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291A -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291A
KR20160127291A KR1020150058270A KR20150058270A KR20160127291A KR 20160127291 A KR20160127291 A KR 20160127291A KR 1020150058270 A KR1020150058270 A KR 1020150058270A KR 20150058270 A KR20150058270 A KR 20150058270A KR 20160127291 A KR20160127291 A KR 20160127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and
concrete
inner mol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7291A/ko
Publication of KR2016012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21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cardboar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이 개시된다. 개시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은, 종이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외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내측 거푸집과, 상기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모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Concrete form for atypical column}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원형이나 마름모꼴과 같은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또는 구축물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기둥, 바닥, 벽 등이 형성될 위치에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과정을 거친 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둥, 바닥, 벽 등이 원하는 형상으로 시공된다.
여기서, 종래의 일반적인 거푸집은 합판, 합성수지, 금속판재 또는 금속재 프레임에 합판이 결합된 유로폼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대략 수일 내지 수주 후에 제거되어 재사용된다.
한편, 건물, 교량, 교각 등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기둥은 대부분 원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정형적인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정형적인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은 그 형상도 단순하고 수요도 많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합판, 금속판재 또는 유로폼과 같은 비교적 고가의 소재로 제작된다.
그런데, 비정형적인 형상, 예컨대 타원형이나 마름모꼴과 같은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은 그 형상이 매우 다양하고 수요도 많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은 대부분 1회 또는 수회 사용 후 폐기되므로, 합판, 금속판재 또는 유로폼과 같은 고가의 거푸집을 제작하여 사용할 경우, 시공 시간과 시공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기둥을 보다 적은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은,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에 있어서,
종이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외측 거푸집;
상기 외측 거푸집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내측 거푸집; 및
상기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모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 거푸집은 상기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반으로 분할된 한 쌍의 거푸집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거푸집의 표면에는 방수 코팅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래로서 지름이 0.02mm 내지 2mm 이고 수분이 제거된 마른 모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래는 유연한 주머니의 내부에 담겨 모래 주머니 형태로 상기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거푸집은 한 쌍의 반원형 거푸집 부재를 원형으로 조립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형으로 조립된 상기 한 쌍의 반원형 거푸집 부재는 밴드로 감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거푸집은 2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2겹의 외측 거푸집은 각각 한 쌍의 반원형 거푸집 부재를 원형으로 조립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밴드로 감겨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은, 종이로 이루어진 외측 거푸집과,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내측 거푸집과, 모래로 구성되므로, 종래의 합판, 금속판재 또는 유로폼과 같은 고가의 거푸집에 비해 그 제작 시간과 제작 비용이 훨씬 절감된다. 따라서, 타원형이나 마름모꼴과 같은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기둥을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적은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래의 변형예를 도시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외측 거푸집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외측 거푸집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100)은, 비정형적인 형상, 예컨대 타원형이나 마름모꼴과 같은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100)은, 종이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외측 거푸집(110)과,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내측 거푸집(120)과, 상기 내측 거푸집(120)과 외측 거푸집(11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모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측 거푸집(11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의 종이 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이 관은 소정의 폭을 가진 합지를 길이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권취함으로써 원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합지는 속지와, 파라핀이 코팅처리된 내지와, 필름이 코팅처리된 겉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속지와 내지와 겉지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이때, 상기 속지와 내지와 겉지는 각각 한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측 거푸집(110)으로서 종이로 이루어진 종이관 거푸집이 사용되며, 이에 따라 거푸집 제작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며, 중량이 감소하여 취급과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 제작을 위한 재료비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거푸집 제거 후의 잔해물도 재질이 종이이므로 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내측 거푸집(120)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시공하고자 하는 비정형 기둥 형상, 예를 들어 마름모꼴 기둥 형상의 내부 공간(121)이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121)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측 거푸집(110)으로서 스티로폼을 사용한다. 스티로폼은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며, 가공성이 뛰어나 다양한 형상의 내부 공간(121)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거푸집(120)은 상기 내부 공간(121)을 기준으로 반으로 분할된 한 쌍의 거푸집 부재(120a, 1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거푸집 부재(120a, 120b)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상기 내부 공간(1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거푸집 부재(120a, 120b)의 외면은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공간(121)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평면이나 곡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거푸집(120)이 반으로 분할된 구성을 가지면, 상기 내부 공간(121)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내측 거푸집(120)을 파손 없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거푸집(120)의 표면에는 방수 코팅막(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수 코팅막(122)은 방수성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측 거푸집(120)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표면에 콘크리트가 직접 접촉하게 되면,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스티로폼 내부로 침투하여 스티로폼을 손상시키거나 스티로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과, 콘크리트와 스티로폼이 부착되어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내측 거푸집(120)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내측 거푸집(120)이 파손 또는 손상되는 등 내측 거푸집(120)이 깔끔하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경우, 상기 내측 거푸집(120)을 재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 거푸집(120)의 표면에 방수 코팅막(122)이 형성되면, 콘크리트의 수분이 스티로폼 내부로 침투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와 스티로폼이 부착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내측 거푸집(120)을 깔끔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측 거푸집(120)을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내측 거푸집(120)과 외측 거푸집(110) 사이의 공간에는 모래(130)가 채워진다. 상기 모래(130)는 상기 내측 거푸집(120)의 내부 공간(12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상기 내측 거푸집(120)이 벌어지지 않도록 뒤에서 받쳐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래(130)는 내측 거푸집(120)과 외측 거푸집(110) 사이의 공간을 가능한 한 빈 공간이 남지 않도록 채울 수 있도록 유동성이 좋아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모래(130)로서 지름이 0.02mm 내지 2mm 이고 수분이 제거된 마른 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100)은, 종이로 이루어진 외측 거푸집(110)과,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내측 거푸집(120)과, 모래(130)로 구성되므로, 종래의 합판, 금속판재 또는 유로폼과 같은 고가의 거푸집에 비해 그 제작 시간과 제작 비용이 훨씬 절감된다. 따라서, 타원형이나 마름모꼴과 같은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기둥을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적은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외측 거푸집(110)을 제거하면, 모래(130)는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내측 거푸집(120)도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100)의 해체 과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100)의 구성요소, 즉 종이로 이루어진 외측 거푸집(110),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내측 거푸집(120) 및 모래(130)를 모두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형상의 기둥을 시공할 때에는, 상기 외측 거푸집(110)과 모래(130)는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내측 거푸집(120)만 교체하면 되므로, 제작 비용과 제작 시간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의 구성요소들의 변형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래의 변형예를 도시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측 거푸집(120)과 외측 거푸집(110) 사이의 공간에 모래(130)가 채워지는데, 상기 모래(130)는 망, 천, 또는 비닐 등의 유연한 주머니 내부에 담겨 모래 주머니(131) 형태로 상기 내측 거푸집(120)과 외측 거푸집(11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래(130)를 모래 주머니(131) 형태로 채우게 되면, 모래(130)의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 시간이 감소하게 되고, 또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100)을 해체할 때에도 모래(130)가 흩어지지 않아서 모래 주머니(131) 형태로 회수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외측 거푸집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외측 거푸집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 거푸집(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종이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반원형 거푸집 부재(110a, 110b)를 원형으로 조립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원형으로 조립된 한 쌍의 반원형 거푸집 부재(110a, 110b)는 금속재, 예컨대 함석으로 이루어진 밴드(112)로 감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거푸집(110)이 한 쌍의 반원형 거푸집 부재(110a, 110b)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면, 상기 외측 거푸집(110)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 거푸집(110)은 2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겹의 외측 거푸집(110)은 각각 한 쌍의 반원형 거푸집 부재(110a, 110b, 110c, 110d)를 원형으로 조립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겹의 외측 거푸집(110)은 금속재, 예컨대 함석으로 이루어진 밴드(112)로 감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거푸집(110)이 2겹으로 이루어지면, 그 내부의 내측 거푸집(120)과 모래(13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2겹의 외측 거푸집(110) 각각이 한 쌍의 반원형 거푸집 부재(110a, 110b, 110c, 110d)로 이루어짐으로써, 설치 및 해체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110...외측 거푸집
110a,110b,110c,110d...반원형 거푸집 부재
112...밴드 120...내측 거푸집
120a,120b...거푸집 부재 121...내부 공간
122...방수 코팅막 130...모래
131...모래 주머니

Claims (7)

  1.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기 위한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에 있어서,
    종이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외측 거푸집;
    상기 외측 거푸집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내측 거푸집; 및
    상기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모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거푸집은 상기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반으로 분할된 한 쌍의 거푸집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거푸집의 표면에는 방수 코팅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로서 지름이 0.02mm 내지 2mm 이고 수분이 제거된 마른 모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는 유연한 주머니의 내부에 담겨 모래 주머니 형태로 상기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거푸집은 한 쌍의 반원형 거푸집 부재를 원형으로 조립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원형으로 조립된 상기 한 쌍의 반원형 거푸집 부재는 밴드로 감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거푸집은 2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겹의 외측 거푸집은 각각 한 쌍의 반원형 거푸집 부재를 원형으로 조립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밴드로 감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KR1020150058270A 2015-04-24 2015-04-24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KR20160127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270A KR20160127291A (ko) 2015-04-24 2015-04-24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270A KR20160127291A (ko) 2015-04-24 2015-04-24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291A true KR20160127291A (ko) 2016-11-03

Family

ID=5757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270A KR20160127291A (ko) 2015-04-24 2015-04-24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72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671B1 (ko) 2020-03-13 2020-12-29 성국현 유연시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671B1 (ko) 2020-03-13 2020-12-29 성국현 유연시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1735C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structures utilizing insulated concrete forms
US3301926A (en) Method of fabricating a self-braced concrete form
CN112922346A (zh) 一种带钢筋加固结构的3d打印房屋建造系统、方法
KR20110029696A (ko) 단일겹의 반원형 지관 하이브리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구조물의 성형방법
KR20160127291A (ko) 비정형 기둥용 거푸집
KR101726750B1 (ko) Frp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CN108951992B (zh) Frp壳体-混凝土墙板结构及其制造方法
KR20140115721A (ko) 변단면을 가지는 중공피씨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70111300A (ko) 탈형 보조 판넬을 갖는 거푸집 판넬
KR101682981B1 (ko) 프라스크 내에서의 주물사 응집력 극대화를 위한 t형 구조물
US3567173A (en) Core mandrel for making hollow plastic bodies
FI88952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formelement foer ett mantelbetongbyggsaett och enligt foerfarandet framstaellda element
CN110722664B (zh) 用于混凝土结构的多曲面造型衬模的模具及其制造方法
JP2018159200A (ja) Cfrp製型枠一体型コンクリート柱の構築方法およびcfrp製型枠一体型コンクリート柱
KR101200380B1 (ko) 수동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EP2540934B1 (en) A covering for formwork for concrete castings
KR20100137261A (ko) 지관을 이용한 거푸집 및 시공방법
CN204899214U (zh) 现浇混凝土加筋模盒
CA2486149A1 (en) Disposable formwork for columns having a circular section
JP2000073489A (ja) 建物の出入口アプローチ構造およびこの構造に用いるユニット部材
JP7451843B2 (ja)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JP744969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部材の製造方法
CN203879030U (zh) 后浇带防护结构
KR100774020B1 (ko) 노출 콘크리트벽
JP6859013B2 (ja) コンクリート製筺体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筺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