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835A - 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835A
KR20160129835A KR1020167019155A KR20167019155A KR20160129835A KR 20160129835 A KR20160129835 A KR 20160129835A KR 1020167019155 A KR1020167019155 A KR 1020167019155A KR 20167019155 A KR20167019155 A KR 20167019155A KR 20160129835 A KR20160129835 A KR 20160129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ortion
flap
fold line
stopper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931B1 (ko
Inventor
리차드 비. 램버트
데이비드 에이. 바나르스데일
캐롤린 이. 바나르스데일
게렛 시머
Original Assignee
월리 프로덕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리 프로덕츠, 엘엘씨 filed Critical 월리 프로덕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12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는 저부 상에 놓인 상부를 포함한다. 상부의 부분은 저부에 부착된다. 상부의 미부착부는 상부의 부착부의 바로 옆에 하나 이상의 눈금선과 같은 가요성 조인트를 포함한다. 상부의 미부착부는 저부에 대해 >0° 및 <180°의 각도를 갖는 선택적으로 가변 위치로 저부 상에 놓인 위치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저부는 상부의 미부착부에 가장 근접한 그 단부에 정지부를 가질 수 있다. 지지될 물체는 장치의 저부 상에 배치되고 그 개방 위치에서 미부착 상부에 대해 기댄진다. 물체는 정지부에 의해 저부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물체가 지지된다. 장치는 신용 카드 크기일 수도 있고, 배터리 충전기 및/또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APPARATUS FOR SUPPORTING OBJECT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발명의 명칭이 "하나 이상의 무수한 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사용 방법(An Apparatus for Supporting One or More Myriad Objects and Method of Using Same)"인 2013년 12월 20일 미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미국 특허 출원 제61/919,656호를 부여받은 이전에 출원된 계류중인 공동 소유된 미국 가특허 출원을 우선권 주장하고 이익을 청구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무수한 디바이스를 지지할 수도 있는, 더 구체적으로는 단지 예로서, 휴대폰, 패블릿(phablet)(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조합), 및 태블릿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를 지지할 수도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부가의 또는 대안적인 기능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통신 기술은 계속 진화하고 있다. 현재, 사용자는 다른 사람들과 통신하기 위해, 책 또는 잡지를 읽기 위해, 그 또는 그녀가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한 비디오 또는 영화를 시청하기 위해, 라이브 스포츠 또는 다른 이벤트를 시청하기 위해, 온라인 쇼핑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다른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휴대할 수도 있다.
적합하게는, 무선 디바이스는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이들이 어디를 가더라도 무선 디바이스를 소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치수 설정된다. 예를 들어, 어머니는 그녀의 아이의 선생님과 부모-교사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화상 통화를 거쳐 그녀의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직장인은 점심 식사를 하면서 그 또는 그녀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플레이오프 게임을 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는 그 또는 그녀의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그 또는 그녀의 교과서를 읽을 수도 있는 학생의 것이다.
현재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편익 중에, 이들 무선 디바이스는 비교적 소형이고 경량일 수도 있으며, 손에, 주머니 또는 지갑에 또는 케이스에 즉시 휴대될 수도 있다. 또한, 이 편익은 그 결점을 가질 수도 있다. 그녀의 아이의 선생님과 FaceTimeTM을 하기 위해 그녀의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어머니는 예를 들어, 파티가 "대면(face-to-face)"하도록 그녀의 무선 디바이스를 잡거나 받쳐야 한다. 점심 식사를 하면서 그 또는 그녀의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플레이오프 게임을 시청하는 직장인은 그 또는 그녀가 동시에 게임을 보면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를 잡거나 받쳐야 한다. 그 또는 그녀의 디바이스 상에서 그 또는 그녀의 교과서를 읽고 있는 학생은 책을 읽으면서 그리고 필기를 하면서 또는 다른 방식으로 교과서를 공부하면서 그 또는 그녀의 디바이스를 잡거나 받쳐야 할 수도 있다.
화상 회의와 같은 활동을 수행하면서 무선 디바이스를 잡고 있는 것, 플레이오프 게임을 보면서 식사하는 것, 및 책을 읽고 필기를 하면서 공부하는 것은 피곤하고 그리고/또는 불편할 수 있다. 어머니의 팔은 그녀가 그녀의 아이의 선생님과 "대면"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잡고 있는 것에 피로가 증가할 수도 있다. 직장인은 그 또는 그녀가 플레이오프 게임을 시청할 수 있고, 또한 사회적으로 수락 가능한 방식으로 그 또는 그녀의 점심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한 손으로 무선 디바이스를 잡고 있는 것이 불편한 것을 발견할 수도 있다. 학생은 교과서를 읽기 위해 그 또는 그녀의 무선 디바이스를 잡고 있을 수도 있지만, 필기를 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내려놓아야 하거나 동시에 디바이스를 잡고 필기를 하는데 있어서 위치설정에 불편함에 직면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를 잡고 있어야 하지 않기 위해, 사용자는 물체에 대해 이를 받칠 수도 있다. 그러나, 물체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를 받치는 것은 이러한 물체가 이용 가능하고 목적을 위해 적합할 때에만 가능하다. 점심 식사를 하는 직장인은 그 또는 그녀가 이러한 컵을 갖는 경우에 그의 음료컵에 대해 그 또는 그녀의 디바이스를 받칠 수도 있지만, 이 컵은 적합한 크기가 아닐 수도 있고 또는 적합한 받침각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디바이스에 대해 위험할 수도 있다(젖는 것과 같이). 그리고,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음료를 한모금 마시기를 원할 때마다, 그 또는 그녀는 무선 디바이스를 위치설정 해제하고, 무선 디바이스를 잡고, 음료를 마시고, 이어서 디바이스를 재위치설정해야 한다.
무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견망하기(viewing) 위해 물체에 대해 그 또는 그녀의 디바이스를 받치는 것보다는, 사용자는 무선 디바이스를 받치기 위해 특정하게 설계된 거치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간단히 받치는 것과 관련하여, 종래의 거치대를 사용하는 것은 그 단점을 갖는다. 제1 단점은 무선 디바이스가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편리한 견망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받치기 위한 거치대를 일체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의 부속품으로서 받침대로서 사용을 위한 거치대를 획득해야 한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는 거치대를 구매하기 위해 가외의 비용을 소비해야 할 수도 있다. 거치대가 무선 디바이스를 판매하는 동일한 객체로부터 구매를 위해 입수 가능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무선 디바이스의 판매자와는 상이한 장소에 위치될 수도 있는 상이한 판매자를 방문해야 할 수도 있다.
더욱이, 몇몇 경우에, 사용자는 "범용" 거치대를 사용하기보다는 그 또는 그녀의 무선 디바이스에 맞춰지도록 특정하게 설계된 거치대를 구매해야 할 수도 있다. 재차, 무선 디바이스의 판매자가 구매를 위해 입수 가능한 이러한 특정하게 설계된 거치대를 갖지 않으면, 사용자는 특정한 거치대를 판매하는 누군가를 찾아야 할 수도 있는데, 이는 다수의 여기저기의 쇼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종래의 거치대를 사용하는 다른 문제점은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무선 디바이스와 함께 그 또는 그녀의 거치대를 휴대하는 것을 망각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거치대가 충전 등을 위해서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면, 무선 디바이스와 함께 거치대를 휴대하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종래의 거치대를 사용하는 단점은 거치대가 무겁고, 이상한 형상이고, 그리고/또는 크게 치수 설정될 때 무선 디바이스용 거치대를 "휴대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직장인은 점심 식사를 위해 사무실을 떠날 때 그 또는 그녀의 무선 디바이스를 셔츠 또는 바지 주머니 내로 미끄러지게 넣는 것이 용이한 것을 발견할 수도 있지만, 무선 디바이스와 함께 동일한 주머니 내에 대형의 무거운 거치대를 끼워넣는 것은 어렵다는 것을 발견할 수도 있다. 거치대는 별도로 휴대되어야 할 수도 있는데, 이는 거치대의 분실, 거치대를 휴대하기 적합한 무언가의 소지, 사용자가 거치대와 함께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하기를 원할 때 거치대를 즉시 발견하는 것, 및 사용자가 무선 디바이스를 종료할 때 그 캐리어 내에 거치대의 배치와 같은 문제점을 유도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을 위한 종래의 거치대의 다른 단점은 거치대가 사용이 복잡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종래의 거치대는 회수되고, 펼쳐지거나 또는 풀러질 수도 있고, 그 부분은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구성되어야 할 수도 있다. 종래의 거치대의 구성은 이러한 구성이 복잡하면 사용자가 얼마간의 시간을 소요할 수도 있다. 직장인은 그 또는 그녀의 플레이오프 게임의 일부를 놓칠 수도 있거나 또는 플레이오프 게임을 시청함으로써 그 또는 그녀의 휴식시간을 즐기는 것보다는 거치대의 구성을 알아내기 위해 적어도 그 또는 그녀의 점심 시간의 일부를 허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견망할 때 이들의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를 잡고 있을 필요를 사용자로부터 완화하기 위해 종래 기술보다 더 편리한 장치 및/또는 방법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사용자에 의한 요구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무수한 물체를 지지하고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갑 또는 핸드백의 신용 카드 슬롯 또는 다른 소형 공간 내에 그 폐쇄 위치에서 편리하게 휴대될 수도 있는 신용 카드 크기 장치로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신용 카드 크기보다 소형 또는 대형으로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그 저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하여 들어올려지는 그 상부의 부분으로서 커버를 갖는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물체는 들어올려진 커버와 저부 사이에 지지되고/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지지된/디스플레이된 물체는 장치에 의해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되고/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는 임의의 것일 수도 있다. 특히,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이북 리더, 패블릿(휴대폰과 태블릿 컴퓨터의 조합), 태블릿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를 지지하고/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손으로 물체를 잡을 필요가 없이, 스마트폰 상에서 비디오를 시청하고, 이북을 독서하고, 또는 태블릿 컴퓨터를 정독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의 손은 식사를 하고, 필기를 하고, 뜨개질을 하고, 그리고/또는 임의의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도록 자유롭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손으로 플레이어를 잡을 필요가 없이, FaceTimeTM과 같은 화상 회의 및/또는 화상 통화에 연계될 수도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셋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용은 필기를 하고, 손짓을 하는 등을 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을 자유롭게 최적으로 남겨둔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신용 카드 크기의 실시예와 같은 실시예의 일부가 주머니, 핸드백 또는 캐리어 내의 무선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휴대될 수도 있고, 심지어 사용자의 지갑의 신용 카드 슬롯 내에 휴대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아이폰(iPhone), 아이패드(iPad), 또는 킨들(Kindle)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의 핸즈프리 지지/디스플레이가 기회가 자체로 제시될 때마다 신속하고 손쉽게 셋업될 수도 있도록 용이한 셋업의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분 상에 간단한 작용에 의해 손쉽게 분해될 수도 있다. 일단 폐쇄되면, 본 발명은 작은 두께를 갖고 편평하게 되어 작은 공간 내에 사용자에 의해 즉시 보관되어 휴대되고, 즉시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디바이스와 조합된 작업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목줄(lanyard)로 휴대되거나 착용된 사원과 같은 패스 카드의 부분과 조합되거나 제조될 수도 있고, 집회 참가자가 집회에 이벤트에 입장권을 얻기 위해 착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용 카드, 또는 직불 카드, 멤버쉽 카드 등과 같은 다른 카드의 부분과 조합되거나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메모리 저장 유닛, 또는 전자 디바이스용 배터리 또는 배터리 충전기와 같은 편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광고, 장식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실시예는 상이한 컬러, 텍스처 등의 요소를 가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사유화하고, 이를 장식하고, 정보를 보유하는 등을 위해 상부 및/또는 저부 상에 마킹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상의 마킹은 몇몇 실시예에서 소거 가능하거나 제거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용 카드 크기의 장치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고, 전술된 것들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하고,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바이스용 거치대로서 설명될 수도 있다. 거치대는 상부측을 갖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저부를 갖는다. 저부는 저부의 상부측의 더 짧은 측면을 따라 배치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스토퍼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스토퍼는 스토퍼가 그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저부의 더 짧은 측면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스토퍼는 그 길이 미만의 폭을 갖는다. 스토퍼는 적어도 저부 및 상부의 조합된 두께만큼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스토퍼와 저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락에 먼저 언급된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재료의 제1 부분이 스토퍼와 상부 상의 절첩선 아래에 있고 그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저부의 상부측 상의 선 사이에서 거치대의 저부의 상부측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다. 거치대의 상부는 또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편평하고, 스토퍼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저부의 상부측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고, 상부에 대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스토퍼에 의해 덮여지지 않은 저부의 상부측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부는 상부측 및 하부측을 갖는다. 이 디바이스에서, 상부 및 저부는 스토퍼와 함께, 상부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신용 카드의 크기일 수도 있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직사각형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치설정 재료의 제2 부분이 스토퍼에 인접한 상부의 짧은 측면과 상부의 상부측 상의 절첩선 아래에 있고 그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부의 하부측 상의 선 사이에서 상부의 하부측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다. 위치설정 재료의 제1 및 제2 부분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이전의 2개의 단락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상부의 하부측은 스토퍼에 인접한 그 짧은 측면에 대향하는 상부의 짧은 측면과 상부의 상부측 상의 절첩선 아래에 있고 그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부의 하부측 상의 선 사이에서 저부의 상부측에 연결된다. 절첩선은 상부의 상부측 내로 눈금새겨지고, 절첩선은 상부의 짧은 측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짧은 측면들 사이에 있어, 상부의 연결되지 않은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저부의 정상부의 그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격하여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부의 연결되지 않은 부분의 일부가 절첩선을 따라 굴곡하여 상부가 그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부의 하부측 상의 위치설정 재료의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게 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원래 절첩선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약간 이격되고 그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부가의 절첩선을 그 디바이스의 상부 내에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전의 3개의 단락에 설명된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저부의 상부측 상에 위치설정 재료의 제1 부분의 일부 상에 배치된 디바이스의 일 부분을 가짐으로써, 그리고 그 개방 위치에서 연결되지 않은 상부의 하부측 상에 위치설정 재료의 제2 부분의 일부에 대해 배치된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을 가짐으로써, 그 개방 위치에서 저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부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설명될 수도 있다. 물체를 지지하는 것 이외에, 장치는 범용 직렬 버스(USB)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 장치는 장치가 폐쇄될 때 상부측을 갖는 저부 및 저부의 상부측에 놓인 상부를 포함한다. 저부는 물체가 충전 가능하면 에너지로 물체를 충전하기 위한 플러그(및/또는 다른 요소)를 갖는 배터리 충전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전의 단락에 먼저 설명된 장치를 계속 참조하면, 상부의 제1 부분은 저부에 부착되고, 상부의 제2 부분은 상부의 제1 부분에 인접하고 저부에 부착되지 않는다. 상부의 제2 부분은 상부의 제1 부분의 바로 옆에 가요성 조인트를 가져, 상부의 제2 부분이 저부에 대해 0도 초과 및 180도 미만의 각도를 갖는 선택적으로 가변적인 위치로 저부의 상부측 상에 놓인 위치로부터 들어올려질 수도 있게 된다. 저부는 상부의 제2 부분에 가장 근접한 그 단부에 정지부를 갖는다. 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물체의 일 부분은 저부 상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정지부에 의해 저부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물체의 다른 부분은 제2 부분이 저부에 대해 0도 초과 그러나 180도 미만의 각도를 갖는 위치에 있을 때 상부의 제2 부분에 대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전의 2개의 단락에 설명된 장치에서, 가요성 조인트는 그 상부측에서 상부의 제2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그리고 상부의 제1 연결된 부분 부근에 있는 눈금선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부가의 눈금선(또는 눈금선과 동일한 기능성을 성취하는 특징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눈금선은 상부의 제2 연결되지 않은 부분이 상부의 제1 연결된 부분으로의 그 연결부에서 굴곡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요성 조인트는 그 상부측에서 상부의 제2 연결되지 않은 부분 내에 제2 눈금선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2 눈금선은 눈금선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무선 디바이스를 직립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기부의 상부 상에 플랩을 갖는 기부를 갖고, 플랩의 일 부분은 기부에 연결된다. 기부에 연결되지 않은 플랩의 부분은 플랩의 연결된 부분 둘레로 피벗하는 플랩의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기부로부터 이격하여 개방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여 플랩의 연결되지 않은 부분이 기부에 대해 180도 미만 및 0도 초과의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기부로의 그 연결부 부근에서 플랩 내에 굴곡부를 생성하기 위해 기부로의 플랩의 연결부 부근에서 그에 평행한 플랩의 상부의 적어도 하나의 눈금선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유사한 기능을 담당하는 하나 또는 부가의 눈금선 또는 특징부(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기부 상에 무선 디바이스의 부분을 배치하고 무선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을 그 개방 위치에서 플랩에 대해 기댐으로써 플랩이 무선 디바이스를 직립 자세로 지지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재고로부터 그리고 첨부 도면 및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더 명백하게 이해되고 인식될 수도 있다.
도 1은 휴대폰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시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태블릿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시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폐쇄 위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개방 위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a는 그 수직 위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시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측면 사시도를 포함하는 사진이다.
도 5b는 그 수평 위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시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도를 포함하는 사진이다.
도 6은 폐쇄 위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 측면 사시도이다.
도 7a는 폐쇄 위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폐쇄 위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뱃지와 함께 사용시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a는 장식부를 갖는 폐쇄 위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b는 폐쇄 위치에서 도 9a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 대안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리고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상세한 설명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방식의 단지 일부일 뿐이다. 본 발명의 요소 및/또는 동작은 본 명세서의 설명과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이한 순서로 조립되고, 연결되고,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취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무수한 물체를 지지하고 그리고/또는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는 물체의 유형, 크기, 및 중량은 사용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크기 및 강도 또는 지지력에 일반적으로 의존할 수도 있다. 신용 카드 크기인(약 3 인치×2 인치×약 1/8 인치) 본 발명의 예 또는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신용 카드 크기 실시예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본 발명의 예는 일반적으로 라운딩된 코너(rounded corners)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재차, 본 발명은 라운딩된 코너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강성 폴리염화비닐(강성 PVC 또는 RPVC), 가요성 폴리염화비닐(가요성 PVC), 실리콘 고무, 폴리에스터(PE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사란(Saran)],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폴리아미드(PA)(나일론),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에틸렌/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PE/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PC/ABS), 폴리우레탄(PU), 열가소성 물질, 강,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다른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 재료, 다른 금속 재료, 복합 재료, 에폭시, 수지, 목재, 또는 다른 유사한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제조된 본 발명의 예가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다수의 층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재료를 사용하여 압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거치대", "장치",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카드", "도크(dock)", "홀더", "받침대", "지지대" 및/또는 "트레이"라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지지될 수도 있는 물체는, 특히 안드로이드 폰(Android phones), 미술품, 물품, 인증서, 상장, 야구 카드, 책, 카메라, 카드, 케이스, 휴대폰, 도자기, 증명서, 밑받침(coasters), 조개 껍질 포장, 콤팩트 디스크,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디지털 사진 디스플레이, 졸업장, 디스크,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케이스, 전자 슬라이드쇼 디스플레이, 전자북 리더, 액자,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디바이스, 연하장, 아이패드, 아이폰, 아이팟(iPod), 설명서, 보석 케이스, 면허장, 잡지, 언행록(memorabilia), 핸드폰, 킨들, 미러, 명패(name plate), 내비게이션 유닛, 신문, 노키아 폰(Nokia phones), 누크(Nooks), 광학 디스크, 포장, 호출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패블릿, 사진, 그림, 그림 액자, 휴대형 미디어(MP) 플레이어, 엽서, 조리법, 등록증, 판매용 포장, 삼성 폰(Samsung phones), 스마트폰, 스테인드 글래스(stained glass), 수퍼폰(superphone), 태블릿, 태블릿 컴퓨터, 태블릿 리더, 타일, 비디오 카메라, 비닐 레코드 앨범, 무선 유닛, 및 이러한 프린트 타일의 미술 작품과 같은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갖는 일반적으로 편평하고 대부분 2차원인 물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체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 또는 유사한 용어라 칭할 수도 있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거치대(10)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12)를 지지하는 것으로서(음영으로) 도시되어 있다. 거치대(10)가 휴대폰(12)과 같은 물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거치대(10)는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이라 칭한다. 거치대(10)의 요소가 서로에 대해 편평하게 놓일 때, 예를 들어 물체를 지지하지 않을 때, 거치대는 그 폐쇄 위치에 있는 것이라 칭한다. 예시적인 거치대(10)가 폐쇄될 때, 이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얇고, 라운딩된 코너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점에서 크기 및 형상이 신용 카드와 유사하다. 도 3은 폐쇄 위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80)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이한 설명을 위해, 예시적인 직사각형 거치대(10)의 기다란 측면은 그 길이를 규정하고, 짧은 측면은 그 폭을 규정한다. 동일한 명명법이 다른 직사각형 물체에 대해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도 1의 예시적인 거치대(10)는 동일한 일반적인 크기 및 형상 및 두께의 2개의 요소: 저부(14) 및 상부(16)로 구성된다. 거치대(10)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부(16)의 하부측은 거치대(10)의 저부(14)의 상부측을 덮고, 인접하여 접촉한다. 예시적인 거치대(10)가 2개의 요소(14, 16)를 갖는 것이라 칭하더라도, 이들 요소는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거치대(10)에서, 저부(14) 및 상부(16)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저부(14) 및 상부(16)는 하나 이상의 층을 갖고 각각 압출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저부(14) 및 상부(16)는 강성 PVC의 하나 이상의 층 및/또는 가요성 PVC의 하나 이상의 층을 각각 갖는다. 실리콘 고무와 같은 다수의 다른 상이한 재료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저부(14) 및 상부(16)는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강성 PVC의 층 및 고마찰 외부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요성 PVC의 제2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거치대(10)는 신용 카드 크기를 갖는다. 거치대(10)는 신용 카드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신용 카드는 폴리염화비닐 아세테이트(PVCA)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보안 패스 카드, 스와이프 패스 카드, 인서트 리더 패스 카드, 또는 근접도 리더 패스 카드와 같은 패스 카드와 동일한 크기이도록 그리고 심지어 패스 카드로서 기능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이들 카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는 패스 카드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다른 예로서, 예시적인 거치대(10)는 사용자에 의해 기록되거나, 소거 가능하거나 소거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는 재료로 제조되거나 덮여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 소유권을 식별하기 위해 거치대(10) 상에 그/그녀의 이름을 기록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거치대(10)의 상부(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분(18, 20): 지지부(18) 및 부착부(20)를 갖는다. 용어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16)의 지지부(18)는 거치대(10)가 디스플레이 용도로 사용될 때 디스플레이되는 물품 또는 물체를 지지한다. 또한 용어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16)의 부착부(20)는 거치대(10)의 저부(14)에 부착된다. 상부(16)의 부착부(20)는 거치대(10)가 개방 위치에 있건 또는 폐쇄 위치에 있건간에 거치대(10)의 저부(14)에 부착 유지된다.
상부(16)의 2개의 부분(18, 20)은 힌지(22)에 의해 분리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힌지(22)는 상부(16)의 상부의 재료에 취약선 또는 향상된 가요성의 선(또한 눈금선 또는 눈금부라 칭함)이다. 힌지(22) 또는 힌지(22) 및 주위 영역은 굴곡하여 피로 부하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힌지(22)[및/또는 힌지(22)를 둘러싸는 영역]는 가요성 PVC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취약선(22)은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상부(16)의 짧은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달리 말하면, 힌지(22)는 예시적인 거치대(10)의 폭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힌지(22)는 본 실시예에서 거치대(10)의 길이를 따라 그리고 수직으로 약 2/5 지점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를 가짐으로써, 힌지(22)는 상부(16)의 부착부(20)보다 작도록 상부(16)의 지지부(18)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16)의 지지부(18)는 상부의 약 40%이다. 특히, 상부(16)의 지지부(18)는 상부(16)의 부착부(20)보다 길이가 짧다. 지지부(18) 및 부착부(20)는 동일한 폭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는 변형될 수도 있다.
상부(16) 내의 힌지(22)는 폐쇄 위치로부터 가변 개방 위치를 통해 거치대(10)의 최대 개방 위치로 지지부(18)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지지부(18)의 폐쇄 위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거치대(10)의 저부(14)의 상부에 평행하게 그 위에 놓인다. 거치대(10)를 개방 또는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거치대(10)의 저부(14)로부터 이격하여 상부(16)의 지지부(18)를 잡아당길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저부(14)로부터 이격하여 상부(16)의 지지부(18)의 들어올림을 성취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지지부(18)를 잡아당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 짧은 측면(26a, 26b) 중 어느 하나에서 지지부(18)를 파지하고 위로 잡아당길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저부(14)로부터 이격하여 상부(16)의 지지부(18)의 미부착된 기다란 측면(28)을 잡아당기기 위해 그/그녀의 엄지손가락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저부(14)로부터 이격하여 지지부(18)를 잡아당길 때, 지지부(18)는 힌지(22) 상에서 또는 둘레에서 피벗한다. 사용자가 지지부(18)를 계속 잡아당김에 따라, 이는 저부(14)로부터 이격하여 원호형으로 계속 이동한다.
더 구체적으로, 힌지(22)에서 저부(14)와 지지부(18) 사이의 내각(24)은 거치대(10)의 가변 개방 위치를 규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거치대를 개방하기 위해, 상부(16)의 지지부(18)는 저부(14)에 대해 0도를 갖는 그 폐쇄 위치로부터 0도 초과의 각도를 갖는 위치로 이동된다. 지지부(18)는 힌지(22) 상에서 피벗하여 거치대(10)의 개방 위치가 더 완전히 개방함에 따라 지지부(18)가 저부(14)에 대해 더 큰 크기의 각도의 위치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거치대(10)의 최대 개방 위치는 지지부(18)가 거치대(10)의 저부(14)에 대해 그 최대 각도(24)에 위치될 때 성취된다. 거치대의 최대 개방 위치는 힌지(22)가 지지부(18)를 거치대(10)의 저부(14)로부터 이격하는 것을 허용하는 양만큼 규정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각도(24)는 힌지(22)에서 지지부(18)와 저부(14) 사이의 내각이다.
도 1은 지지부(18)와 거치대(10)의 저부(14) 사이에 약 90도의 개방 위치에서 예시적인 거치대(10)를 도시한다. 달리 말하면, 상부(16)의 지지부(18)는 이 도면에서 예시적인 거치대(10)의 저부(14)에 일반적으로 수직이다. 다른 실시예는 변형될 수도 있다.
지지부(18)가 거치대(10)의 저부(14)로부터 이격하여 들어올려질 때, 저부(14)의 부분(30)은 노출된다. 본 실시예(10)에서, 노출된 저부 부분(30)은 상부(16)의 지지부(18)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이다.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은 무선 디바이스(12)(음영으로 도시됨)를 지지하는 예시적인 거치대(10)를 도시한다. 특히, 무선 디바이스(12)는 거치대(10)의 노출된 저부 부분(30)과 거치대(10)의 상부(16)의 지지부(18) 사이에 기대도록 위치설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무선 디바이스(12)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무선 디바이스(12)의 배향이 중요하면(소설을 독서하거나 영화를 보기 위한 것과 같이), 무선 디바이스(12)의 2개의 측면은 다른 2개의 측면이 상부와 저부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저부에 대향하는 상부라 칭한다. 무선 디바이스(12)의 기다란 측면은, 무선 디바이스(12)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로 모드(landscape mode)에서 견망되면, 각각 상부 및 저부일 수도 있다. 태블릿 컴퓨터(12)의 짧은 측면은, 무선 디바이스(12)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세로 모드(portrait mode)에서 견망되면, 각각 상부 및 저부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독서하거나 영화를 시청하거나 다른 활동을 할 때 세로 모드로 무선 디바이스(12)를 지지하도록 거치대(1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거치대(10)의 저부 부분(30)을 노출하도록 거치대(10)의 저부(14)로부터 이격하여 예시적인 거치대(10)의 상부(16)의 지지부(18)를 들어올린다. 거치대(10)의 지지부(18)를 잡고 있는 동안, 사용자는 거치대(10)의 노출된 저부 부분(30) 상에 무선 디바이스(12)의 저부의 부분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2)의 저부는 거치대(10)의 노출된 저부 부분(30) 상에 중심 설정되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2)의 저부는 거치대(10)의 노출된 저부 부분(30)의 외부폭[힌지(22)에 평행함]에 비교적 근접하여 배치된다. 다른 구성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디바이스(12)가 거치대(10)에 대해 더 수직 자세를 갖는 것을 원하는 경우와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거치대(10) 상의 무선 디바이스(12)의 연속적인 위치설정이 이제 설명된다. 거치대(10)의 노출된 저부 부분(30) 상의 무선 디바이스(12)의 저부의 위치설정 후에, 사용자는 거치대(10)의 상부(16)의 지지부(18)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12)의 상부를 위치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 사용자는 거치대(10)의 저부(14)로부터 이격하여 거치대(10)의 상부(16)의 지지부(18)를 계속 유지한다. 한편, 사용자는 거치대(10)의 상부(16)의 지지부(18)를 향해 원호형으로 무선 디바이스(12)의 상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실제로, 태블릿 컴퓨터(12)의 상부는 거치대(10)의 상부(16)의 지지부(18)를 향해 태블릿 컴퓨터(12)의 저부 둘레로 피벗한다. 무선 디바이스(12)의 상부가 거치대(10)의 지지부(18)와 만날 때, 사용자는 거치대(10)의 지지부(18)와 무선 디바이스(12)의 모두를 해제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12)는 거치대(10)의 상부(16)의 지지부(18)에 기대고 그에 의해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거치대(10)의 노출된 저부 부분(30)과 지지부(18) 사이에 기대어 있는 무선 디바이스(12)의 해당 부분은 요소(12, 18, 30)에 의해 형성된 직각 삼각형의 사변(hypotenuse)을 포함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에서, 노출된 저부 부분(30)과 상부(16)의 지지부(18) 사이의 각도는 약 90도이다.
도 1은 거치대(10)의 지지부(18)가 무선 디바이스(12)의 중앙 후방부 약간 위로 접촉하도록 무선 디바이스(12)가 예시적인 거치대(10)에 대해 위치되는 것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특히 거치대(10)의 지지부(18)와 거치대(10)의 저부(14) 사이의 각도, 디스플레이된/지지된 물체의 중량, 크기, 형상 및 다른 특성, 거치대(10)의 노출된 저부(30)에 대한 디스플레이된/지지된 물체의 저부의 위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다른 구성이 변형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거치대(10)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2)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거치대(10) 상에 무선 디바이스(12)를 위치설정하는 프로세스를 간단히 반전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거치대(10)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2)의 상부를 이동시켜 무선 디바이스(12)가 거치대(10)의 상부(16)의 지지부(18)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어서 거치대(10)의 노출된 저부 부분(30)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2)를 들어올릴 수도 있다. 그 결과, 거치대(10)의 상부(16)의 지지부(18)는 거치대(10)의 노출된 저부 부분(30)의 정상부로 그 폐쇄 위치에서 복귀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12)를 제거하는 다른 방법이 본 실시예에서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물체를 제거 가능하게 하는데 있어서 변형될 수도 있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4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거치대(40)는 가로 모드로 태블릿 컴퓨터(42)를 지지하는 것으로서(음영으로 도시됨)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예시적인 거치대(10)와 같이, 예시적인 거치대(40)는 일반적으로 라운딩된 코너를 갖는 직사각형이고, 동일한 일반적인 크기 및 형상 및 두께의 2개의 요소: 저부(44) 및 상부(46)로 구성된다. 재차, 이들 요소는 분리될 필요는 없고,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거치대(40)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부(46)는 거치대(40)의 저부(44)를 덮는다.
예시적인 거치대(40)의 상부(4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분(48, 50): 지지부(48) 및 부착부(50)를 갖는다. 상부(46)의 2개의 부분(48, 50)은 상부(46)의 재료 내에 취약선(또는 증가된 가요성의 선)(51)에 의해 형성된 힌지(52)에 의해 분리된다.
도 2는 지지부(48)와 거치대(40)의 저부(44) 사이에 약 90도의 개방 위치에서 예시적인 거치대(40)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부(48)가 거치대(40)의 저부(44)로부터 이격하여 들어올려질 때, 저부(44)의 부분(60)은 노출된다. 본 실시예(40)에서, 노출된 저부 부분(60)은 상부(46)의 지지부(48)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이다.
도 3 및 도 4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8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거치대(80)는 그 폐쇄 위치에서 도 3에, 그리고 그 최대 개방 위치에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전의 2개의 실시예와 같이, 예시적인 거치대(80)는 신용 카드 크기이고, 라운딩된 코너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따라서, 거치대(80)는 거치대(80)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 지갑 또는 핸드백 내의 슬롯 내에 용이하게 보관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가 크기, 형상, 구성 등에 있어서 변형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거치대(80)는 더 많은 부분 또는 요소를 갖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이전의 실시예와 같이, 거치대(80)는 대략 동일한 크기, 형상 및 두께인 저부(84) 및 상부(85)를 갖는다. 그러나, 이전의 실시예와는 달리, 거치대(80)의 상부(85)는 상부 요소(86) 및 정지부(87)를 포함한다. 정지부(87)는 또한 "에지", "레지(ledge)", "스토퍼" 또는 "탭"이라 칭할 수도 있다.
특히, 정지부(87)는 거치대(80)의 "디스플레이 단부" 부근에 위치된다. "디스플레이 단부"는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디스플레이된 물체가 그 위에서 거치대(80)를 지지하는 표면에 가장 근접하여 놓이는 거치대(80)의 짧은 측면이다. 정지부(87)는 상부(85)의 짧은 측면(또는 폭)만큼 넓지만, 정지부(87)는 상부(85)의 기다란 측면(또는 길이)의 단지 약 10%만큼 길다. 상부 요소(86)는 상부(85)의 영역의 나머지 90%를 구성한다. 도 4와 관련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정지부(87)는 본 실시예(80)에서 상부 요소(86)와는 별개의 부분이다. 다른 실시예가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저부, 상부 및 정지부는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부 요소(86)는 지지부(90), 가요성 조인트(92), 및 부착부(94)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거치대(80)에서, 상부 요소(86)는 지지부(90), 가요성 조인트(92), 및 부착부(94)를 포함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단일 부분인 것과 같이).
지지부(90)는 거치대(80)가 폐쇄될 때 정지부(87)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지지부(90)에 의해 상부(85)의 디스플레이 단부에 가장 근접한 상부 요소(86)의 부분이다. 유리하게는, 정지부(87) 및 지지부(90)는, 지지부(90)가 정지부(87)와의 그 스냅 끼워맞춤 또는 마찰 끼워맞춤으로부터 제거되지 않으면 지지부(90)가 저부(84)에 인접하여 유지되도록("폐쇄됨") 스냅 끼워맞춤 또는 마찰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부(90)는 상부(86)[및 정지부(87)]만큼 넓지만, 지지부(90)는 상부 요소(86)의 단지 약 45%만큼 길다. 용어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85)의 지지부(90)는, 이하에 도 4와 관련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거치대(80)가 디스플레이 용도로 사용될 때 디스플레이되는 물품 또는 물체를 지지한다. 지지부(90)는 거치대(80)가 폐쇄될 때 거치대(80)의 저부(84) 위에 위치된다. 거치대(80)가 개방될 때, 지지부(90)는 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저부(84)로부터 이격하여 이동된다. 달리 말하면, 지지부(90)는 저부(84)에 고정 부착되지 않는다.
상부 요소(86)의 지지부(90) 옆에는 가요성 조인트(92)가 있다. 가요성 조인트는 상부 요소(86)[및 정지부(87) 및 지지부(90)]만큼 넓지만, 상부 요소(86)의 단지 대략 22%만큼 길다. 상부 요소(86)의 지지부(90)와 같이, 가요성 조인트(92)는 거치대(80)의 저부(84)에 부착되지 않는다.
도 3의 실시예에서, 가요성 조인트(92)는 상부(85)의 재료 내에 4개의 균등하게 이격된 눈금선(93a 내지 93d)을 갖는 영역이다. 눈금선(93a 내지 93d)은 서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상부(85)의 짧은 측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4개의 눈금선(93a 내지 93d)은 가요성 조인트(92)의 3개의 영역(95a 내지 95c)을 형성한다. 각각의 영역은 상부 요소(86)의 폭이지만, 그 각각은 상부 요소(86)의 길이의 단지 약 7%이다.
각각의 눈금선(93a 내지 93d)은 상부 요소(86)가 눈금선 부근에서 약간 굴곡될 수 있게 한다. 눈금선(93a 내지 93d)은 지지부(9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가변 개방 위치를 통해 거치대(80)의 최대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지지부(90)의 폐쇄 위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거치대(80)의 저부(84)에 평행하고 그 위에 놓인다. 거치대(80)를 개방 또는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거치대(80)의 저부(84)로부터 이격하여 상부 요소(86)의 지지부(90)를 잡아당길 수도 있다. 사용자는 거치대(80)의 저부(84)로부터 이격하여 상부 요소(86)의 지지부(90)의 들어올림을 성취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지지부(90)를 잡아당길 수도 있다. 사용자가 거치대(80)의 저부(84)로부터 이격하여 지지부(90)를 계속 잡아당김에 따라, 각각의 눈금선(93a 내지 93d)은 지지부(90)에 가장 근접한 눈금선(93a)에서 시작하여 약간 굴곡하기 시작한다. 거치대(80)를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에, 사용자는 상부 요소(86)의 지지부(90)에 추가하여 거치대(80)의 저부(84)로부터 이격하여 일부 또는 전체 가요성 조인트(92)를 잡아당길 수도 있다. 4개의 눈금선(93a 내지 93d)의 누적 효과는 거치대(80)의 상부 요소(86)의 지지부(90)와 부착부(94) 사이에 약 80도(내각)의 최대 개방 위치를 허용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는 변형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예시적인 거치대(80)의 지지부(90)와 부착부(94) 사이의 각도는 상이한 물체, 상이한 견망각, 물체의 상이한 배향 등을 수용하기 위해 변형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거치대(80)를 계속 참조하면, 상부 요소(86)의 가요성 조인트(92)의 옆에는 부착부(94)가 있다. 부착부는 상부 요소(86)[및 정지부(87), 지지부(90), 및 가요성 조인트(92)]만큼 넓지만, 상부 요소(86)의 단지 약 33%만큼 길다. 용어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요소(86)의 부착부(94)는 거치대(80)의 저부(84)에 부착된다. 상부 요소(86)의 부착부(94)는 거치대(80)가 개방 위치에 있건 또는 폐쇄 위치에 있건간에 예시적인 거치대(80)의 저부(84)에 부착 유지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거치대(80)는 적어도 더 많은 요소를 가짐으로써 이전의 실시예(10, 40)와는 상이하다. 바로 이전의 단락에서 이미 제시되어 있는 것들에 추가하여, 예시적인 거치대(80)는 2개의 라이너(88, 89)의 층을 포함한다. 라이너(88)는 상부에 놓이고 정지부(87)에 의해 덮여지지 않은 저부(84)의 내부의 부분에 부착된다. 다른 라이너(89)는 상부 요소(86) 아래에 놓이고 그에 부착된다. 따라서, 라이너(88, 89)는 대략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하다. 게다가, 라이너(88, 89)는 비교적 얇은 두께가 대략 동일하다. 각각의 라이너(88, 89)는 하나의 부분일 수도 있고, 또는 함께 조립된 개별 부분일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라이너(88, 89)는 약간 "점성"이고 그리고/또는 비-슬립 특성을 갖는다. 라이너(88, 89)의 점성 및/또는 비-슬립 특성은 거치대(80)에 의해 지지되고/디스플레이되는 물체의 더 양호한 파지를 허용할 수도 있다. 또한, 라이너(88, 89)는 거치대(80)의 저부(84)로부터 지지부(90)를 들어올리는 것을 간섭할만큼 점성이지는 않다. 라이너(88, 89)의 점성은 거치대(80)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 폐쇄 유지되는 것을 더 양호하게 허용할 수도 있다.
라이너(88, 89)의 다른 장점은 이들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장식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라이너(88, 89)의 하나 또는 모두는 거치대의 나머지 요소 및/또는 서로와는 상이한 컬러(들)일 수도 있다. 장식은 텍스처, 그래픽, 사진, 심벌, 표현 등과 같은 컬러 이외의 무언가일 수도 있다. 장식은 광고, 상표, 로고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장식은 또한 거치대(80)의 사용, 안전 정보, 오늘의 명언, 찬양글, 시, 인용구 등과 같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꾸밈보다 "우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양 라이너(88, 89)는 사용자가 소거 가능하거나 소거 가능하지 않은 마크를 표시할 수도 있는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라이너(88, 89) 상에 그/그녀의 패스워드를 어리석게 기록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거치대(80)는 그 최대 개방 위치에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상부 요소(86)의 지지부(90)는 거치대(80)의 저부(84)로부터 이격하여 잡아당겨진다. 지지부(90)가 저부(84)로부터 이격하여 잡아당겨질 때, 가요성 부분(92)은 지지부(90)를 저부(84)로부터 이격하여 원호형으로 피벗하여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요소(86)의 지지부(90)에 가장 근접한 가요성 부분(92)의 부분은 마찬가지로 저부(84)로부터 이격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거치대(80)의 최대 개방 위치에서, 지지부(90)와 부착부(94) 사이에 형성된 내각은 약 80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거치대(80)의 개방 위치는 라이너(88, 89)의 견망을 허용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라이너(88)는 거치대(80)의 저부(84)의 상부 내부 위에 배치되고 부착된다. 라이너(89)는 상부 요소(86)의 내부 저부에 부착된다.
도 4는 거치대(80)의 저부(84)와 정지부(87) 사이의 관계를 또한 도시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정지부(87)는 저부(84) 정상부에서 거치대(80)의 "디스플레이 단부" 위에 배치된다. 예시적인 거치대(80)에서, 정지부(87) 및 저부(84)는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단일편으로) 형성된다.
거치대(80)가 사용중일 때, 정지부(87)는 그 이름값을 한다. 사용자는 저부(84)로부터 이격하여 지지부(90)를 잡아당김으로써 거치대(80)를 개방하고, 이어서 디스플레이될/지지될 물체를 후방 라이너(88) 상에, 그러나 정지부(87)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정지부(87)는 물체의 저부 에지 또는 지점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놓일 수도 있는 레지 또는 립(lip)으로서 역할을 한다. 물체를 적소에 놓이게 함으로써, 정지부(87)는 거치대(80) 상에 물체를 지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정지부(87)는 거치대(80)의 물체가 저부(84)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도 5a 및 도 5b
도 5a 및 도 5b는 무선 디바이스(102)를 지지하는 예시적인 거치대(100)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5a는 무선 디바이스(102)를 세로 모드 자세로 지지하는 개방 위치에서 예시적인 거치대(100)의 측면 정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5b는 무선 디바이스(102)를 가로 모드 자세로 지지하는 개방 위치에서 예시적인 거치대(100)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5a는 무선 디바이스(102)의 나머지가 그 저부측으로부터 이격하여 후방으로 기대는 동안 거치대(100)의 저부(104) 상에 배치된 무선 디바이스(102)의 저부측을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102)는 그 개방 위치들 중 하나에서 거치대(100)의 상부(106)에 의해 지지된다. 거치대(100)의 상부(106)는 지지부(108), 가요성 조인트(110), 및 부착부(11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거치대(100)는 실시예(80) 및 도 3 및 도 4와 연계하여 전술된 정지부(87)와 같은 정지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양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02)의 저부는 거치대(100)의 "디스플레이 단부"에 대응하는 저부(104)의 에지로부터 약간 후방에 위치된다. 이는 그에 부착된 상부를 갖지 않는 저부(104)의 에지이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102)의 저부의 전방에 가시화되는 저부(104)의 작은 영역(114)이 존재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100)에서, 상부(106)에 부착되지 않은 거치대(100)의 저부(104)는 그 위에 배치된 전술된 것과 같은 라이너(114)를 갖는다. 무선 유닛(102)은 거치대(100)와 함께 라이너(114)의 사용에 의해 디스플레이 위치에서 적소에 더 양호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20)를 도시한다. 거치대(120)는 그 폐쇄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120)는 몇 개의 예외를 갖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80)와 유사하다. 실시예(80)와 같이, 거치대(120)는 거치대(120)의 저부(124) 상에 배치된 스토퍼(122)를 포함한다. 그러나, 거치대(120) 내의 스토퍼(122)는 거치대(80)의 스토퍼(87)와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스토퍼(122)는 직사각형 박스보다는 "수로(canal)"과 유사하다. 스토퍼(122)는 "U" 형상인 단면을 갖는다. 수로 또는 U 형상 스토퍼(122)는 거치대(120) 내에 사용된 재료를 감소시켜 이에 의해 거치대(120)의 제조 비용 뿐만 아니라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장점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로 또는 U형 스토퍼(122)는 몇몇 실시예에서 거치대(120)에 의해 지지된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물체와 함께 사용을 위해 스타일러스(및/또는 다른 물품)를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토퍼(122)는 직립형 립(도 7b 또한 참조)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거치대(120)가 전술된 것들과는 상이한 다른 방식은 거치대(120)가 배터리 충전기(126)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예서, 배터리 충전기(126)는 거치대(120)의 부가 요소이다. 배터리 충전기(126)는 거치대(120)의 저부의 하부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해제 가능하거나 불가능하게). 배터리 충전기(126)는 거치대(120)의 저부와 대략 길이 및 폭이 동일하다. 배터리 충전기(126)는 얇고 경량이다. 다른 실시예가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배터리 충전기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배터리 충전기는 뉴욕 10011 뉴욕 14번가 47W 4층의 Triple C에 의해 판매되는 Power CardTM일 수도 있다. 상응하는 배터리 충전기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된 물체에 배터리 충전기(126)를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플러그 및/또는 다른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러한 플러그 및/또는 커넥터는 불필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거치대는 자기 공명의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것들과 같은 무선인 배터리 충전기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예는 뉴질랜드 오클랜드 1011 프리먼스 베이 43 칼리지 힐 레벨 4의 PowerbyProxi, Ltd.로부터 입수 가능한 Proxi-2D Resonant Charging Pad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터리 충전기는 거치대의 저부(및/또는 다른 요소)의 부분으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이들 다른 실시예에서 배터리 충전기는 다른 거치대(및/또는 거치대의 다른 요소)의 저부 내부에 있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배터리 충전기"는 예시적인 거치대에 의해 지지될 물체가 그 자신의 배터리를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에 사용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거치대는 지지될 물체용 배터리 및/또는 지지될 물체와 연계된 배터리용 부가의 또는 백업 배터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
도 7a 및 도 7b는 도 6과 관련하여 먼저 설명된, 그러나 배터리 충전기(126)가 없는 예시적인 거치대(120)의 상부(121) 및 저부(124)의 개략도이다.
도 7a는 2.933 인치가 되도록 상부(121)의 길이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121)의 두께는 0.055 인치이다. 상부(121)는 저부에 연결되지 않은 상부(121)의 하부측의 부분 상에 배치된 1.916 인치의 라이너(128)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상부의 길이 및 폭으로 연장하는 라이너(131)를 가질 수도 있다. 상부(121)는 4개의 눈금 마크(130a, 130b, 130c, 130d)를 또한 포함한다. 이들 마크는 각각 0.080 인치 폭이다. 이들 마크는 이들의 폭의 0.080 인치보다 약간 긴 거리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마크(130a, 130b, 130c, 130d)는 본 실시예에서 거치대(120)의 상부(121)의 대략 중간부에 배치된다.
도 7b는 스토퍼(124)를 포함하여 3.350 인치, 스토퍼(124) 없이 3.000 인치가 되도록 저부(122)의 길이를 도시하고 있다. 저부(122)의 두께는 0.055 인치로 상부(121)와 동일하다. 스토퍼(124)의 벽의 높이는 0.150 인치이다. 수로형 스토퍼(122) 내의 "U"의 저부는 수로 없는 저부의 두께와 동일한 또는 0.055 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저부(124)는 상부(121)에 연결되지 않은 저부(124)의 부분 상에서 저부(124)의 상부 위에 위치된 라이너(13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패스 카드 실시예 - 도 8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그 기능이 전술된 바와 같이 물체를 디스플레이/지지하는데 전용인(배터리 및/또는 배터리 충전기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서 설명된 실시예는 제외함) 자립형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단지 물체를 디스플레이/지지하는 것 이외의 하나 이상의 부가의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도 8은 패스 카드와 함께 또는 패스 카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기능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140)의 3개의 도면을 제공한다. 용어 "패스 카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액세스 제어 카드, 사원 신분 뱃지, 데이터, 카드, 보안 패스 카드 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거치대 기능과 조합될 수도 있는 다른 유형의 카드 또는 뱃지를 또한 커버하도록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이러한 패스 카드는 패스 카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패스 카드는 종종 패스 카드가 목줄로 착용될 수도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편리하게 착용되거나 휴대될 수도 있도록 일 단부에 개구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장치(140)에서, 개구(142)는 장치(140)의 일 단부 부근에 제공되어 있다. 개구(142)는 장치(140)가 물체용 거치대로서 기능하도록 개방될 수도 있는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에 근접하여 중심 설정된 것으로서 제공되어 있다. 개구(142)는 개구(142)의 장축이 장치(140)의 단부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장방형 또는 평탄화된 타원이다. 개구(142)의 모든(또는 선택) 이들 특성은 다른 실시예에서 변형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대안적인 실시예는 개구를 포함하지 않거나, 하나 초과의 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장치(140)의 상부(144), 및 저부(146)를 도시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상부(144)는 패스 카드(140)가 관련하는 비즈니스 또는 이벤트의 명칭이 마킹되어 있다. 장치(140)의 후면부(146)는 장치(140)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마킹되어 있다. 상부(144) 및 저부(146)는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방식으로 장식되거나 또는 이들 상에 제공된 다른 또는 부가의 정보를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상부(144) 및/또는 저부(146) 상에 정보를 추가할 수도 있고, 이러한 추가된 정보는 소거 가능하고, 제거 가능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 8은 통상의 패스 카드(148)와 장치(140) 사이의 비교를 또한 도시한다. 양자 모두는 관찰자가 각각의 디바이스(140, 148)의 상대 두께를 비교할 수 있게 하는 실질적으로 수평 자세로 도시되어 있다. 장치(140)는 통상의 패스 카드(148)보다 단지 약간 두껍다. 장치(140)는 패스 카드를 제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과 동일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도 있다(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유리하게는, 장치(140)의 사용자는 단지 통상의 패스 카드(148)로서 기능하는 것만은 아닌 디바이스를 갖는다. 장치(140)는 사용자가 핸즈프리식으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물체를 지지/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신용 카드 실시예 - 도 9a 및 도 9b
도 9a 및 도 9b는 신용 카드의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150)의 장치(150)의 2개의 도면을 각각 제공한다. 용어 "신용 카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직불 카드, 현금 카드, 건강 보험 계좌 카드 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거치대 기능성과 조합할 수도 있는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를 또한 커버하도록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장치(150)는 신용 카드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9a는 신용 카드의 통상의 후면부로서 기능하는 그 "하부측" 또는 저부(154)를 도시하는 실시예(15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저부는 통상의 신용 카드의 후면부에 존재할 수도 있는 것과 같은 자기 스트립(156)(또는 "스트라이프")을 포함한다. 자기 스트립(156)은 플라스틱 필름과 소형 자화된 금속 입자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이들은 데이터가 신용 카드 상에 저장되고 정확하게 변경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자기 스트립 상에 3개의 정보 트랙이 존재한다. 통상의 신용 카드의 후면부 상에 일반적으로 포함된 다른 정보는 도 9a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는 장치(150)와 같은 실시예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9b는 이전의 실시예(10, 80, 90, 120)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물체를 지지하거나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서 실시예(150)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150)의 상부(152)의 부분(153)은 저부(154)로부터 이격하여 잡아당겨진다. 부분(153)이 그 폐쇄 위치로 복귀하도록 허용되면, 관찰자는 장치(150)의 상부(152)가 통상적으로 신용 카드의 "정면부" 상에 포함되는 정보(도 9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50)의 상부(152)는 사용자의 명칭, 신용 카드 번호, 만기일, 보안 홀로그래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무접촉식 신용 카드"의 기능성을 포함할 수도 있는 장치(도 9a 및 도 9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내에 구체화될 수도 있다. 장치는 소정 거리로부터 스캔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식별 칩(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hip: RFID)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는 무선파를 거쳐 리더와 신용 카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장치(150)의 사용자는 단지 통상의 신용 카드로서 기능하는 것만은 아닌 디바이스를 갖는다. 장치(150)는 사용자가 핸즈프리식으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물체를 지지/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플래시 드라이브 실시예 - 도 10
본 발명은 플래시 드라이브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플래시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은 플래시 드라이브의 기능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5개의 예(160a 내지 160e)를 제공한다. 용어 "플래시 드라이브"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프 드라이브, USB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범용 직렬 버스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거치대 기능성과 조합될 수도 있는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를 또한 커버하도록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플래시 드라이브는 일체형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플래시 드라이브는 일반적으로 이동식 및 재기록형이다.
각각의 예(160a 내지 160e)는 그 저부 관점으로부터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예(160a 내지 160e)는 예(162a 내지 162e)의 나머지에 비교할 때, 개방 위치(162a, 162e) 또는 폐쇄 위치(162b 내지 162d)에서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를 포함한다.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는 이들의 개방 위치에서 사용된다.
특히, 각각의 예(160a 내지 160e)는 전술된 실시예(10, 80, 90, 120) 중 하나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예(160a 내지 160e)는 일반적으로 신용 카드 크기이고, 일반적으로 라운딩된 코너를 갖는 직사각형이다. 각각의 예(160a 내지 160e)는 2개의 짧은 단부를 갖는데, 이들 단부 중 하나는 예(160a 내지 160e)가 사용될 때 기부로서 기능하고 다른 짧은 단부는 상단부이다. 물체를 위한 거치대로서 사용될 때, 각각의 예(160a 내지 160e)는 그 기부 상에 거치된다. 예(160a 내지 160e)의 상부의 부분(도 1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예(160a 내지 160e)의 지지부로서 기능하도록 기부 부근으로부터 이격하여 원호형으로 이동된다[실시예(10, 80, 90, 120)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예(160a 내지 160e)에 의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는 예의 기부의 중심 둘레로부터 각각의 예(160a 내지 160e) 내로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제조된다. 도 10의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는 모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지만, 비교적 얇다[예(160a 내지 160e)의 두께보다 약간 얇음].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의 직사각형 형상을 수용하기 위해, 단지 더 대형 크기의 직사각형 크기가 각각의 예(160a 내지 160e)의 기부에 형성된다. 이들 예(160a 내지 160e)에서, 직사각형 개구는 예(160a 내지 160e)의 기다란 측면에 평행한 기다란 측면을 갖는다.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는 예(160a 내지 160e)의 내부 내로 스냅 끼워맞춤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보유될 수도 있다.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는 사용자의 손가락(들) 또는 엄지손가락(들)에 의한 잡아당김 모션 또는 다른 방식에 의해 이들의 각각의 개구로부터 사용을 위해 후퇴될 수도 있다.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는 각각의 예(160a 내지 160e)로부터 줄곧 잡아당겨져서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가 예(160a 내지 160e)와 접촉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예[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160a 내지 160e)에 상응함]에서, 2개의 바아가 플래시 드라이브를 위한 직사각형 개구의 기부 단부에 수직으로 걸쳐 있다. 2개의 평행한 바아는 그 사이에 공간을 갖고 서로 상부/하부에 있다. 2개의 평행한 바아는 일반적으로 대안적인 예의 짧은 측면과 평행하다. 2개의 평행한 바아는 플래시 드라이브가 직사각형 개구 내로 그리고 바아들 사이로 통과할 수도 있도록 서로로부터 충분하게(두께에 있어서) 이격된다. 이들 바아는 플래시 드라이브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적인 예(도시 생략)는 플래시 드라이브의 완전한 후퇴를 중지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특징부는 충분한 플래시 드라이브가 예로부터 제거되어 플래시 드라이브가 그 의도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게 할 때 플래시 드라이브의 후퇴를 중지할 수도 있다. 예로부터 플래시 드라이브의 완전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이러한 특징부의 사용의 장점은, 플래시 드라이브가 그로부터 분리되기보다는 예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플래시 드라이브를 분실하거나 오배치하는 가능성이 적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플래시 드라이브와 예의 조합은 단지 플래시 드라이브보다 더 대형의 덜 간과된 물체에 이바지한다.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의 길이를 수용하기 위해, 예(160a 내지 160e)는 예(160a 내지 160e)의 상부의 각각의 상부 부분의 크기의 견지에서 실시예(10, 80, 90, 120)와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부 또는 상부 부분은 물체를 지지하거나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저부에 대한 지지 위치로 예의 저부로부터 "박리 제거되거나" 또는 들어올려지는 예(160a 내지 160e)의 상부의 부분이다. 예(160a 내지 160e)의 상부 부분은 예(160a 내지 160e)가 신용 카드 크기이면 다른 실시예(10, 80, 90, 120)에 비교할 때 길이가 더 작을 수도 있다. 상부 부분은 각각의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의 길이를 수용하기 위해 더 소형이다. 대안적으로, 플래시 드라이브(162a 내지 162e)는 예(160a 내지 160e)의 기부에 대향하여, 즉 상부에(기부에 대향하는 짧은 단부)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예(160a 내지 160e)의 실시예는 플래시 드라이브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두껍게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다른 실시예(10, 80, 90, 120)만큼 긴(또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신용 카드로서 다른 방식으로 치수 설정되면, 이들만큼 비례적으로 긴) 상부 부분을 갖는다. 예(160a 내지 160e)의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플래시 드라이브용 개구는 예(160a 내지 160e)의 중공부일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플래시 드라이브는 사용중이지 않을 때 대안적인 예(160a 내지 160e)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디자인 변경으로서, 예(160a 내지 160e)의 플래시 드라이브용 개구는 플래시 드라이브의 일 측면을 견망하지만 다른 측면은 견망하지 않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플래시 드라이브는 그 상부로부터보다는, 예(160a 내지 160e)의 디자인 변경된 실시예의 저면도로부터 볼 수도 있다. 상부는 임의의 개구 없이 완전하고, 플래시 드라이브와 관련하지 않고 어떠한 크기라도 상부 내의 지지부를 허용한다.
또한, 도 10에서, 예(160a 내지 160e)는 본 발명의 실시예(10, 80, 90, 120)와 관련하여 전술된 또는 가능한 특징부를 도시하고 있다. 예(160a 내지 160e)는 회사명을 각각 구비한다. 달리 말하면, 예(160a 내지 160e)는 회사를 각각 광고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예(160a 내지 160e)는 3방향 기능성: (1) 사용자 핸즈프리 작동을 허용하는 물체용 거치대; (2) 플래시 드라이브용 하우징; 및 (3) 광고를 위한 매개체로서의 기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방식 중 하나 이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 및 특성의 기능성을 조합할 수도 있다.
기타
상기 실시예는 단일의 물체를 지지하고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설명되었다. 이들 동일한 실시예는 물체의 크기 및 실시예의 크기에 기초하여 하나 초과의 물체를 지지하고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는 단지 단일의 물체만을 지지하고/디스플레이하는 것에 제한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 초과의 물체를 지지하고/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컬러, 패턴, 꾸밈, 텍스처 등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본 발명의 부분을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거치대(10)의 상부(16)는 거치대(10)의 저부(14)와는 상이한 컬러일 수도 있다. 컬러의 차이는 거치대(10) 내의 개구에 보조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10)는 모두 하나의 컬러인 것으로 가정한다. 거치대(10)의 상대 두께가 주어지면, 상부 및 저부가 서로로부터 즉시 분간 가능하지 않으면 개방하는 것이 다소 더 어려울 수도 있다. 상이한 각각의 컬러는 사용자가 2색 거치대의 저부로부터 상부를 즉시 잡아당길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결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고려되는 특정 사용에 적합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 및 다양한 변형예를 포함하여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용적인 용례를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전술되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예는 본 발명의 한정으로서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다수의 예는 무선 디바이스를 갖는 실시예의 사용을 언급하고 있다. 다른 유형의 장치, 디바이스, 품목, 방법, 및/또는 시스템과 함께 사용이 적절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고려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19)

  1. 디바이스용 거치대이며,
    상부측을 갖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저부로서,
    상기 저부는 상기 저부의 상부측의 더 짧은 측면을 따라 배치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스토퍼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가 그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저부의 더 짧은 측면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고,
    상기 스토퍼는 그 길이 미만의 폭을 갖고,
    상기 스토퍼는 적어도 상기 저부 및 상부의 조합된 두께만큼 두꺼운 두께를 갖는, 저부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상부 상의 절첩선 아래에 있고 그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기 저부의 상부측 상의 선 사이에서 상기 저부의 상부측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위치설정 재료의 제1 부분으로서,
    상기 상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편평하고, 상기 스토퍼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상기 저부의 상부측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고, 상기 상부에 대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토퍼에 의해 덮여지지 않은 상기 저부의 상부측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는 상부측 및 하부측을 갖는, 위치설정 재료의 제1 부분과,
    상기 스토퍼에 인접한 상기 상부의 짧은 측면과 상기 상부의 상부측 상의 절첩선 아래에 있고 그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기 상부의 하부측 상의 선 사이에서 상기 상부의 하부측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위치설정 재료의 제2 부분으로서,
    상기 상부의 하부측은 상기 스토퍼에 인접한 그 짧은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상부의 짧은 측면과 상기 상부의 상부측 상의 절첩선 아래에 있고 그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기 상부의 하부측 상의 선 사이에서 상기 저부의 상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절첩선은 상기 상부의 상부측 내로 눈금새겨지고, 상기 절첩선은 상기 상부의 짧은 측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짧은 측면들 사이에 있어, 상기 상부의 연결되지 않은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부의 정상부의 그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격하여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상부의 연결되지 않은 부분의 일부가 상기 절첩선을 따라 굴곡하여 상기 상부가 그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의 하부측 상의 위치설정 재료의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게 되는, 위치설정 재료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저부의 상부측 상에 상기 위치설정 재료의 제1 부분의 일부 상에 배치된 상기 디바이스의 일 부분을 가짐으로써, 그리고 그 개방 위치에서 연결되지 않은 상부의 하부측 상에 상기 위치설정 재료의 제2 부분의 일부에 대해 배치된 상기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을 가짐으로써, 그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저부와 상기 연결되지 않은 상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와 상기 저부는 상기 스토퍼와 함께, 상기 상부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편평한 직사각형을 형성하는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상기 저부와 함께 상기 스토퍼에 의해 형성된 실질적으로 편평한 직사각형은 대략 신용 카드의 크기인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선에 인접하여 그에 평행하고 상기 저부에 연결된 상기 상부의 부분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어, 상기 상부의 부분이 상기 절첩선 및 제2 절첩선을 따라 굴곡하여 그 개방 위치에서 상기 상부의 하부측 상의 위치설정 재료의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게 되는 제2 절첩선을 더 포함하는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선에 인접하여 그에 평행하고 상기 저부에 연결된 상기 상부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절첩선보다 더 멀리 배치되어, 상기 상부의 부분이 상기 절첩선, 상기 제2 절첩선 및 제3 절첩선을 따라 굴곡하여 그 개방 위치에서 상기 상부의 하부측 상의 위치설정 재료의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게 되는 제3 절첩선을 더 포함하는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선에 인접하여 그에 평행하고 상기 저부에 연결된 상기 상부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절첩선보다 더 멀리 배치되어, 상기 상부의 부분이 상기 절첩선, 상기 제2 절첩선, 상기 제3 절첩선 및 제4 절첩선을 따라 굴곡하여 그 개방 위치에서 상기 상부의 하부측 상의 위치설정 재료의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게 되는 제4 절첩선을 더 포함하는 거치대.
  8. 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부측을 갖는 저부와,
    상기 저부의 상부측 상에 놓인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의 제1 부분은 상기 저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의 제2 부분은 상기 상부의 제1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저부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상부의 제2 부분은 상기 상부의 제1 부분의 바로 옆에 가요성 조인트를 가져, 상기 상부의 제2 부분이 상기 저부에 대해 0도 초과 및 180도 미만의 각도를 갖는 선택적으로 가변적인 위치로 상기 저부의 상부측 상에 놓인 위치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게 되고,
    상기 물체의 일 부분은 상기 저부 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상기 저부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물체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이 선택적으로 가변적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의 제2 부분에 대해 배치될 수 있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는 상기 상부의 제2 부분에 가장 근접한 그 단부에 정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정지부가 상기 물체의 부분에 접촉하고 상기 물체가 상기 저부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게 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조인트는 그 상부측에서 상기 상부의 제2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그리고 상기 상부의 제1 연결된 부분 부근에 눈금선을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선은 상기 상부의 제2 연결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상부의 제1 연결된 부분으로 그 연결부 부근에서 굴곡할 수 있게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조인트는 그 상부측에서 상기 상부의 제2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제2 눈금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눈금선은 상기 눈금선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는 상기 물체가 충전 가능하면 에너지로 상기 물체를 충전하기 위한 플러그를 갖는 배터리 충전기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는 범용 직렬 버스(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장치.
  16. 직립 자세로 무선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기부의 상부 상에 플랩을 갖는 기부로서,
    상기 플랩의 일 부분은 상기 기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부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플랩의 부분은 상기 플랩의 연결된 부분 둘레로 피벗하는 상기 플랩의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상기 기부로부터 이격하여 개방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플랩의 연결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기부에 대해 180도 미만 및 0도 초과의 각도를 형성하게 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로의 그 연결부 부근에서 상기 플랩 내에 굴곡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기부로의 상기 플랩의 연결부 부근에서 그에 평행한 상기 플랩의 상부의 적어도 하나의 눈금선을 포함하고,
    상기 기부 상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부분을 배치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을 그 개방 위치에서 상기 플랩에 대해 기대는 것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직립 자세로 지지하는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선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이격되지만 평행하고 상기 기부로의 그 연결부 부근에서 상기 플랩 내에 더 대형의 굴곡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기부로의 상기 플랩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눈금선보다 더 멀리 있는 상기 플랩의 상부 내의 제2 눈금선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눈금선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이격되지만 평행하고 상기 기부로의 그 연결부 부근에서 상기 플랩 내에 더욱 더 대형의 굴곡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기부로의 상기 플랩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눈금선보다 더 멀리 있는 상기 플랩의 상부 내의 제3 눈금선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눈금선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이격되지만 평행하고 상기 기부로의 그 연결부 부근에서 상기 플랩 내에 더더욱 더 대형의 굴곡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기부로의 상기 플랩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3 눈금선보다 더 멀리 있는 상기 플랩의 상부 내의 제4 눈금선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167019155A 2013-12-20 2014-12-19 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KR101742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19656P 2013-12-20 2013-12-20
US61/919,656 2013-12-20
PCT/US2014/071497 WO2015095702A1 (en) 2013-12-20 2014-12-19 Apparatus for supporting obje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835A true KR20160129835A (ko) 2016-11-09
KR101742931B1 KR101742931B1 (ko) 2017-06-01

Family

ID=5246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155A KR101742931B1 (ko) 2013-12-20 2014-12-19 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356640B2 (ko)
EP (1) EP3082493B1 (ko)
JP (1) JP6130082B1 (ko)
KR (1) KR101742931B1 (ko)
CN (1) CN106455777A (ko)
AU (2) AU2014369054B2 (ko)
CA (1) CA2875520C (ko)
ES (1) ES2727423T3 (ko)
MX (1) MX356803B (ko)
WO (1) WO2015095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031B1 (ko) * 2012-08-30 2013-11-14 최택진 인출식 카드 수납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WO2014119993A1 (en) * 2013-02-04 2014-08-07 Bakkerelkhuizen Innovations B.V. Stand for a portable device with a graphic user interface display
EP2951482B8 (en) * 2013-02-04 2018-04-18 Oahwip B.V. Stand for a portable device with a graphic user interface display
WO2015130161A1 (en) 2014-02-28 2015-09-03 Bakkerelkhuizen Innovations B.V. Stand for a portable device with a graphic user interface display
US9980541B2 (en) * 2014-04-02 2018-05-29 Victor Glen Piro Multi-function wallet
US20160105205A1 (en) * 2014-10-08 2016-04-14 Dcaze Company Limited Hinged Sleeve for a Mobile Device
US9866663B2 (en) * 2015-03-11 2018-01-09 Spigen Korea Co., Ltd. Case having standing leg for electronic devices
USD760214S1 (en) * 2015-02-20 2016-06-28 Randall Kemper Mobile device cradle
US9715248B2 (en) * 2015-04-27 2017-07-25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Wuhan) Co., Ltd. Base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ssembly
USD902905S1 (en) 2016-08-19 2020-11-24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31633S1 (en) 2016-08-19 2018-10-2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02906S1 (en) 2016-08-19 2020-11-24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40996S1 (en) * 2016-08-23 2019-02-19 Wally Products, Llc Stand
CN108512976A (zh) * 2018-06-12 2018-09-07 东莞市华秦塑胶制品有限公司 带支架的手机保护套
US10937263B1 (en) * 2018-09-27 2021-03-02 Amazon Technologies, Inc. Smart credentials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USD908851S1 (en) * 2018-11-06 2021-01-26 Compal Electronics, Inc. Hand washing station
DE102019113924A1 (de) * 2019-05-24 2020-11-26 BohnenIT GmbH Ausrichthilfe für Bildschirme
US10924598B1 (en) * 2019-08-16 2021-02-16 Plantronics, Inc. Stand for desktop phone
USD926126S1 (en) * 2019-10-25 2021-07-27 Robert Charles DeMaio Charging stand
USD931208S1 (en) * 2019-10-30 2021-09-21 Guangdong Gopod Group Co., Ltd. Wireless charging stand
USD1007500S1 (en) * 2023-08-01 2023-12-12 Junhua Wang Mobile phone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8675A (en) 1925-08-03 1930-07-01 George F Egan Display device
US1666400A (en) 1927-01-29 1928-04-17 Harry M Rose Place-card support
US1769719A (en) 1929-03-18 1930-07-01 Underwood Elliott Fisher Co Carton for carbon sheets
US4817905A (en) 1987-04-13 1989-04-04 House Of Packaging, Inc. Foldable stand-up support device
US4932529A (en) 1989-03-27 1990-06-12 Print Technology, Inc. Display and storage container with a liner having a spacer flap for photographic prints
US5388798A (en) * 1989-05-24 1995-02-14 Glick; Isaac N. Easel for displaying cards and the like
US5234190A (en) 1991-10-28 1993-08-10 Cross Carroll N Locking easel display mount
US6527117B2 (en) 2000-03-27 2003-03-04 Clifton Ray Adkins Package for the sale of image-quality printing paper and display of images printed on the paper
JP2002064610A (ja) * 2000-08-21 2002-02-28 Puranzu Maindo:Kk 携帯電話機用携帯スタンド
GB2428970A (en) 2005-08-13 2007-02-14 Bridget Hayward A folded display stand
JP2008228249A (ja) * 2007-03-16 2008-09-25 Sanyo Electric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US7712719B2 (en) * 2007-04-25 2010-05-11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Folding support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00090085A1 (en) 2008-10-10 2010-04-15 Bradley William Corrion One piece fold flat easel
GB2465989A (en) 2008-12-04 2010-06-09 Paul Keith Francis Support stand formed from a folded blank of material
US7861995B2 (en) * 2009-02-20 2011-01-04 Abraham Dean Liou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and
CA137257S (en) 2010-04-13 2011-05-19 Switcheasy Ltd Foldable stand for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201779420U (zh) * 2010-08-02 2011-03-30 王鸿 卡片式电子产品支架
US8328008B2 (en) * 2010-08-10 2012-12-11 Incase Designs Corp. Case for electronic tablet
US20120074271A1 (en) 2010-09-24 2012-03-29 Helmut Goetz Electronic book, tablet computer and smart phone stand
GB2486648B (en) 2010-12-20 2013-03-20 Steven John Douglas Wilber Portable stand for an information display article
US8746638B2 (en) 2011-07-28 2014-06-10 Michael H. Carney Wallet-sized stand for mobile telephone
CN202354628U (zh) * 2011-12-08 2012-08-01 广州时尚坐标服饰有限公司 多视角变形保护套
KR101248543B1 (ko) * 2011-12-19 2013-04-03 (주)알타비즈 휴대 단말기 거치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CN202798858U (zh) * 2012-07-25 2013-03-13 张敏 折叠支架
KR102037673B1 (ko) * 2013-04-18 2019-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기의 외장 커버
JP3185085U (ja) * 2013-05-20 2013-08-01 安雄 人見 カード型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8199A (es) 2017-03-01
CA2875520A1 (en) 2015-06-20
US9356640B2 (en) 2016-05-31
EP3082493B1 (en) 2019-02-20
US9762713B2 (en) 2017-09-12
MX356803B (es) 2018-06-13
AU2014369054B2 (en) 2019-11-14
ES2727423T3 (es) 2019-10-16
EP3082493A4 (en) 2017-10-25
AU2014369054A1 (en) 2016-08-04
CA2875520C (en) 2017-07-04
US20160261730A1 (en) 2016-09-08
WO2015095702A1 (en) 2015-06-25
JP2017515185A (ja) 2017-06-08
US20150180524A1 (en) 2015-06-25
JP6130082B1 (ja) 2017-05-17
AU2014101498A4 (en) 2015-02-05
CN106455777A (zh) 2017-02-22
EP3082493A1 (en) 2016-10-26
KR101742931B1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931B1 (ko) 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US9677704B1 (en) Mobile telephone holder and display
US94620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ing consumer products
US20140228082A1 (en) Organizational System
US9897818B2 (en) Ocular frame for stereoscopic image viewer
US10003371B1 (en) Electronic device case comprising sliding camera lens covers
US20140103789A1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US20160072933A1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US20100164836A1 (en) Digital photo album, digital book, digital reader
US20200121046A1 (en) Folding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40128132A1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s
US20080121322A1 (en) Cell phone Wallet Sleeve
WO2012087152A1 (en) Device for storing electronic means and cards
US20170195001A1 (en) Switchable decor
US20150271939A1 (en) Flash drive packages and devices
US20200121045A1 (en) Folding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6021311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ED) Case, Method, and Applications
US20130223019A1 (en) Flash drive packages and devices
US20060288622A1 (en) Containment and display device for visual objects
US20160013602A1 (en) Flash drive packages and devices
US20130255039A1 (en) Flash grip systems
WO2010105041A1 (en) Digital photo album, digital book, digital reader
KR101986120B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GB2425952A (en) Magnetic notelet holder
TWM408975U (en) Protective she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