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55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552A
KR20160128552A KR1020150060004A KR20150060004A KR20160128552A KR 20160128552 A KR20160128552 A KR 20160128552A KR 1020150060004 A KR1020150060004 A KR 1020150060004A KR 20150060004 A KR20150060004 A KR 20150060004A KR 20160128552 A KR20160128552 A KR 20160128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vehicle
housing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유영
방정석
홍왕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552A/ko
Priority to US14/933,617 priority patent/US20160321024A1/en
Publication of KR2016012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60R200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88Apparatus made of several modules independent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G09F2009/0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가요성 기판 및 상기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로 구성되는 둘 이상의 표시 장치; 및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의 외측에서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면서 일정 거리 범위 이내에서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 상기 하우징의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 상기 하우징이 일정 거리 범위 이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란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PDA, 및 최근 폭발적으로 수요가 증가한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표시 장치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가요성 표시 패널 등과 같은 고화질의 평판형 표시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평판형 표시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회로와 배선을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이,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최근, 표시 장치에 대한 고화질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요구가 증대되면서, 가요성 기판 위에 표시부를 형성한 가요성 표시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휘어진 곡면 형태를 유지하거나, 힌지 방식의 하우징(미도시) 등에 수납되어 화면을 접고 펴는 작동을 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표시 패널은 하우징(미도시) 내부에 설치된 롤러에 감길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표시 패널은 롤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하우징(미도시) 바깥으로 인출되고, 롤러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하우징(미도시) 내부로 수납된다. 가요성 표시 패널은 이러한 출입(出入) 동작에 의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표시부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입체감을 있는 출력 화면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이동성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가요성 기판 및 상기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로 구성되는 둘 이상의 표시 장치; 및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의 외측에서 지 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면서 일정 거리 범위 이내에서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 상기 하우징의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 상기 하우징이 일정 거리 범위 이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가이즈 부재의 연결 관계에 따라 상하좌우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가 상기 하우징,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차량 천정의 하면에 설치되되, 상기 표시 장치의 넓은 면이 상기 차량 천정의 하면에 대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1 표시 장치에 연속하여 위치하는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2 표시 장치에 연속하여 위치하는 제3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상기 차량 천정에서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 후 일측 또는 타측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 후 180도 회전한 후 일측 또는 타측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이동 후 다른 표시 장치에 연속하여 배치됨에 따라 연속하는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대형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 후 차량의 후미 유리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상기 차량 천정에서 상기 차량의 후미 유리창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의 후미 유리창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실외 표시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 후 운전자석의 좌측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차석의 좌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차량의 후방 카메라 또는 측면 카메라와 연동하며, 상기 후방 카메라 또는 상기 측면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 후 보조석의 우측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석의 우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차량의 후방 카메라 또는 측면 카메라와 연동하며, 상기 후방 카메라 또는 상기 측면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상기 표시 패널은, 투명 패널, 평면 패널, 가요성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 장착되는 표시 장치에 이동성을 부가함에 따라 고정형 표시 장치와 달리 더 넓은 화각을 제공하면서 차량 내 표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내 공간에서 사용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시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시하는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시하는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시하는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시하는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시하는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1)는 가요성 표시 패널(110), 제1 보호 필름(410), 제1 접착제(sealant)(310), 제2 보호 필름(420) 및 제2 접착제를 포함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가요성기판(111), 구동 회로부(DC), 복수의 화소(70) 및 봉지 박막(250)을 포함하며,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도면은 복수의 화소(70)가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가요성 기판(111)은 플랙서블(flexible)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요성 기판(111)이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요성 기판(111)으로 그 밖에 플렉서블한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 회로부(DC)는 박막 트랜지스터(10, 20)를 포함하며, 복수의 화소(70)를 배치하여 이미지를 표시한다. 복수의 화소(70)는 구동 회로부(DC)와 연결되어 구동 회로부(DC)로부터 전달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봉지 박막(250)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봉지 박막(250)은 복수의 무기막들로 만들어지거나 무기막과 유기막이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봉지 박막(250)은 해당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무기막들 및 유기막들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은 가요성 기판(111)과 구동 회로부(DC) 사이에 배치된 베리어막(120)을 더 포함한다. 베리어막(120)은 다양한 무기막들 및 유기막들 중에서 둘 이상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막(120)은 수분과 같이 불필요한 성분이 가요성 기판(111)을 투과해 화소(70)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기 발광 소자(70)에 침투한 수분은 화소(70)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제1 보호 필름(410)은 봉지 박막(250)에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점착제(310)는 제1 보호 필름(410)과 봉지 박막(25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1 보호 필름(410)은 제1 점착제(310)를 통해 봉지 박막(250)에 부착된다.
제2 보호 필름(420)은 가요성 기판(111)에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점착제(320)는 제2 보호 필름(420)과 가요성 기판(111)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2 보호 필름(420)은 제2 점착제(320)를 통해 가요성 기판(111)에 부착된다.
제1 보호 필름(410) 및 제2 보호 필름(420)은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기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410) 및 제2 보호 필름(420)은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가요성 기판(111)과 마찬가지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다.
제1 보호 필름(410)은 편광 기능을 가지는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편광 기능을 갖는 보호 필름의 배치는 화소(70)가 빛을 방출하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소(70)가 전면 발광, 즉 제1 보호 필름(410)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면, 제1 보호 필름(410)이 편광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화소(70)가 배면 발광, 즉 제2 보호 필름(420)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면, 제2 보호 필름(420)이 편광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화소(70)가 양면 발광하다면 제1 보호 필름(410) 및 제2 보호 필름(420)이 모두 편광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보호 필름(410) 및 제2 보호 필름(420)이 모두 편광 기능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가요성 기판(111)을 제외한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두께는 수 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하므로 의도하지 않게 휘거나 접히기 쉽다. 가요성 기판(111)도 통상 수십 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해 복수의 화소(70) 및 구동 회로부(DC)를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가요성 표시 패널(110)만을 사용할 경우 휴대성이 도리어 나빠질 수 있으며,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에, 가요성 표시 패널(110)에 제1 보호 필름(410) 및 제2 보호 필름(420)을 부착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110)의 기구 강도를 향상시키고 손상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요성 표시 패널(110)이 구부러지는 영역에 따라 탄성 계수가 다른 보호 필름을 부착하여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휘어진 곡면 형태를 유지하거나 힌지 방식의 하우징(미도시) 등에 수납되어 화면을 접고 펼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이용한 표시 장치는 다양한 공간에서 표시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의 일 예로, 차량과 같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차량에서 이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내 공간에 사용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 내 천정(1a)에 둘 이상의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101a, 101b, 101c)를 힌지 방식의 하우징(미도시) 등에 수납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둘 이상의 표시 장치(101a, 101b, 101c)는 차량 천정(1a)의 곡면을 따라 연속하여 장착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표시 장치(101a, 101b, 101c)를 수납하는 하우징(미도시)은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미도시) 및 차량 천정에 부착된 가이드 부재(102)간의 연결 관계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01a, 101b, 101c)를 이동시킨다. 즉, 차량 탑승자가 표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천정(1a)에 표시 장치가 밀착하는 형태로 고정시키고, 탑승자가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차량 내 탑승자 위치에 따라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이동하여 공간적 제약없이 넓은 화각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천정(1a)에 장착되는 둘 이상의 표시 장치(101a, 101b, 101c)는 하우징(미도시) 내 표시 장치의 전면이 차량 탑승자에게 노출되도록 수납된 경우를 일 예로 들고 있으나, 표시 장치의 후면이 차량 탑승자에게 노출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시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천정(1a)에 장착된 둘 이상의 표시 장치(101a, 101b, 101c)를 이동성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 가이드 부재(102)를 통해 순차적으로 차량 내 좌석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천정(1a)에 장착된 둘 이상의 표시 장치(101a, 101b, 101c) 중 제1 표시 장치(101a)를 차량 천정(1a)에서부터 뒷좌석의 중앙 영역으로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S401). 제2 표시 장치(101b)는 차량 천정(1a)에서부터 뒷좌석의 중앙 영역으로 하향 이동시킨 후 제1 표시 장치(101a)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402). 제3 표시 장치(101c)는 차량 천정(1a)에서부터 뒷좌석의 중앙 영역으로 하향 이동시킨 후 제1 표시 장치(101a)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403).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 장치(101b), 제1 표시 장치(101a) 및 제3 표시 장치(101c)의 표시 화면이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좌우로 이동하는 제2 표시 장치(101b) 및 제3 표시 장치(101c)의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표시 장치(101a)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표시 장치(101b) 및 제3 표시 장치(101c)의 자리는 서로 변경되도록 하우징(미도시)(102) 이동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천정(1a)에 장착된 둘 이상의 표시 장치(101a, 101b, 101c) 중 제1 표시 장치(101a)를 차량 천정(1a)에서부터 뒷좌석의 중앙 영역으로 하향 이동시킨 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404). 그리고, 제2 표시 장치(101b) 역시 차량 천정(1a)에서부터 뒷좌석의 중앙 영역으로 하향 이동시킨 후 제1 표시 장치(101a)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우측 또는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405). 마지막으로, 제3 표시 장치(101c)는 차량 천정(1a)에서부터 뒷좌석의 중앙 영역으로 하향 이동시켜 제1 표시 장치(101a) 및 제2 표시 장치(101b)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S406).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장치(101a), 제3 표시 장치(101c) 및 제2 표시 장치(101b)의 표시 화면이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좌우로 이동하는 제1 표시 장치(101a) 및 제2 표시 장치(101b)의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3 표시 장치(101c)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제1 표시 장치(101a) 및 제2 표시 장치(101b)의 자리는 변경되도록 가이트 부재 및 슬라이딩 부재를 설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표시 장치(101a), 제2 표시 장치(101b) 및 제3 표시 장치(101c)는 하나의 출력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함으로써 파노라마와 같은 초대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를 기준으로 좌우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들이 중앙에 위치한 표시 장치와 수평을 이루는 것이 아닌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연결함으로서,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표시 장치(101a, 101b, 101c)가 가요성 표시 패널을 이용함에 따라 제공하는 화면의 입체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 뒷좌석 탑승자를 기준으로 좌측공간, 정면, 우측공간에 위치하며 서로 연결되는 세 개의 표시 장치를 예로 들고 있으나, 반드시 세 개의 표시 장치를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사용자 편의에 따라 차량 천정에 장착된 다수의 표시 장치 중 하나의 표시 장치를 이동시켜 단일 표시 장치로 사용하거나 또는 두 개의 표시 장치를 차량 내부로 이동시켜 듀얼 표시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이동시켜 사용하는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연속하는 표시 장치를 이동시키는 방향에 대해서는 해당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 및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 천정(1a)에 장착되는 표시 장치(101a, 101b, 101c)는 영상이 표시되는 출력 화면이 탑승자에게 노출되도록 하우징(미도시) 내 수납되는 형태이다. 이와 달리, 차량 천정(1a)에 장착되는 표시 장치(101a, 101b, 101c)가 표시 장치의 후면이 탑승자에게 노출되도록 하우징(미도시) 내 수납되는 경우, 각각의 표시 장치(101a, 101b, 101c)는 차량 천정(1a)에서부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시킨 후 180도 회전시켜 출력 화면이 뒷좌석 탑승자에게 노출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표시 장치(101a, 101b, 101c)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각 표시 장치(101a, 101b, 101c)를 수납하는 하우징(미도시) 후면에 슬라이딩 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는 천정(1a)에 장착된 하우징(미도시)과 각 표시 장치(101a, 101b, 101c)간의 슬라이딩 이동 및 각 표시 장치(101a, 101b, 101c)간의 연결을 위해 압축과 신장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둘 이상의 표시 기판(101a, 101b, 101c)을 차량 내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부재 및 가이드 부재(102)는 해당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 및 기술을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시하는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천정(1a)에 장착된 둘 이상의 표시 장치(101a, 101b, 101c)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성을 제공하는 가이드 부재(102)를 이용하여 차량의 후미 유리창(1b)으로 이동시켜 실외 표시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둘 이상의 표시 장치(101a, 101b, 101c)는 영상이 표시되는 출력 화면(표시 장치의 전면)이 탑승자에게 노출되도록 하우징(미도시) 내 수납된 것을 가정한다. 이때, 표시 장치(101a, 101b, 101c) 중 제1 표시 장치(101a)를 차량 천정(1a)에서부터 차량 실내 공간을 하향 이동시킨 후(S601) 다시 후미 유리창(1b) 쪽으로 이동시킨다(S602). 이에 따라, 제1 표시 장치(101a)는 후미 유리창(1b)에 부착되어 실외 표시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2 표시 장치(101b) 및 제3 표시 장치(101c)가 제1 표시장치(101a)를 따라 좌우 이동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동할 필요는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시하는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천정(1a)에 배치된 둘 이상의 표시 장치(101a, 101b, 101c)의 후면이 탑승자에게 노출되도록 하우징(미도시) 내 수납된 것을 가정한다. 이때, 표시 장치(101a, 101b, 101c) 중 제3 표시 장치(101c)를 차량 천정(1a)에서부터 후미 유리창(1b) 쪽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3 표시 장치(101c)가 후미 유리창(1b)에 부착되어 실외 표시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차량 실내 표시 장치를 실외 표시 장치로 이용함에 따라, 비상정지, 도로교통상황과 같은 운행정보나 또는 차량 탑승자 상태를 외부로 제공하는 정보 표시 기능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차량에 부착된 후방 카메라 또는 측방 카메라와 연동시켜 각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표시 장치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도로주행 중 시야각 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실시하는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차량 천정(1a)에 장착된 둘 이상의 표시 장치(101a, 101b, 101c) 중 하나 이상을 차량 천정(1a)에서부터 차량 실내 공간을 하향 이동시킨 후, 차량 앞좌석의 측면으로 이동시켜 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천정(1a)에 위치한 표시 장치(101a, 101b, 101c) 중 제1 표시 장치(101a)를 차량 천정(1a)에서부터 차량 실내 공간으로 하향 이동시킨 후(S801), 운전자석(1c)의 좌측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802). 또한, 차량 천정(1a)에 위치한 표시 장치(101a, 101b, 101c) 중 제2 표시 장치(101b)를 차량 천정(1a)에서부터 차량 실내 공간으로 하향 이동시킨 후(S803), 보조석(1d)의 우측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804).
이때, 표시 장치(101a, 101b, 101c)는 차량에 부착된 후방 카메라 또는 측방 카메라와 연동되고, 각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데이터가 표시 장치(101a, 101b, 101c)를 통해 출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통해 확보하던 시야각을 제1 표시 장치(101a) 또는 제2 표시 장치(101b)를 통해 확보할 수 있으며, 입체감있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은 가요성 표시 패널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면 패널 또는 투명 패널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연속 배열하는 방식으로 확대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표시 장치가 상하좌우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사용자 위치에 따른 편의성 및 영상의 입체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이동성을 기반으로 실내 표시장치를 실외 표시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두 개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하나만을 사용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를 차량에 사용하는 경우, 차량 골절을 지지대로 활용하여 표시 장치의 내구성을 도모할 수 있다.
1: 차량 1a: 차량 천정
1b: 차량 후미 유리창 101a, 101b, 101c: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11: 가요성 기판
120: 베리어막 250: 봉지 박막
310: 제1 점착제 320: 제2 점착제
410: 제1 보호 필름 420: 제2 보호 필름

Claims (17)

  1. 가요성 기판 및 상기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로 구성되는 둘 이상의 표시 장치; 및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고정시키면서 일정 거리 범위 이내에서 상기 둘이상의 표시 장치의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의 외측에서 지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 상기 하우징이 일정 거리 범위 이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연결 관계에 따라 상하좌우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가 상기 하우징,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차량 천정의 하면에 설치되되, 상기 표시 장치의 넓은 면이 상기 차량 천정의 하면에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1 표시 장치에 연속하여 위치하는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2 표시 장치에 연속하여 위치하는 제3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상기 차량 천정에서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 후 일측 또는 타측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 후 180도 회전한 후 일측 또는 타측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이동 후 다른 표시 장치에 연속하여 배치됨에 따라 연속하는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대형 화면을 구성하는, 표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 후 차량의 후미 유리창 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11. 제5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상기 차량 천정에서 상기 차량의 후미 유리창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12. 제10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후미 유리창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실외 표시 장치로 동작하는, 표시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 후 운전자석의 좌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차석의 좌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차량의 후방 카메라 또는 측면 카메라와 연동하며, 상기 후방 카메라 또는 상기 측면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량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 후 보조석의 우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석의 우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 표시 장치, 상기 제2 표시 장치 및 상기 제3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는 차량의 후방 카메라 또는 측면 카메라와 연동하며, 상기 후방 카메라 또는 상기 측면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상기 표시 패널은,
    투명 패널, 평면 패널, 가요성 패널 중 어느 하나인, 표시 장치.
KR1020150060004A 2015-04-28 2015-04-28 표시 장치 KR20160128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004A KR20160128552A (ko) 2015-04-28 2015-04-28 표시 장치
US14/933,617 US20160321024A1 (en) 2015-04-28 2015-11-05 Display device, related transport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004A KR20160128552A (ko) 2015-04-28 2015-04-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552A true KR20160128552A (ko) 2016-11-08

Family

ID=5720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004A KR20160128552A (ko) 2015-04-28 2015-04-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321024A1 (ko)
KR (1) KR201601285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6090B2 (ja) * 2014-08-07 2019-10-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運転支援システム
DE102016217779A1 (de) * 2016-09-16 2018-03-22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s
US10203929B2 (en) * 2017-06-13 2019-0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dable display strips
KR102094956B1 (ko) * 2018-05-21 2020-03-30 주식회사 브이터치 자율주행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015223A (ja) * 2018-07-25 2020-01-30 株式会社デンソー 反射防止フィルム、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21024A1 (en)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6042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JP6734324B2 (ja) 表示装置
CN1726418B (zh) 多视图显示器
US1096632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553613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60128552A (ko) 표시 장치
KR20210143147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EP3196941B1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thereof
US912832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4950504B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8593372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7697204B2 (en)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098796A1 (en) Window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US8525951B2 (en) Multi-view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21010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CN102879940A (zh) 显示器、制造显示器的方法、以及电子单元
US20160086533A1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20220018115A (ko) 표시 장치
US11626565B2 (en) Display device
TW200827788A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90071119A (ko) 폴더블 표시장치
CN109638063B (zh) 显示装置、显示方法和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5134647B2 (ja) 表示装置
KR20090034109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353737B1 (ko) 플로팅 이미지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