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225A -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225A
KR20160127225A KR1020150057556A KR20150057556A KR20160127225A KR 20160127225 A KR20160127225 A KR 20160127225A KR 1020150057556 A KR1020150057556 A KR 1020150057556A KR 20150057556 A KR20150057556 A KR 20150057556A KR 20160127225 A KR20160127225 A KR 20160127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s
document
data
documents
customs cl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만
Original Assignee
지엘테크21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테크21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엘테크21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7225A/ko
Publication of KR20160127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0Tax strateg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으로부터 이메일, 팩스, 우편 등으로 전송된 통관관련 서류에서 데이터를 인식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전송된 서류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해당 서류의 기재 내용 중 통관서류 작성에 필요한 항목데이터는 추출하여 자동으로 관세청 신고용 통관서류작성프로그램에서 해당 위치에 입력함으로서, 고객의 경우에는 통관서류 작성을 위하여 의도적으로 관세사 홈페이지에 접속할 필요없이 평소 사용하는 문서를 그대로 관세사에게 송부하면 되므로 편리하고, 관세사의 경우에는 데이터들이 자동으로 인식 및 입력되고 전송된 서류가 자동으로 분류 저장되므로 서류를 일일이 분류하고 저장할 필요가 없고, 데이터 역시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수동입력으로 인한 오류를 줄일 수 있어서 통관업무가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Entry papers cre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세사의 통관서류 작성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관세사 이용 고객의 업무 편의성도 향상시키는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세는 세관을 통과하는 화물에 대하여 부과되는 조세로서, 수출품에 부과되는 수출세, 수입품에 부과되는 수입세, 단순히 국경을 통과하는 화물에 부과되는 통과세의 3종류가 있으나, 오늘날 관세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은 수입세이다.
상기와 같은 관세 납부를 대행하는것이 관세사의 업무로서, 관세사는 고객으로부터 수집된 무역서류 또는 선적서류를 이용하여 신고서를 작성하고, 관세청에 신고하게 된다.
이러한 관세신고에 필요한 서류는 선하증권(船荷證券) ·보험증권 및 상업송장(商業送狀) 및 수입국에 따라서는 그 이외에 영사송장 ·세관송장 ·원산지증명서 ·검사증명서 ·포장명세서 ·중량용적증명명세표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수입신고의 경우 기초서류는 수출국에서 제공되고 수출신고등 여타 신고의 경우 기초서류선적서류는 수출자인 국내의뢰인이 작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상기 관세사를 통한 관세신고과정에서 고객이 우편, 팩스 등으로 관세사에게 제공한 문서를 상기 관세사가 확인하고 다시 관세청 신고에 필요한 서식에 해당 항목들을 다시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관세를 위한 서류작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뿐 아니라 관세사에 의한 재입력과정에서 오타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공개특허 10-2004-0054312호에서는 특히 화주(貨主)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관세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상기 홈페이지에 저장되어 있는 수입통관, 수출통관, 관세환급, 수출갈음 및 창고/운송 서식을 작성하여 수출입 통관 대행을 의뢰하고 그 결과를 인터넷을 통해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수출입 통관대행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 화주가 직접 관세에 필요한 서식을 관세사 홈페이지 접속을 통해서 작성하여야 하므로 인터넷이 불가능한 환경에 있는 경우에는 관세업무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없고, 관세사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약식에 의해서만 데이터를 입력하여야 하므로 해당 입력양식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인 화주가 이를 확인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관세사의 업무를 경감할 수는 있으나 화주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으로부터 이메일, 팩스, 우편 등으로 전송된 통관관련 서류에서 데이터를 인식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전송된 서류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해당 서류의 기재 내용 중 통관서류 작성에 필요한 항목데이터는 추출하여 자동으로 관세청 신고용 통관서류작성프로그램에서 해당 위치에 입력함으로서, 고객의 경우에는 통관서류 작성을 위하여 의도적으로 관세사 홈페이지에 접속할 필요없이 평소 사용하는 문서를 그대로 관세사에게 송부하면 되므로 편리하고, 관세사의 경우에는 데이터들이 자동으로 인식 및 입력되고 전송된 서류가 자동으로 분류 저장되므로 서류를 일일이 분류하고 저장할 필요가 없고, 데이터 역시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수동입력으로 인한 오류를 줄일 수 있어서 통관업무가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메일, 팩스, 우편 등으로 전송된 통관관련 서류 중 전자화되지 않은 서류에 한해서 전자화를 수행한 후, 전자화된 서류로부터 데이터를 인식하는 과정, 인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 서류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해당 서류의 기재 내용 중 통관서류 작성에 필요한 항목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서 분류 및 파싱과정, 상기 추출된 항목데이터를 자동으로 관세청 신고용 통관서류작성프로그램에서 해당 위치로 입력하는 통관서류 작성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작성된 통관서류는 해당 관세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관세사 단말기의 표시수단을 통해서 표시되어, 정정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통관서류 작성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통관서류 작성 장치는, 종이형태의 서류를 전자화하기 위한 스캐너, 상기 스캐너 또는 이메일, 외부저장장치 또는 내부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보관 또는 전송수단에 의하여 전송된 서류에서 데이터를 인식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 서류를 분류하여 저장하며, 해당 서류의 기재 내용 중 통관서류 작성에 필요한 항목데이터를 추출하여 서류는 분류하여 저장하고, 추출된 항목데이터는 관세청 신고용 통관서류작성프로그램에서 해당 위치로 입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의하여 데이터가 자동입력된 통관서류가 표시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의 경우 평소 사용하던 서식그대로 관세사에게 통관신청을 할 수 있게 되고 별도의 홈페이지 접속이 요구되지 않아 온라인접속이 불가능한 환경에서도 통관업무의 처리가 가능하며, 관세사의 경우 통관에 필요한 필수항목들이 자동인식 및 통관서류에 자동 입력되므로 일일이 수작업을 통한 입력과정이 요구되지 않아 업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데이터가 자동으로 인식 및 입력되므로 해당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기일관리가 요구되는 서류에 대한 기일관리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어서 향후 서류의 보완, 통계, 기일관리등에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관서류 작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관서류 작성 장치는 크게, 종이형태의 서류를 전자화하기 위한 스캐너(12), 상기 스캐너 또는 이메일서버(14), 팩스서버(16), usb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내외부저장장치(18)를 포함하는 데이터 보관수단(임시보관수단 및 영구보관수단)에 의하여 전송된 서류에서 데이터를 인식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 서류를 분류하여 메모리(20)에 저장하며, 해당 서류의 기재 내용 중 통관서류 작성에 필요한 항목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항목데이터를 관세청 신고용 통관서류작성프로그램에서 해당 위치로 입력하는 제어부(30), 상기 제어부(30)에 의하여 데이터가 자동입력된 통관서류가 표시되는 표시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어부(30)와 표시수단(40)은 하나의 단말기에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별도구비될 경우 제어부(30)는 서버로 구성되고 표시수단(40)은 관세사가 사용하는 관세사 단말기(50)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30)에 온라인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관세청 서버(미도시)와 연결되어 작성된 통관서류를 관세청으로 즉시 전송할 수도 있고 고객단말기(미도시)와 연결되어 고객에게해당 통관서류의 진행과정을 통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20)는 제어부(30)에 연결되어, 각종 통관관련 서류가 고객별, 종류별로 분류되어 기록되어 향후 통계처리 등을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통관서류 작성 프로그램은 제어부(30)에 연결된 메모리(20)에 기록?? 제어부(30)를 통해서 실행되어 관세사 단말기의 표시수단(40)으로 작성된 서류를 전송할 수도 있고, 각 관세사 단말기에 통관서류작성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제어부(30)로부터 추출된 항목데이터들이 해당 입력위치데이터를 포함하여 관세사 단말기로 전송된 후, 관세사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통관서류작성프로그램의 해당 위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고객이 사용하는 고객단말기(미도시)에는 통관서류작성을 위한 바코드 또는 QR코드 생성기가 구비되어, 고객단말기를 통해서 작성되는 통관관련서류의 출력과정에서 입력데이터들을 바코드 또는 QR코드 형태로 함께 출력하여, 제어부(30)에 연결된 스캐너(바코드 또는 QR코드 인식기 포함)를 통해서 OCR과정을 거치지 않고 즉시 전자화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관서류 작성 장치를 통한 통관서류 작성방법을 하기에서 살펴본다.
우선, 고객은 확보된 통관에 요구되는 서류 즉, 인보이스(invoice), 선하증권(Bill of Lading) 등을 이메일, 팩스, 우편 등으로 관세사에게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전송된 데이터 중 우편 등 서면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스캐너를 통해서 스캔 후 제어부로 전송되어 ocr을 수행하여 이미지에서 텍스트 데이터를 인식한다.
그리고, 이메일, usb메모리 등의 전자전형태로 저장된 서류 및 스캐너를 통해서 전자화되 서류의 텍스트 데이터를 제어부에서 파싱을 통해서 인식하여 서류의 종류를 파악하여, 제어부에 연결된 메모리에 서류 종류별로 기 설정된 저장영역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데이터 중 통관서류 작성에 필요한 항목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항목데이터들의 추출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관세청 신고용 통관서류작성프로그램의 서식에 추출된 항목데이터를 해당 위치로 입력하는 통관서류를 작성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작성된 통관서류를 해당 관세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관세사 단말기의 표시수단을 통해서 표시하여 관세사는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서류를 확인하고 정정 및 검토하게된다.
이와 같이 정정 및 검토가 완료되어 관세사 단말기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전송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관세사 단말기 또는 제어부는 해당 서류를 저장하면서 관세청서버로 해당 서류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관세사는 수동으로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편리할 뿐 아니라 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통관관련서류들이 자동으로 분류/ 저장되므로 향후 데이터관리가 편리하며, 해당 서류에 기재된 텍스트들이 전자화되므로 향후 통계처리, 서류의 보완등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종이형태의 서류를 전자화하기 위한 스캐너 또는 이메일서버 또는 팩스서버 또는 외부저장장치 또는 내부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보관수단에 의하여 전송된 서류에서 데이터를 인식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 서류를 분류하여 저장하며, 해당 서류의 기재 내용 중 통관서류 작성에 필요한 항목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항목데이터를 관세청 신고용 통관서류작성프로그램의 해당 위치로 입력하는 제어부(30),
    상기 제어부(30)에 의하여 데이터가 자동입력된 통관서류가 표시되는 표시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관서류 작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관서류 작성 장치에는 고객이 사용하는 고객단말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고객단말기는 통관서류작성을 위한 바코드 또는 QR코드 생성기가 구비되어, 고객단말기를 통해서 작성되는 통관관련서류의 출력과정에서 입력데이터들을 바코드 또는 QR코드 형태로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관서류 작성 장치.
  3. 이메일, 팩스, 우편 등으로 전송된 통관관련 서류 중 전자화되지 않은 서류에 한해서 전자화를 수행한 후, 전자화된 서류로부터 데이터를 인식하는 과정,
    인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 서류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해당 서류의 기재 내용 중 통관서류 작성에 필요한 항목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서 분류 및 파싱과정,
    상기 추출된 항목데이터를 자동으로 관세청 신고용 통관서류작성프로그램의 해당 위치로 입력하는 통관서류 작성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관서류 작성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통관서류는 해당 관세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관세사 단말기의 표시수단을 통해서 표시되는 표시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관서류 작성 방법.
KR1020150057556A 2015-04-23 2015-04-23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 KR20160127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56A KR20160127225A (ko) 2015-04-23 2015-04-23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56A KR20160127225A (ko) 2015-04-23 2015-04-23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225A true KR20160127225A (ko) 2016-11-03

Family

ID=5757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556A KR20160127225A (ko) 2015-04-23 2015-04-23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72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694B1 (ko) * 2017-04-13 2018-08-29 신민호 수출입통관 및 정산 자동화 시스템
KR102111373B1 (ko) * 2019-08-21 2020-05-15 주식회사 이투마스 수출입 신고 방법 및 장치
WO2020141530A1 (en) * 2019-01-03 2020-07-09 Ai Dock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ustoms forms associated with a shipment
KR102272023B1 (ko) * 2020-01-13 2021-07-01 주식회사 우리은행 수출입 선적 서류 심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347007B1 (ko) * 2020-12-14 2022-01-05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관세청 신고서 관리 방법 및 관세청 신고서 관리 서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694B1 (ko) * 2017-04-13 2018-08-29 신민호 수출입통관 및 정산 자동화 시스템
WO2020141530A1 (en) * 2019-01-03 2020-07-09 Ai Dock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ustoms forms associated with a shipment
KR102111373B1 (ko) * 2019-08-21 2020-05-15 주식회사 이투마스 수출입 신고 방법 및 장치
KR102272023B1 (ko) * 2020-01-13 2021-07-01 주식회사 우리은행 수출입 선적 서류 심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347007B1 (ko) * 2020-12-14 2022-01-05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관세청 신고서 관리 방법 및 관세청 신고서 관리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7225A (ko) 통관서류 작성 장치 및 방법
CN109887153B (zh) 一种财税处理方法和处理系统
US107403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data from a non-structured document
US111135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template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an evidence
US201001278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ication of shipped products using rfid tags
US20070033118A1 (en) Document Scanning and Data Derivation Architecture.
US8515877B2 (en) Mail transportation processing
JP2014206963A (ja) 会計処理システム、会計処理用プログラム、および帳表
CN111191435A (zh) 一种用于海关报表的动态模板生成报表的方法及其装置
KR101883694B1 (ko) 수출입통관 및 정산 자동화 시스템
US20130325706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ed payment processing
JP2016126796A (ja) 活字ocrシステム
CN115017272B (zh) 基于登记数据的智能核验方法及装置
KR101942468B1 (ko)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추출 시스템 및 방법
US114773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suggestions to reconcile an inconsistency between content of related documents
CN112418813A (zh) 基于智能解析识别的aeo资质智能评级管理系统、方法及存储介质
JP5113238B2 (ja) Faxocr装置およびfaxocrプログラム
US10410168B2 (en) Preventing restricted trades using physical documents
JP2018101327A (ja) データ登録装置及びデータ登録方法
US20130300562A1 (en) Generating delivery notification
CN111950560A (zh) 一种发票校验装置及方法
CN114861622A (zh) 跟单信用证生成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JP2015032111A (ja) 事務処理システム、事務処理方法、及び事務処理用プログラム
KR102055920B1 (ko) 온라인 파츠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84409B1 (ko) 반송 우편물의 반송정보 수집 및 파일링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