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637A -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637A
KR20160129637A KR1020150062134A KR20150062134A KR20160129637A KR 20160129637 A KR20160129637 A KR 20160129637A KR 1020150062134 A KR1020150062134 A KR 1020150062134A KR 20150062134 A KR20150062134 A KR 20150062134A KR 20160129637 A KR20160129637 A KR 20160129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hermoelectric
electrodes
wir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9637A/ko
Priority to CN202110919455.3A priority patent/CN113745395A/zh
Priority to CN201610282235.3A priority patent/CN106098921A/zh
Priority to US15/142,356 priority patent/US10381540B2/en
Publication of KR2016012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637A/ko
Priority to KR1020220021376A priority patent/KR20220027907A/ko
Priority to KR1020230086301A priority patent/KR102666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1Structural details of the junction
    • H01L35/0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35/02
    • H01L35/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2Connection of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thermoelectric or thermomagnetic element covered by groups H10N10/00 - H10N15/00
    • H10N19/101Multiple thermocouples connected in a cascade arrang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전모듈의 공간활용 범위를 효율화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 다수의 제1전극을 구비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다수의 제2전극을 구비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열전소자; 상기 제1기판 또는 상기 제2기판을 관통하며, 상기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의 일표면을 노출하는 배선연결홈; 및 상기 배선연결홈의 말단에 노출되는 상기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의 일표면에 결착되며, 상기 배선연결홈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을 포함하는 열전모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THERMOELECTRIC DEVICE MOUDULE AND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전모듈의 공간활용 범위를 효율화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는 P형 열전 재료와 N형 열전 재료를 금속 전극들 사이에 접합시킴으로써, PN 접합 쌍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PN 접합 쌍 사이에 온도 차이를 부여하게 되면, 제벡(Seeback) 효과에 의해 전력이 발생됨으로써 열전 소자는 발전 장치로서 기능 할 수 있다. 또한, PN 접합 쌍의 어느 한쪽은 냉각되고 다른 한쪽은 발열 되는 펠티어(Peltier) 효과에 의해, 열전 소자는 온도 제어 장치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열전소자는 냉각용 또는 온열용 장치나, 발전용 장비에 적용되어 다양한 열전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냉각 및 온열장치에 적용되는 열전소자는 PN 접합 쌍의 어느 한쪽은 냉각되고 다른 한쪽은 발열 되는 펠티어(Peltier) 효과에 의해, 열전 소자는 온도 제어 장치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열전소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소자의 배치 구조는 일정한 기판 사이의 공간에 한정적인 바, 이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열전모듈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상호 대향하는 기판에 배치되는 전극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구조로 배선연결홈을 구현하여, 전원공급배선을 상술한 배선연결홈을 통해 기판의 하부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배선 연결위해 소모되던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열전모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제1전극을 구비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다수의 제2전극을 구비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열전소자; 상기 제1기판 또는 상기 제2기판을 관통하며, 상기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의 일표면을 노출하는 배선연결홈; 및 상기 배선연결홈의 말단에 노출되는 상기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의 일표면에 결착되며, 상기 배선연결홈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을 포함하는 열전모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대향하는 기판에 배치되는 전극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구조로 배선연결홈을 구현하여, 전원공급배선을 상술한 배선연결홈을 통해 기판의 하부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배선 연결위해 소모되던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선연결홈과 연통하는 배선의 가이드패턴을 기판상에 마련하여, 하부로 늘어지는 배선을 기판에 일정 부분 고정하거나 지지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배선의 탈락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배선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 및 제2기판의 면적을 상이하게 형성하여 방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열전모듈의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1기판 및 제2기판의 면적을 상이하게 형성하는 경우 방열측의 기판의 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열전달율을 높임으로써, 히트싱크를 제거하여 냉각 디바이스의 소형화,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도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기재상에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단위부재를 적층하여 열전소자를 구현함으로써, 열전도도를 낮추며 전기전도도를 상승시켜, 냉각용량(Qc) 및 온도변화율(△T)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열전소자 및 열전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적층구조의 단위부재 사이에 전도성 패턴층을 포함시켜 전기전도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벌크타입의 열전소자에 비해 현저하게 두께가 박형화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소자 자체의 구조를 상부와 하부의 폭이 중심부의 폭보다 넓은 구조로 구현하여, 열전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동일한 소재량으로 발전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는 동등한 발전성능에 대한 열전소자의 재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요부를 도시한 개념도 및 비교 개념도이다.
도 3a는 도 2에서 상술한 배선연결홈을 구현하고, 그 부분에 열전소자를 배치하는 구조로 활용성을 높이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요부 구성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열전소자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과의 구조적인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 개념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은 다수의 제1전극(160a)을 구비한 제1 기판(140)과 상기 제1 기판(140)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다수의 제2전극(160b)을 구비한 제2 기판(150)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열전소자(120, 130), 그리고 상기 제1기판(140) 또는 상기 제2기판(150)을 관통하며, 상기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의 일표면을 노출하는 배선연결홈(S) 및 상기 배선연결홈의 말단에 노출되는 상기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의 일표면에 결착되며, 상기 배선연결홈(S)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181, 18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구조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181, 182)를 열전 모듈의 내부로 삽입하여 결합하는 도 2의 구조와 대비하면, 기판의 하부로 배선을 구현하게 되는바, 배선이 연결되어야할 도 2에서의 X영역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이 X영역에 열전소자를 추가 배치할 수 있어, 동일 구조 대비 열전용량을 크게 증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선연결홈(S)를 제1기판(140)이나 제2기판(150)에 구현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기판(150)에 배치되는 구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선연결홈(S)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기판(150) 상에 한 쌍이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선연결홈(S)은 각기 다른 종류의 열전소자, 이를테면, 제1반도체소자(120), 제2반도체소자(130)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전극(160b)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기판을 관통하는 홀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표면이 노출되는 제2전극(160b)의 표면에 배선(181,182)의 일단을 본딩하고, 상기 배선(181,182)의 타단 부분은 상기 배선연결홈(S)을 경유하여 상기 제2기판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배선연결구조는 열전모듈의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로 배선이 삽입되는 도 2와 같은 구조가 아니라, 기판의 하부에서 전극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구현하여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의 공간에 열전모듈을 더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3a는 도 2에서 상술한 배선연결홈을 구현하고, 그 부분에 열전소자를 배치하는 구조로 활용성을 높이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3b는 도 3a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기판의 하부로 형성되는 배선연결홈을 구비하는 열전모듈로 인해, 기존의 배선이 연결되는 부분의 공간, 즉, 도 2에서의 비어 있는 공간에도 열전소자를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열전소자의 개수를 증대하여 열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경우, 배선(181, 182)이 전극패턴에 말단이 접합되고, 나머지는 기판의 하부로 늘어지는 구조인바, 외력에 의해 배선이 단락되거나 탈락되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기판에 상기 배선연결홈과 연통하는 가이드홈패턴(183, 184)을 더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패턴(183, 184)는 상기 제2기판의 표면에서 중심방향으로 홈이 파여진 구조로 구현되는 패턴으로, 상기 배선연결홈(S)를 경유하여 기판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181, 182)을 사기 파여진 홈에 끼워서 상기 가이드홈패턴(183, 184)의 상기 개구된 영역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홈의 구조는 기판의 측면부에 구멍을 형성하되, 기판의 하부까지 뚫린 구조의 패턴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배선(184, 182)은 제2기판(150)의 하부로 늘어뜨려지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제2기판의 하부 표면에 삽입되어 측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구조로 제2기판에 배선의 일정부분이 고정되게 된다. 이를 통해 배선이 수직 하부로 받는 힘에 쉽게 전극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지지력을 구현하여 보다 배선과 전극간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다 나은 결합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홈패턴(183, 184)은 제2기판의 하면에 직선 구조가 아니라 절곡부가 생기도록 구불구불한 연결통로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배선의 피복에 의해 구현되는 일정한 탄성을 감안하여, 상기 가이드홈패턴의 폭을 상기 배선연결홈 보다 좁게 형성하여 배선이 가이드홈패턴에 끼움결합시 보다 단단한 결합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에서는 상술한 가이드 홈패턴과 병행하는 구조 또는 독립적인 구조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선연결홈(181) 내부 또는 개구부 부분에 돌출형 지지패턴(Y)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지지패턴(Y)는 배선연결홈(181) 내부를 경유하는 배선의 피복이 가지는 탄성을 이용하여, 배선 자체에 지지력을 가함으로써, 배선이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에 적용되는 상술한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기판(140)과 제2기판(150)은 통상 절연기판, 이를테면 알루미나 기판 또는 유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경우 금속기판을 사용하여 방열효율 및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금속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기판 및 제2기판(140, 150)에 매립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160a, 160b)과의 사이의 접촉면에 별도의 유전체층(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배선연결홈의 경우에도 절연막을 통해 절연이 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금속기판의 경우, Cu 또는 Cu 합금, Cu-Al합금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은 유연성을 가지는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폴리이미드(PI),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환상 올레핀 코폴리(CO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레진(resin)과 같은 고투과성 플라스틱 등 다양한 절연성 수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기판(150)의 면적을 제1기판(140)의 면적대비 1.2~5배의 범위로 형성하여 상호 간의 체적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도면에서도 제1기판(140)의 폭이 제2기판(15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이 경우 동일 두께의 기판의 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게 되어 체적이 달라지게 된다.
이는 제2기판(150)의 면적이 제1기판(140)에 비해 1.2배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기존의 열전도 효율과 큰 차이가 없어 박형화의 의미가 없으며, 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전모듈의 형상(이를 테면, 상호 마주하는 대향구조)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열전달효율을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기판(150)의 경우, 제2기판의 표면에 방열패턴(미도시), 이를테면 요철패턴을 형성하여 제2기판의 방열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기존의 히트싱크의 구성을 삭제하고도 보다 효율적인 방열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열패턴은 상기 제2기판의 표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열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반도체소자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는 경우, 방열특성 및 열전소자와 기판과의 접합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140)의 두께(를 상기 제2기판(150)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하여 냉각측(Cold sied)에서 열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며 열전달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160a, 160b)은 Cu, Ag, Ni 등의 전극재료를 이용하여 열전소자인 제1반도체 소자(120) 및 제2반도체 소자(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전극층의 두께는 0.01mm~0.3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의 범위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전소자(120, 130)은 제1반도체소자(120) 및 제2반도체소자(130)가 하나의 전극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다수 개가 도 3의 구조와 같이 모듈화 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1반도체소자(120) 및 제2반도체소자(130)는 P 형 반도체 또는 N 형 반도체 재료를 적용하여 벌크형(Bulk type)으로 형성된 반도체소자를 적용할 수 있다. 벌크형(Bulk type)이란 반도체 재료인 잉곳을 분쇄하고, 이후 미세화 볼-밀(ball-mill) 공정을 건친 후, 소결한 구조물을 커팅하여 형성한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벌크형 소자는 하나의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P 형 반도체 또는 N 형 반도체 재료는 상기 N형 반도체소자는, 셀레늄(Se), 니켈(Ni),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납(Pb), 붕소(B), 갈륨(Ga), 텔루륨(Te), 비스무트(Bi), 인듐(In)을 포함한 비스무트텔룰라이드계(BiTe계)로 이루어지는 주원료물질과, 상기 주원료물질의 전체 중량의 0.001~1.0wt%에 해당하는 Bi 또는 Te이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주원료물질은 Bi-Se-Te 물질로 하고, 여기에 Bi 또는 Te를 Bi-Se-Te 전체 중량의 00.001~1.0wt%에 해당하는 중량을 더 추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즉, Bi-Se-Te의 중량이 100g이 투입되는 경우, 추가로 혼합되는 Bi 또는 Te는 0.001g~1.0g의 범위에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주원료물질에 추가되는 물질의 중량범위는 0.001wt%~0.1wt% 범위 외에서는 열전도도가 낮아지지 않고 전기전도도는 하락하여 ZT값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상기 P형 반도체 재료는, 안티몬(Sb), 니켈(Ni),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납(Pb), 붕소(B), 갈륨(Ga), 텔루륨(Te), 비스무트(Bi), 인듐(In)을 포함한 비스무트텔룰라이드계(BiTe계)로 이루어지는 주원료물질과, 상기 주원료물질의 전체 중량의 0.001~1.0wt%에 해당하는 Bi 또는 Te이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테면, 상기 주원료물질은 Bi-Sb-Te 물질로 하고, 여기에 Bi 또는 Te를 Bi-Sb-Te 전체 중량의 0.001~1.0wt%에 해당하는 중량을 더 추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Bi-Sb-Te의 중량이 100g이 투입되는 경우, 추가로 혼합되는 Bi 또는 Te는 0.001g~1g의 범위에서 투입될 수 있다. 상술한 주원료물질에 추가되는 물질의 중량범위는 0.001wt%~0.1wt% 범위 외에서는 열전도도가 낮아지지 않고 전기전도도는 하락하여 ZT값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아울러,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열전모듈은 열전소자의 구조를 도 1의 구조와 같이 구현하는 것 외에도,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의 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체적'이라 함은, 기판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내부 부피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열전소자의 경우, 한쪽은 제1반도체소자(120)로서 P형 반도체 와 제2반도체소자(130)로서 N형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반도체 및 상기 제2반도체는 금속 전극 (160a, 160b)과 연결되며, 이러한 구조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소자에 전극을 매개로 전류가 공급되는 도전부재(S)에 의해 펠티어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펠티어 효과에 의해 냉각영역(Cold side)을 이루는 제1기판(140)의 면적보다 방열영역(Hot side)을 이루는 제2기판(150)의 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열전도율을 높이고, 방열효율을 높여 종래의 열전모듈에서의 히트싱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입체 구조 또는 원통형과 같이 동일한 폭을 가지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 외에,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에 적용되는 열전소자는,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제1기판 및 제2기판 상에 수용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노출표면에 접합하는 부분의 폭이 넓게 구현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120)는, 제1단면적을 가지는 제1소자부(122), 상기 제1소자부(122)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단면적을 가지는 제2소자부(126) 및 상기 제1소자부(122)와 상기 제2소자부(126)를 연결하는 제3단면적을 가지는 연결부(124)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상기 연결부(124)의 수평방향의 임의의 영역에서의 단면적이 상기 제1단면적 및 상기 제2단면적보다 작게 구현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동일한 재료를 가지고 정육면체 구조와 같은 단일 단면적을 가지는 구조의 열전소자와 동량의 재료를 적용하는 경우, 제1소자부와 제2소자부의 면적을 넓히고, 연결부의 길이를 길에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1소자부와 제2소자부 사이의 온도차(△T)를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온도차를 증가시키면, 발열측(Hot side)와 냉각측(Cold side) 사이에 이동하는 자유전자의 양이 많아져 전기의 발전량이 증가되며, 발열이나 냉각의 경우 그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120)은 연결부(124)의 상부 및 하부에 평판형 구조나 다른 입체 구조로 구현되는 제1소자부 및 제2소자부의 수평 단면적을 넓게 구현하고, 연결부의 길이를 연장하여 연결부의 단면적을 좁힐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의 수평 단면 중 가장 긴 폭을 가지는 단면의 폭(B)과, 상기 제1소자부 및 상기 제2소자부의 수평단면적 중 더 큰 단면의 폭(A or C)의 비율이 1:(1.5~4)의 범위를 충족하는 범위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열전도가 발열측에서 냉각측으로 전도되어 오히려 발전효율을 떨어뜨리거나, 발열이나 냉각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열전소자(120)는, 상기 제1소자부 및 상기 제2소자의 길이방향의 두께(a1, a3)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두께(s2)보다 작게 구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제1소자부(122)의 수평방향의 단면적인 상기 제1단면적과 제2소자부(126)의 수평방향의 단면적인 상기 제2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열전효율을 조절하여 원하는 온도차를 쉽게 제어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1소자부, 상기 제2소자부 및 상기 연결부는 상호 일체로 구현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구성은 상호 동일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현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한 실시예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반도체소자의 구조를 벌크형 구조가 아닌 적층형 구조의 구조물로 구현하여 박형화 및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서의 제1반도체소자(120) 및 제2반도체소자(130)의 구조를 시트 형상의 기재에 반도체물질이 도포된 구조물이 다수 적층된 단위부재로 형성한 후 이를 절단하여 재료의 손실을 막고 전기전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상술한 적층 구조의 단위부재를 제조하는 공정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따르면, 반도체 소재 물질을 포함하는 재료를 페이스트 형태로 제작하고, 시트, 필름 등의 기재(111) 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반도체층(112)을 형성하여 하나의 단위부재(110)를 형성한다. 상기 단위부재(110)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단위부재(100a, 100b, 100c)를 적층하여 적층구조물을 형성하고, 이후 적층구조물을 절단하여 단위열전소자(120)를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위열전소자(120)은 기재(111) 상에 반도체 층(112)가 적층된 단위부재(110)이 다수가 적층된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공정에서 기재(111) 상에 반도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공정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일예로는 테이프캐스팅(Tape casting), 즉 매우 미세한 반도체 소재 분말을 수계 또는 비수계 용매(solvent)와 결합제(binder), 가소제(plasticizer), 분산제(dispersant), 소포제(defoamer), 계면활성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슬러리(slurry)를 제조한 후 움직이는 칼날(blade)또는 움직이는 운반 기재위에 일정한 두께로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성형하는 공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재의 두께는 10um~100um의 범위의 필름, 시트 등의 자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포되는 반도체소재는 상술한 벌크형 소자를 재조하는 P 형 재료 및 N 형 재료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단위부재(110)을 다층으로 어라인하여 적층하는 공정은 50℃~250℃의 온도로 압착하여 적층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단위부재(110)의 적층 수는 2~50개의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원하는 형태와 사이즈로 커팅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결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공정에 따라 제조되는 단위부재(110)이 다수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위열전소자는 두께 및 형상 사이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벌크(Bulk) 형상의 열전소자는 잉곳분쇄, 미세화 볼-밀(ball-mill) 공정 후, 소결한 벌크구조를 커팅하게 되는바, 커팅공정에서 소실되는 재료가 많음은 물론, 균일한 크기로 절단하기도 어려우며, 두께가 3mm~5mm 정도로 두꺼워 박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형 구조의 단위열전소자는, 시트형상의 단위부재를 다층 적층한 후, 시트 적층물을 절단하게 되는바, 재료 손실이 거의 없으며, 소재가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바 소재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체 단위열전소자의 두께도 1.5mm 이하로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구현되는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의 구조와 같이, 원통형 구조나 정육면체나 직육면체의 구조로 절단하거나, 또는 도 5의 형상을 구현하여 도 6의 (d)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위열전소자의 제조공정에서, 단위부재(110)의 적층구조를 형성하는 공정 중에 각 단위부재(110)의 표면에 전도성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의 (c)의 적층구조물의 단위부재의 사이 사이에 도 7의 구조와 같은 전도성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층은 반도체층이 형성되는 기재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위부재의 표면이 노출되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패턴화된 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전면 도포되는 경우에 비하여 전기전도도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각 단위부재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열전도도를 낮추는 장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도성층(C)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단위부재의 표면이 노출되는 패턴이라 함은 도 7의 (a),(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폐쇄형 개구패턴(c1, c2)을 포함하는 메쉬타입 구조 또는 도 7의 (c),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방형 개구패턴(c3, c4)을 포함하는 라인타입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이상의 전도성층은 단위부재의 적층구조로 형성되는 단위열전소자의 내부에서 각 단위부재간의 접착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단위부재간 열전도도를 낮추며, 전기전도도는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이 구현되며, 종래 벌크형 열전소자 대비 냉각용량(Qc) 및 ΔT(℃) 가 개선되며, 특히 파워 팩터(Power factor)가 1.5배, 즉 전기전도도가 1.5배 상승하게 된다. 전기전도도의 상승은 열전효율의 향상과 직결되는바, 냉각효율을 증진하게 된다. 상기 전도성층은 금속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Cu, Ag, Ni 등의 재질의 금속계열의 전극물질은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도 6에서 상술한 적층형 구조의 단위열전소자를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열전모듈에 적용하는 경우, 즉 제1기판(140)과 제2기판(150)의 사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배치하고, 전극층을 포함하는 구조의 단위셀로 열전모듈을 구현하는 경우 전체 두께(Th)는 1.mm~1.5mm의 범위로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바, 기존 벌크형 소자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현저한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6에서 상술한 열전소자(120, 130)는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방향(X) 및 하부방향(Y)으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어라인하여, (c)와 같이 절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c)의 구조는, 제1기판 및 제2기판과 반도체층 및 기재의 표면이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로 열전모듈을 형성할 수 있으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전소자 자체를 수직으로 세워, 단위열전소자의 측면부가 상기 제1 및 제2기판에 인접하게 배치 되도록 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수평배치구조보다 측면 부에 전도층의 말단부가 노출되며, 수직방향의 열전도 효율을 낮추는 동시에 전기전도특성을 향상할 수 있어 냉각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현이 가능한 본 발명의 열전모듈에 적용되는 열전소자에서, 상호 대향하는 제1반도체소자 및 제2반도체소자의 형상 및 크기는 동일하게 이루어지나, 이 경우 P 형 반도체소자의 전기전도도와 N 형 반도체 소자의 전기전도도 특성이 서로 달라 냉각효율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점을 고려하여, 어느 한쪽의 체적을 상호 대향하는 다른 반도체소자의 체적과는 상이하게 형성하여 냉각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반도체 소자의 체적을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은, 크게 전체적인 형상을 다르게 형성하거나,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반도체소자에서 어느 한쪽의 단면의 직경을 넓게 형성하거나, 동일한 형상의 반도체 소자에서 높이나 단면의 직경을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N형 반도체소자의 직경을 P형 반도체소자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체적을 증가시켜 열전효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다양한 구조의 열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모듈은 상술한 것과 같이 발전용모듈이나, 또는 상 하부의 기판의 표면에 발열 및 흡열 부위의 특성에 따라 물이나 액체 등의 매체의 열을 빼앗아 냉각을 구현하거나, 특정 매체에 열을 전달하여 가열을 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열전모듈에서는 냉각효율을 증진하여 구현하는 냉각장치의 구성을 들어 실시형태로 설명하고 있으나, 냉각이 이루어지는 반대면의 기판에서는 발열특성을 이용해 매체를 가열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즉,하나의 장치에서 냉각과 가열을 동시에 기능하도록 구현하는 장비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단위부재
111: 기재
112: 반도체층
120: 열전소자
122: 제1소자부
124: 연결부
126: 제2소자부
130: 열전소자
132: 제1소자부
134: 연결부
136: 제2소자부
140: 제1기판
141: 제1수용홈부
142: 단락방지용 댐패턴
150: 제2기판
160a, 160b: 제1전극, 제2전극
S: 배선연결홈
181, 182: 배선
Y: 지지패턴

Claims (9)

  1. 다수의 제1전극을 구비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다수의 제2전극을 구비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열전소자;
    상기 제1기판 또는 상기 제2기판을 관통하며, 상기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의 일표면을 노출하는 배선연결홈; 및
    을 포함하는 열전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선연결홈은,
    상기 제2기판의 서로 다른 제2전극이 배치되는 개소에 한 쌍이 배치되는 열전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선연결홈에 의해 일표면이 노출되는 한 쌍의 제2전극은,
    복수의 열전소자 중 서로 다른 종류의 열전소자에서 연장되는 열전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에 상기 배선연결홈과 연통하도록 상기 제2기판의 표면에 음각의 가이드 홈이 구현되는 가이드홈패턴이 마련되는 열전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패턴은,
    상기 제2기판의 측면부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상기 배선연결홈까지 연결되는 열전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패턴은,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배선연결홈까지의 연결통로가 절곡되는 구조의 열전모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패턴의 폭이 상기 배선연결홈보다 좁은 구조의 열전모듈.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p형 열전반도체인 제1반도체소자와 n형 열전반도체인 제2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열전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선연결홈의 말단에 노출되는 상기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의 일표면에 결착되며, 상기 배선연결홈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
    을 더 포함하는 열전모듈.
KR1020150062134A 2015-04-30 2015-04-30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20160129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134A KR20160129637A (ko) 2015-04-30 2015-04-30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CN202110919455.3A CN113745395A (zh) 2015-04-30 2016-04-29 热电元件
CN201610282235.3A CN106098921A (zh) 2015-04-30 2016-04-29 热电模块和包括该热电模块的热转换器
US15/142,356 US10381540B2 (en) 2015-04-30 2016-04-29 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converter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21376A KR20220027907A (ko) 2015-04-30 2022-02-18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1020230086301A KR102666119B1 (ko) 2023-07-04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134A KR20160129637A (ko) 2015-04-30 2015-04-30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376A Division KR20220027907A (ko) 2015-04-30 2022-02-18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637A true KR20160129637A (ko) 2016-11-09

Family

ID=572058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134A KR20160129637A (ko) 2015-04-30 2015-04-30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1020220021376A KR20220027907A (ko) 2015-04-30 2022-02-18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376A KR20220027907A (ko) 2015-04-30 2022-02-18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81540B2 (ko)
KR (2) KR20160129637A (ko)
CN (2) CN1137453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29B1 (ko) * 2018-01-23 2019-05-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열전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0530056B (zh) * 2019-08-20 2021-05-18 武汉联特科技股份有限公司 多通道并行发射光器件及半导体致冷器
CN112599654B (zh) * 2020-12-22 2022-10-25 杭州大和热磁电子有限公司 一种带导电通孔的热电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17A (ja) * 1996-06-17 1998-0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ペルチェ素子
US20090007952A1 (en) * 2004-10-18 2009-01-08 Yoshiomi Kondoh Structure of Peltier Element or Seebeck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834986B2 (ja) * 2004-12-10 2011-12-14 株式会社Ihi 熱電ユニット
JP2006319262A (ja) * 2005-05-16 2006-11-24 Okano Electric Wire Co Ltd 熱電変換モジュール
JP4901350B2 (ja) * 2005-08-02 2012-03-21 株式会社東芝 熱電変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515628B (zh) * 2005-08-02 2011-03-09 株式会社东芝 热电装置及其制造方法
US20120048321A1 (en) * 2008-12-11 2012-03-01 Lamos Inc. Split thermo-electric cycles for simultaneous cooling, heating, and temperature control
JP2010165840A (ja) * 2009-01-15 2010-07-29 Sumitomo Chemical Co Ltd 熱電変換モジュール及び熱電変換モジュールブロック
US20110265838A1 (en) * 2009-01-21 2011-11-03 Mitsuru Kambe Packaged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EP2419944A4 (en) * 2009-04-15 2012-12-19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HERMOELECTRIC DEVICE HAVING VARIABLE CROSS SECTION SECTION CONNECTION STRUCTURE
US20130008479A1 (en) * 2011-07-07 2013-01-10 Peng Chen Thermoelectric element design
JP2013077810A (ja) * 2011-09-12 2013-04-25 Yamaha Corp 熱電装置
JP2013089719A (ja) * 2011-10-17 2013-05-13 Toyota Industries Corp 熱電変換素子
TWI425646B (zh) * 2012-01-06 2014-02-01 Au Optronics Corp 光伏陣列系統、其光伏裝置及其光伏裝置的側框件
US10483449B2 (en) * 2013-03-15 2019-11-19 Avx Corporation Thermoelectric generator
KR102070390B1 (ko) * 2013-08-20 2020-0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98921A (zh) 2016-11-09
CN113745395A (zh) 2021-12-03
KR20220027907A (ko) 2022-03-08
US20160322555A1 (en) 2016-11-03
US10381540B2 (en) 2019-08-13
KR20230107508A (ko) 202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3410B2 (en) 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convers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561218B1 (ko) 열전모듈
KR20220027907A (ko)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20160117944A (ko)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102304713B1 (ko)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20150021366A (ko) 열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모듈, 열전환장치
KR20150040590A (ko) 단위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모듈, 냉각장치
KR102304712B1 (ko)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CN107534077B (zh) 热电元件、热电模块及包括该热电模块的热转换装置
CN111615754A (zh) 热电元件
KR102412389B1 (ko)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102666119B1 (ko)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102355281B1 (ko) 열전 소자
KR102332357B1 (ko)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20160129636A (ko)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102139476B1 (ko)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20170036449A (ko) 열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장치
KR20160129640A (ko) 무선 전력송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충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