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302A - 골밀도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밀도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302A
KR20160129302A KR1020150061189A KR20150061189A KR20160129302A KR 20160129302 A KR20160129302 A KR 20160129302A KR 1020150061189 A KR1020150061189 A KR 1020150061189A KR 20150061189 A KR20150061189 A KR 20150061189A KR 20160129302 A KR20160129302 A KR 20160129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bone
ray
bed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세
박정회
이병석
최무진
Original Assignee
(주)나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눔테크 filed Critical (주)나눔테크
Priority to KR1020150061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9302A/ko
Priority to PCT/KR2015/010228 priority patent/WO2016175399A1/ko
Publication of KR20160129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 A61B6/54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dependent on patient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드부 몸체(100), 상기 베드부 몸체(100) 일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되, 돌출되어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체 고정수단(200), 상기 베드부 몸체(100)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피측정자에게 엑스선(X-Ray)을 조사하는 헤드부(300) 및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의 자세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을 제어하고, 상기 헤드부(300)에서 조사되어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생성된 골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판단하는 중앙 관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밀도 측정 시스템{Bone density measurement system}
본 발명은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형 골밀도 측정에 있어서 별도의 하체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피측정자의 하체를 자동으로 고정함으로써, 척추 및 대퇴부 왜곡을 방지하여 정확도 높은 골 이미지 생성 및 골밀도를 측정하고, 피측정자의 비만 상태에 따라 엑스선 피폭량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 초기에 "뼈질량의 감소와 뼈조직의 미세구조의 변화로 뼈의 취약성이 증가되고 골절이 되기 쉬운 전신 골격계 질환"으로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이 모아졌으며, 1994년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척추, 둔부 또는 아래팔의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로 측정하여 T 점수(T-score) 표준편차 단위로 측정한 골밀도를 기본으로 골다공증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의 기본원리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에너지 엑스선 광자를 이용하여, 신체의 연부 조직 및 뼈를 투과할 때 감쇠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은 엑스선 빔(beam)이 물질을 통과하여 지나갈 때 엑스선 강도가 물질의 기본 특성, 즉, 두께, 밀도 및 원자 구성 등에 의해 결정되는 양에 의해서 감쇠되는 사실을 기초로 하며, 방식으로는 가는 빛살 빔(pencil-beam), 부채꼴 빔(fan-beam) 및 원뿔 빔(cone-beam) 방식이 있다.
기존의 가는 빗살 빔 방식, 부채꼴 빔 방식은, 촬영 시간이 최소 30초에서 최대 30분까지 걸려 환자의 부담이 증가되고, 촬영 준비 과정에서 정확한 척추 위치 및 대퇴부 위치(Spine Lumber 1~4, Right-Femur, Left-Femur)를 선정하기 위해 촬영자가 환자의 신체 부위를 만지는 행위에 대하여 환자들의 거부감이 심한 상태이다.
게다가, 몸을 스캔해야하는 상황에서 환자가 몸을 비틀거나, 움직이게 되면 정확한 영상 데이터 획득 자체가 어렵게 된다.
그리고, 피측정자가 골밀도 측정을 위해 다리를 반듯이 펴고 누울 경우, 척추 부분이 아치 형태로 휘게되어 그대로 엑스선을 조사하여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영상 왜곡으로 인해 정확도가 낮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누울 경우 척추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육면체 또는 삼각형의 발포 고정대를 다리에 끼움으로써 척추 왜곡 현상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 경우 대퇴부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시 한번 피측정자의 자세를 바꿔야 하는 단점이 있어 촬영 시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촬영 과정의 번거로움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86483호("측정 위치의 보정이 가능한 초음파 발 골밀도 측정 장치",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발판부 양측 끝단에 설치된 복수 개의 간격 조절 부재에 의해 피측정자의 발을 발판부의 정중앙에 고정할 수 있고, 아킬레스건 커버부에 의해 뒤꿈치 및 아킬레스건을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고, 종아리 받침대에 종아리를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피측정자가 측정 중 신체를 움직이더라도 측정 위치에 위치한 발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보다 신뢰도 높은 측정 결과를 기재할 수 있는 초음파 발 골밀도 측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홀-바디 스캔, 즉 전신형 골밀도 측정 시스템이 아니라 환자(피측정자)의 신체 일부인 발에 한정하여, 발을 고정한 후 골밀도 측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신형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극복하고자 하는 문제점인, 불필요한 신체접촉, 이미지 오버랩에 의한 원본 데이터 손실,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 등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0886483호(등록일자 2009.02.2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신형 골밀도 측정에 있어서 별도의 하체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피측정자의 하체를 자동으로 고정함으로써, 척추 및 대퇴부 왜곡을 방지하여 정확도 높은 골 이미지 생성 및 골밀도를 측정하고, 피측정자의 비만 상태에 따라 엑스선 피폭량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베드부 몸체(100). 상기 베드부 몸체(100) 일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되, 돌출되어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체 고정수단(200), 상기 베드부 몸체(100)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피측정자에게 엑스선(X-Ray)을 조사하는 헤드부(300) 및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의 자세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을 제어하고, 상기 헤드부(300)에서 조사되어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생성된 골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판단하는 중앙 관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베드부 몸체(100)는 상기 헤드부(300)에서 조사되어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골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 관리부(400)로 전달하는 엑스레이 디텍터부(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300)는 인식 카메라(310) 및 거리 측정 센서(32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부(400)에서 상기 인식 카메라(310)와 거리 측정 센서(3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와 상기 헤드부(300) 간의 거리를 판단하여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비만도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30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위치에 따른 상기 중앙 관리부(400)의 제어에 따라, 피측정자의 하체 자세를 강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헤드부(300)는 조사량이 각각 상이한 고에너지 엑스선과 저에너지 엑스선을 동시에 조사하는 엑스레이 소스부(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 베드부 몸체(100) 일측에 상기 헤드부(3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앙 관리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부(30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전신형 골밀도 측정에 있어서 베드부 일면 상부에 별도의 하체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측정자의 제어에 따라 하체 고정수단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피측정자의 하체를 자동으로 고정하고 엑스선을 조사함으로써, 척추 및 대퇴부 왜곡을 방지하여 정확도 높은 골 이미지 생성 및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촬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피측정자의 신체 비만도를 산출하여 이에 따라 엑스선 피폭량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척추 왜곡 현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사용 예시에 따른 피측정자의 발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또다른 사용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사용 예시에 따른 피측정자의 발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또다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부 몸체(100), 상기 베드부 몸체(100) 일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하체 고정수단(200), 엑스선을 조사하는 헤드부(300) 및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판단하는 중앙 관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전신형 골밀도 측정기로서, 상기 베드부 몸체(100) 일면 상부에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하체 고정수단(200)을 통해서, 피측정자의 하체를 특정 자세로 자동 고정하고 엑스선을 조사함으로써, 척추 및 대퇴부 왜곡을 방지하여 정확도 높은 골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정확도 높은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베드부 몸체(100)는 피측정자가 누워서 골밀도를 측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헤드부(300)에서 조사되어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골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 관리부(400)로 전달하는 엑스레이 디텍터부(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110)는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를 아날로그 신호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아날로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골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110)는 생성한 상기 골 이미지를 상기 중앙 관리부(400)로 전달하며, 상기 중앙 관리부(400)는 전달받은 골 이미지를 통해서,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110)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층과, 상기 신틸레이터층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신틸레이터층은 엑스선을 받으면 가시광선을 방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틸레이터층의 상을 상기 신틸레이터층을 촬영하는 카메라, 즉, 가시광선 카메라로 촬영함으로써, 엑스선 촬영 영상인 골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11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상기 베드부 몸체(100)는 피측정자가 상기 베드부 몸체(100)에 용이하게 누울 수 있도록 별도의 리프트 수단(미도시)를 동작하여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중앙 관리부(400)의 관리자, 즉, 측정자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높낮이가 제어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중앙 관리부(400)는 관리자, 즉, 측정자의 제어에 따라, 피측정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헤드부(300)를 90도 회전시켜 피측정자가 상기 베드부 몸체(100)에 누울 때, 머리 부딪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300)에서 판단한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평면 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330)에서 정확한 위치에 엑스선을 조사하여 피측정자의 불필요한 엑스선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일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되, 돌출되어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길이 방향, 즉, 피측정자의 상체를 향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은 상기 중앙 관리부(400)의 제어에 따라, 측정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에 따라 피측정자의 하체 자세를 강제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피측정자의 척추 위치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누워있을 때 발생하는 척추 왜곡(도 1에 도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을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피측정자의 상체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측정자가 반듯이 누워서 무릎을 굽힌 자세를 취하게 되어 척추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측정자의 대퇴부 위치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을 피측정자의 발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베드부 몸체(100)와 일직선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측정자의 하체가 곧게 펴지는 자세를 취하게 되어 대퇴부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피측정자의 척추 위치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누워있을 때 발생하는 척추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이 피측정자의 상체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베드부 몸체(100)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피측정자가 반듯이 누워서 무릎을 굽힌 자세를 취하게 되어 척추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발 끝이 바닥과 직각을 향하도록 피측정자의 하체 자세를 강제 제어(도 7에 도시)하여 피측정자의 골 이미지를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피측정자의 대퇴부 위치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이 피측정자의 발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베드부 몸체(100)와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드부 몸체(100)에 수납됨으로써, 피측정자의 하체를 곧게 펴지는 자세로 피측정자의 대퇴부의 골이미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양 발 끝이 안쪽으로 안짱 형태로 향하도록 피측정자의 하체 자세를 강제 제어(도 5에 도시)하여 피측정자의 대퇴부 골 이미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에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 장치를 통한 스트로크 구동 또는, 모터 장치를 통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베드부 몸체(100)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30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5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500)은 상기 베드부 몸체(100) 일측에 상기 헤드부(3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앙 관리부(400)의 제어에 따라, 즉, 관리자(측정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부(300)를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부(300)는 피측정자에게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레이 조사부(330)와, 인식 카메라 및 거리 측정 센서(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330)는 조사량이 각각 상이한 고에너지 엑스선과 저에너지 엑스선을 동시에 조사하여,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110)에서 명암비가 상이한 복수 개의 골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부(400)는 상기 인식 카메라(310)와 거리 측정 센서(3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와 상기 헤드부(300) 간의 거리를 판단하여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한 피측정자의 비만도에 따라 상기 헤드부(30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엑스선 조사량의 제어 정도는 측정자의 제어에 따라서 가능하며, 측정자가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확인한 후 원하는 정도의 엑스선 조사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식 카메라(310)를 통해서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 또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위치 정보란, 피측정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피측정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판단한 후, 상기 베드부(200)를 평면 상으로 상하좌우 이동시키거나,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을 이동시켜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330)에서 피측정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부위에 엑스선을 용이하게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는 빗살 빔(pencil-beam) 방식 또는, 부채꼴 빔(fan-beam) 방식을 이용하여 엑스선을 조사할 경우, 촬영 시간, 즉, 피측정자가 움직임을 최소화해야하는 시간이 최소 1분 30초에서 최대 30분까지 길어지게 되며, 발목이나 손목 등의 특정 부위가 아닌 전신형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측정자가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접촉이 많아지며, 일괄적으로 엑스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엑스선에 피폭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상기 헤드부(300)의 엑스레이 소스부(330)는 원뿔 빔(cone-beam) 방식의 엑스선(X-ray)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면 단위로 촬영하기 때문에, 1회 촬영 시간이 1초 내외로서, 불필요한 엑스선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중앙 관리부(400)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의 자세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생성된 골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앙 관리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300)의 상기 인식 카메라(310)와 거리 측정 센서(3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와 상기 헤드부(300) 간의 거리를 판단하여 피측정자의 비만도(BMI)를 산출하고, 산출한 피측정자의 비만도에 따라 상기 헤드부(300)의 엑스레이 조사부(33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300)는 높낮이가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피측정자가 상기 베드부 몸체(100)에 누웠을 경우, 상기 거리 측정 센서(320)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300)와 피측정자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부(400)는 상기 헤드부(300)와 피측정자 간의 거리 정보 뿐 아니라, 피측정자의 키와 몸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피측정자의 키 정보는, 피측정자로부터 미리 입력받거나, 상기 헤드부(30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인식 카메라(310)를 이용하여, 상기 베드부 몸체(100) 상에 누워있는 피측정자의 전체 길이를 산출할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몸무게 정보는, 피측정자로부터 미리 입력받거나, 상기 베드부 몸체(100)에 구비되어 있는 무게 감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센싱받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부(400)는 상술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비만도 측정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33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비만도가 매우 낮은 사람과, 비만도가 매우 높은 사람은 뼈와 살 간의 분포되어 있는 지방층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엑스선 조사량을 조사할 경우, 골 이미지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부(400)는 상기 베드부 몸체(100), 하체 고정수단(200), 헤드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부(400)의 관리자(측정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엑스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앙 관리부(400)는 피측정자의 촬영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엑스선의 조사량 및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피측정자의 머리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330)에서 4mA으로 250ms동안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가슴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330)에서 5mA으로 250ms동안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복부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330)에서 6mA으로 500ms동안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대퇴부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330)에서 4mA으로 250ms동안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헤드부(300)의 엑스레이 소스부(330)에서 조사한 엑스선 조사량과,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엑스레이 디텍터부(110)에서 생성한 골 이미지와 골 이미지를 통해서 판단한 골밀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추후에 동일한 피측정자가 골밀도 측정할 경우, 과도한 엑스선 피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엑스선 조사량 데이터 및 상기 골 이미지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엑스선 조사량 데이터, 골 이미지 데이터 및 골밀도 정보는 피측정자 정보 유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인증된 외부에만 데이터들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별도의 음성수단(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수단을 통해서 골밀도 측정의 각 단계에 대한 측정자의 음성 정보를 전달해줌으로써, 측정자와 피측정자 간의 의사소통을 유도할 수 있어, 피측정자의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전신형 골밀도 측정기로서, 상기 베드부 몸체(100) 일면 상부에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하체 고정수단(200)을 통해서, 피측정자의 하체를 특정 자세로 자동 제어 및 고정한 후 엑스선을 조사함으로써, 척추 및 대퇴부 왜곡을 방지하여 정확도 높은 골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정확도 높은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 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베드부 몸체
110 : 엑스레이 디텍터부
200 : 하체 고정수단
300 : 헤드부
310 : 인식 카메라 320 : 거리 측정 센서
330 : 엑스레이 조사부
400 : 중앙 관리부
500 : 이동수단

Claims (6)

  1. 베드부 몸체(100);
    상기 베드부 몸체(100) 일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되, 돌출되어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체 고정수단(200);
    상기 베드부 몸체(100)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베드부 몸체(1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피측정자에게 엑스선(X-Ray)을 조사하는 헤드부(300); 및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의 자세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을 제어하고, 상기 헤드부(300)에서 조사되어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생성된 골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판단하는 중앙 관리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 몸체(100)는
    상기 헤드부(300)에서 조사되어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골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 관리부(400)로 전달하는 엑스레이 디텍터부(11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00)는
    인식 카메라(310) 및 거리 측정 센서(32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부(400)에서 상기 인식 카메라(310)와 거리 측정 센서(3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와 상기 헤드부(300) 간의 거리를 판단하여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비만도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30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 고정수단(200)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위치에 따른 상기 중앙 관리부(400)의 제어에 따라,
    피측정자의 하체 자세를 강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00)는
    조사량이 각각 상이한 고에너지 엑스선과 저에너지 엑스선을 동시에 조사하는 엑스레이 소스부(3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 베드부 몸체(100) 일측에 상기 헤드부(3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앙 관리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부(30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5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시스템.
KR1020150061189A 2015-04-30 2015-04-30 골밀도 측정 시스템 KR20160129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189A KR20160129302A (ko) 2015-04-30 2015-04-30 골밀도 측정 시스템
PCT/KR2015/010228 WO2016175399A1 (ko) 2015-04-30 2015-09-25 골밀도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189A KR20160129302A (ko) 2015-04-30 2015-04-30 골밀도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302A true KR20160129302A (ko) 2016-11-09

Family

ID=5719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189A KR20160129302A (ko) 2015-04-30 2015-04-30 골밀도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29302A (ko)
WO (1) WO20161753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3308B2 (en) 2019-02-01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e processing method and X-ray image process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4269B (zh) * 2017-05-11 2020-12-18 刘月君 一种骨外科疾病全身诊断治疗装置
CN113855060A (zh) * 2021-11-04 2021-12-31 深圳市深图医学影像设备有限公司 一种双能x射线骨密度仪及其工作方法
CN114041961A (zh) * 2021-11-05 2022-02-15 上海指景堂中医诊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整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483B1 (ko) 2008-04-04 2009-03-05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측정 위치의 보정이 가능한 초음파 발 골밀도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2110B2 (en) * 2005-03-01 2015-03-17 Eyesmatch Ltd Method for image transformation, augmented reality, and teleperence
US8146599B2 (en) * 2008-06-17 2012-04-03 Civco Medical Instruments Co., Inc. Patient positioning system
KR101249862B1 (ko) * 2011-05-13 2013-04-03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위치 결정 기능과 체성분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US20150216489A1 (en) * 2012-10-08 2015-08-06 Koninklijke Philips N.V. Emergency activation of a medical x-ray imaging system
KR101253116B1 (ko) * 2012-11-21 2013-04-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483B1 (ko) 2008-04-04 2009-03-05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측정 위치의 보정이 가능한 초음파 발 골밀도 측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3308B2 (en) 2019-02-01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e processing method and X-ray image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5399A1 (ko)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215B1 (ko)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McBain et al. X-ray volumetric imaging in image-guided radiotherapy: the new standard in on-treatment imaging
Tsunashima et al. Correlation between the respiratory waveform measured using a respiratory sensor and 3D tumor motion in gated radiotherapy
US9274037B2 (en) Method and computerized tomography system for determining bone mineral density values
JP4444338B2 (ja) 放射線治療装置制御装置および放射線照射方法
Onimaru et al. The effect of tumor location and respiratory function on tumor movement estimated by real-time tracking radiotherapy (RTRT) system
US10653377B2 (en) Breast computed tomography system comprising a gripper
KR20160129302A (ko) 골밀도 측정 시스템
Mutanga et al. Day-to-day reproducibility of prostate intrafraction motion assessed by multiple kV and MV imaging of implanted markers during treatment
EP34614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xa tomo-based finite element analysis of bones
JP2022140050A (ja) 推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ttori et al. Commissioning and quality assurance of a novel solution for respiratory-gated PBS proton therapy based on optical tracking of surface markers
US8804903B2 (en) Mammography apparatus
De Koste et al. Procedures for high precision setup verification and correction of lung cancer patients using CT-simulation and 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s (DRR)
Fukano et al. Three-dimensional kinematics of the talocrural and subtalar joints during drop landing
Wu et al. Comparison of the verification performance and radiation dose between ExacTrac x-ray system and On-Board Imager—A phantom study
Quinn et al. Kilovoltage cone-beam CT imaging dose during breast radiotherapy: A dose comparison between a left and right breast setup
KR101797284B1 (ko) 방사선 조사 장치
Rome et al. Ultrasonic heel pad thickness measurements: a preliminary study.
Fung et al.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 using computed tomography in radiotherapy
EP3833259B1 (en) Examination of a blood vessel based on nuclear resonant absorption
KR101945856B1 (ko) 엑스선을 이용하여 내장 지방량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80160971A1 (en) Stereoradiography measurement of arthroplasty implant loosening
Aoyama et al. Comparison of daily prostate positions during conformal radiation therapy of prostate cancer using an integrated CT-linear accelerator system: in-room CT image versus 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
Holborn et al. Image-guided Radiotherapy and Treatment Ver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