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090A - 신규한 프로브 장치 - Google Patents

신규한 프로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090A
KR20160129090A KR1020167029354A KR20167029354A KR20160129090A KR 20160129090 A KR20160129090 A KR 20160129090A KR 1020167029354 A KR1020167029354 A KR 1020167029354A KR 20167029354 A KR20167029354 A KR 20167029354A KR 20160129090 A KR20160129090 A KR 20160129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s
probe
receiving unit
probe apparatus
trans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811B1 (ko
Inventor
아사프 마노바-엘시보니
Original Assignee
휴마복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마복스 엘티디. filed Critical 휴마복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12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02J50/27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ceiving antennas, e.g. rec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에너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갖는 도전성 충전 구조 상에 또는 그 도전성 충전 구조 내에 위치하는 충전 중 디바이스의 수신 유닛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신규한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로브 장치는, 도전성 충전 구조에 대한 충전 중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에 상관없이 상기 송신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 간에 개선된 결합이 가능하게끔 프로브들 간에 폐쇄된 전자기계 라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를 포함한다. 프로브 장치에 부착된 수신 유닛과 도전성 충전 구조의 송신 유닛 간의 개선된 결합은,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 간의 높은 RF 전달 효율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신규한 프로브 장치{NOVEL PROBES ARRANGEME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폐쇄/반 폐쇄(half closed) 챔버와 근접장 상태에 있어서 송신 유닛과 수신 유닛 간의 RF 결합을 개선하기 위한 신규한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시스템과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충전을 위해 전자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이러한 충전 시스템과 디바이스 중 일부 예는, 본원에 참고로 모두 원용되는, 동일한 발명자의 국제 특허 공개 번호 제WO 2013/118116호, 제2013/179284호 및 제2015/022690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전자기 방사 송신에 기초하는 모든 무선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성공적이면서 효율적인 충전을 위한 기본 조건은, 송신 프로브와 수신 프로브 간의, 즉,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 유닛과 충전 중 디바이스(본원에서는, "DUC"라 표기함)의 수신 유닛 간의 고 결합 및 고 전달 효율을 달성하는 것이다.
송신 프로브와 수신 프로브 간의 고 결합은, 일반적으로, 프로브들의 위치와 장소가 고정되어 있는 안정적인 미충전 시스템에서 취득된다. 그러나,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각 충전 세션마다 충전 중 디바이스를 다른 위치 및/또는 배향으로 무선 충전 디바이스 내에 또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 상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충전가능 디바이스의 위치와 배향에 상관없이 프로브들 간의 고 전달 효율을 유지하도록 송신 구성요소와 수신 구성요소 간에 소정량의 유연성과 이동 자유도가 허용될 필요가 있다.
단일 프로브를 사용하는 경우, 수신 유닛의 그라운드 플랫(ground plat)이 수신 프로브에 대한 RF 그라운드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 그라운드는 상당히 작으며, 따라서, 임의의 환경적 변화가 프로브와 그라운드 간의 전자기계 라인 분포에 영향을 끼치며, 즉, 프로브의 위치 및/또는 배향의 변화에 대한 수신 프로브의 감도가 높다.
단일 프로브의 주변 소자들에 대한 단일 프로브의 감도는, 근접/부분적 근접 도전성 구조에서 충전이 행해지는 경우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충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수신 프로브가 충전 시스템의 특정한 그라운드 지점을 기준으로 할 때 수신 프로브에 대한 송신 프로브의 소정의 위치에서 고 결합을 취득하고 에너지 전달의 고 효율을 갖도록 설계된다. 충전 구역 내에서 DUC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변경하면, 설계한 바와 같은 무선 충전 시스템의 안정 상태(steady state)는, 수신 프로브와, 수신 프로브 주위의 소자들 간의 상호 작용, 예컨대, 다음에 예들로 한정되지 않는 도전성 충전 디바이스와 송신 프로브의 벽들 간의 상호 작용이 변할 때, 파괴된다. 이러한 변화는, 수신 프로브와 RF 그라운드 간의 전자기계 라인 분포가 변하고 주변의 다른 소자들과 상호 작용하고 결국 송신 및 수신 유닛들 간의 전달 효율이 크게 감소되므로, 송신 유닛과 수신 유닛 간의 고 결합을 취득하는 데 필요한 조건들을 파괴한다.
본 발명은, 충전 중 디바이스의 위치와 배향이 하나의 충전 세션마다 변하는 동적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유닛과 수신 유닛 간의 RF 결합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송신 유닛과 수신 유닛 간의 고 전달 효율을 유지함으로써, 충전 디바이스와 충전 중 디바이스 간의 결합의 안정성과 유연성을 개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구성된 신규한 프로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신규한 프로브 장치는, 개방 근접장 환경 및 폐쇄/반 폐쇄 충전 챔버 내의 무선 충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하는 내용은, RF 에너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갖는 그 도전성 충전 구조 상에 또는 도전성 충전 구조 내에 위치하는 충전 중 디바이스의 수신 유닛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신규한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로브 장치는, 도전성 충전 구조에 대한 충전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에 상관없이 상기 송신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 간의 개선된 결합이 가능하게끔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 간에 폐쇄된 전자기계 라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를 포함한다.
프로브 장치에 부착된 수신 유닛과 도전성 충전 구조의 송신 유닛 간의 개선된 결합은 상기 수신 유닛과 상기 송신 유닛 간의 높은 RF 전달 효율을 가능하게 한다.
송신 유닛을 갖는 도전성 충전 구조는 송신되는 RF 에너지를 충전 구역으로 한정하도록 적응되며, 상기 프로브 장치는, (a) 프로브 장치의 프로브의 개수와 (b) X-Y-Z 축에 대한 프로브 장치의 전체 투영의 구조 및/또는 위치결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충전 구역의 치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가 유사한 구조 및/또는 길이를 갖는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가 구조 및/또는 길이에 있어서 다른 프로브들과 다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가 분기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는, X-Y-Z 축에 걸쳐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를 생성할 수 있고, 전자기계의 라인들은, 충전 중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이 변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계의 변화를 최소화하게끔 구성된 프로브들 사이에 및/또는 프로브들 주위에 마이크로 환경을 생성하도록 프로브들 사이에 및/또는 프로브들 주위에 배열된다.
본원에서 개시하는 내용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신규한 프로브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수신 유닛에 기능적으로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로브 장치는, 도전성 충전 구조에 대한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에 상관없이 상기 송신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 간의 개선된 결합이 가능하게끔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 간에 폐쇄된 전자기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프로브 장치에 부착된 수신 유닛과 도전성 충전 구조의 송신 유닛 간의 개선된 결합은 상기 수신 유닛과 상기 송신 유닛 간의 높은 RF 전달 효율을 가능하게 한다.
송신 유닛을 갖는 도전성 충전 구조는 송신되는 RF 에너지를 충전 구역으로 한정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프로브 장치는, (a) 프로브 장치의 프로브의 개수와 (b) X-Y-Z 축에 대한 프로브 장치의 전체 투영의 구조 및/또는 위치결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충전 구역의 치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가 유사한 구조 및/또는 길이를 갖는 한편,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가 구조 및/또는 길이에 있어서 다른 프로브들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가 분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는 X-Y-Z 축에 걸쳐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를 생성할 수 있고, 전자기계의 라인들은, 충전 중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이 변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계의 변화를 최소화하게끔 구성된 프로브들 주위에 마이크로 환경을 생성하도록 프로브들 사이에 및/또는 프로브들 주위에 배열된다.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의 프로브 장치는, 바람직하게, 수신 유닛에 부착되고, 생성된 충전 구역의 치수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수신 유닛을 안정화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충전가능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에 상관없이 충전가능 디바이스의 효율적 충전이 유지된다. 또한 및/또는 대안으로, 수신 유닛에 부착된 프로브 장치는,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의 수신 유닛에 대한 높은 RF 에너지 전달 효율을 취득하기 위해 도전성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및/또는 주변으로부터 반사되는 전자기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하나보다 많은 도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 요소, 또는 부분은, 일반적으로, 해당 구조, 요소, 또는 부분이 보이는 모든 도들에 걸쳐 동일한 수치로 표기한다. 도들에 도시한 구성요소와 특징부의 치수는, 편리하고도 명료한 표현을 위해 대략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된 것은 아니다. 제시되는 도들 중 상당수는 개략적인 예시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처럼, 일부 요소들은 예시적 명료성을 위해 상당히 간략하게 또는 제 비율로 되지 않게 도시될 수 있다. 도들은 제조 도면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도들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두 개의 프로브 간의 근접 전자기계 라인 분포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 간의 개선된 결합 범위와 안정성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동작가능한 신규한 프로브 장치의 일례의 개략도.
도 2는, 두 개의 프로브 간의 근접 전자기계 라인 분포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 간의 결합 범위와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신규한 프로브 장치의 다른 일례의 개략도.
도 3은,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 간의 결합 범위와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신규한 프로브 장치의 또 다른 일례의 개략도로서,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충전 중 디바이스가 보청기 디바이스인, 개략도.
다음에 따르는 설명에서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 간의 개선된 결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동작가능한 신규한 프로브 장치의 다양한 양태들을 설명한다. 설명을 위해, 프로브 장치를 완전하게 이해하도록 특정한 구성과 상세를 설명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특징부들이 단일 실시예로 설명될 수 있지만, 특징부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역으로, 본 개시 내용은 본원에서 명료성을 위해 개별적인 실시예들로 설명될 수 있지만, 본 개시 내용은 단일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개시 내용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 또는 실시될 수 있다는 점 및 본 개시 내용이 본원에서 후술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과는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도록 한다. 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에서 제시되는 설명, 예, 및 자료는 한정적인 것으로서 해석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상대 방향 또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용어들, 예컨대, "우측", "좌측", "위", "아래", "최상부", "최하부", "수평", "수직", "높은", "낮은"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원에서 제공되는 신규한 프로브 장치는, 송신 프로브와 수신 프로브 간의 RF 결합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프로브들 간의 결합에 대한 주변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 프로브와 DUC의 수신 프로브 간의 RF 에너지의 높은 전달 효율을 가능하게 하고 결합 효과의 유연성을 개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를 포함한다.
충전 구역 내의 DUC의 서로 다른 위치 결정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계 변화에 대한 유연성과 충전 시스템의 증가된 안정성은, 충전 시스템의 안정 상태를 파괴할 수 있고 송신 유닛과 수신 유닛 간의 결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송신 유닛과 수신 유닛 간의 에너지 전달 효율이 감소될 수 있는, 제1프로브에 대한 주변에 있는 다른 요소들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프로브 근처에서의 일정한 영향을 제1프로브에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 프로브를 수신 유닛에 추가함으로써, 주로 취득된다.
단일 프로브를 사용하는 경우, 송신 프로브와 DUC 간의 위치 및/또는 배향의 임의의 변화 및 (근접장 상태에 있는) 주변으로부터의 및/또는 도전성 충전 디바이스(폐쇄된 또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챔버)의 벽으로부터의 전자기 영향은, 비교적 불안정적인 송신 유닛과 수신 유닛 간의 결합에 영향을 끼치고, 이에 따라, 송신 프로브와 수신 프로브 간의 RF 에너지의 고 전달 효율과 프로브들 간의 고 결합을 취득하도록 설정된 일차적 조건들이 파괴될 때 DUC의 불량하고 불안정적인 충전이 발생한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신규한 프로브 장치에 따르면, 수신 프로브의 기준점은, 주변 영향으로 인해 충전 구역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변화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는, 이제 전자기계 라인들이 프로브 장치의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 간에 폐쇄될 때 프로브 장치 사이에 및/또는 프로브 장치 주위에 안정적인 "마이크로 환경"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프로브를 수신 프로브에 추가하기 때문에 달성된다. 따라서, 송신 프로브와 수신 프로브의 상호 작용의 변화 및/또는 도전성 충전 디바이스의 벽들의 영향으로 인해 수신 프로브 주위의 전자기계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신규한 프로브와 DUC의 위치 및/또는 배향의 임의의 변화는, 이러한 변화가 추가 프로브/프로브들에도 영향을 끼치므로 최소화되고, 양측 프로브에 대한 영향이 상호적이므로, 발생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수신 프로브들 간의 전자기계 라인이 유지된다. 따라서, 이제, 수신 프로브에 대한 외부 영향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프로브가 제1프로브에 추가되어 제1프로브에 대한 일정한 영향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 신규한 프로브 장치에 부착된 수신 유닛의 안정성이 증가하므로,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한 프로브 장치는, 충전 디바이스 상의 또는 충전 디바이스 내의 DUC의 위치와 배향에 상관없이 수신 유닛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며, 송신 프로브와 수신 프로브 간의 RF 에너지의 고 전달 효율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한 프로브 장치에 의하면, 동일한 파라미터들과 단일 프로브를 사용할 때 달성되는 효율에 비해 수신 유닛의 효율이 또한 증가한다. 따라서, 신규한 프로브 장치는 동적인 유연한 충전 조건에서의 개선된 무선 충전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신규한 프로브 장치는, 폐쇄된 도전성 충전 챔버, 부분적으로 폐쇄된 도전성 충전 챔버, 및 개방된 근접장 환경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무선 충전 환경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들에 따라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 유닛과 DUC의 수신 유닛 간의 개선된 결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동작가능한 신규한 프로브 장치의 두 개의 예의 개략도이다. 개선된 결합에 더하여, 본원에서 제공하는 신규한 프로브 장치는, 또한, 참조되는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의 위치 간의 제한적인 관계에서만 개선될 결합을 취득할 수 있고, 유닛들 중 하나의 임의의 움직임은 유닛들 간의 결합에 영향을 끼치고 이러한 유닛들 간의 RF 에너지의 전달 효율을 감소시키는 종래 기술의 프로브에 비해, 송신 유닛에 대한 수신 유닛의 위치결정에 관한 향상된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동작가능하며, 신규한 프로브 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에서, 신규한 프로브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102, 104)를 포함하고, 제1프로브(102)는 수신 유닛(109)의 파지티브(+) 입력(103)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프로브 장치의 다른 프로브(104)는 수신 유닛(109)의 네거티브(-) 입력(10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전자기계 라인들(140)은 두 개의 프로브(102, 104) 주위와 사이에 분포되며, 따라서, 단일 프로브 구조에서 충전 시스템의 안정 상태를 파괴하고 송신 프로브와 수신 프로브 간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회피하는 송신 프로브에 대한 DUC의 위치의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자기계 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안정적인 마이크로 환경이 수신 프로브 장치 주위에 생성된다. 생성된 "마이크로 환경"은, 또한,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도전성 벽들에 대한 DUC의 근접성으로부터 또는 근접장 상태에 있는 주변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계의 간섭 등의 DUC의 위치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추가 영향, 및 송신 프로브에 대한 DUC의 위치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규한 프로브 장치는 3개 이상의 프로브(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수신 유닛에 포함된 여러 병렬 회로들은 프로브 장치의 동일한 네거티브(-) 또는 파지티브(+) 프로브들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프로브들의 특정 구성은, 적어도, 다음에 따르는 파라미터들, 즉, 두 개의 프로브의 구조, 그 프로브들의 길이, 그 프로브들 간의 개재 각도, 충전 중 디바이스(DUC)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에 따른 수신 유닛에 대한 그 프로브들의 각각의 연결에 있어서 가변될 수 있다.
신규한 프로브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프로브(202)는 DUC의 수신 유닛(209)의 파지티브(+) 입력(203)에 연결되는 한편, 프로브(204)는 수신 유닛(209)의 네거티브(-) 입력(205)에 연결된다. 전자기계(240)의 라인들은,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들 사이에서 배열되며, 충전 디바이스의 송신 유닛에 대한 DUC의 위치 및/또는 배향의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자기계의 변화에 대한 수신 유닛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규한 프로브 장치는 두 개의 동일한 프로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규한 프로브 장치는 도 3을 참조하여 예시하는 바와 같은 서로 다른 수신 프로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 간의 결합을 개선하도록 구성된 신규한 프로브 장치(300)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등측도,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프로브 장치(300)는 보청기에 사용하도록 적응된다. 이 예에서, 프로브 장치(300)는, 파지티브(+) 입력(303)에 연결된 제1프로브(302) 및 네거티브(-) 입력(305)에 연결된 제2프로브(304)를 포함한다. 제1및 제2프로브들(302, 304)은, 특히, 수신 유닛(309)을 포함하는 플렉스(flex) PCB(310) 상에 인쇄된다. 플렉스 PCB(309)는, 또한, 이러한 특정한 예에서, Z-Y-Z 축에 걸쳐 다양한 치수를 갖고 또한 분기되는 제1및 제2프로브를 위한 지지 구조로서 기능한다. 유연한 전자 부품들의 사용은, 전자 디바이스들을 다음의 예들로 한정되지 않는 폴리이미드, PEEK, 또는 투명 전도성 폴리에스테르 등의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 상에 장착함으로써 전자 회로들의 조합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기술이다(http://en.wikipedia.org/wiki/Flexible electronics).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첨부 도면과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더욱 양호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은 명백하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를 읽은 후, 본 발명에 의해 여전히 커버되는 조절 또는 보정을 첨부 도면과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행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하다.

Claims (17)

  1. RF 에너지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갖는 도전성 충전 구조 상에 또는 상기 도전성 충전 구조 내에 위치하는 충전 중 디바이스(device under charge)의 수신 유닛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프로브 장치로서,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들은, 상기 도전성 충전 구조에 대한 상기 충전 중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에 상관없이, 상기 송신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 간의 개선된 결합이 가능하게끔 상기 프로브들 사이에 폐쇄된 전자기계 라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장치에 부착된 상기 수신 유닛과 상기 도전성 충전 구조의 상기 송신 유닛 간의 상기 개선된 결합은 상기 송신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 간의 높은 RF 전달 효율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브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송신 유닛을 갖는 상기 도전성 충전 구조는 충전 구역에 송신되는 RF 에너지를 한정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프로브 장치는, (a) 상기 프로브 장치에서의 프로브들의 개수와 (b) X-Y-Z 축에 걸친 프로브 장치의 전체 투영의 구조 및/또는 위치결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충전 구역의 치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프로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는 유사한 구조 및/또는 길이를 갖는, 프로브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는 구조 및/또는 길이에 있어서 다른 프로브 또는 프로브들과 다른, 프로브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가 분기된, 프로브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는, X-Y-Z 축에 걸쳐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기계 라인들은, 상기 충전 중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의 변화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전자기계의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브들 사이에 및/또는 상기 프로브들 주위에 마이크로 환경을 생성하도록 상기 프로브들 사이에 및/또는 상기 프로브들 주위에 배열되는, 프로브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로브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
  9.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로서,
    수신 유닛에 기능적으로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와,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들은, 도전성 충전 구조에 대한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에 상관없이 상기 송신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 간의 개선된 결합이 가능하게끔 상기 프로브들 사이에 폐쇄된 전자기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장치에 부착된 상기 수신 유닛과 상기 도전성 충전 구조의 상기 송신 유닛 간의 상기 개선된 결합은 상기 송신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 간의 높은 RF 전달 효율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송신 유닛을 갖는 상기 도전성 충전 구조는 충전 구역에 송신되는 RF 에너지를 한정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프로브 장치는, (a) 상기 프로브 장치에서의 프로브들의 개수와 (b) X-Y-Z 축에 걸친 프로브 장치의 전체 투영의 구조 및/또는 위치결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충전 구역의 치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는 유사한 구조 및/또는 길이를 갖는,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는 구조 및 길이에 있어서 다른 프로브(들)과 다른,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가 분기되는,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는, X-Y-Z 축에 걸쳐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기계의 라인들은, 상기 충전 중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의 변화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전자기계의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브들 사이에 및/또는 상기 프로브들 주위에 마이크로 환경을 생성하도록 상기 프로브들 사이에 및/또는 상기 프로브들 주위에 배열되는,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에 부착된 프로브 장치는, 상기 충전가능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에 상관없이 상기 충전가능 디바이스의 효율적 충전이 유지되게끔, 생성된 상기 충전 구역의 치수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수신 유닛을 안정화하도록 구성된,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에 부착된 프로브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의 수신 유닛으로의 높은 RF 에너지 전달 효율을 얻도록 도전성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및/또는 상기 주변으로부터 반사되는 전자기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무선 충전가능 디바이스.
KR1020167029354A 2014-03-27 2015-03-26 신규한 프로브 장치 KR101811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71279P 2014-03-27 2014-03-27
US61/971,279 2014-03-27
US201462097750P 2014-12-30 2014-12-30
US62/097,750 2014-12-30
PCT/IL2015/050331 WO2015145451A1 (en) 2014-03-27 2015-03-26 Novel probes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090A true KR20160129090A (ko) 2016-11-08
KR101811811B1 KR101811811B1 (ko) 2017-12-22

Family

ID=5419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354A KR101811811B1 (ko) 2014-03-27 2015-03-26 신규한 프로브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48138B2 (ko)
EP (1) EP3123588B1 (ko)
JP (1) JP2017510243A (ko)
KR (1) KR101811811B1 (ko)
CN (1) CN106463815B (ko)
AU (1) AU2015237780B2 (ko)
WO (1) WO20151454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7646B (zh) * 2019-05-28 2021-03-05 超级智慧家(上海)物联网科技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无线充电立体天线
USD947820S1 (en) * 2021-04-21 2022-04-05 Shenzhen TUKO Technology Co., Ltd Digital TV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3675A (ja) * 2003-04-10 2004-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素子およびアンテナモジュール
US7042413B2 (en) * 2003-08-22 2006-05-09 Checkpoint Systems, Inc. Security tag with three dimensional antenna array made from flat stock
JP4013903B2 (ja) * 2004-01-20 2007-11-28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アンテナ及びその配設方法
US20120200158A1 (en) 2009-10-08 2012-08-09 Hitachi,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IT1404587B1 (it) * 2010-12-20 2013-11-22 St Microelectronics Srl Struttura di connessione induttiva per uso in un circuito integrato
US8980174B2 (en) 2011-05-13 2015-03-17 Bactriblu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unt of infectious agents in intravenous access system
JP2014519798A (ja) * 2011-05-13 2014-08-1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電力送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機及び受信機、前記装置らの無線電力送受信方法
JP6219285B2 (ja) * 2011-09-07 2017-10-25 ソラス パワ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olace Power Inc. 電界を用いたワイヤレス電力送信システムおよび電力送信方法
CA2875179C (en) * 2012-05-29 2019-07-02 Humavox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ITTO20120477A1 (it) * 2012-05-31 2013-12-01 St Microelectronics Srl Rete di dispositivi elettronici fissati ad un supporto flessibile e relativo metodo di comunicazione
US9912199B2 (en) * 2012-07-06 2018-03-06 Energous Corporation Receiver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TMI20130818A1 (it) * 2013-05-21 2014-11-22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elettronico di espansione e concentrazione elettromagnetica
CN103312051B (zh) 2013-06-28 2016-06-22 华南理工大学 一种利用铁磁谐振实现无线电能传输的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3815B (zh) 2020-08-07
US20180175674A1 (en) 2018-06-21
CN106463815A (zh) 2017-02-22
AU2015237780B2 (en) 2019-08-22
JP2017510243A (ja) 2017-04-06
KR101811811B1 (ko) 2017-12-22
AU2015237780A1 (en) 2016-10-20
EP3123588B1 (en) 2019-12-11
US10348138B2 (en) 2019-07-09
EP3123588A4 (en) 2017-11-29
EP3123588A1 (en) 2017-02-01
WO2015145451A1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502B1 (ko) 증강 현실 시스템들을 사용한 전자기 추적
US10211680B2 (en) Method for 3 dimensional pocket-forming
CN104378134B (zh) 具有改进的无线通信的便携式电子系统
US9788129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hearing instruments
US9805863B2 (en) Magnetic power transmission utilizing phased transmitter coil arrays and phased receiver coil arrays
US9762081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688875B1 (ko) 무선 충전 세트
JP5439416B2 (ja) 無線電力伝送装置
KR20160016465A (ko) 안테나 장치
CN105337427B (zh) 无线充电设备
KR101811811B1 (ko) 신규한 프로브 장치
US20130043741A1 (en) Linear vibration motor
JP2011160499A (ja) 給電装置
US20190319524A1 (en) Power generation element and smart key
JP2017213948A (ja) 発電装置及び電子装置
JP5436554B2 (ja) 通信装置
Srivastava et al. Switched polarized H-field forming using a planar switchable double-dumbbell coil antenna for orientation-oblivion wireless power transfer
KR20220062942A (ko) 컵 모양의 무선충전 구조체
US9420377B2 (en) Audio playback device
WO2016117092A1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