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793A -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 Google Patents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793A
KR20160125793A KR1020150056757A KR20150056757A KR20160125793A KR 20160125793 A KR20160125793 A KR 20160125793A KR 1020150056757 A KR1020150056757 A KR 1020150056757A KR 20150056757 A KR20150056757 A KR 20150056757A KR 20160125793 A KR20160125793 A KR 20160125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power
user terminal
circu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운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05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793A/ko
Publication of KR2016012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3/081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21V15/012Housings with variable shape or dimensions, e.g. by means of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s or by movement of parts forming telescopic extensions of the housing body
    • H05B33/0881
    • H05B37/0272
    • H05B37/03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는 조명기구용 소켓과 결합되는 입력 소켓, 조명기구와 결합되는 출력 소켓,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 소켓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조명기구에 도통시키거나 차단하는 릴레이 제어 회로, 상기 입력 소켓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 정보를 측정하는 전력 측정 회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전력 사용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 및 상기 측정된 전력 사용 정보 또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릴레이 제어 회로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SMART LIGHTING ADAPTER FOR MANAGING POWER OF LIGHTING}
본 발명은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조명은 빛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나타낸다. 현재 사용되는 조명은 대부분 전기를 이용한다. 조명기구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조명기구로는 백열등, 형광등, LED등 등이 있다.
종래의 경우,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조명기구와 연결된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했다. 어두운 공간의 경우, 조명을 켜기 위하여 먼저 조명기구의 스위치를 찾아내야 하는 불편함도 존재한다.
또한, 대부분의 조명기구는 동작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명기구의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판넬이 별도로 제공되지 않으며, 조명기구의 수명이나 고장 여부 등을 예측하거나 진단할 수 없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상태에만 의존하였다.
근래에는 생활 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이 조명기구에 적용되면, 조명기구는 내부 정보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고,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명기구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41605호, 2004.07.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보다 편리하게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고 조명의 수명 및 고장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는 조명기구용 소켓과 결합되는 입력 소켓, 조명기구와 결합되는 출력 소켓,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 소켓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조명기구에 도통시키거나 차단하는 릴레이 제어 회로, 상기 입력 소켓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 정보를 측정하는 전력 측정 회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전력 사용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 및 상기 측정된 전력 사용 정보 또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릴레이 제어 회로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입력 소켓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출력 소켓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릴레이 제어 회로, 상기 전력 측정 회로, 상기 네트워크 모듈,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열의 방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전력 사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명기구의 수명 완료 또는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제어 크로싱 방식으로 타이밍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타이밍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어 크로싱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 제어 회로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조명 어댑터에 따르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보다 편리하게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고 조명의 수명 및 고장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의 회로부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의 회로부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가 다른 유형의 조명기구와 결합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조명기구(3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조명기구(300)와 소켓(미도시)에 배치되고, 조명기구(300)에 대하여 전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조명기구(300)로서 백열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와 사용자 단말기(100)는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iMax),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Z-Wave 중 하나 또는 임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데스크톱(desk top), 랩톱(lap top)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Smart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조명기구(300)에 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측정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에 조명기구(300)에 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신한 전력 사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받은 사용자 명령을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상부 하우징(210), 회로부(220), 하부 하우징(230), 버튼(또는, 스위치, 240)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210)은 하부 하우징(230)과 결합하여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부 하우징(210)에는 회로부(2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방출을 위하여 복수 개의 방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10)에는 조명기구용 소켓과 결합될 수 있는 입력 소켓(215)이 형성된다. 입력 소켓(215)은 소켓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로부(220)는 후술하는 릴레이 제어 회로(221), 전력 측정 회로(224), 제어부(226), 네트워크 모듈(227) 등의 회로 구성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230)의 중앙부에는 회로부(220)의 고정을 위한 기둥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부(220)는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 하우징(23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30)에는 조명기구(300)와 결합될 수 있는 출력 소켓(235)이 형성된다. 출력 소켓(235)은 조명기구(300)의 베이스(또는, 캡)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력 소켓(215)과 출력 소켓(235)의 형상은 에디슨형, 스완형, 바이포스트형, 더블엔드형 등의 다양한 타입들 중에서 서로 다른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240)은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의 외면의 일 위치(예를 들어, 하부 하우징(230))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240)을 조작하여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페어링을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버튼(240)을 조작하여 조명기구(3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버튼(240)은 예시되지 않은 다른 기능 및 동작을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발광소자(2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228)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의 외면의 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228)가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228)는 버튼(24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소자(228)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228)는 조명기구(300)에 대한 전력의 도통 상태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연결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의 상태는 발광소자(228)의 온/오프 또는 발광색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의 회로부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의 회로부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어댑터의 회로부(220)는 릴레이 제어 회로(221), AC-DC 변환 회로(223), 전력 측정 회로(224), 제로 크로싱 회로(225), 제어부(226), 네트워크 모듈(227)을 포함한다.
릴레이 제어 회로(221)는 제어부(226)의 제어 명령에 따라 릴레이를 제어하여 입력 소켓(21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부하(조명기구, 250)에 도통시키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다.
AC-DC 변환 회로(223)는 입력 소켓(215)으로부터 공급되는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어부(226) 또는 네트워크 모듈(227) 등에 공급한다.
전력 측정 회로(224)는 조명기구(250)에 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측정한다. 전력 측정 회로(224)는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조명기구(250)의 소비 전압, 소비 전류, 주파수, 역률, 순간 소비 전력, 누적 소비 전력량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 측정 회로(224)가 측정할 수 있는 전력 사용 정보가 예시된 정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 측정 회로(224)는 측정한 전력 사용 정보를 제어부(226)에 전달한다.
제로 크로싱 회로(225)는 릴레이(미도시)의 온/오프시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제어 크로싱 방식으로 릴레이 제어를 위한 타이밍을 체크하고, 타이밍 정보를 제어부(226)에 전송한다.
제어부(226)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의 기능 및 동작을 총체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26)는 각종 데이터의 수집, 연산, 가공 및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26)에는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내장될 수 있다. 제어부(226)는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은 다른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모듈(227)은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모듈(22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iMax),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Z-Wave 중 하나 또는 임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모듈(227)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어부(226)에게 전달하고, 제어부(226)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모듈(227)은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조명기구(300)에 대하여 전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조명기구(300)의 소비 전압, 소비 전류, 역률, 순간 소비 전력, 누적 소비 전력량, 전기 사용 금액, CO2의 배출량 등을 측정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에 이러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기 사용 금액 및 CO2의 배출량은 각각 소비 전력량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 금액 및 기준 배출량을 기초로 측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고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를 제어하여 조명기구(300)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미리 설정된 온오프 스케쥴(턴온 시각, 턴오프 시각, 동작 시간 등)에 따라 조명기구(300)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도 있다. 이로써,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조명기구(3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조명기구(300)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조명기구(300)의 수명과 고장 여부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조명기구(300)의 수명과 고장 여부는 조명기구(300)의 점멸 회수, 동작 시간, 소비 전력, 밝기 등을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조명기구(300)의 수명이 완료되거나, 조명기구(300)가 고장난 경우,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이러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통지를 전송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보다 편리하게 조명기구(300)를 교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가 다른 유형의 조명기구와 결합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어댑터는 나트륨등, 수은등, 형광등, 할로겐등, LED등 등과 같은 다양한 조명기구(4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가정 내부 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액세스 포인트(AP)에 의해서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등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스마트 조명 어댑터(200)에 의하면, 종래의 조명기구들도 스마트 조명기구로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조명기구의 전력 사용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조명기구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고 밝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조명기구의 수명 및 고장 여부를 판단하거나 예측하여 조명기구를 교체할 수도 있다. 조명기구의 기능 및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이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등에 의해 수집되고, 수집된 대규모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조명기구와 관련된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스마트 조명 어댑터
200: 사용자 단말기
210: 상부 하우징
215: 입력 소켓
220: 회로부
230: 하부 하우징
235: 출력 소켓
240: 버튼(스위치)

Claims (5)

  1. 조명기구용 소켓과 결합되는 입력 소켓;
    조명기구와 결합되는 출력 소켓;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 소켓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조명기구에 도통시키거나 차단하는 릴레이 제어 회로;
    상기 입력 소켓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 정보를 측정하는 전력 측정 회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전력 사용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 및
    상기 측정된 전력 사용 정보 또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릴레이 제어 회로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소켓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출력 소켓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릴레이 제어 회로, 상기 전력 측정 회로, 상기 네트워크 모듈,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열의 방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가 형성되는,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전력 사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명기구의 수명 완료 또는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통지를 전송하는,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5. 제1항에 있어서,
    제어 크로싱 방식으로 타이밍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타이밍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어 크로싱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 제어 회로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KR1020150056757A 2015-04-22 2015-04-22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KR20160125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757A KR20160125793A (ko) 2015-04-22 2015-04-22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757A KR20160125793A (ko) 2015-04-22 2015-04-22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93A true KR20160125793A (ko) 2016-11-01

Family

ID=5748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757A KR20160125793A (ko) 2015-04-22 2015-04-22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7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8149A1 (zh) * 2018-09-07 2020-03-12 杭州华普永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器及灯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605B1 (ko) 2001-10-17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원격제어가능한 전자기기, 전자기기의원격제어시스템 및 전자기기의 원격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605B1 (ko) 2001-10-17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원격제어가능한 전자기기, 전자기기의원격제어시스템 및 전자기기의 원격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8149A1 (zh) * 2018-09-07 2020-03-12 杭州华普永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器及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8933B (zh) 智慧開關系統及其控制方法
US9386659B2 (en) Fully integrated intelligent lighting module
US11265997B2 (en) Lighting device for powering from a main power supply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KR101283321B1 (ko) Led 고장 검출 장치
KR10128680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US20100204847A1 (en) Wireless infrastructure mesh network system using a lighting node
KR20170097207A (ko) Led 조명 디바이스, 무선 네트워크 및 그 제어 방법
KR100904792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및 그를 채용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관리 시스템
JP5842127B2 (ja) 照明装置、照明制御装置、照明器具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2015133311A (ja) 照明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05142264A (zh) 智能灯及智能控制系统
US20160056971A1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WO2015089168A1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assembly and regulating device
JP2017021932A (ja) Led照明システム
JP6876975B2 (ja) リモコン、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器具
JP2013165004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40097760A (ko) Dali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비상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장치
TWI685277B (zh) 具有獨立電源之無線燈具驅動裝置及其燈具系統
CN107529245B (zh) 一种智能灯具及其远程控制系统
KR101663542B1 (ko) 가로등 인텔리전트 제어 시스템
KR101306762B1 (ko) 무선통신 기반 led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25793A (ko) 조명의 전원을 관리하는 스마트 조명 어댑터
US20140217927A1 (en) Temperature dependent hybrid light bulb
US10448484B1 (en) Integrated digital lighting controller
KR102092823B1 (ko) 조명기의 디밍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