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136A -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136A
KR20160127136A KR1020167028658A KR20167028658A KR20160127136A KR 20160127136 A KR20160127136 A KR 20160127136A KR 1020167028658 A KR1020167028658 A KR 1020167028658A KR 20167028658 A KR20167028658 A KR 20167028658A KR 20160127136 A KR20160127136 A KR 20160127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mode
finger
terminal equipment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533B1 (ko
Inventor
시앙준 장
Original Assignee
칭다오 고어텍 테크놀로지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고어텍 테크놀로지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고어텍 테크놀로지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2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확정하는 단계;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슬라이딩한 경우,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획득하여 단말 장비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동기적으로 표시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궤적은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되; 전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오퍼레이션 명령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오퍼레이션 명령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안을 이용하면,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정확도가 더욱 높을 뿐만아니라, 아무런 하드웨어도 증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도 절감하게 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Touch screen control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단말 장비 제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행에 따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도 신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현재, 대부분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두 외부 단말 장비, 예컨대 핸드폰, PAD 등과 연결시킬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비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정하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단말 장비에 표시된 내용을 직접 관람할 수 있어, 보다 좋은 관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 장비에 표시된 내용을 관람하기 시작한 다음, 단말 장비의 오퍼레이션 스크린 즉, 터치스크린을 볼 수 없게 되어, 사용자가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오퍼레이션할 수 없게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련되는 센서를 추가한다. 우선 사용자의 제스처를 수집한 다음 센서로 사용자의 제스처를 식별함으로써 단말 장비를 제어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스처 식별 기술의 발전 정도가 낮고 식별 정확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높은 식별 정확도를 얻으려면, 시스템의 구현이 복잡하게 되고 코스트도 높다.
이로써 어떻게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을 직접제어하여 터치스크린에 대한 제어 정확도를 향상하는 것은 현재 시급히 해결해야 될 문제이다.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단말 장비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연결시킨 다음,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이 보이지 않을 경우, 터치스크린에 대한 제어의 정확도가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연결시킨 다음,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이 보이지 않을 경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적용되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확정하는 단계;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슬라이딩한 경우,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획득하여 단말 장비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동기적으로 표시하되, 상기 슬라이딩 궤적은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전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오퍼레이션 명령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오퍼레이션 명령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대응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시킨 다음,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이 보이지 않을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적용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확정하는 모드 확정 유닛;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슬라이딩한 경우,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획득하여 단말 장비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동기적으로 표시하되, 상기 슬라이딩 궤적은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전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키는 모드 전환 유닛;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오퍼레이션 명령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오퍼레이션 명령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트리거링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단말 장비는 두가지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게 되는데, 우선 궤적 모델(track mode)에서 사용자의 슬라이딩 궤적을 획득한 다음 단말 장비에 표시시키며, 이때, 단말 장체에 표시하는 내용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동기적으로 표시된다. 때문에 사용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터치스크린 상의 손가락의 위치를 볼 수 있게 되어, 궤적 모델(track mode)는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발위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비를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킨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터치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직접 제어할 수 있어, 센서로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어 방법과 대비하면, 제어 정확도가 더욱 높을 뿐만아니라, 하드웨어를 별도 증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스트가 절감 된다.
본 출원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아래의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게 되는데, 부분적으로 명세서에서 더욱 명백하게 되거나, 또는 본 출원을 실시하는것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될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 청구항, 및 도면에서 특별하게 지적한 구성을 통하여 본 출원의 목적과 다른 특점을 구현하거나 획득하게 될것이다.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을 더 이해하는데 편의를 제공하며, 또한 명세서의 일 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 전환 방법 중의 첫번째 방법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 전환 방법 중의 두번째 방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단말 장비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연결시킨 다음,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이 보이지 않을 경우, 터치스크린에 대한 제어 정확도를 높일수 있는 구현 방안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한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되, 여기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 및 해석하는데 이용하는데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충돌되지 않는 상황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점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은, 단말 장비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연결시킨 다음,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이 보이지 않을 경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이 방법과 절차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01단계,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확정한다.
102단계,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슬라이딩한 경우,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획득하여 단말 장비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동시에 표시시킨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궤적은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103 단계, 전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킨다.
104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오퍼레이션 명령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오퍼레이션 명령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을 트리거링하여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비는 스마트 폰, 태블릿 등과 같이 터치 제어가 가능한 단말 장비이거나, 리모콘을 통하여 터치 오퍼레이션이 가능한 스마트TV일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의 동작 모드를 궤적 모델(track mode)과 트리거 모드로 나눈다. 궤적 모델(track mode)에서 터치스크린 위의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표시하되, 아무런 기능도 트리거링하지 않는다. 트리거링 모드에서 사용자는 클릭, 확대, 축소 등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의 구현 과정에서, 단말 장비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 되었기 때문에, 단말 장비에 표시되는 내용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도 동시에 표시되는데, 사용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슬라이딩 궤적을 통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놓여진 손가락의 위치를 볼수 있게 되어, 직접적으로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터치 제어 오퍼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게된다. 이로부터, 센서로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어 방법에 비하여, 제어 정확도가 더욱 높을 뿐만아니라, 아무런 하드웨어도 증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도 절감하게 된다.
실시예2:
이하, 도 2와 결합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인 방법의 흐름도는 도2에 도시되 바와 같이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201단계,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확정한다.
여기서 아래의 방법을 통하여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판단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켜져 있는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은 단말 장비의 사이드 버튼에 설치할수 있으며 즉 단말 장비 측면의 물리적 버튼이다. 사용자는 상기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을 통하여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를 전환 시킬수 있다. 예하면, 어느 두 사이드 버튼을 동시에 누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사이드 버튼을 오랫동안 누를 수 있는데, 실제적인 사용 과정에서 장치가 보이지 않을때, 물리적인 버튼은 사용자로 하여금 더 쉽게 위치를 확정할수 있다.
또는, 상기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은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 구역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은 스크린 위의 플로우팅 버튼으로 표시된다. 사용자의 오퍼레이션이 편리하도록 상기 플로우팅 버튼은 스크린의 코너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을 통하여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를 전환시킬수 있으며, 단말 장비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연결시킨 다음 사용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플로우팅 버튼을 볼수 있다.
두번째 방법:
미리 설정한 궤적 도형을 통하여,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링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원 모양을 그리면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링 하게된다. 여기서 구체적인 궤적 도형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202단계,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슬라이딩 될때,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획득한다.
203단계, 단말 장비가 표시하는 내용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하는 내용은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포함하되,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모바일 고화질 링크(MHL,Mobile High-Definition Link)의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는데, 다만 이상의 전송 방법에만 한정하는것이 아니다.
204단계, 단말 장비에서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표시하는 동시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도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표시한다.
여기서,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표시하되, 상기 슬라이딩 궤적은 손가락이 슬라이딩한 라인, 또는 손가락의 움짐임을 뒤따른 표기(점,원 등)로 표시한다.
205단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슬라이딩 궤적에 따라,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것을 확정한다.
206단계,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된 것을 확정한 다음, 단말 장비 위에서의 손가락의 슬라이딩을 멈추고,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을 떠나되, 터치스크린과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한다.
207단계, 단말 장비가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 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가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을 통하여 단말 장비를 트리거링 모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미리 설정한 궤적 도형을 통하여 단말 장비를 트리거링 모드로 전환시킨다. 동작 모드의 전환은 도3(a),도3(b)에 도시한바와 같으되, 도면에 도시한 두가지 방법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208단계, 단말 장비가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 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트리거링 모드로 전환시킨다.
209단계, 단말 장비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대한 실시한 클릭, 슬라이딩 등 오퍼레이션 동작을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 장비는 상기의 205, 206단계의 목표 위치 및 손가락과 터치스크린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손가락이 목표위치 또는 목표 위치 주위의 구역에 대한 오퍼레이션 동작을 확정할 수 있다.
오퍼레이션의 편리를 위하여, 사용자는 한 손으로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를 전환 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오퍼레이션 기능을 트리거링 할수 있다.
210단계, 단말 장비가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오퍼레이션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오퍼레이션 명령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트리거링하여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비는 사용자의 클릭, 슬라이딩 등 오퍼레이션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트리거링하여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까지,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제어를 완성하게 된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새로운 오퍼레이션 제어를 실시할 경우, 여전히 상기 실시예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과 터치스크린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꼭 우선 단말 장비의 궤적 모드를 사용하여 손가락의 위치를 측정한 다음, 단말 장비의 트리거 모드를 통하여 터치스크린에 대한 오퍼레이션 제어를 구현한다.
또한, 만일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이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 구역의 플로우팅 버튼으로 설정 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간내에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터치스크린이 표시한 상기 플로우팅 버튼을 숨기거나, 또는 미리 설치한 닫기 버튼을 통하여 상기 표시되는 플로우팅 버튼을 닫아 버릴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스크린을 관람하는 과정에서 플로우팅 버튼이 사용자의 시선을 가리는것을 피면할수 있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전환 시키는것을 통하여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되, 구체적인 절차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401단계, 터치스크린 제어 프로그램이 켜진다음,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디폴트한다.
402 단계,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슬라이딩 될때,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획득한다.
403 단계, 단말 장비가 표시하는 내용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하는 내용은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포함하되,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또는 모바일 고화질 링크(MHL)의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는데, 다만 이상의 전송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404단계, 단말 장비에서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표시하는 동시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도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표시한다.
여기서,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표시하되, 상기 슬라이딩 궤적은 손가락이 슬라이딩한 라인, 또는 손가락의 움짐임을 뒤따른 표기(점,원 등)로 표시한다.
405단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슬라이딩 궤적에 따라,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것을 확정한다.
406단계,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된 것을 확정한 다음, 단말 장비 위에서의 손가락의 슬라이딩을 멈추고,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을 떠나되, 손가락과 터치스크린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한다.
407단계, 단말 장비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슬라이딩을 멈추고 터치스크린을 떠나는것을 검출하는 순간,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타이머를 시작한다.
408단계, 단말 장비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대한 실시한 클릭, 슬라이딩 등 오퍼레이션 동작을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 장비에 동작 모드를 표시하는 표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되는 표기를 통하여 현재의 동작 모드 상황을 알수 있다.
409단계, 단말 장비가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오퍼레이션 명령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오퍼레이션 명령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트리거링하여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비는 사용자의 클릭, 슬라이딩 등 오퍼레이션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트리거링하여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410 단계, 타이머가 미리 설정한 시간에 도달하면, 단말 장비가 터치스크린을 트리거 모드로부터 궤적 모델(track mode)에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미리 설정한 시간은 사용자가 수요에 따라 자체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타이머의 시간도 스크린 상에 동시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오퍼레이션 동작을 진행할 경우,여전히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과 터치스크린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꼭 우선 단말 장비의 궤적 모드를 사용하여 손가락의 위치를 측정한 다음, 단말 장비의 트리거 모드를 통하여 터치스크린에 대한 오퍼레이션 제어를 구현한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한 기간내에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단말 장비 위의 동작 모드 표기는 숨기거나, 또는 미리 설치한 닫기 버튼을 통하여 상기 표시되는 플로우팅 버튼을 닫아 버릴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스크린을 관람하는 과정에서 상기 표기가 사용자의 시선을 가리는것을 피면할수 있다.
실시예4:
동일한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출발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에 근거하여, 상응하게,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하되, 단말 장비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시킨 다음,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이 보이지 않을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장치의 구조 예시도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다음의 수단들을 포함한다.
모드 확정 유닛(501)은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확정한다.
디스플레이 유닛(502),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슬라이딩한 경우,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획득하여 단말 장비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동기적으로 표시한다.
모드 전환 유닛(503), 전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킨다.
처리 유닛(504),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오퍼레이션 명령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오퍼레이션 명령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트리거링한다.
또한, 모드 확정 유닛(501)은 상기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이 궤적 모델(track mode)상태로 켜져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은 상기 단말 장비의 사이드 버튼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 구역에 설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와 트리거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것을 제어하는데 구체적으로 사용된다.
또는 모드 확정 유닛(501)은 미리 설정한 궤적 도형을 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링 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초기에 궤적 모델(track mode)에서 동작하도록 디폴트하는데 구체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502)는 상기 단말 장비가 표시하는 내용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다. 상기 표시하는 내용은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궤적은 모바일 장치와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시에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슬라이딩 궤적에 따라, 상기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된 것을 확정하고, 상기 손가락이 슬라이딩을 멈추고,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을 떠나되, 상기 손가락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단말 장비에 동작 모드 전환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모드 전환 유닛(503)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슬라이딩 궤적에 따라,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것을 확정한 다음, 상기 손가락의 슬라이딩을 멈추고, 상기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을 떠나되,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며, 동작 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 받으면,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키는데 구체적으로 사용되는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슬라이딩 궤적에 따라, 상기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것을 확정하고, 상기 손가락이 슬라이딩을 멈추고,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을 떠나되, 상기 손가락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는것을 더 포함한다. 모드 전환 유닛(503)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슬라이딩 궤적에 따라,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것을 확정한 다음, 상기 손가락의 슬라이딩을 멈추고, 상기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을 떠나되, 상기 손가락과 터치스크린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며, 손가락이 슬라이딩을 멈추고 터치스크린을 떠나는것을 검출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로 전환시키는데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퍼레이션 명령은 사용자가 상기 목표 위치 및 상기 손가락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입력한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502)는 만일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이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 구역의 플로우팅 버튼으로 설치되고 소정의 기간내에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이 표시하는 상기 플로우팅 버튼을 숨기거나, 또는 미리 설치한 닫기 버튼을 통하여 상기 표시되는 플로우팅 버튼을 닫아버리는데 구체적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각 수단의 기능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흐름중의 상응한 처리 단계에 대응 되기 때문에 여기서 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은,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확정하며,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슬라이딩한 경우,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획득하여 단말 장비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동시에 표시하되,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궤적은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 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을 트리거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오퍼레이션 명령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오퍼레이션 명령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을 트리거링하여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방법을 이용하면,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정확도가 더욱 높을 뿐만아니라, 아무런 하드웨어도 증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도 절감하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현 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상기의 모듈 분할 방식이 대 다수의 모듈 분할 방식중의 일종이며, 만일 다른 모듈로 분할하거나, 또는 모듈로 분할하지 않아도,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가 상기의 기능을 구비한다면,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내에 속하여야 한다는 것을 응당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진행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만일 본 발명에 대한 이러한 수정과 변형이 본 발명의 첨구범위 및 동등한 기술범위내에 속한다면, 이러한 변형과 수정도 본 발명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단말 장비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연결시킨 다음,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이 보이지 않을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확정하는 단계;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슬라이딩한 경우,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획득하여 단말 장비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동기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전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오퍼레이션 명령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오퍼레이션 명령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궤적은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확정하는 단계가,
    상기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이 궤적 모델(track mode) 상태로 켜져 있는지 확인하되, 여기서 상기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은 상기 단말 장비의 사이드 버튼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 구역에 설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와 트리거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단계;
    또는 미리 설정한 궤적 도형을 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링 하는 단계;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초기에 궤적 모델(track mode)에서 동작하도록 디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전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키는 단계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슬라이딩 궤적에 따라,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것을 확정한 다음, 상기 손가락이 슬라이딩을 멈추고, 상기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을 떠나되,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가 동작 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 받으면,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전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키는 단계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슬라이딩 궤적에 따라,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것을 확정한 다음, 상기 손가락이 슬라이딩을 멈추고, 상기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을 떠나되,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 및
    손가락이 슬라이딩을 멈추고 터치스크린을 떠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이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 구역의 플로우팅 버튼으로 설치되되, 소정의 기간내에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이 표시하는 상기 플로우팅 버튼을 숨기거나, 또는 미리 설치한 닫기 버튼을 통하여 상기 플로우팅 버튼을 닫아버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6. 단말 장비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시킨 다음,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이 보이지 않을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로 동작함을 확정하는 모드 확정 유닛;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슬라이딩한 경우, 손가락의 슬라이딩 궤적을 획득하여 단말 장비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슬라이딩 궤적을 동기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전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키는데 사용되는 모드 전환 유닛;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손가락으로부터의 오퍼레이션 명령을 검출한 경우, 상기 오퍼레이션 명령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트리거링하는데 사용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궤적은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확정 유닛은,
    상기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이 궤적 모델(track mode) 상태로 켜져 있는지 확인하되, 여기서 상기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은 상기 단말 장비의 사이드 버튼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 구역에 설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이 궤적 모델(track mode)와 트리거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을 제어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한 궤적 도형을 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링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초기에 궤적 모델(track mode)에서 동작하도록 디폴트하는데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유닛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슬라이딩 궤적에 따라,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것을 확정한 다음, 상기 손가락이 슬라이딩을 멈추고, 상기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을 떠나되,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며;
    동작 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 받으면,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에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유닛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슬라이딩 궤적에 따라, 손가락이 목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것을 확정한 다음, 상기 손가락이 슬라이딩을 멈추고, 상기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을 떠나되, 상기 터치스크린과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며;
    손가락이 슬라이딩을 멈추고 터치스크린을 떠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궤적 모델(track mode)로부터 트리거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제어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만일 단말 장비의 동작 모드 전환 버튼이 단말 장비의 터치스크린 구역의 플로팅 버튼으로 설치되되, 소정의 기간내에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이 표시하는 상기 플로우팅 버튼을 숨기거나, 또는 미리 설치한 닫기 버튼을 통하여 상기 플로우팅 버튼을 닫아버리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KR1020167028658A 2014-06-16 2015-06-16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24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66809.9A CN104063092B (zh) 2014-06-16 2014-06-16 一种触摸屏控制方法及装置
CN201410266809.9 2014-06-16
PCT/CN2015/081534 WO2015192763A1 (zh) 2014-06-16 2015-06-16 一种触摸屏控制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136A true KR20160127136A (ko) 2016-11-02
KR101724533B1 KR101724533B1 (ko) 2017-04-07

Family

ID=5155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658A KR101724533B1 (ko) 2014-06-16 2015-06-16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23779B2 (ko)
JP (1) JP6105822B1 (ko)
KR (1) KR101724533B1 (ko)
CN (1) CN104063092B (ko)
WO (1) WO2015192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3092B (zh) * 2014-06-16 2016-12-07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控制方法及装置
JP5933093B1 (ja) * 2015-11-04 2016-06-08 株式会社Cygames 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KR102452771B1 (ko) * 2015-11-18 2022-10-1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희망 지점 설정 방법 및 이동체의 주행 경로 설정 방법
CN105554157B (zh) * 2016-01-21 2019-06-14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数据同步方法、装置及系统
CN107229379A (zh) * 2016-03-26 2017-10-03 谭登峰 用于调节红外光平面的调试装置
CN106775400A (zh) * 2016-12-12 2017-05-3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按键显示方法及系统
CN109429091A (zh) * 2017-08-31 2019-03-05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提升直播观看体验的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及系统
KR102225193B1 (ko) * 2019-02-14 2021-03-09 데이터킹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거치대형 가상현실 체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체험 방법
US10956016B1 (en) * 2019-11-14 2021-03-23 Rockwell Collins, Inc. No look touchscreen panel / CDU
CN111857337A (zh) * 2020-07-10 2020-10-30 成都天翼空间科技有限公司 一种vr头控的切换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9928A1 (en) * 2010-01-08 2011-07-14 Kopin Corporation Video eyewear for smart phone gam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04931C (zh) * 2005-01-27 2007-03-14 北京理工大学 一种头戴式立体视觉手势识别装置
US8344998B2 (en) * 2008-02-01 2013-01-01 Wimm Labs, Inc. Gesture-based power management of a wear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JP4824793B2 (ja) * 2009-07-06 2011-11-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ウエアラブル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673161B (zh) * 2009-10-15 2011-12-07 复旦大学 一种可视可操作无实体的触摸屏系统
JP5207145B2 (ja) * 2009-12-24 2013-06-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3125247A (ja) * 2011-12-16 2013-06-24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情報表示装置
JP5957875B2 (ja) * 2011-12-26 2016-07-27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103019377A (zh) * 2012-12-04 2013-04-03 天津大学 基于头戴式可视显示设备的输入方法及装置
US9202313B2 (en) * 2013-01-21 2015-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 interaction with image projection
CN103513865A (zh) * 2013-04-27 2014-01-1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触控设备及控制其配置操作模式的方法、装置
US10302944B2 (en) * 2013-06-28 2019-05-28 Seiko Epson Corporation Head-mount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 type display device
CN103336579A (zh) * 2013-07-05 2013-10-0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穿戴式设备的输入方法和穿戴式设备
CN103763431A (zh) * 2013-12-31 2014-04-30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可穿戴设备的移动终端及其可穿戴设备
CN103823563B (zh) * 2014-02-28 2016-11-09 北京云视智通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智能显示设备
CN104063092B (zh) * 2014-06-16 2016-12-07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控制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9928A1 (en) * 2010-01-08 2011-07-14 Kopin Corporation Video eyewear for smart phone ga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05822B1 (ja) 2017-03-29
CN104063092B (zh) 2016-12-07
CN104063092A (zh) 2014-09-24
WO2015192763A1 (zh) 2015-12-23
JP2017513084A (ja) 2017-05-25
KR101724533B1 (ko) 2017-04-07
US9823779B2 (en) 2017-11-21
US20170131839A1 (en)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533B1 (ko) 터치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513618B2 (en) All-in-one machine and method and computer memory medium for realizing quick touch in all channels thereof
CN105955607B (zh) 内容分享方法和装置
KR102171082B1 (ko) 지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282022B2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working mode of touch screen
WO2014129102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60054860A1 (en) Input device
CN109683764B (zh) 一种图标管理方法及终端
CN102799373B (zh) 电子设备、生成输入区域的方法和终端设备
US1077914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first electronic device
CN111046447A (zh) 权限控制方法和权限控制系统
KR20160025914A (ko) 블록을 설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5487764B (zh) 一种基于快捷菜单的人机交互方法及装置
CN109196860B (zh) 一种多视角图像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KR20160059148A (ko)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스마트 tv
KR20130085604A (ko)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2015049836A (ja) 携帯端末
EP3040820B1 (en) Content playback apparatus and content playing method
KR20150098960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31981A (ko) 사용자 동작 인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전기 사용 장치
TW201624292A (zh) 顯示系統與顯示方法
JP2016062169A (ja) 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