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958A -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958A
KR20160127958A KR1020150059537A KR20150059537A KR20160127958A KR 20160127958 A KR20160127958 A KR 20160127958A KR 1020150059537 A KR1020150059537 A KR 1020150059537A KR 20150059537 A KR20150059537 A KR 20150059537A KR 20160127958 A KR20160127958 A KR 20160127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cement
reactive powder
silica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승영
이제방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7958A/ko
Publication of KR2016012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시멘트, 반응성 분체, 골재 및 혼화제를 포함하는 인조석재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분체는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흄 22~28 중량부, 메타카올린 7~13 중량부, 고로슬래그 17~23 중량부 및 플라이애쉬 5~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재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영미분 15~25 중량부, 제 1규사 15~25 중량부 및 제 2규사 100~110 중량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며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5~3.5 중량부이며, 상기 물은 상기 시멘트 및 반응성 분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17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Reactive powder concrete artificial stone for outer wall of building and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강도 뿐만 아니라 내습성능을 향상시킨 건축 외장재용 콘크리트 인조석재에 관한 것이다.
인조 석재는 천연석재의 대체 제품으로서 시멘트와 골재를 주원료로 하여 성형 및 양생과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인조석재는 무기 결합재, 유기 결합재 및 유무기 하이브리드 결합재등의 결합재의 종류에 따라 혹은 사용 용도에 따라서 건축 외장재용 및 건축 내장재용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건축 외벽용 콘크리는 여러가지 물성이 요구 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초강도 및 고인성에 중점을 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현행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878551호, 제10-0874584호, 제10-0867250호, 제10-0686350호를 통해 시멘트에 실리카 흄, 고로슬래그 미분말, 무수석고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결합재를 낮은 물 결합재 비로 배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이 공개된 바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10-0622048호를 통해서는 실리카 흄 대신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강도 시멘트 조성물이 공개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0-0873514호를 통해서는 충전재로서 규사를 사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용 결합재가 공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초고강도 콘크리트 관련 기술은 주로 실리카흄과 같이 우수한 포졸란 반응 재료를 사용하여 압축강도의 발현수준을 증대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현재 건축 외벽용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수분에 대한 흡수율이 비교적 높아서 오염되거나 백화현상이 일어나 외벽의 미관의 훼손을 초래하고 있으며, 또한 겨울철에는 동경융해로 인한 내구성 저하로 건물 외벽이 박리, 박락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습 성능이 향상된 건축 외벽용 인조석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 시멘트, 반응성 분체, 골재 및 혼화제를 포함하는 인조석재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분체는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흄 22~28 중량부, 메타카올린 7~13 중량부, 고로슬래그 17~23 중량부 및 플라이애쉬 5~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재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영미분 15~25 중량부, 제 1규사 15~25 중량부 및 제 2규사 100~110 중량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며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5~3.5 중량부이며, 상기 물은 상기 시멘트 및 반응성 분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17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규사는 입경이 0.15~0.3 mm이고, SiO2 함량이 82%이상이며, 상기 제 2규사는 입경이 0.3~0.5 mm이고, SiO2 함량이 82%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메타카올인은 평균 입경 4~8 ㎛ 및 분말도 10,500 cm2/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시멘트, 반응성 분체, 골재 및 혼화제를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공시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시체를 상압 증기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응성 분체는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흄 22~28 중량부, 메타카올린 7~13 중량부, 고로슬래그 17~23 중량부 및 플라이애쉬 5~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재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영미분 15~25 중량부, 제 1규사 15~25 중량부 및 제 2규사 100~110 중량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며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5~3.5 중량부이며, 상기 물은 상기 시멘트 및 반응성 분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17 중량부일 수 있으며,
상기 상압증기양생은, 15~25℃에서 5~10시간 유지시키면서 증기양생하는 전치공정; 5~10℃/시간의 승온속도로 85~95℃까지 승온시키면서 증기양생하는 승온공정; 85~95℃를 50~70시간 유지시키면서 증기양생하는 정온공정; 및 2~10℃/시간의 냉각속도로 15~25℃까지 5~10시간 냉각시키면서 증기양생하는 냉각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재는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사용하여 강도발현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습성능, 내동해성 및 충격강도등 뛰어나 건축 외벽용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제조방법의 단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강도발현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습성능, 내동해성 및 충격강도등 뛰어난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물, 시멘트, 반응성 분체, 골재 및 혼화제를 포함하는 인조석재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분체는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흄 22~28 중량부, 메타카올린 7~13 중량부, 고로슬래그 17~23 중량부 및 플라이애쉬 5~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재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영미분 15~25 중량부, 제 1규사 15~25 중량부 및 제 2규사 100~110 중량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며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5~3.5 중량부이며, 상기 물은 상기 시멘트 및 반응성 분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17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자는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reactive powder concrete, RPC)를 사용하여 건축물 외벽에 적합한 인조석재를 개시하고자 한다.
상기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는 차세대 건설 및 건축 재료로 크게 주목되고 있는 초고강도,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로, 양생방법에 따라 철강재 수준의 압축강도의 발현 및 휨강도 등 뛰어난 기계적 성능을 나타낸다.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는 종래의 보통콘크리트와는 달리 굵은 골재 대신 미세석영을 사용함으로써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의 계면영역을 크게 축소시키고 시멘트와 초미립자인 실리카흄의 적절한 혼합 및 낮은 물-결합재비를 통해 시멘트 경화체내 공극을 크게 감소시켜 매트릭스의 압축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리카흄은 건축재료로써의 우수한 성능으로 인해 반응성 분체의 주요 구성요소로 사용되었으나, 다른 혼화재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고가라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메타카올린을 첨가하여 반응성 분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히 실리카흄과 메타카올린으로 이루어진 반응성 분체에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를 추가로 첨가하여 건물 외벽용에 적합한 물성 획득 및 산업부산물의 재사용으로 인한 환경문제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OPC)를 사용하였으며, 다른 재료들의 함유량을 정하는 기준으로 고려되었다.
상기 실리카흄은 포졸란 특성이 우수하며, 이산화규소의 함량이 많아 콘크리트 강도 증가에 도움이 된다. 상기 실리카흄으로 지르코늄 실리카흄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산화지르코늄의 정제시 발생되는 부산물로서, 일반적인 실리카흄에 비하여 평균 입경이 5배 이상 크고, 이산화 규소의 함량이 95% 이상으로 높은 특징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흄 22~28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타카올린은 시멘트와의 포졸란 반응으로 콘크리트 조직이 치밀화되어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여 비용 감소가 가능하다. 메타카올린이 너무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시공성이 저하되고, 너무 많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휨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나, 적절하게 사용되는 경우에는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타카올린 메타카올린 7~13 중량부가 포함 될 수 있다.
사용된 메타카올린은 균질하게 성분 조합된 카올린을 특수 전처리를 거친 후 이를 소정의 소성조건(700~800 ℃)으로 소성하여 일정한 입도(평균 입경 4~8 ㎛, 분말도 10,500 cm2/g)로 미분쇄한 것이며, 주성분인 SiO2와 Al2O3의 비는 약 1.3이다.
상기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실리카흄 및 메타카올린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아래 표 1와 같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골재로 석영미분, 제 1규사 및 제 2규사를 사용하였으며, 제 1규사는 입경이 0.15~0.3 mm이고, 밀도가 2.65, SiO2 함량이 82%이상인 규사를 사용하였고, 제 2규사는 입경이 0.3~0.5 mm이고 밀도가 2.65, SiO2 함량이 82%이상인 규사를 사용하며, 상기 석영미분은 평균입경이 약 45 ㎛이고 밀도가 2.65, SiO2 함량이 92% 이상이다.
한편 상기 골재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영미분 15~25 중량부, 제 1규사 15~25 중량부 및 제 2규사 100~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이하의 실시예의 결과를 토대로 산출되었다.
상기 혼화제는 강도 증진을 위한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였으며, 밀도 1.05g/cm3, 고형분 50%의 암갈색 액상상태를 사용하였고,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5~3.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제조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물, 시멘트, 반응성 분체, 골재 및 혼화제를 교반단계;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공시체를 형성단계; 및 상기 공시체를 상압증기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응성 분체는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흄 22~28 중량부, 메타카올린 7~13 중량부, 고로슬래그 17~23 중량부 및 플라이애쉬 5~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재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영미분 15~25 중량부, 제 1규사 15~25 중량부 및 제 2규사 100~110 중량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며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5~3.5 중량부이며, 상기 물은 상기 시멘트 및 반응성 분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17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제조공정에서 상기 상압증기양생단계는 촉진양생을 통해 강도를 조기에 발현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상압증기양생공정으로 순차적으로 전치공정->승온공정->정온공정->냉각공정을 따를 것을 제안한다. 전치공정은 15~25 ℃에서 5~10 시간 유지시키면서 증기양생하도록 하고, 승온공정은 5~10℃/시간의 승온속도로 85~95℃까지 승온시키면서 증기양생하도록 하며, 정온공정은 85~95 ℃ 온도를 50~70시간 유지시키면서 증기양생하도록 하며, 냉각공정은 2~10℃/시간의 냉각속도로 15~25 ℃까지 5~10시간 냉각시키면서 증기양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승온공정에 앞서 전치공정을 진행하는데, 전치공정은 초기 강도발현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승온공정에서 콘크리트의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콘크리트 속의 공기와 물이 팽창하게 되는데, 이 팽창압이 콘크리트에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바, 전치공정을 통해 초기 강도가 발현된 상태에서 승온공정을 거침으로써 공기와 물의 팽창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초고강도 내지 극초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으로 고성능 감수제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아울러 시멘트 이외에 포졸란 반응을 하는 재료의 양이 많아졌는데,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종결 시점이 늦어질 수 있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전치공정을 진행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실험예 1]
본 발명은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의 건축 외벽용에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아래 표 2의 배합표에 기초하여 RPC를 제작하고, 양생 후에 물리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1) 사용재료
국내산 보통포틀랜드 시멘트(OPC), 캐나다산 실리카흄, 국내산 메타카올린,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석영미분, 제 1규사, 제 2규사 및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
(2) 공시체의 제작
본 발명에서의 공시체의 제작은 표 2의 배합표에 따라서 비교예 1,2,3 및 실시예 1의 4가지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모든 공시체는 강제식 혼합믹서(10 ℓ)를 이용하여 혼합하였고 결합재(시멘트, 실리카흄, 메타카올린,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와 석영미분을 5분간 건비빔한 후 제 1규사 및 제 2규사를 넣고 다시 5분간 건비빔, 그리고 건비빔 모르타르에 물 및 고성능 감수제를 첨가한 후 5분간 혼합하여 총 15분간 제작되었다.
(3) 양생방법
양생조건은 90 ℃ 상압증기양생 방법이며, 공시체를 성형하여 20±2 ℃, RH 60±5%에서 7 시간 유지시키면서 증기양생하도록 하고, 승온공정은 5~10℃/시간의 승온속도로 90 ℃까지 승온시키면서 증기양생하도록 하며, 정온공정은 90 ℃ 온도를 58시간 유지시키면서 증기양생하도록 하며, 냉각공정은 2~10℃/시간의 냉각속도로 20 ℃까지 7 시간 냉각시키면서 증기양생하였다.
Figure pat00002
[실험예 2] 시험항목 및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의 강도(휨강도, 압축강도), 흡수율, 비중, 내동해성 및 충격강도를 평가하였다.
(1) 압축 및 휨강도 시험
압축 및 휨강도는 KS F 2477에 준하여 40×40×160 mm 공시체의 재령에 따른 강도발현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이 때 휨강도는 중앙점재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2) 흡수율
제조된 각 시료의 흡수율을 KS F 2518 석재 흡수율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 내동해성
제조된 각 시료의 내동해성 평가는 KS F 2604 건축용 외벽재료의 내동해성 시험방법으로 실시하였다.
(4) 충격강도
제조된 각 시료의 충격강도는 KS F 2221 건축용 보드류의 충격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3
표 3을 살펴보면, 비교예 1,2 및 3에 비하여 실시예 1의 경우가 강도(휨강도, 압축강도)가 우수하면서 건축 외벽용으로 요구시 되는 흡수율이 가장 낮은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는 상기 반응성 분체는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흄 22~28 중량부, 메타카올린 7~13 중량부, 고로슬래그 17~23 중량부 및 플라이애쉬 5~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재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영미분 15~25 중량부, 제 1규사 15~25 중량부 및 제 2규사 100~110 중량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며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5~3.5 중량부이며, 상기 물은 상기 시멘트 및 반응성 분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17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 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물, 시멘트, 반응성 분체, 골재 및 혼화제를 포함하는 인조석재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분체는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흄 22~28 중량부, 메타카올린 7~13 중량부, 고로슬래그 17~23 중량부 및 플라이애쉬 5~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재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영미분 15~25 중량부, 제 1규사 15~25 중량부 및 제 2규사 100~110 중량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며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5~3.5 중량부이며,
    상기 물은 상기 시멘트 및 반응성 분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17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규사는 입경이 0.15~0.3 mm이고, SiO2 함량이 82%이상이며,
    상기 제 2규사는 입경이 0.3~0.5 mm이고, SiO2 함량이 8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카올인은 평균 입경 4~8 ㎛ 및 분말도 10,500 c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4. 물, 시멘트, 반응성 분체, 골재 및 혼화제를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공시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시체를 상압 증기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분체는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흄 22~28 중량부, 메타카올린 7~13 중량부, 고로슬래그 17~23 중량부 및 플라이애쉬 5~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재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석영미분 15~25 중량부, 제 1규사 15~25 중량부 및 제 2규사 100~110 중량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혼화제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며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5~3.5 중량부이며,
    상기 물은 상기 시멘트 및 반응성 분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17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압증기양생은,
    15~25℃에서 5~10시간 유지시키면서 증기양생하는 전치공정;
    5~10℃/시간의 승온속도로 85~95℃까지 승온시키면서 증기양생하는 승온공정;
    85~95℃를 50~70시간 유지시키면서 증기양생하는 정온공정; 및
    2~10℃/시간의 냉각속도로 15~25℃까지 5~10시간 냉각시키면서 증기양생하는 냉각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제조방법.
  7. 제 4항 내지 제 6항에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KR1020150059537A 2015-04-28 2015-04-28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7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537A KR20160127958A (ko) 2015-04-28 2015-04-28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537A KR20160127958A (ko) 2015-04-28 2015-04-28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58A true KR20160127958A (ko) 2016-11-07

Family

ID=5752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537A KR20160127958A (ko) 2015-04-28 2015-04-28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795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9653A (zh) * 2017-12-12 2018-05-25 常州美帛纺织品有限公司 一种增强型活性粉末混凝土
CN108658542A (zh) * 2018-05-31 2018-10-16 深圳市绿志新型建材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机环保的人造艺术石及其制备方法
WO2019112321A1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인조대리석
KR20190066595A (ko) * 2017-12-05 2019-06-13 (주)엘지하우시스 인조대리석
CN113860814A (zh) * 2021-09-18 2021-12-31 沈阳工业大学 一种铜尾渣粉活性粉末混凝土及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321A1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인조대리석
KR20190066595A (ko) * 2017-12-05 2019-06-13 (주)엘지하우시스 인조대리석
CN108069653A (zh) * 2017-12-12 2018-05-25 常州美帛纺织品有限公司 一种增强型活性粉末混凝土
CN108658542A (zh) * 2018-05-31 2018-10-16 深圳市绿志新型建材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机环保的人造艺术石及其制备方法
CN113860814A (zh) * 2021-09-18 2021-12-31 沈阳工业大学 一种铜尾渣粉活性粉末混凝土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nehal et al. Early age, hydration, mechanical and microstructure properties of nano-silica blended cementitious composites
Zhang et al. Development of metakaolin–fly ash based geopolymers for fire resistance applications
Xu et al. Influence of cenospheres on properties of magnesium oxychloride cement-based composites
Mallikarjuna Rao et al. Final setting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fly ash and GGBS-based geopolymer paste and mortar
Alomayri et al. Characterisation of cotton fibre-reinforced geopolymer composites
Hanumesh et al.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incorporating silica fume as partial replacement of cement
KR101809485B1 (ko) 초속경 고강도 방수 방충 몰탈 조성물
KR20160127958A (ko) 건축 외벽용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인조석재 및 이의 제조방법
Vija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geopolymer concrete composites
Khan et al.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concrete through partial addition of waste glass powder (WGP) as cement replacement
KR101095349B1 (ko) 지르코닐 클로라이드 또는 지르코닐 나이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를 활성제로 이용한 지오폴리머 시멘트 및 이를 이용한 내산 폴리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JP5139777B2 (ja) 耐硫酸塩性遠心力成形コンクリート組成物
KR101779565B1 (ko) 레미콘용 친환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Bi et al. The Use of nanosilica for improving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and durability
WO2021024192A1 (en) Cement compositions based on amorphous bagasse ash
Wardhono et al. Strength of alkali activated slag and fly ash-based geopolymer mortar
Esparham et al. A novel type of alkaline activator for geopolymer concrete based on metakaolin
JP2009084092A (ja) モルタル質修復材
KR101390132B1 (ko) 1종 조강형 시멘트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Miyandehi et al.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nano-Al2O3 based self-compacting mortar
CN108164182B (zh) 环保高抗渗抗裂剂
CN114213078A (zh) 湿喷法水泥微珠组合胶凝体系喷射混凝土修复加固材料
Wang et al. Assessment of recycling use of GFRP powder as replacement of fly ash in geopolymer paste and concrete at ambient and high temperatures
KR101017523B1 (ko) 동해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N111875329A (zh) 以磷石膏基水硬性复合胶凝材料制备的抹灰砂浆及其制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