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556A -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556A
KR20160127556A KR1020150059132A KR20150059132A KR20160127556A KR 20160127556 A KR20160127556 A KR 20160127556A KR 1020150059132 A KR1020150059132 A KR 1020150059132A KR 20150059132 A KR20150059132 A KR 20150059132A KR 20160127556 A KR20160127556 A KR 20160127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food
separating
separation
uni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9182B1 (ko
Inventor
이재향
Original Assignee
이재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향 filed Critical 이재향
Priority to KR1020150059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18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3Conveying, feeding or aligning shell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는 투입된 해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로부터의 해산물을 개별 분리 이송하기 위한 제 1 분리이송부재와, 상기 제 1 분리이송부로부터 전달된 해산물을 개별 분리 이송하기 위한 제 2 분리이송부재와,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와 제 2 분리이송부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와, 이탈된 해산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 가동되며,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굴과 같은 해산물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이어지는 후속 장치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해산물의 선별 작업 효율을 비약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해산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APPARATUS FOR INDIVIDUALLY TRANSPORTING SEAFOOD}
본 발명은 해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과 같은 해산물을 개별적으로 분리 이송하여 이어지는 후속 장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 각종 해산물에 대한 양식 기술의 발달로 굴, 전복 등의 다양한 해산물들이 공급되고 있다.
해산물의 공급 유통을 위해서는 해산물을 그 무게에 따라 선별 분류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 해산물을 무게에 따라 분류하는 작업은 대부분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 저울을 이용하여 진행되며, 해산물들을 하나 하나씩 저울에 올려 무게를 측정한 다음 이들을 무게에 따라 분류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우며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일로서, 이러한 요소는 해산물의 전체 가격을 상승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또한, 인력에 의한 해산물 분류에는 분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러한 분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해산물의 신선도를 저하시키는 하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산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산물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하나씩 공급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작업은 사람의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정이며, 특히 굴과 같은 해산물의 경우 손상의 가능성 때문에 자동화된 기계 장치를 통해 계량장치로 분리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요인은 굴과 같은 해산물의 선별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산물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이어지는 후속 장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는 투입된 해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로부터의 해산물을 개별 분리 이송하기 위한 제 1 분리이송부재와,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로부터 전달된 해산물을 개별 분리 이송하기 위한 제 2 분리이송부재와,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와 제 2 분리이송부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발생부재와, 이탈된 해산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는 상기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회전 가동되며,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는 상기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의 직선 왕복운동이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는 일방향 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는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로부터 해산물을 전달받는 도입부와 해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와 상기 도입부와 배출부를 연결하는 단위정렬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정렬부는 상기 도입부와 배출부 모두에 대해 평면 상 미리 지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입부는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정렬부는 그 높이가 단위 해산물의 높이와 가공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재에는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로 배출되는 해산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량 조절부재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거부재는 상기 단위정렬부로부터 낙하되는 해산물을 수거하기 위한 낙하물수거부재와, 상기 낙하물수거부로재부터 해산물을 전달받는 전달부재와 상기 전달부재로부터 해산물을 전달받는 수거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재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굴과 같은 해산물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이어지는 후속 장치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해산물의 선별 작업 효율을 비약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해산물을 청결상태로 분리 이송시킬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이송장치에 포함되는 수용부재와 제 1, 2 분리이송부재와 동력발생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이송장치에 포함되는 회전부재와 일방향클러치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회전부재와 일방향클러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이송장치에 포함되는 수용부재와 제 1, 2 분리이송부재와 동력전달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이송장치에 포함되는 회전부재와 일방향클러치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상기 회전부재와 일방향클러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는 투입된 해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10)와, 상기 수용부재(10)로부터의 해산물을 개별 분리 이송하기 위한 제 1 분리이송부재(20)와,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로부터 전달된 해산물을 개별 분리 이송하기 위한 제 2 분리이송부재(30)와,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와 제 2 분리이송부재(3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발생부재(40)와, 이탈된 해산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부재(52, 54, 5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는 상기 동력발생부재(40)에 의해 회전 가동되며,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30)는 상기 동력발생부재(40)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재(10)는 예를 들어 굴과 같은 해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작업자가 계단(110)을 딛고 올라 상기 수용부재(10) 내부로 해산물을 투입한다.
상기 수용부재(10)의 일측에는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재(60)가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재(10) 내부에 투입된 해산물에 해수를 공급하여 건조 및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를 통한 이송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10)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재(10) 내부에 수용된 해산물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거울(70)이 설치된다.
상기 수용부재(10)의 바닥부분은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10) 내부에 수용된 해산물들이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10) 내부에는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 측으로 배출되는 해산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량조절부재(8)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량조절부재(8)는 사각의 판상으로 구성되어, 회전축(6)에 그 일단부가 고정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용부재(10) 내부에서 타단부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량조절부재(8)를 회전시켜 상기 수용부재(10) 바닥부분과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 쪽으로 배출되는 해산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량조절부재(8)와 회전축(6)은 수용부재(10)로부터 분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출량조절부재(8)와 회전축(6)을 수용부재(10)로부터 제거하여 세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재(10)의 전방에는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는 외벽면(22) 내부에 바람개비 형상의 회전부재(24)가 고정축(29)을 통해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24)는 상기 수용부재(10) 내부에 수용된 해산물을 퍼올리는 방향, 즉 도 5 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수용부재(10) 내부의 해산물을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30)로 전달한다.
상기 회전부재(24)의 축(29)에는 일방향클러치(21)가 결합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재(40)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24)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4)의 단부(27)에는 방사상으로 홈(28)들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해수가 빠져나가고 해산물만이 상기 단부(27)에 의해 퍼올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일방향클러치(21)에는 동력전달축(25)이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축(25)의 단부는 고정레버(23)를 통해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30)의 도입부(32)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레버(23)와 동력전달축(25) 및 회전부재(24)들은 상기 외벽면(22)에 대해 분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벽면(22)으로부터 상기 구성들을 분리하여 세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30)는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로부터 해산물을 전달받는 도입부(32)와 해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36)와 상기 도입부(32)와 배출부(36)를 연결하는 단위정렬부(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정렬부(34)는 도 1 및 2 에서와 같이, 상기 도입부(32)와 배출부(36) 모두에 대해 평면 상 미리 지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위정렬부(34) 부분의 높이는 이송의 대상이 되는 해산물의 단위 높이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동력발생부재(40)에 의한 직선 왕복운동이 상기 단위정렬부(34)에 전달되면, 상기 단위정렬부(34)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전후 방향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도입부(32)로부터 배출부(36)까지 해산물이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정렬부(34)의 높이가 이송 대상이 되는 해산물의 단위 높이와 유사하게 구성된 상태에서, 평면 상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누운 "ㄷ"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단위정렬부(34)의 전방 벽(45) 쪽으로 해산물이 밀어붙여지며, 이때 두겹으로 놓여지는 해산물은 상기 단위정렬부(34)의 전방 벽(45)을 넘어 이탈 낙하된다.
상기와 같이 낙하된 해산물은 낙하물수거부재(52)로 낙하되고, 이때 상기 낙하물수거부재(52)의 바닥 부분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재(54)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낙하물수거부재(52)로 낙하된 해산물은 전달부재(54)로 미끄러져 투하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54)로 투하된 해산물은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수거용기(56)로 낙하된다.
상기 전달부재(54)의 바닥부분 역시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수거용기(56)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낙하된 해산물이 상기 전달부재(54)의 바닥부분을 따라 자중에 의해 미끄러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달부재(54)의 바닥부분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빠짐을 위한 개구들이 형성되어, 해수는 상기 전달부재(54)에 형성되는 물빠짐 개구를 통해 배출되고, 해산물만이 상기 수거용기(56)로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단위정렬부(34)의 전방 벽 부분(45)에는 굴과 같은 해산물들이 일렬로 하나씩 밀어붙여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36)로 이송된다.
그리하여, 상기 배출부(36)를 통해 하나씩 이어지는 후송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30)의 도입부(32) 부분의 하부는 연결부재(42)를 통해 동력발생부재(4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동력발생부재(40)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력의 공급에 의해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30) 및 낙하물수거부재(52)를 전후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킨다.
이때, 상기 동력발생부재(40)는 예를 들어 1초에 2 번 또는 3 번 직선 왕복운동하고, 이러한 운동을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3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동력발생부재(40)에 의해 발생되는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분리이송부재(30)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고, 이러한 직선왕복운동을 일방향클러치를 통해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의 회전축(29)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20)의 회전부재(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재(10)와 제 1 분리이송부재(20) 및 제 2 분리이송부재(30)의 구성들은 프레임부재(1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100)에는 계단(110)이 형성되어, 상기 계단(110)을 통해 상기 수용부재(10) 내부로 굴과 같은 해산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100)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수용부재
20: 제 1 분리이송부재
30: 제 2 분리이송부재
40: 동력발생부재
52: 낙하물수거부재
60: 물공급부재
100: 프레임부재

Claims (9)

  1. 투입된 해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로부터의 해산물을 개별 분리 이송하기 위한 제 1 분리이송부재와;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로부터 전달된 해산물을 개별 분리 이송하기 위한 제 2 분리이송부재와;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와 제 2 분리이송부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발생부재와;
    이탈된 해산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는 상기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회전 가동되며,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는 상기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의 직선 왕복운동이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가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는 일방향 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 2 분리이송부재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부재는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로부터 해산물을 전달받는 도입부와 해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와 상기 도입부와 배출부를 연결하는 단위정렬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정렬부는 상기 도입부와 배출부 모두에 대해 평면 상 미리 지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는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정렬부는 그 높이가 단위 해산물의 높이와 가공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에는 상기 제 1 분리이송부재로 배출되는 해산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량 조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재는 상기 단위정렬부로부터 낙하되는 해산물을 수거하기 위한 낙하물수거부재와, 상기 낙하물수거부로재부터 해산물을 전달받는 전달부재와 상기 전달부재로부터 해산물을 전달받는 수거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의 바닥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KR1020150059132A 2015-04-27 2015-04-27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KR101739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132A KR101739182B1 (ko) 2015-04-27 2015-04-27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132A KR101739182B1 (ko) 2015-04-27 2015-04-27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556A true KR20160127556A (ko) 2016-11-04
KR101739182B1 KR101739182B1 (ko) 2017-05-23

Family

ID=5753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132A KR101739182B1 (ko) 2015-04-27 2015-04-27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1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063B1 (ko) * 2018-11-20 2020-02-21 (주)대한기계 육류 혼합 장치
CN111657331A (zh) * 2020-06-12 2020-09-15 广州中臣碧阳船舶科技有限公司 一种船用南极磷虾分配站
KR20210014905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젓갈용 해산물 선별장치
CN114747607A (zh) * 2022-06-14 2022-07-15 山东昶昇水产品有限公司 一种海产品导入清洗用加工设备
KR20240103434A (ko) 2022-12-27 2024-07-04 주식회사 포엠 양식 패류 분리 및 선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0688B2 (ja) 2013-10-04 2017-08-30 株式会社エヌエス工研 シュータ及びホッパー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063B1 (ko) * 2018-11-20 2020-02-21 (주)대한기계 육류 혼합 장치
KR20210014905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젓갈용 해산물 선별장치
CN111657331A (zh) * 2020-06-12 2020-09-15 广州中臣碧阳船舶科技有限公司 一种船用南极磷虾分配站
CN114747607A (zh) * 2022-06-14 2022-07-15 山东昶昇水产品有限公司 一种海产品导入清洗用加工设备
KR20240103434A (ko) 2022-12-27 2024-07-04 주식회사 포엠 양식 패류 분리 및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182B1 (ko)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182B1 (ko) 해산물 단위 분리 이송장치
US10377061B2 (en) Processing of three dimensional printed parts
CN105008254B (zh) 用于运输物品的设备和方法
US20150266157A1 (en) Processing of three dimensional printed parts
US20150266158A1 (en) Processing of three dimensional printed parts
US3272360A (en) Apparatus for feeding an eggprocessing machine
KR20210046305A (ko) 마늘꼭지 자동절단장치
WO2015143007A2 (en) Processing of three dimensional printed parts
KR101584527B1 (ko) 꼬막 선별기의 이물질 선별장치
JP2013043728A (ja) 搬送穀粒中の粉塵除去方法および横送り穀粒搬送装置
JP2018117527A (ja) シャリ玉処理装置
CN211217592U (zh) 一种高速高精度动态称重新型设备
CN211100234U (zh) 一种精密影像采集及分选设备
CN210028140U (zh) 食品落料装盒机构
KR101836814B1 (ko)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CN105815426A (zh) 一种循环式肉类运输加工设备
ATE376972T1 (de) Vakuumzuführvorrichtung
CN212333794U (zh) 餐盘或餐碗的中间运输设备
CN210593985U (zh) 食品分料机构及食品生产线
CN108528857A (zh) 一种分拣茶干用装箱设备
CN103863798A (zh) 轴承产线进料排序系统
CN207789118U (zh) 一种自动分板设备
JP2022098901A (ja) 作物処理設備
KR20210045677A (ko) 부위별 절단 및 적재가 가능한 생선 자동 절단기
CN214988100U (zh) 一种橡胶粉末制备用材料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