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632A -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632A
KR20160127632A KR1020157035008A KR20157035008A KR20160127632A KR 20160127632 A KR20160127632 A KR 20160127632A KR 1020157035008 A KR1020157035008 A KR 1020157035008A KR 20157035008 A KR20157035008 A KR 20157035008A KR 20160127632 A KR20160127632 A KR 20160127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mart device
terminal
wireless la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589B1 (ko
Inventor
얀후 장
엔씽 호우
지광 가오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127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스마트 기기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으로써,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을 구축하는 단계이라고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시킬 시 이용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ACCES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출원 번호가 CN 201510146243.0이며, 출원일이 2015년 3월 30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원 발명에 원용한다.
현재, 텔레비전 셋톱 박스, 스마트 콘센트, 스마트 공기 청정기, 모바일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갖는 스마트 기기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지만 입력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처음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유저가 기타 입력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예를 들면, 휴대폰, 컴퓨터 등)를 경유하여 접속하려고 하는 라우터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접속 패스워드를 이러한 스마트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해야 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을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무선 LAN을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기 자체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 무선 LAN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와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 기기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단말기에 설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가 구축한 무선 LAN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무선 LAN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구에 기반하여 단말기 자체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한 후,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기 전에,
유저로부터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명령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송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는 설정 결과 및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 결과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을 구축하기 위한 구축 모듈과,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모듈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축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설치하기 위한 설치 서브 모듈과,
상기 스마트 기기 자체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 무선 LAN을 구축하기 위한 구축 서브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네트워크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설정 서브 모듈과,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와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 기기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송신 서브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모듈은,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단말기에 설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가 구축한 무선 LAN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무선 LAN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모듈과,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구에 기반하여 단말기 자체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인증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결정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유저로부터 설정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설정 명령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송신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는 설정 결과 및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 결과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을 구축하고,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6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스마트 기기가 구축한 무선 LAN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무선 LAN에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구에 기반하여 단말기 자체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방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텔레비전 셋톱 박스, 스마트 콘센트, 스마트 공기 청정기, 모바일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갖는 스마트 기기에 대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LAN을 구축하고, 유저가 휴대폰, 컴퓨터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LAN을 선택하여 접속한 후, 스마트 기기는 LAN에 접속된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며, 단말기는 유저의 허가 하에서, 해당 LAN을 통하여 단말기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 기기가 해당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스마트 기기가 자발적으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유저가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스마트 기기가 취득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며, 접속 대기 기기가 라우터에 접속하는 신뢰성과 성공률을 높인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이하의 세부적인 설명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서 이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여기에 도시된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사용됨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구축 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에 이용되는 장치의 블럭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 방법은 스마트 기기에 사용되며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1에서,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을 구축하고,
단계 S12에서,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고,
단계 S13에서, 단말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14에서,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 셋톱 박스, 스마트 콘센트, 스마트 공기 청정기, 모바일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갖는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LAN을 구축한다. 유저가 휴대폰, 컴퓨터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LAN을 선택하여 접속한 후, 스마트 기기는 LAN에 접속된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며, 단말기는 유저의 허가 하에서, 해당 LAN을 통하여 단말기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 예를 들면, 라우터에 접속되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및 접속 패스워드를 스마트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 기기가 해당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스마트 기기가 자발적으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유저가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스마트 기기가 취득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며, 접속 대기 기기가 라우터에 접속하는 신뢰성과 성공률을 높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에서, 스마트 기기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설치하고(setting),
단계 S22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 자체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 무선 LAN을 구축한다.
선택 가능한 양태에서, 스마트 기기는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AP) 모드로 설치되어, 자체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 무선 LAN을 구축한다. 따라서, 단말기가 접속될 수 있고, 스마트 기기가 진일보로 단말기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방법은,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단말기는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고, 단말기가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단말기는 스마트 기기에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양태에서, 스마트 기기는 자체의 기기 정보를 포함한 인증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단말기가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에만, 단말기 자체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송신한다. 이로 인하여, 단말기 정보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안전성도 확보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휴대폰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 A가 구축한 무선 LAN에 접속하고, 스마트 기기 A의 기기 정보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며, 해당 스마트 기기 A가 자택의 기기라고 판단했을 경우, 자택의 라우터 R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스마트 기기 A에 송신하고, 스마트 기기 A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라우터 R에 접속한다.
휴대폰은, 다른 하나의 스마트 기기 B가 구축한 무선 LAN에도 접속했지만, 유저가 스마트 기기 B의 기기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 B가 자택의 기기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경우, 자택의 라우터 R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스마트 기기 B에 송신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4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1에서,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에 대해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고,
단계 S32에서,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네트워크 설정 정보와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 기기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선택 가능한 양태에서, 스마트 기기는 수신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자체에 대해 설정을 실시하고, 설정이 종료된 후, 라우터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단말기에 설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스마트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양태에서, 스마트 기기는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단말기에 설정 결과를 보고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결과를 보고한다. 이로 인하여, 유저는 단말기를 통하여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과정 중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일단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접속 과정 중에서 도대체 어느 단계에서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유저는 신속히 에러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설정을 수정하거나 또는 새롭게 라우터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등등.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 방법은, 단말기에 적용되고,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41)에서, 스마트 기기가 구축한 무선 LAN을 검출했을 경우, 무선 LAN에 접속하고,
단계(S42)에서,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하고,
단계(S43)에서, 네트워크 접속 요구에 기반하여 단말기 자체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단계(S44)에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스마트 기기가 구축한 무선 LAN을 검출했을 경우, 해당 LAN에 접속함으로써, LAN에서 단말기 자체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 기기가 단말기의 네트워크 설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스마트 기기가 자발적으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유저가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스마트 기기가 취득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며, 접속 대기 기기가 라우터에 접속하는 신뢰성과 성공률을 높인다.
도 5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계 S42를 실행한 후, 이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1)에서,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S52)에서,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고,
단계(S53)에서,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송신한다.
선택 가능한 양태에서, 단말기는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고,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에만, 단말기 자체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송신한다. 이로 인하여, 단말기 정보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안전성도 확보된다.
상기 방법은, 단계(S44)를 실행하기 전에, 이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A1)에서, 유저로부터 설정 명령을 수신하고,
단계(A2)에서, 상기 설정 명령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송신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 가능한 양태에서, 유저는 단말기를 통하여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는지 아닌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진일보로 단말기 정보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안전성도 확보된다.
상기 방법은, 스마트 기기로부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는 설정 결과 및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 결과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양태에서, 스마트 기기는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단말기에 설정 결과를 보고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결과를 보고한다. 이로 인하여, 유저는 단말기를 통하여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과정 중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일단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접속 과정 중에서 도대체 어느 단계에서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유저는 신속히 에러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설정을 수정하거나 또는 새롭게 라우터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등등.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스마트 기기에 이용되며 구축 모듈(61), 송신 모듈(62), 수신 모듈(63) 및 접속 모듈(64)을 구비한다.
구축 모듈(61)은,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62)은,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모듈(63)은, 상기 단말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접속 모듈(64)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구축 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축 모듈(61)은,
상기 스마트 기기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설치 서브 모듈(71)과,
상기 스마트 기기 자체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 무선 LAN을 구축하도록 구성되는 구축 서브 모듈(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모듈(62)은, 또한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모듈(64)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서브 모듈(81)과,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와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 기기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서브 모듈(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모듈(62)은, 또한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단말기에 설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모듈(62)은,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단말기에 적용되며,
스마트 기기가 구축한 무선 LAN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무선 LAN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접속 모듈(91)과,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92)과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구에 기반하여 단말기 자체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취득 모듈(93)과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94)을 구비한다.
도 10은,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인증 모듈(9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모듈(91)은,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한 후,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증 모듈(95)은,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모듈(94)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결정 모듈(9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수신 모듈(91)은, 유저로부터 설정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결정 모듈(96)은, 상기 설정 명령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송신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신 모듈(92)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는 설정 결과 및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 결과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 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 실시예중의 장치에 관하여, 각 모듈이 조작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형태에 대하여는 관련된 방법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중복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을 구축하고,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스마트 기기가 구축한 무선 LAN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무선 LAN에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구에 기반하여 단말기 자체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도 1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에 이용되는 장치의 블럭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13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브로드캐스트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장치, 의료 설비, 헬스 기기, PDA 등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장치(1300)는 처리 어셈블리(1302), 메모리(1304), 전원 어셈블리(13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8), 오디오 어셈블리(13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1312), 센서 어셈블리(1314) 및 통신 어셈블리(1316)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1302)는 일반적으로 장치(1300)의 전체 조작,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13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어셈블리(1302)는 기타 어셈블리와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편리하게 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어셈블리(1302)는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8)와의 인터랙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4)는 장치(1300)의 조작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1300)에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방법을 조작하기 위한 인스트럭션,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ROM(Read Only Member),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에 의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1306)는 장치(13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전원 관리 시스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및 장치(13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데 관련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8)는 장치(13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 위에서의 제스처(gesture)를 감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되는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8)는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300)가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때,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 또는 가변 초점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3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13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300)가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또는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때,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13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1316)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어셈블리(13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1312)는 처리 어셈블리(13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314)는 장치(1300)를 위해 각 방면의 상태를 평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1314)는 장치(1300)의 온/오프 상태, 치(1300)의 디스플레이 및 작은 키패드 같은 어셈블리의 상대적인 위치(positioning)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314)는 장치(1300) 또는 장치(1300)의 어셈블리의 위치 변경, 사용자와 장치(1300) 사이의 접촉여부, 장치(13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13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314)는 어떠한 물리적 접촉도 없는 상황에서 근처의 물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314)는 이미지 형성 응용에 이용하기 위한 광 센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314)는 가속도 센서,
이로 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316)는 장치(1300)와 기타 기기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편리하게 진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1300)는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예를 들어 WiFi, 2G,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을 둔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어셈블리(1316)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브로드캐스팅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팅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3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RFID기술, IrDA기술, UWB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1300)는 상기 임의의 어느 한 실시예가 제공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한 비휘발성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인스트럭션을 포함한 메모리(1304)를 더 제공한다. 상기 인스트럭션은 장치(1300)의 프로세서(1320)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임의의 어느 한 실시예가 제공한 방법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휘발성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 데이터 메모리 등일 수 있다.
비휘발성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기록매체의 인스트럭션이 모바일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을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LAN을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기 자체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 무선 LAN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와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 기기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단말기에 설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기록매체의 인스트럭션이 모바일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 접속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스마트 기기가 구축한 무선 LAN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무선 LAN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구에 기반하여 단말기 자체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한 후,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기 전에,
유저로부터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명령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송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는 설정 결과 및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 결과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당해 출원의 취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인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고, 당해 출원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에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2)

  1. 스마트 기기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을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LAN을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기 자체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 무선 LAN을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와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 기기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단말기에 설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7. 단말기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가 구축한 무선 LAN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무선 LAN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구에 기반하여 단말기 자체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한 후,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9.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기 전에,
    유저로부터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명령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송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는 설정 결과 및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 결과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
  11. 스마트 기기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을 구축하기 위한 구축 모듈과,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설치하기 위한 설치 서브 모듈과,
    상기 스마트 기기 자체를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 무선 LAN을 구축하기 위한 구축 서브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네트워크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설정 서브 모듈과,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와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 기기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송신 서브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네트워크 설정이 종료된 후,
    상기 단말기에 설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17. 단말기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가 구축한 무선 LAN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무선 LAN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모듈과,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구에 기반하여 자체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모듈과,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인증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에 대한 신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결정 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유저로부터 설정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설정 명령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송신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실시하는 설정 결과 및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 결과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21. 스마트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던 적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을 구축하고,
    상기 무선 LAN에 접속된 단말기가 존재함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22.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스마트 기기가 구축한 무선 LAN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무선 LAN에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송신하는 네트워크 접속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 요구에 기반하여 단말기 자체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57035008A 2015-03-30 2015-10-30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55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146243.0A CN104703295A (zh) 2015-03-30 2015-03-30 网络接入方法及装置
CN201510146243.0 2015-03-30
PCT/CN2015/093296 WO2016155306A1 (zh) 2015-03-30 2015-10-30 网络接入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632A true KR20160127632A (ko) 2016-11-04
KR101755589B1 KR101755589B1 (ko) 2017-07-07

Family

ID=5334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008A KR101755589B1 (ko) 2015-03-30 2015-10-30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295625A1 (ko)
EP (1) EP3076716A1 (ko)
JP (1) JP6330103B2 (ko)
KR (1) KR101755589B1 (ko)
CN (1) CN104703295A (ko)
MX (1) MX354427B (ko)
RU (1) RU2643494C2 (ko)
WO (1) WO20161553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28147A (zh) * 2015-09-17 2016-01-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网络连接方法、装置及系统
CN105282163B (zh) * 2015-10-29 2020-04-07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接入网络的方法及设备
CN105450546A (zh) * 2015-11-12 2016-03-3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可穿戴设备及其局域网接入方法、智能终端
CN105357123B (zh) * 2015-11-30 2018-04-06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路由器的权限管理方法、系统及路由器
CN105517103A (zh) * 2015-12-03 2016-04-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智能终端设备的网络接入的方法和装置
CN105578557A (zh) * 2015-12-15 2016-05-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传输路由信息的方法及装置
CN105554755A (zh) * 2015-12-30 2016-05-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无线网络接入方法及装置
CN105722087A (zh) * 2016-04-06 2016-06-29 微景天下(北京)科技有限公司 无线网络接入系统和无线网络接入方法
CN106658659B (zh) * 2016-11-15 2021-03-05 贝斯拓欧洲控股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设备接入互联网的方法及装置
CN106358265B (zh) * 2016-11-15 2020-06-09 贝斯拓欧洲控股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设备接入互联网的方法及装置
CN106972957A (zh) * 2017-03-09 2017-07-21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入网配置方法、智能设备及系统
CN106993303A (zh) * 2017-04-11 2017-07-2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配置以及维保智能wifi设备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07819648B (zh) * 2017-11-14 2020-08-04 新华三技术有限公司 网络配置netconf连接检测方法和装置
US20220124607A1 (en) * 2018-12-29 2022-04-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Accessing Network by Smart Home Device and Related Device
US11178020B2 (en) * 2019-04-24 2021-11-16 Cisco Technology, Inc. Virtual reality for network configuration and troubleshooting
CN110798343B (zh) * 2019-10-22 2022-08-30 成都市联洲国际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配置方法、装置及系统
CN110856132A (zh) * 2019-11-06 2020-02-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设备入网、网络接入方法、装置、设备、系统及介质
CN111092856A (zh) * 2019-11-18 2020-05-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配网方法、配网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83765A (zh) * 2019-12-30 2020-04-28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管理智能设备的方法及智能路由器、智能家居系统
CN113973048A (zh) * 2020-07-23 2022-01-25 熵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考勤门禁设备的配置方法、配置终端和考勤门禁设备
CN111866996B (zh) * 2020-07-24 2022-04-08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智能设备配网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1867007A (zh) * 2020-07-24 2020-10-30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智能设备自动配网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3612849A (zh) * 2021-08-09 2021-11-05 美智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设备的网络连接方法、装置、智能设备和存储介质
CN116668507A (zh) * 2022-02-21 2023-08-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网络连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760112B (zh) * 2022-03-28 2023-09-12 厦门盈趣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面向无线局域网络的智能家居设备入网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400A (en) * 1878-12-03 Improvement in spinning-ring and spindle supports
JP2005142792A (ja) * 2003-11-06 2005-06-02 Sanyo Electric Co Ltd 接続情報設定方法および無線通信端末
US7971187B2 (en) * 2006-04-24 2011-06-28 Microsoft Corporation Configurable software stack
JP4442667B2 (ja) * 2007-09-14 2010-03-3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設定方法
JP5784068B2 (ja) * 2008-02-22 2015-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01237466B (zh) 2008-02-29 2012-09-05 华为技术有限公司 对终端进行网络配置的方法、装置和系统
US8625552B2 (en) * 2008-12-31 2014-01-07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provisioning a device for a network using a soft access point
US8599768B2 (en) * 2009-08-24 2013-12-03 Intel Corporation Distributing group size indications to mobile stations
KR101644090B1 (ko) * 2010-01-29 201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무선 통신 단말기 및 무선 통신 시스템
JP2013530601A (ja) * 2010-05-05 2013-07-25 エスエムエスシイ・ホールディングス・エス エイ アール エル Wi−Fi設定及び構成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9258704B2 (en) * 2012-06-27 2016-02-09 Advanced Messaging Technologies, Inc. Facilitating network login
JP6250922B2 (ja) * 2012-09-18 2017-12-20 株式会社アイ・オー・データ機器 無線接続システム
US9055390B2 (en) * 2012-10-19 2015-06-09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er group formation for mobile devices by proximity sensing
JP6368989B2 (ja) * 2013-06-11 2018-08-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KR20160026866A (ko) * 2013-06-28 201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탐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202794A (zh) * 2014-08-20 2014-12-10 广东美的集团芜湖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用电器及其无线网络配置方法和配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03295A (zh) 2015-06-10
MX354427B (es) 2018-03-05
EP3076716A1 (en) 2016-10-05
RU2643494C2 (ru) 2018-02-01
JP2017516433A (ja) 2017-06-15
JP6330103B2 (ja) 2018-05-23
MX2016000468A (es) 2016-12-09
US20160295625A1 (en) 2016-10-06
RU2016101092A (ru) 2017-07-20
WO2016155306A1 (zh) 2016-10-06
KR101755589B1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589B1 (ko)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56692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855602B1 (ko)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759418B1 (ko) 계정과 기기 사이의 제어 관계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6186508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及び端末
EP31770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access
JP6250867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15800B1 (ko) 단말기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79544B1 (ko)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0356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1713305B1 (ko) 스마트 기기의 라우터 액세스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684814B1 (ko) Wi-fi 네트워크 접속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642019B1 (ko) 단말기 검증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7071862B (zh) 账号绑定方法及装置和智能设备
WO2019028746A1 (zh) 无人机接入方法及装置
CN105578557A (zh) 传输路由信息的方法及装置
CN105530129B (zh) 路由器重置方法及装置
CN111010721A (zh) 无线配网方法、无线配网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337937A (zh) 网络验证方法及装置
CN104618987B (zh) 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
CN105530594A (zh) 一种基于远程控制的通信方法及装置
CN105407518B (zh) 设备联网方法及装置
CN111092856A (zh) 配网方法、配网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