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616A - 물티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물티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616A
KR20160128616A KR1020150060285A KR20150060285A KR20160128616A KR 20160128616 A KR20160128616 A KR 20160128616A KR 1020150060285 A KR1020150060285 A KR 1020150060285A KR 20150060285 A KR20150060285 A KR 20150060285A KR 20160128616 A KR20160128616 A KR 20160128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steam
outlet
water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임
박용화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Priority to KR1020150060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616A/ko
Publication of KR2016012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for prehension of the next sheet to be disp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47K2010/328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by spra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93Wet wipes combined with wipe warm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물티슈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는, 본체;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 티슈를 저장하는 티슈 저장부; 상기 티슈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티슈가 상기 티슈 저장부로부터 배출된 후 위치하는 임시저장부; 상기 티슈를 상기 티슈 저장부로부터 상기 임시저장부로 이동시키는 배출장치; 및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전환하여 상기 임시저장부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티슈를 적시는 스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티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KING WET TISSUE}
이하의 설명은 물티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는 최근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물티슈는 가정에 구비되어 물에 적신 걸레 또는 행주를 대체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최근 물티슈에 유해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밝혀져 그 안전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물티슈에서 가습기의 살균제 성분인 클로로메틸이소치아졸리논과 계면활성제의 성분인 세트리모늄브로마이드 등의 유해성분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이는 유아용 물티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최근 들어 물티슈가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는 만큼, 소비자에게 안전성이 담보된 물티슈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97383호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소비자에게 안전성이 담보된 물티슈를 공급하기 위한 물티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물티슈 제조 장치의 일측면에 따르면, 물티슈 제조 장치는, 본체;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 티슈를 저장하는 티슈 저장부; 상기 티슈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티슈가 상기 티슈 저장부로부터 배출된 후 위치하는 임시저장부; 상기 티슈를 상기 티슈 저장부로부터 상기 임시저장부로 이동시키는 배출장치; 및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전환하여 상기 임시저장부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티슈를 적시는 스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저장부와 연통되며, 상기 적셔진 티슈가 상기 물티슈 제조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저장부는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부는, 상기 티슈가 상기 임시저장부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 또는 상기 임시저장부에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티슈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물티슈 제조 장치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티슈 제조 장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전환하여 분사하는 스팀부를 포함하는 제 1 몸체; 및 티슈를 저장하는 티슈 저장부와, 상기 티슈 저장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티슈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티슈는 상기 티슈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 2 몸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 또는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스팀부가 분사하는 스팀에 의해 적셔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의 상면 내측에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일측은 상기 티슈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함몰부의 타측은 상기 적셔진 티슈가 상기 물티슈 제조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부는 상기 티슈가 상기 함몰부에 위치할 때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의 상부의 전단부는 상기 함몰부의 함몰 깊이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절곡되어 상기 배출부의 양측단은 상기 물티슈 제조 장치의 외부에 대하여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은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의 전방에는 잔여물기 제거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는, 내부에서 상기 티슈가 이송되는 티슈 이송로; 및 상기 티슈 배출구에 인접하며, 상기 티슈 이송로 상에 제공되어 잔여물기가 상기 제 2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잔여물기 유입방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는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는 티슈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티슈 배출구에 인접 배치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티슈에 협지력을 제공하면서 티슈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티슈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부는, 상기 티슈가 상기 제 2 몸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게이트가 상기 티슈 배출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티슈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물티슈 제조 방법의 일측면에 따르면, 물티슈 제조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물티슈 제조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티슈가 티슈 배출구를 통해 티슈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단계; 티슈에 스팀이 분사되는 단계; 및 스팀에 의해 적셔진 티슈가 사용자에 의해 수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슈 배출구와 상기 티슈 저장부는 서로 연통되고, 티슈에 스팀이 분사되기 전, 상기 티슈 배출구가 폐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셔진 티슈가 수거된 후, 상기 티슈 배출구는 개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자에게 안전성이 담보된 물티슈를 공급하기 위한 물티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티슈가 저장되는 과정 및 구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의 제 2 몸체를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기술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X 방향 및 -X 방향은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Y 방향 및 -Y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하며, Z 방향 및 -Z 방향은 전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티슈는 청소포, 청소용 부직포 등을 포함하며, 물에 적셔져서 특정 대상을 닦는데 사용되는 직물 또는 종이 시트라는 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10)는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는 전체적으로 본체라고 규정될 수 있다.
제 1 몸체(100)에는 저수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부(110)는, 예를 들어, 제 1 몸체(100)에 선택적으로 삽입 장착되는 물통일 수 있다. 저수부(110)에 저장되어 있던 물은 궁극적으로 마른 티슈에 공급되어 상기 마른 티슈를 적실 수 있다. 저수부(110)는 사용자가 저장된 물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물의 양이 적으면 사용자는 저수부(110)를 제 1 몸체(100)로부터 빼낸 후 저수부(11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저수부(110)에 저장되는 물은 종래의 물티슈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화학성분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저수부(110)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티슈에 공급되기 전, 물 자체의 살균작용을 위해, 그리고 적셔질 티슈의 살균작용을 위해, 물은 스팀부(120, 도 5 참조)에 의해 스팀으로 전환되어 티슈에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스팀부(120)를 설명하면, 스팀부(120)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분배판(121)과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가열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수부(110)에 저장되어 있던 물은 분배판(121) 위로 공급될 수 있고, 분배판(121)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물방울이 가열판(122) 위로 공급될 수 있다. 가열판(122)은 물방울을 순간적으로 기화시킬 수 있도록 가열되며, 가열판(122)에 의해 기화된 물방울은 기화에 따른 팽창력으로 가열판(122)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제 1 몸체(100)의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로써, 저수부(110)에 저장되어 있던 물 자체의 살균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스팀이 분사되는 대상(예를 들면, 티슈(1))에 대한 살균작용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분배판(121)도 가열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 몸체(100)의 내부에는, 저수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분배판(121) 위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 또는 튜브, 상기 배관 또는 튜브 상에 제공되는 펌프, 분배판(121) 및/또는 가열판(122)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스팀부(120)의 구성, 구조 및 작동은 스팀청소기, 스팀다리미 등의 그것과 다르지 않은 바, 스팀부(120)에 대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로서는 "물을 기화하여 스팀으로 전환한 후 분사하는 기술"을 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10)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 1 몸체(100)에는 자외선 조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몸체(100)에는 손잡이(190)가 구비되고,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는 선택적으로 결합하므로, 제 1 몸체(100)가 제 2 몸체(20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제 1 몸체(100)는 휴대용 살균기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스팀부(120)에 의해 스팀이 장난감 등에 분사되어 상기 장난감 등에 존재하는 세균을 박멸할 수 있고, 이때 자외선 역시 상기 장난감 등에 조사되어 살균작용을 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몸체(10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는 제 2 몸체(200)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는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는 서로 분리 가능하다. 또한, 제 2 몸체(200) 내부에는 마른 티슈가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마른 티슈는 제 1 몸체(100)의 스팀부(120)에서 분사되는 스팀에 의해 적셔진 후 또는 적셔지면서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 사이에 구획되는 배출부(260)를 통해 물티슈 제조 장치(1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체(100, 2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고, 본체(100, 200)의 내부에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티슈에 스팀을 분사하거나 티슈를 배출시키는 등 물티슈 제조 장치(10)를 필요에 맞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티슈가 저장되는 과정 및 구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티슈(1)는 제 2 몸체(200)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티슈 저장부(210)는, 실제로 티슈(1)를 수용하며 상면이 개방된 트레이(211)와, 상기 트레이(211)의 개방된 상면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리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리드(212)는 트레이(211)의 상면의 전단 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그 크기는 트레이(211)의 상면의 절반 가량을 덮을 정도이다.
리드(212)가 트레이(211)의 상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여러 장의 티슈(1)는 트레이(211)에 수용될 수 있고, 티슈(1)가 수용된 후 리드(212)는 회동하여 트레이(211)의 상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물티슈 제조 장치(10)의 사용 중 티슈(1)는 지속적으로 한 장씩 트레이(211)로부터 배출되어야 하므로 리드(212)는 트레이(211)의 상면 전체를 덮지는 않을 수 있다.
내부에 티슈(1)가 저장된 티슈 저장부(210)는 제 2 몸체(200) 내부의 하우징(290)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211)의 후면 하단의 중앙 부분은 약간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절곡된 부분은 손잡이(215)로 기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티슈(1)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 손가락을 손잡이(215)에 넣고 트레이(211)를 당겨 트레이(211)를 제 2 몸체(200)로부터 빼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의 제 2 몸체를 확대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물티슈 제조 장치(10)의 세부적인 구성과 물티슈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는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몸체(100)는 제 2 몸체(200) 위에 얹혀지고, 이 때 제 2 몸체(200)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70)가 제 1 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70)에는 충전 단자(275)가 제공될 수 있고, 제 1 몸체(100)에도 전기적 단자(미도시)가 제공되어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가 결합될 때 상기 전기적 단자는 상기 충전 단자(275)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로부터의 전력이 제 2 몸체(200)를 통해 제 1 몸체(100)로 전달될 수 있고, 제 1 몸체(100)에 전달된 전력은 스팀을 생성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제 2 몸체(200)의 상면 내측에는 함몰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함몰부(220)의 양측단과 후단은 제 2 몸체(200)의 상면의 내측, 즉 상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함몰부(220)의 전단은 제 2 몸체(200)의 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220)는 그 전단부를 통해 물티슈 제조 장치(10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00)는 제 2 몸체(2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는 함몰부(220)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서로 접할 수 있다. 그리고 함몰부(220)는 앞서 설명했듯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고,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위와 같은 배치 구조에 의하여 함몰부(220)의 전단부는 배출부(26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과정에 의해 적셔진 티슈(1)는 함몰부(220) 및 배출부(260)를 지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260)는 적셔진 티슈가 물티슈 제조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적셔진 티슈를 집을 수 있는 부분(즉, 사용자에 의해 티슈가 수거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함몰부(220)의 전단부를 배출부(260)로 보고, 함몰부(220)와 배출부(260)가 서로 별개의 독립된 공간인 것으로 이해한다면, 함몰부(220)와 배출부(260)는 서로 연통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배출부(260)로 배출된 티슈(1)를 원활하게 파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 2 몸체(200)의 상부의 전단부(250a, 250b)는 함몰부(220)의 함몰 깊이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절곡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에서 보았을 때 제 2 몸체(200)의 상부의 전단부는 180도 회전된 ㄴ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출부(260)의 좌우 양측단이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로서는 보다 용이하게 배출된 티슈(1)에 접근하여 상기 티슈(1)를 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은 배출부(260)의 대각 방향으로부터 배출부(260)의 좌우 측 단부로 접근할 수 있고, 배출되는 티슈(1)의 모서리 부분을 집을 수 있다.
제 2 몸체(200)에는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티슈(1)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티슈 배출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티슈 배출구(230)는 함몰부(220)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티슈 배출구(230)에 의해, 함몰부(220)와 제 2 몸체(200)의 내부(더 구체적으로는 티슈 저장부(210))가 연통될 수 있다. 티슈(1)는 한 장씩 티슈 저장부(210)로부터 티슈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부(260)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티슈(1)가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최상단의 티슈(1)는 함몰부(220)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티슈(1)의 전단부 일부는 배출부(26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의 명령(예를 들면 버튼 조작)에 의해 스팀부(120)는 함몰부(220)에 위치한 티슈(1)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스팀 분사가 완료된 후 사용자가 적셔진 티슈(1)를 당기면 상기 적셔진 티슈(1)가 제 2 몸체(200) 외부로 배출되는 동작에 의해 다음 티슈(1)가 다시 함몰부(2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물티슈를 더 원하면 사용자는 다시 티슈(1)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명령이 있은 후에 최상단의 티슈(1)가 함몰부(220)로 이동되면서 동시에 스팀이 분사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최초에 최상단의 티슈(1)는 함몰부(220) 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즉, 최초에 티슈(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음). 사용자의 명령이 있는 경우, 배출장치는 티슈(1)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티슈(1)는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함몰부(220)를 지날 수 있고, 이때 스팀부(120)는 함몰부(220)를 지나는 티슈(1)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배출장치의 일예로, 구동수단과 롤러(280)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등의 구동수단은 한 쌍의 롤러(280)를 구동시킬 수 있고, 한 쌍의 롤러(280)는 회전 동작에 의해 티슈(1)에 협지력을 제공하면서 티슈(1)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최상단의 티슈(1)가 함몰부(220)로 이동하고, 함몰부(220)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스팀이 분사될 수도 있다.
한편, 티슈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던 티슈(1)가 티슈 저장부(210)로부터 배출된 후 함몰부(220)에 위치(정지 상태 및 이동 상태 모두 포함)한다는 점에서 함몰부(220)는 임시저장부라고 이해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티슈(1)는 한 장씩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장의 티슈(1)는 서로 중첩되어 접힌 상태로 티슈 저장부(210)에 적층되어 있을 수 있고, 최상단의 티슈(1)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든 배출장치의 작용에 의해서든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최상단의 티슈(1)의 배출 동작에 의해 그 다음의 티슈(1) 역시 일정 부분 상방 및 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된 티슈(1)가 최초에 위치하던 지점에 정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티슈(1)가 한 장씩 배출되는 것은 종래의 물티슈, 곽티슈 등에 보편적으로 적용되어 있는 것인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로서는 "여러 장의 티슈 중 정위치되어 있던 최상단의 티슈가 배출되면 그 다음 티슈가 정위치되는 기술"을 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10)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제 1 몸체(100)의 하면 및 제 2 몸체(200)의 상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함몰부(220) 역시 전방 측의 하향구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함몰부(220)의 바닥면(220a)은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져서 전방으로 갈수록 그 고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몸체(100)로부터 하방 분사된 스팀 중 티슈(1)를 적시고 남은 잔여물기는 함몰부(220)의 바닥면(220a)을 따라 전방으로 흐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잔여물기는 함몰부(220)의 바닥면(220a)의 전방에 함몰 형성된 잔여물기 제거홈(225)으로 유입되어, 잔여물기가 물티슈 제조 장치(10) 외부로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잔여물기 제거홈(22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220)의 바닥면(220a)의 전방에서 함몰부(220)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함몰부(220)의 바닥면(220a)은 전방 측으로의 하향구배를 가질 수 있다. 즉, 함몰부(220)의 바닥면(220a)은 후방으로 갈수록 그 고도가 높아질 수 있다. 바닥면(220a)의 고도는 티슈 배출구(230) 즈음부터 다시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다. 그 결과, 제 2 몸체(200)는 티슈 배출구(230) 부근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24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몸체(200)는 잔여물기 유입방지턱(240)을 포함할 수 있다. 잔여물기 유입방지턱(240)은 제 1 몸체(100)로부터 하방 분사된 스팀 중 티슈(1)를 적시고 남은 잔여물기가 제 2 몸체(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티슈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티슈(1)가 젖는 것을 방지하고, 궁극적으로는 티슈(1)가 티슈 저장부(210) 내에서 습기에 의해 오염되거나 티슈(1)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티슈(1)가 끊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잔여물기 유입방지턱(240)은 상술한 경사면(245)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물기 유입방지턱(240)은 티슈 배출구(230)에 인접한 제 2 몸체(200) 내부의 티슈 이송로(여기서는 경사면(245))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잔여물기 유입방지턱(240)는 티슈 배출구(230)의 일부를 폐쇄할 수 있고, 티슈(1)는 티슈 배출구(230) 중 잔여물기 유입방지턱(240)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와 차이 나는 부분만을 설명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 장치는 게이트(241)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241)는 티슈 배출구(2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 2 몸체(2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함에 따라 티슈 배출구(2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예시하였고, 게이트(241)를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구동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경사면(245)의 아래에 내장되어 있다가 필요 시 상방 돌출되어 티슈 배출구(230)를 폐쇄할 수도 있다. 이 때에도 액추에이터 등의 구동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게이트(241)는, 예를 들어, 티슈(1)가 함몰부(220)에 위치한 후 스팀이 분사되기 전 티슈 배출구(23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로써, 스팀이 제 2 몸체(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티슈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티슈(1)가 젖는 것을 방지하고, 궁극적으로는 티슈(1)가 티슈 저장부(210) 내에서 습기에 의해 오염되거나 티슈(1)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티슈(1)가 끊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스팀이 모두 분사되고 난 후, 게이트(241)는 다시 티슈 배출구(230)를 개방할 수 있으며, 다음 티슈(1)가 함몰부(22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 최상단의 티슈(1)는 게이트(241)가 티슈 배출구(230)를 개방한 상태에서 함몰부(220)로 이동하고, 그 이동에 따라 다음 티슈(2)는 롤러(280)에 협지될 수 있다. 최상단의 티슈(1)가 함몰부(220)에 정위치되었을 때 상기 티슈(1)는 바닥면(220a)에 안치될 수 있고, 게이트(241)는 닫힐 수 있다. 상기 티슈(1)가 적셔진 후 사용자에 의해 수거되면 게이트(241)는 다시 열리고 롤러(280)는 회전에 의해 다음 티슈(2)를 함몰부(220)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물티슈 제조 장치 100: 제 1 몸체
110: 저수부 120: 스팀부
200: 제 2 몸체 210: 티슈 저장부
220: 함몰부 230: 티슈 배출구
240: 잔여물기 유입방지턱 260: 배출부

Claims (17)

  1. 본체;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
    티슈를 저장하는 티슈 저장부;
    상기 티슈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티슈가 상기 티슈 저장부로부터 배출된 후 위치하는 임시저장부;
    상기 티슈를 상기 티슈 저장부로부터 상기 임시저장부로 이동시키는 배출장치; 및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전환하여 상기 임시저장부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티슈를 적시는 스팀부를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부와 연통되며, 상기 적셔진 티슈가 상기 물티슈 제조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저장부는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되는 물티슈 제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부는, 상기 티슈가 상기 임시저장부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 또는 상기 임시저장부에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티슈에 스팀을 분사하는 물티슈 제조 장치.
  5.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전환하여 분사하는 스팀부를 포함하는 제 1 몸체; 및
    티슈를 저장하는 티슈 저장부와, 상기 티슈 저장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티슈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티슈는 상기 티슈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 2 몸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 또는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스팀부가 분사하는 스팀에 의해 적셔지는 물티슈 제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상면 내측에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일측은 상기 티슈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함몰부의 타측은 상기 적셔진 티슈가 상기 물티슈 제조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와 연통되는 물티슈 제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부는 상기 티슈가 상기 함몰부에 위치할 때 스팀을 분사하는 물티슈 제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상부의 전단부는 상기 함몰부의 함몰 깊이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절곡되어 상기 배출부의 양측단은 상기 물티슈 제조 장치의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물티슈 제조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은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의 전방에는 잔여물기 제거홈이 함몰 형성되는 물티슈 제조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
    내부에서 상기 티슈가 이송되는 티슈 이송로; 및
    상기 티슈 배출구에 인접하며, 상기 티슈 이송로 상에 제공되어 잔여물기가 상기 제 2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잔여물기 유입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는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물티슈 제조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 티슈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티슈 배출구에 인접 배치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티슈에 협지력을 제공하면서 티슈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티슈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부는, 상기 티슈가 상기 제 2 몸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게이트가 상기 티슈 배출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티슈에 스팀을 분사하는 물티슈 제조 장치.
  15. 물티슈 제조 장치를 이용한 물티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물티슈 제조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티슈가 티슈 배출구를 통해 티슈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단계;
    티슈에 스팀이 분사되는 단계; 및
    스팀에 의해 적셔진 티슈가 사용자에 의해 수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 배출구와 상기 티슈 저장부는 서로 연통되고,
    티슈에 스팀이 분사되기 전, 상기 티슈 배출구가 폐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적셔진 티슈가 수거된 후, 상기 티슈 배출구는 개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 방법.
KR1020150060285A 2015-04-29 2015-04-29 물티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60128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85A KR20160128616A (ko) 2015-04-29 2015-04-29 물티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85A KR20160128616A (ko) 2015-04-29 2015-04-29 물티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16A true KR20160128616A (ko) 2016-11-08

Family

ID=5752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85A KR20160128616A (ko) 2015-04-29 2015-04-29 물티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86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9876A (zh) * 2022-09-21 2022-12-20 广东英为拓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的湿巾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383B1 (ko) 2012-08-23 2014-05-20 김소중 개봉 확인용 물티슈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383B1 (ko) 2012-08-23 2014-05-20 김소중 개봉 확인용 물티슈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9876A (zh) * 2022-09-21 2022-12-20 广东英为拓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的湿巾盒
CN115489876B (zh) * 2022-09-21 2023-12-15 广东英为拓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的湿巾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0504B (zh) 真空吸尘器
US20160138207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KR20090017619A (ko) 초음파 세척 기구를 갖는 피륙 제품 처리 장치
EP2395898A1 (de) Kartusche
US10130235B2 (en) Vacuum cleaner with fluid distribution system
CN105463763B (zh) 对洗衣料盒进行杀菌的装置及方法
CN113303728B (zh) 基站及表面清洁系统
KR20190016593A (ko) 얼룩 제거 액세서리
KR100645947B1 (ko) 다기능 청소기
EP2398952A1 (d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in einem haushaltsgerät angeordneten dosiergeräts, dosiergerät und haushaltsgerät hierzu
US20160150938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13574232B (zh) 具有平坦的底部面的智能马桶盖本体
KR20160128616A (ko) 물티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06102052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EP2920347B1 (en) A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with a steam generator
JP2002263042A (ja) 清掃装置
KR101036038B1 (ko) 드로워 타입의 미스트 공급장치를 가진 건조겸용 세탁기
CN205031186U (zh) 用于表面清洁装置的基座
KR100982505B1 (ko) 스팀밸브를 구비한 테이블세척기
EP2398372A1 (de) Dosiergerät zur abgabe von wenigstens einer wasch- und/oder reinigungsmittelzubereitung ins innere eines haushaltsgeräts
JP5011464B2 (ja) 電気かみそり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16101246A (ja) スチーム噴出器
CN216937256U (zh) 一种具有烘干装置的清洗机
JP7340437B2 (ja) 局部洗浄装置及び水洗便器
CN215016848U (zh) 表面清洁设备和表面清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