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660A - 트랙터 - Google Patents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660A
KR20160124660A KR1020160030884A KR20160030884A KR20160124660A KR 20160124660 A KR20160124660 A KR 20160124660A KR 1020160030884 A KR1020160030884 A KR 1020160030884A KR 20160030884 A KR20160030884 A KR 20160030884A KR 20160124660 A KR20160124660 A KR 20160124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gas processing
urea water
tractor
bon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타 나가노
신야 요시키
타츠조 무라카미
요시타카 타케치
에리나 타무라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hermal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2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1Gas flow channels or gas chambers being at least partly formed in the structural parts of the engine or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2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heat or sound protection, e.g. using a shield or specially shaped outer surface of exhaus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33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1)는 전륜(4) 및 후륜(5)과, 엔진(7)을 덮는 보닛(6)과, 배기가스 처리부(32)를 구비한다. 배기가스 처리부(32)는 보닛(6)의 좌우 어느 한쪽의 외측방이며, 또한 전륜(4)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엔진(7)의 배기가스를 정화 처리한다. 배기가스 처리부(32)의 외주면은 원통 형상의 열 차단판(33)으로 덮인다. 그리고, 열 차단판(33)의 뒷면에는 복수의 통기 구멍(33a)을 형성하고, 열 차단판(33)의 앞면이며 또한 전륜(4)과 대향하는 부위에는 통기 구멍(33a)을 형성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트랙터{TRACTOR}
개시의 실시형태는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농업용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은 엔진의 배기가스를 2개의 배기가스 처리부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서 정화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 기구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2개의 배기가스 처리부는 한쪽 배기가스 처리부가 보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다른쪽 배기가스 처리부가 보닛의 좌우 어느 한쪽의 외부에 배치된다(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7937936호 명세서 참조).
그리고, 보닛의 외부에 배치되는 배기가스 처리부는 외면이 커버에 덮인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작업 차량에서는 보닛의 외부에 배치되는 배기가스 처리부가 커버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처리부의 열이 방산되지 않고 커버의 내부에 가득 차서 방열성이 악화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닛의 외부에 배치되는 배기가스 처리부의 방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일형태에 의한 트랙터(1)는 전륜(4) 및 후륜(5)과, 엔진(7)을 덮는 보닛(6)과, 배기가스 처리부(32)를 구비한다. 배기가스 처리부(32)는 보닛(6)의 좌우 어느 한쪽의 외측방이며, 또한 전륜(4)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엔진(7)의 배기가스를 정화 처리한다. 배기가스 처리부(32)의 외주면은 원통 형상의 열 차단판(33)으로 덮인다. 그리고, 열 차단판(33)의 뒷면에는 복수의 통기 구멍(33a)을 형성하고, 열 차단판(33)의 앞면이며 또한 전륜(4)과 대향하는 부위에는 통기 구멍(33a)을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트랙터(1)는 배기가스 처리부(3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 부재(40)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부(32)를 적재하는 적재 부재(41)를 설치하고, 상기 적재 부재(41)에 방열용의 개구(43)를 형성한다.
또한, 트랙터(1)는 상기 배기가스 처리부(32)는 요소수 펌프(65)로 공급되는 요소수에 의해 정화 처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요소수 펌프(65)를 상기 배기가스 처리부(32)의 후방에 설치하고, 상기 요소수 펌프(65)의 외측방을 덮는 펌프 커버(66)를 설치하고, 상기 펌프 커버(66)에 통기 구멍(67)을 형성한다.
실시형태의 일형태에 의하면, 열 차단판이 통기 구멍을 가짐으로써 열 차단판에 덮인 배기가스 처리부의 방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열 차단판에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전륜측으로부터 날아든 진흙 등이 통기 구멍으로부터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처리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열이 가득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펌프 커버에 통기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요소수 펌프의 열을 외부로 도피시킬 수 있다. 즉, 요소수 펌프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완전한 인식이나 그것에 따른 이점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과 대조해서 읽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보닛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보닛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배기가스 처리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배기가스 처리부 및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연료 탱크 및 요소수 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연료 서브 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연료 펌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고 또한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1)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1)는 포장 등에서 자주하면서 대지 작업을 행하는 농업용의 트랙터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트랙터(1)의 전진 방향을 전방측(도 1의 좌측)이라고 하고, 전진 방향의 반대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측(도 1의 우측)이라고 하고, 트랙터(1)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하고, 트랙터(1)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연직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하고 있다.
트랙터(1)는 엔진(7)에 의해 발생하고, 주변속 장치 및 부변속 장치에 의해 감속한 동력을 전륜 증속 스위칭 기구를 통해서 전륜(4)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트랙터(1)는 전륜 증속 스위칭 기구가 동력을 전달하면, 엔진(7)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전륜(4) 및 후륜(5)의 사륜이 구동된다. 또한, 트랙터(1)는 전륜 증속 스위칭 기구가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면, 엔진(7)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후륜(5)의 이륜이 구동된다. 즉, 트랙터(1)는 이륜 구동 및 사륜 구동의 스위칭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1)의 기체(2) 후방부에는 로터리 등의 작업기를 장착 가능한 PTO(Power take-off) 출력축(3)이 설치되어 있다.
기체(2)는 주변속 장치, 부변속 장치, 전륜 증속 스위칭 기구, PTO 출력축(3)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PTO 전도부 등이 수용된 미션 케이스(8)와, 미션 케이스(8)의 전방부에 부착된 패널 대시(9)와, 캐빈(15)을 지지하고 또한 엔진(7) 등이 설치된 기체 프레임(1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체(2)를 구성하는 미션 케이스(8), 패널 대시(9) 및 기체 프레임(12)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 프레임(12)은 캐빈(15)을 지지하는 부분과, 보닛(6)의 하방에서 엔진(7) 등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대별된다.
엔진(7)은 패널 대시(9)의 전방측에서 기체 프레임(12) 상에 탑재됨과 아울러, 보닛(6)에 의해 덮여 있다. 미션 케이스(8)는 패널 대시(9)로부터 기체(2)의 후방부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8)의 후방부 상방에는 조종석(10)이 설치되어 있다. 조종석(10)의 좌우 각각의 측방에는 흙받이용의 펜더(11)가 설치되어 있다. 보닛(6)은 기체(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 공간을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조종석(10)은 오퍼레이터가 트랙터(1)의 조종시에 앉는 것이며, 기체 프레임(12)에 지지된 캐빈(15)에 둘러싸여 있다. 조종석(10)의 전방에는 전륜(4)의 조타에 사용하는 스티어링 핸들(13)과, 오퍼레이터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 패널과, 오퍼레이터가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핸들(13)은 핸들 포스트(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 포스트(14)의 하방측, 즉 조종석(10)에 오퍼레이터가 앉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발밑 부근에는 클러치 페달(20) 이외에, 후륜(5)을 페달 조작에 따라서 제동하는 브레이크 페달, 페달 조작에 따라서 기체(2)가 가속하는 액셀 페달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종석(10)의 우측에는 트랙터(1)의 후방부에 장착된 로터리 등의 작업기를 상하로 승강 조작하는 작업기 승강 레버가 설치되고, 조종석(10)의 좌측에는 트랙터(1)의 주행시에 있어서의 주변속 장치의 변속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주변속 레버, 부변속 장치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부변속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속 레버는 주변속 장치의 변속인 주변속의 조작을 행하여, 주변속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자동 변속 및 오퍼레이터의 임의로 행하는 수동 변속을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주변속 레버는 수동 변속에서는 주변속 장치의 감속비를 8단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한다. 또한, 부변속 레버는 부변속 장치를 조작하여 주행 속도를 초저속, 저속, 중속, 고속 및 중립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캐빈(15)의 하방에는 엔진(7)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탱크(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빈(15)의 하방에는 후술하는 배기가스 처리 기구(30)를 구성하는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도 2 참조)에 공급하는 요소수를 저류하는 요소수 탱크(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16) 및 요소수 탱크(17)의 배치에 대해서는 도 7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기체(2)는 캐빈(15)의 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빈(15)의 좌우 각각의 외부]에 오퍼레이터가 캐빈(15)에 승강할 경우에 사용하는 승강 스텝(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2)는 보닛(6)의 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부에 정화 처리된 엔진(7)의 배기가스를 대기 중에 배출하는 머플러(22)가 직립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보닛(6)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보닛(6)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캐빈(15)을 생략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걸쳐서 엔진(7)의 배기가스를 정화 처리하여 배기가스 내의 대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처리 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가스 처리 기구(30)는 2개의 배기가스 처리부, 즉 제 1 배기가스 처리부(31)(도 3 참조) 및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배기가스 처리부(31)는 보닛(6)의 내부에 있어서 엔진(7)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는 보닛(6)의 좌우 어느 한쪽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가스 처리 기구(30)는 제 1 배기가스 처리부(31)에 배기가스 내의 일산화질소(NO)를 효율적으로 산화시키는 DOC(Diesel Oxidation Catalyst)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 처리 기구(30)는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에 요소수(NH3)를 사용한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 촉매 환원)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배기가스 처리 기구(30)에서는 DOC에 있어서 배기가스 내의 일산화질소(NO)를 이산화탄소(NO2)로 변환하고, SCR에 있어서 이산화질소(NO2)에 요소수(NH3)를 공급하여 이산화질소(NO2)를 물(H2O)과 질소가스(N2)로 변환함으로써 배기가스 내의 질소 산화물(NOX)을 제거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질소 산화물(NOX)을 규정량 제거하기 위해서는 DOC 및 SCR의 쌍방이 필수가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의 우측의 외부에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 및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의 상부에 돌출된 머플러(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빈(15)의 지지 부재(40)와는 반대측(좌측)의 외부에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에 공급하는 요소수를 저류하는 요소수 탱크(17)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닛(6)의 좌우 어느 한쪽의 외부 중, 한쪽에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가 배치되고, 다른쪽에 요소수 탱크(17)가 배치됨으로써 기체(2)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16)는 기체(2)의 좌우에 걸쳐서 연신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프론트 로더를 향해서 유압을 이동시키는 유압 호스(50)는 연료 탱크(16)의 측면에 설치된 조이스틱 밸브(51)를 통과시켜서 미션 케이스(8)로부터 연료 탱크(16)의 하부에 배삭(配索)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압 호스(50)의 배삭이 용이해진다. 또한, 연료 탱크(16)의 하면에는 외형을 노치 형상으로 오목하게 한 호스 삽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유압 호스(50)를 호스 삽통부에 통과시킴으로써, 유압 호스(50)가 연료 탱크(16)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 호스(50)의 배삭이 용이해진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배기가스 처리 기구(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배기가스 처리 기구(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 및 지지 부재(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 처리 기구(30)는 제 1 배기가스 처리부(31)(DOC) 및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SCR)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기가스 처리부(31)는 엔진(7) 상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배기가스 처리부(31)에는 엔진(7)의 배기가스가 유입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배기가스 처리부(31)에서는 배기가스 내의 일산화질소(NO)를 이산화탄소(NO2)로 변환한다. 또한,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닛(6)의 좌우 어느 한쪽의 외부[본 실시형태에서는 보닛(6)의 우측의 외부]에 후술하는 지지 부재(40)에 지지되어서 직립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에는 제 1 배기가스 처리부(31)에서 1차 처리된 배기가스가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에서는 이산화질소(NO2)에 요소수(NH3)를 공급하여 이산화질소(NO2)를 물(H2O)과 질소 가스(N2)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배기가스 내의 질소 산화물(NOX)이 제거된다.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에서 2차 처리된 배기가스는 머플러(22)로부터 대기 중에 배출된다.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는 열 차단판(33)에 의해 외주가 덮여 있다. 이와 같이, 열 차단판(33)에 외주가 덮여 있음으로써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의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배기가스 처리부(31)와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 사이는 파이프(테일 파이프)(3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엔진(7)이 적재되는 기체 프레임(12)과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가 적재되는 지지 부재(40) 사이에, 프론트 로더가 부착되는 프론트 로더 브래킷(36)(이하, 단순히 「로더 브래킷」이라고 함)이 설치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2)과 지지 부재(40)는 로더 브래킷(36)을 사용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부품을 기체 프레임(12)과 지지 부재(40)의 연결에 제공함으로써 제조에 드는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40) 상에 있어서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와 엔진(7) 사이에, 프론트 로더에 대하여 유압을 인출하기 위한 어댑터(3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40) 상에 다른 장치(예를 들면, 프론트 로더)에 제공하는 장치(예를 들면, 유압 인출 장치)가 설치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로더 브래킷(36)에 의해 기체 프레임(12)과 지지 부재(40)를 연결할 경우, 칼라 부재(37)(도 5 참조)에 의해 기체 프레임(12)과 지지 부재(40)를 사전에 임시 연결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경우, 미션 케이스(8)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 칼라 부재(37)에 지지 부재(40)를 부착하고, 부착한 상태에서 로더 브래킷(36)을 기체 프레임(12)과 지지 부재(40)의 쌍방에 고정한다. 이 후에, 칼라 부재(37)를 분리해서 로더 브래킷(36)에 의한 기체 프레임(12)과 지지 부재(40)의 연결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연결 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작업으로 연결을 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에 드는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는 지지 부재(40)에 지지됨으로써 보닛(6)의 좌측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지지 부재(4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지지 부재(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에서는 지지 부재(40)로부터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나 파이프(34)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지지 브래킷)(40)는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가 적재되는 적재 부재로서의 판 형상의 저부(41)를 갖고 있다. 저부(41)는 좌우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부(41)는 기체 프레임(12)의 캐빈(15)을 지지하는 부분[이하, 이 부분을 「기체 프레임(12a)」이라고 표기함]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가 승강 스텝(21)의 전방에서 좌우 어느 한쪽(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으로 치우쳐서 적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저부(41)에는 보닛(6)으로부터 본 외방측의 반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우반부)로 치우쳐서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가 적재된다. 또한, 저부(41)에는 보닛(6)으로부터 본 내방측의 반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좌반부)로 치우쳐서 파이프(34)의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와의 접속 단부(35)(도 5 참조)가 배치된다. 지지 부재(40)는 파이프(34)가 배치되는 좌반부에 파이프(34)의 접속 단부(35)를 덮는 피복부(42)를 갖고 있다. 피복부(42)는 저부(41)에 파이프(34)의 접속 단부(35)가 배치되었을 경우에, 접속 단부(35) 주위에 간극이 형성될 정도의 지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34)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부(41)에는 파이프(34)의 접속 단부(35)가 배치되는 위치에 개구(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40)는 저부(41)가 기체 프레임(12a)에 고정되고, 피복부(42)가 캐빈(15)의 하부로부터 L자 형상의 고정 부재(고무 마운트)(44)에 의해 매달려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40)는 주물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40)가 주물에서 일체적인 것에 추가하여, 저부(41)가 평탄하기 때문에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 및 파이프(34)를 보호할 수 있는 것 이외에, 포장의 작물을 상처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랙터(1)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40)가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때문에,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를 적절한 지지 강도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의 지지 성능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간소한 구성이기 때문에 지지 부재(40)를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가 기체(2)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우측)으로 떨어져서 배치됨으로써 조종석(10)으로부터 캐빈(15)의 좌우(우측) 하부가 보이기 쉬워져, 조종석(10)으로부터의 시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40)에 배치되는 파이프(34)의 열이 개구(43)로부터 지지 부재(40)의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지지 부재(40)에 열이 가득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40)에 먼지 등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는 지지 부재(40)의 저부(4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됨과 아울러, 저부(41)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고정 플레이트(45)에 의해 상부가 고정되어 있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에서는 고정 플레이트(45)에 상부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후술하는 커버(33)의 상면의 플랜지 부분을 상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에는 외주면을 덮는 커버로서의 열 차단판(33)이 설치되어 있다. 열 차단판(33)에는 복수의 통기 구멍(33a)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33a)은 열 차단판(33)에 있어서의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의 전방에 배치된 전륜(4)(도 1 참조)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열 차단판(33)의 후방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열 차단판(33) 전방측의 면에는 통기 구멍(33a)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기 구멍(33a)은 열 차단판(33)의 전륜(4)으로부터 보아서 대면하는 범위를 피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열 차단판(33)이 전륜(4)으로부터 보아서 좌우 어느 한쪽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을 경우, 통기 구멍(33a)을 형성하지 않는 범위는 열 차단판(33)이 전륜(4)의 일직선상에 있을 경우보다 좌우 어느 한쪽으로 어긋나게 된다. 또한, 통기 구멍(33a)은 원통 형상의 열 차단판(33)의 둘레면 전체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3분의 2 정도의 범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트랙터(1)의 구성에 의하면, 열 차단판(33)에 덮인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의 방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열 차단판(33)에 통기 구멍(33a)이 형성되어 있어도 전륜(4)(도 1 참조)측으로부터 날아든 진흙 등이 통기 구멍(33a)으로부터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기체(2)에 배치되어 있는 연료 탱크(16) 및 요소수 탱크(1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연료 탱크(16) 및 요소수 탱크(17)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연료 서브 탱크(6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2)의 좌우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40)를 구비하는 측의 반대측에는 요소수 탱크(17)가 설치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17)는 엔진(7)과의 사이에 설치된 로더 브래킷(36)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요소수 탱크(17)를 간소한 구조로 배치할 수 있어, 제조에 드는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체(2)의 좌측에는 요소수 탱크(17)와 전후로 배열되어 연료 탱크(16)가 설치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17)의 공급구(17a)와 연료 탱크(16)의 공급구(16a)는 전후로 병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16)는 기체(2)[캐빈(15)]의 하방에서 좌우로 연신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빈(15)의 좌우 어느 한쪽(좌측)의 외부에 있어서, 요소수 탱크(17)는 연료 탱크(16)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요소 SCR 시스템을 탑재한 타입의 트랙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2)[캐빈(15)]의 좌우 어느 한쪽(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의 외부에는 연료 탱크(16)와는 다른 계통이며 엔진(7)(도 3 참조)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서브 탱크(60)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 서브 탱크(60)는 캐빈(15)의 좌우의 외부에 설치된 승강 스텝(21)(도 3 참조) 중 한쪽을 분리해서 설치된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는 캐빈(15)의 좌우에 있어서의 반대측의 승강 스텝(21)을 사용해서 승강한다. 또한, 연료 서브 탱크(60)는 연료 탱크(16)에 접속되어서, 연료 탱크(16)로부터 엔진(7)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연료 서브 탱크(60)는 캐빈(15)의 하방에서 연료 탱크(16)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트랙터(1)의 구성에 의하면, 연료 서브 탱크(60)를 구비함으로써 연료의 총량을 늘릴 수 있고, 작업 가능한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간소한 구성으로 연료를 늘릴 수 있다.
또한, 2개의 연료 탱크[연료 탱크(16) 및 연료 서브 탱크(60)]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는 연료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연료 누설에 대한 품질 확보가 용이하지는 않다. 이 때문에, 연료 서브 탱크(60)는 연료 탱크(16)와 동등 높이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료 누설에 대한 품질 확보가 용이해진다. 또한, 각 탱크(16, 60)의 높이가 동등함으로써 연료의 잔량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연료 서브 탱크(60)는 연료 탱크(16)에 대하여 2개 이상의 호스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료 서브 탱크(60)와 연료 탱크(16) 사이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서브 탱크(60)와 연료 탱크(16)를 접속하는 호스에 역지 밸브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연료 서브 탱크(60)와 연료 탱크(16) 사이에서, 연료 탱크(16)로부터 연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빈(15)의 전방에는 프론트 로더에 사용하는 유압의 인출구로서, 상술한 어댑터(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빈(15)의 하방에 설치된 연료 탱크(16)(도 2 참조)의 지지 브래킷(55)을 유압 호스(50)의 커버에도 겸용하고 있다. 이것들의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로더에 대한 유압 호스(50)의 배삭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요소수 탱크(17)로부터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에 요소수를 공급하는 요소수 펌프(6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요소수 펌프(6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펌프(서플라이 펌프)(65)는 캐빈(15)의 하방, 승강 스텝(21)의 내방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 2 배기가스 처리부(32)에 대하여 근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2)를 대형화시킬 일도 없기 때문에, 제조에 드는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요소수 펌프(65)에는 판 형상의 펌프 커버(서플라이 커버)(66)가 부착되어 있다. 펌프 커버(66)는, 예를 들면 금속제이며, 요소수 펌프(65)의 적어도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정면 및 상면을 덮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요소수 펌프(65)에 진흙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금속제임으로써 요소수 펌프(65)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요소수 펌프(65)가 펌프 커버(66)에 숨겨짐으로써 차량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 커버(66)는 요소수 펌프(65) 이외에, 유압 호스(50)나 조이스틱 밸브(51) 등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요소수 펌프(65), 유압 호스(50) 및 조이스틱 밸브(51) 등의 각종 공급에 관한 구성 부품을 「서플라이 모듈」이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요소수 펌프(65)의 펌프 커버(66)에는 슬릿 형상의 복수의 통기 구멍(67)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요소수 펌프(65)의 열을 외부로 도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소수 펌프(65)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의장적으로도 보기 좋기 때문에 차량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은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보다 광범한 형태는 이상과 같이 나타내고 또한 기술한 특정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3)

  1. 전륜(4) 및 후륜(5)을 설치하고,
    엔진(7)을 덮는 보닛(6)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7)의 배기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부(32)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처리부를 상기 보닛의 좌우 어느 한쪽의 외측방이며, 또한 상기 전륜(4)보다 후방에 배치한 트랙터(1)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부(32)의 외주면을 원통 형상의 열 차단판(33)으로 덮고,
    상기 열 차단판(33)의 뒷면에는 복수의 통기 구멍(33a)을 형성하고, 상기 열 차단판(33)의 앞면이며 또한 상기 전륜(4)과 대향하는 부위에는 상기 통기 구멍(33a)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1).
  2. 제 1 항에 있어서,
    배기가스 처리부(3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 부재(40)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부(32)를 적재하는 적재 부재(41)를 설치하고,
    상기 적재 부재(41)에 방열용의 개구(4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부(32)는 요소수 펌프(65)로 공급되는 요소수에 의해 정화 처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요소수 펌프(65)를 상기 배기가스 처리부(32)의 후방에 설치하고,
    상기 요소수 펌프(65)의 외측방을 덮는 펌프 커버(66)를 설치하고,
    상기 펌프 커버(66)에 통기 구멍(6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1).
KR1020160030884A 2015-04-20 2016-03-15 트랙터 KR201601246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6255A JP6492922B2 (ja) 2015-04-20 2015-04-20 トラクタ
JPJP-P-2015-086255 2015-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660A true KR20160124660A (ko) 2016-10-28

Family

ID=5564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884A KR20160124660A (ko) 2015-04-20 2016-03-15 트랙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03533B2 (ko)
EP (1) EP3085917B1 (ko)
JP (1) JP6492922B2 (ko)
KR (1) KR20160124660A (ko)
CN (1) CN106065803B (ko)
AU (1) AU2016202417C1 (ko)
MY (1) MY1808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958A (ko) * 2017-03-30 2019-01-16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트랙터
KR20200047936A (ko) * 2018-10-26 2020-05-08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용 작업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51300S (ko) * 2015-07-27 2016-06-13
JP2017081259A (ja) * 2015-10-23 2017-05-1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6575447B2 (ja) * 2016-06-30 2019-09-18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6619378B2 (ja) * 2017-03-30 2019-12-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クローラトラクタ
JP6707489B2 (ja) 2017-03-30 2020-06-1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トラクタ
US11660955B2 (en) * 2019-03-18 2023-05-30 Kubota Corporation Fuel tank of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JP2020059502A (ja) * 2019-12-17 2020-04-16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JP7143365B2 (ja) * 2020-05-20 2022-09-28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トラクタ
KR200495290Y1 (ko) 2020-08-10 2022-04-19 이순 조립이 용이한 떠구지
JP7055854B2 (ja) * 2020-10-29 2022-04-18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トラ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7936B2 (en) 2007-01-16 2011-05-10 Deere & Company Vehicle exhaust component arrangement
JP5102180B2 (ja) 2008-11-12 2012-12-19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搭載用エンジン装置
GB2466483A (en) * 2008-12-19 2010-06-30 Agco Gmbh & Co A vertical exhaust system for a vehicle
GB0909987D0 (en) 2009-06-11 2009-07-22 Agco Sa Catalytic converter module
US20120036843A1 (en) 2010-08-11 2012-02-16 Agco Corporation Air filter aspiration and aspiration fan drive for use with exhaust treatment
JP5478689B2 (ja) 2012-09-26 2014-04-23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5523529B2 (ja) 2012-09-26 2014-06-1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US8967319B2 (en) * 2012-11-05 2015-03-03 Cnh Industrial America Llc Horizontal muffler for an agricultural vehicle
US9309800B2 (en) * 2012-11-30 2016-04-12 Cnh Industrial America Llc Exhaust system for an off-road vehicle
JP6200682B2 (ja) * 2013-04-26 2017-09-20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JP2015045234A (ja) * 2013-08-27 2015-03-12 井関農機株式会社 排気ガス処理装置付きトラクタ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958A (ko) * 2017-03-30 2019-01-16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트랙터
KR20200051064A (ko) * 2017-03-30 2020-05-1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트랙터
KR20200125774A (ko) * 2017-03-30 2020-11-04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트랙터
KR20210054054A (ko) * 2017-03-30 2021-05-12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트랙터
KR20210113447A (ko) * 2017-03-30 2021-09-15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트랙터
KR20220038528A (ko) * 2017-03-30 2022-03-28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트랙터
KR20220130836A (ko) * 2017-03-30 2022-09-27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트랙터
KR20240006083A (ko) * 2017-03-30 2024-01-12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KR20200047936A (ko) * 2018-10-26 2020-05-08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용 작업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5917A1 (en) 2016-10-26
EP3085917B1 (en) 2018-03-07
MY180838A (en) 2020-12-10
JP6492922B2 (ja) 2019-04-03
US20160305305A1 (en) 2016-10-20
JP2016203753A (ja) 2016-12-08
AU2016202417C1 (en) 2018-01-25
AU2016202417B2 (en) 2017-06-22
CN106065803A (zh) 2016-11-02
AU2016202417A1 (en) 2016-11-03
CN106065803B (zh) 2018-12-28
US9803533B2 (en)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4660A (ko) 트랙터
JP2016203753A5 (ko)
KR20160124659A (ko) 트랙터
WO2018180028A1 (ja) トラクタ
JP2016203752A5 (ko)
EP3604752B1 (en) Tractor
JP2016124428A (ja) 作業車
JP2014031053A (ja) トラクタ
JP6575447B2 (ja) 作業車両
JP6985470B2 (ja) 作業車両
US9186981B2 (en) Work vehicle
US7152564B2 (en) Air intake system and forklift equipped with it
JP7273619B2 (ja) クレーン下部走行体上のエンジン排気後処理システムのための取り付け配設
JP6624276B2 (ja) トラクタ
JP6721031B2 (ja) トラクタ
JP6984691B2 (ja) トラクタ
JP7243792B2 (ja) トラクタ
JP6447077B2 (ja) 作業車両
JP2020148203A (ja) トラクタ
CN108698500A (zh) 用于机动车的抽吸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