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680A - 회전 변동 흡수 댐퍼 - Google Patents

회전 변동 흡수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680A
KR20160126680A KR1020150058066A KR20150058066A KR20160126680A KR 20160126680 A KR20160126680 A KR 20160126680A KR 1020150058066 A KR1020150058066 A KR 1020150058066A KR 20150058066 A KR20150058066 A KR 20150058066A KR 20160126680 A KR20160126680 A KR 20160126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ub
pulley
shaped mass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코 나리타
마사카즈 세키네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5005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6680A/ko
Publication of KR2016012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4Elastomeric springs
    • F16F15/126Elastomeric springs consisting of at least one annular element surrounding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한 후의 풀리(4)의 V 홈(41a)의 축방향 위치 정밀도의 불량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는 회전 변동 흡수 댐퍼를 제공한다.
허브(1)와, 그 외주 측에 배치된 링형상 질량체(2)의 사이에 제 1 탄성체(3)가 일체로 접착되고, 링형상 질량체(2)에 설치한 스러스트 서포터(23)에 지지된 스러스트 베어링(7)에 의해 축방향 변위가 규제되는 동시에 링형상 질량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풀리(4)와, 링형상 질량체(2)의 사이에 제 2 탄성체(6)가 일체로 접착된 구조를 구비하며, 링형상 질량체(2) 측과 허브(1) 측의 사이에, 상기 링형상 질량체(2) 측과 허브(1) 측을 축방향 양측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압입(壓入) 끼움결합면(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변동 흡수 댐퍼.

Description

회전 변동 흡수 댐퍼{ROTATIONAL FLUCTUATION ABSORBING DAMPER}
본 발명은, 내연기관 등의 회전 기기에 설치되어 토크(torque)를 전달하는 동시에 그 회전 변동을 흡수하여 벨트 구동을 평활화(平滑化)하는 회전 변동 흡수 댐퍼에 관한 것이다.
회전 변동 흡수 댐퍼로서, 종래부터 예컨대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회전 변동 흡수 댐퍼는,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크랭크 샤프트(crank shaft)에 설치되는 크랭크 풀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크랭크 샤프트에 부착되어 상기 크랭크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허브(hub, 100)와, 상기 허브(100)의 외주 측에 배치된 다이나믹 댐퍼부(110) 및 커플링부(120)를 구비한다.
다이나믹 댐퍼부(110)는, 허브(100)의 외통부(外筒部, 101)와, 그 외주에 배치된 링형상 질량체(111)를, 제 1 탄성체(112)를 통해 탄성적으로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커플링부(120)는, 허브(100)의 외통부(101)에 래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 12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풀리(121)를, 이 풀리(121)의 축방향 일단으로부터 내경(內徑)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내향(內向) 플랜지부(121a)와 허브(100)의 내통부(內筒部, 102)에 끼움 부착된 커플링 서포터(coupling supporter, 122)의 사이에 가류(加硫) 접착된 제 2 탄성체(123)를 통해 탄성적으로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또, 허브(100)의 내통부(102)에 끼움 부착된 스러스트 서포터(124)와 풀리(121)의 내향 플랜지부(121a)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26)이 개재(介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변동 흡수 댐퍼는, 제 1 탄성체(112)와 링형상 질량체(111)로 구성되는 다이나믹 댐퍼부(110)가, 소정의 진동수 대역(域)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공진(共振)함에 따른 동적 흡진(吸振) 효과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의 비틀림 진동의 피크(peak)를 저감하는 동시에, 크랭크 샤프트로부터 허브(100)에 입력된 구동 토크를, 커플링부(120)에 있어서의 제 2 탄성체(123)의 원주 방향 전단(剪斷) 변형 작용에 의해 회전 변동을 흡수하면서 풀리(121)에 전달하여, 상기 풀리(121)에 감긴 벨트의 구동을 평활화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2-20247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107637호
여기서, 풀리(121)에 감기는 벨트는 V 리브드 벨트(V-ribbed belt)라 불리는 것으로서, 풀리(1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평행 V 홈(121b)에 압접(壓接)하여 구동력 전달에 필요한 큰 마찰력을 얻기 위한 복수의 리브가 벨트 구동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 풀리의 경우, 도시되지 않은 크랭크 샤프트와 축방향으로 서로 맞붙는(衝合) 허브(100)의 보스부(103)에 있어서의 배면 측(내연기관 측)의 단면(端面, 103a)이, 치수 정밀도의 기준면이 되어, 상기 단면(103a)으로부터 풀리(121)의 V 홈(121b)까지의 축방향 거리를 고정밀도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크랭크 풀리에 회전 변동 흡수 댐퍼를 채용한 경우, 회전 변동 흡수 댐퍼는 구성부품이 많아, 각 부품의 치수 공차(公差)의 누적으로 인해, 허브(100)의 보스부(103)의 단면(103a)에 대한 풀리(121)의 V 홈(121b)의 축방향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예컨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종래의 회전 변동 흡수 댐퍼의 경우, 허브(100)의 보스부(103)와 풀리(121)의 사이에, 스러스트 서포터(124) 및 스러스트 베어링(126)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를 허브(100)에 조립 설치할 때에, 끼움결합 위치의 공차 외에, 허브(100)의 보스부(103)의 치수 공차, 스러스트 베어링(126)의 치수 공차, 풀리(121)의 내향 플랜지부(121a)의 치수 공차 등이 겹쳐, 풀리(121)의 V 홈(121b)의 축방향 위치 정밀도의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풀리(121)의 V 홈(121b)의 축방향 위치 정밀도에 따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리(121)와 벨트(200)의 사이에 축방향에 대한 오정렬(misalignment, δ)이 있으면, 풀리(121)의 회전과 이에 수반되는 벨트(200)의 주행에 있어서, 벨트(200)의 리브(200a)가 V 홈(121b)에 맞물려 가는 과정에서, 리브(200a)가 V 홈(121b)의 내측면에 연속적으로 맞스침에 따라 스틱-슬립(stick-slip)을 일으켜, 벨트 구동력의 저하나 이음(異音)의 발생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회전 변동 흡수 댐퍼는, 풀리(121)의 V 홈(121b)의 축방향 위치 정밀도의 불량이, 허브(100)의 보스부(103)에 대한 스러스트 서포터(124)의 압입(壓入)시의 밀어넣음량(押入量) 부족에 기인하는 것인 경우, 스러스트 서포터(124)를 더 밀어 넣음으로써 V 홈(121b)의 축방향 위치 정밀도를 수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과도하게 밀어넣음에 따른 축방향 위치 정밀도의 불량은, 구조상 수정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기술적 과제는, 조립한 후의 풀리의 V 홈의 축방향 위치 정밀도의 불량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는 회전 변동 흡수 댐퍼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유효하게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회전 변동 흡수 댐퍼는, 허브와, 그 외주 측에 배치된 링형상 질량체의 사이에 제 1 탄성체가 일체로 접착되고, 상기 링형상 질량체에 설치한 스러스트 서포터에 지지된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해 축방향 변위가 규제되는 동시에 상기 링형상 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풀리와, 상기 링형상 질량체의 사이에 제 2 탄성체가 일체로 접착된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링형상 질량체 측과 상기 허브 측과의 사이에, 상기 링형상 질량체 측과 상기 허브 측을 축방향 양측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압입 끼움결합면을 갖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회전 변동 흡수 댐퍼는, 스러스트 서포터와 스러스트 베어링의 끼움결합 공차나, 스러스트 서포터, 스러스트 베어링, 풀리, 허브의 각 치수 공차 등이 겹침에 따라, 허브에 대한 풀리의 V 홈의 축방향 위치 정밀도의 불량이 있었을 경우에, 링형상 질량체 측과 허브 측을, 양자 사이에 위치하는 압입 끼움결합면에 의해 축방향으로 적절히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V 홈의 축방향 위치를 수정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회전 변동 흡수 댐퍼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허브가, 제 1 탄성체의 내주 측에 접착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된 허브 본체로 이루어지며, 축방향 양측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압입 끼움결합면이, 상기 슬리브와 상기 허브 본체와의 압입 끼움결합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회전 변동 흡수 댐퍼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링형상 질량체 및 스러스트 서포터가, 제 1 탄성체의 외주 측에 접착된 슬리브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되며, 축방향 양측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압입 끼움결합면이, 상기 슬리브와 상기 링형상 질량체 본체 및 상기 스러스트 서포터와의 압입 끼움결합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회전 변동 흡수 댐퍼에 의하면, 허브에 대한 풀리의 V 홈의 축방향 위치 정밀도의 불량이 있다 하더라도, 이를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풀리와 벨트의 사이에서의 축방향으로의 오정렬에 기인하는 스틱-슬립이나, 이에 따른 벨트 구동력의 저하 및 이음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변동 흡수 댐퍼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를, 축심(O)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반(半)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 변동 흡수 댐퍼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를, 축심(O)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관한 회전 변동 흡수 댐퍼의 일례를, 축심(O)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4는 풀리와 벨트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의 오정렬을 일으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회전 변동 흡수 댐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정면 측」이란, 도면에 있어서의 좌측이면서 차량의 프론트(front) 측이고, 「배면 측」이란 각 도면에 있어서의 우측이면서 도시되지 않은 내연기관이 존재하는 측을 말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변동 흡수 댐퍼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 중의 참조 부호 1은,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용 내연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에 부착되는 허브이다. 상기 허브(1)는, 금속재료의 주조(鑄造)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서, 크랭크 샤프트의 축단(軸端)이 삽입되는 보스부(11)와, 상기 보스부(11)의 정면 측의 단부(端部)로부터 외경(外徑) 측으로 연장되는 중간부(12)와, 그 외주로부터 정면 측을 향하여 보스부(11)와 동심(同心)의 원통형상으로 연장되는 외주 통부(筒部)(13)로 이루어진다. 11a는 보스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키 홈이다.
허브(1)의 외주 통부(13)의 외주면에는, 금속제의 슬리브(sleeve, 14)가 압입되어 끼움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14)는 단순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14)의 축방향 양단과, 허브(1)의 외주 통부(13)의 축방향 양단은 축방향 양측(정면 측 및 배면 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외주 통부(13)와 슬리브(14)의 압입 끼움결합면(10)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링형상 질량체 측과 허브 측을 축방향 양측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압입 끼움결합면」에 상당하는 것이다.
슬리브(14)의 외주 측에는 링형상 질량체(2)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링형상 질량체(2)와 상기 슬리브(14)는, 제 1 탄성체(3)를 통해 원주 방향으로 상대 변위가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연결되며, 이로써 다이나믹 댐퍼부(D)가 구성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링형상 질량체(2)는, 관성 질량이 큰 풀리 지지링(21)과, 상기 풀리 지지링(21)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된 커플링 서포터(22) 및 스러스트 서포터(23)로 이루어진다.
그 중 풀리 지지링(21)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슬리브(14)와 대략 동등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 내주 통부(21a)와, 그 정면 부근의 위치로부터 외경 측으로 전개된 원반부(21b)와, 또한 상기 원반부(21b)의 외경 단부로부터 배면 측으로 연장되는 외주 통부(21c)로 이루어지며, 축심(O)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단한 형상(도시된 단면(斷面) 형상)이 대략 ㄷ자형을 이룬다.
또, 커플링 서포터(22)는 금속판의 펀칭 프레스(punching press) 등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서, 풀리 지지링(21)의 내주 통부(21a)에 있어서의 정면 부근(원반부(21b) 부근)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된 부착 통부(22a)와, 그 정면 측의 단부로부터 정면 측으로 쓰러진 원추면 형상을 이루며 전개(展開)된 외향(外向) 플랜지부(22b)로 이루어진다.
또, 스러스트 서포터(23)는 금속판의 펀칭 프레스 등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서, 풀리 지지링(21)의 내주 통부(21a)에 있어서의 배면 부근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된 부착 통부(23a)와, 그 배면 측의 단부로부터 원반형상으로 전개된 지지 플랜지부(23b)로 이루어지는 단면(斷面)이 대략 L자형을 이룬다.
제 1 탄성체(3)는, EPDM(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등의 고무상(rubber-like) 탄성 재료(고무 재료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허브(1) 측의 슬리브(14)의 외주면과, 링형상 질량체(2)에 있어서의 풀리 지지링(21)의 내주 통부(21a)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가류 접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탄성체(3)는, 도시되지 않은 금형에, 슬리브(14)와 풀리 지지링(21)을 서로 동심적(同心的)으로 세팅하고, 형(型) 조임(mold clamping)에 의해 슬리브(14)의 외주면과 풀리 지지링(2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구획형성되는 링형상의 캐비티(cavity)에, 성형용 고무 재료를 충전하여 가열·가압함으로써, 가류 성형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14)의 외주면 및 풀리 지지링(21)의 내주면에 가류 접착한 것이다.
다이나믹 댐퍼부(D)의 비틀림 방향 고유 진동수는, 제 1 탄성체(3)의 스프링 정수(定數)와, 풀리 지지링(21), 커플링 서포터(22) 및 스러스트 서포터(23)를 포함하는 링형상 질량체(2)의 관성 질량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의 비틀림 각(角)이 최대가 되는 소정의 진동수 대역, 바꾸어 말하면 크랭크 샤프트의 비틀림 방향 고유 진동수와 합치하도록 동조(同調)되어 있다.
참조 부호 4는 풀리이다. 상기 풀리(4)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링형상 질량체(2)에 있어서의 풀리 지지링(21)의 외주 통부(21c)에 내마모성이 뛰어난 저마찰 재료에 의해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래디얼 베어링(5)을 통해 지지된 풀리 본체(41)와, 그 배면 측의 단부로부터 링형상 질량체(2)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서포터(23)의 지지 플랜지부(23b)의 정면 측에서 내경(內徑) 측으로 연장되는 내향 플랜지부(42)로 이루어진다. 풀리 본체(41)의 외주면에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V 홈(41a)이 형성되어 있어, 도시되지 않은 무단(無端) 벨트가 감기게 되어 있다.
링형상 질량체(2)에 있어서의 커플링 서포터(22)의 외향 플랜지부(22b)와, 그 배면 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대향되는 풀리(4)의 내향 플랜지부(42)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탄성체(6)를 통해, 원주 방향으로 상대 변위가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써, 커플링부(C)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탄성체(6)는, EPDM 등의 고무상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커플링 서포터(22)의 외향 플랜지부(22b)와, 풀리(4)의 내향 플랜지부(42)에 일체적으로 가류 접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 2 탄성체(6)는, 도시되지 않은 금형에 커플링 서포터(22)와 풀리(4)를 동심적으로 세팅하고, 형 조임에 의해 상기 커플링 서포터(22)의 외향 플랜지부(22b)와 풀리(4)의 내향 플랜지부(42)와의 사이에 구획형성되는 캐비티에, 성형용 고무 재료를 충전하여 가열·가압함으로써, 가류 성형과 동시에 상기 외향 플랜지부(22b)와 내향 플랜지부(42)에 가류 접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탄성체(6)는, 크랭크 샤프트로부터 허브(1) 및 제 1 탄성체(3)를 통해 링형상 질량체(2)에 입력된 구동 토크를, 원주 방향의 전단 변형에 의해 평활화하면서 풀리(4)에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크랭크 샤프트의 토크 변동은, 아이들링(idling) 이하의 저회전 영역에서 커지기 때문에, 상기 제 2 탄성체(6)는, 스프링 정수를 극력히 낮게 하는 동시에 비틀림 방향으로의 허용 변형량을 극력히 크게 하고, 또한 충분한 토크 전달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축방향 및 지름방향 두께가 충분히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커플링 서포터(22)의 외향 플랜지부(22b)가 원추면 형상을 이룸에 따라, 제 2 탄성체(6)는 축방향 두께가 외주 측일수록 증대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링형상 질량체(2)와 풀리(4)의 사이에서 원주 방향 전단 변형을 받았을 때에, 내주 측과 외주 측에서 변형 응력(歪應力, strain stress)이 거의 균일해지게 되어 있다.
링형상 질량체(2)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서포터(23)의 지지 플랜지부(23b)와, 풀리(4)의 내향 플랜지부(42)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7)이 개재하고 있다.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7)은, 래디얼 베어링(5)과 마찬가지로 내마모성이 뛰어난 저마찰 계수의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평(平)와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 변동 흡수 댐퍼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 2 탄성체(6)에는, 스러스트 베어링(7)을 통해 가압되는 풀리(4)의 내향 플랜지부(42)와, 커플링 서포터(22)의 외향 플랜지부(22b)의 사이에서, 축방향의 적당한 사전 압축(precompression)이 부여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회전 변동 흡수 댐퍼는, 자동차용 내연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의 축단에, 허브(1)의 보스부(11)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크랭크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회전되며, 그 구동 토크를, 풀리(4)의 풀리 본체(41)에 감긴 도시되지 않은 벨트를 통해 보조 기기(補機)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저회전 영역에서 크랭크 샤프트에 현저하게 발생하는 회전 변동(회전 속도의 변동)은, 허브(1)로부터 제 1 탄성체(3)를 통해 링형상 질량체(2)에 전달되지만, 상기 링형상 질량체(2)에 있어서의 커플링 서포터(22)의 외향 플랜지부(22b)와, 풀리(4)의 내향 플랜지부(42)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제 2 탄성체(6)는, 제 1 탄성체(3)에 비해 원주 방향 전단(剪斷) 스프링 정수가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입력된 회전 변동에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반복하여 전단 변형되어, 이 회전 변동을 흡수한다. 이 때문에, 풀리(4)의 풀리 본체(41)에 감긴 벨트와의 슬립이 방지된다.
또, 다이나믹 댐퍼부(D)는, 크랭크 샤프트의 공진에 의해 비틀림 각이 최대가 되는 진동수 대역에서 원주 방향으로 공진하며, 그 공진에 의한 토크는, 입력 진동의 토크와 방향이 반대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적 흡진 작용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의 공진에 의한 비틀림 각의 피크를 유효하게 저감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의 회전 변동 흡수 댐퍼는, 허브(1)와 풀리(4)의 사이에, 슬리브(14), 제 1 탄성체(3), 풀리 지지링(21), 스러스트 서포터(23) 및 스러스트 베어링(7)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의 치수 공차나 끼움결합 위치의 공차 등에 의해, 풀리(4)의 V 홈(41a)의 축방향 위치 정밀도의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러한 경우, 도시되지 않은 지그(治具)를 이용하여, 허브(1)에 대해 슬리브(14)를 축방향 정면 측 혹은 배면 측으로 가압하여 적절히 상대 이동시키거나, 혹은 슬리브(14)에 대해 허브(1)를 축방향 정면 측 혹은 배면 측으로 가압하여 적절히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압입 끼움결합면(10)의 외주 측에 배치된, 슬리브(14)로부터 풀리(4)까지의 모든 부재가, 허브(1)에 대하여 축방향 정면 측 혹은 배면 측으로 상대 이동하기 때문에, 허브(1)에 대한 풀리(4)의 V 홈(41a)의 축방향 위치를 수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풀리(4)와 여기에 감긴 도시되지 않은 벨트의 사이에서의 축방향으로의 오정렬에 기인하는 스틱-슬립이나, 이로 인한 벨트 구동력의 저하 및 이음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 변동 흡수 댐퍼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링형상 질량체 측과 허브 측을 축방향 양측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압입 끼움결합면」이, 제 1 탄성체(3)보다 외주 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자세하게는, 허브(1)의 외주 통부(13)의 외주 측에는, 금속제의 슬리브(24)가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24)는 단순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허브(1)의 외주 통부(13)와 대략 동등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허브(1)의 외주 통부(13)와 슬리브(24)의 사이에는, EPDM(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등의 고무상 탄성 재료(고무 재료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탄성체(3)가 일체적으로 가류 접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탄성체(3)는, 도시되지 않은 금형에, 허브(1)와 슬리브(24)를 서로 동심적으로 세팅하고, 형 조임에 의해 허브(1)의 외주 통부(13)의 외주면과 슬리브(24)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구획형성되는 링형상의 캐비티에, 성형용 고무 재료를 충전하여 가열·가압함으로써, 가류 성형과 동시에 상기 외주 통부(13)의 외주면 및 슬리브(24)의 내주면에 가류 접착한 것이다.
링형상 질량체(2)는, 슬리브(24)와, 그 외주면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된 관성 질량이 큰 풀리 지지링(21) 및 스러스트 서포터(23)와, 풀리 지지링(21)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된 커플링 서포터(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링형상 질량체(2)가 허브(1)의 외주 통부(13)에 제 1 탄성체(3)를 통해 원주 방향으로 상대 변위가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다이나믹 댐퍼부(D)가 구성되어 있다.
풀리 지지링(21)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슬리브(24)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정면 부근의 위치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된 내주 통부(21a)와, 그 정면 부근의 위치로부터 외경 측으로 전개된 원반부(21b)와, 또한 상기 원반부(21b)의 외경 단부로부터 배면 측으로 연장되는 외주 통부(21c)로 이루어지며, 축심(O)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단한 형상(도시된 단면(斷面) 형상)이 대략 ㄷ자형을 이룬다.
또, 커플링 서포터(22)는 금속판의 펀칭 프레스 등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서, 풀리 지지링(21)의 내주 통부(21a)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된 부착 통부(22a)와, 그 정면 측의 단부로부터 정면 측으로 쓰러진 원추면 형상을 이루며 전개된 외향 플랜지부(22b)로 이루어진다.
또, 스러스트 서포터(23)는 금속판의 펀칭 프레스 등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서, 슬리브(24)에 있어서의 배면 부근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된 부착 통부(23a)와, 그 배면 측의 단부(端部)로부터 원반형상으로 전개된 지지 플랜지부(23b)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대략 L자형을 이룬다. 또, 부착 통부(23a)에 있어서의 정면 측의 단부는, 풀리 지지링(21)의 내주 통부(21a)에 있어서의 배면 측의 단부와 서로 맞붙어 있다.
슬리브(24)의 정면 측의 단부와 풀리 지지링(21)의 정면 측의 단부는, 정면 측으로 개방되어 있고, 슬리브(24)의 배면 측의 단부와 스러스트 서포터(23)의 배면 측의 단부는, 배면 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슬리브(24)와 풀리 지지링(21) 및 스러스트 서포터(23)와의 압입 끼움결합면(20)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링형상 질량체 측과 허브 측을 축방향 양측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압입 끼움결합면」에 상당하는 것이다.
그 밖의 부분은, 기본적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제 2 실시형태의 회전 변동 흡수 댐퍼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다.
즉 상기 구성의 회전 변동 흡수 댐퍼는, 허브(1)와 풀리(4)의 사이에, 제 1 탄성체(3), 슬리브(24), 스러스트 서포터(23) 및 스러스트 베어링(7)이 개재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의 치수 공차나 끼움결합 위치의 공차 등에 의해, 풀리(4)의 V 홈(41a)의 축방향 위치 정밀도의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러한 경우, 도시되지 않은 지그를 이용하여, 슬리브(24)와, 스러스트 서포터(23) 및 여기에 축방향으로 맞붙은 풀리 지지링(21)을, 축방향 정면 측 혹은 배면 측으로 가압하여 적절히 상대 이동시키거나, 혹은 스러스트 서포터(23) 및 풀리 지지링(21)에 대하여 슬리브(24)를, 축방향 정면 측 혹은 배면 측으로 가압하여 적절히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압입 끼움결합면(20)의 외주 측에 배치된, 스러스트 서포터(23) 및 풀리 지지링(21)으로부터 풀리(4)까지의 모든 부재가, 허브(1)에 대하여 축방향 정면 측 혹은 배면 측으로 상대 이동하기 때문에, 허브(1)에 대한 풀리(4)의 V 홈(41a)의 축방향 위치를 수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풀리(4)와 여기에 감긴 도시되지 않은 벨트의 사이에서의 축방향으로의 오정렬에 기인하는 스틱-슬립이나, 이에 따른 벨트 구동력의 저하 및 이음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1; 허브(hub)
10, 20; 압입(壓入) 끼움결합면
14, 24; 슬리브
2; 링형상 질량체
21; 풀리 지지링
22; 커플링 서포터
23; 스러스트 서포터
3; 제 1 탄성체
4; 풀리
5; 래디얼 베어링
6; 제 2 탄성체
7; 스러스트 베어링

Claims (3)

  1. 허브(hub)와, 그 외주 측에 배치된 링형상 질량체의 사이에 제 1 탄성체가 일체로 접착되고, 상기 링형상 질량체에 설치한 스러스트 서포터(thrust supporter)에 지지된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해 축방향 변위가 규제되는 동시에 상기 링형상 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풀리와, 상기 링형상 질량체의 사이에 제 2 탄성체가 일체로 접착된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링형상 질량체 측과 상기 허브 측의 사이에, 상기 링형상 질량체 측과 상기 허브 측을 축방향 양측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압입(壓入) 끼움결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변동 흡수 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허브가, 제 1 탄성체의 내주 측에 접착된 슬리브(sleeve)와, 상기 슬리브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된 허브 본체로 이루어지며, 축방향 양측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압입 끼움결합면이, 상기 슬리브와 상기 허브 본체와의 압입 끼움결합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변동 흡수 댐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링형상 질량체 및 스러스트 서포터가, 제 1 탄성체의 외주 측에 접착된 슬리브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끼움결합되고, 축방향 양측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압입 끼움결합면이, 상기 슬리브와 상기 링형상 질량체 본체 및 상기 스러스트 서포터와의 압입 끼움결합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변동 흡수 댐퍼.
KR1020150058066A 2015-04-24 2015-04-24 회전 변동 흡수 댐퍼 KR20160126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066A KR20160126680A (ko) 2015-04-24 2015-04-24 회전 변동 흡수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066A KR20160126680A (ko) 2015-04-24 2015-04-24 회전 변동 흡수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680A true KR20160126680A (ko) 2016-11-02

Family

ID=5751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066A KR20160126680A (ko) 2015-04-24 2015-04-24 회전 변동 흡수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668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7637A (ja) 2005-10-14 2007-04-26 Nok Corp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2012202471A (ja) 2011-03-25 2012-10-22 Nissan Motor Co Ltd ダンパ付プー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7637A (ja) 2005-10-14 2007-04-26 Nok Corp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2012202471A (ja) 2011-03-25 2012-10-22 Nissan Motor Co Ltd ダンパ付プー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6012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US10253844B2 (en) Torsional vibrating damping assembly, in particular mass damper unit
US20080034918A1 (en) Multi-mode vibration damper having a spoked hub
US6955252B2 (en) Device for isolating torque fluctuations
WO2015191502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with an interlocked isolator
JP4632044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US20170082177A1 (en) Self-aligning pulley
KR101610110B1 (ko) 차량용 알터네이터 댐퍼 풀리
JP4662044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CN109538733B (zh) 一种减振皮带轮
JP5472607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KR20160126680A (ko) 회전 변동 흡수 댐퍼
JP2017115927A (ja) クランクプーリ
JP4798364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5257617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2006194265A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6280345B2 (ja) 回転変動吸収ダンパ
KR101285815B1 (ko) 아이솔레이션 댐퍼풀리의 제조방법
JP4389106B2 (ja) アイソレーションプーリ
JP2001248689A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6100070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4743391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3994278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6280347B2 (ja) 回転変動吸収ダンパ
JP7013314B2 (ja) 回転変動吸収ダン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