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215B1 -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215B1
KR101550215B1 KR1020130127541A KR20130127541A KR101550215B1 KR 101550215 B1 KR101550215 B1 KR 101550215B1 KR 1020130127541 A KR1020130127541 A KR 1020130127541A KR 20130127541 A KR20130127541 A KR 20130127541A KR 101550215 B1 KR101550215 B1 KR 10155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ray
unit
mark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729A (ko
Inventor
김국세
박정회
이병석
김재학
최무진
Original Assignee
(주)나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눔테크 filed Critical (주)나눔테크
Priority to KR102013012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215B1/ko
Priority to PCT/KR2013/009666 priority patent/WO2015060488A1/ko
Priority to CN201380077868.5A priority patent/CN105358061A/zh
Publication of KR2015004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92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using markers or indicia for aiding patient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64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 particular type of beam
    • A61B6/4085Cone-beam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뿔 빔(cone-beam) 방식의 엑스선(X-ray)을 발생하는 엑스레이 소스부(110)와,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고정 가능한 다수 개의 마커(20)를 인식하여,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위치 인식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드부(100),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 대향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조사되어 피측정자의 특정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2차원 평면 형태의 골 이미지를 생성하는 엑스레이 디텍터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드부(200) 및 상기 헤드부(100) 및 상기 베드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 인식부(120)에서 판단한 상기 신체 위치 정보에 따라, 측정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상기 엑스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를 제어하며,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에서 생성한 상기 골 이미지를 전달받아 골밀도를 판단하는 중앙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Bone density measurement using auto location sensing}
본 발명은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 단위로 엑스선(X-ray)을 조사할 수 있는 원뿔 빔(cone-beam) 형태의 골밀도 측정 시스템으로서, 미리 저장된 환자 정보 및 위치 인식 카메라를 통한 환자의 신체부위 정보 저장 마커를 인식하여 골밀도를 측정해야하는 촬영 부위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골밀도를 측정함으로써, 촬영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신체 각 부위별 엑스선 조사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환자의 엑스선 피폭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 초기에 "뼈질량의 감소와 뼈조직의 미세구조의 변화로 뼈의 취약성이 증가되고 골절이 되기 쉬운 전신 골격계 질환"으로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이 모아졌으며, 1994년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척추, 둔부 또는 아래팔의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로 측정하여 T 점수(T-score) 표준편차 단위로 측정한 골밀도를 기본으로 골다공증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의 기본원리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에너지 엑스선 광자를 이용하여, 신체의 연부 조직 및 뼈를 투과할 때 감쇠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은 엑스선 빔(beam)이 물질을 통과하여 지나갈 때 엑스선 강도가 물질의 기본 특성, 즉, 두께, 밀도 및 원자 구성 등에 의해 결정되는 양에 의해서 감쇠되는 사실을 기초로 하며, 방식으로는 가는 빛살 빔(pencil-beam), 부채꼴 빔(fan-beam) 및 원뿔 빔(cone-beam) 방식이 있다.
기존의 가는 빗살 빔 방식, 부채꼴 빔 방식은, 촬영 시간이 최소 30초에서 최대 30분까지 걸려 환자의 부담이 증가되고, 촬영 준비 과정에서 정확한 척추 위치 및 대퇴부 위치(Spine Lumber 1~4, Right-Femur, Left-Femur)를 선정하기 위해 촬영자가 환자의 신체 부위를 만지는 행위에 대하여 환자들의 거부감이 심한 상태이다.
게다가, 몸을 스캔해야하는 상황에서 환자가 몸을 비틀거나, 움직이게 되면 정확한 영상 데이터 획득 자체가 어렵게 된다.
또한, 전신형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경우, 부채꼴 빔 방식으로 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 경우, 환자의 홀-바디 스캔 중 라인으로 스캔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첫 번째 라인과 두 번째 라인 사이에서 겹치는 현상, 다시 말하자면, 이미지 오버랩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복원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를 통해서도, 원본 영상의 손실이 많기 때문에 정확한 골밀도 측정 자체가 힘들게 되어 데이터 오류의 심각성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각 신체부위(머리, 가슴 복부, 골반 등)마다 권고 조사량이 다르지만 일정한 조사량으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조사함으로써, 환자의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가져와 환자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86483호("측정 위치의 보정이 가능한 초음파 발 골밀도 측정 장치",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발판부 양측 끝단에 설치된 복수 개의 간격 조절 부재에 의해 피측정자의 발을 발판부의 정중앙에 고정할 수 있고, 아킬레스건 커버부에 의해 뒤꿈치 및 아킬레스건을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고, 종아리 받침대에 종아리를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피측정자가 측정 중 신체를 움직이더라도 측정 위치에 위치한 발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보다 신뢰도 높은 측정 결과를 기재할 수 있는 초음파 발 골밀도 측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홀-바디 스캔, 즉 전신형 골밀도 측정 시스템이 아니라 환자(피측정자)의 신체 일부인 발에 한정하여, 발을 고정한 후 골밀도 측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신형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극복하고자 하는 문제점인, 불필요한 신체접촉, 이미지 오버랩에 의한 원본 데이터 손실,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 등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0886483호(등록일자 2009.02.2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면 단위로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는 원뿔 빔(cone-beam) 형태의 골밀도 측정 시스템으로서, 미리 저장된 환자 정보 및 위치 인식 카메라를 통한 환자의 신체부위 정보 저장 마커를 인식하여 골밀도를 측정해야하는 촬영 부위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골밀도를 측정함으로써, 촬영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신체 각 부위별 엑스선 조사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환자의 엑스선 피폭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원뿔 빔(cone-beam) 방식의 엑스선(X-ray)을 발생하는 엑스레이 소스부(110)와,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고정 가능한 다수 개의 마커(20)를 인식하여,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위치 인식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드부(100),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 대향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조사되어 피측정자의 특정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2차원 평면 형태의 골 이미지를 생성하는 엑스레이 디텍터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드부(200) 및 상기 헤드부(100) 및 상기 베드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 인식부(120)에서 판단한 상기 신체 위치 정보에 따라, 측정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상기 엑스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를 제어하며,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에서 생성한 상기 골 이미지를 전달받아 골밀도를 판단하는 중앙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300)는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베드부(200)를 평면 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기 마커(2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헤드부(100)와, 상기 마커(20) 간의 거리를 판단하여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 헤드부(100)에 거리 측정 센서(30)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엑스레이 제어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엑스레이 제어부(130)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30)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마커(20)와, 상기 헤드부(100) 간의 거리를 판단하여,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100)는 상기 중앙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9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드부(200)는 상기 중앙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커(20)는 피측정자의 머리, 목, 가슴, 복부 또는 대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 가능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300)의 판단에 따라, 피측정자의 머리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4mA으로 250ms동안 피측정자의 머리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며, 피측정자의 가슴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5mA으로 250ms동안 피측정자의 가슴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며, 피측정자의 복부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6mA으로 500ms동안 피측정자의 복부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며, 피측정자의 대퇴부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4mA으로 250ms동안 피측정자의 대퇴부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층과 상기 신틸레이터층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방법은, 피측정자의 머리, 목, 가슴, 복부 또는 대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커를 고정하는 마커 고정 단계(S100), 헤드부에 구비되어 있는 위치 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마커를 인식하여,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위치 인식 단계(S200), 중앙 제어부에서 상기 위치 인식 단계(S200)에서 판단한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헤드부에 구비되어 있는 엑스레이 소스부에서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특정 마커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 단계(S300) 및 베드부에 구비되어 있는 엑스레이 디텍터부에서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2차원 평면 형태의 골 이미지를 생성하여, 골밀도를 측정하는 골밀도 측정 단계(S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엑스선 조사 단계(S300)는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베드부를 평면 상에서 상하좌우 이동시켜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마커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방법은 상기 엑스선 조사 단계(S300)를 수행하기 전에,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마커와 상기 헤드부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 판단 단계(S210), 상기 거리 판단 단계(S210)에서 판단한 거리에 따라,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산출하는 비만도 산출 단계(S220) 및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상기 비만도 산출 단계(S220)에서 산출한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이용하여,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조사량 제어 단계(S23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면 단위로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는 원뿔 빔(cone-beam) 형태의 골밀도 측정하며, 미리 저장된 환자 정보 및 위치 인식 카메라를 통한 환자의 신체부위 정보 저장 마커를 인식하여 골밀도를 측정해야하는 촬영 부위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용이하게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뿔 빔 형태의 엑스선을 이용하여 촬영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헤드부와, 베드부가 환자에 맞게 자동으로 움직임으로써, 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촬영에 대한 부담감 및 촬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미리 저장된 환자 정보 및 위치 인식 카메라를 통한 환자의 신체부위 정보 저장 마커를 인식하여 신체 각 부위별 X선 방사선량을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환자의 불필요한 엑스선 피폭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머리 : ~2mSv, 가슴 : ~8mSv, 복부 : ~10mSv, 골반 : ~10mSv)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헤드부와 베드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마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엑스레이 제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레이 소스부(110)와,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이용하여 마커(20)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20)와, 엑스레이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드부(100), 엑스레이 디텍터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드부(200) 및 상기 헤드부(100) 및 상기 베드부(2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중앙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자면,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는 빛살 빔(pencil-beam) 방식 또는, 부채꼴 빔(fan-beam) 방식을 이용하여 엑스선을 조사할 경우, 촬영 시간, 즉, 피측정자가 움직임을 최소화해야하는 시간이 최소 1분 30초에서 최대 30분까지 길어지게 되며, 발목이나 손목 등의 특정 부위가 아닌 전신형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측정자가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접촉이 많아지며, 일괄적으로 엑스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엑스선에 피폭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상기 헤드부(100)의 엑스레이 소스부(110)는 원뿔 빔(cone-beam) 방식의 엑스선(X-ray)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면 단위로 촬영하기 때문에, 1회 촬영 시간이 1초 내외로서, 불필요한 엑스선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헤드부(100)의 위치 인식부(120)는 상기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기 마커(20)를 인식하여,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 인식부(120)를 통해서 다수 개의 상기 마커(20)를 인식하여 정확한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위치 정보란, 피측정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은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기 마커(20)를 인식하여, 피측정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판단한 후, 상기 베드부(200)를 평면 상으로 상하좌우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피측정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부위에 엑스선을 용이하게 조사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자의 머리, 목, 가슴, 복부 및 대퇴부 등 필요한 부위에 상기 위치 인식 카메라(10)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마커(20)를 고정하거나, 표식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마커(20)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커(20)는 일면이 접착부재로 이루어져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고정되거나, 일면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로 이루어져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마커(20)가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고정되기 위한 수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더불어, 상기 위치 인식부(120)는 상기 중앙 제어부(300)를 통해서, 피측정자의 기본 정보 즉, 키 등의 기본 신체 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피측정자의 머리부터 대퇴부까지 고정되어 있는 상기 마커(20)를 좀 더 신속하게 인식하여, 피측정자의 상기 신체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커(20)는 상기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통해서 인식만 될 뿐,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발생하는 엑스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헤드부(100)의 엑스레이 제어부(130)는 거리 측정 센서(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엑스레이 제어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 측정 센서(30)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기 마커(20)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30) 간의 거리를 판단하여,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의 상기 헤드부(100)는 높낮이가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피측정자가 베드부(200)가 누웠을 경우, 상기 거리 측정 센서(30)를 이용하여, 상기 마커(20)의 인식되는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100)와 상기 마커(20), 즉, 피측정자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피측정자의 신체 두께, 즉, 비만도 측정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비만도가 매우 낮은 사람과, 비만도가 매우 높은 사람은 뼈와 살 간의 분포되어 있는 지방층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엑스선 조사량을 조사할 경우, 골 이미지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상기 엑스레이 제어부(130)를 통해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 엑스레이 제어부(130), 즉, 상기 거리 측정 센서(30) 없이도, 상기 위치 인식 카메라(10)에서 상기 마커(20)를 인식하여, 상기 마커(20)의 크기를 토대로 상기 마커(20)와, 상기 헤드부(10) 간의 거리 또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커(20)의 크기가 클 경우, 피측정자와 상기 헤드부(100)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판단한 거리를 토대로 피측정자의 비만도 산출하여, 비만도 산출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부(300)로 전달 가능하며, 상기 엑스레이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베드부(200)의 엑스레이 디텍터부(210)는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 대향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엑스레이 조사부(110)에서 조사되어 피측정자의 특정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2차원 평면 형태의 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는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를 아날로그 신호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아날로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골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는 생성한 상기 골 이미지를 상기 중앙 제어부(300)로 전달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300)는 상기 골 이미지를 통해서, 피측정자의 골밀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층과, 상기 신틸레이터층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신틸레이터층은 엑스선을 받으면 가시광선을 방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틸레이터층의 상을 상기 신틸레이터층을 촬영하는 카메라, 즉, 가시광선 카메라로 촬영함으로써, 엑스선 촬영 영상인 골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상기 베드부(200)는 피측정자가 상기 베드부(200)에 용이하게 누울 수 있도록 별도의 리프트 수단(미도시)를 동작하여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중앙 제어부(300)의 관리자, 즉, 측정자의 제어에 따라서 베드부(200)의 높낮이가 제어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중앙 제어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부(300)의 관리자, 즉, 측정자의 제어에 따라, 피측정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헤드부(100)를 90도 회전시켜 피측정자가 상기 베드부(200)에 누울 때, 머리 부딪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인식부(120)에서 판단한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베드부(200)의 평면 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정확한 위치에 엑스선을 조사하여 피측정자의 불필요한 엑스선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00)는 상기 헤드부(100) 및 상기 베드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부(100)의 위치 인식부(120)에서 판단한 피측정자의 상기 신체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부(300)의 관리자(측정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상기 엑스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중앙 제어부(300)는 상기 헤드부(100)의 위치 인식부(120)에서 판단한 피측정자의 상기 신체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베드부(200)의 위치를 평면 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촬영하고자 하는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가 위치하도록 하여, 엑스선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앙 제어부(300)는 피측정자의 촬영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엑스선의 조사량 및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피측정자의 머리, 목, 가슴, 복부 또는 대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마커(20)를 위치를 인지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300)의 판단에 따라, 피측정자의 머리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4mA으로 250ms동안 피측정자의 머리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가슴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5mA으로 250ms동안 피측정자의 가슴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복부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6mA으로 500ms동안 피측정자의 복부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골반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4mA으로 250ms동안 피측정자의 대퇴부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300)는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에서 생성한 상기 골 이미지를 전달받아 골밀도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중앙 제어부(300)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위치 인식부(120)에서 판단한 피측정자의 상기 신체 위치 정보에 대해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조사한 엑스선 조사량과,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에서 생성한 골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추후에 동일한 피측정자가 골밀도 측정할 경우, 과도한 엑스선 피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엑스선 조사량 데이터 및 상기 골 이미지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엑스선 조사량 데이터 및 상기 골 이미지 데이터를 피측정자 정보 유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인증된 외부에만 데이터들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별도의 음성수단(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수단을 통해서 골밀도 측정의 각 단계에 대한 측정자의 음성 정보를 전달해줌으로써, 측정자와 피측정자 간의 의사소통을 유도할 수 있어, 피측정자의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커 고정 단계(S100), 위치 인식 단계(S200), 엑스선 조사 단계(S300) 및 골밀도 측정 단계(S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마커 고정 단계(S100)는 상기 중앙 제어부(300)의 관리자(측정자)가 피측정자의 머리, 목, 가슴, 복부 또는 대퇴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상기 마커(2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인식 단계(S200)는 상기 헤드부(10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마커(20)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조사 단계(S300)는 상기 중앙 제어부(300)에서 상기 위치 인식 단계(S200)에서 판단한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10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특정 마커(20)에 맞추어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특정 마커(20)에 맞추어 엑스선을 조사하기 위해서, 상기 중앙 제어부(300)는 상기 베드부(200)를 평면 상에서 상하좌우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골밀도 측정 단계(S400)는 상기 베드부(20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에서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 즉,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특정 마커(20)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2차원 평면 형태의 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제어부(300)에서 이를 전달받아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엑스선 조사 단계(S300)를 수행하기 전에, 거리 판단 단계(S210), 비만도 산출 단계(S220) 및 조사량 제어 단계(S2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리 판단 단계(S210)는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마커(20)와 상기 헤드부(100)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이 때, 상기 마커(20)와 상기 헤드부(100) 간의 거리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100)에 상기 거리 측정 센서(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엑스레이 제어부(130)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이용하여 상기 마커(20)를 인식한 후, 상기 마커(20)의 크기를 토대로 상기 마커(20)와 상기 헤드부(100)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비만도 산출 단계(S220)는 상기 거리 판단 단계(S210)에서 판단한 거리에 따라,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조사량 제어 단계(S230)는 상기 중앙 제어부(300)에서 상기 비만도 산출 단계(S220)에서 산출한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이용하여,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비만도가 매우 낮은 사람과, 비만도가 매우 높은 사람은 뼈와 살 간의 분포되어 있는 지방층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엑스선 조사량을 조사할 경우, 골 이미지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기존의 전신형 골밀도 측정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측정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판단하기 위해서, 직접 신체 접촉 또는, 눈대중이나 일반적인 평균치를 토대로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 위치를 판단하여 엑스선을 조사하였으나, 이 경우, 정확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부분에 과도한 엑스선이 피폭될 위험이 매우 높았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은 피측정자가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마커(20)를 별도의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이용하여 인식함으로써,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피측정자가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피측정자가 누워있는 베드부(200)를 평면 상에서 상하좌우 이동시켜 골밀도 측정을 용이하면서 정확도 높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중앙 제어부(300)는 상기 위치 인식 카메라(10)에서 상기 마커(20)가 카메라 영상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드부(200)를 평면 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 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위치 인식 카메라
20 : 마커
30 : 거리 측정 센서
100 : 헤드부
110 : 엑스레이 소스부 120 : 위치 인식부
130 : 엑스레이 제어부
200 : 베드부
210 : 엑스레이 디텍터부
300 : 중앙 제어부

Claims (9)

  1. 원뿔 빔(cone-beam) 방식의 엑스선(X-ray)을 발생하는 엑스레이 소스부(110)와,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고정 가능한 다수 개의 마커(20)를 인식하여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위치 인식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드부(100);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 대향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조사되어 피측정자의 특정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2차원 평면 형태의 골 이미지를 생성하는 엑스레이 디텍터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드부(200); 및
    상기 헤드부(100) 및 상기 베드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 인식부(120)에서 판단한 상기 신체 위치 정보에 따라, 측정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상기 엑스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를 제어하며,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에서 생성한 상기 골 이미지를 전달받아 골밀도를 판단하는 중앙 제어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 개의 마커(2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헤드부(100)와 상기 마커(20) 간의 거리를 판단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300)에서 상기 위치 인식 카메라(10)를 이용하여 판단한 거리에 따라,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산출하여 이를 토대로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조사되는 엑스레이 조사량을 제어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300)는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베드부(200)를 평면 상에서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는
    상기 중앙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9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200)는
    상기 중앙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20)는
    피측정자의 머리, 목, 가슴, 복부 또는 대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 가능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300)의 판단에 따라,
    피측정자의 머리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4mA으로 250ms동안 피측정자의 머리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며,
    피측정자의 가슴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5mA으로 250ms동안 피측정자의 가슴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며,
    피측정자의 복부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6mA으로 500ms동안 피측정자의 복부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며,
    피측정자의 대퇴부의 골밀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110)에서 4mA으로 250ms동안 피측정자의 대퇴부 부분의 상기 마커(20)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부(210)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층과, 상기 신틸레이터층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8. 헤드부에 구비되어 있는 위치 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머리, 목, 가슴, 복부 및 대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기고정되어 있는 마커를 인식하여,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위치 인식 단계(S200);
    중앙 제어부에서 상기 위치 인식 단계(S200)에서 판단한 피측정자의 신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헤드부에 구비되어 있는 엑스레이 소스부에서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특정 마커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 단계(S300); 및
    베드부에 구비되어 있는 엑스레이 디텍터부에서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2차원 평면 형태의 골 이미지를 생성하여, 골밀도를 측정하는 골밀도 측정 단계(S4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엑스선 조사 단계(S300)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어 있는 위치 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마커와 상기 헤드부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 판단 단계(S210);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상기 거리 판단 단계(S210)에서 판단한 거리에 따라,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산출하는 비만도 산출 단계(S220); 및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상기 비만도 산출 단계(S220)에서 산출한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이용하여, 상기 엑스레이 소스부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조사량 제어 단계(S230);
    를 더 수행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단계(S300)는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베드부를 평면 상에서 상하좌우 이동시켜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마커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방법.
  9. 삭제
KR1020130127541A 2013-10-25 2013-10-25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KR101550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541A KR101550215B1 (ko) 2013-10-25 2013-10-25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PCT/KR2013/009666 WO2015060488A1 (ko) 2013-10-25 2013-10-29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CN201380077868.5A CN105358061A (zh) 2013-10-25 2013-10-29 利用自动识别位置的骨密度测量系统及其测量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541A KR101550215B1 (ko) 2013-10-25 2013-10-25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29A KR20150047729A (ko) 2015-05-06
KR101550215B1 true KR101550215B1 (ko) 2015-09-11

Family

ID=5299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541A KR101550215B1 (ko) 2013-10-25 2013-10-25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50215B1 (ko)
CN (1) CN105358061A (ko)
WO (1) WO2015060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856B1 (ko) * 2016-07-28 2017-08-21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CN106859681A (zh) * 2017-03-15 2017-06-20 深圳市艾克瑞电气有限公司 一种锥形束高低能数字骨密度仪
CN107080549A (zh) * 2017-06-12 2017-08-22 江苏美伦影像系统有限公司 一种智能双模dr设备及其拍摄方法
US10751021B2 (en) * 2018-12-20 2020-08-2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an x-ray image
CN111387998A (zh) * 2020-02-27 2020-07-10 广州越神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触摸屏操控x射线机的控制方法及系统
CN115120256A (zh) * 2022-07-19 2022-09-30 邦世科技(南京)有限公司 一种自动化x射线设备及自动化x射线设备的拍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2760A (ja) * 2006-03-24 2007-10-04 Shimadzu Corp X線断層撮影方法およびx線断層撮影装置
US20110060247A1 (en) 2009-09-10 2011-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one lengths
JP2012147978A (ja) * 2011-01-20 2012-08-09 Shimadzu Corp X線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0199A (en) * 1986-07-14 1991-08-13 Hologi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s using x-rays
JP3554129B2 (ja) * 1997-01-17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
EP1078252A4 (en) * 1998-03-02 2007-05-30 Image Analysis Inc AUTOMATED BONE DENSITY MEASUREMENT BY X-RAY RADIATION
FR2801776B1 (fr) * 1999-12-03 2002-04-2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utilisation d'un systeme d'osteodensitometrie, par rayonnement x bi-energie, a faisceau conique
KR100886483B1 (ko) * 2008-04-04 2009-03-05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측정 위치의 보정이 가능한 초음파 발 골밀도 측정 장치
CN201572102U (zh) * 2009-11-23 2010-09-08 北京东方惠尔图像技术有限公司 数字化双平面x线实时成像装置
WO2011095694A1 (en) * 2010-02-02 2011-08-11 Planmeca Oy Dental imag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2760A (ja) * 2006-03-24 2007-10-04 Shimadzu Corp X線断層撮影方法およびx線断層撮影装置
US20110060247A1 (en) 2009-09-10 2011-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one lengths
JP2012147978A (ja) * 2011-01-20 2012-08-09 Shimadzu Corp X線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29A (ko) 2015-05-06
CN105358061A (zh) 2016-02-24
WO2015060488A1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215B1 (ko) 자동 위치 인식을 통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US9724049B2 (en) Radiotherapy system
US7935939B2 (en) Radiotherapy apparatus controller and radiation irradiation method
US20070211857A1 (en) Radiotherapy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radiation irradiation method
US20080031413A1 (en) Method for the reconstruction of a body map
US200501805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positioning for radiotherapy in the presence of respiratory motion
CN112450952A (zh) 设定x射线放射单元
WO2020036225A1 (ja) 放射線撮影装置
Cury et al. Ultrasound-based image guided radiotherapy for prostate cancer—comparison of cross-modality and intramodality methods for daily localization during external beam radiotherapy
Mutanga et al. Day-to-day reproducibility of prostate intrafraction motion assessed by multiple kV and MV imaging of implanted markers during treatment
KR20110051490A (ko) 파노라마 영상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160129302A (ko) 골밀도 측정 시스템
CN108744310A (zh) 多模式引导自适应放疗系统
Garibaldi et al. Geometric and dosimetric accuracy and imaging dose of the real-time tumour tracking system of a gimbal mounted linac
JP2006230673A (ja) 動体追跡照射装置、動体追跡照射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 Koste et al. Procedures for high precision setup verification and correction of lung cancer patients using CT-simulation and 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s (DRR)
JP2004500173A (ja) 放射線検査を改良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101788468B1 (ko) 방사선 치료 시 광조사야 및 광반사체를 이용한 환자정렬 방법 및 시스템
CN107693958A (zh) 放射治疗全程位置验证的方法
US8428218B2 (en) Dynamic tumor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program
Owen et al. Comparison of CT on rails with electronic portal imaging for positioning of prostate cancer patients with implanted fiducial markers
Zeidan et al. A comparison of soft-tissue implanted markers and bony anatomy alignments for image-guided treatments of head-and-neck cancers
Wu et al. Comparison of the verification performance and radiation dose between ExacTrac x-ray system and On-Board Imager—A phantom study
KR101945856B1 (ko) 엑스선을 이용하여 내장 지방량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0558A (ko) 예각사영 마커추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