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855A -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응집장치 및 그 세탁기 - Google Patents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응집장치 및 그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855A
KR20160130855A KR1020167029648A KR20167029648A KR20160130855A KR 20160130855 A KR20160130855 A KR 20160130855A KR 1020167029648 A KR1020167029648 A KR 1020167029648A KR 20167029648 A KR20167029648 A KR 20167029648A KR 20160130855 A KR20160130855 A KR 20160130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essel
filtration
mixer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셩 시
하이타오 리
진쭈 덩
옌펀 뤼
Original Assignee
하이어 그룹 코포레이션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119225.9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947385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118981.X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947384B/zh
Application filed by 하이어 그룹 코포레이션,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이어 그룹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3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6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3Processes of filtr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20Arrangements for water reco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일종의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응집장치(5) 및 그 세탁기이며 해당 응집장치(5)는 응집용기(1)와 믹서유닛을 포함하며 또 응집용기 내벽을 청결하는 청결유닛을 포함한다. 청결유닛은 임펠러(12)와 임펠러(12)의 회전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3)를 포함하며 임펠러(12)는 물을 응집용기(1)의 내벽으로 물을 흩뿌여 청결을 진행한다. 믹서유닛은 응집용기(1)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믹서모터(14),응집용기(1) 내부까지 닿아있는 믹서축(15) 그리고 믹서축(15)위에 설치된 믹서 임펠러(16)를 포함한다. 세탁기는 외부실린더(3)를 포함하며 파이프라인(4)를 통해 차례로 외부실린더(3),응집장치(5),여과장치(6)를 연결하고 다시 외부실린더(3)와 순환연결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믹서 임펠러와 완전히 상반된 구조로 디자인된 믹서유닛은 응집제와 오염된 세탁수의 혼합을 가속화하며 응집물이 흩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구조가 간단하다. 응집장치는 자동청결을 실현하며 자동화 수준을 높이며 생산원가를 절약한다.

Description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응집장치 및 그 세탁기{WASHING MACHINE FLOCCULATION APPARATUS WITH SELF-CLEANING FUNCTION, AND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 순환수의 물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응집 여과방식을 응용한 세탁기의 순환절수장치이며 특히 일종의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응집장치 및 세탁기이다.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세탁기는 이미 일상생활에서의 중요한 가전제품 중의 하나로 되었다. 세탁기의 세탁과정은 주로 세탁,헹굼,건조 등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세탁과정에서 세탁기의 급수와 세제는 빨래를 세탁하고 헹굼과정에서는 때자국과 잔류한 세제를 헹궈내기 위하여 더욱 많은 물 또는 여러 번의 헹굼횟수를 거쳐야 하는데 이는 대량의 물자원을 소모하게 된다. 물을 절약하는 드럼세탁기라도 빨래를 적어서 두번 헹궈야 하며 헹굼과정에서 적어도 30L이상의 수돗물을 필요로 한다. 가끔 옷감에 때자국이 적거나 세제를 적게 넣을 경우 두번의 헹굼과정만으로도 빨래를 깨끗하게 세척할수 있지만 사용자가 3번의 헹굼과정을 선택했기때문에 물자원의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예를 들면 6kg의 자동세탁기가 두번의 헹굼과정에서 보통 100리터의 물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빨래를 깨끗하게 세탁하는 동시에 물과 전기를 절약하는 것은 소비자가 관심하는 초점중의 하나이다.
현재까지 가정용 세탁기에 사용되는 물정화 및 물순환 장치는 없었으며 절수기능을 구비한 세탁기는 보통 세탁기의 옆측에 저장탱크를 설치하고 물펌프로 급수 및 배수를 진행하는데 보통 한번의 급수주입으로 3번까지 헹굼으로서 절수기능을 일으킨다. 세탁 후의 물은 저장할수 없으며 세탁기 본체구조가 복잡하고 방대하여 운송 및회수에 불리하다. 체적,구조 및 유연성 등 방면의 제한으로 인해 세탁기의 고유기능의 발휘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절수박스의 고유기능도 충분하게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기존 세탁방식의 전제하에서 물을 절약하기 위하여 생산업체에서도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존 세탁기는 물순환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다만 실찌꺼기를 여과하거나 빨래를 골고루 세탁하거나 오존,중금속이온으로 살균하는 등 작용을 할뿐 물의 소모량을 절약하거나 빨래를 세척하는데 근본적인 역할을 일으키지는 못한다.
세탁수의 순환이용에 관한 특허문서 중 신청번호가 200810072420.5인 "세탁기순환수 절약장치"는 세탁수를 하나의 수조로 주입하여 정화처리를 진행한다. 해당 발명은 첫번째 세탁수를 정화하지 않고 직접 배출하며 두번째,세번째 헹굼수를 정화한 다음 다음 세탁과정에서 사용한다.
해당 기술에서 "순환수기술"은 헹굼수를 정화한 다름에 사용하며 해당 기술은 첫번째 세탁수를 순환 이용할수 없다. 정화를 거친 물은 다음 세탁 때 사용하며 이번 세탁 때에는 사용할수 없다.
신청번호가 03256181.4인 중국특허는 일종 절수세탁기를 공개하였으며 세탁기의 배출구 앞에는 초벌 여과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물저장탱크도 설치되어 있는 바 물저장탱크의 바닥에는 응집조가 설치되어 있다. 응집조의 윗쪽에는 여과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응집조는 파이프에 의해 세탁조와 연결되어 있다. 응집조에는 또 오염배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파이프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응집조는 청결기능을 갖추고 있을뿐만 아니라 오랜기간 사용하면 여과장치 내벽에 응집오물이 형성되어 세균번식이 번식된다.
위에서 서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을 제출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기술문제를 해결하고 기존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종의 구조가 간단한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응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당 응집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위에서 서술한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한 기술방법의 기본적인 구상은 아래와 같다. 일종의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응집장치이며 여과용기와 여과유닛을 포함하며 응집용기 내벽을 청결하는 청결기구를 포함한다. 해당 청결기구는 임펠러와 임펠러의 회전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임펠러는 물을 응집용기의 내벽으로 흩뿌려 청결한다.
나아가서 해당 믹서유닛은 응집용기 외부에 설치된 믹서모터,응집용기 내부까지 닿아있는 믹서축 그리고 믹서축 위에 설치된 믹서 임펠러를 포함한다.
나아가서 해당 구동모터는 해당 믹서모터이며 해당 임펠러는 동축으로 믹서축에 설치되어 있으며 믹서모터와 믹서 임펠러 사이에 위치한다. 믹서 임펠러는 막서축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임펠러는 믹서모터와 가까운 쪽에 있는 믹서축에 설치되어 있다. 급수가 응집용기를 청결할 때 믹서모터가 고속으로 임펠러를 회전시키며 임펠러 원심력의 작용하에 물이 일정한 속도에 따라 응집용기 내부 주벽을 청결하게 한다. 물을 흩뿌리는 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부동한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한다.
나아가서 해당 믹서 임펠러의 휘어진 방향은 믹서축의 회전방향과 서로 반대된다. 해당 임펠러의 구조는 물살을 휘저어 응집제의 용해를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물살이 지나치게 커져 응집물을 흩어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응집장치는 응집제의 믹서과정에서 믹서모터는 믹서 임펠러를 구동하여 믹서 임펠러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응집용기 내벽을 청결하는 과정에서 믹서모터는 믹서 임펠러를 구동하여 믹서 임펠러의 휘어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임펠러와 믹서 임펠러는 같은 축에 설치되어 있기에 임펠러는 물을 응집용기 내벽으로 흩뿌려 청결을 진행한다. 믹서 임펠러의 구조는 물살을 크게 휘저어 청결을 진행하며 해당 믹서효과는 응집과정에서의 믹서효과와 완전히 반대된다. 뿐만 아니라 청결과정에서 믹서모터의 회전속도는 응집제 믹서과정에서의 믹서모터의 회전속도보다 빠르다.
나아가서 해당 임펠러는 회전판과 회전판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엽편을 포함한다. 엽편은 회전판의 중심에서 외부 원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인접하고 있는 엽편은 회전판의 표면을 여러 개의 부채형 모양의 물을 흩뿌리는 작은 구역으로 나눈다.
나아가서 해당 임펠러의 표면에는 회전판의 중심과 같은 중심을 갖고 있는 고리형 모양의 강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엽편의 한쪽 끝은 고리형 강판으로 외부 원주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여러 엽편은 고리형 강판의 외부구역을 여러개의 작은 구역으로 분할함으로써 물을 흩뿌릴 때 물살을 분산시키며 물살이 균일하게 사면의 내벽에 흩뿌려지게 한다.
나아가서 해당 응집용기에는 급수구,응집제 투입구,응집 배출구 및 오염수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응집용기 하단의 내부표면은 한 경사면이며 응집수 배출구와 오염수 배출구는 경사면의 상대적으로 낮은 쪽에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서 해당 응집용기에는 세탁수 유도박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쪽 끝은 응집용기의 급수구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임펠러 윗쪽까지 연장되며 세탁수 유도박스에서 배출된 물은 엽편의 부채형 구역으로 유도된다. 최적화한 것은 세탁수 유도박스의 배출방향은 회전판의 고리형 강판의 외부구역의 윗쪽이며 해당 구조는 급수가 균일하게 뿌려지는데 더욱 유리하다.
나아가서 해당 응집용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일수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최적화한 것은 두개의 일수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중 한 일수구는 응집용기의 윗쪽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한 일수구는 응집용기의 꼭대기에 설치되어 있다. 응집용기 급수구는 삼방 파이프와 연결되어 있으며 삼방 파이프의 다른 두 통로 중 하나는 급수와 연결되어 있고 삼방 파이트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또 다른 통로는 응집용기의 꼭대기에 설치되어 있는 일수구이며 삼방 파이프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해당 구조는 측면에 있는 일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꼭대기의 일수구에 의해 넘쳐나오는 물을 배출한다.
나아가서 해당 응집용기는 윗면이 뚫린 박스와 해당 박스를 닫는 윗 덮개를 포함하며 윗 덮개에는 급수구와 응집제 투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는 윗 덮개에 설치되어 있고 윗 덮개의 표면과 대응하는 구동모터 축의 주위에는 고리형 밴드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응집용기의 윗 덮개의 아래표면과 대응하는 모터 축의 주위에는 고리형 밴드가 반밀폐식 강실을 이루고 있다. 응집용기에 연속으로 물이 공급되면 강실중에는 압축된 기강이 형성되는바 즉 공기밀폐를 실현함으로써 응집용기의 물이 모터 축의 주위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한 세탁기는 외부실린더를 포함하며 파이프 라인을 통해 순서에 따라 외부실린더,응집장치,여과장치를 연결하고 다시 외부실린더와 순환연결하며 그중, 응집장치는 외부실린더와 연결되어 있는 응집용기 및 응집용기 내에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투척함을 포함하고 있으며 세탁수는 외부실린더에서 배출된 다음 응집용기 내에서 응집처리 과정을 거친다.
여과장치는 여과용기 및 여과용기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유닛을 포함하며 여과용기는 각각 응집용기,외부실린더와 연결되어 있어 응집용기 내에 응집처리를 거친 물이 여과유닛의 여과를 거친 다음 외부실린더로 주입되어 순환사용된다.
나아가서 해당 여과유닛은 여과용기 내부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여과장치는 또한 급수물살을 이용하여 여과유닛을 구동시키며 여과유닛을 세척하는 자동청결유닛을 포함한다.
나아가서 해당 여과유닛은 대롱모양의 여과틀 구조와 여과틀 위에 설치된 여과망을 포함하며 여과틀의 양쪽 끝은 여과용기의 주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한쪽 끝은 회전접자이고 다른 한쪽 끝은 밀폐되어 있다. 해당 여과유닛의 회전축의 방향과 수평면은 일정한 협각 0≤α를 이루며 협각은 0≤α≤30°이다. 여과유닛을 경사로 또는 수평으로 설치함으로써 여과면적을 확대하여 여과속도를 가속화하며 여과망의 청결을 편리하게 한다.
나아가서 해당 여과용기에는 응집용기와 연결되어 있는 여과급수구,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여과 배출구 및 청결과정을 거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수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여과 배출구와 여과유닛은 회전접자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과과정에서의 물살의 경로는 아래와 같다. 응집용기에서 응집된 물은 여과 급수구를 거쳐 여과용기에 주입되고 여과망을 거쳐 대롱모양의 여과틀 내부에 진입하며 끝부분의 회전접자를 거쳐 여과배출구에 의해 배출된다.
나아가서 해당 자동여과 청결유닛은 분사꼭지를 포함하며 분사꼭지는 여과용기에 설치되어 있다. 분사방량은 여과유닛의 표면에 작용하며 여과유닛의 회전을 구동한다. 분사꼭지의 분사방향은 대롱모양의 여과틀의 접선방향에 가까우며 여과유닛과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끔 설치한다. 분사압력과 중력은 여과틀의 표면에 작용하기에 여과유닛의 회전을 구동하는 충격력을 확대시킨다.
나아가서 해당 자동여과 청결유닛은 여과유닛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블레이드는 분사꼭지의 분사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어 여과유닛의 회전을 구동하는 동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세탁기의 물순환 처리방법은 아래와 같다. 세탁이 완료된 다음 배수는 응집장치에 의해 응집처리를 거치고 여과장치에 의해 여과처리를 거치며 다시 외부실린더로 주입되어 헹굼과정이 완료될때까지 위에서 서술한 물처리과정을 반복한다. 이 과정에 응집용기 배출구와 여과 용기 배출구를 오픈하고 외부실린더의 물을 응집용기에 주입시켜 청결을 진행하며 급수로 여과장치를 청결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제자동투입장치를 포함하며 세제자동투입장치은 기존의 기술을 도입하며 최적화한 것으로 급수의 수압을 이용한 펌핑식 세제투입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응집제 투입기도 또한 자동투입구조이며 세탁수의 양과 세탁/헹굼수의 오염정도에 따라 매번 응집처리를 진행할 때 대응되는 양의 응집제를 투입한다. 최적화한 것은 응집제가 편상구조이며 기존의 편상세제를 갖춘 자동투입구조를 응용할수 있으며 응집제가 알갱이일 경우 기존기술 중 정량투입구조를 응용할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세탁한 다음 검측된 세탁수의 오염정도에 근거하여 응집처리 진행여부를 판단한다. 오염정도가 심할 경우 직접 전부 배출한 다음 맑은 물로 헹구며 첫번째 헹굼과정이 끝난 다음 다시 세탁수를 응집처리한다. 또는 오염정도의 범위에 근거하여 일정한 비례 양의 세탁수를 배출한 다음 수돗물을 주입시켜 오염정도를 낮추고 다시 세탁수를 응집순환처리를 거친 다음 헹군과정을 진행한다.
위에서 서술한 기술방법을 응용한 본 발명은 기존의 기술과 비교해 볼때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들을 볼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응집여과 순환절수장치를 응용하여 단 한번의 급수만으로 전체 세탁과정을 진행할수 있으며 세탁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제하에서 물을 최대한 절약할수 있다. 기존의 임펠러와 완전히 다른 디자인의 믹서구조로 응집제와 오염수의 혼합을 가속화시키며 응집제가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가 간단하다. 응집장치와 여과유닛의 자동청결을 실현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응집용기와 여과유닛을 청결하는 절차를 면할수 있기 때문에 자동화수준을 높이고 구조가 간단하며 에너지 소모를 절약할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탁기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응집순환 절수장치의 연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응집장치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또 다른 응집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또 다른 응집장치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믹서유닛과 청결유닛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여과장치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응집장치와 여과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행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도 6에서 보다시피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세탁기의 응집장치5는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급수를 이용하여 내벽을 청결한다. 해당 응집장치5는 응집용기1와 믹서용기를 포함하며 응집용기 내벽을 청결하는 청결유닛을 포함한다. 해당 청결유닛은 임펠러12와 임펠러12의 회전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3를 포함하며 임펠러12를 이용하여 물을 응집용기1의 내벽에 흩뿌려 청결을 진행한다. 믹서유닛은 믹서용기1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믹서모터14,믹서용기1 내부까지 닿은 믹서축15 그리고 믹서축15 위에 설치되어 있는 믹서 임펠러16를 포함한다.
실행사례1
도 3에서 보다시피 본 실행사례에서 서술하는 구동모터13는 응집용기의 윗쪽에 설치되어 있고 믹서모터14는 응집용기1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믹서축15은 위로 연장되어 응집용기1의 내부까지 닿는다.
위에서 서술한 구조외에도 믹서모터14는 응집용기1의 옆측에 설치할 수 있으며 믹서축15는 옆측에서 응집용기1의 내부까지 연장되거나 믹서모터14와 구동모터13은 모두 응집용기의 윗쪽에 설치할수 있다. (도면에 표시되지 않음)
실행사례2
도 4와 도 5에서 보다시피 본 실행사례는 실행사례1의 전제하에서 진일보 개선한 것이다. 임펠러12의 회전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3와 해당 믹서모터14는 동일한 모터인바 즉 구동모터13와 해당 믹서모터14는 같은 모터이다. 해당 임펠러12는 믹서축15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믹서 임펠러16는 믹서축15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임펠러12는 믹서모터14와 가까운 쪽에 있는 믹서축15에 설치되어 있다. 급수가 응집용기1를 청결할 때 믹서모터14가 고속으로 임펠러를 회전시키며 임펠러12 원심력의 작용하에 물이 일정한 속도에 따라 응집용기1 내부 주벽을 청결하게 한다. 물을 흩뿌리는 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믹서모터14를 제어하여 부동한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한다. 하여 물이 응집용기1 내벽의 부동한 높이에 닿게 한다.
본 발명중의 믹서 임펠러16의 휘어진 방향은 믹서축15의 회전방향과 서로 반대된다. 해당 임펠러의 구조는 물살을 휘저어 응집제의 용해를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물살이 지나치게 커져 응집물을 흩어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응집장치는 응집제의 믹서과정에서 믹서모터14는 믹서 임펠러16를 구동하여 믹서 임펠러16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응집용기 내벽을 청결하는 과정에서 믹서모터14는 믹서 임펠러16를 구동하여 믹서 임펠러16의 휘어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임펠러12와 믹서 임펠러16는 같은 믹서축15에 설치되어 있기에 임펠러12는 물을 응집용기1 내벽으로 흩뿌려 청결을 진행한다. 믹서 임펠러16의 구조는 물살을 크게 휘저어 청결을 진행하며 해당 믹서효과는 응집과정에서의 믹서효과와 완전히 반대된다. 뿐만 아니라 청결과정에서 믹서모터14의 회전속도는 응집제 믹서과정에서의 믹서모터14의 회전속도보다 빠르다.
실행사례3
도 5와 도 6에서 보다시피 본 실행사례는 응집용기1 내에는 세탁수 유도박스17가 설치되어 있어 물이 응집용기의 급수구11에 의해 임펠러12로 유도된다. 해당 세탁수 유도박스17의 구조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니며 도 3에서 보다시피 급수구11는 임펠러12의 윗쪽에 있으며 임펠러12까지 물을 주입한다.
위에서 서술한 급수구11를 통해 주입되는 물은 세탁한 후의 물이거나 또는 맑은 물 또는 삼방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각각 수돗물, 세탁기 세탁수 그리고 순환과정에 주입된 세탁을 마친 물과 연결하며 청결할 때 맑은 물을 주입한다.
실행사례4
도 6에서 보다시피 본 실행사례에서 서술하는 임펠러12는 회전판121과 회전판121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엽편122을 포함한다. 엽편122은 회전판121의 중심에서 외부 원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인접하고 있는 엽편122은 회전판121의 표면을 여러 개의 부채형 모양의 물을 흩뿌리는 작은 구역123으로 나눈다. 세탁수 유도박스17는 물을 임펠러의 부채형 구역123으로 유도한다.
나아가서 해당 임펠러의 표면에는 회전판121의 중심과 같은 중심을 갖고 있는 고리형 모양의 강판1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엽편122의 한쪽 끝은 고리형 강판124으로 외부 원주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여러 엽편122은 고리형 강판의 외부구역을 여러개의 작은 구역으로 나누며 세탁수 유도박스는 회전판의 고리형 강판의 외부구역의 윗쪽으로 물을 유도한다. 이 구조는 급수가 골고리 흩뿌리고 물살을 분산시킴으로써 물살이 균일하게 사면의 내벽에 흩뿌려지게 한다.
실행사례5
도4와 도 5에서 보다시피 본 발명의 응집용기1에는 급수구11,응집제 투입구18,응집수 배출구19 및 오염수 배출구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세탁수 유도박스17의 한쪽 끝은 응집용기 급수구11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임펠러12의 윗쪽까지 연장된다. 응집용기1의 하단 내부표면은 하나의 경사면이며 오염수 배출구10는 경사면의 상대적으로 낮은 측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의 최적화한 경사각도는 0에서 10°이며 해당 경사각도는 응집용기의 오염수를 배출하는데 유리하다.
최적화한 것은 두개의 일수구101,10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중 한 일수구101는 응집용기1의 윗쪽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한 일수구102는 응집용기1의 꼭대기에 설치되어 있다. 응집용기 급수구11는 삼방 파이프2와 연결되어 있으며 삼방 파이프2의 다른 두 통로 중 하나는 급수와 연결되어 있고 삼방 파이프2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또 다른 통로는 응집 용기의 꼭대기에 설치되어 있는 일수구102이며 삼방 파이프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해당 구조는 측면에 있는 일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꼭대기의 일수구에 의해 넘쳐나오는 물을 배출한다.
나아가서 해당 응집용기1는 윗면이 뚫린 박스103와 해당 박스를 닫는 윗 덮개104를 포함하며 윗 덮개104에는 급수구11와 응집제 투입구18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13,14는 윗 덮개104에 설치되어 있고 윗 덮개104의 표면과 대응하는 구동모터 축의 주위에는 고리형 밴드105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5 참조요망)
본 발명의 응집용기의 윗 덮개104의 아래표면과 대응하는 모터 축의 주위에는 고리형 밴드105가 반밀폐식 강실을 이루고 있다. 응집용기에 연속으로 물이 공급되면 강실중에는 압축된 기강이 형성되는바 즉 공기밀폐를 실현함으로써 응집용기의 물이 모터 축의 주위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한다.
실행사례6
도 1과 도 2에서 보다시피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세탁기는 와류식 세탁기와 드럼세탁기를 포함할 뿐만아니라 세탁기의 외부실린더3를 포함하며 파이프4에 의해 순서에 따라 외부실린더3,응집장치5,여과장치6를 서로 연결하고 다시 외부실린더3와순환 연결되어 있다. 그중 응집장치5는 외부실린더와 연결되어 있는 응집용기1 및 응집용기1 내에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 투척함51을 포함하고 있으며 세탁수는 외부실린더3에서 배출된 다음 응집용기1 내에서 응집처리 과정을 거친다. 여과장치6는 여과용기 및 여과용기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유닛을 포함하며 여과용기는 각각 응집용기1,외부실린더3와 연결되어 있어 응집용기1 내에 응집처리를 거친 물이 여과유닛의 여과를 거친 다음 외부실린더3로 주입되어 순환사용된다.
실행사례7
도 7에서 보다시피 본 실행사례에서 서술하는 여과유닛은 대롱모양의 여과틀63 구조와 여과틀63 위에 설치된 여과망(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여과틀63의 양쪽 끝은 여과용기61의 주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한쪽 끝은 여과배출구623과 연결되어 있는 회전접자631이고 다른 한쪽 끝은 밀폐되어 있다. 해당 여과유닛의 회전축의 방향L과 수평면R은 일정한 협각 α를 이루며 협각은 0≤α≤30°이다. 여과유닛을 경사로 또는 수평으로 설치함으로써 여과면적을 확대하여 여과속도를 가속화하며 여과망의 청결을 편리하게 한다.
본 실행사례에서 서술하는 여과용기61에는 응집용기1와 연결되어 있는 여과급수구622,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여과 배출구623 및 청결과정을 거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수 배출구6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여과 배출구623와 여과유닛은 회전접자631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8에서 보다시피 해당 여과급수구622는 응집수 배출구19와 연결되어 있고 사이에는 제어밸브62가 설치되어 있다. 여과과정을 거치는 물살의 경로는 아래와 같다. 응집용기에서 응집된 물은 여과 급수구622를 거쳐 여과용기61에 주입되고 여과망을 거쳐 대롱모양의 여과틀63 내부에 진입하며 끝부분의 회전접자631를 거쳐 여과배출구623에 의해 배출된다.
실행사례8
도 1과 도 7에서 보다시피 본 실행사례에서 서술하는 자동여과 청결유닛은 분사꼭지64를 포함하며 분사꼭지64는 여과용기61에 설치되어 있다. 분사방향은 여과유닛의 표면에 작용하며 여과유닛의 회전을 구동한다. 분사꼭지64의 분사방향은 대롱모양의 여과틀63의 접선방향에 가까우며 여과유닛과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끔 설치한다. 분사압력과 중력은 여과틀63의 표면에 작용하기에 여과유닛의 회전을 구동하는 충격력을 확대시킨다.
나아가서 해당 자동여과 청결유닛은 여과틀63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블레이드65를 포함하며(도면1 참조요망) 블레이드65는 분사꼭지64의 분사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어 여과유닛의 회전을 구동하는 동력을 전달한다.
도 7과 도 8에서 보다시피 해당 여과 급수구622와 응집수 배출구19 사이에는 하나의 제어밸브62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세탁기의 물순환 처리방법은 아래와 같다. 세탁이 완료된 다음 배수는 응집장치에 의해 응집처리를 거치고 여과장치에 의해 여과처리를 거치며 다시 외부실린더로 주입되어 헹굼과정이 완료될때까지 위에서 서술한 물처리과정을반복한다. 이 과정에 응집용기 배출구와 여과용기 배출구를 오픈하고 외부실린더의 물을 응집용기에 주입시켜 청결을 진행하며 급수로 여과장치를 청결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제자동투입장치7를 포함하며 세제자동투입장치7은 기존의 기술을 도입하며 최적화한 것으로 급수의 수압을 이용한 펌핑식 세제투입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응집제 투입기51도 또한 자동투입구조이며 세탁수의 양과 세탁/헹굼수의 오염정도에 따라 매번 응집처리를 진행할 때 대응되는 양의 응집제를 투입한다. 응집제가 편상 구조일 경우 기존의 편상세제를 갖춘 자동투입구조를 응용할수 있으며 응집제가 알갱이 또는 가루일 경우 기존기술 중 정량투입구조를 응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서술한 실행사례 중의 실행방식은 진일보로 조합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며 실행사례는 다만 본 발명의 최적화한 실행방식을 설명하였을 뿐 본 발명의 구상과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의 내용을 숙지하고 있는 일반 기술자는 위에서 제시한 기술방법에 의해 개선 또는 변화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보호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1: 응집용기, 5: 응집장치, 10: 오염수 배출구, 11: 급수구, 12: 임펠러, 13: 구동모터, 14: 믹서모터, 15: 믹서축, 16: 믹서 임펠러, 17: 유도박스, 18: 응집제 투입구, 19: 응집수 배출구, 51: 응집제 투척함, 62: 제어밸브, 63: 여과틀, 64: 분사꼭지, 65: 블레이드 101, 102: 일수구, 104: 윗덮개, 105: 고리형 밴드, 121: 회전판, 122: 엽편, 123: 구역, 124: 강판, 622: 여과 급수구, 623: 여과배출구, 631: 회전접자

Claims (16)

  1. 응집용기와 믹서유닛을 포함하고, 또 응집용기 내벽을 청소하는 청결유닛을 포함하며, 청결유닛은 임펠러와 임펠러의 회전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임펠러는 물을 응집용기의 내벽으로 물을 흩뿌려 청결을 진행하는,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응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해당 믹서유닛은 응집용기 외부에 설치된 믹서모터, 응집용기 내부까지 닿아있는 믹서축 그리고 믹서축 위에 설치된 믹서 임펠러를 포함하는,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응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해당 구동모터는 해당 믹서모터이며 해당 임펠러는 동축으로 믹서축에 설치되어 있으며 믹서모터와 믹서 임펠러 사이에 위치하는,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응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해당 믹서 임펠러의 휘어진 방향은 믹싱 과정에서 믹서 임펠러의 회전방향과 서로 반대되는,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응집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임펠러는 회전판과 회전판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엽편을 포함하고, 엽편은 회전판의 중심에서 외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인접하고 있는 엽편은 회전판의 표면을 여러 개의 부채형 모양의 물을 흩뿌리는 작은 구역으로 나누는,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응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해당 임펠러의 회전판 표면에는 회전판의 중심과 같은 중심을 갖고 있는 고리형 모양의 강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엽편의 한쪽 끝은 고리형 강판으로부터 외부 원주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는,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응집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응집용기에는 세탁수 유도박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쪽 끝은 응집용기의 급수구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임펠러 윗쪽까지 연장되며 세탁수 유도박스에서 배출된 물은 엽편의 부채형 구역으로 유도되는,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응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응집용기에는 급수구, 응집제 투입구, 응집수 배출구 및 오염수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응집용기 하단의 내부표면은 경사면이며 응집수 배출구와 오염수 배출구는 경사면의 상대적으로 낮은 쪽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응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해당 응집용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일수구(overflow opening)가 설치되어 있으며 최적화한 것은 두개의 일수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그 중 한 일수구는 응집용기의 측부 윗쪽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한 일수구는 응집용기의 꼭대기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응집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응집용기는 윗면이 뚫린 박스와 해당 박스를 닫는 윗 덮개를 포함하며 윗 덮개에는 급수구와 응집제 투입구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는 윗 덮개에 설치되어 있고 윗 덮개의 표면과 대응하는 구동모터 축의 주위에는 고리형 밴드가 설치되어 있는,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응집장치.
  11. 외부실린더를 포함하며 파이프 라인을 통해 순서에 따라 외부실린더,응집장치,여과장치를 연결하고 다시 외부실린더와 순환연결하며,
    응집장치는 외부실린더와 연결되어 있는 응집용기 및 응집용기 내에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투척함을 포함하고 있으며 세탁수는 외부실린더에서 배출된 다음 응집용기 내에서 응집처리 과정을 거치고,
    여과장치는 여과용기 및 여과용기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유닛을 포함하며 여과용기는 각각 응집용기, 외부실린더와 연결되어 있어 응집용기 내에 응집처리를 거친 물이 여과유닛의 여과를 거친 다음 외부실린더로 주입되어 순환사용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응집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해당 여과유닛은 여과용기 내부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여과장치는 또한 급수물살을 이용하여 여과유닛을 회전, 분사 구동시키며 여과유닛을 세척하는 자동청결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해당 여과유닛은 대롱모양의 여과틀 구조와 여과틀 위에 설치된 여과망을 포함하며 여과틀의 양쪽 끝은 여과용기의 주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한쪽 끝은 회전접자이고 다른 한쪽 끝은 축방향으로 밀폐되어 있고, 해당 여과유닛의 회전축의 방향과 수평면은 협각 α를 이루며 협각은 0≤α≤30°인,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해당 여과용기에는 응집용기와 연결되어 있는 여과급수구,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여과 배출구 및 청결과정을 거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수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여과 배출구와 여과유닛의 회전접자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세탁기.
  15. 제12항에 있어서, 해당 자동청결유닛은 분사꼭지를 포함하며 분사꼭지는 여과용기에 설치되어 있고, 분사방향은 여과유닛의 표면에 작용하며 여과유닛의 회전을 구동하는, 세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해당 자동청결유닛은 여과유닛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블레이드는 분사꼭지의 분사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어 급수 물살에 의한 여과유닛의 회전을 구동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세탁기.
KR1020167029648A 2014-03-27 2014-06-12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응집장치 및 그 세탁기 KR201601308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118981.X 2014-03-27
CN201410119225.9A CN104947385B (zh) 2014-03-27 2014-03-27 一种洗衣机循环用水处理装置及洗衣机
CN201410119225.9 2014-03-27
CN201410118981.XA CN104947384B (zh) 2014-03-27 2014-03-27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洗衣机絮凝装置及洗衣机
PCT/CN2014/079776 WO2015143785A1 (zh) 2014-03-27 2014-06-12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洗衣机絮凝装置及洗衣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855A true KR20160130855A (ko) 2016-11-14

Family

ID=5419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648A KR20160130855A (ko) 2014-03-27 2014-06-12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응집장치 및 그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37987A1 (ko)
EP (1) EP3128065B1 (ko)
JP (1) JP6428785B2 (ko)
KR (1) KR20160130855A (ko)
WO (1) WO2015143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8642B (zh) * 2014-05-08 2019-04-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6958122B (zh) * 2016-01-12 2019-12-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絮凝搅拌装置及洗衣机以及洗衣机控制方法
US10513450B2 (en) 2016-06-23 2019-12-24 Colgate-Palmolive Company Wastewater filtration system
US11039728B2 (en) * 2017-02-28 2021-06-22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appliance having a recirculation circuit
EP3596458A4 (en) * 2017-03-15 2021-01-27 Orbital Systems AB TIME OPTIMIZATION IN A DEVICE USING WATER FOR A CLEANING PROCESS
WO2018169471A1 (en) 2017-03-15 2018-09-20 Orbital Systems Ab Water use optimization in a device utilizing water for a cleaning procedure
US11691899B2 (en) 2019-12-23 2023-07-04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with coagulant dosing system
GB2593465A (en) * 2020-03-23 2021-09-29 Fresh Works Ltd Filter for a treatment apparatus
USD1005862S1 (en) * 2022-06-22 2023-11-28 Gabriel Santiago Electronic object loc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8124A (en) * 1941-06-06 1944-05-02 Infilco Inc Liquid treatment
GB962386A (en) * 1963-04-08 1964-07-01 Insinooritoimisto Engineeringb An improved hydraulic classifier
JP3953277B2 (ja) * 2001-02-02 2007-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US6402962B1 (en) * 2000-07-26 2002-06-11 Maytag Corporation Self-cleaning filter with bypass
JP2002119794A (ja) * 2000-10-16 2002-04-23 Sharp Corp 洗濯機
JP2002292193A (ja) * 2001-03-29 2002-10-08 Sharp Corp 洗濯機
JP2003093859A (ja) * 2001-09-21 2003-04-02 Kimihiko Okanoe 気液混合装置
CN1316110C (zh) * 2002-06-07 2007-05-1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漂洗用水的净化系统及漂洗控制方法
US20050011543A1 (en) * 2003-06-27 2005-01-20 Haught John Christian Process for recovering a dry cleaning solvent from a mixture by modifying the mixture
JP2006085124A (ja) * 2004-08-20 2006-03-30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粉体収納容器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200459982Y1 (ko) * 2007-08-29 201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용 배수펌프
JP2009226360A (ja) * 2008-03-25 2009-10-08 Sanyo Electric Co Ltd 溶剤浄化装置および溶剤濾過装置
CN201258412Y (zh) * 2008-10-24 2009-06-17 卢菁 一种洗衣机废水循环利用装置
KR20110039981A (ko) * 2009-10-13 2011-04-20 임금용 세탁용 이온수 공급 장치
EP2325377A1 (en) * 2009-11-23 2011-05-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filter for the draining circuit
US8251399B2 (en) * 2009-11-24 2012-08-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strument panel energy absorption systems
JP5906255B2 (ja) * 2010-12-24 2016-04-20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凝集方法および装置
US9598807B2 (en) * 2012-08-10 2017-03-21 Whirlpool Corporation Lid lock for household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8065A1 (en) 2017-02-08
EP3128065A4 (en) 2018-01-24
EP3128065B1 (en) 2019-03-20
JP6428785B2 (ja) 2018-11-28
US20170137987A1 (en) 2017-05-18
WO2015143785A1 (zh) 2015-10-01
JP2017514540A (ja)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0855A (ko)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응집장치 및 그 세탁기
KR20160134851A (ko) 자동청결기능을 구비한 순환 절수 여과장치 및 그 세탁기
EP3141652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088697B (zh) 一种絮凝节水洗衣机及控制方法
CN104947385B (zh) 一种洗衣机循环用水处理装置及洗衣机
CN104514122A (zh) 一种絮凝洗衣机
CN104947384B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洗衣机絮凝装置及洗衣机
JP6749340B2 (ja) 洗濯機および制御方法
CN104975475B (zh) 一种洗衣机用过滤网自清洁方法及洗衣机
CN104947374A (zh) 洗衣机絮凝过滤循环用水装置及洗衣机
CN104947387A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洗衣机循环节水过滤装置及洗衣机
CN107663736B (zh) 一种絮凝洗衣机
CN111286922B (zh) 一种滚筒洗衣机
CN105274793B (zh) 一种洗衣机的絮凝容器搅拌结构及洗衣机
CN104947376B (zh) 一种洗衣机絮凝清洗搅拌装置及控制方法
CN106032626A (zh) 一种洗衣机及清洁絮凝桶的控制方法
CN105088641A (zh) 一种洗衣机循环用水处理模块及洗衣机
WO2017128949A1 (zh) 一种絮凝洗衣机
CN105088699A (zh) 一种洗衣机絮凝处理水控制方法及洗衣机
CN104947375B (zh) 一种洗衣机循环过滤清洗装置及清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