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616A - 현상제 공급부재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공급부재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616A
KR20160127616A KR1020150084342A KR20150084342A KR20160127616A KR 20160127616 A KR20160127616 A KR 20160127616A KR 1020150084342 A KR1020150084342 A KR 1020150084342A KR 20150084342 A KR20150084342 A KR 20150084342A KR 20160127616 A KR20160127616 A KR 20160127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rigid
helical
supply
buf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924,824 priority Critical patent/US9465320B1/en
Publication of KR2016012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현상제 공급부재는 다중 곡률을 가진 공급 관로 내에서 현상제를 운반하는 현상제 공급부재로서, 강성의 제1회전축과 이에 연결되고 제1회전축보다 굽힘 강도가 작은 유연한 제2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며 적어도 제2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부분은 연성인 나선 날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제 공급부재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Developer supply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현상제를 현상기로 운반하는 현상제 공급부재,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현상 화상을 형성하고, 이 현상 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현상 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켜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현상기는 현상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부품들의 조립체로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다. 현상기는 수명이 경과한 때에 교체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그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며, 현상기로 현상제를 공급한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수용된 현상제가 소모되면 현상기와 독립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기는 공급 관로에 의하여 연결된다. 공급 관로 내부에는 현상제를 현상기 쪽으로 운반하는 공급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급 관로는 단면의 형상과 크기가 일정하고 직선 형태로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기로 중력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화상형성장치의 크기의 제약,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부품 배치 위치의 제약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공급 관로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부러진 다중 곡률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공급 관로의 단면형상과 단면적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중 곡률 구조 및/또는 불균일 단면 구조의 공급 관로 내에 배치되는 공급부재는 공급 관로의 형상에 따라 휘어질 수 있고 그 단면 형상 역시 공급 관로의 단면 형상에 맞추어질 필요가 있다.
공급 관로 내에 배치된 유연한 공급부재는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운반한다, 그러나, 공급 관로 내에서 현상제 압력이 어떤 요인에 의하여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유연한 공급부재가 정상적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비틀리게 된다. 그러면, 공급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의 부하가 증가될 수 있으며, 구동 모터의 탈조(stall)가 발생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유연한 공급부재의 비틀림이 심해지면, 공급부재가 나선형으로 말리면서 공급 관로로부터 빠져나와서 화상형성장치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중 곡률 구조의 현상제 공급 관로 내에서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현상제 공급부재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현상제 공급부재는, 다중 곡률을 가진 공급 관로 내에서 현상제를 운반하는 현상제 공급부재로서, 강성의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축보다 굽힘 강도가 작은 유연한 제2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부분은 연성인 나선 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축은 강성 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강성 심재를 삽입물로 하는 인써트 사출 성형에 의하여 연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제1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강성 나선 날개와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연성 나선 날개를 포함하며, 제1회전축과 상기 강성 나선 날개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강성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연성 나선 날개는 상기 강성 부재에 이중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제1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강성 나선 날개와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연성 나선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강성 나선 날개는 금속제 강성 심재를 삽입물로 하는 인써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강성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연성 나선 날개는 상기 강성 부재에 이중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은 강성 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축은 강성 심재보다 굽힘 강도가 작은 연성 심재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강성 심재와 상기 연성 심재의 둘레에 인써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연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제1회전축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강성 나선 날개와,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성 나선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제1회전축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강성 나선 날개와,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성 나선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의 단부에는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2회전축의 일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 감광체를 포함하는 현상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배출부를 구비하는 버퍼유닛; 상기 배출부와 상기 현상기를 연결하는 공급관로; 및 전술한 현상제 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버퍼유닛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버퍼유닛 내부로부터 상기 측벽을 넘어서 연장된다.
상기 공급관로가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굴곡 개시위치는 상기 제1회전축의 상기 공급관로측 단부로부터 10mm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배출부를 넘어 공급관로의 내부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현상제 공급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은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 감광체를 포함하는 현상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배출부를 구비하는 버퍼유닛; 상기 배출부와 상기 현상기를 연결하는 공급관로; 상기 버퍼유닛으로부터 상기 공급관로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버퍼유닛으로부터 상기 현상기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회전축과 나선날개를 구비하는 현상제 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버퍼유닛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현상제 공급부재는 상기 버퍼유닛 내부로부터 상기 측벽을 넘어서 연장된 강성부와, 상기 강성부로부터 상기 공급관로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강성부보다 굽힘강도가 작은 연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관로가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굴곡 개시위치는 상기 강성부의 상기 공급관로측 단부로부터 10mm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강성부는 상기 배출부를 넘어 공급관로의 내부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현상제 공급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은 상기 강성부에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현상제 공급부재 및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현상기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버퍼유닛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버퍼유닛과 공급 관로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현상제 잔량 검출유닛의 일 실시예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현상제 공급부재가 공급 관로 내에서 비틀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현상제 공급부재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은 강성부와 버퍼유닛 및 공급 관로와 위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강성부와 연성부를 구비하는 현상제 공급부재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칼라화상을 인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10)와 현상제가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를 구비한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와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는 복수의 현상기(20)로 각각 공급된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와 복수의 현상기(10)는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복수의 현상기(10)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을 현상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20C)(20M)(20Y)(20K)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카트리지(20) 및 현상기(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와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를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현상기(10)는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4)과, 현상제 카트리지(1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21)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15)는 감광드럼(14)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5)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대전롤러(15)에 부착된 현상제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전롤러클리너, 후술하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14)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감광드럼(14)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제 카트리지(20)에는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일 수 있다. 현상기(10) 내에는 캐리어가 수용될 수 있다.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4)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롤러(13)는 자기롤러일 수 있으며, 현상 슬리브 내에 자기롤러가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현상기(10) 내에서 토너가 캐리어와 혼합되며, 토너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14)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롤러(13)와 감광드럼(14)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토너만이 감광드럼(14)로 공급되어 감광드럼(1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이성분 현상방식이 채용되는 경우에,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와 캐리어일 수 있다. 이 경우, 현상기(10) 내의 캐리어와 토너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여분의 캐리어는 현상기(10)의 외부로 배출되며, 도시되지 않은 폐현상제 용기에 수용된다.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4)와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감광드럼(14)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일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후술하는 전사 과정을 거친 후에 감광드럼(14)에 잔류되는 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현상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상방식에 대하여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노광기(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14)에 조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DE노광기 등이 있다.
중간전사벨트(6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중간전사벨트(6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과 대면되는 위치에 복수의 중간전사롤러(61)가 배치된다. 복수의 중간전사롤러(61)에는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6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중간전사롤러(61)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70)는 중간전사벨트(6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롤러(70)에는 중간전사벨트(60)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60)로 중간전사하고 그 후에 중간전사벨트(60)와 전사롤러(61)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P)로 전사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록매체(P)가 중간전사벨트(60)와 감광드럼(14) 사이를 직접 통과하여 기록매체(P)로 직접 현상된 화상을 전사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전사롤러(70)은 채용되지 않는다.
정착기(80)는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8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50)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복수의 광을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에 주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로부터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된 C, M, Y, K 현상제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전사벨트(60)로 순차로 중간전사된다. 급지수단(90)에 적재된 기록매체(P)는 급지경로(91)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롤러(70)와 중간전사벨트(60) 사이로 이송된다. 전사롤러(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전사벨트(60) 위에 중간전사된 토너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92)에 의하여 배출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는 현상기(10)로 공급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면, 현상제 카트리지(20)는 새로운 현상제 카트리지(20)로 교체될 수 있으며, 새로운 현상제가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충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의 현상제 잔량을 검출하는 현상제 잔량 검출장치가 필요하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현상제 잔량 검출장치가 설치된 경우, 현상제 카트리지(20)의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었음이 검출된 후에 현상제 카트리지(20)를 교체하여야만 인쇄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현상제 소모 상태를 확인하고 새로운 현상제 카트리지(20)를 구입할 때까지는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현상제 카트리지(20)의 현상제가 소모된 때에도 인쇄 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또 현상기(10)로의 안정적인 현상제 공급을 위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와 현상기(10) 사이에 현상제를 임시로 수용하는 버퍼유닛(30)이 마련될 수 있다. 버퍼유닛(30)은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제를 전달받아서 소정 양의 현상제를 수용하며,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기(10)로 다시 전달한다. 공급 관로(40)는 버퍼유닛(30)과 현상기(10)를 연결한다. 현상제 잔량 검출장치는 버퍼유닛(3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0)의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더라도 버퍼유닛(30)에 어느 정도 현상제가 남아있으므로 현상제 카트리지(20)를 구입할 때까지 인쇄 작업이 가능하다.
도 2는 버퍼유닛(3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버퍼유닛(30)과 공급 관로(40)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버퍼유닛(30)은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부(310)와, 현상기(10)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부(320)를 구비한다. 배출부(320)에는 공급 관로(40)가 연결된다.
버퍼유닛(30)에는 유입부(310)를 통하여 유입된 현상제를 배출부(320)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부(310) 쪽으로부터 배출부(320) 쪽으로 세 개의 이송부재(331)(332)(333)가 배치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유입부(310)를 통하여 버퍼유닛(30)으로 유입된 현상제는 이송부재(331)(332)(333)에 의하여 배출부(320) 쪽으로 이송된다.
이송부재(331)는 회전축(331-1)과, 현상제를 축방향으로 운반하는 나선형 운반 날개(331-2)(331-3)를 구비한다. 운반 날개(331-2)(331-3)는 나선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다. 그러므로, 이송부재(331)가 회전되면, 현상제는 운반 날개(331-2)(331-3)가 서로 연결된 중앙부(331-4)로 모이며, 이송부재(332) 쪽으로 밀려서 이송된다. 이송부재(332)는 버퍼유닛(30) 내의 현상제를 휘저어 서로 뭉치지 않도록 한다. 이송부재(333)은 버퍼유닛(320) 내의 현상제를 반경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이송부재(333)는 회전축(333-1)과, 회전축(333-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패들형 운반 날개(333-2)를 구비한다. 이송부재의 갯수와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퍼유닛(30)의 배출부(320)에는 공급관로(40)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배출부(320)는 버퍼유닛(30)의 하우징(301)으로부터 돌출된다.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버퍼유닛(30)에 설치되며, 배출부(320)를 통과하여 공급관로(40) 내부로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관로(40)는 직선적인 형태가 아니며, 구부러진 다중 곡률 구조를 갖는다. 또한, 공급 관로(40)는 그 단면 형상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급 관로(40)의 내부로 연장되는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공급 관로(40)의 형상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다.
버퍼유닛(30)에는 이송부재(331)(332)(333)와 현상제 공급부재(20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50)가 마련된다. 구동모터(350)는 예를 들어 기어 등의 동력연결구조에 의하여 이송부재(331)(332)(333) 및 현상제 공급부재(200)와 연결된다.
버퍼유닛(30)에는 현상제 잔량 검출유닛(340)이 마련된다. 현상제 잔량 검출유닛(340)은 버퍼유닛(30)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상제 잔량 검출유닛(340)은 버퍼유닛(30) 내의 현상제 수위(level)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341)와, 승강부재(341)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342)를 구비한다.
도 4는 현상제 잔량 검출유닛(340)의 일 실시예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강부재(341)는 예를 들어 버퍼유닛(30)의 하우징(301)에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된 지지축(341-1)과, 지지축(341-1)으로부터 버퍼유닛(3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현상제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판(341-2)을 구비한다. 센서부(342)는 승강판(341-2)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센서부(342)는 지지축(341-1)과 연결되어 버퍼유닛(30)의 외측으로 연장된 검출판(341-3)을 검출함으로써 버퍼유닛(30)의 현상제 잔량을 검출한다.
센서부(342)에 의한 검출판(341-3)의 위치 검출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부(3402)는 검출판(341-3)의 위치에 따라서 광량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는 광센서 방식, 검출판(341-3)의 위치에 따라서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는 것을 이용하는 자기센서 방식 등에 의하여 검출판(341-3)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센서부(342)는 광센서 방식에 의하여 검출판(341-3)의 위치를 검출한다.
승강판(341-2)의 위치가 현상제의 수위를 반영하기 위하여는, 승강판(341-2)이 버퍼유닛(30)의 현상제의 수면에 떠있어야 한다. 그러나, 승강판(341-2) 위에 토너가 쌓여서 승강판(341-2)이 현상제에 묻히게 되면 승강판(341-2)은 부력이 없으므로 묻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승강판(341-2)의 위치가 현상제의 수위를 반영하지 못하여 현상제 잔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승강판(341-2)을 주기적으로 승강시켜 승강판(341-2) 위에 현상제가 쌓이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부재(331)의 회전축(331-1)에는 승강판(341-2)을 주기적으로 승강시키는 회전 캠(331-5)이 마련된다. 회전캠(331-5)은 이송부재(331)가 회전됨에 따라 승강판(341-2)에 접촉되어 승강판(341-2)을 주기적으로 승강시킨다.승강판(34-12)의 승강동작에 의하여 승강판(341-2) 위에 쌓인 현상제를 털어내고 토너에 묻힌 승강판(341-2)을 현상제 수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회전캠(331-5)은 회전축(331-1)에 운반날개(331-2)(331-3)과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운반날개(331-2)(331-3) 중 어느 하나에 회전 캠(331-5)의 형상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캠(331-5)이 없는 경우, 승강판(34-12)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의 수위가 높은 경우에도 토너에 묻힐 수 있다. 그러면, 센서부(342)에서 검출판(341-3)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센서부(342)에서는 현상제 잔량 부족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재(331)가 회전됨에 따라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331-5)이 승강판(34-12)을 위쪽으로 밀어올린다. 회전캠(331-5)과 승강판(341-2)과의 접촉이 종료되면 승강판(341-2)은 다시 아래쪽으로 하강되나, 현상제 수면에 닿으면 그 상태에서 더 이상 하강되지 않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위를 반영하는 위치에 정지된다. 따라서, 승강판(341-2)의 위치에 의하여 현상제의 수위가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버퍼유닛(30) 내의 현상제 수위의 검출값에 기반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부터 현상제를 버퍼유닛(30)으로 공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버퍼유닛(30) 내의 현상제 수위의 검출값에 기반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에 마련된 현상제 공급 모터(미도시)의 구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입부(310)를 통하여 버퍼유닛(30)으로 공급된 현상제는 이송부재(331)(332)(333)에 의하여 배출부(320)로 운반된다. 현상제는 유연한 현상제 공급부재(200)에 의하여 공급관로(40)를 통하여 현상기(10)로 운반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 내에는 토너 농도를 검출하는 토너농도센서가 마련된다. 토너농도센서의 검출값에 기반하여 제어부는 구동모터(35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현상기(10) 내에는 항상 적정량의 현상제가 존재하며, 안정적인 품질의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현상제 공급부재(200)로서 유연한 나선 코일이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나선 코일은 현상제를 운반하는 유효 단면적이 코일의 선경에 의하여 결정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선경을 증가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나선 코일은 현상제 운반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현상제 공급부재(200)로서 회전축(201)과 나선날개(202)를 구비하는 유연한 오거가 채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회전축(201)의 일단부(201-1)는 버퍼유닛(30)의 하우징(301)에 지지된다. 또한, 일단부(201-1)에는 구동모터(350)와의 동력연결을 위하여 예를 들어 기어(360)가 결합된다. 타단부(201-2)는 공급 관로(40) 내부로 연장된다. 이에 의하여,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버퍼유닛(30) 및 공급 관로(40)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유연한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공급 관로(40)를 통한 현상제 공급 주기, 현상제 공급량, 진동, 외력에 의한 수축/이완 동작, 공급 관로(40)의 내벽과의 마찰, 공급 관로(40) 내의 현상제 압력의 증가 등의 요인에 의하여 비틀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관로(40)는 다중 곡률을 가지는데, 공급 관로(40)의 휘어진 부분에서 공급 관로(40)의 내벽과 현상제 공급부재(200)와의 마찰이 커져서 현상제 공급부재(200)에 국부적으로 회전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 현상제 공급부재(200)에 계속적으로 회전구동력이 가해지면,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비틀리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공급 관로(40) 내에서 비틀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이와 같이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공급 관로(40) 내에서 비틀리면, 회전축(201)의 타단부(201-2)가 배출부(320) 쪽으로 끌려가게 된다.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컬 코드(curl cord)처럼 비틀린다. 도 5에서는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비틀린 부분이 아직 공급 관로(40) 내에 존재한다.
이 상태에서 현상제 공급부재(200)에 회전 구동력이 더 가해져서 현상제 공급부재(200)에 축적된 비틀림력이 임계값이 이르면, 공급 관로(40) 내에서 비틀린 부분이 짧은 시간에 풀리게 된다. 만일,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전체적으로 유연한 재질이라면, 버퍼유닛(30) 내에서도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비틀리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린 부분이 공급 관로(40)로부터 버퍼유닛(30) 내부로 이동된다.
버퍼유닛(30)의 내부 공간은 공급 관로(40)의 내부공간보다 넓다. 그러므로, 버퍼유닛(30) 내에서 비틀린 부분이 급격히 풀리면서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유닛(30)을 채우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다시 공급 관로(40) 내부로 복귀될 수 없으며, 현상제는 더 이상 현상기(10)로 공급될 수 없다. 또한,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회전될 수 없으므로, 구동모터(350)의 탈조가 발생되며, 화상형성장치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버퍼유닛(30) 내에서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비틀리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고려된다. 이를 위하여, 회전축(201) 중에서 적어도 버퍼유닛(30) 내에 위치되는 부분은 강성체(rigid body)이다.
도 8은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현상제 공급부재(220)는 강성부(210)와 연성부(220)를 구비한다. 강성부(210)는 휘어지지 않는 부분을 의미한다. 연성부(220)는 굽힘 강도가 강성부(210)보다 작으며 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강성부(210)의 일단부(211)는 버퍼유닛(30)의 하우징(301)에 지지되며, 타단부(212)는 배출부(320) 쪽으로 연장된다. 강성부(210)의 일단부(211)에는 구동모터(350)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예를 들어 전술한 기어(360)가 설치될 수 있다. 연성부(220)는 강성부(210)의 타단부(212)로부터 공급 관로(40)의 내부로 연장된다. 강성부(210)에 대응되는 회전축(201)과 나선날개(202)가 모두 강성체일 수 있으며, 회전축(201)만이 강성체이고 나선날개(202)는 연성체일 수도 있다. 연성부(220)에 대응되는 회전축(201)와 나선날개(202)는 모두 연성체이다.
도 9와 도 10은 강성부(210)와 버퍼유닛(30) 및 공급 관로(40)와 위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강성부(210)는 버퍼유닛(30) 내부로부터 배출부(320) 쪽으로 연장된다. 강성부(210)의 타단부(212), 즉 공급 관로(40) 쪽의 단부는 적어도 버퍼유닛(30)의 하우징(301)에서 배출부(320)가 형성된 측벽(302)을 넘어서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버퍼유닛(30) 내부에서는 휘지 않으므로,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비틀림을 줄일 수 있다. 강성부(210)에 의하여 구동모터(350)의 회전구동력이 안정적으로 현상제 공급부재(200)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공급관로(40)를 통하여 현상기(1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부(220)가 공급 관로(40) 내에서 비틀리더라도 강성부(210)의 타단부(212)가 하우징(301)의 측벽(302)을 넘어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비틀린 부분이 버퍼유닛(30)의 하우징(301) 내부로 들어오지 않는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전체적으로 비틀리거나 버퍼유닛(30)을 채우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연성부(220)의 비틀림은 공급 관로(40) 내에서만 일어나기 때문에 구동모터(350)의 작동이 멈추면, 비틀린 부분이 연성부(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풀릴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모터(350)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현상제 공급부재(220)를 현상제를 현상기(10)로 운반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연성부(220)의 비틀림을 회복시킬 수도 있다.
강성부(210)의 타단부(212)는 하우징(301)의 측벽(302)를 넘어서되, 배출부(320)의 공급 관로(40) 쪽의 단부(321)를 넘어서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공급 관로(40)에서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굴곡개시위치(A)는 강성부(210)의 타단부(212)로부터 10mm 이상 이격된다. 즉, 강성부(210)의 타단부(212)와 굴곡개시위치(A) 사이의 거리(L)은 10mm 이상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연성부(220)가 굴곡개시위치(A)를 넘어서서 공급 관로의 형상을 따라 휘어지기 때문에, 연성부(220)의 비틀림을 줄일 수 있으며, 구동모터(350)의 회전구동력이 강성부(210)를 거쳐 더 안정적으로 연성부(220)에까지 전달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부(210)는 배출부(320)의 단부(321)를 넘어서 공급 관로(4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비틀림을 줄일 수 있으며, 더욱 안정적으로 현상제 공급부재(200)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성부(210)의 타단부(212)와 굴곡개시위치(A) 사이의 거리(L)를 10mm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연성부(220)의 비틀림을 줄일 수 있으며, 구동모터(350)의 회전구동력이 강성부(210)를 거쳐 안정적으로 연성부(220)에까지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형태의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강성부(210)와 연성부(220)를 구비하는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1은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인써트(insert)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강성 심재(230)가 도시되어 있다. 강성 심재(230)를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형상이 음각된 금형의 캐비티 내에 삽입하고, 캐비티에 유연한 재료, 예를 들어 고무를 주입하여 강성 심재(230)를 삽입물로 하는 인써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현상제 공급부재(200)를 성형할 수 있다. 강성 심재(230)는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단단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강성 심재(230)에 의하여 강성부(210)가 구현된다. 즉, 회전축(201)은 강성인 제1회전축(201a)과, 제1회전축(201a)에 연결되어 공급 관로(40) 내부로 연장되며 제1회전축(201a)보다 굽힘강도가 작은 연성의 제2회전축(201b)을 포함한다. 나선날개(202)는 전체적으로 연성체이다. 제1회전축(201a)은 강성 심재(230)에 의하여 구현된다.
도 12는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이중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강성 부재(240)가 도시되어 있다. 강성부재(240)는 강성 샤프트(241)와, 강성 샤프트(241)의 외주에 형성된 강성 나선 날개(242)를 구비한다. 강성부재(240)의 형상이 형성된 제1캐비티와, 연성부(220)의 형상이 음각된 제2캐비티를 구비하는 금형을 준비한다. 먼저, 제1캐비티에 플라스틱, 예를 들어 ABS수지를 주입하여 강성부재(240)를 성형한다. 그런 다음, 제2캐비티에 유연한 재료, 예를 들어 고무를 주입하여 연성부(220)를 성형함으로써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면, 강성부재(240)에 의하여 강성부(210)가 구현된다. 강성 샤프트(241)에 의하여 강성의 제1회전축(201a)이 구현되며, 강성 나선 날개(242)에 의하여 강성 나선 날개(202a)가 구현된다. 연성부(220)는 강성부재(240)와 연결된다. 연성부(220)는 연성을 가지며 제1회전축(201a) 즉 강성 샤프트(241)에 아중사출성형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연결된 제2회전축(201b)과, 제2회전축(201b)의 둘레에 형성되는 연성 나선 날개(202b)가 구비한다. 도 12에 도시된 형태의 현상제 공급부재(200)에 의하면, 이중사출성형에 의하여 강성부(210)와 연성부(220)가 하나의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도 13은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인써트 사출성형 및 이중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강성 부재(250)가 도시되어 있다. 강성부재(250)는 강성 심재(251)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피복부(252) 및 강성 나선 날개(253)를 포함한다. 강성 나선 날개(253)는 피복부(252)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강성 나선 날개(253)는 강성 심재(251)의 둘레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강성 심재(251)는 피복부(252) 및 강성 나선 날개(253)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심재(251)는 금속재일 수 있으며, 피복부(252) 및 강성 나선 날개(253)는 단단한 플라스틱, 예를 들어 ABS 재질일 수 있다.
피복부(252) 및 강성 나선 날개(253)의 형상이 형성된 제1캐비티와, 연성부(220)의 형상이 음각된 제2캐비티를 구비하는 금형을 준비한다. 먼저, 제1캐비티에 강성 심재(251)를 삽입하고, 플라스틱, 예를 들어 ABS수지를 주입하여 인써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강성부재(250)를 성형한다. 그런 다음, 제2캐비티에 유연한 재료, 예를 들어 고무를 주입하여 이중사출성형에 의하여 연성부(220)를 성형함으로써 현상제 공급부재(200)가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면, 강성부재(250)에 의하여 강성부(210)가 구현된다. 강성 심재(251) 및 피복부(252)에 의하여 강성의 제1회전축(201a)이 구현되며, 강성 나선 날개(253)에 의하여 강성 나선 날개(201a)가 구현된다. 연성부(220)는 강성부재(250)와 연결된다. 연성부(220)는 연성을 가지며 이중사출성형에 의하여 제1회전축(201a)에 자연스럽게 연결된 제2회전축(201b)과, 제2회전축(201b)의 둘레에 형성되는 연성 나선 날개(202b)를 구비한다.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현상제 공급부재(200)에 의하면, 강성부(2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강성부(210)와 연성부(220)가 하나의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도 14는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인써트(insert)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강성 심재(261)와 연성 심재(262)가 도시되어 있다. 강성 심재(261)와 연성 심재(262)를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형상이 음각된 금형의 캐비티 내에 삽입하고, 캐비티에 유연한 재료, 예를 들어 고무를 주입하여 현상제 공급부재(200)를 성형할 수 있다. 강성 심재(261)는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성 심재(262)는 강성 심재(261)보다 굽힘 강도가 작다. 연성 심재(262)는 휘어질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 심재(262)는 가는 금속, 가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강성 심재(261)에 의하여 강성부(210)가 구현된다. 즉, 회전축(201)은 강성 심재(261)에 의하여 구현되는 제1회전축(201a)과, 연성 심재(262)에 의하여 구현되며 제1회전축(201a)에 연결되어 공급 관로(40) 내부로 연장된 연성의 제2회전축(201b)을 포함한다. 나선날개(202)는 전체적으로 연성체이다. 강성 심재(261)와 연성 심재(262)는 일체일 수 있다. 이 경우, 연성 심재(262)는 휘어질 수 있도록 직경이 강성 심재(261)에 비하여 작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연성부(220)의 비틀림을 줄일 수 있다.
도 15는 현상제 공급부재(200)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부재(200)는 강성부(210)와 연성부(220)가 연결부재(27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형태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강성 부재(270)와 연성부재(273)가 도시되어 있다. 강성부재(270)는 강성부(210)를 형성하며, 연성부재(273)는 연성부(220)를 형성한다. 강성부재(270)는 강성 회전축(271)과 강성 나선 날개(272)를 구비한다. 연성부재(273)는 연성 회전축(271)과 연성 나선 날개(274)를 구비한다. 강성 회전축(271)의 단부와 연성 회전축(274)의 단부는 각각 튜브 형태의 연결부재(276)에 압입됨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강성 회전축(271)의 단부와 연성 회전축(274)의 단부는 각각 튜브 형태의 연결부재(276)에 삽입되어 연결부재(276)와 접착될 수 있다.
강성부재(25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강성부재(250)는 도 13에 도시된 강성부재(240)와 같이 강성 심재를 이용한 인써트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강성부재(270)에 의하여 강성부(210)가 구현되며, 연성부재(273)에 의하여 연성부(220)가 구현된다. 강성 회전축(271)에 의하여 제1회전축(201a)이 구현되며, 연성 회전축(274)에 의하여 제2회전축(201b)이 구현된다. 강성 나선 날개(272)에 의하여 강성 나선 날개(201a)가 구현되며, 연성 나선 날개(275)에 의하여 연성 나선 날개(202b)가 구현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76)를 채용하는 대신에, 강성 회전축(271)의 단부에 삽입홈(271a)을 형성하고, 연성 회전축(274)의 단부를 삽입홈(271a)에 압입할 수도 있다. 연성 회전축(274)의 단부가 삽입홈(27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홈(271a)에 접착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본체 10...현상기
13...현상롤러 14...감광드럼
15...대전롤러 20...현상제 카트리지
30...버퍼유닛 40...공급 관로
50...노광기 61...중간전사벨트
62...중간전사롤러 70...전사롤러
80...정착기 90...급지수단
200...현상제 공급부재 201...회전축
201a, 201b...제1, 제2회전축 202a...강성 나선 날개
202b...연성 나선 날개 210...강성부
220...연성부 230, 251, 261...강성 심재
240, 250...강성부재 262...연성 심재
301..하우징 302...측벽
310...유입부 320..배출부
331, 332, 333...이송부재 340...현상제 잔량 검출유닛

Claims (15)

  1. 다중 곡률을 가진 공급 관로 내에서 현상제를 운반하는 현상제 공급부재로서,
    강성의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축보다 굽힘 강도가 작은 유연한 제2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부분은 연성인 나선 날개;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강성 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강성 심재를 삽입물로 하는 인써트 사출 성형에 의하여 연성으로 형성되는 현상제 공급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제1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강성 나선 날개와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연성 나선 날개를 포함하며,
    제1회전축과 상기 강성 나선 날개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강성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연성 나선 날개는 상기 강성 부재에 이중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현상제 공급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제1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강성 나선 날개와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는 연성 나선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강성 나선 날개는 금속제 강성 심재를 삽입물로 하는 인써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강성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연성 나선 날개는 상기 강성 부재에 이중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현상제 공급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강성 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축은 강성 심재보다 굽힘 강도가 작은 연성 심재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강성 심재와 상기 연성 심재의 둘레에 인써트 사출성형에 의하여 연성으로 형성되는 현상제 공급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제1회전축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강성 나선 날개와,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성 나선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현상제 공급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날개는 상기 제1회전축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강성 나선 날개와,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성 나선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의 단부에는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2회전축의 일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현상제 공급부재.
  8. 현상제 카트리지;
    감광체를 포함하는 현상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배출부를 구비하는 버퍼유닛;
    상기 배출부와 상기 현상기를 연결하는 공급관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버퍼유닛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버퍼유닛 내부로부터 상기 측벽을 넘어서 연장된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로가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굴곡 개시위치는 상기 제1회전축의 상기 공급관로측 단부로부터 10mm 이상 이격된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배출부를 넘어 공급관로의 내부에까지 연장된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은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되는 화상형성장치.
  12. 현상제 카트리지;
    감광체를 포함하는 현상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배출부를 구비하는 버퍼유닛;
    상기 배출부와 상기 현상기를 연결하는 공급관로;
    상기 버퍼유닛으로부터 상기 공급관로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버퍼유닛으로부터 상기 현상기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회전축과 나선날개를 구비하는 현상제 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버퍼유닛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현상제 공급부재는 상기 버퍼유닛 내부로부터 상기 측벽을 넘어서 연장된 강성부와, 상기 강성부로부터 상기 공급관로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강성부보다 굽힘강도가 작은 연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로가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굴곡 개시위치는 상기 강성부의 상기 공급관로측 단부로부터 10mm 이상 이격된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는 상기 배출부를 넘어 공급관로의 내부에까지 연장된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은 상기 강성부에 전달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50084342A 2015-04-27 2015-06-15 현상제 공급부재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60127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24,824 US9465320B1 (en) 2015-04-27 2015-10-28 Developer supplier operable in developer supply pip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53216P 2015-04-27 2015-04-27
US62/153,216 2015-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616A true KR20160127616A (ko) 2016-11-04

Family

ID=5753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342A KR20160127616A (ko) 2015-04-27 2015-06-15 현상제 공급부재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76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5743B2 (ja) 現像装置及びトナーボトル
CN111090226B (zh) 电子照相成像装置、用于其的调色剂盒和用于其的成像盒
US91764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aste toner conveying device incorporated in same
EP1329777A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ation apparatus
JP6888447B2 (ja)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289062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KR20160028652A (ko)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20170075441A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9465320B1 (en) Developer supplier operable in developer supply pip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80054025A (ko)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N113383276A (zh) 可枢转以允许显影盒旋转的调色剂供应导管
WO2014038155A1 (en) Developing unit and process cartridge
KR20160127616A (ko) 현상제 공급부재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20070081839A1 (en) Toner convey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conveying unit
JP4465959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676084B2 (en) Clean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US10048639B2 (en) Unidirectional clutch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485394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322800A (ja) 画像形成装置、サブユニット、現像剤搬送装置、現像装置、及び粉体搬送装置
CN112639626B (zh) 具有弹簧螺旋体的显影剂盒
JP6237292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23065A (ja)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1051999B (zh) 用于引导显影剂的显影剂循环器
JP7465437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49053A (ja) トナー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