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947A - 낮은 복잡도의 acpr-강화 디지털 rf mimo 송신기 - Google Patents

낮은 복잡도의 acpr-강화 디지털 rf mimo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947A
KR20160130947A KR1020160055543A KR20160055543A KR20160130947A KR 20160130947 A KR20160130947 A KR 20160130947A KR 1020160055543 A KR1020160055543 A KR 1020160055543A KR 20160055543 A KR20160055543 A KR 20160055543A KR 20160130947 A KR20160130947 A KR 20160130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phase
phase shif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2539B1 (ko
Inventor
프란츠 디엘라처
토마스 마제사처
데이비드 시바처
피터 싱걸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130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203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 H04L27/2035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a single or unspecified number of carriers
    • H04L27/204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a single or unspecified number of carriers with more than two phase states
    • H04L27/205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a single or unspecified number of carriers with more than two phase states in which the data are represented by the change in phase of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02Pulse width modulation; Pulse position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83Transmitters with multiple parallel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04L1/0042Encoding specially adapted to other signal generation operation, e.g. in order to reduce transmit distortions, jitter, or to improve signal sh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17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multilevel codes
    • H04L25/491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multilevel codes using balanced multilevel codes
    • H04L25/4921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multilevel codes using balanced multilevel codes using quadrature encoding, e.g. carrierless amplitude-phas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ransmitter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안테나에 의해 송신되는 펄스 폭 변조(PWM)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로 위상 변조기를 구동하는 저복잡도의 송신기 아키텍처에 관한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제1 디지털 제어 신호 및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처리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로컬 발진기 신호에 제1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고 제1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1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는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로컬 발진기 신호에 제2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고 제2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결합 구성요소는 제1 디지털 출력 신호 및 제2 디지털 출력 신호를 결합하여 RF 펄스 폭 변조(RF-PWM)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낮은 복잡도의 ACPR-강화 디지털 RF MIMO 송신기{LOW-COMPLEXITY ACPR-ENHANCING DIGITAL RF MIMO TRANSMITTER}
많은 현대의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면, 컴퓨터, 셀 폰, 레이더 등)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RF(radio frequency) 송신기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예를 들면, 3 kHz 내지 300 GHz)에서 무선 신호를 생성한다. RF 송신기는 전형적으로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RF 신호로 상향 변환(up-convert)하기 위한 변조를 수행한다. RF 신호는 후속하여 전자기 방사로서 안테나에 의해 전송된다.
도 1은 위상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RF PWM(pulse width modulated)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체인의 몇몇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송신 체인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신호를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3은 개시된 송신 체인 내에 배치된 위상 변조 컴포넌트의 몇몇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안테나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송신 브랜치를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의 몇몇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MIMO 안테나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송신 브랜치를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의 몇몇 대체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개시된 송신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선형 MIMO 안테나 어레이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개시된 송신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원형 MIMO 안테나 어레이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위상 변조를 사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RF-PWM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몇몇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제 실시예가 설명되고, 여기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은 청구 대상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들 특정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일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또는 수신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생겨난 많은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5G)에서, 기지국은 다중 안테나 어레이(예를 들면, MIMO 및/또는 대량의 MIMO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다중 안테나 어레이는 송신 안테나를 기계적으로 이동함이 없이 개별 RF 데이터 스트림을 대기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개별 RF 데이터 스트림을 대기에서 결합함으로써 전통적인 시스템에 비해, 높은 데이터 레이트, 향상된 링크 품질(예를 들면, 낮은 대역외 왜곡), 신뢰성, 및 에너지를 공간적으로 집속하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을 포함하는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다중 안테나 어레이는 종종 개별 송신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안테나를 구동한다. 따라서, 다수의 안테나(예를 들면, 수백개의 안테나)를 갖는 시스템은 대규모의 송신기/수신기를 요구한다. 그러나, 그러한 송신기/수신기는 복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통적인 헤테로다인 또는 호모다인 송신기는 고성능 DAC(digital-to-analog) 컨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다음에, 아날로그 믹서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로컬 오실레이터(local oscillator: LO) 신호와 혼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안테나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RF 신호로 변환한다. 많은 복잡한 송신 체인의 사용은 다수의 안테나 시스템을 구축하고 동작시키는데 많은 비용이 들게 만든다.
따라서, 본 개시는 안테나에 의해 송신되는 PWM(pulse width modulated)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와 함께 위상 변조기를 구동하는 낮은 복잡도의 송신기 아키텍처에 관한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제1 및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처리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에 제1 위상 시프트를 도입하고 제1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1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는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에 제2 위상 시프트를 도입하고 제2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결합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디지털 출력 신호를 결합하여 RF-PWM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위상 변조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디지털 출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개시된 RF 송신기 아키텍처는 전통적인 헤테로다인 및 호모다인 아키텍처보다 간단하고, 이에 따라, 미래의 통신 표준(예를 들면, 5G)에 사용되는 다중 안테나 어레이(예를 들면, MIMO, 대용량 MIMO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RF 펄스 폭 변조(PWM) 디지털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위상 변조 컴포넌트를 구비하는 송신 체인(100)의 몇몇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송신 체인(100)은 전처리 구성요소(102)를 포함한다. 전처리 구성요소(102)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는 동위상(I) 컴포넌트 및 직교 위상(Q)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는 90°의 위상 시프트를 갖는다. 전처리 구성요소(102)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제1 제어 신호 Φ1 및 제2 제어 신호 Φ2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제어 신호 Φ1 및 Φ2는 멀티비트 디지털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체인(100)은 위상 변조 구성요소(104)를 포함한다. 위상 변조 구성요소(104)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에 대응하는 위상 변조 정보를 로컬 발진기 신호 SLO의 위상 변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위상 변조 구성요소(104)는 병렬로 정렬된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 및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108)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 및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108)는 수동 지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 및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108)는 능동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는 로컬 발진기(103)로부터 로컬 발진기 신호 SLO를 수신하고 전처리 구성요소(102)로부터 제1 제어 신호 Φ1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108)는 로컬 발진기(103)로부터 로컬 발진기 신호 SLO를 수신하고 전처리 구성요소(102)로부터 제2 제어 신호 Φ2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위상 변조 구성요소(104)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 Φ1 및 Φ2에 기초하여 로컬 발진기 신호 SLO의 위상을 변조하고 위상 변조된 로컬 발진기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 d1 및 d2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제어 신호 Φ1에 기초하여,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는 로컬 발진기 신호 SLO에 제1 위상 시프트를 도입하고 제1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1 디지털 신호 d1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제2 제어 신호 Φ2에 기초하여,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108)는 로컬 발진기 신호 SLO에 제2 위상 시프트를 도입하고 제2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2 디지털 신호 d2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지털 신호 d1 및 d2는 고른(even) 듀티 사이클(50 퍼센트 온/50 퍼센트 오프)을 갖는 1비트 디지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 d1 및 d2는 결합 구성요소(110)에 제공되며, 이 결합 구성요소(110)는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 d1 및 d2를 결합하여 무선 주파수 펄스 폭 및 펄스 위치(위상) 변조(RF-PWM) 신호 SPWM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 요소(110)는 로직 게이트(예를 들면, AND 게이트, NAND 게이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구성요소(110)로부터 출력된 RF-PWM 신호 SPWM는 고르지 않은(uneven) 듀티 사이클을 갖는 펄스를 갖는 1비트 신호일 수 있다. 펄스의 위치(예를 들면, LO 신호에 대한 펄스의 시프트)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정보에 기초하는 한편, 펄스의 듀티 사이클(즉, 펄스의 폭)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진폭 정보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1GHz의 주파수를 갖는 로컬 발진기 신호 SLO에 대해, RF-PWM 신호 SPWM의 1ns 프레임은 하나의 비연속 펄스를 가질 것이다. 펄스의 폭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진폭과 연관되고 1nm 프레임 내의 펄스의 위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과 연관된다.
RF-PWM 신호 SPWM은 결합 구성요소(110)로부터 안테나(114)로 출력되며, 안테나(114)는 전자기 방사로서 RF-PWM 신호 SPWM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 구성요소(110)와 안테나(114) 사이에 전력 증폭기(112)가 배치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112)는 안테나(114)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power)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필터링 구성요소(111 및 113)는 전력 증폭기(112)의 업스트림 및/또는 다운스트림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예에서, 업스트림 필터링 구성요소(111)는 전력 증폭기(112)의 업스트림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업스트림 필터링 구성요소(111)는 전력 증폭기(112)(예를 들면, 클래스-B 증폭기, 클래스-AB 증폭기, 도허티(Doherty) 증폭기 등)에 의해 증폭되기 전에 PWM 신호 SPWM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운스트림 필터링 구성요소(113)는 전력 증폭기(112)의 다운스트림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운스트림 필터링 구성요소는 PWM 신호 SPWM를 직접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기(112)(예를 들면, 스위칭 모드 전력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PWM 신호 SPWM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송신 체인에 대응하는 신호의 예시적인 그래프를 도시하는 타이밍도(200)이다.
그래프(202)는 예시적인 로컬 발진기 신호 SLO를 나타낸다. 로컬 발진기 신호 SLO는 신호의 1/주기와 동일한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가변하는 정현파 신호이다. 대체 실시예에서, 로컬 발진기 신호 SLO는 직사각형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프(204)는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로부터 출력된 예시적인 제1 디지털 신호 d1을 나타낸다. 제1 디지털 신호 d1은 50 퍼세트 온 및 50 퍼센트 오프인 일정한 듀티 사이클을 갖는 펄스를 가진 1비트 출력 신호를 포함한다. 제1 디지털 신호 d1은 제1 제어 신호 Φ1에 따라 로컬 발진기 신호 SLO에 제1 위상 시프트 θ1를 도입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제1 위상 시프트 θ1는 펄스가 (전처리 구성요소(102)에서 수신된) I/Q 기저대역 신호 I(t)+iQ(t)의 위상에 의존하는 위치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위상 시프트 θ1은 tan-1(Q/I)+cos-1(sqrt(I2+Q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래프(206)는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로부터 출력된 예시적인 제2 디지털 신호 d2를 나타낸다. 제2 디지털 신호 d2는 50 퍼센트 온 및 50 퍼센트 오프인 일정한 듀티 사이클을 갖는 폭을 가진 1비트 출력 신호를 포함한다. 제2 디지털 신호 d2는 제2 제어 신호 Φ2에 따라 로컬 발진기 신호 SLO에 제2 위상 시프트 θ2를 도입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제2 위상 시프트 θ2는 펄스가 (전처리 구성요소(102)에서 수신된) I/Q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에 의존하는 위치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위상 시프트 θ2은 tan-1(Q/I)-cos- 1(sqrt(I2+Q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래프(207)는 RF-PWM 신호 SPWM를 도시한다. RF-PWM 신호 SPWM은 제1 디지털 신호 d1 및 제2 디지털 신호 d2에 대해 로직 함수(예를 들면, AND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디지털 신호 d1과 제2 디지털 신호 d2(예를 들면, 50 퍼센트 온/50 퍼센트 오프의 일정한 듀티 사이클을 갖는 직사각형 신호)를 결합하여 I/Q 기저대역 신호의 진폭 정보를 복원함으로써, RF-PWM 신호 SPWM은 I/Q 기저대역 신호의 진폭에 대응하는 가변 펄스 폭 A(즉, 가변 듀티 사이클을 가짐) 및 I/Q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에 대응하는 가변 위상 시프트
Figure pat00001
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RF-PWM 신호 SPWM의 펄스 폭 A는 (I2+Q2)의 제곱근과 동일한 값을 갖고 RF-PWM 신호 SPWM의 위상 시프트
Figure pat00002
는 tan- 1(I/Q)와 동일한 값을 갖는다.
도 3은 개시된 송신 체인에 대한 위상 변조 컴포넌트(300)의 몇몇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위상 변조 컴포넌트(300)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지연 세그먼트(302a-302n)를 포함하는 지연 체인(302)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연 세그먼트(302a-302n)는 인버터를 포함한다. 지연 체인(302)은 복수의 지연 세그먼트(302a-302n)를 통해 전파하는 로컬 발진기 신호 SLO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지연 세그먼트(302a-302n)는 로컬 발진기 신호 SLO에 위상 시프트를 도입하고 지연 체인(302)을 따라 위치되는 복수의 출력(303)에 상이한 위상 시프트를 갖는 위상 시프트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출력(303a)은 제1 위상 시프트를 갖는 제1 위상 시프트 출력 신호 SLO+△Φ1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2 출력(303b)은 제1 위상 시프트 △Φ1보다 큰 제2 위상 시프트 △Φ2를 갖는 제2 위상 시프트 출력 신호 SLO+△Φ2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멀티플렉서(304)는 복수의 지연 세그먼트(302a-302n)로부터의 복수의 위상 시프트 출력 신호 및 (예를 들면, 전처리 구성요소(102)로부터의) 위상 제어 신호 Φ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위상 제어 신호 Φ는 지연 체인(302)으로부터 출력 시호를 선택하도록 멀티플렉서(304)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위상 제어 신호 Φ의 값에 따라, 멀티플렉서(304)는 위상 시프트 출력 신호 중 선택된 신호를 디지털 출력 신호 d로서 출력할 것이다.
도 4는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안테나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송신 브랜치(즉, 송신 체인)를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400)의 몇몇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송신 시스템(400)은 개별 RF-PWM 신호 SPWM .n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송신 브랜치(404a-404n)(즉, 송신 체인)를 포함한다. 복수의 송신 브랜치(404a-404n)는 병렬로 전처리 구성요소(402), 및 로컬 발진기 신호 SLO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로컬 발진기(103)에 연결된다. 전처리 구성요소(402)는 동위상(I) 및 직교 위상(Q)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제1 제어 신호 Φ1 및 제2 제어 신호 Φ2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위상 지연 구성요소(406a-406n)는 로컬 발진기(103)와 복수의 송신 브랜치(404a-404n)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위상 지연 구성요소(406a-406n)는 로컬 발진기 신호 SLO를 수신하고 로컬 발진기 신호 SLO에 위상 시프트를 도입하여 상이한 위상을 갖는 수정된 로컬 발진기 신호 SLO,n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408)은 위상 지연 구성요소(406a-406n)에 각각 제공되는 개별 위상 지연 제어 신호 K1-Kn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위상 지연 구성요소(406a-406n)는 개별 위상 지연 제어 신호 Ki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제1 위상 지연 제어 신호 K1은 위상 지연 구성요소(406a)에 제공되고 제2 위상 지연 제어 신호 Kn은 위상 지연 구성요소(406n)에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위상 지연 제어 신호 K1-Kn은 멀티비트 디지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정된 로컬 발진기 신호 SLO, 제1 제어 신호 Φ1, 및 제2 제어 신호 Φ2는 복수의 송신 브랜치(404a-404n) 각각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제1 수정된 로컬 발진기 신호 SLO,1, 제1 제어 신호 Φ1, 및 제2 제어 신호 Φ2는 제1 송신 브랜치(404a)에 제공되고, 제2 수정된 로컬 발진기 신호 SLO,n, 제1 제어 신호 Φ1, 및 제2 제어 신호 Φ2는 제n 송신 브랜치(404n)에 제공된다. 복수의 송신 브랜치(404a-404n) 각각은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a) 및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108)를 포함한다. 동일한 송신 브랜치(404) 내의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 및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108)는 위상 지연 구성요소(406)로부터 수정된 로컬 발진기 신호 SLO,n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는 또한 제1 제어 신호 Φ1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108)는 또한 제2 위상 제어 신호 Φ2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는 제1 제어 신호 Φ1의 값에 의존하여 수정된 로컬 발진기 신호 SLO,n에 제1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108)는 제2 제어 신호 Φ2의 값에 의존하여 수정된 로컬 발진기 신호 SLO,n에 제2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 및 108)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위상 시프트 신호를 1비트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송신 브랜치(404a-404n) 각각에 제공되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 Φ1 및 Φ2는 동일하고, 이에 따라 모든 송신 브랜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지연 구성요소(406)에 의해 도입된 위상 지연에 따른) 위상 시프트 버전을 출력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a-106n)는 동일한 제1 위상 변조를 도입할 것이고,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108a-108n)은 동일한 제2 위상 변조를 도입할 것이다.
제1 및 제2 1비트 디지털 신호 d1 및 d2는 AND 게이트(410)에 제공된다. AND 게이트(410)는 제1 및 제2 1비트 디지털 신호 d1 및 d2를 결합하여 RF-PWM 신호 SPWM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AND 게이트(410)의 출력은 업스트림 필터링 구성요소(412)(예를 들면, 대역통과 필터)에 연결된다. 업스트림 필터링 구성요소(412)는 RF-PWM 신호 SPWM을 필터링하여, 후속 전력 증폭기 동작에 손상을 주거나 및/또는 통신 표준에서 스펙트럼 마스크를 위반할 수 있는 반송파 주파수 인근 외부의 에너지(예를 들면, 2배의 반송파 주파수, 3배의 반송파 주파수 등의 에너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업스트림 필터링 구성요소(412)는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 구성요소(412)의 출력은 신호의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전력 증폭기(414)에 의해 증폭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력 증폭기(414)의 다운스트림에 위치된 다운스트림 필터링 구성요소(416)(예를 들면, 대역통과 필터)가 업스트림 필터링 구성요소(412) 대신 사용되어 전력 증폭기(414)의 출력 필터링할 수 있다. 증폭된 신호는 멀티-안테나 어레이(417) 내의 안테나(418)에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멀티-안테나 어레이(417)는 MIMO 안테나 어레이, 또는 완전히 코히런트하게(coherently) 그리고 적응적으로 동작되는 수백 또는 수천 개의 안테나를 갖는 대량의 MIMO 아테나 어레이(즉, 대규모 MIMO)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브랜치(404a-404n) 각각이 상이한 위상을 갖는 수정된 로컬 발진기 신호 SLO ,n을 수신하기 때문에, 송신 브랜치(404a-404n)에 의해 출력된 RF-PWM 신호 SPWM는 특정 위상을 가질 것이고, 이 특정 위상은 서로 중첩되어(superimposed)(즉, 빔의 위치에서 구조상 간섭하고 다른 위치에서는 파괴적으로 간섭함) 빔 조정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송신 브랜치(404a-404n)의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낮은 비용의 아키텍처는 시스템(400)이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멀티-안테나 어레이(417)와 함께 사용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멀티-안테나 어레이(417)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때, 시스템(400)은 더 낮은 대역내 신호 잡음을 갖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것은 위상 지연 구성요소(406)에 의해 생성되는 개별 위상이 위상 변조기(106 및 108)에서 상이한 비선형 왜곡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위상 지연 구성요소(406)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에 따라, 위상 변조기(106 및 108)에 의해 생성되는 개별 위상은 통계적으로 다소 비상관 비선형 왜곡이고, 이에 따라, 대기 중에서(in the air) 개별 RF 데이터 스트림의 구조상 간섭은 왜곡 전력이 대역내 전력보다 더 느리게 증가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수신기측에서 의도된 방향에서의 대역외 왜곡을 감소시킨다.
도 5a 및 도 5b는 MIMO 안테나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송신 브랜치를 갖는 송신 시스템의 몇몇 대체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멀티-안테나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송신 브랜치를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500)의 몇몇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시스템(500)은 전처리 구성요소(502), 및 로컬 발진기 신호 SLO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로컬 발진기(103)에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송신 브랜치(404a-404n)를 포함한다. 전처리 구성요소(502)는 동위상(I) 및 직교 위상(Q) 성분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및 위상 지연 제어 신호 K1-Kn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및 위상 지연 제어 신호 K1-Kn으로부터, 전처리 구성요소(502)는 각각 제1 제어 신호 Φn,1 및 제2 제어 신호 Φn,2를 포함하는 복수의 세트의 두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두 제어 신호의 세트는 복수의 송신 브랜치(404a-404n) 각각에 제공된다.
두 제어 신호의 세트는 복수의 송신 브랜치(404a-404n)의 각각 내에서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 및 108)가 로컬 발진기 신호 SLO에 상이한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어 신호 Φ1 , 1는 위상 변조 컴포넌트(106a)에 제공되고, 제2 제어 신호 Φ1 ,2는 위상 변조 컴포넌트(108a)에 제공된다. 두 제어 신호의 개별 세트는 복수의 송신 브랜치(404a-404n)가 위상 시프트되고 크기가 조정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에 대응하는 위상 시프트 RF-PWM 신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제어 신호의 개별 세트는, 송신 시스템(40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별 위상 지연 구성요소없이 빔 형성 기능을 가능하게 하였다. 더욱이, 제어 신호의 두 개의 개별 세트는 개별 송신 브랜치(404a-404n)의 크기의 부가 스케일링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빔 형성 패턴을 형상화하는데 증가된 유연성을 제공한다.
도 5b는 송신 시스템(5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처리 구성요소의 몇몇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전처리 구성요소(504)는 복수의 신호 생성 구성요소(508i)에 접속된 제1 변환 블록(506)을 포함하고, 여기서, i=1 내지 n이다. 제1 변환 블록(506)은 IQ 기저대역 신호를 제1 복류 신호(polar signal) Sp1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생성 구성요소(508)는 제1 변환 블록(506)으로부터의 제1 복류 신호 Sp1 및 위상 지연 제어 신호 Ki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신호 생성 구성요소(508i) 각각은 복소수로부터의 위상 지연 제어 신호 Ki를 제2 복류 신호 Sp2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2 변환 블록(510)을 포함한다. 곱셈기(512)는 제1 및 제2 복류 신호 Sp1 및 Sp2를 승산하여, 제1 출력 신호 Sout1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연산 유닛(514)에 의해 연산되는 신호 S1을 생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산 유닛(514)은 제1 출력 신호 Sout1을 생성하는 1/2cos-1(S1)과 동일한 함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함수는 크기 스케일링에 대응하는 위상 시프트가 각각의 송신 브랜치에 개별적으로 도입되게 함으로써, 전처리 유닛(504)에게 다중 안테나 어레이(예를 들면, MIMO 안테나 어레이)의 빔 패턴을 최적화하기 위한 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연산 유닛(516)은 제1 및 제2 복류 신호 Sp1 및 Sp2를 가산하여 제2 출력 신호 Sout2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산 구성요소(518)는 제1 및 제2 출력 신호 Sout1 및 Sout2을 가산하여 제1 제어 신호 Φi,1를 생성하는 한편, 감산 구성요소(518)는 제1 출력 신호 Sout1로부터 제2 출력 신호 Sout2를 감산하여 제2 제어 신호 Φi,2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6a 및 도 6b는 개시된 송신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선형 MIMO 안테나 어레이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가 도 4의 송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선형 MIMO 안테나 어레이는 그러한 송신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6a는 개시된 송신 체인(401)에 접속된 선형 MIMO 안테나 어레이(602)를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600)의 블록도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송신 시스템(6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MIMO 안테나 어레이(602)는 상이한 송신 브랜치(404a-404n)를 갖는 송신 시스템(401)에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602a-602n)를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602a-602n)는 선형 배열(예를 들면, 라인(603)을 따라) 배치된다. 상이한 송신 브랜치(404a-404n)는 상이한 위상 △Φa-△Φn을 갖는 상이한 안테나(602a-602n)을 구동하는 복수의 디지털 PWM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임의의 방향에서 에너지를 구조적으로 가산할 수 있다.
도 6b는 선형 어레이에 정렬된 10개의 안테나에 대한 ACPR(adjacent channel power ratio) 이득 향상(610)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그래프(608)는 ACPR 이득 향상(610)을 파면(wave front)(606)에 대한 빔의 각 α의 함수로서 도시한다. 그래프(6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MIMO 안테나 어레이(602)는 0°<α<180°에 대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ACPR 이득 향상(610)을 제공한다. 그러나, 0° 및 180°와 동일한 α의 각에서는, 선형 MIMO 안테나 어레이(602)는 상대적으로 ACPR 이득 향상(610)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것은 송신 시스템(401) 내부의 모든 위상 변조 컴포넌트가 동일한 로컬 발진기 위상으로 구동되므로 모든 송신기에서 생성된 비선형 왜곡이 상관되기 때문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개시된 송신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원형 MIMO 안테나 어레이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가 도 4의 송신 시스템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만, 선형 MIMO 안테나 어레이는 그러한 송신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7a는 개시된 송신 체인(401)에 접속된 원형 MIMO 안테나 어레이(702)를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700)의 블록도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시스템(7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MIMO 안테나 어레이(702)는 상이한 송신 브랜치(미도시)를 갖는 송신 시스템(401)에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702a-702h)를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702a-702h)는 원형 배열로(예를 들면, 라인(703)을 따라) 배치된다. 송신 시스템(401)은 상이한 위상 △Φa-△Φh을 갖는 상이한 안테나(702a-702h)을 구동하는 복수의 디지털 PWM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임의의 방향에서 에너지를 구조적으로 가산할 수 있다.
도 7b는 원형 어레이에 정렬된 10개의 안테나에 대한 ACPR(adjacent channel power ratio) 이득 향상(710)을 나타내는 그래프(708)를 도시한다. 그래프(708)는 ACPR 이득 향상(710)을 파면(wave front)(706)에 대한 빔의 각 α의 함수로서 도시한다. 그래프(7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MIMO 안테나 어레이(702)는 0°≤α≤180°에 대해 대략 10log(N)의 ACPR 이득 향상(710)을 제공하며, 여기서 N=10(원형 어레이 내의 안테나 수)이다. 이것은 원형 MIMO 안테나 어레이(702)는 모든 송신기/안테나에 대해 동일한 위상을 제공하지 않는다.
도 6a 및 도 7a가 안테나 어레의 두 가지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시된 안테나 어레이는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된 송신 체인에 접속된 안테나 어레이는, 예를 들면, 6각 형상 어레이 또는 심지어 3차원 형상 어레이와 같은 대체 어레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위상 변조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RF-PWM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몇몇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방법(800)이 일련의 동작 또는 이벤트로서 아래에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동작 또는 이벤트의 설명된 순서는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몇몇 동작은 여기서 설명되고 및/또는 도시된 것과는 별도로 다른 동작 또는 이벤트와 다른 순서로 및/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양상 또는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요구되는 모든 동작이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도시된 하나 이상의 동작은 하나 이상의 개별 동작 및/또는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802에서, 제1 및 제2 디지털 제어 신호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생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는 동위상(I) 성분, 및 동위상(I) 성분과 위상이 90°벗어난 직교 위상(Q) 성분을 가질 수 있다.
804에서, 개별 위상 지연은 로컬 발진기(LO)에 도입되어 복수의 수정 LO 신호를 형성할 수 있고, 수정 LO 신호는 몇몇 실시예에서 빔형성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806에서, 제1 위상 시프트가 제1 디지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LO 신호(예를 들면, 수정 LO 신호)에 도입되고, 제1 디지털 신호는 제1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여 생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디지털 신호는 1비트 디지털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제어 신호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멀티-비트 디지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808에서, 제2 위상 시프트가 제2 디지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LO 신호에 도입되고, 제2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여 제2 디지털 신호가 생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위상 시프트는 제1 및 제2 디지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정 LO 신호에 도입되어 복수의 수정 LO 신호 각각으로부터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810에서, 제1 디지털 신호 및 제2 디지털 신호가 결합되어 RF 펄스 폭 변조(RF-PWM) 신호를 형성한다. RF-PWM 신호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및 진폭에 대응하는 위치 및 폭을 갖는 펄스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수정 LO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가 결합되어, 복수의 RF 펄스 폭 변조(RF-PWM) 신호를 형성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RF-PWM 신호는 804에서 도입된 위상 지연에 기인하여 서로에 대해 위상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812에서, RF-PWM 신호는 안테나에 의해 전자기 방사로서 송신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RF-PWM 신호는 다중 안테나 어레이(예를 들면, MIMO 안테나 어레이 및/또는 대량의 MIMO 안테나 어레이)의 개별 안테나에 의해 송신된다.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을 읽고 및/또는 이해하는 것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는 등가의 대체물 및/또는 수정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의 개시물은 그러한 수정 및 대체물 모두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개시된 시스템이 두 개의 오프셋 정정 회로 및 두 개의 피드백 루프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개시된 시스템이 두 개 이상의 오프셋 정정 회로 및/또는 피드백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몇 개의 구현예중 단지 하나에 대해 특정 특징 또는 양상이 개시되었지만, 그러한 특징 및 양상은 원하는 바에 따라 다른 구현에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및/또는 양상과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및/또는 이들의 변형예가 사용되고, 그러한 용어는 "포함하는"과 같은 의미상 포괄적인 것을 의도한다. 또한, "예시적"은 최상이라기 보다는 단지 예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설명되는 특징, 층, 및/또는 구성요소는 간략화의 목적 및 이해의 용이성, 및 실제 치수를 위해 서로에 대해 특정 치수 및/또는 배향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송신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digital baseband signal)로부터 제1 디지털 제어 신호 및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처리 구성요소(pre-processing element)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로컬 발진기(local oscillator: LO) 신호에 제1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고 상기 제1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1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phase modulation component)와,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LO 신호에 제2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고 상기 제2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와,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상기 제2 디지털 신호를 결합하여 제1 무선 주파수 펄스 폭 변조(RF-PWM)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결합 구성요소
    를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2 LO 신호에 제3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고 상기 제1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3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3 위상 변조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LO 신호에 제4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고 상기 제2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4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4 위상 변조 컴포넌트와,
    상기 제3 디지털 신호와 상기 제4 디지털 신호를 결합하여 제2 RF-PWM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결합 구성요소
    를 더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 시프트는 상기 제3 위상 시프트와 동일하고, 상기 제2 위상 시프트는 상기 제4 위상 시프트와 동일한, 송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구성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제1 RF-PWM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결합 구성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제2 RF-PWM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를 더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원형 MIMO(multi-input, multi-output) 안테나 어레이 내에 배치되는, 송신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LO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로컬 발진기와,
    상기 로컬 발진기에 연결되고 상기 LO 신호에 제1 위상 지연을 도입시켜 제1 LO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위상 지연 구성요소와,
    상기 로컬 발진기에 연결되고 상기 LO 신호에 제2 위상 지연을 도입시켜 제2 LO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위상 지연 구성요소
    를 더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 지연 구성요소에 제공되는 제1 위상 지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위상 지연의 제1 값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위상 지연 구성요소에 제공되는 제2 위상 지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위상 지연의 제2 값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신호 및 상기 제2 디지털 신호는 일정한(even) 듀티 사이클을 갖는 1비트 디지털 신호이고, 상기 제1 RF-PWM 신호는 일정하지 않은(uneven) 듀티 사이클을 갖는 1비트 디지털 신호인, 송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구성요소로부터 출력된 제1 무선 주파수 펄스 폭 변조(RF-PWM)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전력 증폭기의 업스트림 또는 다운스트림에 배치된 필터링 구성요소
    를 더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는 동위상(I) 성분 및 직교 위상(Q) 성분을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
  11. 다중 안테나 송신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제1 디지털 제어 신호 및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처리 구성요소와,
    LO 신호에 개별 위상 지연을 도입시켜 복수의 수정(modified) LO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위상 지연 구성요소와,
    상기 복수의 수정 LO 신호 중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디지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LO 신호 중 하나의 위상을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위상에 대응하는 제1 디지털 신호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신호 및 상기 제2 디지털 신호를 결합하여 RF-PWM 신호를 형성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송신 브랜치와,
    상기 복수의 송신 브랜치에 연결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RF-PWM 신호 중 하나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어레이
    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송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브랜치는 각각,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수정 LO 신호에 제1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고 상기 제1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1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수정 LO 신호에 제2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고 상기 제2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위상 변조 컴포넌트와,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상기 제2 디지털 신호를 결합하여 RF-PWM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결합 구성요소
    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송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 변조 컴포넌트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지연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수정 LO 신호에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킴으로써 복수의 위상 시프트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연 체인과,
    상기 복수의 지연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복수의 위상 시프트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위상 시프트 출력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멀티플렉서
    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송신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구성요소에 제공되는 복수의 위상 지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위상 지연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LO 신호에 도입된 위상 지연의 값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송신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신호 및 상기 제2 디지털 신호는 일정한 듀티 사이클을 갖는 1비트 디지털 신호이고, 상기 RF-PWM 신호는 일정하지 않은 듀티 사이클을 갖는 1비트 디지털 신호인, 다중 안테나 송신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RF-PWM의 듀티 사이클은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의 진폭에 대응하는, 다중 안테나 송신 시스템.
  17.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제1 디지털 제어 신호 및 제2 디지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디지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LO 신호에 제1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고 상기 제1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1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디지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LO 신호에 제2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고 상기 제2 위상 시프트에 대응하는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상기 제2 디지털 신호를 결합하여 RF-PWM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송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LO 신호에 개별 위상 지연을 도입시켜 복수의 수정 LO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디지털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디지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LO 신호의 위상을 변조하여 상기 수정 LO 신호 각각에 대해 개별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결합하여 복수의 RF-PWM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안테나 어레이의 개별 안테나에 의해 복수의 RF-PWM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신호 송신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 시프트 및 상기 제2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기 전에 상기 LO 신호에 개별 위상 지연을 도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신호 송신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 시프트 및 상기 제2 위상 시프트를 도입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LO 신호에 개별 위상 지연을 도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신호 송신 방법.
KR1020160055543A 2015-05-05 2016-05-04 낮은 복잡도의 acpr-강화 디지털 rf mimo 송신기 KR101762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04,294 2015-05-05
US14/704,294 US9520923B2 (en) 2015-05-05 2015-05-05 Low-complexity ACPR-enhancing digital RF MIMO transmi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947A true KR20160130947A (ko) 2016-11-15
KR101762539B1 KR101762539B1 (ko) 2017-07-28

Family

ID=5722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543A KR101762539B1 (ko) 2015-05-05 2016-05-04 낮은 복잡도의 acpr-강화 디지털 rf mimo 송신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0923B2 (ko)
KR (1) KR101762539B1 (ko)
CN (1) CN106130616B (ko)
DE (1) DE102016205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8061899A1 (ja) * 2016-09-28 2019-07-18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機および送信機の制御方法
KR102583111B1 (ko) 2017-02-02 202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CN109510633B (zh) * 2018-12-05 2020-09-25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特定谐波消除多电平射频脉宽调制的功率均衡方法及调制器
KR20200107380A (ko) *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만도 레이더 장치, 레이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레이더 장치를 이용한 감지 시스템
DE102019131677B4 (de) * 2019-11-22 2021-07-22 Infineon Technologies Ag Phasenmessung in einem radar-system
US11245387B2 (en) * 2020-01-22 2022-02-0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RF pulse width modulation
US11323302B2 (en) * 2020-03-06 2022-05-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tection and mitigation of oscillator phase hit
JP7414336B2 (ja) * 2020-06-02 2024-01-16 デヴィック アース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パルス電磁波を用いた大気中の粒子状汚染物質を低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1368B1 (en) * 2000-03-04 2004-04-1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 architectures for communications systems
US7889787B2 (en) * 2003-08-04 2011-02-15 Supertex, Inc. Ultrasound transmit beamforme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US20060067293A1 (en) * 2004-09-24 2006-03-30 John Santhoff Digital synthesis of communication signals
US8098726B2 (en) * 2007-07-27 2012-01-17 Intel Corporation Subranging for a pulse position and pulse width modulation based transmitter
US8457243B2 (en) * 2007-12-07 2013-06-04 Nxp B.V. Transmitter comprising a pulse width pulse position modulator and method thereof
US8374233B2 (en) * 2008-09-25 2013-02-12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IQ-mod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ed amplif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05928A1 (de) 2017-01-12
US9520923B2 (en) 2016-12-13
US20160329935A1 (en) 2016-11-10
CN106130616B (zh) 2019-08-16
CN106130616A (zh) 2016-11-16
KR101762539B1 (ko)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539B1 (ko) 낮은 복잡도의 acpr-강화 디지털 rf mimo 송신기
KR102197460B1 (ko) 극 위상 배열 송신기 및 이동 단말기
US8570103B2 (en) Flexible multi-channel amplifiers via wavefront muxing techniques
US10673475B1 (en) Transmitter using hybrid beamforming and performing a code division feedback method for digital pre-distortion
EP25820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radio frequency pulse-width modulated signal
CN101411055B (zh) 射频pwm&ppm调制器
US10298275B2 (en) Outphasing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ystems having dual-polarized antennas
US20130156089A1 (en) Digital time-interleaved rf-pwm transmitter
US9137067B1 (en) High efficiency outphasing transmitter for electronically scanned arrays
US8654867B2 (en) Transformer power combiner with filter response
US20150263768A1 (en) Transmitter
US20110216818A1 (en) Variable duty cycle generation for out-phasing and pwm power amplifiers
US9667197B2 (en) Signal amplification system
CN114465649A (zh) 时间调制阵列系统及调制方法
WO2018095807A1 (en) Mimo precoding
Braithwaite Amplifier nonlinearities in an antenna array during spatially-multiplexed transmissions
Luo et al. Digital predistortion of phased array transmitters with multi-channel time delay
US10763940B2 (en) Digital port expansion for hybrid massive MIMO systems
US20120002755A1 (en) Multi-level pulse modulated polar transmitter and method of generating multi-level modulated envelope signals carrying modulated rf signal
KR101704689B1 (ko) 밀리미터파 모듈레이션 장치
US20210328841A1 (en) Millimeter wave transmitter
US11128041B2 (en) Antenna system with a beamforming data modulator
EP1394954B1 (en) Transmitter
RU2420871C2 (ru) Радиопередатчик
US20180331665A1 (en) Amplifier and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