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690A - Push switch - Google Patents

Push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690A
KR20160124690A KR1020160047553A KR20160047553A KR20160124690A KR 20160124690 A KR20160124690 A KR 20160124690A KR 1020160047553 A KR1020160047553 A KR 1020160047553A KR 20160047553 A KR20160047553 A KR 20160047553A KR 20160124690 A KR20160124690 A KR 2016012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movable contact
push switch
pusher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5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키라 가네코
다카유키 이토
도시히코 다자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6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sh switch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a joining surface to be peeled off even in the case of being push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which provides a good operation feeling. The push switch (1) comprises a dome-shaped movable contact member (12), a case having a receiving part (11b) for receiv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a fixed contact member (14) arranged in the receiving part (11b) to be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a sheet member (13) arranged to cover the receiving part (11b), and a pusher member (16) arranged between the sheet member (13)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The pusher member (16) includes a joining surface (16a) joined to the sheet member (13) at one end side thereof, and a contact surface (16b) being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at the other end side thereof. The joining surface (16a) has an area greater than an area of the contact surface (16b).

Description

푸시 스위치{PUSH SWITCH}Push switch {PUSH SWITCH}

본 발명은, 돔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를 구비하는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switch including a dome-shaped movable contact member.

최근, 휴대 기기의 소형화나 경량화에 따라, 사용하는 푸시 스위치에도 더 소형화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소형의 푸시 스위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구성이 알려져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portable devices, push switches to be used are required to be further downsized. A compact push switch is known, for example, as shown in Patent Document 1.

도 11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100)의 구성 부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푸시 스위치(100)의 측면측의 외관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 (a)는 푸시 스위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12 (b)는 단면도이다. 푸시 스위치(10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 접점 부재(114)를 갖는 케이스(111)와, 케이스(111)에 배치되고, 가압 조작에 따라서 복수의 고정 접점 부재(114)에 이접(離接)하는 가동 접점 부재(112)와, 가동 접점 부재(112)를 고정 접점 부재(114)와 이접 가능한 상태로 케이스(111)에 유지하는 시트 부재(113)를 구비하고 있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push switch 100 of the related art.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side surface of the push switch 100, Fig. 12 (a) is a side view of the push switch 100, and Fig. 12 (b) is a sectional view. 11, the push switch 100 includes a case 111 having a plurality of stationary contact members 114 and a plurality of stationary contact members 114 arranged in the case 111, And a sheet member 113 for hold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 in the case 111 in such a state that 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member 114. [

가동 접점 부재(112)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11 및 도 1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돔 형상으로 형성되고, Z1 방향으로 팽출(膨出)되어 있다. 팽출된 부분의 중앙부가, 가동 접점부(112a)가 되어 있다. 가동 접점 부재(112)는, 가동 접점부(112a)가 Z1 방향으로부터 가압되면 Z2 방향으로 휜 후에 반전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 전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가동 접점 부재(112)는, 도 11 및 도 1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11)의 배치부(111b)에 배치된다. 가동 접점부(112a)가 케이스(111)에 설치된 제 1 고정 접점부(114a)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Z1 방향으로부터 조작되면 제 1 고정 접점부(114a)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또, 외연(外緣)부가 제 2 고정 접점부(114b)와 맞닿도록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시트 부재(113)는, 광에 대한 투과성이 있고 가요성(可撓性)을 가진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113)의 외형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자(116)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도 1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점 부재(112)와 시트 부재(1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누름자(116)는, 시트 부재(113)에 레이저 용착에 의해 고착되어 있고, 시트 부재(113)측이 곡면 형상이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접점 부재(112)의 돔 형상의 정점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 is made of a metal plate and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ircular dome shape as shown in Figs. 11 and 12 (b) and is bulged out in the Z1 direc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lged portion is the movable contact portion 112a. When 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a is pressed from the Z1 direction, 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 is inverted after being bent in the Z2 direction. When 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a is released from the press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 is disposed in the arrangement portion 111b of the case 111, as shown in Figs. 11 and 12 (b). The movable contact portion 112a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ed contact portion 114a provided in the case 11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contact portion 114a whe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112a is operated from the Z1 direction. In addition, an outer edge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xed contact portion 114b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he sheet member 113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permeability to light and having flexibility, and is formed into a sheet shape. As shown in Fig. 11, the outer shape of the sheet member 11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pusher 116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 and the sheet member 113 as shown in Fig. 12 (b). The pusher 116 is fixed to the sheet member 113 by laser welding, and the side of the sheet member 113 is curved. 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 is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a vertex portion of the dome shape.

이에 의해, 시트 부재(113)와 누름자(116)를 용착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212)와 누름자(116)의 접촉 위치가 안정된다.Thus, the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movable contact member 212 and the pusher 116 is stabilized by welding the sheet member 113 and the pusher 116 together.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5-15129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5-15129

그러나, 푸시 스위치의 소형화에 따라서, 가동 접점 부재(112)와 시트 부재(113) 사이에 배치되는 누름자(116)의 직경을 작게 하지 않으면, 푸시 스위치의 조작 감촉이 나빠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누름자(116)의 직경을 작게 하면, 옆으로부터 힘을 받은 경우에, 누름자(116)와 시트 부재(113)의 접합면이 벗겨지기 쉬워져 버린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누름자(116)의 접촉 위치가 어긋나, 가동 접점 부재(112)를 적절하게 가압할 수 없게 된다는 우려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push switch, if the diameter of the pusher 116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 and the sheet member 113 is not reduced,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push switch becomes poor. On the other hand, if the diameter of the pusher 116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usher 116 and the sheet member 113 becomes easily peeled off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side. Therefor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ontact position of the pusher 116 is shifted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112 can not be appropriately presse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이 벗겨지기 어렵고, 조작 감촉이 좋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sh switch which is less likely to be peeled off even in the case where it is press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which has a pleasant operation feeling.

본 발명은, 돔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접점 부재에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 사이에 배치된 누름자 부재를 구비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 부재는, 일단(一端)측에서 상기 시트 부재에 접합된 접합면과, 타단(他端)측에서 상기 가동 접점 부재에 맞닿는 맞닿음면을 갖고, 상기 접합면이 상기 맞닿음면에 비하여 큰 면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ovable contact member formed in a dome shape; a case having a housing portion for hous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a stationary contact member dispos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And a push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heet member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wherein the pusher member has a joint surface joined to the sheet member at one end side, And has an abutment surface abutting against the movable contact member at the other end side, and the abutting surface is provided so as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abutment surface.

이 구성에 의하면, 소형화한 경우에도 시트 부재와의 접합 면적이 커지므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이 벗겨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이 벗겨지기 어렵고, 조작 감촉이 좋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size is reduced, the joining area with the sheet member is increased, so that even if the joining surface is press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joining surface can be made less likely to be peeled off. Therefore, even when the switch is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ush switch which is less likely to be peeled off from the joint surface and which provides a pleasant operation feeling.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 부재는, 상기 맞닿음면을 저면(底面)으로 하는 본체부와,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외방(外方)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합면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시트 부재에 접합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ush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er member may include a main body portion having the abutment surface as a bottom surface, and a flan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o the outside (outward) And the joining surface is formed by joining the body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to the sheet member at the one end side.

이 구성에 의하면, 누름자 부재는, 일단측에서 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도 접합됨으로써 접합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부의 저면인 맞닿음면이 커져 버리는 경우가 없고, 가동 접점 부재의 반전 동작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ontact surface is formed by joining the flan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o the outward side from the one end side of the pusher member, the abutment surface, which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inversion operation can be stably performed.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가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ush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ortion is not more than twice the thickness of the sheet member.

이 구성에 의하면, 누름자 부재의 플랜지부의 두께가 시트 부재의 두께의 2배 이하이면, 가압 조작에 의한 시트 부재의 변형에 플랜지부가 추종할 수 있으므로, 가동 접점 부재의 반전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pusher member is twice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sheet member, the flange portion can follow the deformation of the sheet member by the pressing operation, so that the reversal operation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can be reliably performed .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 부재가 암색(暗色)계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부재가 투광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ush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er member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dark color system, and the sheet member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synthetic resin.

이 구성에 의하면, 투광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부재의 위로부터 암색계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누름자 부재가 시인(視認) 가능하기 때문에, 표면이 평탄한 상태이더라도 누름자 부재의 배치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usher member made of the synthetic resin of the dark color system can be visually observed from above the sheet member made of the light transmitting synthetic resin, the arrangement of the pusher member can be confirmed even when the surface is flat.

또,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 부재는, 상기 일단측이 상기 시트 부재측에 볼록하게 되는 곡면 형상이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접합면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곡면 형상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ush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er member is a curved surface shape in which the one end side is convex on the sheet member side, and the sheet member has a curved surface shape from the joining surface to the outside .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되는 부분이, 곡면 형상이 되어 있음으로써, 조작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가압 방향을 시트 부재가 추종하기 쉬운 방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감촉이 좋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operated portion has a curved shape, the operating position can be stabilized. In addition, since the pressing direction can be made to be easy for the sheet member to follow, the operation feeling is good.

본 발명에 의하면, 누름자 부재는, 일단측에서 시트 부재에 접합된 접합면과, 타단측에서 가동 접점 부재에 맞닿는 맞닿음면을 갖고, 접합면이 맞닿음면에 비하여 큰 면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이 벗겨지기 어렵고, 조작 감촉이 좋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er member is provided so as to have a joint surface joined to the sheet member at one end and an abutment surface abutting against the movable contact member at the other end side, so that the abutment surface is larger than the abutment surface have. Therefore, even when the switch is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ush switch which is less likely to be peeled off from the joint surface and which provides a pleasant operation feel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와는 반대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나타낸 외형도이며, 도 4 (a)는 평면도이고, 도 4 (b)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斷面)에 있어서 누름자 부재의 일단측의 접합면 및 타단측의 맞닿음면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에 있어서 푸시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를 나타낸 외형도이며, 도 8 (a)는 평면도이고, 도 8 (b)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 (a)의 Ⅸ-Ⅸ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에 있어서 누름자 부재의 일단측의 접합면 및 타단측의 맞닿음면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구성 부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외관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 (a)는 정면도이고, 도 12 (b)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swit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sh swi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rom the side opposite to Fig.
Fig. 4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push switch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 is a plan view, and Fig. 4 (b) is a front view.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Fig.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abutment surfaces on one end side and the abutment surfaces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usher member in the section of Fig. 5; Fig.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in the section of Fig. 5. Fig.
Fig. 8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push switc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 is a plan view and Fig. 8 (b) is a front view.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8 (a).
Fig. 10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abutment surface on one end side and the abutment surface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usher member in the section of Fig. 9;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a conventional push switch.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and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ush switch, Fig. 12 (a) is a front view, and Fig. 12 (b) is a sectional view.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해하기 쉽게, 도면은 치수를 적당히 변경하고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drawings are dimensionally changed for easy understanding.

[제 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푸시 스위치(1)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와는 반대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를 나타낸 외형도이며, 도 4 (a)는 평면도이고, 도 4 (b)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에 있어서 누름자 부재(16)의 일단측의 접합면(16a) 및 타단측의 맞닿음면(16b)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6에서는 단면을 나타낸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 7은 도 5의 단면에 있어서 푸시 스위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switch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sh switch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rom the side opposite to Fig. 4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push switch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 is a plan view and Fig. 4 (b) is a front view.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abutment surface 16a on one end side and the abutment surface 16b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usher member 16 in the section of Fig. In FIG. 6, the hatching of the section is omitted.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1 in the section of Fig. 5. Fig.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외관을 갖추고, 전자 기기 등의 회로 기판에 실장(實裝)된다. 푸시 스위치(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11b)를 갖는 케이스(11)와, 수용부(11b)에 배치된 고정 접점 부재(14)와, 수용부(11b)를 덮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13)와, 수용부(11b)에 배치된 가동 접점 부재(12)와 누름자 부재(16)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push switch 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appearance and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such as an electronic apparatus. 2, the push switch 1 includes a case 11 having a housing portion 11b, a stationary contact member 14 disposed in the housing portion 11b, And a movable contact member 12 and a pusher member 16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b.

케이스(11)는, 절연 재료의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11b)를 갖는 박스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1)에 사용되어 있는 합성 수지는, 광이 투과하기 어려운 흑색 등의 암색계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 케이스(11)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점 부재(14)가 매설되어 있다.The case 11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synthetic resin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 housing portion 11b having one opening as shown in Fig. The synthetic resin used in the case 11 is made of synthetic resin of a dark color such as black which is hard to transmit light. In this case 11, as shown in Figs. 2 and 3, a stationary contact member 14 is embedded.

고정 접점 부재(14)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기계 가공하여 제조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수용부(11b)로부터 제 1 고정 전극부(14a) 및 제 2 고정 전극부(14b)가 노출되고, 측벽(11c)으로부터 제 1 단자부(14c) 및 제 2 단자부(14d)가 노출되어 있다. 수용부(11b)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 1 고정 전극부(14a)는, 제 1 단자부(14c)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고정 전극부(14a)에서 보아 수용부(11b)의 X1-X2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제 2 고정 전극부(14b)는, 제 2 단자부(14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고정 전극부(14a)와 제 2 고정 전극부(14b)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케이스(11)가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고정 전극부(14a)와 제 2 고정 전극부(14b)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제 1 단자부(14c)와 제 2 단자부(14d)는 절연되어 있다. 케이스(11)와 고정 접점 부재(14)는,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일체화된다.2, the stationary contact member 14 is formed by machining a conductive metal plate. As shown in Fig. 2, the stationary contact member 14 is formed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11b of the case 11 to the first fixed electrode portion 14a, The first terminal portion 14c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4d are exposed from the side wall 11c. The first fixed electrode portion 14a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b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14c. The second fixed electrode portion 14b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X1-X2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b as viewed from the first fixed electrode portion 14a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4d. In addition, the first fixed electrode portion 14a and the second fixed electrode portion 14b are not connected. The first fixed electrode portion 14a and the second fixed electrode portion 14b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likewise the first terminal portion 14c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4d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Is insulated. The case 11 and the stationary contact member 14 are integrated by, for example, insert molding.

가동 접점 부재(12)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기계 가공하여 제조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점부(12a)가 Z1 측으로 돌출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가동 접점 부재(12)는, 수용부(11b)에 수용되었을 때에, 제 2 고정 전극부(14b)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 부재(12)는 돔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제 1 고정 전극부(14a)와 접촉하지 않는다.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is manufactured by machining a conductive metal plate. As shown in Fig. 2, the vertex portion 12a is formed into a dome shape protruding toward the Z1 side (see Fig. 5).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xed electrode portion 14b whe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b. In this state, since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is bent in a dome-like shape, it does not contact the first fixed electrode portion 14a.

시트 부재(13)는, 절연 재료의 합성 수지의 박판(薄板)을 이용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으로 가공되어 있다. 시트 부재(13)에 사용되어 있는 합성 수지는, 유백색 등의 투광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시트 부재(13)에는, 중앙부에서 Z1 측으로 불룩한 팽출 중앙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13)는, 팽출 중앙부(13a)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곡면 형상이 되어 있는 팽출 주변부(13b)가 형성되어, 팽출 주변부(13b)는 외연 영역의 평탄부(13c)보다 불룩해져 있다. 수용부(11b)를 덮도록 배치되는 시트 부재(13)를 케이스(11)에 첩착(貼着)하기 위하여, 시트 부재(13)의 네 모서리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재(13d)가 첩부되어 있다. 또한, 시트 부재(13)를 벗겨지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케이스(11)에 용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에서는, 시트 부재(13)가 투광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1)가 암색계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시트 부재(13)를 통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레이저 용착에 의해서 용착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sheet member 13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by using a thin plate of a synthetic resin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synthetic resin used for the sheet member 13 is made of translucent synthetic resin such as milky white. The sheet member 13 is provided with a bulged central portion 13a bulging toward the Z1 side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The sheet member 13 is formed with a bulging peripheral portion 13b having a curved shape extending from the bulging central portion 13a to the outside so that the bulging peripheral portion 13b is bulged more than the flat portion 13c of the bulging region . As shown in Fig. 3, at four corners of the sheet member 13, an adhesive material 13d (see Fig. 3) is provided on the case 11 so as to attach the sheet member 13 disposed to cover the accommodating portion 11b to the case 11 ). It is preferable that the sheet member 13 is welded to the case 11 in order to make it difficult to peel off the sheet member 13. In the push switc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heet member 13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synthetic resin and the case 1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dark color system, So that it can be welded by laser welding.

누름자 부재(16)는, 절연 재료의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누름자 부재(16)에 사용되어 있는 합성 수지는, 광이 투과하기 어려운 흑색 등의 암색계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누름자 부재(16)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본체부(16c)와, 일단측에서 본체부(16c)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6d)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자 부재(16)는, 일단측이 시트 부재(13)의 팽출 중앙부(13a)의 형상에 따라서 중앙 부분이 시트 부재(13)측(Z1 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16c) 및 플랜지부(16d)가 일단측에서 시트 부재(13)의 팽출 중앙부(13a)에 접합되어 있다. 이 접합면(16a)은, 도 6에 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16d)의 외연까지 넓혀져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접합면(16a)을 나타낸 크로스 해칭을 알기 어렵게 되지 않도록, 단면을 나타낸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한편, 누름자 부재(16)의 타단측인 본체부(16c)의 저면은, 가동 접점 부재(12)의 정점부(12a)에 맞닿는 맞닿음면(16b)이 되어 있다.The pusher member 16 is formed by using a synthetic resin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synthetic resin used for the pusher member 16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dark color such as black which is hard to transmit light. 2, 3 and 5, the pusher member 16 includes a cylindrical main body portion 16c and a flange portion 16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6c at one end side . The pusher member 16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uch that its one end is convexed toward the sheet member 13 side (Z1 sid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bulging central portion 13a of the sheet member 13. The body portion 16c and the flange portion 16d are joined to the bulged central portion 13a of the sheet member 13 at one end. This joint surface 16a is extended to the out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16d as shown by cross hatching in Fig. In FIG. 6, the hatching shown in cross section is omitted so as not to make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ross hatching of the joint surface 16a.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6c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usher member 16 is an abutment surface 16b abutting against the apex portion 12a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16d)의 두께 T16이 시트 부재(13)의 두께 T13의 2배 이하이다. 누름자 부재(16)의 본체부(16c)는 탄성 변형되기 어려운 형상이 되어 있지만, 플랜지부(16d)는 두께 T16이 얇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탄성 변형 가능하다. 누름자 부재(16)의 타단측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점 부재(12)의 정점부(12a)에 맞닿는 맞닿음면(16b)이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thickness T16 of the flange portion 16d is not more than twice the thickness T13 of the sheet member 13. The body portion 16c of the pusher member 16 is of a shape that is hardly elastically deformed, but the flange portion 16d can be elastically deformed comparatively easily because the thickness T16 is thin. The other end side of the pusher member 16 is an abutment surface 16b abutting against the apex portion 12a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as shown in Fig.

누름자 부재(16)의 일단측을 시트 부재(13)에 접합하는 방법은, 접착재를 이용한 접착이어도 되지만, 레이저 용착이나 초음파 용착에 의해서 합성 수지재끼리를 용착하여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체부(16c)와 플랜지부(16d)가 균일하게 용착되도록, 균일하게 가압하여 합성 수지재끼리를 밀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형틀(금형 등)에 누름자 부재(16)를 세팅하여 시트 부재(13)를 균일한 압력으로 누르도록 하여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 레이저 용착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시트 부재(13)를 투광성의 지그로 누름자 부재(16)에 누르도록 하여 가압하면서, 투광성의 지그를 통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면 된다.The method of joining the one end side of the pusher member 16 to the sheet member 13 may be a bonding using an adhesive material,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synthetic resin materials are welded together by laser welding or ultrasonic welding.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ynthetic resin material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16c and the flange portion 16d are uniformly welded together. To do this,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the presser member 16 by pressing the sheet member 13 at a uniform pressure by setting the presser member 16 on a mold (a mold or the like). In the case of laser welding, the sheet member 13 may be pressed against the pusher member 16 with a translucent jig and irradiated with laser light through a translucent jig.

또한, 시트 부재(13)와 누름자 부재(16)를 접합하고 나서, 가열하면서 가압 함으로써 팽출 중앙부(13a)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접합 공정에 있어서 접합되는 합성 수지끼리의 면이 평면이어도 되므로, 접합 공정이 용이해져서 균일하게 접합하기 쉽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접합하고 나서 곡면 형상으로 가압함으로써, 접합이 불충분한 경우에 접합 상태가 개선되는 효과도 나타난다.Further, after the sheet member 13 and the pusher member 16 are joined, the bulging central portion 13a may be formed by pressurizing while heating. In this case, since the surfaces of the synthetic resins bonded in the joining step may be planar, the joining step is facilitated and the joining is uniform. In addition, by bonding to the curved surface,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bonding state is improved when the bonding is insufficient.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시트 부재(13)의 팽출 중앙부(13a)를 Z2측을 향하여 가압하면, 가동 접점 부재(12)가 탄성 변형되어 휘고,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점부(12a)가 Z2측으로 반전한다. 가동 접점 부재(12)가 반전하였을 때에는, 제 1 고정 전극부(14a)와 정점부(12a)가 접촉하여, 제 1 단자부(14c)와 제 2 단자부(14d)가 전기적으로 도통한 상태가 된다.The push switc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pushes the bulging central portion 13a of the sheet member 13 toward the Z2 side so that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elastically deforms and warps, The apex portion 12a is inverted to the Z2 side. When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is inverted, the first fixed electrode portion 14a and the apex portion 12a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14c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4d become electrically conductive .

또한, 이 때에 시트 부재(13)의 팽출 중앙부(13a)는 불룩해짐이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이에 따라서 누름자 부재(16)의 플랜지부(16d)도 추종하여 탄성 변형된다. 또, 시트 부재(13)는 면 방향으로 압축되므로, 팽출 주변부(13b) 및 평탄부(13c)는, Z1측 또는 Z2측으로 약간 물결치도록 탄성 변형되어 압축 응력을 흡수한다.At this time, the bulged central portion 13a of the sheet member 13 is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reduce the bulging, and accordingly, the flange portion 16d of the pusher member 16 is also subjected to elastic deformation. Further, since the sheet member 13 is compressed in the planar direction, the bulging peripheral portion 13b and the flat portion 13c are elastically deformed to absorb the compressive stress so as to slightly wave toward the Z1 side or the Z2 side.

누름자 부재(16)의 맞닿음면(16b)은, 가동 접점 부재(12)의 정점부(12a)를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동 접점 부재(12)가 반전하는 동작을 적절히 행하게 할 수 있어, 조작 감촉이 좋게 된다. 만약, 가동 접점 부재(12)의 정점부(12a)로부터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 누름자 부재(16)가 배치되어 있으면, 가동 접점 부재(12)의 반전 동작이 불안정해지거나, 조작 감촉이 나빠지거나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Since the abutment surface 16b of the pusher member 16 is arranged so as to press the apex portion 12a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perform the operation of revers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 So that the operation feeling is improved. If the pusher member 16 is disposed in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apex portion 12a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the reversing operation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becomes unstable, the operation feeling becomes worse .

또한, 누름자 부재(16)의 본체부(16c)를 플랜지부(16d)의 외경까지 넓혀 버리면, 맞닿음면(16b)이 가동 접점 부재(12)의 크기에 비하여 너무 커져 버려, 정점부(12a)를 적절히 가압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경우에는, 조작 감촉이 나빠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맞닿음면(16b)을 크게 하지 않고, 일단측에서 본체부(16d)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6d)를 설치함으로써 접합면(16a)(도 6 참조)의 접합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main body portion 16c of the pusher member 16 is widen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16d, the abutment surface 16b becomes too large compared to the size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12a can not be properly pressurized. In this case, it was confirmed that the feeling of operation deteriorated. Therefore, by providing the flange portion 16d extending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6d at one end without increasing the abutment surface 16b, the joining surface area of the joining surface 16a (see Fig. 6) .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누름자 부재(16)의 본체부(16c) 및 플랜지부(16d)가 일단측에서 시트 부재(13)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접합면(16a)이 맞닿음면(16b)에 비하여 큰 면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6c)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6d)는, 접합면(16a)의 접합 면적을 대략 2배로 증대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접합 면적에 비례하여, 시트 부재(13)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형화한 경우에도 시트 부재(13)와의 접합 면적이 커지므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16a)이 벗겨지기 어렵다. 따라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16a)이 벗겨지기 어려워진다.The push switch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ody portion 16c and the flange portion 16d of the pusher member 16 are joined to the sheet member 13 at one end, Which is larger than the contact surface 16b. As shown in Fig. 3, the flange portion 16d extending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6c substantially doubles the bonding area of the bonding surface 16a. Therefore, the joining strength with the sheet member 13 can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joining area. As a result, even in the case of miniaturization, the joining area with the sheet member 13 becomes large, so that even if the joining face 16a is press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joining face 16a is hardly peeled off.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being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joint surface 16a is hardly peeled off.

이하에서, 본 실시 형태로 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12)와, 수용부(11b)를 갖는 케이스(11)와, 가동 접점 부재(12)에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 부재(14)와, 수용부(11b)를 덮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13)와, 시트 부재(13)와 가동 접점 부재(12) 사이에 배치된 누름자 부재(16)를 구비한다. 그리고, 누름자 부재(16)는, 일단측에서 시트 부재(13)에 접합된 접합면(16a)과, 타단측에서 가동 접점 부재(12)에 맞닿는 맞닿음면(16b)을 갖고, 접합면(16a)이 맞닿음면(16b)에 비하여 큰 면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push switch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ovable contact member 12 formed in a dome shape, a case 11 having a housing portion 11b, a stationary contact member 14 capable of contact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A sheet member 13 disposed so as to cover the accommodating portion 11b and a pusher member 16 disposed between the sheet member 13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 The pusher member 16 has a joint surface 16a joined to the sheet member 13 at one end and an abutment surface 16b abutt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at the other end, (16a) is larger than the abutment surface (16b).

이 구성에 의하면, 소형화한 경우에도 시트 부재(13)와 누름자 부재(16)의 접합 면적이 커지므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16a)이 벗겨지기 어렵다. 따라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16a)이 벗겨지기 어렵고, 조작 감촉이 좋은 푸시 스위치(1)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size is reduced, the joining area of the sheet member 13 and the pusher member 16 is increased, so that even if the joining face 16a is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joining face 16a is difficult to peel off. Therefore, the push switch 1 can be provided which is less likely to be peeled off from the contact surface 16a even in the case where it is press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touch feeling is good.

또,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에 있어서, 누름자 부재(16)는, 맞닿음면(16b)을 저면으로 하는 본체부(16c)와, 일단측에서 본체부(16c)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6d)를 구비한다. 그리고, 접합면(16a)은, 본체부(16c) 및 플랜지부(16d)가 일단측에서 시트 부재(13)에 접합됨으로써 형성된다.In the push switc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sher member 16 includes a body portion 16c having a contact surface 16b as a bottom surface, And a flange portion 16d extending outwardly. The joint surface 16a is formed by joining the body portion 16c and the flange portion 16d to the sheet member 13 at one end.

이 구성에 의하면, 일단측에서 본체부(16c)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6d)도 접합됨으로써 접합면(16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부(16c)의 저면인 맞닿음면(16b)이 커져 버리는 경우가 없고, 가동 접점 부재(12)의 반전 동작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The flange portion 16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6c at one end side is also joined so that the abutting surface 16a is formed, so that the abutment surface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can be stably operated to perform the reversing operation.

또,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에 있어서, 플랜지부(16d)의 두께 T16이 시트 부재(13)의 두께 T13의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T16 of the flange portion 16d is not more than twice the thickness T13 of the sheet member 13 in the push switc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플랜지부(16d)의 두께 T16이 시트 부재(13)의 두께 T13의 2배 이하이면, 가압 조작에 의한 시트 부재(13)의 변형에 플랜지부(16d)가 추종할 수 있으므로, 가동 접점 부재(12)의 반전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The flange portion 16d can follow the deformation of the sheet member 13 by the pressing operation if the thickness T16 of the flange portion 16d is not more than twice the thickness T13 of the sheet member 13, 12 can be surely performed.

또,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에 있어서, 누름자 부재(16)는, 일단측이 시트 부재(13)측에 볼록하게 되는 곡면 형상이고, 시트 부재(13)는 접합면(16a)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곡면 형상이 되어 있다.In the push switc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sher member 16 has a curved surface shape in which one end is convex on the side of the sheet member 13, and the sheet member 13 has a contact surface 16a, And has a curved surface shape from the outer side to the outer side.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되는 부분이 곡면 형상이 되어 있음으로써, 조작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가압 방향을 시트 부재(13)가 추종하기 쉬운 방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감촉이 좋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operated portion has a curved shape, the operating position can be stabilized. In addition, since the pressing direction can be se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sheet member 13 can easily follow, the operation feeling is good.

[제 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는, 팽출 중앙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 부재(13)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는 평탄한 구성이고,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ush switch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heet member 13 having the bulged central portion 13a formed therein. However, the push switch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t configuration ,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 this case.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를 나타낸 외형도이며, 도 8 (a)는 평면도이고, 도 8 (b)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 (a)의 Ⅸ-Ⅸ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에 있어서 누름자 부재(26)의 일단측의 접합면(26a) 및 타단측의 맞닿음면(26b)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0에서는 단면을 나타낸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A push switch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Fig. 8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push switch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 is a plan view and Fig. 8 (b) is a front view.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8 (a). Fig. 10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abutment surface 26a on one end side and the abutment surface 26b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usher member 26 in the section of Fig. In Fig. 10, hatching showing the cross section is omitted.

제 2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는,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1b)를 갖는 케이스(21)와, 수용부(21b)에 배치된 고정 접점 부재(24)와, 수용부(21b)를 덮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23)와, 수용부(21b)에 배치된 가동 접점 부재(22)와 누름자 부재(26)를 구비한다. 고정 접점 부재(24)는, 케이스(21)의 수용부(21b)로부터 제 1 고정 전극부(24a) 및 제 2 고정 전극부(24b)가 노출되고, 측벽(21c)으로부터 제 1 단자부(24c) 및 제 2 단자부(24d)가 노출되어 있다. 가동 접점 부재(22)는, 가동 접점 부재(12)와 동일한 것이다. 누름자 부재(26)는, 원기둥 형상의 본체부(26c)와, 일단측에서 본체부(26c)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6d)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자 부재(26)의 타단측인 본체부(26c)의 저면은, 가동 접점 부재(22)의 정점부(22a)에 맞닿는 맞닿음면(26b)이 되어 있다. 또한, 푸시 스위치(2)에 이용되어 있는 각 부재의 재질은 푸시 스위치(1)의 각 부재와 동일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8 to 10, the push switch 2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case 21 having a receiving portion 21b, a stationary contact member 24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b, A sheet member 23 disposed so as to cover the accommodating portion 21b and a movable contact member 22 and a pusher member 26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1b. The first fixed electrode portion 24a and the second fixed electrode portion 24b are exposed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21b of the case 21 and the fixed contact member 24 is exposed from the side wall 21c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24c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4d are exposed. The movable contact member 22 is the same as the movable contact member 12. The pusher member 26 has a cylindrical main body portion 26c and a flange portion 26d extending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26c at one e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26c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usher member 26 is an abutment surface 26b abutting against the apex portion 22a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22. [ The material of each member used in the push switch 2 is the same as that of each member of the push switch 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는, 시트 부재(23)가 평탄하고, 그 중앙부에 누름자 부재(26)의 일단측의 접합면(26a)이 접합되어 있다. 누름자 부재(26)는, 맞닿음면(26b)을 저면으로 하는 본체부(26c)와, 일단측에서 본체부(26c)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6d)를 구비한다. 그리고, 접합면(26a)은, 본체부(26c) 및 플랜지부(26d)가 일단측에서 시트 부재(23)에 접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이 접합면(26a)은, 도 10에 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26d)의 외연까지 넓혀져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접합면(26a)을 나타낸 크로스 해칭을 알기 어렵게 되지 않도록, 단면을 나타낸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The push switch 2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flat sheet member 23 and a joining surface 26a on one end side of the pusher member 26 joined to the center thereof. The pusher member 26 has a body portion 26c having a bottom face on the abutting face 26b and a flange portion 26d extending outward from the side face of the body portion 26c on one end side. The joining surface 26a is formed by joining the body portion 26c and the flange portion 26d to the sheet member 23 at one end. This joint surface 26a is extended to the out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26d as shown by cross hatching in Fig. In FIG. 10, the hatching shown in cross section is omitted so as not to make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cross hatching of the joint surface 26a.

제 2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에 있어서도, 맞닿음면(26b)을 크게 하지 않고, 접합면(26a)의 접합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시 스위치(2)는, 누름자 부재(26)의 본체부(26c) 및 플랜지부(26d)가 일단측에서 시트 부재(23)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접합면(26a)이 맞닿음면(26b)에 비하여 큰 면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합 면적에 비례하여, 시트 부재(23)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형화한 경우에도 시트 부재(23)와의 접합 면적이 커지므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26a)이 벗겨지기 어렵다. 따라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26a)이 벗겨지기 어려워진다.Also in the push switch 2 of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contact surface 26a without increasing the contact surface 26b. The push switch 2 is structured such that the body portion 26c and the flange portion 26d of the pusher member 26 are joined to the sheet member 23 at one end thereof so that the contact surface 26a is in contact with the abutment surface 26b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joining strength with the sheet member 23 can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joining area. As a result, even in the case of miniaturization, the joining area with the sheet member 23 is increased, so that even if the joining face 26a is press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joining face 26a is difficult to be peeled off.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being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bonding surface 26a is hardly peeled off.

또한, 시트 부재(23)가 평탄한 경우, 가압 조작에 의해서 시트 부재(23)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때문에, 조작 하중이 커져, 조작 감촉이 조금 나빠지는 경향이 된다. 또, 가동 접점 부재(22)의 정점부(22a)로부터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 누름자 부재(26)가 배치되어 있으면, 조작 감촉이 나빠진다. 이와 같이 조작 감촉의 점에서, 시트 부재(23)가 평탄한 경우, 특히, 누름자 부재(26)가 수용부(21b)의 중앙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가 중요하지만, 외관상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에 비하여 누름자 부재(26)의 위치를 알기 어렵다. 그러나, 제 2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에 있어서도, 시트 부재(23)가 투광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누름자 부재(26)가 암색계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투광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부재(23)의 위로부터 암색계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누름자 부재(26)가 시인 가능하기 때문에, 표면이 평탄한 상태이더라도 누름자 부재(26)의 배치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sheet member 23 is flat, the sheet member 23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eet member 23 is stretched by the pressing operation. As a result, the operating load increases, and the feeling of operation tends to be slightly deteriorated. Further, if the pusher member 26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displaced from the apex portion 22a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22, the feeling of operation is deteriorated. When the sheet member 23 is flat in view of the operation feel, it is important particularly whether or not the pusher member 26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b. However, since it does not protrude in appearance, It is difficult to know the position of the pusher member 26 as compared with the push switch 1 in the form of a push switch. However, also in the push switch 2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heet member 23 is made of translucent synthetic resin, and the pusher member 26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dark color system. Therefore, since the pusher member 26 made of synthetic resin of the dark color system can be visually observed from above the sheet member 23 made of the light transmitting synthetic resin, the arrangement of the pusher member 26 can be confirmed even when the surface is flat .

이하에서, 본 실시 형태로 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22)와, 수용부(21b)를 갖는 케이스(21)와, 가동 접점 부재(22)에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 부재(24)와, 수용부(21b)를 덮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23)와, 시트 부재(23)와 가동 접점 부재(22) 사이에 배치된 누름자 부재(26)를 구비한다. 그리고, 누름자 부재(26)는, 일단측에서 시트 부재(23)에 접합된 접합면(26a)과, 타단측에서 가동 접점 부재(22)에 맞닿는 맞닿음면(26b)을 갖고, 접합면(26a)이 맞닿음면(26b)에 비하여 큰 면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push switch 2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movable contact member 22 formed in a dome shape, the case 21 hav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21b, the fixed contact member 24 capable of contact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22 A sheet member 23 disposed so as to cover the accommodating portion 21b and a pusher member 26 disposed between the sheet member 23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22. [ The pusher member 26 has a joint surface 26a joined to the sheet member 23 at one end and an abutment surface 26b abutt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22 at the other end, (26a) is larger than the abutment surface (26b).

이 구성에 의하면, 소형화한 경우에도 시트 부재(23)와 누름자 부재(26)의 접합 면적이 커지므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26a)이 벗겨지기 어렵다. 따라서, 횡 방향으로 눌려진 경우이더라도 접합면(26a)이 벗겨지기 어렵고, 조작 감촉이 좋은 푸시 스위치(2)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size is reduced, the joining area of the sheet member 23 and the pusher member 26 is increased, so that even if the joining face 26a is press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joining face 26a is difficult to be peeled off. Therefore, the push switch 2 can be provided which is less prone to peeling off the joint surface 26a even in the case of being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which provides a pleasant operation feeling.

또,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에 있어서, 누름자 부재(26)는, 맞닿음면(26b)을 저면으로 하는 본체부(26c)와, 일단측에서 본체부(26c)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6d)를 구비한다. 그리고, 접합면(26a)은, 본체부(26c) 및 플랜지부(26d)가 일단측에서 시트 부재(23)에 접합됨으로써 형성된다.In the push switch 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sher member 26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26c having a bottom face on the abutment face 26b, And a flange portion 26d extending outwardly. The joining surface 26a is formed by joining the body portion 26c and the flange portion 26d to the sheet member 23 at one end.

이 구성에 의하면, 일단측에서 본체부(26c)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6d)도 접합됨으로써 접합면(26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부(26c)의 저면인 맞닿음면(26b)이 커져 버리는 경우가 없고, 가동 접점 부재(22)의 반전 동작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The flange portion 26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26c at one end side is joined to the abutment surface 26a so that the abutment surface 26c The movable contact member 22 can be stably reversed.

또,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에 있어서, 플랜지부(26d)의 두께 T26이 시트 부재(23)의 두께 T23의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ush switch 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ckness T26 of the flange portion 26d is preferably not more than twice the thickness T23 of the sheet member 23.

플랜지부(26d)의 두께 T26이 시트 부재(23)의 두께 T23의 2배 이하이면, 가압 조작에 의한 시트 부재(23)의 변형에 플랜지부(26d)가 추종할 수 있으므로, 가동 접점 부재(22)의 반전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The flange portion 26d can follow the deformation of the sheet member 23 by the pressing operation if the thickness T26 of the flange portion 26d is twice or more the thickness T23 of the sheet member 23, 22 can be surely performed.

또, 본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에 있어서, 누름자 부재(26)가 암색계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시트 부재(23)가 투광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ush switch 2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pusher member 26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dark color system, and the sheet member 23 is made of a translucent synthetic resin.

이 구성에 의하면, 투광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부재(23)의 위로부터 암색계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누름자 부재(26)가 시인 가능하기 때문에, 표면이 평탄한 상태이더라도 누름자 부재(26)의 배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시트 부재(23)가 투광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누름자 부재(26)가 암색계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시트 부재(23)를 통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레이저 용착에 의해서 용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에 있어서도, 시트 부재(13)를 통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레이저 용착에 의해서 누름자 부재(16)를 용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usher member 26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dark color system can be visually observed from above the sheet member 23 made of a translucent synthetic resin, even if the surface is flat, You can check the placement. Since the sheet member 23 is made of translucent synthetic resin and the pusher member 26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dark color system,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through the sheet member 23 to be welded by laser welding It is possible. Also in the push switch 1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weld the pusher member 16 by laser welding by irradiating laser light through the sheet member 13.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1) 및 제 2 실시 형태의 푸시 스위치(2)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ush switch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ush switch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ve been specifically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in a range not to be described. For example, the following modifications can be made, and these are also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동 접점 부재(12)(22)는 1매의 금속판을 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었지만, 필요에 따라서 복수 개 겹쳐서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able contact members 12 and 22 are formed in a dome shape in a single metal plate. However, a plurality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s 12 and 22 may be used if necessary.

(2)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누름자 부재(16)(26)는 플랜지부(16d)(26d)를 구비한 외관 형상으로 하고 있었지만, 접합면(16a)(26a)이 맞닿음면(16b)(26b)에 비하여 큰 면적이 되도록 설치되고, 가동 접점 부재(12)(22)에 맞닿음면(16b)(26b)만이 맞닿는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면, 원추형으로 해도 된다. 또한, 탄성 변형되기 어려운 형상인 경우, 가압 조작에 의한 시트 부재(13)(23)의 변형 영역은, 보다 외방으로 넓혀지게 된다.(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sher members 16 and 26 have an outer shape having the flange portions 16d and 26d, but the contact surfaces 16a and 26a may be in contact with the abutment surfaces 16b The movable contact members 12 and 22 may have a shape in which only the abutment surfaces 16b and 26b abut against each other. For example, it may be conical. Further, in the case of the shape which is hardly deformed elastically, the deformation area of the sheet members 13, 23 by the pressing operation is widened further outward.

(3)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략 직육면체의 외관을 갖추고, 가동 접점 부재(12)(22)가 평면에서 보아 원형이 아닌 것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3) In this embodiment, the movable contact members 12 and 22 are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s 12 and 22 are not circular in plan vie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2: 푸시 스위치
11: 케이스
11b: 수용부
11c: 측벽
12: 가동 접점 부재
12a: 정점부
13: 시트 부재
13a: 팽출 중앙부
13b: 팽출 주변부
13c: 평탄부
13d: 점착재
14: 고정 접점 부재
14a: 제 1 고정 전극부
14b: 제 2 고정 전극부
14c: 제 1 단자부
14d: 제 2 단자부
16: 누름자 부재
16a: 접합면
16b: 맞닿음면
16c: 본체부
16d: 플랜지부
21: 케이스
21b: 수용부
21c: 측벽
22: 가동 접점 부재
22a: 정점부
23: 시트 부재
24: 고정 접점 부재
24a: 제 1 고정 전극부
24b: 제 2 고정 전극부
24c: 제 1 단자부
24d: 제 2 단자부
26: 누름자 부재
26a: 접합면
26b: 맞닿음면
26c: 본체부
26d: 플랜지부
1, 2: Push switch
11: Case
11b:
11c: side wall
12: movable contact member
12a:
13: sheet member
13a:
13b: bulge peripheral portion
13c:
13d: Adhesive
14: Fixed contact member
14a: a first fixed electrode portion
14b: the second fixed electrode portion
14c: a first terminal portion
14d: a second terminal portion
16:
16a:
16b: abutment surface
16c:
16d: flange portion
21: Case
21b:
21c: side wall
22: movable contact member
22a:
23: sheet member
24: Fixed contact member
24a: a first fixed electrode portion
24b: the second fixed electrode part
24c: a first terminal portion
24d: a second terminal portion
26:
26a:
26b: abutment surface
26c:
26d: flange portion

Claims (6)

돔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접점 부재에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 부재와,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배치된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 사이에 배치된 누름자 부재를 구비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 부재는, 일단측에서 상기 시트 부재에 접합된 접합면과, 타단측에서 상기 가동 접점 부재에 맞닿는 맞닿음면을 갖고, 상기 접합면이 상기 맞닿음면에 비하여 큰 면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A movable contact member formed in a dome shape,
A case having a housing portion for hous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A stationary contact memb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A sheet member arranged to cover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push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heet member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The pusher member has a joint surface joined to the sheet member at one end and an abutment surface abutt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abutment surface is larger than the abutment surface Wherein the push switch is a push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 부재는, 상기 맞닿음면을 저면으로 하는 본체부와,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합면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시트 부재에 접합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er membe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the abutting surface as a bottom surface and a flan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side to the out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joint surface is formed by joining the body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to the sheet member at the one end 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가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ortion is not more than twice the thickness of the sheet memb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 부재가 암색계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부재가 투광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usher member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dark color system, and the sheet member is made of a translucent synthetic resi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 부재는, 상기 일단측이 상기 시트 부재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곡면 형상이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접합면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곡면 형상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usher member has a curved surface shape in which the one end side is convex toward the sheet member side,
Wherein the sheet member has a curved shape extending from the joining surface to the outs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 부재는, 상기 일단측이 상기 시트 부재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곡면 형상이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접합면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곡면 형상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usher member has a curved surface shape in which the one end side is convex toward the sheet member side,
Wherein the sheet member has a curved shape extending from the joining surface to the outside.
KR1020160047553A 2015-04-20 2016-04-19 Push switch KR2016012469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6151A JP6680463B2 (en) 2015-04-20 2015-04-20 Push switch
JPJP-P-2015-086151 2015-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690A true KR20160124690A (en) 2016-10-28

Family

ID=5724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553A KR20160124690A (en) 2015-04-20 2016-04-19 Push switch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80463B2 (en)
KR (1) KR20160124690A (en)
CN (1) CN10606739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65516A1 (en) * 2019-04-10 2022-05-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ush swit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5129A (en) 2013-07-04 2015-01-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Push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6451A (en) * 1976-12-06 1978-04-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Keyboard apparatus
JPS63254624A (en) * 1987-04-10 1988-10-21 株式会社 石井表記 Manufacture of membrane and panel switch
WO2004055848A1 (en) * 2002-12-13 2004-07-01 Fujikura Ltd. Sheet switch and its operation sheet
JP2010027537A (en) * 2008-07-24 2010-02-04 Citizen Electronics Co Ltd Sheet switch module
JP2012059432A (en) * 2010-09-07 2012-03-22 Panasonic Corp Push switch
JP5906377B2 (en) * 2011-09-08 2016-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Push swit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5129A (en) 2013-07-04 2015-01-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Push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80463B2 (en) 2020-04-15
CN106067399B (en) 2018-07-10
CN106067399A (en) 2016-11-02
JP2016207388A (en)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6953B (en) Push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529505B2 (en) Push switch
US20100300859A1 (en) Dome array for use with a switch
TWI616916B (en) Push-button switch and movable contact member
JP2006164711A (en) Push-on switch
JP2015522211A (en) Pushbutton switch with deformable curved contact element
KR101782244B1 (en) Movable contact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witching device us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JP2016081915A (en) Push switch
JP2013235822A (en) Push-on switch
JP5722198B2 (en) Waterproof pushbutton switch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124690A (en) Push switch
KR101150761B1 (en) Slim type push switch device
JP5722199B2 (en) Waterproof pushbutton switch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3143355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791328B1 (en) Movable contact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witching device using the movable contact member
JP6949222B2 (en) Push switch
JP2015095331A (en) Tact switch
JP2010205691A (en) Push-on switch
WO2022260011A1 (en) Pressing operation body and switch device
WO2023021580A1 (en) Push button switch member
TWM541635U (en) Membrane switch and keyswitch device
JP2013026092A (en) Switch device
JP2015022908A (en) Waterproof push-button switch me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5032417A (en) Waterproof push button switch me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3101873A (en) Slim type push swit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30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531

Effective date: 2019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