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116B1 -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116B1
KR101253116B1 KR1020120132582A KR20120132582A KR101253116B1 KR 101253116 B1 KR101253116 B1 KR 101253116B1 KR 1020120132582 A KR1020120132582 A KR 1020120132582A KR 20120132582 A KR20120132582 A KR 20120132582A KR 101253116 B1 KR101253116 B1 KR 101253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ray
unit
ray generator
bone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복
윤귀영
한호석
민대식
이종희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는, 피측정자의 신체가 눕혀지는 베드, 베드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선상에 위치하고 피측정자의 뼈에 X선을 주사하는 X선 발생부,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X선을 통해 뼈의 이미지를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및 X선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베드의 일측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베드의 높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제1레일, 제1레일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일측에는 X선 발생부가 결합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가 제1레일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이송부; 및 구동부 및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X선 발생부, X선 검출부, 구동부 및 이송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Distance Customized Bone Density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측정 거리가 가변되는 골밀도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드의 높이방향으로 X선 발생부를 왕복이동시키는 이송부를 구비하여 피측정자의 체형에 따라 X선 발생부의 높이를 가변시켜 골밀도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는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골밀도 측정 장치는 X선 발생부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골밀도 측정이 수행되는 관계로, 골밀도 측정장치의 베드에 위치되는 피측정자가 비만체형일 경우 X선의 투과성이 낮아 골밀도 측정의 정확성이 저하되고, 피측정자가 마른체형일 경우 필요 이상의 X선이 주사되어 피측정자에게 많은 양의 방사선이 피폭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0873388호는 자동 포지셔닝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0873388호의 기술로는 피측정자의 체형별로 X선 투과량을 조절할 수 없어서 비만체형인 피측정자의 경우 골밀도 측정의 정확성이 저하되고, 마른체형의 피측정자의 경우 필요 이상의 X선이 주사되어 피측정자에게 많은 양의 방사선이 피폭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측정자의 체형에 따라 X선 발생부를 베드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피측정자에게 주사되는 X선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피측정자의 골밀도 측정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피측정자에게 피폭되는 방사선량을 줄일 수 있는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는, 피측정자의 신체가 눕혀지는 베드, 베드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선상에 위치하고 피측정자의 뼈에 X선을 주사하는 X선 발생부,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X선을 통해 뼈의 이미지를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및 X선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베드의 일측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베드의 높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제1레일, 제1레일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일측에는 X선 발생부가 결합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가 제1레일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이송부; 및 구동부 및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X선 발생부, X선 검출부, 구동부 및 이송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베드는 베드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레일, 베드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2레일을 따라 베드의 양측부에서 중심으로 왕복이동 하며 신장을 측정하는 신장측정바 및 베드의 크기와 일치하고 베드의 내부에 구비되어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계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신장측정바에서 측정된 신장과 체중계에서 측정된 체중에 기초하여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비만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와 일치되도록 X선 발생부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X선 발생부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발생된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시간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초음파 반사시간의 평균값을 간격으로 산출하여 미리 저장된 간격과 일치되도록 X선 발생부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X선 발생부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발생된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시간을 뼈의 영역별로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초음파 반사시간에 기초하여 뼈의 영역별로 굴곡을 산출하고, X선 발생부가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뼈의 영역별로 산출된 굴곡에 기초하여 뼈와 X선 발생부와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과 일치되도록 뼈의 영역별로 X선 발생부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체형에 따라 X선 발생부를 베드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피측정자에게 주사되는 X선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피측정자의 골밀도 측정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피측정자에게 피폭되는 방사선량을 줄일 수 있는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장치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장치의 이송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바 및 체중계를 더 포함하는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장치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X선 발생부가 높이방향으로 구동된 후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골밀도를 측정하는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장치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X선 발생부가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뼈의 영역별로 X선 발생부가 높이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00), X선 발생부(200), X선 검출부(300), 구동부(400), 이송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베드(100)는 피측정자의 신체가 눕혀지는 것으로, 피측정자의 신체 전체가 눕혀지거나 신체의 일부만 위치할 수 있다.
X선 발생부(200)는 베드(1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선상에 위치하고 피측정자의 뼈에 X선을 주사한다.
X선 검출부(300)는 베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X선 발생부(200)를 통해 주사된 X선을 통해 뼈의 이미지를 검출한다.
구동부(400)는 X선 발생부(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송부(500)는 베드(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베드(100)의 높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제1레일(510), 제1레일(510)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일측에는 X선 발생부(200)가 결합되는 연결부(520) 및 연결부(520)가 제1레일(510)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530)를 포함한다.
제어부(600)는 구동부(400) 및 액추에이터(5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어부(600)는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거나 이송부(50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X선 발생부(200), X선 검출부(300), 구동부(400) 및 상기 이송부(5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00), X선 발생부(200), X선 검출부(300), 구동부(400), 이송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베드(100)는 피측정자의 신체가 눕혀지는 것으로, 피측정자의 신체 전체가 눕혀지거나 신체의 일부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드(100)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레일(110), 베드(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2레일(110)을 따라 베드(100)의 양측부에서 중심으로 왕복이동 하며 신장을 측정하는 신장측정바(120) 및 베드(100)의 크기와 일치하고 베드(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계(130)를 포함한다.
X선 발생부(200), X선 검출부(300), 구동부(400) 및 이송부(500)는 앞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X선 발생부(200), X선 검출부(300), 구동부(400) 및 이송부(5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600)는 구동부(400) 및 액추에이터(5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어부(600)는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거나 이송부(50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신장측정바(120)에서 측정된 신장과 체중계(130)에서 측정된 체중에 기초하여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비만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와 일치되도록 X선 발생부(200)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53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피측정자의 신장과 체중에 기초하여 비만도를 산출함으로써, 체지방이 많아 비만도가 높은 피측정자는 X선 발생부(200)를 베드(100)쪽으로 가깝게 이동시켜 X선이 체지방을 더 잘 투과하여 골밀도를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체지방이 적이 마른체형의 피측정자는 X선 발생부(200)를 베드(100)에서 멀게 이동시켜 X선이 피측정자에게 적게 주사되도록 하여 피측정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00), X선 발생부(200), X선 검출부(300), 구동부(400), 이송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베드(100), X선 검출부(300), 구동부(400) 및 이송부(500)는 앞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베드(100), X선 검출부(300), 구동부(400) 및 이송부(5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X선 발생부(200)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베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발생된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시간을 측정하는 센서부(210)를 포함한다.
제어부(600)는 구동부(400) 및 액추에이터(5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어부(600)는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거나 이송부(50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센서부(210)에서 측정된 초음파 반사시간의 평균값을 간격으로 산출하여 미리 저장된 간격과 일치되도록 X선 발생부(200)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액추에이터(53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피측정자의 골밀도 측정부위 전체에 대한 초음파 반사시간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초음파 반사시간이 짧을 경우에는 피측정자의 체지방률이 높아 비만도가 높은 것이므로 제어부(600)에 미리 저장된 간격과 일치되도록 X선 발생부(200)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켜 비만도가 높은 피측정자의 골밀도에 대한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 반사시간이 길 경우에는 피측정자의 체지방률이 적은 마른체형이므로, 제어부(600)에 미리 저장된 간격과 일치되도록 X선 발생부(200)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측정자에게 X선이 적게 주사되도록 하여 피측정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제어부(600)에 미리 저장된 간격은 초음파 반사시간의 평균값을 통해 측정된 피측정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됨으로써, X선 검출부(300)에서 골밀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X선량이 X선 발생부(200)로부터 피측정자에게 주사되도록 미리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사 실시예에 따른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00), X선 발생부(200), X선 검출부(300), 구동부(400), 이송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베드(100), X선 검출부(300), 구동부(400) 및 이송부(500)는 앞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베드(100), X선 검출부(300), 구동부(400) 및 이송부(5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X선 발생부(200)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베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발생된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시간을 뼈의 영역별로 측정하는 센서부(210)를 포함한다.
제어부(600)는 구동부(400) 및 액추에이터(5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어부(600)는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거나 이송부(50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센서부(210)에서 측정된 초음파 반사시간에 기초하여 뼈의 영역별로 굴곡을 산출하고, X선 발생부(200)가 베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뼈의 영역별로 산출된 굴곡에 기초하여 뼈와 X선 발생부(200)와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과 일치되도록 뼈의 영역별로 X선 발생부(200)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상기 액추에이터(53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피측정자의 골밀도 측정부위를 영역별로 나누어 초음파 반사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초음파 반사시간이 짧은 구간과 긴 구간에서 X선 발생부(200)와 피측정자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X선 발생부(200)가 베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X선 발생부(200)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피측정자의 골밀도 측정 정확도를 높이고, 피측정자에게 골밀도 측정에 필요한 X선량만 주사함으로서 피측정자에게 피폭되는 방사선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제어부(600)에 미리 저장된 간격은 영역별 초음파 반사시간을 통해 측정된 피측정자의 부위별 체형에 따라 조절됨으로써, X선 검출부(300)에서 골밀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X선량이 X선 발생부(200)로부터 피측정자에게 주사되도록 미리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베드 110 : 제2레일
120 : 신장측정바 130 : 체중계
200 : X선 발생부 210 : 센서부
300 : X선 검출부 400 : 구동부
500 : 이송부 510 : 제1레일
520 : 연결부 530 : 액추에이터
600 : 제어부

Claims (4)

  1. 피측정자의 신체가 눕혀지는 베드, 상기 베드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선상에 위치하고 피측정자의 뼈에 X선을 주사하는 X선 발생부,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X선을 통해 뼈의 이미지를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일측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상기 베드의 높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제1레일, 상기 제1레일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일측에는 상기 X선 발생부가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레일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이송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X선 발생부, 상기 X선 검출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이송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는,
    상기 베드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레일, 상기 베드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상기 베드의 양측부에서 중심으로 왕복이동 하며 신장을 측정하는 신장측정바 및 상기 베드의 크기와 일치하고 상기 베드의 내부에 구비되어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장측정바에서 측정된 신장과 상기 체중계에서 측정된 체중에 기초하여 피측정자의 비만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비만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와 일치되도록 상기 X선 발생부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발생부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발생된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시간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초음파 반사시간의 평균값을 간격으로 산출하여 미리 저장된 간격과 일치되도록 상기 X선 발생부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발생부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발생된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시간을 뼈의 영역별로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초음파 반사시간에 기초하여 뼈의 영역별로 굴곡을 산출하고, X선 발생부가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뼈의 영역별로 산출된 굴곡에 기초하여 뼈와 X선 발생부와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과 일치되도록 뼈의 영역별로 상기 X선 발생부를 높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KR1020120132582A 2012-11-21 2012-11-21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KR101253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582A KR101253116B1 (ko) 2012-11-21 2012-11-21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582A KR101253116B1 (ko) 2012-11-21 2012-11-21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116B1 true KR101253116B1 (ko) 2013-04-12

Family

ID=4844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582A KR101253116B1 (ko) 2012-11-21 2012-11-21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399A1 (ko) * 2015-04-30 2016-11-03 (주)나눔테크 골밀도 측정 시스템
KR102127354B1 (ko) * 2019-04-22 2020-06-29 (주)피플앤에스 장애인용 신체 계측기
WO2022050505A1 (ko) * 2020-09-03 2022-03-10 김문희 신체 정보 측정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의료 차트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609A (ja) * 1993-07-20 1995-02-03 Toshiba Corp Ct装置
JP2002172110A (ja) 2000-10-06 2002-06-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X線システム
JP2010240286A (ja) 2009-04-09 2010-10-28 Shimadzu Corp X線撮像装置
KR20120038794A (ko) * 2010-10-14 2012-04-24 (주)제이에스비메딕스 X선 피폭을 감소시킨 복합디지털x선 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609A (ja) * 1993-07-20 1995-02-03 Toshiba Corp Ct装置
JP2002172110A (ja) 2000-10-06 2002-06-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X線システム
JP2010240286A (ja) 2009-04-09 2010-10-28 Shimadzu Corp X線撮像装置
KR20120038794A (ko) * 2010-10-14 2012-04-24 (주)제이에스비메딕스 X선 피폭을 감소시킨 복합디지털x선 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399A1 (ko) * 2015-04-30 2016-11-03 (주)나눔테크 골밀도 측정 시스템
KR102127354B1 (ko) * 2019-04-22 2020-06-29 (주)피플앤에스 장애인용 신체 계측기
WO2022050505A1 (ko) * 2020-09-03 2022-03-10 김문희 신체 정보 측정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의료 차트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80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scanning region in a computed tomography system
US20180360396A1 (en) Imaging apparatus and positioning apparatus
US20180271484A1 (en) Method and systems for a hand-held automated breast ultrasound device
EP2085118B1 (en) Radiotherapy apparatus controller
EP2512328B1 (en) Photoacoustic measurement apparatus, moveme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40051969A1 (en)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53116B1 (ko) 거리 맞춤형 골밀도 측정 장치
US9823182B2 (en) Elastic wave receiving apparatus, elastic wave receiving method, photoacoustic apparatus, and program
US10820868B2 (en) Table system and method for PET/CT imaging
CN112533673B (zh) 改进的反射自动聚焦
US20150119683A1 (en) Subject-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US20130136228A1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US20170049331A1 (en)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5000140A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
US20140316240A1 (en) Subject-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EP3157413B1 (en) Method and device for tonometr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US860000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 mammography apparatus
JP2012040038A (ja) 光音響波測定装置
KR101381128B1 (ko) 족부 스캐너
CN116105888A (zh) 一种通过侧向探头实现轴向焦域测温分布检测的装置及方法
JP5353394B2 (ja) X線撮像装置
KR101034258B1 (ko) X―선을 이용한 유방암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유방밀도 측정 방법
JP2001241910A (ja) 静電容量型距離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医用診断装置の障害物検出システム
KR101260704B1 (ko) 양손목 골밀도 측정장치
KR101260703B1 (ko) 베드부가 분리된 골밀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