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923A - Lamination device of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Lamination device of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923A
KR20160130923A KR1020150062756A KR20150062756A KR20160130923A KR 20160130923 A KR20160130923 A KR 20160130923A KR 1020150062756 A KR1020150062756 A KR 1020150062756A KR 20150062756 A KR20150062756 A KR 20150062756A KR 20160130923 A KR20160130923 A KR 20160130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roller
tape
convey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7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1105B1 (en
Inventor
카츠히코 타나카
이수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105B1/en
Publication of KR20160130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9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ion device for a display device, which is capable of continuously and easily removing protective films from a display material. The lamination device includes: a display material supply unit continuously supplying display materials to which at least one among a first protective film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is attached; a return line receiving the display material from the display material supply unit and returning the same; a first tape supply unit supplying a first delamination tape; and a film delaminate unit connecting the first protective films of the display materials adjacent to each other, which move along the return line, with the first delamination tape, and removing the first protective films of the adjacent display materials by separating the first delamination film from the display materials.

Description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LAMINATION DEVICE OF DISPLAY DEVICE}[0001] LAMINA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라미네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장치용 재료로부터 보호 필름을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in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ly and easily removing a protective film from a material for a display apparatus.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윈도우 및 편광판 등을 포함한다. 윈도우와 편광판은 점착제에 의해 접합된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a window, a polarizing plate, and the like. The window and the polarizing plate are bonded together by an adhesive.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는 윈도우, 편광판 및 점착제를 접합시킨다.A lamin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joins a window, a polarizing plate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편광판의 양 면에는 보호 필름이 붙어 있는 바, 편광판과 윈도우를 접합하기에 앞서 그 보호 필름이 제거된다. 이때, 종래에는 나이프 에지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을 제거하였는 바, 이로 인해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나이프 에지와 보호 필름 간의 마찰에 의해 이물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protective film is removed before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window are bonded. In this case, conventionally, the protective film is removed using a knife edge, which complicates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and foreign matter is generat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knife edge and the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 재료로부터 보호 필름을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min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which can easily and continuously remove a protective film from a display material used in a display apparatu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는, 제 1 보호 필름 및 제 2 보호 필름 중 적어도 하나가 부착된 표시 재료들을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표시 재료 제공부; 표시 재료 제공부로부터 표시 재료들을 제공 받아 반송하는 반송 라인; 제 1 박리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제 1 테이프 제공부; 및 반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들의 제 1 보호 필름들을 제 1 박리용 테이프로 연결하고, 표시 재료와 상기 제 1 박리용 테이프를 분리하여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들의 제 1 보호 필름들을 제거하는 필름 박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min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material supplier for continuously providing display materials to which at least one of a first protective film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is attached; A conveyance line for receiving and conveying the display materials from the display material supplier; A first tape providing member for providing a first peeling tape; And connecting first protective films of adjacent display materials moving along the transfer line to a first peeling tape and separating the display material and the first peeling tape to remove first protective films of adjacent display materials And a film peeling section.

제 1 테이프 제공부는, 제 1 이형지가 부착된 제 1 박리용 테이프를 권출하는 제 1 테이프 권출부; 제 1 박리용 테이프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제 1 이형지의 반송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 1 박리 롤러; 및 제 1 박리 롤러를 통해 반송된 제 1 이형지를 권취하는 제 1 이형지 권취부를 포함한다.The first tape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tape winding unit for winding the first peeling tape to which the first release paper is attached; A first peeling roller for changing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release paper with respect to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peeling tape; And a first release lane take-up portion for winding up the first release lane that has been conveyed through the first peeling roller.

제 1 테이프 제공부는, 제 1 테이프 권출부로부터의 제 1 이형지 및 제 1 박리용 테이프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여 제 1 박리 롤러로 제공하는 제 1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한다.The first tape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guide roller which changes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first release sheet and the first release tape from the first tape take-up portion and provides the first release roller to the first release roller.

필름 박리부는, 제 1 테이프 제공부로부터 제공된 제 1 박리용 테이프를 표시 재료들의 제 1 보호 필름들에 부착하며, 표시 재료들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제 1 박리용 테이프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는 부착/박리부; 및 부착/박리부를 통해 반송된 제 1 박리형 테이프 및 제 1 보호 필름들을 권취하는 제 1 테이프 권취부를 포함한다.The film peeling section attaches the first peeling tape provided from the first tape providing section to the first protective films of the display materials and attaches / peels to change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peeling tape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display materials part; And a first tape winding portion for winding the first peelable tape and the first protective films carried through the attachment / peeling portion.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는 부착/박리부는 표시 재료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부착/박리 롤러 및 제 2 부착/박리 롤러를 포함하며; 필름 박리부는 제 1 부착/박리 롤러의 하류측에 위치한 제 1 나이프 에지를 더 포함한다.The lamin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and a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which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display material therebetween and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film peeling sec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knife edge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attachment / peeling roller.

필름 박리부는 제 1 나이프 에지의 모서리에 위치한 제 1 에지 롤러를 더 포함한다.The film peeling sec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edge roller located at an edge of the first knife edge.

제 1 에지 롤러의 중심축과 제 1 부착/박리 롤러의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는다.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edge roller an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are not parallel.

필름 박리부는 제 2 부착/박리 롤러의 하류측에 위치한 제 2 나이프 에지를 더 포함한다.The film peel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knife edge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attachment / peeling roller.

필름 박리부는 제 2 나이프 에지의 모서리에 위치한 제 2 에지 롤러를 더 포함한다.The film peeling sec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edge roller positioned at an edge of the second knife edge.

제 2 에지 롤러의 중심축과 제 2 부착/박리 롤러의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는다.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edge roller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attachment / peeling roller are not parallel.

제 1 에지 롤러의 중심축과 상기 제 2 에지 롤러의 중심축이 교차한다.The center axis of the first edge roller and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edge roller intersect.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는 표시 재료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위치하며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제 1 반송 롤러 및 제 2 반송 롤러를 더 포함하며; 제 1 반송 롤러는 제 1 부착/박리 롤러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제 2 반송 롤러는 제 2 부착/박리 롤러의 하류측에 위치한다.The lamin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further comprises a first conveying roller and a second conveying roller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display material therebetween and which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conveying roller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제 1 반송 롤러와 제 2 반송 롤러 사이의 간격은 제 1 부착/박리 롤러와 제 2 부착/박리 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veying roller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제 1 박리용 테이프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접착부를 포함한다.The first peeling tape comprises a base portion; And an adhesive portion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portion.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는 제 2 박리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제 2 테이프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필름 박리부는 반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들의 제 2 보호 필름들을 제 2 박리용 테이프로 연결하고, 표시 재료와 제 2 박리용 테이프를 분리하여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들의 제 2 보호 필름들을 제거하는 동작을 더 수행한다.The lamin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further comprises a second tape supply unit for providing a second release tape; The film peeling section connects the second protective films of adjacent display materials moving along the transfer line to the second peeling tape, separates the display material and the second peeling tape to remove the second protective films of the adjacent display materials .

인접한 제 1 보호 필름들에 연결된 제 1 박리용 테이프와 인접한 제 2 보호 필름들에 연결된 제 2 박리용 테이프가 서로 마주보지 않는다.The first peeling tape connected to the adjacent first protective films and the second peeling tape connected to the adjacent second protective films do not face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l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박리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과 그 박리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표시 재료의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공정이 하나의 필름 박리부에서 모두 수행되므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진다.First, since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peeling tape and the process of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the display material using the peeling tape are all performed in one film peeling unit,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simplified.

둘째, 나이프 에지 없이 롤러를 이용하여 표시 재료로부터 보호 필름을 제거하므로 이물질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Second, since the protective film is removed from the display material using a roller without a knife edge, little foreign matter is generated.

셋째, 박리용 테이프가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들의 보호 필름들에 부착되므로 보호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irdly, since the peeling tape is attached to the protective films of the display materials adjacent to each other, the protective film can be continuously removed.

넷째, 표시 재료의 앞면에 부착된 박리용 테이프와 표시 재료의 뒷면에 부착된 박리용 테이프가 서로 붙지 않으므로, 표시 재료의 두께가 작아도 보호 필름의 제거가 용이하다.Fourth, since the peeling tape adher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aterial and the peeling tape adher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aterial do not adhere to each other, it is easy to remove the protective film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aterial is small.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름 박리부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필름 박리부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필름 박리부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다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필름 박리부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다본 도면이다.
도 6은 제 1 및 제 2 박리용 테이프의 평면도 및 그 평면도의 I-I'의 선상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및 제 2 박리용 테이프의 다른 평면도 및 그 다른 평면도의 I-I'의 선상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min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film peeling unit of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film peeling unit of FIG. 1. FIG.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ilm peeling unit of Fig. 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film peeling unit of Fig. 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the plan view and the plan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peeling tapes.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another plan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peeling tapes and other plan views thereof.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 known device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represent the layers and regions.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ortion, it includes not only the element directly over another element, Conversely, when a part is "directly over"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Also, when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below " another portion, it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underneath "another portion but also another portion in between. Conversely, when a part is "directly underneath"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May be used to readily describe a device or a relationship of components to other device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elem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 case where the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Further, when a part includes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third, etc.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such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or thir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or third component may be alternately nam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min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권출부(101), 점착제 권출부(201), 보호 필름 권취부(211), 복수의 가이드 롤러들(301, 302, 303, 304, 305), 복수의 반송부들(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접합부(512), 박리/접합부(511), 윈도우 위치 검출부(801), 점착제 위치 검출부(802), 표시 재료 위치 검출부(803), 표시 재료 제공부(370), 제 1 테이프 제공부(711a), 제 2 테이프 제공부(711b), 필름 박리부(820) 및 반송 라인(475)을 포함한다.1, a lamin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ow winding unit 101,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elease unit 201, a protective film winding unit 211,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A plurality of carry sections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and 409, a bonding section 512, a peeling / bonding section 511, The display material position detector 803, the display material supplier 370, the first tape supply unit 711a, the second tape supply unit 711b, the film peeling unit 820 And a return line 475.

윈도우 권출부(101)는 캐리어(152)를 운반 수단으로 하여 윈도우(151)를 권출(unwind)한다. 여기서, 캐리어(152) 및 이에 부착된 윈도우(151)를 윈도우 롤로 정의한다. 윈도우 롤은 윈도우 권출부(101)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권출부(101)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윈도우 롤은 이 윈도우 권출부(101)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 있다. 윈도우 권출부(101)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window unwinding unit 101 unwinds the window 151 using the carrier 152 as a carrier. Here, the carrier 152 and the window 151 attached thereto are defined as window rolls. The window rolls are rolled up in a rolled state in the window winding portion 101. For example, the window winding unit 101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window roll is wou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ow winding unit 101. The window winder 101 can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제 1 가이드 롤러(301)는 윈도우 권출부(101)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1 가이드 롤러(301)는 윈도우 권출부(101)로부터의 윈도우 롤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여 접합부(512)로 공급한다. 제 1 가이드 롤러(301)는 회전 가능한 롤러이나,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이 가해지지 않는 비구동 롤러이다. 제 1 가이드 롤러(301)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guide roller 301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window winding portion 101. The first guide roller 301 chang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indow roll from the window winding portion 101 and supplies it to the joining portion 512. The first guide roller 301 is a rotatable roller or a non-driven roller which can be rotated by itself and is not powered. The first guide roller 301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접합부(512)는 제 1 가이드 롤러(301)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접합부(512)는 윈도우(151), 점착제(251) 및 표시 재료(351)를 접합하는 기능을 한다. 접합부(512)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제 1 접합 롤러(52a) 및 제 2 접합 롤러(52b)를 포함한다. 제 1 접합 롤러(52a)의 중심축과 제 2 접합 롤러(52b)의 중심축은 평행하다. 제 1 접합 롤러(52a)와 제 2 접합 롤러(52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접합 롤러(52a) 및 제 2 접합 롤러(52b)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 롤러이다. 제 1 접합 롤러(52a) 및 제 2 접합 롤러(52b)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제 1 접합 롤러(52a)와 제 2 접합 롤러(52b)는 이들의 내부에 각각 히터(heat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히터는 제 1 접합 롤러(52a) 및 제 2 접합 롤러(52b)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 1 접합 롤러(52a) 및 제 2 접합 롤러(52b)는 닙 롤러(nip roller)일 수 있다.The joining portion 512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guide roller 301. The bonding portion 512 functions to bond the window 151,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51, and the display material 351. The abutment 512 includes a first abutment roller 52a and a second abutment roller 52b positioned opposite each other.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joining roller 52a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joining roller 52b are parallel. The first joining roller 52a and the second joining roller 52b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joining roller 52a and the second joining roller 52b is a drive roller that can receive its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The first joining roller 52a and the second joining roller 52b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a metal. The first joining roller 52a and the second joining roller 52b may each include a heater therein. On the other hand, the heater may be located outside the first joining roller 52a and the second joining roller 52b. The first joining roller 52a and the second joining roller 52b may be nip rollers.

윈도우 위치 검출부(801)는 제 1 가이드 롤러(301)와 접합부(512) 사이에 위치한다. 윈도우 위치 검출부(801)는 윈도우(151)가 접합부(512)에 도달하기 전에 이 윈도우(151)의 위치를 검출한다. 윈도우 위치 검출부(801)는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position detecting unit 801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guide roller 301 and the bonding portion 512. The window position detecting unit 801 detects the position of the window 151 before the window 151 reaches the joining part 512. [ The window position detecting unit 801 may include a charge-coupled device (CCD) camera.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접합부(512)의 하류측에는 캐리어 필름 권취부가 위치한다. 캐리어 필름 권취부는 접합부(512), 다른 접합부(512)들 및 박리부를 통과하여 윈도우(151)가 분리된 캐리어 필름(152)을 권취(rewind)한다. 캐리어 필름 권취부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캐리어 필름(152)은 캐리어 필름 권취부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carrier film wind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bonding portion 512. The carrier film winding portion rewinds the carrier film 152 from which the window 151 has been separated through the bonding portion 512, the other bonding portions 512 and the peeling portion. The carrier film winding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arrier film 152 is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rrier film winding portion.

윈도우 권출부(101)와 캐리어 필름 권취부는 서로 동기하여 구동된다. 이에 의해, 윈도우 권출부(101)가 윈도우 롤을 권출하면, 캐리어 필름 권취부는 윈도우(151)가 제거된 캐리어 필름(152)을 권취한다.The window winding portion 101 and the carrier film winding portion are driven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Thus, when the window winding portion 101 unwinds the window roll, the carrier film winding portion winds the carrier film 152 from which the window 151 has been removed.

점착제 권출부(201)는 점착제(251)를 권출한다. 점착제(251)의 한 면에는 보호 필름(252)이 부착된다. 여기서, 점착제(251) 및 이에 부착된 보호 필름(252)을 점착제 롤로 정의한다. 점착제 롤은 점착제 권출부(201)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 권출부(201)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점착제 롤은 이 점착제 권출부(201)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 있다. 점착제(251)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일 수 있다. 점착제 권출부(201)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adhesive releasing section (201) unwinds the adhesive (251). A protective film 252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dhesive 251. Here,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51 and the protective film 252 attached thereto are defined a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oll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oll is rolled up in the form of a roll in the pressure- For example,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ollers 201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olls are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ollers 201. The adhesive 251 may be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The adhesive releasing section 201 can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제 2 가이드 롤러(302)는 점착제 권출부(201)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2 가이드 롤러(302)는 점착제 권출부(201)로부터의 점착제 롤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여 제 1 반송부(401)로 공급한다. 제 2 가이드 롤러(302)는 비구동 롤러이다. 제 2 가이드 롤러(302)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guide roller 302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pout 201. The second guide roller 302 changes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oll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oll-up section 201 and supplies it to the first conveyance section 401. The second guide roller 302 is a non-driving roller. The second guide roller 302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제 1 반송부(401)는 제 2 가이드 롤러(302)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1 반송부(401)는 제 2 가이드 롤러(302)로부터의 점착제 롤을 절단부(824)로 반송한다. 제 1 반송부(401)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제 1 반송 롤러(41a) 및 제 2 반송 롤러(41b)를 포함한다. 제 1 반송부(401)에 구비된 제 1 반송 롤러(41a)의 중심축과 제 2 반송 롤러(41b)의 중심축은 평행하다. 제 1 반송부(401)의 제 1 반송 롤러(41a)와 제 2 반송 롤러(41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반송부(401)의 제 1 반송 롤러(41a) 및 제 2 반송 롤러(41b)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 롤러이다. 제 1 반송부(401)의 제 1 반송 롤러(41a) 및 제 2 반송 롤러(41b)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반송 롤러(41a) 및 제 2 반송 롤러(41b)는 닙 롤러일 수 있다.The first conveying section 401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guide roller 302. The first conveying section 401 conveys the adhesive roll from the second guide roller 302 to the cut section 824. The first conveying unit 401 includes a first conveying roller 41a and a second conveying roller 41b which ar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onveying roller 41a provided in the first conveying section 401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1b are parallel. The first conveying roller 41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1b of the first conveying section 401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veying roller 41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1b of the first conveying unit 401 is a driving roller that can receive a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The first conveying roller 41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1b of the first conveying unit 401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The first conveying roller 41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1b may be nip rollers.

절단부(824)는 제 1 반송부(401)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절단부(824)는 점착제 롤을 하프 컷(half cut) 방식으로 절단한다. 절단부(824)는 절단 칼날을 포함하는 바, 이 절단 칼날은 점착제(251)와 마주본다. 절단부(824)는 절단 칼날을 점착제(251)를 향해 이동시켜 점착제(251)를 완전히 절단하고, 그 점착제(251)의 뒤에 위치한 보호 필름(252)을 하프 컷 방식으로 절단한다. 이 하프 컷 방식의 절단에 의해 보호 필름(252)은 원 두께의 반 정도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다. 이에 의해 절단부(824)를 통과한 점착제 롤은 절단선을 갖는 바, 이 절단선에 의해 점착제(251)는 복수의 단위 점착제(261)들로 나누어진다.The cut portion 824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carry section 401. The cut portion 824 cut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oll in a half-cut manner. The cutting portion 824 includes a cutting blade, which faces the adhesive 251. The cutting portion 824 moves the cutting blade toward the adhesive agent 251 to completely cut the adhesive agent 251 and cut the protective film 252 located behind the adhesive agent 251 in a half cut manner. By this half-cut type cutting, the protective film 252 has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original thickness. As a result,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ol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utting portion 824 has a cutting line,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5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261 by the cutting lines.

제 2 반송부(402)는 절단부(824)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2 반송부(402)는 절단부(824)로부터의 단위 점착제(261)를 제 3 가이드 롤러(303)로 반송한다. 제 2 반송부(402)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제 1 반송 롤러(42a) 및 제 2 반송 롤러(42b)를 포함한다. 제 2 반송부(402)에 구비된 제 1 반송 롤러(42a)의 중심축과 제 2 반송 롤러(42b)의 중심축은 평행하다. 제 2 반송부(402)의 제 1 반송 롤러(42a)와 제 2 반송 롤러(42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 반송부(402)의 제 1 반송 롤러(42a) 및 제 2 반송 롤러(42b)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 롤러이다. 제 2 반송부(402)의 제 1 반송 롤러(42a) 및 제 2 반송 롤러(42b)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제 2 반송부(402)의 제 1 반송 롤러(42a) 및 제 2 반송 롤러(42b)는 닙 롤러일 수 있다.The second carry section 402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ut section 824. The second conveying section 402 conveys the uni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61 from the cut section 824 to the third guide roller 303. The second conveying section 402 includes a first conveying roller 42a and a second conveying roller 42b which ar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onveying roller 42a provided in the second conveying section 402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2b are parallel. The first conveying roller 42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2b of the second conveying section 402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veying roller 42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2b of the second conveying section 402 is a driving roller. The first conveying roller 42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2b of the second conveying section 402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The first conveying roller 42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2b of the second conveying section 402 may be nip rollers.

제 3 가이드 롤러(303)는 제 2 반송부(402)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3 가이드 롤러(303)는 제 2 반송부(402)로부터의 단위 점착제(261)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여 점착제 위치 검출부(802)로 공급한다. 제 3 가이드 롤러(303)는 회전 가능한 롤러이나,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이 가해지지 않는 비구동 롤러이다. 제 3 가이드 롤러(303)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third guide roller 303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carry section 402. The third guide roller 303 changes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unit pressure-sensitive adhesive 261 from the second conveyance portion 402 and supplies it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sition detection portion 802. The third guide roller 303 is a rotatable roller or a non-driven roller which can be rotated by itself and is not powered. The third guide roller 303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a metal.

점착제 위치 검출부(802)는 제 3 가이드 롤러(303)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점착제 위치 검출부(802)는 점착제 롤의 절단선을 근거로 단위 점착제(261)의 위치를 검출한다. 점착제 위치 검출부(802)는 CCD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sition detecting portion 802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third guide roller 303.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sition detection unit 802 detects the position of the unit pressure-sensitive adhesive 261 based on the cutting lin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oll.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sition detection unit 802 may include a CCD camera.

박리/접합부(511)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박리/접합 롤러(51a) 및 접합 롤러(51b)를 포함한다. 박리/접합 롤러(51a)의 중심축과 접합 롤러(51b)의 중심축은 평행하다. 박리/접합 롤러(51a)와 접합 롤러(51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박리/접합 롤러(51a) 및 접합 롤러(51b)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 롤러이다. 박리/접합 롤러(51a) 및 접합 롤러(51b)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박리/접합 롤러(51a) 및 접합 롤러(51b)는 닙 롤러일 수 있다. The peeling / joining portion 511 includes a peeling / joining roller 51a and a joining roller 51b locat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central axis of the peeling / joining roller 51a and the central axis of the joining roller 51b are parallel. The peeling / joining roller 51a and the joining roller 51b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peeling / joining roller 51a and the joining roller 51b is a driving roller that can receive a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The peeling / joining roller 51a and the joining roller 51b may have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a metal. The peeling / joining roller 51a and the joining roller 51b may be nip rollers.

박리/접합 롤러(51a)는 단위 점착제(261)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보호 필름(252)의 반송 방향을 변경한다. 박리/접합 롤러(51a)는 보호 필름을 예각으로 감아 걸어 보호 필름(252)과 단위 점착제(261)를 서로 분리한다.The peeling / joining roller 51a chang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252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unitary adhesive agent 261. [ The peeling / joining roller 51a winds the protective film at an acute angle to separate the protective film 252 and the unitary adhesive agent 261 from each other.

접합 롤러(51b)는 박리/접합 롤러(51a)와 함께 단위 점착제(261)와 표시 재료(351)를 접합한다. 접합된 단위 점착제(261)와 표시 재료(351)는 박리/접합부(511)를 통해 접합부(512)로 반송된다. 표시 재료(351)와 단위 점착제(261)가 접합되기에 앞서 이 표시 재료(351)는 단위 점착제(261)에 정렬된다. 이 표시 재료(351)와 단위 점착제(261)간의 정렬 공정은 전술된 표시 재료 위치 검출부(803)로 검출된 표시 재료(351)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수행된다. 표시 재료(351)와 단위 점착제(261)간의 정렬을 위해, 예를 들어, 표시 재료(351)가 위치한 반송계가 움직일 수 있다. 이 반송계의 움직임은 정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정렬 제어부는 전술된 표시 재료(351)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반송계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표시 재료(351)를 단위 점착제(261)에 정렬한다. The joining roller 51b joins the unitary adhesive agent 261 and the display material 351 together with the peeling / joining roller 51a. The bonded uni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61 and the display material 351 are conveyed to the joining portion 512 through the peeling / joining portion 511. The display material 351 is aligned with the uni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61 before the display material 351 and the uni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61 are bonded. The alignment process between the display material 351 and the unitary adhesive agent 261 is perform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material 351 detected by the display material position detector 803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transfer system in which the display material 351 is located can be moved for alignment between the display material 351 and the unitary adhesive agent 261.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system can be controlled by an alignment control unit (not shown). The alignment control section aligns the display material 351 with the unitary adhesive agent 261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system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display material 351 described above.

제 4 가이드 롤러(304)는 박리/접합 롤러(51a)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4 가이드 롤러(304)는 박리/접합 롤러(51a)로부터 제공된 보호 필름(252)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여 제 5 가이드 롤러(305)로 공급한다. 제 4 가이드 롤러(304)는 비구동 롤러이다. 제 4 가이드 롤러(304)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fourth guide roller 304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peeling / joining roller 51a. The fourth guide roller 304 chang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252 provided from the peeling / joining roller 51a and supplies it to the fifth guide roller 305. The fourth guide roller 304 is a non-driving roller. The fourth guide roller 304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제 5 가이드 롤러(305)는 제 4 가이드 롤러(304)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5 가이드 롤러(305)는 제 4 가이드 롤러(304)로부터 제공된 보호 필름(252)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여 보호 필름 권취부(211)로 공급한다. 제 5 가이드 롤러(305)는 비구동 롤러이다. 제 5 가이드 롤러(305)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fifth guide roller 305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ourth guide roller 304. The fifth guide roller 305 chang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252 provided from the fourth guide roller 304 and supplies it to the protective film winding unit 211. The fifth guide roller 305 is a non-driving roller. The fifth guide roller 305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보호 필름 권취부(211)는 제 5 가이드 롤러(305)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보호 필름 권취부(211)는 박리/접합 롤러(51a)를 통과하여 단위 점착제(261)에서 분리된 보호 필름(252)을 권취한다. 보호 필름 권취부(211)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보호 필름(252)은 보호 필름 권취부(211)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다. 보호 필름 권취부(211)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winding portion 211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fth guide roller 305. The protective film winding unit 211 winds the protective film 252 separated from the unitary adhesive agent 261 through the peeling / joining roller 51a. The protective film winding portion 211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protective film 252 is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winding portion 211. The protective film winding unit 211 can rotate itself by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점착제 권출부(201)와 보호 필름 권취부(211)는 서로 동기하여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점착제 권출부(201)가 점착제 롤을 권출하면, 보호 필름 권취부(211)는 단위 점착제(261)가 제거된 보호 필름(252)을 권취한다.The adhesive release portion 201 and the protective film winding portion 211 are driven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As a result, whe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oll-up section 201 unwinds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oll, the protective film winding section 211 winds the protective film 252 from which the uni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61 has been removed.

표시 재료 제공부(370)는 제 1 보호 필름(352a) 및 제 2 보호 필름(352b) 중 적어도 하나가 부착된 표시 재료(351)들을 연속적으로 제공한다. 표시 재료(351)는 시트 형태를 갖는다. 제 1 보호 필름(352a)은 표시 재료(351)의 앞면에 부착되고, 제 2 보호 필름(352b)은 표시 재료(351)의 뒷면(351)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재료(351)는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이는 편광판, 터치 스크린 패널, 표시 패널 등과 같은 재료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display material provider 370 continuously provides display materials 351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is attached. The display material 351 has a sheet form.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aterial 351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351 of the display material 351. [ The display material 351 is a material used in a display device, and may be any of materials such as a polarizing plate, a touch screen panel, a display panel and the like.

복수의 표시 재료(351)들은 표시 재료 제공부(370)에 적층된 형태로 놓인다. 복수의 표시 재료(351)들은 최상단에 위치한 표시 재료(351)부터 한 개씩 차례로 반송 라인(475)으로 공급된다. 최상단에 위치한 표시 재료(351)가 반송되면, 표시 재료 제공부(370)는 그 밑에 위치한 모든 표시 재료들을 전체적으로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표시 재료 제공부(370)로부터 하나의 표시 재료가 반송되면, 그 표시 재료 바로 밑에 있던 다음 표시 재료가 최상단에 위치하게 된다.A plurality of display materials 351 are stacked on the display material provider 370. A plurality of display materials 351 are supplied to the conveying line 475 one by one from the display material 351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When the display material 351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s transported, the display material provider 370 totally raises all the display materials located thereunder. Thus, when one display material is transported from the display material provider 370, the next display material immediately below the display material is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표시 재료 제공부(370)의 상단에 위치한 반송 롤러(49)는 최상단에 위치한 표시 재료(351)를 제 3 반송부(403)로 반송한다.The conveying roller 49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material supplying unit 370 conveys the display material 351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to the third conveying unit 403.

제 3 반송부(403)는 표시 재료 제공부(370)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3 반송부(403)는 반송 롤러(49)로부터의 표시 재료(351)를 반송 라인(475)으로 반송한다. 제 3 반송부(403)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제 1 반송 롤러(43a) 및 제 2 반송 롤러(43b)를 포함한다. 제 3 반송부(403)에 구비된 제 1 반송 롤러(43a)의 중심축과 제 2 반송 롤러(43b)의 중심축은 평행하다. 제 3 반송부(403)의 제 1 반송 롤러(43a)와 제 2 반송 롤러(43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3 반송부(403)의 제 1 반송 롤러(43a) 및 제 2 반송 롤러(43b)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 롤러이다. 제 3 반송부(403)의 제 1 반송 롤러(43a) 및 제 2 반송 롤러(43b)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제 3 반송부(403)의 제 1 반송 롤러(43a) 및 제 2 반송 롤러(43b)는 닙 롤러일 수 있다.The third conveying unit 403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isplay material supplying unit 370. The third conveying section 403 conveys the display material 351 from the conveying roller 49 to the conveying line 475. [ The third conveying unit 403 includes a first conveying roller 43a and a second conveying roller 43b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onveying roller 43a provided in the third conveying section 403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3b are parallel. The first conveying roller 43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3b of the third conveying section 403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veying roller 43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3b of the third conveying section 403 is a driving roller. The first conveying roller 43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3b of the third conveying section 403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The first conveying roller 43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3b of the third conveying section 403 may be nip rollers.

제 4 내지 제 9 반송부들(404, 405, 406, 407, 408, 409)은 반송 라인(475)을 따라 배치된다. 제 4 내지 제 9 반송부들(404 내지 409)은 표시 재료(351)를 반송 라인을 따라 반송한다. 제 4 내지 제 9 반송부들(404 내지 409) 각각은 제 1 반송 롤러 및 제 2 반송 롤러를 포함한다. 제 4 내지 제 9 반송부들(404 내지 409)에 구비된 각 제 1 반송 롤러 및 제 2 반송 롤러는 전술된 제 1 반송부(401)의 제 1 반송 롤러(41a) 및 제 2 반송 롤러(41b)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fourth to ninth conveyers 404, 405, 406, 407, 408, and 409 are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line 475. The fourth to ninth conveyers 404 to 409 convey the display material 351 along the conveying line. Each of the fourth to ninth conveyers 404 to 409 includes a first conveying roller and a second conveying roll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rollers provided in the fourth to ninth conveying units 404 to 409 includes the first conveying roller 41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1b of the first conveying unit 401, ).

제 4 내지 제 8 반송부(404 내지 408)들은 반송 라인(475)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표시 재료(351)를 반송한다. 제 9 반송부(409)는 제 8 반송부(408)로부터 제공된 표시 재료(351)를 접합부(512)로 공급한다.The fourth to eighth conveyance units 404 to 408 convey the display material 351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yance line 475. The ninth conveying unit 409 supplies the display material 351 provided from the eighth conveying unit 408 to the joining unit 512.

표시 재료 위치 검출부(803)는 제 9 반송부(409)와 접합부(512) 사이에 위치한다. 표시 재료 위치 검출부(803)는 표시 재료(351)의 얼라인 마크를 근거로 표시 재료의 위치를 검출한다. 표시 재료 위치 검출부(803)는 CCD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aterial position detecting portion 803 is located between the ninth conveying portion 409 and the joining portion 512. The display material position detecting unit 803 detect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material based on the alignment mark of the display material 351. [ The display material position detection unit 803 may include a CCD camera.

제 1 테이프 제공부(711a)는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를 제공한다.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는 제 1 보호 필름(352a)보다 더 강한 접착력을 갖는다. The first tape supplying portion 711a provides the first peeling tape 35a. The first peeling tape 35a has a stronger adhesive force than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제 1 테이프 제공부(711a)는 제 1 테이프 권출부(71a), 제 1 가이드 롤러(72a), 제 1 박리 롤러(73a) 및 제 1 이형지 권취부(74a)를 포함한다.The first tape supplying portion 711a includes a first tape winding portion 71a, a first guide roller 72a, a first peeling roller 73a and a first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a.

제 1 테이프 권출부(71a)는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를 권출한다.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의 한 면에는 제 1 이형지(36a)가 부착된다. 여기서, 제 1 박리용 테이프(35a) 및 제 1 이형지(36a)를 제 1 테이프 롤로 정의한다. 제 1 테이프 롤은 제 1 테이프 권출부(71a)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있다. 예를 들어, 제 1 테이프 권출부(71a)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제 1 테이프 롤은 이 제 1 테이프 권출부(71a)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 있다. 제 1 테이프 권출부(71a)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tape pulling-out portion 71a pulls out the first peeling tape 35a. A first release sheet 36a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peeling tape 35a. Here, the first peeling tape 35a and the first release liner 36a are defined as a first tape roll. The first tape roll is wound in a rolled form on the first tape winding portion 71a. For example, the first tape winding portion 71a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irst tape roll is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tape winding portion 71a. The first tape take-up portion 71a can receive its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제 1 가이드 롤러(72a)는 제 1 테이프 권출부(71a)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1 가이드 롤러(72a)는 제 1 테이프 권출부(71a)로부터 제공된 제 1 테이프 롤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여 제 1 박리 롤러(73a)로 제공한다. 제 1 가이드 롤러(73a)는 비구동 롤러이다. 제 1 가이드 롤러(73a)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guide roller 72a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tape take-up portion 71a. The first guide roller 72a changes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first tape roll provided from the first tape take-up portion 71a and provides it to the first peeling roller 73a. The first guide roller 73a is a non-driving roller. The first guide roller 73a may have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a metal.

제 1 박리 롤러(73a)는 제 1 가이드 롤러(72a)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1 박리 롤러(73a)는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제 1 이형지(36a)의 반송 방향을 변경시킨다. 제 1 박리 롤러(73a)는 제 1 이형지(36a)를 예각으로 감아 걸어 제 1 이형지(36a)와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를 서로 분리한다. 제 1 박리 롤러(73a)를 통과하여 제 1 이형지(36a)로부터 분리된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는 필름 박리부(820)로 제공된다. 제 1 박리 롤러(73a)는 비구동 롤러이다. 제 1 박리 롤러(73a)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peeling roller 73a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guide roller 72a. The first peeling roller 73a chang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release paper 36a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peeling tape 35a. The first peeling roller 73a winds the first release paper 36a at an acute angle to separate the first release paper 36a and the first peeling tape 35a from each other. The first peeling tape 35a separated from the first release paper 36a through the first peeling roller 73a is provided to the film peeling unit 820. [ The first peeling roller 73a is a non-driving roller. The first peeling roller 73a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제 1 이형지 권취부(74a)는 제 1 박리 롤러(73a)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1 이형지 권취부(74a)는 제 1 박리 롤러(73a)를 통과하여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에서 분리된 제 1 이형지(36a)를 권취한다. 제 1 이형지 권취부(74a)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제 1 이형지(36a)는 제 1 이형지 권취부(74a)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다. 제 1 이형지 권취부(74a)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a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peeling roller 73a. The first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a passes through the first peeling roller 73a and winds the first release paper 36a separated from the first peeling tape 35a. The first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a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irst release paper 36a is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a. The first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a can receive its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제 1 테이프 권출부(71a)와 제 1 이형지 권취부(74a)는 서로 동기하여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제 1 테이프 권출부(71a)가 제 1 테이프 롤을 권출하면, 제 1 이형지 권취부(74a)는 제 1 박리용 테이프(35a)가 제거된 제 1 이형지(36a)를 권취한다. The first tape take-up portion 71a and the first release paper take-up portion 74a are driven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As a result, when the first tape winding portion 71a unwinds the first tape roll, the first release tape winding portion 74a winds the first release tape 36a from which the first release tape 35a has been removed.

제 2 테이프 제공부(711b)는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를 제공한다.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는 제 2 보호 필름(352b)보다 더 강한 접착력을 갖는다. And the second tape providing portion 711b provides the second peeling tape 35b. The second peeling tape 35b has a stronger adhesive force than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제 2 테이프 제공부(711b)는 제 2 테이프 권출부(71b), 제 2 가이드 롤러(72b), 제 2 박리 롤러(73b), 제 2 이형지 권취부(74b)를 포함한다.The second tape supply portion 711b includes a second tape winding portion 71b, a second guide roller 72b, a second peeling roller 73b and a second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b.

제 2 테이프 권출부(71b)는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를 권출한다. 제 2 박리용 테이프(35b)의 한 면에는 제 2 이형지(36b)가 부착된다. 여기서, 제 2 박리용 테이프(35b) 및 제 2 이형지(36b)를 제 2 테이프 롤로 정의한다. 제 2 테이프 롤은 제 2 테이프 권출부(71b)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있다. 예를 들어, 제 2 테이프 권출부(71b)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제 2 테이프 롤은 이 제 2 테이프 권출부(71b)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 있다. 제 2 테이프 권출부(71b)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And the second tape take-up portion 71b pulls the second peeling tape 35b. A second release paper 36b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peeling tape 35b. Here, the second peeling tape 35b and the second release liner 36b are defined as a second tape roll. And the second tape roll is wound in the form of a roll on the second tape winding portion 71b. For example, the second tape winding portion 71b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econd tape winding is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ape winding portion 71b. The second tape take-up portion 71b can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제 2 가이드 롤러(72b)는 제 2 테이프 권출부(71b)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2 가이드 롤러(72b)는 제 2 테이프 권출부(71b)로부터 제공된 제 2 테이프 롤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여 제 2 박리 롤러(73b)로 제공한다. 제 2 가이드 롤러(72b)는 비구동 롤러이다. 제 2 가이드 롤러(72b)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And the second guide roller 72b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tape winding portion 71b. The second guide roller 72b changes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second tape roll provided from the second tape take-up portion 71b and provides it to the second peeling roller 73b. The second guide roller 72b is a non-driving roller. The second guide roller 72b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a metal.

제 2 박리 롤러(73b)는 제 2 가이드 롤러(72b)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2 박리 롤러(73b)는 제 2 박리용 테이프(35b)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제 2 이형지(36b)의 반송 방향을 변경시킨다. 제 2 박리 롤러(73b)는 제 2 이형지(36b)를 예각으로 감아 걸어 제 2 이형지(36b)와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를 서로 분리한다. 제 2 박리 롤러(73b)를 통과하여 제 2 이형지(36b)로부터 분리된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는 필름 박리부(820)로 제공된다. 제 2 박리 롤러(73b)는 비구동 롤러이다. 제 2 박리 롤러(73b)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peeling roller 73b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guide roller 72b. The second peeling roller 73b chang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cond release paper 36b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cond peeling tape 35b. The second peeling roller 73b winds the second release paper 36b at an acute angle to separate the second release paper 36b and the second peeling tape 35b from each other. The second peeling tape 35b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peeling roller 73b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release paper 36b is provided to the film peeling section 820. [ The second peeling roller 73b is a non-driving roller. The second peeling roller 73b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제 2 이형지 권취부(74b)는 제 1 박리 롤러(73a)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2 이형지 권취부(74b)는 제 2 박리 롤러(73b)를 통과하여 제 2 박리용 테이프(35b)에서 분리된 제 2 이형지(36b)를 권취한다. 제 2 이형지 권취부(74b)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제 2 이형지(36b)는 제 2 이형지 권취부(74b)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다. 제 2 이형지 권취부(74b)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b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peeling roller 73a. The second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b passes through the second separation roller 73b and winds the second release paper 36b separated from the second separation tape 35b. The second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b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econd release paper 36b is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b. The second release paper winding portion 74b can receive its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제 2 테이프 권출부(71b)와 제 2 이형지 권취부(74b)는 서로 동기하여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제 2 테이프 권출부(71b)가 제 2 테이프 롤을 권출하면, 제 2 이형지 권취부(74b)는 제 2 박리용 테이프(35b)가 제거된 제 2 이형지(36b)를 권취한다.The second tape take-up portion 71b and the second release paper take-up portion 74b are driven in synchronism with each other. Thereby, when the second tape winding portion 71b pulls the second tape roll, the second release tape winding portion 74b winds the second release tape 36b from which the second separation tape 35b has been removed.

필름 박리부(820)는 제 1 테이프 제공부(711a) 및 제 2 테이프 제공부(711b)로부터 제 1 박리용 테이프(35a) 및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를 제공받는다. The film peeling unit 820 receives the first peeling tape 35a and the second peeling tape 35b from the first tape supply unit 711a and the second tape supply unit 711b.

필름 박리부(820)는, 반송 라인(475)을 따라 이동하는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들의 제 1 보호 필름(352a)들을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한 2개의 표시 재료(351)들 중 하류측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한 표시 재료를 제 1 표시 재료로 정의하고, 상류측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한 표시 재료를 제 2 표시 재료로 정의할 때,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는 제 1 표시 재료에 부착된 제 1 보호 필름(352a)의 뒷단과 제 2 표시 재료에 부착된 제 1 보호 필름(352a)의 앞단에 부착된다.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는 하류측의 제 1 보호 필름(352a)에 먼저 붙은 후 이어서 상류측의 제 1 보호 필름(352a)에 붙는다.The film peeling section 820 connects the first protective films 352a of adjacent display materials moving along the transfer line 475 to the first peeling tape 35a. For example, a display material positioned closer to the downstream side than the two adjacent display materials 351 is defined as a first display material, and a display material positioned closer to the upstream side is defined as a second display material The first peeling tape 35a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attached to the first display material and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attached to the second display material. The first peeling tape 35a is attached to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on the downstream side first and then to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on the upstream side.

또한, 필름 박리부(820)는, 반송 라인(475)을 따라 이동하는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351)들의 제 2 보호 필름(352b)들을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한 2개의 표시 재료(351)들 중 하류측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한 표시 재료를 제 1 표시 재료로 정의하고, 상류측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한 표시 재료를 제 2 표시 재료로 정의할 때,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는 제 1 표시 재료에 부착된 제 2 보호 필름(352b)의 뒷단과 제 2 표시 재료에 부착된 제 2 보호 필름(352b)의 앞단에 부착된다.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는 하류측의 제 2 보호 필름(352b)에 먼저 붙은 후 이어서 상류측의 제 2 보호 필름(352b)에 붙는다.The film peeling section 820 also connects the second protective films 352b of the adjacent display materials 351 moving along the transfer line 475 to the second peeling tape 35b. For example, a display material positioned closer to the downstream side than the two adjacent display materials 351 is defined as a first display material, and a display material positioned closer to the upstream side is defined as a second display material The second peeling tape 35b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attached to the second display material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attached to the first display material. The second peeling tape 35b is attached to the downstream sid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first and then to the upstream sid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필름 박리부(820)는 부착/박리부(537), 제 1 테이프 권취부(81a) 및 제 2 테이프 권취부(81b)를 포함한다.The film peeling section 820 includes an attaching / peeling section 537, a first tape winding section 81a and a second tape winding section 81b.

부착/박리부(537)는 제 1 테이프 제공부(711a)로부터 제공된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를 표시 재료(351)들의 제 1 보호 필름(352a)들에 부착한다. 예를 들어, 부착/박리부(537)는, 전술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351)들의 제 1 보호 필름(352a)들을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로 연결한다. 이어서, 부착/박리부(537)는 표시 재료(351)들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의 반송 방향을 변경한다. 그러면,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에 연결된 제 1 보호 필름(352a)도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됨에 따라 표시 재료(351)로부터 제 1 보호 필름(352a)이 분리된다. 여기서, 서로 연결된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와 제 1 보호 필름(352a)을 제 1 분리 롤로 정의한다. The attaching / peeling portion 537 attaches the first peeling tape 35a provided from the first tape supply portion 711a to the first protective films 352a of the display materials 351. [ For example, the attaching / peeling portion 537 connects the first protective films 352a of the display materials 351 adjacent to each other to the first peeling tape 35a, as described above. Then, the attaching / peeling unit 537 chang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peeling tape 35a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display materials 351. [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connected to the first peeling tape 35a is also transported in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first peeling tape 35a so that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material 351 do. Here, the first peeling tape 35a and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connected to each other are defined as a first separation roll.

또한, 부착/박리부(537)는 제 2 테이프 제공부(711b)로부터 제공된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를 표시 재료(351)들의 제 2 보호 필름(352b)들에 부착한다. 예를 들어, 부착/박리부(537)는, 전술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351)들의 제 2 보호 필름(352b)들을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로 연결한다. 이어서, 부착/박리부(537)는 표시 재료(351)들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제 2 박리용 테이프(35b)의 반송 방향을 변경한다. 그러면, 제 2 박리용 테이프(35b)에 연결된 제 2 보호 필름(352b)이 제 2 박리용 테이프(35b)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됨에 따라 표시 재료(351)로부터 제 2 보호 필름(352b)이 분리된다. 여기서, 서로 연결된 제 2 박리용 테이프(35b)와 제 2 보호 필름(352b)을 제 2 분리 롤로 정의한다.The attaching / detaching portion 537 attaches the second peeling tape 35b provided from the second tape providing portion 711b to the second protective films 352b of the display materials 351. [ For example, the attachment / release portion 537 connects the second protective films 352b of the display materials 351 adjacent to each other to the second peeling tape 35b, as described above. Then, the attaching / peeling portion 537 chang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cond peeling tape 35b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display materials 351. [ Then,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material 351 as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connected to the second peeling tape 35b is convey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cond peeling tape 35b do. Here, the second peeling tape 35b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connected to each other are defined as a second separation roll.

부착/박리부(537)는 표시 재료(35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부착/박리 롤러(57a) 및 제 2 부착/박리 롤러(57b)를 포함한다.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의 중심축과 제 2 부착/박리 롤러(57b)의 중심축은 평행하다.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와 제 2 부착/박리 롤러(57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부착/박리 롤러(57a) 및 제 2 부착/박리 롤러(57b)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 롤러이다. 제 1 부착/박리 롤러(57a) 및 제 2 부착/박리 롤러(57b)는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나, 또는 금속과 같은 경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제 1 부착/박리 롤러(57a) 및 제 2 부착/박리 롤러(57b)는 닙 롤러(nip roller)일 수 있다.The attaching / peeling portion 537 includes a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57a and a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57b which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display material 351 therebetwee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a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b are parallel. The first attachment / separation roller 57a and the second attachment / separation roller 57b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57a and the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57b is a driving roller that can receive a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The first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a and the second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b may have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The first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a and the second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b may be nip rollers.

제 1 테이프 권취부(81a)는 제 1 분리 롤을 권취한다. 제 1 테이프 권취부(81a)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제 1 분리 롤은 제 1 테이프 권취부(81a)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다. 제 1 테이프 권취부(81a)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tape winding portion 81a winds the first separating roll. The first tape winding portion 81a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irst separation roll is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tape winding portion 81a. The first tape winding portion 81a can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제 2 테이프 권취부(81b)는 제 2 분리 롤을 권취한다. 제 2 테이프 권취부(81b)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 제 2 분리 롤은 제 2 테이프 권취부(81b)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다. 제 2 테이프 권취부(81b)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tape winding portion 81b winds the second separation roll. The second tape winding portion 81b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econd separation roll is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ape winding portion 81b. The second tape winding portion 81b can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 itself.

부착/박리부(537)에 의해 제 1 및 제 2 보호 필름(352a, 352b)들이 제거된 표시 재료는 제 7 내지 제 9 반송부들(407 내지 409)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박리/접합부(511)에 도달한다. 이때, 박리/접합부(511)에 도달하기에 앞서, 제 1 및 제 2 보호 필름들(352a, 352b)이 제거된 표시 재료(351)는 표시 재료 위치 검출부(803)에 의해서 이의 위치가 검출된다.The display material from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films 352a and 352b are removed by the attaching / detaching unit 537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seventh to ninth conveying units 407 to 409, Lt; / RTI > At this time, before reaching the peeling / bonding portion 511, the display material 351 from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films 352a and 352b are removed is detected by the display material position detecting portion 803 .

박리/접합부(511)는 표시 재료(351)와 단위 점착제(261)를 접합한다. 박리/접합부(511)에 의해 단위 점착제(261)가 부착된 표시 재료(351)는 접합부(512)로 반송된다.The peeling / bonding portion 511 bonds the display material 351 and the unitary adhesive agent 261. The display material 351 to which the unit adhesive agent 261 is attached by the peeling / bonding portion 511 is conveyed to the joining portion 512. [

접합부(512)는 단위 점착제(261)가 부착된 표시 재료(351)와 윈도우(151)를 접합한다. 단위 점착제(261)는 표시 재료(351)와 윈도우(151) 사이에 위치한다. 단위 점착제(261)가 부착된 표시 재료(351)와 윈도우(151)가 접합되기에 앞서 이 표시 재료(351)(단위 점착제(261)가 부착된 표시 재료)는 윈도우(151)에 정렬된다. 이 표시 재료(351)와 윈도우(151) 간의 정렬 공정은 전술된 점착제 위치 검출부(802)로부터 검출된 단위 점착제(261)의 위치 정보 및 표시 재료 위치 검출부(803)로 검출된 표시 재료(351)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수행된다. 표시 재료(351)와 윈도우(151)간의 정렬을 위해, 예를 들어, 표시 재료(351)가 위치한 반송계 및 점착제(251)가 위치한 반송계가 움직일 수 있다. 반송계들의 움직임은 정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정렬 제어부는 전술된 단위 점착제(261)의 위치 정보 및 표시 재료(351)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반송계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표시 재료(351)를 윈도우(151)에 정렬한다.The bonding portion 512 bonds the window 151 with the display material 351 to which the unitary adhesive agent 261 is attached. The uni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61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material 351 and the window 151. The display material 351 (the display material to which the uni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61 is attached) is aligned with the window 151 before the display material 351 with the uni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61 attached thereto and the window 151 are bonded. The alignment process between the display material 351 and the window 151 is performed by us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unitar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261 detected from the aforemention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osition detecting portion 802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display material 351 detected by the display material position detecting portion 803, As shown in FIG. The transfer system in which the display material 351 is located and the transfer system in which the adhesive 251 is placed can be moved for alignment between the display material 351 and the window 151. [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systems can be controlled by the alignment control unit. The alignment control section aligns the display material 351 on the window 151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system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unitary adhesive agent 261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display material 351 described above.

도 2는 도 1의 필름 박리부(820)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film peeling unit 820 of FIG.

필름 박리부(8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나이프 에지(661) 및 제 2 나이프 에지(6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lm peeling section 82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knife edge 661 and a second knife edge 662 as shown in FIG.

제 1 나이프 에지(661)는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1 나이프 에지(661)는 삼각기둥 형상을 갖는다. 제 1 나이프 에지(661)의 일부 모서리는 표시 재료(351)와 제 1 보호 필름(352a) 간의 계면을 향해 돌출된다. 제 1 보호 필름(352a) 및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는 제 1 나이프 에지(661)의 경사면과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의 외주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의 외주면에 감긴다.The first knife edge 661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a. The first knife edge 661 has a triangular prism shape. A part of the edge of the first knife edge 661 protrudes toward the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material 351 and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and the first peeling tape 35a pass through the first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a while passing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knife edge 66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attachment / ).

제 2 나이프 에지(662)는 제 2 부착/박리 롤러(57b)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 2 나이프 에지(662)는 삼각기둥 형상을 갖는다. 제 2 나이프 에지(662)의 일부 모서리는 표시 재료(351)와 제 2 보호 필름(352b) 간의 계면을 향해 돌출된다. 제 2 보호 필름(352b) 및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는 제 2 나이프 에지(662)의 경사면과 제 2 부착/박리 롤러(57b)의 외주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 2 부착/박리 롤러(57b)의 외주면에 감긴다.And the second knife edge 662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b. The second knife edge 662 has a triangular prism shape. A part of the edge of the second knife edge 662 protrudes toward the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material 351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and the second peeling tape 35b pass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knife edge 66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57b while the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57b ).

제 1 나이프 에지(661)와 제 2 나이프 에지(662)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다.The first knife edge 661 and the second knife edge 662 ar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한편, 제 1 테이프 제공부(71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롤러(301) 및 제 1 박리 롤러(73a) 대신 제 3 나이프 에지(6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ape supplying portion 711a may include a third knife edge 673 instead of the first guide roller 301 and the first peeling roller 73a as shown in FIG.

도 3은 도 1의 필름 박리부(820)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film peeling unit 820 of FIG.

필름 박리부(8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나이프 에지(661), 제 2 나이프 에지(662), 제 1 에지 롤러(881) 및 제 2 에지 롤러(8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lm peeling section 820 further includes a first knife edge 661, a second knife edge 662, a first edge roller 881 and a second edge roller 882 as shown in Fig. 3 can do.

도 3에서의 제 1 및 제 2 나이프 에지(661, 662)들은 도 2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도 3에서의 제 1 및 제 2 나이프 에지(662)들에 대한 설명은 도 2에 관련된 내용을 참조한다. 단, 도 3에서의 제 1 나이프 에지(661)와 제 2 나이프 에지(662) 간의 간격은 도 2에서의 제 1 나이프 에지(661)와 제 2 나이프 에지(662) 간의 간격보다 더 크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knife edges 661 and 662 in FIG. 3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2,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and second knife edges 662 in FIG. . The gap between the first knife edge 661 and the second knife edge 662 in FIG. 3 is larger than the gap between the first knife edge 661 and the second knife edge 662 in FIG.

도 3에 도시된 제 1 나이프 에지(661)의 일부 모서리는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와 제 1 박리용 테이프(35a) 사이로 돌출된다.A part of the edge of the first knife edge 661 shown in Fig. 3 protrudes between the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57a and the first peeling tape 35a.

제 1 에지 롤러(881)는 제 1 나이프 에지(661)의 다른 모서리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 1 나이프 에지(661)의 모서리들 중 보다 하류측에 가까이 위치한 모서리에 제 1 에지 롤러(881)가 설치된다. 제 1 에지 롤러(881)는 제 1 나이프 에지(661)에 축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edge roller 881 is located at the other edge of the first knife edge 661. For example, a first edge roller 881 is provided at an edge located closer to the downstream side than the edges of the first knife edge 661. The first edge roller 881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first knife edge 661. [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와 제 2 부착/박리 롤러(57b) 사이의 간격은 다른 반송부에 구비된 롤러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다. 예를 들어,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와 제 2 부착/박리 롤러(57b) 사이의 간격은 제 7 반송부(407)에 구비된 제 1 반송 롤러(47a)와 제 2 반송 롤러(47b)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ttachment / separation roller 57a and the second attachment / separation roller 57b is small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ollers provided in the other conveyance part. For exampl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57a and the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57b is se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veying roller 47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47b provided on the seventh conveying portion 407 47b.

도 3에 도시된 제 2 나이프 에지(662)의 일부 모서리는 제 2 부착/박리 롤러(57b)와 제 2 박리용 테이프(35b) 사이로 돌출된다.A part of the edge of the second knife edge 662 shown in Fig. 3 protrudes between the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57b and the second peeling tape 35b.

제 2 에지 롤러(882)는 제 2 나이프 에지(662)의 다른 모서리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 2 나이프 에지(662)의 모서리들 중 보다 하류측에 가까이 위치한 모서리에 제 2 에지 롤러(882)가 설치된다. 제 2 에지 롤러(882)는 제 2 나이프 에지(662)에 축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edge roller 882 is located at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knife edge 662. For example, a second edge roller 882 is provided at an edge located closer to the downstream side than the edge of the second knife edge 662. The second edge roller 882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second knife edge 662. [

제 1 보호 필름(352a) 및 제 2 보호 필름(352b)이 부착된 표시 재료(351)는 제 1 나이프 에지(661)와 제 2 나이프 에지(662) 사이를 통과한다. 또한, 인접한 제 1 보호 필름(352a)들을 연결하는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와 인접한 제 2 보호 필름(352b)들을 연결하는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도 제 1 나이프 에지(661)와 제 2 나이프 에지(662) 사이를 통과한다. 표시 재료(351)가 제 1 나이프 에지(661)와 제 2 나이프 에지(662) 사이를 통과한 후, 제 1 에지 롤러(881) 및 제 2 에지 롤러(882)에 의해 제 1 박리용 테이프(35a) 및 제 2 박리용 테이프(35b)가 표시 재료(351)로부터 분리된다.The display material 351 to which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are attached passes between the first knife edge 661 and the second knife edge 662. [ The first peeling tape 35a connecting the adjacent first protective films 352a and the second peeling tape 35b connecting the adjacent second protective films 352b are also connected to the first knife edge 661 And passes between the second knife edge 662. After the display material 351 passes between the first knife edge 661 and the second knife edge 662, the first peeling tape (second peeling tape) is peeled off by the first edge roller 881 and the second edge roller 882 35a and the second peeling tape 35b are separated from the display material 351. [

한편, 제 2 테이프 제공부(711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 롤러(302) 및 제 2 박리 롤러(73b) 대신 제 4 나이프 에지(6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ape supplying portion 711b may include a fourth knife edge 664 instead of the second guide roller 302 and the second peeling roller 73b as shown in FIG.

도 4는 도 3의 필름 박리부(820)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다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film peeling unit 820 of Fig. 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에지 롤러(881)의 중심축과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의 중심축이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에지 롤러(881)의 중심축과 제 2 에지 롤러(882)의 중심축이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에지 롤러(882)의 중심축과 제 2 부착/박리 롤러(57b)의 중심축이 평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edge roller 881 and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a may be parallel. In addition,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edge roller 881 and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edge roller 882 may be parallel. Further,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edge roller 882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b may be parallel.

도 5는 도 3의 필름 박리부(820)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다본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the film peeling unit 820 of Fig. 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에지 롤러(881)의 중심축과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의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표시 재료(351)에 부착된 제 1 보호 필름(352a)이 이의 모서리 부분부터 분리되므로 제 1 보호 필름(352a)에 대한 박리 작업이 보다 수월해진다. 여기서, 제 1 에지 롤러(881)의 중심축과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θ)는 10도 내지 4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각도는 15도 또는 30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edge roller 881 may not be parallel to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a.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attached to the display material 351 is separated from the corner portion thereof, the peeling work for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becomes easier. Here, the angle? Betwee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edge roller 881 and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a may be 10 to 40 degrees. For example, the angle may be 15 degrees or 30 degrees.

또한, 제 2 에지 롤러(882)의 중심축과 제 2 부착/박리 롤러(57b)의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표시 재료(351)에 부착된 제 2 보호 필름(352b)이 이의 모서리 부분부터 분리되므로 제 2 보호 필름(352b)에 대한 박리 작업이 보다 수월해진다. 여기서, 제 1 에지 롤러(881)의 중심축과 제 1 부착/박리 롤러(57a)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는 10도 내지 4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각도는 15도 또는 30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edge roller 882 may not be parallel to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b.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attached to the display material 351 is separated from the corner portion thereof, the peeling work for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becomes easier. Here, the angle formed by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edge roller 881 and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a may be 10 degrees to 40 degrees. For example, the angle may be 15 degrees or 30 degrees.

또한, 제 1 에지 롤러(881)의 중심축과 제 2 에지 롤러(882)의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에지 롤러(881)의 중심축과 제 2 에지 롤러(882)의 중심축이 교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및 제 2 보호 필름(352a, 352b)이 제거될 때 이들에 대한 박리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edge roller 881 and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edge roller 882 may not be parallel.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edge roller 881 and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edge roller 882 may interse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eeling balance can be maintained when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films 352a and 352b are removed.

또한, 제 2 에지 롤러(882)의 중심축과 제 2 부착/박리 롤러(57b)의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edge roller 882 may not be parallel to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b.

도 6은 제 1 및 제 2 박리용 테이프(35a, 35b)의 평면도 및 그 평면도의 I-I'의 선상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peeling tapes 35a and 35b taken along the line I-I 'in a plan view and a plan view thereof.

제 1 박리용 테이프(35a)는 베이스부(35a-1) 및 접착부(35a-2)를 포함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35a-2)는 베이스부(35a-1)의 가장자리에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베이스부(35a-1)의 중심부에는 접착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의 중심부에서 베이스부(35a-1)가 외부로 노출된다.The first peeling tape 35a includes a base portion 35a-1 and a bonding portion 35a-2.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adhesive portion 35a-2 may be located only at the edge of the base portion 35a-1. In other words, no adhesive portion exists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35a-1. Therefore, the base portion 35a-1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peeling tape 35a.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는 베이스부(35b-1) 및 접착부(35b-2)를 포함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35b-2)는 베이스부(35b-1)의 가장자리에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베이스부(35b-1)의 중심부에는 접착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박리용 테이프(35b)의 중심부에서 베이스부(35b-1)가 외부로 노출된다.The second peeling tape 35b includes a base portion 35b-1 and a bonding portion 35b-2.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bonding portion 35b-2 may be located only at the edge of the base portion 35b-1. In other words, no adhesive portion exists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35b-1. Therefore, the base portion 35b-1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peeling tape 35b.

제 1 및 제 2 박리용 테이프(35b)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와 제 2 박리용 테이프(35b)의 마주보는 면들에 접착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 재료(351)의 두께가 상당히 작더라도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와 제 2 박리용 테이프(35b)가 서로 붙지 않는다.When the first and second peeling tapes 35b have a structure as shown in Fig. 6, there is no adhesive portion o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peeling tape 35a and the second peeling tape 35b Do not. Therefor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aterial 351 is extremely small, the first peeling tape 35a and the second peeling tape 35b do not stick together.

도 7은 제 1 및 제 2 박리용 테이프(35a, 35b)의 다른 평면도 및 그 다른 평면도의 I-I'의 선상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another plan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peeling tapes 35a and 35b and other plan views thereof.

제 1 박리용 테이프(35a) 및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들 각각은, 전술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35a-1, 35b-1) 및 접착부(35a-2, 35b-2)를 포함한다. 다만, 도 7에서의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에 구비된 접착부(35a-2)는 베이스부(35a-1)의 전면(全面)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박리용 테이프(35b)에 구비된 접착부(35b-2) 역시 베이스부(35b-1)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서의 제 1 및 제 2 박리용 테이프(35a, 35b)에 구비된 각 접착부(35a-2, 35b-2)는, 도 6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35a-1, 35b-1)의 가장자리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Each of the first peeling tape 35a and the second peeling tape 35b includes the base portions 35a-1 and 35b-1 and the bonding portions 35a-2 and 35b-2 do. However, the bonding portion 35a-2 provided on the first peeling tape 35a in Fig. 7 may be loc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5a-1. Similarly, the bonding portion 35b-2 provided on the second peeling tape 35b may also be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5b-1. However, each of the bonding portions 35a-2 and 35b-2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peeling tapes 35a and 35b in Fig. 7 has the base portions 35a-1 and 35b- 35b-1.

도 7에서의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와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는 서로 마주보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와 제 1 보호 필름(352a) 간의 접촉 면적과 제 2 박리용 테이프(35b)와 제 2 보호 필름(352b) 간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박리용 테이프와 보호 필름(352a, 352b) 간의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와 제 2 박리용 테이프(35b)는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 1 박리용 테이프(35a)가 제 1 보호 필름(352a)들에 부착되고, 2개의 제 2 박리용 테이프(35b)가 제 2 보호 필름(352b)들에 부착될 수 있다.The first peeling tape 35a and the second peeling tape 35b in Fig. 7 do not face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peeling tape 35a and the first protective film 352a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peeling tape 35b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b are reduced,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lms 352a and 352b may be weakened. To prevent this, a plurality of first peeling tape 35a and second peeling tape 35b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wo first peeling tapes 35a are attached to the first protective films 352a, two second peeling tapes 35b are attached to the second protective film 352a, Lt; RTI ID = 0.0 > 352b. ≪ / RTI >

제 1 및 제 2 박리용 테이프(35a, 35b)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표시 재료(351)의 두께가 상당히 작더라도 제 1 박리용 테이프(35a)와 제 2 박리용 테이프(35b)가 서로 붙지 않는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peeling tapes 35a and 35b have a structure as shown in Fig. 7,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aterial 351 is considerably small, the first peeling tape 35a and the second peeling tape 35a The tape 35b does not stick togeth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1: 윈도우 권출부 201: 점착제 권출부
211: 보호 필름 권취부 301-305: 제 1 내지 제 1 가이드 롤러
401-409: 제 1 내지 제 9 반송부 512: 접합부
511: 박리/접합부 801: 윈도우 위치 검출부
802: 점착제 위치 검출부 803: 표시 재료 위치 검출부
370: 표시 재료 제공부 711a: 제 1 테이프 제공부
711b: 제 2 테이프 제공부 820: 필름 박리부
475: 반송 라인 152: 캐리어 필름
151: 윈도우 251: 점착제
252: 보호 필름 351: 표시 재료
352a: 제 1 보호 필름 352b: 제 2 보호 필름
49: 반송 롤러 824: 절단부
71a: 제 1 테이프 권출부 72a: 제 1 가이드 롤러
73a: 제 1 박리 롤러 74a: 제 1 이형지 권취부
71b: 제 2 테이프 권출부 72b: 제 2 가이드 롤러
73b: 제 2 박리 롤러 74b: 제 2 이형지 권취부
537: 부착/박리부 57a: 제 1 부착/박리 롤러
57b: 제 2 부착/박리 롤러 41a, 42a, 43a: 제 1 반송 롤러
41b, 42b, 43b: 제 2 반송 롤러 51a: 박리/접합 롤러
51b: 접합 롤러 52a: 제 1 접합 롤러
52b: 제 2 접합 롤러 35a: 제 1 박리용 테이프
35b: 제 2 박리용 테이프 36a: 제 1 이형지
36b: 제 2 이형지
101: Window release section 201: Adhesive release section
211: protective film winding part 301-305: first to first guide rollers
401 to 409: first to ninth conveyer units 512:
511: peeling / joining portion 801: window position detecting portion
802: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sition detecting portion 803: display material position detecting portion
370: display material providing unit 711a: first tape supply unit
711b: second tape supplier 820: film peeling unit
475: conveying line 152: carrier film
151: Window 251: Adhesive
252: protective film 351: display material
352a: first protective film 352b: second protective film
49: conveying roller 824:
71a: first tape winding portion 72a: first guide roller
73a: first peeling roller 74a: first release paper winding part
71b: second tape winding portion 72b: second guide roller
73b: second peeling roller 74b: second release paper winding part
537: attachment / peeling portion 57a: first attachment / peeling roller
57b: second attachment / peeling roller 41a, 42a, 43a: first conveying roller
41b, 42b, 43b: second conveying roller 51a: peeling / joining roller
51b: joining roller 52a: first joining roller
52b: second joining roller 35a: first peeling tape
35b: second peeling tape 36a: first release liner
36b: second release

Claims (16)

제 1 보호 필름 및 제 2 보호 필름 중 적어도 하나가 부착된 표시 재료들을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표시 재료 제공부;
상기 표시 재료 제공부로부터 표시 재료들을 제공 받아 반송하는 반송 라인;
제 1 박리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제 1 테이프 제공부; 및
상기 반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들의 제 1 보호 필름들을 상기 제 1 박리용 테이프로 연결하고, 상기 표시 재료와 상기 제 1 박리용 테이프를 분리하여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들의 제 1 보호 필름들을 제거하는 필름 박리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A display material supplier for continuously providing display materials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is attached;
A conveyance line for receiving and conveying display materials from the display material supplier;
A first tape providing member for providing a first peeling tape; And
Connecting the first protective films of adjacent display materials moving along the transfer line to the first peeling tape and separating the display material and the first peeling tape to form first protective films of adjacent display materials And a film peeling section for removing the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프 제공부는,
제 1 이형지가 부착된 상기 제 1 박리용 테이프를 권출하는 제 1 테이프 권출부;
상기 제 1 박리용 테이프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 이형지의 반송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 1 박리 롤러; 및
상기 제 1 박리 롤러를 통해 반송된 제 1 이형지를 권취하는 제 1 이형지 권취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ape providing unit comprises:
A first tape winding portion for winding the first peeling tape with the first release paper attached thereto;
A first peeling roller for changing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release paper with respect to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peeling tape; And
And a first release paper winding section for winding up the first release paper conveyed through the first separation roll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프 제공부는,
상기 제 1 테이프 권출부로부터의 제 1 이형지 및 제 1 박리용 테이프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제 1 박리 롤러로 제공하는 제 1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tape providing unit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first guide roller for changing a conveyance direction of the first release paper and the first release tape from the first tape take-up portion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first peeling 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박리부는,
상기 제 1 테이프 제공부로부터 제공된 제 1 박리용 테이프를 상기 표시 재료들의 제 1 보호 필름들에 부착하며, 상기 표시 재료들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 박리용 테이프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는 부착/박리부; 및
상기 부착/박리부를 통해 반송된 제 1 박리형 테이프 및 제 1 보호 필름들을 권취하는 제 1 테이프 권취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m-
Attaching / detaching the first peeling tape provided from the first tape supplier to the first protective films of the display materials and chang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peeling tape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display materials, part; And
And a first tape winding portion for winding up the first peelable tape and the first protective films carried through the attachment / peel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박리부는 상기 표시 재료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부착/박리 롤러 및 제 2 부착/박리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 박리부는 상기 제 1 부착/박리 롤러의 하류측에 위치한 제 1 나이프 에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ttaching / pee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and a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which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display material therebetween and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Wherein the film peeling sec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knife edge positioned on a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박리부는 상기 제 1 나이프 에지의 모서리에 위치한 제 1 에지 롤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lm peeling sec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edge roller positioned at an edge of the first knife ed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지 롤러의 중심축과 상기 제 1 부착/박리 롤러의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은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edge roller an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박리부는 상기 제 2 부착/박리 롤러의 하류측에 위치한 제 2 나이프 에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lm peeling sec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knife edge position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박리부는 상기 제 2 나이프 에지의 모서리에 위치한 제 2 에지 롤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lm peeling sec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edge roller located at an edge of the second knife edg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지 롤러의 중심축과 상기 제 2 부착/박리 롤러의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은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edge roller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are not paralle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지 롤러의 중심축과 상기 제 2 에지 롤러의 중심축이 교차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edge roller and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edge roller intersect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재료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위치하며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제 1 반송 롤러 및 제 2 반송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반송 롤러는 상기 제 1 부착/박리 롤러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반송 롤러는 제 2 부착/박리 롤러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veying roller and a second conveying roller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display material therebetween and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conveying roller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 롤러와 제 2 반송 롤러 사이의 간격은 제 1 부착/박리 롤러와 제 2 부착/박리 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은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conveying roller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is small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attaching /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attaching / peeling 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리용 테이프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접착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eeling tape may have a thickness
A base portion; And
And an adhesive portion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박리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제 2 테이프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름 박리부는 상기 반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들의 제 2 보호 필름들을 상기 제 2 박리용 테이프로 연결하고, 상기 표시 재료와 상기 제 2 박리용 테이프를 분리하여 서로 인접한 표시 재료들의 제 2 보호 필름들을 제거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tape supply unit for providing the second peeling tape;
Wherein the film peeling unit connects the second protective films of adjacent display materials moving along the transfer line to the second peeling tape, separates the display material and the second peeling tape, 2. The lamination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the protective film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제 1 보호 필름들에 연결된 제 1 박리용 테이프와 상기 인접한 제 2 보호 필름들에 연결된 제 2 박리용 테이프가 서로 마주보지 않는 표시장치용 라미네이션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peeling tape connected to the adjacent first protective films and the second peeling tape connected to the adjacent second protective films do not face each other.
KR1020150062756A 2015-05-04 2015-05-04 Lamination device of display device KR1023011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756A KR102301105B1 (en) 2015-05-04 2015-05-04 Lamination device of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756A KR102301105B1 (en) 2015-05-04 2015-05-04 Lamination device of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923A true KR20160130923A (en) 2016-11-15
KR102301105B1 KR102301105B1 (en) 2021-09-13

Family

ID=5752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756A KR102301105B1 (en) 2015-05-04 2015-05-04 Lamination device of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10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737B1 (en) * 2011-11-17 2012-02-27 주식회사 아이.엠.텍 Surface protection film exfoliation device
KR20140011217A (en) * 2012-07-18 2014-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for peeling fil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737B1 (en) * 2011-11-17 2012-02-27 주식회사 아이.엠.텍 Surface protection film exfoliation device
KR20140011217A (en) * 2012-07-18 2014-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for peeling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105B1 (en)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6971B2 (en) Polarizing plate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782665B1 (en) Separation method and separation device
TWI589507B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 handling tab to continuous glass ribbons
TWI354150B (en) Apparatus for sticking polarizing film and liquid
KR101255497B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optical display device
JP54582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display device
JP6237371B2 (en) Glass film cleaning method and glass film cleaning apparatus
JP2008297027A (en) Photosensitive web joining structure and its joining tape member
JP20050374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 polarizing plate
WO2012147793A1 (en) Knife edge and manufacturing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JP4302042B2 (en) Film peeling device
JP20140958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ptical display device
JP5953073B2 (en)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display panel, continuous manufacturing system thereof, switching method and feeding device
KR20160130923A (en) Lamination device of display device
WO2016166927A1 (en) Sheet supply device and sheet supply method
JP3506682B2 (en) Automatic film changer for laminator
JP5667522B2 (en) Optica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system and optica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20160130924A (en) Lamination device of display device
JP2007261046A (en) Long web laminating method
JP4303896B2 (en) Film bonding equipment
TW201540515A (en) Film adhering device, method of adhering film, and laminated film
JP660566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display device
JP2019153641A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sheet feeding method, and sheet pasting apparatus and sheet pasting method
CN110226191B (en) Apparatus for feeding slit long optical film and system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optical display panel
CN110352171B (en) Optical film conveying device and optical display panel continuous manufactu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