)는 상부에는 수직중공축부(320)의 중공이 형성된 내부로 삽입되는 제2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제2삽입부(미도시)의 외경은 수직중공축부(320)의 중공이 형성하는 내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제2삽입부는 조타기연결부(310)와 수직중공축부(320)가 회전시 미끄럼 없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수직중공축부(320)의 중공이 형성된 내주면에 이격없이 밀착되어 결합 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삽입부는 일정한 외경을 가져 외주면이 수직중공축부(320)의 내주면에 일정하게 밀착결합된다.
제2삽입부의 아래에 연결되는 러더스톡결합부(335)는 수직중공축부(320)의 하부와 같은 외경을 갖는 환봉 형상이다.
러더스톡결합부(335)의 하부에는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데, 방향타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 예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수직중공축부(320)가 하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외경을 가져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높였으며, 수직중공축부(320)의 외경과 함께 내경도 확장되면서 더 많은 충진부재를 중공에 충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외경확장부(325)는 외경이 확장함에 따라 내경도 함께 확장하지만, 수직중공축부(320)의 상부와 같은 내경을 가져 하부로 갈수로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외경 단차가 발생하는 외주면에 금속용접을 실시하여 수직중공축부의 강도를 높인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수직중공축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무게를 줄여 러더나 러더스톡의 구동을 용이하게 하며, 선박 전체 중량 감소가 되어 선박의 추진 연료를 절감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수직중공축부에 형성된 중공에 충진부재가 채워짐으로서, 수직중공축부 내주면의 습기생성과 부식을 방지하며,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2 : 선체 5 : 방향타
6 : 러더허브 10 : 조타기연결부
11 : 조타기결합부 13 : 제1테이퍼부
15 : 러더캐리어결합부 16 : 제2테이퍼부
17 : 제1삽입부 20 : 수직중공축
30 : 방향타연결부 31 : 제2삽입부
33 : 제3테이퍼부 35 : 러더스톡결합부
37 : 제4테이퍼부 40 : 충진부재

Claims (3)

  1. 선박의 조타기와 방향타 사이를 연결하여 조타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방향타에 전달하기 위한 러더스톡에 있어서,
    상기 조타기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방향타 및 상기 러더스톡의 무게를 지지해주면서, 원활한 회전력을 주기 위한 베어링을 제공하는 러더케리어에 결합 되는 조타기연결부와;
    상기 방향타에 형성된 상부가 개방되고 하방으로 소정거리 인입되는 러더허브에 결합 되어 상기 방향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방향타연결부와;
    상기 조타기에 의해 상기 조타기연결부가 회전시 상기 방향타연결부와 함께 일체로 구동되도록 일측이 상기 조타기연결부의 하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방향타연결부의 상부와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직중공축부와;
    상기 수직중공축부에 형성된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 부식방지와 습기생성방지를 위해 상기 중공에 채워지는 충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중공축부는
    상기 조타기연결부와 상기 방향타연결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외주면에서 중공으로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서 상기 수직중공축부의 중공 내부로 삽입된 상기 조타기연결부와 상기 방향타 연결부의 외주면을 용접하여 상기 조타기에 의한 회전시 일체로 구동되는 것을 보강하기 위한 용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중공축부는
    구조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외경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KR1020150063326A 2015-05-06 2015-05-06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KR20160131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326A KR20160131300A (ko) 2015-05-06 2015-05-06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326A KR20160131300A (ko) 2015-05-06 2015-05-06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300A true KR20160131300A (ko) 2016-11-16

Family

ID=5754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326A KR20160131300A (ko) 2015-05-06 2015-05-06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3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382B1 (ko) * 2019-09-04 2019-12-12 이상욱 복합소재를 갖는 러더의 제조방법
CN111661303A (zh) * 2020-06-17 2020-09-15 东台市海鹏船舶配件厂 一种夹持分离式船用舵承舵杆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384Y1 (ko) 2005-12-21 2006-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페이드 러더
KR200410839Y1 (ko) 2005-12-30 2006-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밴딩 모멘트에 대한 보강기능을 갖는 선박용 방향타의 러더스톡
KR101281100B1 (ko) 2011-05-19 2013-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러더, 그리고 러더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384Y1 (ko) 2005-12-21 2006-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페이드 러더
KR200410839Y1 (ko) 2005-12-30 2006-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밴딩 모멘트에 대한 보강기능을 갖는 선박용 방향타의 러더스톡
KR101281100B1 (ko) 2011-05-19 2013-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러더, 그리고 러더 제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382B1 (ko) * 2019-09-04 2019-12-12 이상욱 복합소재를 갖는 러더의 제조방법
CN111661303A (zh) * 2020-06-17 2020-09-15 东台市海鹏船舶配件厂 一种夹持分离式船用舵承舵杆结构
CN111661303B (zh) * 2020-06-17 2022-01-11 东台市海鹏船舶配件厂 一种夹持分离式船用舵承舵杆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526B1 (en) Vessel and underwater mountable azimuthing thruster
EP1792826B1 (en) Means for bearing a propulsion unit and a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borne vessel
CN100348458C (zh) 仿鱼形吊舱推进器
JP5596181B2 (ja) 船舶用の枢動可能なプロペラノズル
KR20160131300A (ko) 분리구조를 가지며 중공이 형성된 러더스톡
CN209776780U (zh) 一种艉轴支架减震结构
KR101225144B1 (ko) 모형선 운동시험용 아지무스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형선
KR101485255B1 (ko) 선박용 러더
CN202911908U (zh) 艏侧推外部加强结构
CN106536344A (zh) 分离轴
KR102168942B1 (ko) 선박용 추진시스템
KR101181799B1 (ko) 선박용 러더
KR200410839Y1 (ko) 밴딩 모멘트에 대한 보강기능을 갖는 선박용 방향타의 러더스톡
CA3006531C (en) Rudder blade with a rudder blade hub having a reduced weight
EP2480448B1 (en) Boat with through-hull support for steering and propelling
CN101628345B (zh) 一种镗排机
CN209795799U (zh) 一种尾轴架连接结构
KR100709683B1 (ko) 선박의 방향타
KR101903141B1 (ko) 러더 구조체의 제조 방법
CN110877708A (zh) 一种操纵船舶双舵的连杆传动机构
KR200395386Y1 (ko) 선박의 방향타
KR102087671B1 (ko) 캐리어 시트 일체형 러더 트렁크 구조를 갖는 선박용 러더
CN214607966U (zh) 一种浮筒式密封盖
CN210191792U (zh) 一种船用舵杆
KR101701260B1 (ko) 모터보트용 스크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