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689A -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689A
KR20160128689A KR1020150060428A KR20150060428A KR20160128689A KR 20160128689 A KR20160128689 A KR 20160128689A KR 1020150060428 A KR1020150060428 A KR 1020150060428A KR 20150060428 A KR20150060428 A KR 20150060428A KR 20160128689 A KR20160128689 A KR 20160128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end module
antenna port
signal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치 아키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5006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689A/ko
Publication of KR20160128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44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04N2005/4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는, 셋톱 박스 회로부; 셋톱 박스 회로부 및 안테나 포트에 접속되어 안테나 포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프론트-엔드 모듈; 및 프론트-엔드 모듈과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함으로써,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 제어 방법{Set-top box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t-top box}
본 발명은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셋톱 박스(set-top box)는 디지털 방송(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로서, 디지털 방송(비디오/오디오) 신호를 텔레비젼 등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기기이다.
여기서, 셋톱 박스의 전원이 오프인 상태에서도 수신기기의 타이머 녹화 및 기타 접속기기 제어 등을 위해 필요한 일부 회로는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등에 안테나 출력을 하기 위한 모듈레이터 등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모듈레이터 및 기타 회로가 발생시키는 다양한 신호가 있는데, 이 신호가 오프 상태의 회로를 통과하여 외부에 누설됨으로써 기타 수신기기 등에 대한 간섭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셋톱 박스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55148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는, 셋톱 박스 회로부; 셋톱 박스 회로부 및 안테나 포트에 접속되어 안테나 포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프론트-엔드 모듈; 및 프론트-엔드 모듈과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시리즈 스위치부; 및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의 노드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션트 스위치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셋톱 박스는,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안테나 포트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안테나 포트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2시리즈 스위치부; 및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안테나 포트의 사이의 노드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제2션트 스위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는, 셋톱 박스 회로부; 셋톱 박스 회로부 및 안테나 포트에 접속되어, 안테나 포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프론트-엔드 모듈; 및 프론트-엔드 모듈과 안테나 포트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셋톱 박스는,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안테나 포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 제어 방법은, 셋톱 박스의 모드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될 경우, 프론트-엔드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낮추는 전원 변경단계; 및 셋톱 박스의 모드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될 경우,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프론트-엔드 모듈을 통과하는 신호를 차단시키는 차단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는,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누설 신호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는,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단계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어 단가 대비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셋톱 박스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셋톱 박스의 제1모드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셋톱 박스의 제2모드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셋톱 박스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셋톱 박스(100)는, 셋톱 박스 회로부(110), 프론트-엔드 모듈(120) 및 스위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셋톱 박스 회로부(110)는, 셋톱 박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 처리, 전송하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고, 프론트-엔드 모듈(120) 및 스위치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셋톱 박스(100)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 처리, 전송하는 동작 등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110)에 포함된 일부 회로는 수신기기의 타이머 녹화 및 기타 접속기기 제어 등을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110)는 기타 수신기기 등에 대한 간섭 신호원이 될 수 있다.
프론트-엔드 모듈(120)는, 셋톱 박스 회로부(110) 및 안테나 포트(ANT)에 접속되어, 안테나 포트(ANT)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120)는 RF신호에 대한 증폭, 합성, 필터링 등을 수행하는 다수의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셋톱 박스(100)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 처리, 전송하는 동작 등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12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120)은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120)에 포함된 다수의 반도체 소자는 완벽한 절연체가 아니므로, 오프 상태인 프론트-엔드 모듈에서 반도체가 갖는 특성이 그대로 나타날 수 있다. 만약 셋톱 박스가 스위치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셋톱 박스 회로부(110)에서 발생된 신호는 오프 상태인 프론트-엔드 모듈을 통과하여 안테나 포트(ANT)에 간섭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스위치부(130)는, 프론트-엔드 모듈(120)과 셋톱 박스 회로부(110)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부(130)는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의 사이에서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셋톱 박스 회로부(110)에서 출력된 신호일 수 있고, 0V인 로우전압과 전원전압인 하이전압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 박스(100)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 처리, 전송하는 동작 등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부(130)는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 박스(100)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 처리, 전송하는 동작 등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부(130)는 신호를 차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신호를 차단시킨다는 것은 상기 스위치부(130)를 통과하기 전의 신호의 크기와 상기 스위치부(130)를 통과한 후의 신호의 크기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100)는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누설 신호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 박스가 스위치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100)는 10~15dB 정도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셋톱 박스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셋톱 박스 회로부(110)는 스위치부(130) 및 전원 공급부(14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부(130) 및 전원 공급부(140)는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엔드 모듈(120)은 안테나 포트(ANT)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1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잡음 증폭기(121)는 반도체 증폭단과 피드백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셋톱 박스가 스위치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셋톱 박스 회로부(110)에서 발생되는 간섭 신호는 상기 반도체 증폭단과 피드백 구조를 각각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100)는 간섭 신호가 저잡음 증폭기(121)를 통과하지 않도록 간섭 신호를 차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잡음 증폭기(121)의 출력단은 출력 매칭 네트워크(122)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저잡음 증폭기(121)의 입력단은 입력 매칭 네트워크(123)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130)는 시리즈 스위치부(131) 및 션트 스위치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시리즈 스위치부(131)는,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론트-엔드 모듈(120)과 셋톱 박스 회로부(110)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션트 스위치부(132)는, 프론트-엔드 모듈(120)과 셋톱 박스 회로부(110)의 사이의 노드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스위치부(130)는 시리즈 스위치부(131)를 통해 시리즈 저항값을 제어할 수 있고, 션트 스위치부(132)를 통해 션트 저항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셋톱 박스(100)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은 단계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셋톱 박스(100)는, 제2시리즈 스위치부(133), 제2션트 스위치부(134) 및 전원 공급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시리즈 스위치부(133)는, 프론트-엔드 모듈(120)과 안테나 포트(ANT)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론트-엔드 모듈(120)과 안테나 포트(ANT)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제2션트 스위치부(134)는, 프론트-엔드 모듈(120)과 안테나 포트(ANT)의 사이의 노드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셋톱 박스(100)는 설계에 따라 프론트-엔드 모듈(120)의 전단의 시리즈 저항값, 전단의 션트 저항값, 후단의 시리즈 저항값 및 후단의 션트 저항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셋톱 박스(100)에 포함되는 스위치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상기 셋톱 박스(100)의 아이솔레이션 특성 및 단가가 달라질 수 있다. 셋톱 박스(100)의 아이솔레이션 특성과 단가는 서로 상충관계(trade-off)일 수 있다. 따라서, 셋톱 박스(100)에 포함되는 스위치의 개수 및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셋톱 박스(100)의 단가 대비 아이솔레이션 특성은 향상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0)는, 프론트-엔드 모듈(120) 또는 저잡음 증폭기(12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4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프론트-엔드 모듈(120) 또는 저잡음 증폭기(121)의 온-오프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140)의 전원 공급 변경 동작과 스위치부(130)의 상태 변경 동작은 서로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130)는 상기 전원 공급부(140)가 저잡음 증폭기(121)에 제1전압의 전원을 공급할 때 오프 상태가 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140)가 저잡음 증폭기(121)에 제2전압의 전원을 공급할 때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원 공급부(140)와 스위치부(130)가 제어 신호를 공유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40)와 스위치부(130)는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설계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셋톱 박스 회로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셋톱 박스의 제1모드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모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에서 시리즈 스위치부(131)와 제2시리즈 스위치부(133)는 온 상태일 수 있고, 션트 스위치부(132)와 제2션트 스위치부(134)는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1모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에서 전원 공급부(140)는 제1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포트(ANT)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셋톱 박스 회로부(11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셋톱 박스의 제2모드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모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에서 시리즈 스위치부(131)와 제2시리즈 스위치부(133)는 오프 상태일 수 있고, 션트 스위치부(132)와 제2션트 스위치부(134)는 온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2모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에서 전원 공급부(140)는 제2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전압은 제1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전압은 0V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셋톱 박스 회로부(110)로부터 발생된 간섭 신호의 대부분은 그라운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포트(ANT)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대부분 그라운드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셋톱 박스(200)는, 셋톱 박스 회로부(210), 프론트-엔드 모듈(220) 및 스위치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셋톱 박스 회로부(210), 셋톱 박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론트-엔드 모듈(220)는,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210) 및 안테나 포트(ANT)에 접속되어, 상기 안테나 포트(ANT)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위치부(230)는,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220)과 상기 안테나 포트(ANT)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200)는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누설 신호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 박스가 스위치부(230)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200)는 10~15dB 정도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셋톱 박스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셋톱 박스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 박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셋톱 박스 제어 방법은 전원 변경단계(S10) 및 차단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셋톱 박스 제어 방법은 셋톱 박스의 내부 제어 회로를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외부 제어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전원 변경단계(S10)에서의 셋톱 박스는, 셋톱 박스(set-top box)의 모드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될 경우, 프론트-엔드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차단단계(S20)에서의 셋톱 박스는, 셋톱 박스의 모드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될 경우,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을 통과하는 신호를 차단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셋톱 박스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단단계(S2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론트-엔드 모듈과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호를 차단시키는 제1차단단계(S21) 및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론트-엔드 모듈과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호를 그라운드로 보내는 제2차단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단계(S20)에서의 셋톱 박스는, 프론트-엔드 모듈과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에 연결된 제1스위치부 및 프론트-엔드 모듈과 안테나 포트의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신호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셋톱 박스 110: 셋톱 박스 회로부
120: 프론트-엔드 모듈 121: 저잡음 증폭기
122: 출력 매칭 네트워크 123: 입력 매칭 네트워크
130: 스위치부 131: 시리즈 스위치부
132: 션트 스위치부 133: 제2시리즈 스위치부
134: 제2션트 스위치부 140: 전원 공급부
220: 복수의 임피던스 네트워크 225: 임피던스 스위치
240: 바이어싱부 250: 구동 증폭부
S10: 전원 변경단계 S20: 차단단계
S21: 제1차단단계 S22: 제2차단단계

Claims (10)

  1. 셋톱 박스(set-top box) 회로부;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 및 안테나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안테나 포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프론트-엔드 모듈; 및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셋톱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은 상기 안테나 포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를 포함하는 셋톱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잡음 증폭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저잡음 증폭기에 제1전압의 전원을 공급할 때 오프 상태가 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저잡음 증폭기에 제2전압의 전원을 공급할 때 온 상태가 되는 셋톱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시리즈 스위치부; 및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의 노드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션트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셋톱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안테나 포트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안테나 포트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2시리즈 스위치부; 및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안테나 포트의 사이의 노드와 그라운드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제2션트 스위치부; 를 더 포함하는 셋톱 박스.
  6. 셋톱 박스(set-top box) 회로부;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 및 안테나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안테나 포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프론트-엔드 모듈; 및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안테나 포트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셋톱 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은 상기 안테나 포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에 제1전압의 전원을 공급할 때 오프 상태가 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에 제2전압의 전원을 공급할 때 온 상태가 되는 셋톱 박스.
  8. 셋톱 박스(set-top box)의 모드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될 경우, 프론트-엔드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낮추는 전원 변경단계; 및
    셋톱 박스의 모드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될 경우,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을 통과하는 신호를 차단시키는 차단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 박스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호를 차단시키는 제1차단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상기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신호를 그라운드로 보내는 제2차단단계; 를 포함하는 셋톱 박스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단계는,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셋톱 박스 회로부의 사이에 연결된 제1스위치부 및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과 안테나 포트의 사이에 연결된 제2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신호를 차단시키는 셋톱 박스 제어 방법.
KR1020150060428A 2015-04-29 2015-04-29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 제어 방법 KR20160128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428A KR20160128689A (ko) 2015-04-29 2015-04-29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428A KR20160128689A (ko) 2015-04-29 2015-04-29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89A true KR20160128689A (ko) 2016-11-08

Family

ID=5752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428A KR20160128689A (ko) 2015-04-29 2015-04-29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86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148A (ko) 2005-11-25 2007-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Rf 스위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148A (ko) 2005-11-25 2007-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Rf 스위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0238B2 (en) RF switch with bypass topology
US8089312B2 (en) Amplifying circuit with bypass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60022268A (ko) 저잡음 증폭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6025062A (ja) 高周波スイッチ回路
US20150381168A1 (en) High frequency switching circuit
US944451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high-frequency module
KR20100049002A (ko) 상호변조 왜곡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가능한 위상 시프팅 모드를 갖는 스위칭 디바이스
JP2006523994A (ja) 電子制御式rfスイッチ
US8791756B2 (en) Amplifying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60128689A (ko)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 제어 방법
KR101616597B1 (ko) 고주파 스위치
US11888507B2 (en) Wideband receivers and methods of operation
JP6658751B2 (ja) 信号処理装置
US20110177789A1 (en) Low noise amplifier and the uses thereof
US200900642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rf signal in hybrid switching scheme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2074890A (ja) スイッチ及びスイッチの制御方法
KR101026063B1 (ko) 방송수신용 프론트엔드 모듈
US20080106331A1 (en) Switching Low Noise Amplifier
WO2011118020A1 (ja) 受信装置
KR100828643B1 (ko) 고주파 수신장치
JP2007329816A (ja) 電子単極双投スイッチおよびアンテナ切替装置
KR101539909B1 (ko) 고주파 스위치
JP2008017170A (ja) 半導体スイッチ回路並びに通信機器
US20140062831A1 (en) Switching circuit
KR101963268B1 (ko) 고주파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