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190A -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190A
KR20160126190A KR1020150056940A KR20150056940A KR20160126190A KR 20160126190 A KR20160126190 A KR 20160126190A KR 1020150056940 A KR1020150056940 A KR 1020150056940A KR 20150056940 A KR20150056940 A KR 20150056940A KR 20160126190 A KR20160126190 A KR 20160126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lance
frame
lubrican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작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5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6190A/ko
Publication of KR2016012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06Lances or inj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06Lances or injectors
    • C21C5/462Means for handling, e.g. adjusting, changing,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 제강 공정에 사용되는 진공 탈가스 설비와 같은 고온 운전 조건에 놓여지는 진공조의 진공유지를 위한 진공밀폐기구를 매개로 진공조에 출입되는 랜스에 윤활제를 공급하여 랜스와 진공조의 진공밀폐기구, 특히 진공밀폐기구의 인플레이트시일 간의 마찰 및 손상을 방지토록 하는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가능한 진공밀폐기구를 포함하는 진공조; 상기 진공조의 진공밀폐기구를 통하여 진공조에 출입하는 랜스(3); 및 상기 랜스(3)에 윤활제를 도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1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LUBRICATING APPARATUS FOR LANCE OF VACUUM VESSEL}
본 발명은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소 제강 공정에 사용되는 진공 탈가스 설비와 같은 고온 운전 조건에 놓여지는 진공조의 진공유지를 위한 진공밀폐기구를 매개로 진공조에 출입되는 랜스에 윤활제를 공급하여 랜스와 진공조의 진공밀폐기구, 특히 진공밀폐기구의 인플레이트시일 간의 마찰 및 손상을 방지토록 하는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조는 특히 기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공정 조건을 수행하기 위하여 내부를 진공 분위기 및/또는 희박 분위기로 유지되면서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진공조의 일종으로서, 고진공, 탈탄, 탈가스에 의해 고품질의 자동차용 극저탄소강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인 제철소 제강공장의 2차 정련용 진공 탈가스 설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탄, 탈가스 공정이 진행되는 진공조(1)와 상기 진공조(1)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HOT부(Hot-Off-Take part)(2) 및 상기 진공조(1)에 출입되는 랜스(3)를 포함하며, 상기 랜스(3)의 상기 진공조(1)로의 출입에도 불구하고 상기 진공조(1) 내부의 진공을 형성 및 유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HOT부(2)에 진공밀폐기구(4)가 설치된다.
상기 진공밀폐기구(4)는 랜스(3)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구조의 시일캡(5)과, 상기 시일캡(5)의 내부에 고정되어 팽창 및 수축되는 인플레이트시일(6)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진공밀폐기구(4)를 통하여 상기 진공조(1)로 랜스(3)를 진입시킨 후, 상기 시일캡(5) 내부의 상기 인플레이트시일(6)에 연결된 가스공급라인(7)을 통하여 가스, 대개는 질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인플레이트시일(6)을 팽창시켜 상기 인플레이트시일(6)이 상기 랜스(3)와 접촉하도록 한 후, 상기 진공조(1)에 연결된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 진공조(1) 내부의 기체들을 배기시켜 진공 분위기 및/또는 희박 분위기로 만들어 소정의 반응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응의 종료 후에는 역으로, 상기 인플레이트시일(6)에 충진되어 인플레이트시일(6)을 팽창시킨 가스를 배출시켜 인플레이트시일(6)을 수축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인플레이트시일(6)과 상기 랜스(3) 간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킨 후, 상기 랜스(3)를 상기 진공조(1)로부터 진출시키고, 진공조(1)의 교체 내지는 수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플레이트시일(6)의 팽창 및/또는 수축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공급라인(7)에는 일반적으로 가스단속밸브(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랜스(3)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밀폐기구(4)는 상기 시일캡(5)에 상기 랜스(3)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커버(9)가 더 구비되며, 이 가이드커버(9)는 바람직하게는 상광하협, 즉 상부가 넓게 개방되어 있고, 하방으로 진행할수록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을 가져, 랜스(3)가 정확하게 상기 진공밀폐기구(4)를 통하여 진공조(1) 내로 진입가능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공조(1) 설비, 특히, 제철소 제강공장의 2차 정련용 진공 탈가스 설비의 진공조의 경우, 여러 이유로, 특히 용강처리를 위한 고온의 운전 조건으로 인하여 내측이 내화처리된 대형의 진공조(1)가 사용되고, 용강의 탈탄, 탈가스 및/또는 승온 등을 위하여 랜스(3)를 통하여 다량의 산소 등의 처리가스를 공급하여야 하는 등 공정의 수행을 위한 가혹조건으로 인하여 진공조(1)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빈번하게 랜스(3)가 진공조(1)에 출입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랜스(3)와 진공조(1), 특히 진공조(1)의 진공밀폐기구(4) 간의 마찰로 인하여 랜스(3) 자체의 손상, 인플레이트실(6)의 손상 및/또는 가이드커버(9) 및/또는 진공밀폐기구(4)의 손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인플레이트실(6)의 손상의 경우, 진공조(1)의 진공 분위기 형성 내지는 진공 분위기의 유지 등이 어려워지고, 그에 따라, 진공조(1) 내에서 처리되는 피처리 대상인 용강 등의 처리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제철소 제강공장의 2차 정련용 진공 탈가스 설비의 상기 랜스(3)는 좌우로 가변되는 진공조(1)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하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랜스(3)가 진공조(1)의 진공밀폐기구(4)를 통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하게 출입되도록 운전하는 것이 어렵다는 데에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제철소 제강공장의 2차 정련용 진공 탈가스 설비의 상기 랜스(3)는 다종의 유체들, 예를 들어 산소, 천연가스, 공기, 질소 및 냉각수들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파이프들의 조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높은 중량을 가지고, 또한, 진공조(1)도 복수개로 운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러한 랜스(3)를 진공조(1)에 정확하게 출입시켜 랜스(3) 자체의 손상, 인플레이트실(6)의 손상 및/또는 가이드커버(9) 및/또는 진공밀폐기구(4)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2-0074392호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H08-176624호 문헌 3: 미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4-029895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공조, 특히 제철소 제강 공정에 사용되는 진공 탈가스 설비와 같은 고온 운전 조건에 놓여지는 진공조의 진공유지를 위한 진공밀폐기구를 매개로 진공조에 출입되는 랜스에 윤활제를 공급하여 랜스와 진공조의 진공밀폐기구, 특히 진공밀폐기구의 인플레이트시일 간의 마찰 및 손상을 방지토록 하는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를 제공함을 주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는 개폐가능한 진공밀폐기구를 포함하는 진공조; 상기 진공조의 진공밀폐기구를 통하여 진공조에 출입하는 랜스; 및 상기 랜스에 윤활제를 도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 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이 상기 랜스를 중심으로 랜스의 외면에 윤활제가 분사하도록 고정되는 노즐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고정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이 상기 랜스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고정프레임은 반원형의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힌지부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는 상기 노즐고정프레임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노즐변위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에 의하면, 진공조, 특히 제철소 제강 공정에 사용되는 진공 탈가스 설비와 같은 고온 운전 조건에 놓여지는 진공조의 진공유지를 위한 진공밀폐기구를 매개로 진공조에 출입되는 랜스에 윤활제를 공급하여 랜스와 진공조의 진공밀폐기구, 특히 진공밀폐기구의 인플레이트시일 간의 마찰 및 손상을 방지하고, 그에 의하여, 진공조의 운전 조건을 최적화하여 진공조의 가용시간을 증대시키고, 그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진공조로서 제철소 제강 공정에 사용되는 진공 탈가스 설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가 설치된 진공조로서 제철소 제강 공정에 사용되는 진공 탈가스 설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를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의 노즐고정프레임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를 사용하여 랜스에 윤활제를 분무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들 및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고 이해를 보조하기 위하여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는 개폐가능한 진공밀폐기구(4)를 포함하는 진공조(1); 상기 진공조(1)의 진공밀폐기구(4)를 통하여 진공조(1)에 출입하는 랜스(3); 및 상기 랜스(3)에 윤활제를 도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1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조(1)는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진공펌프(도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해 그의 내부가 진공 분위기 및/또는 희박 분위기로 되어 기체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거의 받지 않도록 하며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제철소 제강 공정에 사용되는 진공 탈가스 설비가 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탈가스 설비는 용강을 투입하고, 진공 분위기 및/또는 희박 분위기로 만든 후, 탈탄, 탈가스 공정이 진행되며, 이때, 탈탄, 탈가스 공정을 위하여 산소와 같은 공정가스들을 상기 진공조(1)내로 도입시키기 위하여 랜스(3)가 출입하게 된다. 특히, 제철소 제강 공정에 사용되는 진공 탈가스 설비와 같은 진공조(1)는 진공조(1)를 복수개 병행 운전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따라서 복수개의 진공조(1)는 각각이 좌우로 가변되고, 상기 진공조(1) 내로 출입하는 랜스(3)는 진공조(1) 상부의 한 위치에 상하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진공 탈가스 설비는 진공조(1) 내로 산소를 불어넣어 소정 온도 이하로 온도가 낮아진 진공조 내 용강을 승열하거나 용강의 온도가 낮아져서 처리가 불가능한 용강의 온도를 승온하는 데 사용되며, 제강공정에서 중요한 공정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설비이며, 상기 랜스(3)는 다중 파이프로 구성되며, 산소, 액화천연가스, 공기, 질소 및 물 등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진공 탈가스 설비와 같은 진공조의 경우, 랜스는 매일 수백회의 빈도로 상기 진공조 내부를 출입하며, 따라서 지속적인 유지관리와 더불어 랜스와 이 랜스가 통과하는 진공밀폐기구 간의 마찰 및/또는 마모 방지 및 상호 간의 충돌 및/또는 충격으로 인한 파손방지가 중요하며, 특히 상기 진공밀폐기구를 통한 랜스의 원활한 출입을 도모하는 것은 진공조를 통한 철강 제품의 생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공정 제어 매개변수의 하나이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윤활제는 고온, 특히 600℃ 이상의 고온에서도 부착이 가능하며, 윤활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윤활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탄소계의 몰리코트로서, 급속 건조 및 부착성이 강한 윤활제일 수 있다.
상기 진공조(1)에 포함되는 상기 진공밀폐기구(4)는 상기 랜스(3)의 출입 전후로 개폐되며, 상기 진공밀폐기구(4)의 개방 시 상기 진공조(1) 내로의 상기 랜스(3)의 출입을 허용하고, 폐쇄 시 상기 진공조(1) 내부를 배기시켜 진공 분위기 및/또는 희박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진공밀폐기구(4)는 랜스(3)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구조의 시일캡(5)과, 상기 시일캡(5)의 내부에 고정되어 팽창 및 수축되는 인플레이트시일(6)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진공밀폐기구(4)를 통하여 상기 진공조(1)로 랜스(3)를 진입시킨 후, 상기 시일캡(5) 내부의 상기 인플레이트시일(6)에 연결된 가스공급라인(7)을 통하여 가스, 대개는 질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인플레이트시일(6)을 팽창시켜 상기 인플레이트시일(6)이 상기 랜스(3)와 접촉하도록 한 후, 상기 진공조(1)에 연결된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 진공조(1) 내부의 기체들을 배기시켜 진공 분위기 및/또는 희박 분위기로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역으로, 상기 인플레이트시일(6)에 충진되어 인플레이트시일(6)을 팽창시킨 가스를 배출시켜 인플레이트시일(6)을 수축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인플레이트시일(6)과 상기 랜스(3) 간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킨 후, 상기 랜스(3)를 상기 진공조(1)로부터 진출시키고, 진공조(1)의 교체 내지는 수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랜스(3)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밀폐기구(4)는 상기 시일캡(5)에 상기 랜스(3)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커버(9)가 더 구비되며, 이 가이드커버(9)는 바람직하게는 상광하협, 즉 상부가 넓게 개방되어 있고, 하방으로 진행할수록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을 가져, 랜스(3)가 정확하게 상기 진공밀폐기구(4)를 통하여 진공조(1) 내로 진입가능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상기 랜스(3)는 상기 진공조(1)의 진공밀폐기구(4)를 통하여 진공조(1)에 출입하며, 진공조(1) 내로 요구되는 반응가스들을 도입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철소 제강공장의 2차 정련용 진공 탈가스 설비의 상기 랜스(3)는 좌우로 가변되는 진공조(1)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하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랜스(3)가 진공조(1)의 진공밀폐기구(4)를 통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하게 출입되도록 운전하는 것이 어렵다는 데에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제철소 제강공장의 2차 정련용 진공 탈가스 설비의 상기 랜스(3)는 다종의 유체들, 예를 들어 산소, 천연가스, 공기, 질소 및 냉각수들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파이프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부피가 크고,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상기 랜스(3)가 상기 진공밀폐기구(4)를 통하여 상기 진공조(1) 내로 출입하는 것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랜스(3)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11)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11)은 윤활제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로서, 상기 랜스(3)의 외주면에 윤활제를 분사하도록 상기 랜스(3)의 주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11)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 공급 제어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1)에 연결되는 상기 윤활제 공급 제어부(21)는 상기 분사노즐(11)로 윤활제를 압송하기 위한 윤활제펌프(22)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윤활제펌프(22)에 윤활제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탱크(23)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를 저장하고 공급하기 위한 상기 윤활제탱크(23)에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윤활제의 양을 확인하고, 윤활제의 보충을 제어하기 위한 레벨수단(2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윤활제펌프(22)로는 모터가 구비된 자기-구동(self-powered) 방식의 유체펌프나 모터를 구비하지 않고,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공압펌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며, 유체, 즉 윤활제를 압송할 수 있는 유체 압송용 펌프는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함은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윤활제펌프(22)로 공압펌프가 사용되는 경우, 공기압력을 발생시켜 이 공압으로 상기 공압펌프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공압펌프에는 공기압축기(31)가 연결되어 상기 공기압축기(31)에서 발생된 공압을 이용하여 윤활제를 펌핑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공기압축기(31)와 상기 윤활제펌프(22) 사이에는 공압에 사용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필터(32),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조절기(33), 공압의 단속을 위한 공압솔레노이드밸브(34)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압솔레노이드밸브(34)는 랜스(3)의 상승, 하강 시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윤활제펌프(22)의 운전을 단속하여 윤활제가 필요에 따라 단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공업조절기(33)는 윤활제를 공압으로 일정하게 압송하도록 압력조정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도 4 및 도 5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11)들이 상기 랜스(3)를 중심으로 랜스(3)의 외면에 윤활제가 분사하도록 고정되는 노즐고정프레임(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고정프레임(41)은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의 분사노즐(11)들을 랜스(3) 주위에서 일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고정프레임(41)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11)들이 상기 랜스(3)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분사노즐(11)들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원형의 노즐고정프레임(41)은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의 제1 프레임(42) 및 제2 프레임(4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42)과 제2 프레임(43)은 힌지부(44)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42)과 제2 프레임(43)을 서로 힌지결합시키는 데 사용되는 힌지부(44)는 구조물 지지점의 일종으로, 휨 모멘트에 대하여는 회전이 자유로이 가능하지만 수평 및 연직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 고정지점을 구성하는 기계요소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반원형의 제1 프레임(42) 및 제2 프레임(43)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노즐고정프레임(41)은 상기 힌지부(44)에 의한 힌지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2)에 대하여 제2 프레임(43)이 또는 그 역으로 상기 제2 프레임(43)에 대하여 제1 프레임(42)이 회전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반원형으로 된 상기 제1 프레임(42) 및 제2 프레임(43)의 중심이 노출될 수 있고, 또한 역으로 상기 제1 프레임(42)과 제2 프레임(43)이 원형의 노즐고정프레임(41)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랜스(3)를 중심으로 원형의 노즐고정프레임(41)이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가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상기 랜스(3)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사방에 복수개의 분사노즐(11)들을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랜스(3)의 외표면에 고르게 윤활제를 분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랜스(3) 및/또는 분사노즐(11)들의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라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원형의 제1 프레임(42)과 제2 프레임(43)들을 포함하는 상기 노즐고정프레임(41)에 복수의 분사노즐(11)들이 고정되어 랜스(11)를 중심으로 사방에서 랜스(3) 표면에 윤활제를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의 분사노즐(11)들에 윤활제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변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1)들을 상기 랜스(3)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원형의 노즐고정프레임(41)이 사용되며, 이때 이 노즐고정프레임(41)이 설치 및 해제의 편의를 위하여 반원형의 제1 프레임(42) 및 제2 프레임(43)으로 구분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프레임(42)에 고정되는 분사노즐(11)들과 제2 프레임(43)에 고정되는 분사노즐(11)들에 윤활제를 분배하기 위한 제1 분배변(51)을 포함하며, 이 제1 분배변(51)에 의하여 윤활제가 1차로 분배되어 제2 분배변(52) 및 제3 분배변(53)들에 공급된 후, 제2 분배변(52) 및 제3 분배변(53)에 의하여 윤활제가 2차로 분배되어 각 분사노즐(11)들로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배변(51)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2)에 연결되는 제2 분배변(52)과 상기 제2 프레임(43)에 연결되는 제3 분배변(53)에 윤활제를 분배하여 공급한 후, 다시 제2 분배변(52)에 의하여 상기 제1 프레임(42)에 고정된 복수개의 분사노즐(11)들에 윤활제를 분배하여 공급하고, 그리고 제3 분배변(53)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레임(43)에 고정된 복수개의 분사노즐(11)들에 윤활제를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윤활제가 항상 고르게 그리고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에는 각 프레임들에 5개씩의 분사노즐들이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상기 각 프레임 마다, 즉,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마다 적어도 하나 내지 다수개, 구체적으로는 랜스의 크기, 특히 랜스의 외면적을 기준으로 볼 때, 각 프레임 마다 1 내지 10개의 분사노즐들이 고정될 수 있으며, 1개의 분사노즐의 설치는 최소의 분사노즐의 설치를 의미하며, 1개 미만은 0개로서 상정할 수 없고, 반대로 10개를 초과하는 것은 설치를 복잡하게 할 뿐 10개를 초과하여 많은 분사노즐들의 설치로 랜스의 외주면에 윤활제가 더 고르게 분사되는 것을 기대하기도 어려우므로 상기 랜스의 외주면을 고르게 커버하도록 1 내지 1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개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사노즐(11)들과 상기 분배변들, 특히 상기 제2 분배변(42) 및 상기 제3 분배변(43)들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분배변(42)과 상기 제3 분배변(43)들에 고정유관(61)들이 배관되고,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11)들에는 가요성을 갖는 가변유관(62)들이 배관되며, 상기 고정유관(61)들과 상기 가변유관(62)들은 1 : 1로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고정유관(61)들과 상기 가변유관(62)들은 바람직하게는 해제가능한 삽입식 연결구(63)로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조립 및 해제가 용이하게 되어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문구 '유체적으로 연결'된다는 표현은 유체가 서로 소통가능하게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는 상기 노즐고정프레임(41)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노즐변위프레임(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변위프레임(71)은 상기 노즐고정프레임(41)을 가변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프레임으로서 기능하며, 이때 상기 노즐변위프레임(71)은,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면,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72) 및 상기 고정나사(72)에 대하여 활주가능하게 고정되는 슬릿부(73)를 포함하며, 상기 슬릿부(73)에 상기 노즐고정프레임(41)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변위프레임(71)에 나사결합된 고정나사(72)를 풀면 상기 노즐고정프레임(41)이 고정된 상기 슬릿부(73)가 활주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때 사용자가 상기 노즐고정프레임(41)이 적절한 위치에 놓여지도록 그 위치를 조절한 후, 그 상태에서 상기 고정나사(72)를 다시 조이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고정나사(72)에 의하여 상기 슬릿부(73)가 상기 노즐변위프레임(71)에 대하여 가변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노즐고정프레임(41)을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노즐고정프레임(41)을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구현가능한 수단들도 사용이 가능함은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들에서는 상기 슬릿부(73)가 상기 고정나사(72)를 중심으로 일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전후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인 좌우방향으로도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는 랜스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의 분사노즐들을 일정하게 그리고 정밀하게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이들 분사노즐들에 윤활제를 균분 공급하여 상기 랜스의 외주면에 윤활제를 고르게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진공조, 특히 제철소 제강 공정에 사용되는 진공 탈가스 설비와 같은 고온 운전 조건에 놓여지는 진공조의 진공유지를 위한 진공밀폐기구를 매개로 진공조에 출입되는 랜스에 윤활제를 공급하여 랜스와 진공조의 진공밀폐기구, 특히 진공밀폐기구의 인플레이트시일 간의 마찰 및 손상을 방지하고, 그에 의하여, 진공조의 운전 조건을 최적화하여 진공조의 가용시간을 증대시키고, 그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 진공조 2: HOT부
3: 랜스 4: 진공밀폐기구
5: 시일캡 6: 인플레이트시일
7: 가스공급라인 8: 가스단속밸브
9: 가이드커버
11: 분사노즐
21: 윤활제 공급 제어부 22: 윤활제펌프
23: 윤활제탱크 24: 레벨수단
31: 공기압축기 32: 공기필터
33: 공압조절기 34: 공압솔레노이드밸브
41: 노즐고정프레임 42: 제1 프레임
43: 제2 프레임 44: 힌지부
51: 제1 분배변 52: 제2 분배변
53: 제3 분배변
61: 고정유관 62: 가변유관
63: 삽입식 연결구
71: 노즐변위프레임 72: 고정나사
73: 슬릿부

Claims (6)

  1. 개폐가능한 진공밀폐기구를 포함하는 진공조;
    상기 진공조의 진공밀폐기구를 통하여 진공조에 출입하는 랜스; 및
    상기 랜스에 윤활제를 도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
    을 포함하는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 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이 상기 랜스를 중심으로 랜스의 외면에 윤활제가 분사하도록 고정되는 노즐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고정프레임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이 상기 랜스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고정프레임이 반원형의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힌지부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힌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고정프레임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노즐변위프레임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KR1020150056940A 2015-04-23 2015-04-23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KR20160126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940A KR20160126190A (ko) 2015-04-23 2015-04-23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940A KR20160126190A (ko) 2015-04-23 2015-04-23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190A true KR20160126190A (ko) 2016-11-02

Family

ID=5751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940A KR20160126190A (ko) 2015-04-23 2015-04-23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619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6624A (ja) 1994-12-28 1996-07-09 Nippon Steel Corp 微粉炭吹き込みバーナー抜取装置
KR20120074392A (ko)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진공 탈가스 설비의 인플레이트 씰 보호장치
US20140298955A1 (en) 2011-10-17 2014-10-09 Jfe Steel Corporation Top-blowing lance and method for refining molten iron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6624A (ja) 1994-12-28 1996-07-09 Nippon Steel Corp 微粉炭吹き込みバーナー抜取装置
KR20120074392A (ko)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진공 탈가스 설비의 인플레이트 씰 보호장치
US20140298955A1 (en) 2011-10-17 2014-10-09 Jfe Steel Corporation Top-blowing lance and method for refining molten iron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9795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US106192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lasma treatment of containers
MX2015014111A (es) Dispositivo para el templado individual de componentes de equipo tecnico.
KR20160126190A (ko) 진공조 랜스 윤활장치
US20130180514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up a control element for the gas pressure of a coke oven chamber without expansion-induced deviations of the control assembly
KR101696653B1 (ko) 고로 압력 공 막힘 방지장치
EP2199010A2 (en) A rubber gland seal automation system
KR101599611B1 (ko) 공압식 자동 수위조절 씰포트
CA2746127A1 (en) Sealing off a melt dip coating apparatus
US20160208861A1 (en) Roller bearing replacement device and process for switching roller bearings
US4575052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quenching a steel plate
KR100874051B1 (ko) 장입 장치용 고로 차단 밸브
KR101796087B1 (ko) 노즐 장치
KR100783081B1 (ko) 침지 노즐 세척장치
KR101723443B1 (ko)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KR101888187B1 (ko) 이중 챔버 에어 가압 보온로
KR101968025B1 (ko) 소둔 열처리장치
US3669437A (en) Holder for an oxygen supply pipe
KR101753637B1 (ko) 유체 배출장치
KR20180071004A (ko) 원료 장입장치
KR101594668B1 (ko) 진공 탈가스 설비용 진공호퍼장치
KR101840636B1 (ko) 차단장치 및 차단방법
KR101726261B1 (ko) 코크스 오븐의 수집관 제어 장치
CN215262272U (zh) 一种气弹簧缸筒气密性检测试漏机
KR20230021260A (ko) 부생가스 홀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