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891A -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화상 형성장치, 이 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화상 형성장치, 이 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891A
KR20160125891A KR1020160046710A KR20160046710A KR20160125891A KR 20160125891 A KR20160125891 A KR 20160125891A KR 1020160046710 A KR1020160046710 A KR 1020160046710A KR 20160046710 A KR20160046710 A KR 20160046710A KR 20160125891 A KR20160125891 A KR 20160125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mfp
efi
image forming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486B1 (ko
Inventor
히데아키 오오바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32961A external-priority patent/JP6643140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46Resolving address allocation conflicts; Testing of addresses
    • H04L61/20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Transmission system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61/20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03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와 통신을 적절히 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지 않고,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2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상기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어드레스의 어느 한쪽이 변경된다.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상기 제2 어드레스,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3 어드레스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4 어드레스 중 적어도 2개의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상기 경합하는 어드레스들 중 적어도 1개가 변경된다.

Description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화상 형성장치, 이 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RRIES OUT COMMUNICATION WITH MULTIPLE EXTERNAL APPARATUSES, CONTROL METHOD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복수의 외부 장치,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 클라이언트 PC, 및 DHCP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3-205982호 공보 참조). 이 화상 형성장치는 모바일 단말과 무선 LAN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클라이언트 PC 및 DHCP 서버와, 예를 들면, LAN 케이블을 거쳐 서로 유선 LAN으로 접속되어 있다. 화상 형성장치가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LAN 통신을 실행할 때, 화상 형성장치 자신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여,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LAN 통신에 사용하는 IP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발행한다. 이에 따라, 화상 형성장치는 모바일 단말과 Wi-Fi Direct(등록상표), Bluetooth(등록상표) 등을 사용한 무선 LAN 통신을 실행한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는 DHCP 서버가 발행한 IP 어드레스를 사용해서 클라이언트 PC과의 유선 LAN 통신도 실행한다.
화상 형성장치 및 모바일 단말의 통신과 화상 형성장치 및 클라이언트 PC의 통신에 사용되는 각 IP 어드레스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호스트 어드레스로 구성된다.
그렇지만, 화상 형성장치 및 모바일 단말의 무선 LAN 통신에 사용되는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화상 형성장치 및 클라이언트 PC의 유선 LAN 통신에 사용되는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화상 형성장치와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LAN 통신 및 화상 형성장치와 클라이언트 PC과의 유선 LAN 통신 모두가 실행 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화상 형성장치와 클라이언트 PC의 유선 LAN 통신보다도 화상 형성장치와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LAN 통신에 더 높은 우선권을 부여하는 통신 설정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화상 형성장치와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LAN 통신이 실행된다. 따라서, 유저가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클라이언트 PC에 데이터의 송신을 원하더라도, 해당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로 송신되므로, 유저가 원하는 데이터 송신처인 클라이언트 PC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다. 즉, 화상 형성장치가 복수의 외부 장치와 LAN 통신을 행하는 경우, 각 LAN 통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IP 어드레스가 서로 경합할 때, 복수의 외부 장치와 적절한 LAN 통신을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외부 장치와 적절한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화상 형성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판별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고,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2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상기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어드레스의 어느 한쪽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1 변경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다고 판별되고, 상기 제2 어드레스,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3 어드레스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4 어드레스 중 적어도 2개의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상기 경합하는 어드레스들 중 적어도 1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2 변경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외부 장치와 적절한 통신이 실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로서의 MFP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 1a는 인쇄 제어장치로서의 EFI를 포함하지 않는 화상 형성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1b는 EFI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의 화상 형성 시스템의 일부의 구성요소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2a는 도 1a의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의 MFP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b는 도 1b의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의 MFP 및 EFI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의 MFP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기동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는 도 3의 스텝 S308에서 실행되는 통지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5는 도 3의 기동 처리의 종료후에 화상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의 EFI에 설정되는 EFI/PC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되고,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를 MFP에 통지하는 변경된 어드레스 통지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6은 도 5의 스텝 S503에 있어서 통지된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를 MFP가 수신하는 수신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7은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의 MFP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변경하는 타이밍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화면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기동 처리가 종료한 후에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될 때에 실행되는 통신 확립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9a 및 도 9b는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의 조작 표시부에 표시되는 액세스 포인트 설정 화면 및 경고 표시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로서의 MFP(101)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 1a는 인쇄 제어장치로서의 EFI(등록상표)(102)을 포함하지 않는 화상 형성 시스템(100)을 나타내고, 도 1b는 EFI(102)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150)을 나타낸다.
도 1a의 화상 형성 시스템(100)은, MFP(101), 클라이언트 PC(103)(제1 외부 장치), 모바일 단말(104)(제2 외부 장치), 및 서버(111)를 구비한다. MFP(101), 클라이언트 PC(103), 및 서버(111)는 유선 LAN(10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서버(111)는 유선 LAN 통신에 사용하는 IP 어드레스를 발행하고, MFP(101)은 이 IP 어드레스를 사용해서 유선 LAN 통신을 실행한다. MFP(101)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중계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모바일 단말(104)과, 예를 들면, Wi-Fi Direct이나 Bluetooth를 사용하여 무선 LAN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MFP(101)은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고, 모바일 단말(104)과의 무선 LAN 통신에 사용하는 IP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발행해서 무선 LAN 통신을 실행한다.
도 1b의 화상 형성 시스템(150)은, MFP(101), EFI(102)(제3 외부 장치), 클라이언트 PC(103), 모바일 단말(104), 및 서버(111)를 구비한다. EFI(102)은 MFP(101) 및 클라이언트 PC(103) 사이에 개재하고, MFP(101)은 화상 비디오 케이블(109) 및 제어 케이블(110)을 거쳐 EFI(102)에 접속되어 있다. EFI(102), 클라이언트 PC(103), 및 서버(111)는 유선 LAN(105)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이때, 화상 형성 시스템 100과 마찬가지로, MFP(101)은 모바일 단말(104)과 무선 LAN으로 접속되어 있다.
MFP(101)은 스캐너(106), 조작 표시부(107), 및 배지부(108)를 구비한다. 스캐너(106)는 원고를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PC(103)에 송신된다. 조작 표시부(107)는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는 동시에, 예를 들어, MFP(101)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조작 표시부(107)는 후술하는 액세스 포인트 설정 화면(900)을 표시하고 경고 표시(910)(요구 유닛)를 발생한다. 배지부(108)에는 화상이 인쇄된 기록지가 배지된다. EFI(102)은 MFP(101)과 연계해서 화상 데이터에 각종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클라이언트 PC(103)은 유선 LAN 통신을 실행하고, 예를 들면, MFP(101)에 인쇄 잡을 송신한다. 모바일 단말(104)은 MFP(101)과 무선 LAN 통신을 실행해서 인쇄 잡을 MFP(101)에 송신한다. 서버(111)는 MFP(101), EFI(102), 및 클라이언트 PC(103)에 유선 LAN 통신에 사용하는 IP 어드레스를 발행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MFP(101)은 EFI(102)에만 접속되어 있지만, EFI(102) 이외에 LAN(105)에도 접속되어도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의 화상 형성 시스템 100 및 150의 일부의 구성요소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2a는 도 1a의 화상 형성 시스템 100에 있어서의 MFP(101)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b는 도 1b의 화상 형성 시스템 150에 있어서의 MFP(101) 및 EFI(102)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2a 및 도 2b의 MFP(101)은, 스캐너(106), 조작 표시부(107), 콘트롤러부(201), 네트워크부(202), 프린터(203), 및 무선통신부(204)를 구비한다.
콘트롤러부(201)는, CPU(205)(판별 유닛, 제1 변경 유닛, 제2 변경 유닛, 수신 유닛), 메모리(206), 리더 I/F(207), 비디오 I/F(208), 네트워크 I/F(209), 및 프린터 I/F(210)를 갖는다. 콘트롤러부(201)는 HDD(211), 기동 제어부(212), 및 네트워크 I/F(213)를 갖는다. 콘트롤러부(201)의 각 구성요소는 시스템 버스(222)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 있다. 리더 I/F(207)에는 스캐너(106) 및 조작 표시부(107)가 접속되고, 프린터 I/F(210)에는 프린터(203)가 접속되고, 네트워크 I/F 213에는 무선통신부(204)가 접속되어 있다.
MFP(101)에 EFI(102)이 접속되지 않고 있을 때, 네트워크 I/F 209에는 네트워크부(202)가 접속되는 동시에, LAN(105)을 거쳐 클라이언트 PC(103) 및 서버(111)도 네트워크 I/F 209에 접속된다. MFP(101)에 EFI(102)이 접속되어 있을 때, 비디오 I/F 208에는 화상 비디오 케이블(109)을 거쳐 후술하는 비디오 I/F 217이 접속된다. 또한, MFP(101)에 EFI(102)이 접속되어 있을 때, 네트워크 I/F 209에는 네트워크부(202)가 접속되는 동시에, 제어 케이블(110)을 거쳐 후술하는 네트워크 I/F 218도 접속된다.
MFP(101)에 EFI(102)가 접속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 네트워크부(202)는 MFP(101) 및 클라이언트 PC(103)의 유선 LAN 통신에 사용되는 IP 어드레스(제1 어드레스)(이하, "MFP/PC용 IP 어드레스"라고 한다)를 서버(111)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MFP/PC용 IP 어드레스를 MFP(101)에 설정한다. MFP(101)에 EFI(102)이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 네트워크부(202)는 MFP(101) 및 EFI(102)의 유선 LAN 통신에 사용되는 IP 어드레스(제3 어드레스)(이하, "MFP/EFI용 IP 어드레스"라고 한다)를 서버(111)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MFP/EFI용 IP 어드레스를 MFP(101)에 설정한다.
MFP(101) 및 EFI(102)의 유선 LAN 통신에 사용되는 IP 어드레스로서, MFP/EFI용 IP 어드레스가 MFP(101)에 설정된다. 그렇지만, MFP/EFI용 IP 어드레스만으로는 MFP(101) 및 EFI(102)의 유선 LAN 통신은 실행되지 않는다. 즉, MFP(101) 및 EFI(102)의 유선 LAN 통신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MFP/EFI용 IP 어드레스와는 다르고 EFI(102)에 설정되는 IP 어드레스(이하, "EFI/MFP용 IP 어드레스"라고 한다)가 필요하다. MFP/EFI용 IP 어드레스 및 EFI/MFP용 IP 어드레스가 대응할 때, MFP(101) 및 EFI(102)의 유선 LAN 통신은 실행된다. 이때, EFI/MFP용 IP 어드레스는 후술하는 EFI 네트워크부(220)에 의해 EFI(102)에 설정된다.
더구나, 네트워크부(202)는, MFP/EFI용 IP 어드레스와 MFP/PC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될 때에, 서버(111)로부터 새로운 MFP/EFI용 IP 어드레스와 MFP/PC용 IP 어드레스를 취득해서, 이것들을 MFP(101)에 설정한다.
프린터(203)는, 예를 들면, 스캐너(106)에 의해 판독된 원고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와 클라이언트 PC(103)로부터 수신한 PDL(page-description language) 데이터를 기록지에 인쇄한다. 무선통신부(204)는 MFP(101) 및 모바일 단말(104)의 무선 LAN 통신에 사용되는 IP 어드레스(제2 어드레스)(이하,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라고 한다)를 발행하고, 발행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MFP(101)에 설정한다. 또한, 무선통신부(204)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될 때에, 새로운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발행해서 MFP(101)에 설정한다.
CPU(205)은 메모리 206과 HDD 211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MFP(10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메모리 206은 CPU(205)의 워크 메모리다. HDD 211은 대용량의 기억장치이며, 예를 들면, 스캐너(106)에 의해 판독된 원고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와 클라이언트 PC(103)로부터 수신한 PDL 데이터를 격납한다. 또한, HDD 211은 MFP(101)에 설정되어 있는 MFP/EFI용 IP 어드레스, MFP/PC용 IP 어드레스와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격납한다. 각 I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는, IP 어드레스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호스트 어드레스를 식별하는 수치인 서브넷 마스크를 포함한다. 더구나 HDD 211은 MFP/EFI용 IP 어드레스, MFP/PC용 IP 어드레스와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변경할 때에 사용되는 변경용 IP 어드레스를 격납한다. 변경용 IP 어드레스는, 변경된 MFP/EFI용 IP 어드레스, MFP/PC용 IP 어드레스와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기동 제어부(212)는 MFP(101)의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고, MFP(101)의 기동을 제어한다.
도 2b의 EFI(102)은, CPU(214), 메모리(215), HDD(216), 비디오 I/F(217), 네트워크 I/F(218, 219), 및 EFI 네트워크부(220)를 구비하고, 이들 구성요소는 시스템 버스(221)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I/F(219)에는 LAN(105)을 거쳐 클라이언트 PC(103) 및 서버(111)가 접속되어 있다.
CPU 214는 메모리 215와 HDD 216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EFI(102)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메모리 215는 CPU 214의 워크 메모리다. HDD 216은 대용량의 기억장치로서, 예를 들면 EFI(102)에 있어서 각종 처리가 실행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다. 또한, HDD 216은 EFI/MFP용 IP 어드레스와 EFI(102) 및 클라이언트 PC(103)의 유선 LAN 통신에 사용되는 IP 어드레스(제4 어드레스)(이하, "EFI/PC용 IP 어드레스"라고 한다)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서브넷 마스크를 격납한다. 더구나, HDD 216은, EFI/MFP용 IP 어드레스와 EFI/PC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될 때에, EFI/MFP용 IP 어드레스와 EFI/PC용 IP 어드레스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변경용 IP 어드레스를 격납한다.
EFI 네트워크부(220)는 EFI/MFP용 IP 어드레스와 EFI/PC용 IP 어드레스를 서버(111)로부터 취득해서, 이것들을 EFI(102)에 설정한다. 또한, EFI 네트워크부(220)는, MFP(101)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MFP/EFI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되면, 새로운 EFI/MFP용 IP 어드레스를 서버(111)로부터 취득해서 EFI(102)에 설정한다. 이에 따라, MFP(101) 및 EFI(102)의 유선 LAN 통신이 실행되지 않게 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EFI(102)은, EFI/PC용 IP 어드레스가 EFI(102)에 설정되거나, 또는 EFI(102)에 설정된 EFI/PC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되었을 때,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PC(103)에 통지한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의 MFP(101)의 CPU(205)에 의해 실행되는 기동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3의 기동 처리는, MFP(101)에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MFP/PC용 IP 어드레스와,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실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MFP(101)의 스위치 온되면(스텝 S301), CPU(205)은, MFP(101)에 설정되어 있는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MFP/PC용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스텝 S302). 이어서, CPU(205)은, MFP(101)에 설정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스텝 S303), MFP(101)에 EFI(102)이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304).
스텝 S304의 판별의 결과, MFP(101)에 EFI(102)이 접속되지 않고 있을 때, CPU(205)은,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305). 전술한 것과 같이, IP 어드레스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호스트 어드레스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어드레스는 IP 어드레스가 속해 있는 네트워크 공간을 식별하고, 호스트 어드레스는 네트워크 어드레스 내의 기기를 식별한다.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호스트 어드레스는 서브넷 마스크에 근거하여 식별된다. 스텝 S305에서는,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함으로써, 각 IP 어드레스가 속해 있는 네트워크 공간이 경합하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스텝 S305의 판별의 결과,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지 않을 때, CPU(205)은 MFP(101)을 정상 기동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CPU(205)은, MFP/PC용 IP 어드레스에 우선해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변경한다(스텝 S306). 예를 들면, MFP/PC용 IP 어드레스가 192.168.1.100이고,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192.168.1.200인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에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인 경우,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는 192.168.1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는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경합한다. 이 경합을 해소하기 위해서, CPU(205)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말미에 1을 더해, 192.168.2가 된다. 그 결과, 네트워크 어드레스들의 경합이 해소된다. 그후, CPU(205)은 MFP(101)을 정상 기동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MFP/PC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될 때, 서버(111)는 새로운 MFP/PC용 IP 어드레스를 발행하고, 이 새로운 MFP/PC용 IP 어드레스를 MFP(101)에 설정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될 때, MFP(101) 자신이 새로운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발행하고, 이 새로운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MFP(101)에 설정한다. 즉,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101)만으로는 완결하지 않는 한편,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101)만으로 완결하므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MFP/PC용 IP 어드레스보다도 더 쉽게 변경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스텝 S306에 있어서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에 더 높은 우선권이 부여된다.
변경후의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로서는, 미리 HDD(211)에 격납되어 있는 변경용 IP 어드레스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되고, 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IP 어드레스를 사용해도 된다.
스텝 S304의 판별의 결과, MFP(101)에 EFI(102)이 접속되어 있을 때, EFI(102)의 CPU(214)은 후술하는 통지 처리(도 4)를 실행해서, MFP(101)에 EFI/PC용 IP 어드레스를 통지한다(스텝 S307). 그후, CPU(205)는 EFI/PC용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스텝 S308). CPU(205)은,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중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309).
스텝 S309의 판별의 결과,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서로 상위할 때, CPU(205)은 MFP(101)을 정상 기동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네트워크 어드레스 중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CPU(205)은, 경합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1개의 IP 어드레스를 변경한다(스텝 S310). 이때, 각 IP 어드레스는 전술한 스텝 S306과 같은 방법으로 변경된다.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될 때, MFP(101)는 새로운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발행하고, 이 새로운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MFP(101)에 설정한다. 한편, MFP/EFI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될 때, 서버(111)에 의해 발행된 새로운 MFP/EFI용 IP 어드레스가 MFP(101)에 설정된다. 새로운 MFP/EFI용 IP 어드레스가 MFP(101)에 설정되면, 새로운 MFP/EFI용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새로운 EFI/MFP용 IP 어드레스가 서버(111)에 의해 발행된다. 발행된 새로운 EFI/MFP용 IP 어드레스가 EFI(102)에 설정된다. EFI/PC용 IP 어드레스는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변경과 같은 방법에 의해 변경되지만, 이 경우, EFI(102)은 클라이언트 PC(103)에게 EFI/PC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된 것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즉, MFP/EFI용 IP 어드레스와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101)만으로는 완결하지 않는 한편,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101)만으로 완결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도 쉽다. 또한,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서버(111), MFP(101), 및 EFI(102)만으로 완결하지만,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서버(111), MFP(101), 및 EFI(102)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PC(103)도 필요로 한다. 따라서,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도 쉽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S310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이 MFP/EFI용 IP 어드레스 및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 높은 우선권이 부여된다. 또한,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 높은 우선권이 부여된다.
구체적으로,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는 경우,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에 더 높은 우선권이 부여된다.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는 경우,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에 더 높은 우선권이 부여된다.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는 경우, EFI/PC용 IP 어드레스 변경보다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에 더 높은 우선권이 부여된다.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는 경우, 우선,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된 후, 다음에 MFP/EFI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된다.
다음 스텝 S311에 있어서, CPU(205)은,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중 적어도 2개가 경합하는지 아닌지를 다시 판별한다. 스텝 S311에서,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여전히 경합하는 것으로 CPU(205)가 판별할 때, 스텝 S310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한편,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서로 상위할 때, CPU(205)은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4는, 도 3의 스텝 S308에서 실행되는 통지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의 처리는 도 2b에 있어서의 EFI(102)의 CPU(214)에 의해 실행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EFI(102)가 스위치 온되면(스텝 S401), CPU(214)은, EFI/PC용 IP 어드레스가 EFI(102)에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402). 스텝 S402의 판별의 결과, EFI/PC용 IP 어드레스가 EFI(102)에 설정되지 않고 있을 때, CPU(214)은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EFI/PC용 IP 어드레스가 EFI(102)에 설정되어 있을 때, CPU(214)은, EFI(102)이 MFP(101)와 통신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403). 스텝 S403의 판별의 결과, EFI(102)이 MFP(101)와 통신가능하지 않을 때, CPU(214)은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EFI(102)이 MFP(101)와 통신가능할 때, CPU(214)은, EFI(102)에 설정되어 있는 EFI/PC용 IP 어드레스를 MFP(101)에 통지하고(스텝 S404),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3의 처리에 따르면, 화상 형성 시스템 100에 있어서(스텝 S304에서 NO),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는 경우가 있다(스텝 S305에서 YES). 이 경우,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된다(스텝 S306). 이에 따라, MFP/PC용 IP 어드레스 및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시스템 150에 있어서(스텝 S304에서 YES),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중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면(스텝 S309에서 YES). 경합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1개의 IP 어드레스가 변경된다(스텝 S310). 이에 따라,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서로 상위하게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MFP(101) 및 클라이언트 PC(103)의 유선 LAN 통신, 및, MFP(101) 및 모바일 단말(104)의 무선 LAN 통신 모두가 가능해지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MFP(101) 및 EFI(102)의 유선 LAN 통신, EFI(102) 및 클라이언트 PC(103)의 유선 LAN 통신, 및 MFP(101) 및 모바일 단말(104)의 무선 LAN 통신의 모두가 실행 가능해지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그 결과, MFP(101)은 EFI(102), 클라이언트 PC(103) 및 모바일 단말(104)과 적절한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처리에 따르면,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는 경우,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에 더 높은 우선권이 부여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101)만으로는 완결하지 않는다. 한편,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101)만으로 완결한다. 따라서,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에 더 높은 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MFP/PC용 IP 어드레스 및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용이하게 상위하게 만들 수 있다.
더구나, 도 3의 처리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EFI용 IP 어드레스 및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 더 높은 우선권이 부여된다.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 더 높은 우선권이 부여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MFP/EFI용 IP 어드레스와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101)만으로는 완결하지 않는다. 한편,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101)만으로 완결하고,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서버(111), MFP(101), 및 EFI(102)만으로 완결한다.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서버(111), MFP(101), 및 EFI(102)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PC(103)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도 쉽고,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도 쉽다. 즉, 도 3의 처리에서는,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어드레스가 가장 높은 우선권을 갖고 변경되므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 MFP/EFI용 IP 어드레스, 및 EFI/PC용 IP 어드레스를 간단하게 상위하게 만들 수 있다.
도 5는, 변경된 어드레스 통지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5의 처리에서는, 도 3의 기동 처리의 종료후에 화상 형성 시스템 150에 있어서의 EFI(102)에 설정되는 EFI/PC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되고,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가 MFP(101)에 통지된다. 도 5의 처리는 EFI(102)의 CPU(214)에 의해 실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CPU(214)은, EFI(102)에 설정되는 EFI/PC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된 것을 검지하고(스텝 S501), EFI(102)이 MFP(101)와 통신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502). 스텝 S502의 판별의 결과, EFI(102)이 MFP(101)와 통신가능하지 않을 때, CPU(214)은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EFI(102)이 MFP(101)와 통신가능할 때, CPU(214)은,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를 MFP(101)의 CPU(205)에 통지하고(스텝 S503),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6은, 도 5의 스텝 S503에 있어서 통지된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를 MFP(101)이 수신하는 수신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6의 처리는 MFP(101)의 CPU(205)에 의해 실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CPU(205)은, EFI(102)로부터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를 수신한다(스텝 S601). 이어서, CPU(205)은, MFP(101)에 설정되어 있는 MFP/EFI용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스텝 S602), MFP(101)에 설정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스텝 S603). 그후, CPU(205)은,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또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경합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604).
스텝 S604의 판별의 결과,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어느 것과도 경합하지 않을 때, CPU(205)은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또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경합하는 것으로 CPU(205)가 판별할 때, 처리를 스텝 S605로 진행시킨다. 스텝 S605에서는, CPU(205)은, 미리 설정 화면(700)(도 7)(설정 유닛)을 거쳐 MFP(101)에 설정된 타이밍에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에 우선해서 변경한다. 그후, CPU(205)은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각 IP 어드레스는 전술한 스텝 S310과 같은 방법으로 변경된다.
설정 화면(700)은, 즉시 변경 버튼(701), 재기동시 변경 버튼(702) 및 비통신시 변경 버튼(703)을 구비한다. 즉시 변경 버튼(701)이 선택되면, 소정의 시점에서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된다. 이때, 소정의 시점이란, 예를 들면, 변경된 후의 새로운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경합한다고 판별되는 시점이다. 재기동시 변경 버튼(702)이 선택되면, MFP(101)이 다음에 재기동될 때, 및 상기한 기동 처리가 실행될 때에,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된다. 비통신시 변경 버튼(703)이 선택되면, MFP(101)이 EFI(102) 및 모바일 단말(104)과 통신하고 있지 않을 때에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된다.
도 6의 처리에 따르면, EFI(102)로부터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가 수신된다(스텝 S601). 그후, 변경된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또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경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된다(스텝 S605). 상기한 것과 같이,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변경은,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변경보다도 간단하지 않다. 따라서, EFI/PC용 IP 어드레스가 변경된 후에는,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를 변경함으로써, 변경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드는 EFI/PC용 IP 어드레스가 2회 변경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기동 처리가 종료한 후에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될 때에 실행되는 통신 확립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8의 처리는 MFP(101)의 CPU(205)에 의해 실행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CPU(205)은,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된 것을 검지한다(스텝 S801).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로서는, 예를 들면, 조작 표시부(107)에 표시되는 액세스 포인트 설정 화면(900)(도 9a)을 거쳐 새로운 IP 어드레스 등이 입력된다. 입력된 새로운 IP 어드레스 등이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로서 MFP(101)에 설정됨으로써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가 변경된다. 액세스 포인트 설정 화면(900)은 IP 어드레스 입력 필드(901) 및 서브넷 마스크 입력 필드(902)를 구비한다. IP 어드레스 입력 필드(901)에는 새로운 IP 어드레스가 입력되고, 서브넷 마스크 입력 필드(902)에는 서브넷 마스크가 입력된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CPU(205)은, MFP(101)에 설정되어 있는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MFP/PC용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스텝 S802), MFP(101)에 EFI(102)이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803). 스텝 S803의 판별의 결과, MFP(101)에 EFI(102)이 접속되지 않고 있을 때, CPU(205)은, 변경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804). 스텝 S804의 판별의 결과, 변경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하지 않을 때, CPU(205)은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변경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MFP/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CPU(205)은, 경고 표시(910)(도 9b)를 조작 표시부(107)에 생성하고(스텝 S805), 본 처리를 종료한다. 경고 표시(910)는, 재차, 액세스 포인트 설정 화면(900) 위에 새로운 IP 어드레스 등을 입력하도록 요구한다.
스텝 S803의 판별의 결과, MFP(101)에 EFI(102)이 접속되어 있을 때, CPU(205)은, EFI/PC용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스텝 S806). 이어서, CPU(205)은, 변경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또는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경합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807). 스텝 S807의 판별의 결과,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서로 상위할 때, CPU(205)은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변경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MFP/EFI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또는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경합하는 것으로 CPU(205)가 판별할 때, 리를 스텝 S805로 진행시킨다.
도 8의 처리에 따르면, 화상 형성 시스템 150에 있어서(스텝 S803에서 YES), 변경된 모바일 단말측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MFP/EFI용 IP 어드레스 또는 EFI/PC용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경합한다. 이 경우(스텝 S807에서 YES), 경고 표시(910)가 조작 표시부(107)에 생성된다(스텝 S805). 이에 따라, 유저는 화상 형성 시스템 150을 구성하는 EFI(102), 클라이언트 PC(103), 또는 모바일 단말(104)과 적절하게 통신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본 출원은 2015년 4월 22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5-087664 및 2016년 2월 24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032961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내용을 참조를 위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Claims (8)

  1.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화상 형성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판별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고,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2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상기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어드레스의 어느 한쪽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1 변경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다고 판별되고, 상기 제2 어드레스,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3 어드레스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4 어드레스 중 적어도 2개의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상기 경합하는 어드레스들 중 적어도 1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2 변경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경 유닛 또는 상기 제2 변경 유닛이 상기 어드레스들을 변경하는 타이밍을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을 더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어드레스가 변경되었다는 통지를 상기 제3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지가 수신된 후에, 상기 제2 변경 유닛은 상기 제2 어드레스 또는 상기 제3 어드레스를 변경하는 화상 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상기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다고 판별되고, 상기 제2 어드레스가 변경된 후에도 여전히 변경된 상기 제2 어드레스가 상기 제3 어드레스 또는 상기 제4 어드레스와 경합할 때, 상기 변경된 제2 어드레스를 재차 변경하는 것을 요구하도록 구성된 요구 유닛을 더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경 유닛은 상기 제2 어드레스를 상기 제1 어드레스에 우선해서 변경하는 화상 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경 유닛은 상기 제2 어드레스를 상기 제3 어드레스 및 상기 제4 어드레스에 우선해서 변경하고, 상기 제3 어드레스를 상기 제4 어드레스에 우선해서 변경하는 화상 형성장치.
  7.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고,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2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상기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어드레스의 어느 한쪽을 변경하는 제1 변경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다고 판별되고, 상기 제2 어드레스,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3 어드레스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4 어드레스 중 적어도 2개의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상기 경합하는 어드레스들 중 적어도 1개를 변경하는 제2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8. 제1 외부 장치 및 제2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고, 상기 제1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2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상기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어드레스의 어느 한쪽을 변경하는 제1 변경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 사이에 제3 외부 장치가 개재하고 있다고 판별되고, 상기 제2 어드레스,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3 어드레스 및 상기 제1 외부 장치와 상기 제3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4 어드레스 중 적어도 2개의 어드레스가 경합할 때, 상기 경합하는 어드레스들 중 적어도 1개를 변경하는 제2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KR1020160046710A 2015-04-22 2016-04-18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화상 형성장치, 이 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01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7664 2015-04-22
JPJP-P-2015-087664 2015-04-22
JPJP-P-2016-032961 2016-02-24
JP2016032961A JP6643140B2 (ja) 2015-04-22 2016-02-24 画像形成装置、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891A true KR20160125891A (ko) 2016-11-01
KR102001486B1 KR102001486B1 (ko) 2019-07-18

Family

ID=5714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710A KR102001486B1 (ko) 2015-04-22 2016-04-18 복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화상 형성장치, 이 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404869B2 (ko)
KR (1) KR102001486B1 (ko)
CN (1) CN1060679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5154B2 (ja) 2017-03-16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7080595B2 (ja) * 2017-07-14 202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3457A1 (en) * 2008-10-28 2010-04-29 Riso Kagaku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 system
US20100211659A1 (en) * 2009-02-18 2010-08-19 Yun-Ti Chen Router and method for avoiding IP address conflicts
US20120131197A1 (en) * 2010-11-23 2012-05-24 Sensormatic Electron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olving conflicting devices on a network
KR20120064314A (ko) * 2010-12-09 2012-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호스트 장치와 그 연결 방법
KR101324923B1 (ko) * 2009-10-29 2013-11-01 애플 인크. 다수의 가상 큐를 갖는 어드레스 변환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2368B2 (ja) * 2002-03-27 2007-01-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情報処理装置、該情報処理装置を含む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および該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6295532A (ja) * 2005-04-11 2006-10-26 Kyocera Mita Corp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接続プログラム、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CN101304388B (zh) 2008-06-20 2010-08-04 成都市华为赛门铁克科技有限公司 解决ip地址冲突的方法、装置及系统
CN102281333B (zh) * 2010-06-11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Ip地址冲突避让方法、系统、dhcp服务器、dhcp客户端
JP2013205982A (ja) 2012-03-27 2013-10-07 Canon Inc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KR101975992B1 (ko) * 2012-09-26 2019-05-0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JP6122320B2 (ja) 2013-03-15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60191723A1 (en) * 2014-12-29 2016-06-30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3457A1 (en) * 2008-10-28 2010-04-29 Riso Kagaku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 system
US20100211659A1 (en) * 2009-02-18 2010-08-19 Yun-Ti Chen Router and method for avoiding IP address conflicts
KR101324923B1 (ko) * 2009-10-29 2013-11-01 애플 인크. 다수의 가상 큐를 갖는 어드레스 변환 유닛
US20120131197A1 (en) * 2010-11-23 2012-05-24 Sensormatic Electron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olving conflicting devices on a network
KR20120064314A (ko) * 2010-12-09 2012-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호스트 장치와 그 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7929A (zh) 2016-11-02
US10404869B2 (en) 2019-09-03
US20190342459A1 (en) 2019-11-07
US20160313953A1 (en) 2016-10-27
CN106067929B (zh) 2019-08-16
US10791227B2 (en) 2020-09-29
KR102001486B1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8402B2 (en) Print management apparatus,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printing system
US10691379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wireless direct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printing apparatus
US20200137242A1 (en) Pri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201602531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603500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489094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advertising packets
US107912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rries out communication with multiple external apparatuses, control method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70230524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usb devices, storage medium, and printing apparatus
US20170223219A1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6643140B2 (ja) 画像形成装置、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121516B (zh) 打印装置、打印装置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93193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244128B2 (en)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prohibit entry into sleep mode,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in system concerne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80300092A1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6088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811769B2 (en) Print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spooling data to perform print processing
US980480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printing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charge server to perform charging control related to printing
US116629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forming method
US10924451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6097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707772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US9350891B2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setup program
KR101908771B1 (ko) 예약 인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
KR20230077686A (ko)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