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580A -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 - Google Patents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580A
KR20160128580A KR1020150060178A KR20150060178A KR20160128580A KR 20160128580 A KR20160128580 A KR 20160128580A KR 1020150060178 A KR1020150060178 A KR 1020150060178A KR 20150060178 A KR20150060178 A KR 20150060178A KR 20160128580 A KR20160128580 A KR 20160128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unit
purified water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아
김도연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Priority to KR102015006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580A/ko
Publication of KR2016012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Y02B4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69Washing machine or stove closure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습기에서 응결된 응결수와 세면수를 정화한 정화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 및 세탁방법이 소개된다.
이 중에서 세탁기는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를 정화수로 정화하는 정화유닛과, 주변의 습기가 제습되도록 습기를 응결수로 냉각시키는 제습유닛과, 정화수 및 응결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WASHING MACHINE USING WASHED WATER AND DAMP AIR AND WASH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 에 관한 것으로, 버려지는 물을 세탁에 재활용할 수 있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물의 수요량 및 소비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물고갈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물을 낭비하는 대표적인 사례로서, 세면 또는 세척을 위해 사용되는 수돗물을 들 수 있다. 수돗물은 가정이나 기타 건물 등에서 주방에서의 세척수 및 화장실에서의 세척수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수돗물은 한번 사용되면 하수관을 통하여 그대로 버려진다.
특히, 화장실에 구비된 세면대에서는 사용자가 단순히 얼굴을 씻는데 필요 이상으로 과다한 물을 사용함에 따라, 많은 양의 수돗물이 낭비되고 있다. 이에, 화장실에서 버려지는 물을 재활용하여, 화장실에서의 물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편, 세탁기는 급수, 배수, 헹굼, 및 탈수의 과정을 거쳐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장치로, 가장 일반적 형태로 세탁조 하단에 설치된 펄세이터가 설치된 펄세이터형 세탁기를 비롯하여, 세탁조 자체가 회전하는 드럼형 세탁기 그리고 펄세이터와 세탁조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통돌이 세탁기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다.
그런데, 요즈음 일인 가구수가 크게 증가됨에 따라 주거형태 역시 소형화되고 있는 바, 세탁기를 주택의 협소한 화장실에서 공간 집약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국내 공개특허공보 2002-0080758호(2002. 10. 26.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장실의 제습시 발생되는 응결수와 세면대에서 버려지는 세면수를 세탁에 활용할 수 있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를 정화수로 정화하는 정화유닛; 주변의 습기를 응결수로 냉각시키는 제습유닛; 및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정화유닛, 상기 제습유닛 및 상기 세탁유닛이 내장되도록 상기 세면대의 하측에 설치되고, 전방으로 개폐되는 회전도어가 구비된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유닛은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가 수용되도록 상기 회전도어에 장착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장조 내에 설치되고,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가 구비된 세탁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유닛은 상기 세탁조 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유닛은 상기 저수조 내 급수를 위해, 상기 저수조와 수도관 사이를 연결하는 급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유닛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습기내 수분을 상기 응결수로 냉각시키는 증발기; 열교환된 상기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압축된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습기를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세면수를 1차 필터링하는 세라믹필터; 1차 필터링된 상기 세면수를 활성탄으로 2차 필터링하는 활성필터; 및 2차 필터링된 상기 세면수를 맥반석 또는 바이오실버스톤으로 3차 필터링하는 자연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화유닛 및 제습유닛으로부터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를 공급받아 임시 저장한 후,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를 상기 세탁유닛에 제공하는 저장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면대에서 배출된 세면수를 상기 정화유닛 또는 배수관으로 선택적으로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밸브; 상기 저장탱크 내 저장된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가 일정 기준치를 초과할 때, 상기 세면수가 상기 배수관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분기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를 정화수로 정화하는 단계; 주변의 습기를 응결수로 제습하는 단계; 상기 정화수 또는 상기 응결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화수 또는 상기 응결수가 존재하면, 수돗물과 상기 정화수 또는 상기 응결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 및 헹굼하는 단계; 및 수돗물만을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을 마지막 헹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화수 또는 상기 응결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저장탱크 내 저장된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수위가 일정 기준치에 도달될 때, 세탁 및 헹굼에 필요한 상기 정화수 또는 상기 응결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면대의 하측 공간을 활용하여 비좁은 화장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제습을 통해 화장실을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장실의 제습시 발생되는 응결수와, 버려지는 세면수를 정화한 정화수를 세탁수로 재사용함으로써,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정화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0)는, 본체(400), 정화유닛(100), 제습유닛(200) 및 세탁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400)는 세면대(10)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으로, 전체적으로 미니 세탁기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고, 세면대(10)가 설치된 화장실의 벽면에 부착되거나, 세면대(10)의 하측 바닥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체(40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폐되는 회전도어(410)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도어(410)는 도어를 살짝 누르면 부드럽게 서서히 열리는 이지/소프트 홈바(home bar)의 도어 구조일 수 있다. 이지/소프트 홈바의 도어 구조는 냉장고의 홈바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도어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도어(410)는 이지/소프트 홈바의 도어 구조가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본체(400)의 전방으로 개폐되는 다양한 형태의 도어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도어(410)는 본체(400)의 하단에 단순히 힌지 연결되는 구조이거나, 본체(400)의 전방으로 회전되도록 본체(400)에 링크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체(400)의 후면에는 세면대(10)의 세면수가 배수되는 세면배관(11)과,
별도의 급수를 위해, 수도관과 연결되는 급수라인(미도시)과, 세탁이 완료된 세탁유닛(300)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세면배관(11)을 통과한 세면수는 정화유닛(100)을 통해 정화된 후, 세탁유닛(300)의 세탁 프로세스 중에서 마지막 헹굼 이외의 단계, 예를 들면, 세탁, 1차 헹굼 등에서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세탁이 완료된 후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400)의 측면에는 제습유닛(200)으로 습기가 입출되는 통풍구(401)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통풍구(401)는 제습유닛(200)을 사이에 두고 본체(4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습한 공기가 본체(400)의 일측면에 위치한 통풍구(401)를 통해 본체(400) 내로 유입되면, 제습유닛(200)에 의해 습한 공기가 응결/건조되면서 건조 공기로 바뀌게 되는데, 이렇게 바뀐 건조 공기는 본체(400)의 타측면에 위치한 통풍구(4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400)의 상면에는 세탁기(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402)과, 세탁기(2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403)과, 세제를 세탁유닛(300)에 제공하기 위한 세제투입구(404)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402)은 헹굼, 탈수 등의 세탁 기능 이외에도, 제습유닛(20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습 기능, 및 전원 기능 등의 선택이 가능하다.
본체(400)의 내부에는 상술한 정화유닛(100), 제습유닛(200) 및 세탁유닛(300)이 각각 내장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400)의 내측벽에는 완충부재(350)가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350)는 회전도어(410)의 개폐시 회전도어(410) 및 세탁유닛(300)의 후방부를 작동 충격으로부터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완충부재(350)로는 충격 흡수를 위한 통상의 완충스폰지 또는 탄성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정화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유닛(100)은 세면대(10)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를 정화수로 정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세면대(10)의 세면배관(11)과 세탁유닛(300)의 공급호스(421)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정화유닛(100)은 세면수를 1차 필터링하도록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는 세라믹필터(110)와, 1차 필터링된세면수를 2차 필터링하도록 활성탄 및 은활성탄으로 구성되는 활성필터(120)와, 2차 필터링된세면수를 3차 필터링하도록 맥반석 및 바이오실버스톤으로 구성된 자연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면대(10)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는, 정화유닛(100)의 세라믹필터(110), 활성필터(120) 및 자연필터(13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정화수로 정화되고, 이렇게 정화된 정화수는 세탁(헹굼)을 위해 세탁유닛(300)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화유닛(100)은 세라믹필터(110), 활성필터(120) 및 자연필터(130)로 구성되지만, 이들 필터 이외에도, 세면수를 효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친환경 복합필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유닛(200)은 화장실 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기의 구성, 예를 들면, 증발기(210), 압축기(미도시), 응축기(230), 팽창밸브(미도시) 및 송풍팬(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210)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습기 내 수분을 응결수로 냉각시킬 수 있고, 압축기는 열교환된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킬 수 있고, 응축기(230)는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으며, 송풍팬(240)은 통풍구(401)를 통해 유입된 습기를 증발기(210)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화장실 내 습한 공기가 송풍팬(240)을 통해 제습유닛(200)의 증발기(210)로 유입되면, 습한 공기 내 수분은 증발기(210)에서 열교환되면서 응결수로 응결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응축기(230)에서 건조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응결수는 세탁유닛(300)의 공급호스(421)로 이동될 수 있고, 증발기(210)의 냉매(예를 들면, 프레온가스)는 압축기에서 압력이 높아져 응축기(230)로 보내지고, 팽창밸브를 통해 압력이 낮아진 후, 다시 증발기(210)에서 습한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세탁유닛(300)은 정화유닛(100)에서 공급받은 정화수와, 제습유닛(200)에서 공급받은 응결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헹굼)할 수 있다. 특히, 세탁유닛(300)은 본체(400)의 회전도어(410)에 장착되어, 회전도어(410)의 개방시 사용자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세탁물을 세탁유닛(300)의 세탁조(320)에 편리하게 투입하거나, 세탁조(320)에서 꺼낼 수 있다.
이 세탁유닛(300)은 회전도어(410)에 장착되는 저수조(310)와,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321)가 구비되어 저수조(310) 내에 장착되는 세탁조(320)와, 펄세이터(321)가 회전되도록 펄세이터(321)에 구동 연결되는 구동모터(360)와, 속옷과 같은 세탁물을 위해, 세탁조(320) 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거름망(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수조(310)에는 정화수 및 응결수가 저장 가능한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별도의 급수를 위해, 수도관과 연결되는 급수라인(미도시)과, 배수를 위한 배수라인(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화유닛(100) 및 제습유닛(200)에서 공급받은 정화수 및 응결수가 세탁유닛(300)의 저수조(310)의 수용공간에 직접 저장되는 구조이지만, 정화수 및 응결수는 별도의 저장탱크에 임시 저장된 후, 세탁될 때 세탁유닛(300)으로 투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0)는, 본체(400), 정화유닛(100), 제습유닛(200), 세탁유닛(300) 및 저장탱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탱크(5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예를 들면, 본체(400), 정화유닛(100), 제습유닛(200), 세탁유닛(300) 구성은,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체(400), 정화유닛(100), 제습유닛(200), 세탁유닛(300) 구성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탱크(500)는 정화수 및 응결수를 임시 수용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탱크로, 본체(400) 내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정화유닛(100) 및 제습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탱크(500)에는 저장공간내 정화수 및 응결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620)가 마련될 수 있다. 수위센서(620)는 저장공간내에서 측정된 정화수 및 응결수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630)에 인가하고, 컨트롤러(630)는 수위가 일정 기준치를 초과할 때, 세면수가 배수관(423)으로 안내되도록 분기밸브(610)를 제어할 수 있다.
분기밸브(610)는 배수관(423), 세면배관(11) 및 정화유닛(100)의 배관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3웨이 밸브로, 컨트롤러(630)의 조절에 의해, 세면대(10)에서 배출된 세면수를 정화유닛(100) 또는 배수관(423)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면대(10)에서 배출된 세면수는 정화유닛(100)을 통과하면서, 정화수로 필터링될 수 있다. 즉, 세면수는 정화유닛(100)의 세라믹필터(110), 활성필터(120) 및 자연필터(130)를 통과하면서, 세면수내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이물질이 필터링된 정화수는 세탁유닛(3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화장실 내 습한 공기는 세탁기(20)의 통풍구(401)로 유입된 후, 제습유닛(200)에서 수분이 제거된 후, 통풍구(40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습한 공기 내 수분은 제습유닛(200)의 증발기(210)에 의해 응결수로 응결될 수 있으며, 응결수는세탁유닛(3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세탁유닛(300)으로 이동된 정화수 및 응결수는, 세탁물을 세탁(헹굼)하기 위한 세탁수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회전도어(410)를 살짝 푸쉬하여, 회전도어(410)를 부드럽게 오픈한 상태에서, 세탁물을 세탁조(320)에 투입한 후 회전도어(410)를 닫고, 적정량의 세제를 세제투입구(404)를 통해 투입한다.
이후, 사용자는 헹굼, 탈수, 세탁 기능 등을 수행하는 버튼(402)을 선택적으로 푸쉬함으로써, 세탁기(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정화수 및 응결수는 저수조(310) 내에 미리 수용되어 있거나, 별도의 저장탱크(500)에서 세탁유닛(300)의 저수조(310)로 이동된 후, 세탁물의 세탁(헹굼)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탁방법은, 세면수를 정화수로 정화하는 단계와, 습기를 응결수로 제습하는 단계와, 정화수 또는 응결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세탁물을 세탁 및 헹굼하는 단계와, 세탁물을 마지막 헹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면수를 정화수로 정화하는 단계는,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를 정화수로 정화할 수 있다.
이때,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는, 세라믹필터(110)를 통해 1차 필터링되고, 활성필터(120)를 통해 2차 필터링된 후, 자연필터(130)를 통해 3차 필터링될 수 있다. 이렇게 1차, 2차, 3차 필터링 과정을 통해, 정제된 정제수는 저장탱크(50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습기를 응결수로 제습하는 단계는, 본체의 통풍구를 통해 유입된 화장실 내 습기를 응결수로 제습할 수 있다.
즉, 화장실 내 습한 공기가 송풍팬(240)을 통해 제습유닛(200)의 증발기(210)로 유입되면, 습한 공기 내 수분은 제습유닛(200)의 증발기(210)에서 열교환되면서 응결수로 응결될 수 있으며, 이때, 응결된 응결수는 저장탱크(50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화수 또는 응결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정화수 또는 응결수가 세탁 및 헹굼에 필요한 만큼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탱크(500) 내 저장된 정화수 및 응결수의 경우, 수위센서(630)를 통해 저장탱크(500) 내 저장된 정화수 및 응결수의 량이 측정될 수 있고, 측정된 정화수 및 응결수의 수위가 일정 기준치에 도달될 때, 정화수 또는 응결수가 세탁 및 헹굼에 필요한 만큼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을 세탁 및 헹굼하는 단계는, 정화수 또는 응결수가 존재하면, 수돗물과 함께, 정화수 또는 응결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 헹굼 및 탈수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을 마지막 헹굼하는 단계는, 세탁물의 대한 마지막 헹굼에서, 수돗물만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헹굼할 수 있다.
이때, 세탁유닛(300)의 저수조(310)에는 수도관과 연결된 급수라인을 통해, 수돗물만이 공급될 수 있고, 세탁조(320)에서는 공급받은 수돗물만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대한 마지막 헹굼이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면대의 하측 공간을 활용하여 비좁은 화장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제습을 통해 화장실을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고, 화장실의 제습시 발생되는 응결수와 버려지는 세면수를 정화하여 세탁수로 재사용하므로,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정화유닛 110 :세라믹필터
120 :활성필터 130 :자연필터
200 :제습유닛 210 :증발기
220 :압축기 230 :응축기
240 :송풍팬 300 :세탁유닛
310 :저수조 320 :세탁조
321 :펄세이터 330 :거름망
400 :본체 410 :회전도어
500 :저장탱크 610 :분기밸브
620 :수위센서 630 :컨트롤러

Claims (11)

  1.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를 정화수로 정화하는 정화유닛;
    주변의 습기를 응결수로 냉각시키는 제습유닛; 및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유닛을 포함하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정화유닛, 상기 제습유닛 및 상기 세탁유닛이 내장되도록 상기 세면대의 하측에 설치되고, 전방으로 개폐되는 회전도어가 구비된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유닛은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가 수용되도록 상기 회전도어에 장착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장조 내에 설치되고,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가 구비된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유닛은
    상기 세탁조 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유닛은
    상기 저수조 내 급수를 위해, 상기 저수조와 수도관 사이를 연결하는 급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유닛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습기 내 수분을 상기 응결수로 냉각시키는 증발기;
    열교환된 상기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압축된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습기를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세면수를 1차 필터링하는 세라믹필터;
    1차 필터링된 상기 세면수를 활성탄으로 2차 필터링하는 활성필터; 및
    2차 필터링된 상기 세면수를 맥반석 또는 바이오실버스톤으로 3차 필터링하는 자연필터를 포함하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닛 및 제습유닛으로부터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를 공급받아 임시 저장한 후,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를 상기 세탁유닛에 제공하는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에서 배출된 세면수를 상기 정화유닛 또는 배수관으로 선택적으로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밸브;
    상기 저장탱크 내 저장된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가 일정 기준치를 초과할 때, 상기 세면수가 상기 배수관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분기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10.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를 정화수로 정화하는 단계;
    주변의 습기를 응결수로 제습하는 단계;
    상기 정화수 또는 상기 응결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화수 또는 상기 응결수가 존재하면, 수돗물과 상기 정화수 또는 상기 응결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 및 헹굼하는 단계; 및
    수돗물만을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을 마지막 헹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 또는 상기 응결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저장탱크 내 저장된 상기 정화수 및 상기 응결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수위가 일정 기준치에 도달될 때, 세탁 및 헹굼에 필요한 상기 정화수 또는 상기 응결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방법.
KR1020150060178A 2015-04-29 2015-04-29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 KR20160128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178A KR20160128580A (ko) 2015-04-29 2015-04-29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178A KR20160128580A (ko) 2015-04-29 2015-04-29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660A Division KR20170012530A (ko) 2017-01-23 2017-01-23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580A true KR20160128580A (ko) 2016-11-08

Family

ID=5752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178A KR20160128580A (ko) 2015-04-29 2015-04-29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85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1187A (zh) * 2018-05-05 2018-10-23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浴室用隐藏式高低可调节放衣桶机构
CN116906991A (zh) * 2023-06-28 2023-10-20 广东英为拓科技有限公司 一种可旋转稳定型转轮除湿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758A (ko) 2001-04-17 200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절수(節水)형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758A (ko) 2001-04-17 200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절수(節水)형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1187A (zh) * 2018-05-05 2018-10-23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浴室用隐藏式高低可调节放衣桶机构
CN116906991A (zh) * 2023-06-28 2023-10-20 广东英为拓科技有限公司 一种可旋转稳定型转轮除湿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40150B2 (en) Steam dryer
US20110048464A1 (en) Dishwasher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TW200636114A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2007037890A (ja) 乾燥洗濯機
JP2008029654A (ja) 洗濯乾燥機
JP3920303B1 (ja) 洗濯乾燥機
KR20160128580A (ko)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
WO2019052346A1 (zh) 一种衣物洗干一体机及其控制方法
CN110055712A (zh) 一种衣物洗干一体机
ATE275861T1 (de) Gewerbliche spülmaschine
CN110055710A (zh) 一种衣物洗干一体机
KR20170012530A (ko) 세면수 및 습기를 이용한 세탁기
JP2009034409A (ja) 衣類乾燥機
JP2008110088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6270474B2 (ja) 乾燥機
CN102057099A (zh) 用于清洁烘干机的热交换器的方法
JP2015146933A (ja) 洗濯乾燥機
CN109518405B (zh) 一种洗衣干衣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9052345A1 (zh) 一种衣物洗干一体机及其控制方法
KR20060121028A (ko) 주방용 후드
KR200420298Y1 (ko) 빨래 건조기
JP4453568B2 (ja) 洗濯乾燥機
CN112663271A (zh) 洗干机及其控制方法
JP2015054109A (ja) 衣類乾燥機
CN110952260A (zh) 一种柜体洗干一体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