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550A -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550A
KR20160127550A KR1020150059122A KR20150059122A KR20160127550A KR 20160127550 A KR20160127550 A KR 20160127550A KR 1020150059122 A KR1020150059122 A KR 1020150059122A KR 20150059122 A KR20150059122 A KR 20150059122A KR 20160127550 A KR20160127550 A KR 20160127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frame structure
fabric
assemb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629B1 (ko
Inventor
윤성신
김재광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움 filed Critical (주)아이디움
Priority to KR102015005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62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의 외곽을 형성하는 베이스 패널부, 및 베이스 패널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의 벽면을 형성하는 직물 원단이 삽입 고정되는 슬리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부스용 조립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에 의한 음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조립 벽체면을 통해 표시하는 정보 및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들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Frame Structure for Booth Assembly, and Assembly Type Booth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부스용 조립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에 의한 음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조립 벽체면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벽체면을 통해 표시하는 정보 및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들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뼈대를 구성하는 부스용 프레임(10)은 조립식 부스의 내부 조명원이 발광됨에 따라 조립식 부스의 외부로 부스용 프레임(10)의 음영이 비춰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외부로 비춰지는 부스용 프레임(10)의 음영은 조립식 부스의 시공 및 사용 상태에서의 외부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조립식 부스의 벽체면을 통해 표시하는 정보 및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들의 연속성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부스용 조립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에 의한 음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조립 벽체면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벽체면을 통해 표시하는 정보 및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들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는,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의 외곽을 형성하는 베이스 패널부(110); 및 상기 베이스 패널부(11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의 벽면을 형성하는 직물 원단(125)이 삽입 고정되는 슬리브(1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리브(12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부(110)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 패널부(1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사 패널부(130)의 상부면을 따라 설치되는 조명원(145)이 고정되는 고정부(1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직물 원단(125)은 상기 경사 패널부(130)의 경사면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원(145)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상기 직물 원단(125)을 조사하되, 상기 경사 패널부(130)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기 직물 원단(125)의 상기 슬리브(120)로의 삽입 경계까지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는 상기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부스용 조립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에 의한 음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조립 벽체면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벽체면을 통해 표시하는 정보 및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들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일체로서의 인쇄가 가능한 직물 원단을 통해 조립 벽체면을 구현함으로써, 끊김없는 인쇄를 통해 대형 이미지 등을 활용한 미려한 벽체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무게 및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직물 원단을 통해 조립식 부스용 조립 벽체면을 구현함으로써 조립식 부스의 설치, 해체, 및 보관에서의 작업 및 공간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의 조인트 부재를 이용한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직물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 설치한 조립 벽체의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직물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 설치한 조립 벽체의 외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100)는 베이스 패널부(110), 슬리브(120), 경사 패널부(130), 고정부(140), 및 결합홈(1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패널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의 외곽을 형성하는 장형 플레이트 부재로서, 베이스 패널부(110)의 내부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슬리브(120), 경사 패널부(130), 고정부(140), 및 결합홈(150)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패널부(110)의 내부면의 좌우측 단부에는 베이스 패널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홈인 슬리브(1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슬리브(120)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의 벽면을 형성하는 직물 원단(125)이 삽입 고정된다.
한편, 슬리브(120)에 직물 원단(125)을 삽입 고정함에 있어서는 직물 원단(125)의 단부에 고무 재질의 패킹 부재를 맞물림 고정시킨 다음, 패킹 부재를 슬리브(120)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며, 조립식 부스의 사용 완료 후에는 패킹 부재를 슬리브(120)로부터 다시 분리시킴으로써 간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베이스 패널부(110)의 좌우측 단부에는 'ㄷ'자 형상의 채널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ㄷ'자 형상의 채널인 슬리브(120)의 상단부로부터 베이스 패널부(110)의 중심쪽으로의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사 패널부(130)가 또한 일체로서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베이스 패널부(110)의 좌,우측에 구비된 경사 패널부(130)의 사이에 일체로서 형성된 고정부(14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의 내부 조명인 LED 등의 조명원(145)이 고정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좌,우측의 경사 패널부(130)의 단부에서 베이스 패널부(110)의 중심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대략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인 고정부(140)에 조명원(145)을 설치함으로써, 조립벽체에서의 조명 효과를 위한 조명원(145)의 내부 설치구조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인 고정부(140)와 베이스 패널부(110) 사이의 공간인 결합홈(15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1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조인트 부재(200)에 구비된 결합부(250)가 삽입가능하게 된다.
즉, 제조자는 도 4에서와 같이 'L'자 형상의 조인트 부재(200)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 돌출부인 결합부(250)를 프레임 구조체(100)에 구비된 결합홈(150)에 삽입설치한 다음, 도 5에서와 같이 'L'자 형상의 조인트 부재(200)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또 다른 돌출부인 결합부(250)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100)에 구비된 결합홈(150)에 삽입설치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조인트 부재(200)를 통해 복수의 프레임 구조체(100)를 결합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조자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프레임 구조체(100)를 조인트 부재(200)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조립벽체의 프레임 구조를 설치할 수 있게 되며, 프레임 구조체(100)에 구비된 슬리브(120)에 직물 원단(125)을 삽입함으로써 조립벽체의 시공을 완성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100) 및 직물 원단(125)을 이용하여 제작 설치한 조립 벽체의 수평 방향으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직물 원단(125)의 단부를 'ㄱ'자 형태로 꺽은 상태에서 슬리브(120)에 고정하며, 슬리브(120)로부터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사 패널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직물 원단(125)은 경사 패널부(130)의 경사면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직물 원단(125)이 경사 패널부(130)의 경사면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조명원(145)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벽체면을 형성하는 직물 원단(125)의 내부면을 조사하되, 경사 패널부(130)의 경사면을 따라 직물 원단(125)의 슬리브(120)에의 삽입 경계 부분까지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조립 벽체면의 외부에서는 직물 원단(125)의 결합 부위에서의 프레임 구조체(100)에 의한 음영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조명원(145)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경사 패널부(130)의 경사면을 따라 직물 원단(125)의 슬리브(120)에의 삽입 경계 부분까지 조사가능하게 됨으로써, 직물 원단(125)의 단부에서의 'ㄱ'자 형태로 꺽여진 부분에서의 꺽임선 만이 음영으로 나타날 뿐, 프레임 구조체(100)에 의한 어떠한 음영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얇은 두께만을 차지하는 직물 원단(125)을 통해 벽체면을 구현하였기 때문에 직물 원단(125)의 슬리브(120)에 삽입되기 위해 꺽여진 부분인 꺽임선에서의 음영 또한 최소한의 음영으로 제한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일체로서의 인쇄가 가능한 직물 원단(125)을 통해 벽체면을 구현함으로써, 도 9에서와 같이 대형 이미지에 대한 끊김없는 인쇄가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조립 벽체면에서의 미려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부스용 프레임, 100: 프레임 구조체,
110: 베이스 패널부, 120: 슬리브,
125: 직물 원단, 130: 경사 패널부,
140: 고정부, 145: 조명원,
150: 결합홈, 200: 조인트 부재,
250: 결합부.

Claims (6)

  1.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의 외곽을 형성하는 베이스 패널부(110); 및
    상기 베이스 패널부(11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의 벽면을 형성하는 직물 원단(125)이 삽입 고정되는 슬리브(120);
    를 포함하는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2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부(110)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 패널부(130)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패널부(130)에서 연장 형성되며, 조명원(145)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140)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원단(125)은 상기 경사 패널부(130)의 경사면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인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원(145)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상기 직물 원단(125)을 조사하되, 상기 경사 패널부(130)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기 직물 원단(125)의 상기 슬리브(120)로의 삽입 경계까지 조사하는 것인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상기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100)를 포함하는 조립식 부스.
KR1020150059122A 2015-04-27 2015-04-27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 KR10170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122A KR101700629B1 (ko) 2015-04-27 2015-04-27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122A KR101700629B1 (ko) 2015-04-27 2015-04-27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550A true KR20160127550A (ko) 2016-11-04
KR101700629B1 KR101700629B1 (ko) 2017-01-31

Family

ID=5753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122A KR101700629B1 (ko) 2015-04-27 2015-04-27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238B1 (ko) * 2020-03-17 2022-01-20 박재홍 부스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부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644U (ko) * 2008-08-06 2010-02-17 안기풍 채널간판용 입체돌출부재와 이를 이용한 채널간판
KR101258408B1 (ko) * 2012-04-05 2013-04-26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Led램프가 삽입된 복층유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644U (ko) * 2008-08-06 2010-02-17 안기풍 채널간판용 입체돌출부재와 이를 이용한 채널간판
KR101258408B1 (ko) * 2012-04-05 2013-04-26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Led램프가 삽입된 복층유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629B1 (ko) 201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8131A (ko) 간판의 양면 광고 프레임 구조
KR20150070846A (ko) 조립형 다단 안전펜스
ES2728263T3 (es) Carril doble de iluminación de forma tubular y estructura tridimensional que comprende tal carril
KR101682202B1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700629B1 (ko)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
KR101609584B1 (ko) 조명등용 코너 연결구
KR101657089B1 (ko) 광고용 라이트패널
KR101132740B1 (ko) 조명시스템
KR101750519B1 (ko) 간판용 프레임
KR101755357B1 (ko) 간판용 프레임
KR101673477B1 (ko) 개선된 광고패널 결합구조를 갖는 벽체 설치용 돌출 간판
KR101770169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0398726Y1 (ko) 조명등 프레임 장착구조
JP2006299778A (ja) 天井パネルと壁パネルの接合構造
KR20160094489A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 장치용 루버
KR101270430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200320566Y1 (ko) 조명등 커버
KR101737214B1 (ko)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1247163B1 (ko) 패널 어셈블리
KR101155781B1 (ko) 벽등
TWI662225B (zh) 燈條固定結構
KR101770167B1 (ko) 간판용 프레임
KR101553306B1 (ko) 교체식 소켓 단자를 가지는 led 램프
KR101755355B1 (ko) 간판용 프레임
JP2008179225A (ja) ビレッ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