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526A - Objec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Objec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526A
KR20160124526A KR1020150055270A KR20150055270A KR20160124526A KR 20160124526 A KR20160124526 A KR 20160124526A KR 1020150055270 A KR1020150055270 A KR 1020150055270A KR 20150055270 A KR20150055270 A KR 20150055270A KR 20160124526 A KR20160124526 A KR 20160124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tainer
fixing
treatment solu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05052B1 (en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5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052B1/en
Publication of KR2016012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5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0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The object treatment apparatus comprises: a container which receives a treatment solution therein and allows an object to be placed on one side thereof; a fixing part which fixes the object to the container; and a support part which supports the fixing part to be rotated, thereby stably performing a test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object.

Description

피처리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Objec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 treatment apparatus and a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은 피처리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재 표면에 대한 실험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피처리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n object to be treate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n object to be treated which can stably perform experiments on a surface of a workpiece.

소재 분야에서 표면에 코팅되는 도금은 소재의 부식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인자로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In the field of materials, the coating on the surfac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a factor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corrosion of the material.

소재의 개발과 이용분야의 다변화를 위해 다양한 도금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도금의 품질 인증을 위해 소재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의 성분을 분석하고 부착량을 측정하는 실험이 실시되고 있다. In order to diversify the development and use of materials, various plating methods have been applied. In order to certify the quality of the formed plating, an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plating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are analyzed and the adhesion amount is measured.

현재 소재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의 성분을 분석하고 부착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는 용기에 도금이 형성된 소재를 안착시킨 다음, 집게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소재를 용기에 고정시킨다. 이후, 용기 내에 용액을 주입하고 용기를 흔들어 용액과 소재 표면과 반응시킨 다음, 용액을 회수하여 도금 성분을 분석하고, 도금의 부착량을 측정하였다. The method of analyzing the components of the plating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rent material and measuring the deposition amount is as follows. The material having the plating formed thereon is placed on the container having the open top and bottom, and then the material is fixed to the container using a fixing member such as a clamp. Thereafter, the solution was poured into the vessel, the vessel was shaken to react with the solution and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the solution was recovered to analyze the plating component and measure the amount of plating adhered.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소재를 용기에 고정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소재가 용기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그 사이로 용액이 빈번하게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재 표면과 용액 간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용기를 흔들기 때문에 유출되는 용액이 작업자와 접촉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용기를 직접 흔들기 때문에 한 번에 하나의 소재에 대한 실험을 수행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소재를 실험해야 하는 경우 반복적인 실험으로 작업자에게 업무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실험마다 동일한 속도나 힘으로 용기를 흔들기 어려워 실험 결과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material is fixed to the container by simply using a fixing member, there is a problem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and the solution frequently flows out therebetween. In particular, since the operator shakes the container directly in order to promote the reaction between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the solution, there is a problem that safety problems occur in which the outflowed solu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orker. In addition, since an operator shakes the container directly, it is inevitable to perform an experiment on one material at a time, and accordingly, when a large amount of material is to be experimented, there is a problem that workload is increased to an operator due to repetitive experiments. Moreover, it is difficult to shake the container at the same speed or force for each experiment, which results in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al results is deteriorated.

KR2001-0055806AKR2001-0055806A KR2000-0010443AKR2000-0010443A

본 발명은 피처리물의 지지 및 실험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피처리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and a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quickly and safely performing support and experiment of an object to be processed.

본 발명은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하여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처리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target object capable of reducing the workload of a worker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 장치는, 내부에 처리용액이 수용되고, 일측에 소재가 안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상기 소재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object to be t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in which a treatment solution is contained and a material is placed on one side;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workpiece to the container; 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x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상부에 상기 지지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mounting portion for fixing the support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and applying vibration to the support portion.

상기 용기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기 소재를 안착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iner may include a hollow body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a seating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o seat the material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상기 안착부에는 기밀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The se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hermetic member.

상기 고정부는, 적어도 전면과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중공형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면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unit includes: a hollow fixed frame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a front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thereof opened; a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and extend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rame.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핀과, 상기 핀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핀과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지지부에 고정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supporting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includes a pin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 lever connected to the pin, the lever being rotatably engaged with the pin, So that the fixing frame can be fixed to the supporting portion.

상기 지지부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거치부와 연결을 위한 연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surface which faces away from each other and a bottom surface that connects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surface with each other. The support groove is formed on the support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s connected to the mount portion May be formed.

상기 거치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가지는 고정베이스와, 상부면에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베이스 상부에 상기 고정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동베이스 및 상기 유동베이스를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unting base includes a fixed bas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area and at least on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base, And a driver for moving the flow base.

상기 고정베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바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베이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가이드바와 맞물려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guide bar may be formed on the fixed bas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ase, and a guid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 base to engage with the guide bar.

상기 거치부는 고정베이스와, 상부면에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베이스 상부에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동베이스 및 상기 유동베이스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unting part may include a fixed base and a vibrating base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provided to be able to flow over the fixed base and a vibrator imparting vibration to the floating base .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 방법은, 용기의 하부에 피처리물을 안착시키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이 안착된 용기를 고정부에 삽입하여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용기의 하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과정; 상기 고정부를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시키고,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켜 상기 용기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과정; 상기 용기 내부에 처리용액을 주입하는 과정; 및 상기 처리용액과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을 반응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treating a material to be t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lacing a material to be process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nserting a container on which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placed into a fixing portion to fix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 close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A step of supporting the fixing part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supporting part and rotating the fixing part to expose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Injecting a treatment solution into the vessel; And reacting the treatment solution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treated.

상기 처리용액과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을 반응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처리용액에 진동을 인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step of applying vibration to the treatment solution during a process of reacting the treatment solution with the surface of the treatment object.

상기 처리용액에 진동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거치부에 탑재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부를 진동기가 구비되는 거치부에 탑재하여 진동시켜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imparting vibration to the treatment solution may be performed by moving the support part horizontally by mounting the support part on a horizontally recipable mount part or mounting the support part on a mount part provided with the vibrator to vibrate.

상기 처리용액과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을 반응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과 반응한 처리용액을 수집하여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After the process of reacting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treated with the treatment solution, the treatment solution reacted with the surface of the treatment object may be collected and the components analyze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에 따르면, 소재 등과 같은 피처리물의 처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피처리물을 직접 처리하던 종래에 비해 별도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을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피처리물을 처리함으로써 피처리물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피처리물을 실험하기 위한 용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용액 유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treated and the method for processing the obje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such as a material can be quickly and safely performed. In other words, the object to be processed can be processed quickly and accurately by processing the object to be tr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firmly supported by using a separate processing devic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worker directly processes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to be treated is mechanically fixed, the leakage of the solution for experimenting the object to be treated can be prevented, and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solution leakage can be prevented.

또한, 한 번에 여러 개의 소재를 처리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해줄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cess several materials at one time, which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nd reduce the burden on the worker due to repetitive work.

그리고 소재의 처리가 기계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일정하고 신뢰성 있는 처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Since the processing of the material is mechanically processed, a consistent and reliable processing result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거치부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5 to 8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by us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To illustrate the invention in detail,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거치부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A-A ',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는, 소재가 안착되는 용기(100)와, 용기(100)에 소재를 고정하는 고정부(200)와, 고정부(200)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300)와, 상부에 지지부(300)가 고정되고 지지부(300)를 일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거치부(400)를 포함한다. 1 to 4, an objec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100 on which a material is placed, a fixing unit 200 for fixing the material on the container 100, And a mounting part 400 to which the supporting part 300 is fixed and which reciprocates the supporting part 300 in one direction.

용기(100)는 내부에 처리용액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구되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내부에 수용되는 처리용액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하였다. The container 10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in which a space for receiving the treatment solution is formed therein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The container 10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bu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treatment solution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용기(100)는 일측에 소재 처리를 위한 처리용액을 주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제1개구(10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처리용액과 소재를 접촉시키기 위한 제2개구(103)가 형성되는 몸체(101)와, 몸체(101)의 하부에 몸체(101)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안착대(10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ssel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102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a treatment solution for a workpiece treatment and a body 102 having a second opening 103 for contacting the treatment solution with the workpiece 101 and a seating base 104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1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01. [

도면에서는 몸체(101)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대(104)는 안착대(104)는 몸체(10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몸체(101)의 단면 형상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body 101 is shown 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it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an elliptical shape and a polygonal shape. The seat 104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body 101 or to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e sectional shape of the body 101. [

안착대(104)는 소재가 안착되는 곳으로, 소재의 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착대(104)와 소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몸체(101) 내에 수용되는 처리용액이 유출될 수 있으므로 안착대(104)에는 소재와의 밀착을 위한 기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안착대(104)에는 제2개구(103)의 둘레방향을 따라 삽입홈(106)이 형성되고, 기밀부재(110)는 삽입홈(106)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기밀부재(110)는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는 오링일 수 있다. The seat 104 is a place where the workpiece is seated, and is preferably formed fla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workpiece. Nevertheless, sinc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at 104 and the workpiece to allow the treatm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body 101 to flow out, the seat 104 may be provided with a hermetic member for closely contacting the workpiece. An insertion groove 106 is formed in the seat 104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03 and a hermetic member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6. The hermetic member 110 may be an O-ring formed of rubber, silicon, or the lik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용기(100)에서 제1개구(102)가 형성되는 일측은 상부로, 제2개구(103)가 형성되는 타측은 하부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one side of the container 100 where the first opening 102 is formed will be described as an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where the second opening 103 is formed will be described as a lower sid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용기(100)는 그 자체만으로 내부에 처리용액을 수용할 수 없지만, 안착대(104)에 소재를 안착시키고 고정부(200)에 의해 소재와 안착대(104)가 밀착되는 경우에는 내부에 처리용액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소재의 일면과 안착대(104) 사이에 기밀부재(110)가 개재됨으로써 소재와 안착대(104) 사이가 밀착됨으로써 용기(100) 내의 처리용액이 유출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workpiece is placed on the mounting table 104 and the workpiece and the mounting table 104 are closely contacted by the fixing unit 200,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0 is treated Lt; / RTI > solution. At this time, since the hermetic member 110 is inter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work and the seating base 104, the work and the seating base 104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utflow of the processing solution in the vessel 100 can be suppressed or prevented.

고정부(200)는 소재를 안착대(104)에 밀착시키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200)는 내부에 소재가 안착된 안착대(104)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201)과, 고정프레임(201)의 상부에 구비되어 고정프레임(201) 내부에 수용된 안착대(104)와 소재를 고정프레임(201) 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10) 및 고정프레임(201)을 지지부(3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시키는 지지부재(220a, 220b)를 포함한다. The fixing unit 200 closely adheres the workpiece to the mount table 104 and fixes the workpiece so as to maintain the state. The stationary frame 200 includes a stationary frame 201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eat 104 on which a material is placed and a stationary frame 201 provided on the stationary frame 201, And a supporting member 220a and 220b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tationary frame 201 on the supporter 300. The supporting member 300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220 and a supporting member 220. The support member 300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220,

고정프레임(201)은 내부에 소재 및 안착대(104)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201)은 일측에 소재 및 안착대(104)가 삽입되는 삽입구(20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용기(10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프레임(201)에서 용기(100) 및 소재가 삽입되는 일측이 전면(前面)에 형성되는 경우, 전면과 적어도 하부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상부면, 후면(後面) 및 양쪽 측면이 폐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프레임(201)의 하부면의 일부만 개방시키는 이유는 하부면을 통해 용기(100)와 소재를 지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프레임(201)의 후면을 폐쇄하는 이유는 고정프레임(201) 내부에 소재 및 용기(100)를 삽입할 때 소재와 용기(10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소재 및 용기(100)를 정위치, 즉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프레임(201)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적어도 소재와 용기(10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예컨대 소재의 폭 및 길이와 유사하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tationary frame 201 is formed in a hollow shape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orkpiece and the mount table 104 is formed therein,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stationary frame 201 has an insertion port 202 through which the workpiece and the seat 104 are inserted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o expose at least a part of the container 100. At this time, when one side of the fixed frame 201 where the container 100 and the work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part of the front surface and at least the lower surface are opened, and the upper surface, the rear surface, Can be closed. Here, the reason for opening only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201 is to support the container 100 and the material through the lower surface. The reason for clos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frame 201 is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when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201, ) To the correct position, i.e., the position to be fixed. The space formed inside the stationary frame 201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such that at least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can be inserted, for example, a size similar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material.

고정부재(210)는 고정프레임(201)의 상부면에 고정프레임(201)의 상부면을 관통하며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재 및 용기(100)를 고정프레임(201) 내부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킨다. 이에 고정프레임(201)의 상부면에는 고정부재(210)가 삽입되는 고정구(203)가 고정프레임(201)의 상부면을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고정구(203)의 내주면에는 고정부재(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부재(210)를 회전시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프레임(201) 내부에 삽입되는 소재 및 용기(100)를 고정프레임(201)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재(2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부재(210)가 하강하여 고정부재(210)의 하부가 소재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소재 및 용기(100)가 고정프레임(201)의 하부면 상부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재(21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부재(210)가 상승하면서 고정부재(210)의 하부가 소재의 상부면으로부터 후퇴하여 이격된다. 이에 고정부재(210)에 의해 소재 및 용기(10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어 소재 및 용기(10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2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201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201 and moves up and down to fix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inside the fixing frame 201 Or releases the fixation. A fastener 203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21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frame 201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frame 201. The fixing member 210 may be a bolt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10.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03 to match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10. [ By moving the fixing member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is structure, the work and the container 100 to be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201 can be fixed inside the fixed frame 201. For example, when the fixing member 21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xing member 210 is lowere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210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piece.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201. When the fixing member 21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fixing member 210 is lift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210 is retrac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piece. Accordingly, the material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ntainer 100 are released by the fixing member 210, and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can be freely moved.

지지부재(220a, 220b)는 고정프레임(201)의 양쪽 측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220a, 220b)는 고정프레임(201)을 지지부(300)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201)의 양쪽 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고정프레임(201)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핀(220a)과, 고정프레임(201)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핀(22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핀(220a)에는 지지부(30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핀(220b)에는 지지부(30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2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핀(220b)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핀(220b)이 연결되는 레버(230)의 일측에는 제2핀(220b)이 삽입되는 삽입홈(106)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06)의 내주면에는 제2핀(220b)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레버(230)는 회전에 의해 제2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에 고정프레임(201)의 위치 변경 시 고정프레임(201)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여 고정프레임(201)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프레임(201)을 지지부(300)에 고정시키거나 그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s 220a and 220b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tationary frame 201. The support members 220a and 220b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tationary frame 201 so as to stably support the stationary frame 201 on the support unit 300. [ The suppor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pin 220a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ed frame 201 and a second pin 220b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ed frame 201. [ In this case, the first pin 220a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support portion 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pin 220b, and the second pin 220b may be provided with a lever (230) may be connected. At this time,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in 220b, and an insertion groove 106 into which the second pin 220b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ver 230 to which the second pin 220b is connected have. A thread engaging with the thread of the second pin 220b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06, and the lever 230 may be recipr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in by rota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fixed frame 201 is changed, the fixed frame 201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to the fixed frame 201 side to fix the fixed frame 201 to the supporting portion 300, .

지지부(300)는 고정부(200)의 하부에서 고정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300)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양쪽 지지면(301, 302)과 양쪽 지지면(301, 302)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바닥면(303)을 갖는 대략 'U'자 형상의 지지프레임(300)일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300)의 양쪽 지지면(301, 302)은 고정프레임(201)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지지프레임(300)의 형상을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그 바닥면(303)은 고정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0)은 양쪽 지지면(301, 302) 상부에는 고정부(200)의 지지부재(220a, 220b)가 삽입되는 지지홈(304)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바닥면(303)에는 지지부(300)를 거치부(400)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30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지지프레임(300)은 양쪽 측면을 통해 고정부(200)를 지지한 상태로 바닥면(303)을 통해 거치부(4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0)은 양쪽 지지면(301, 302) 및 바닥면(303)을 제외한 상부,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되어 있어 고정부(2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The supporting part 300 serves to support the fixing part 200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part 200. The support portion 300 includes a support surface 301 and a support surface 301 spaced from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bottom surface 303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surfaces 301 and 302 to each other, (300). At this time, the support surfaces 301 and 302 of the support frame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fixing frame 201 can be inserted. Here, the shape of the support frame 300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a U shape, but the bottom surface 303 may be formed flat to stably support the fixing part 200. The support frame 300 can be formed with support grooves 304 through which the support members 220a and 220b of the fixing portion 200 are inserted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urfaces 301 and 302, A connection port 305 for fixing the support portion 300 to the mounting portion 400 may be formed. The support frame 300 can be fixed to the mounting part 400 via the bottom surface 303 while supporting the fixing part 200 through both side surfaces. The support frame 300 is open at the upper, front and rear sides except for the support surfaces 301 and 302 and the bottom surface 303, and enables the fixing part 200 to rotate.

거치부(4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베이스(401)와, 고정베이스(401) 상부에 고정베이스(4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바(405)와,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베이스(401) 상부에 가이드바(405)와 맞물려지도록 구비되는 유동베이스(403) 및 고정베이스(401) 상부에 구비되어 유동베이스(403)를 고정베이스(4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ionary part 400 includes a plate-shaped stationary base 401 having an area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guide bar 405 disposed on the stationary base 40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tionary base 401, A flow base 403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bar 405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base 401 and a fixing base 403 provided on the fixing base 401 to fix the flow base 403 And a driver 410 for moving the base 40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401.

고정베이스(401)는 대략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고정부(200) 및 지지부(300)를 지지한다. 이에 고정베이스(401)는 견고한 스틸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base 401 can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supports the fixing portion 200 and the supporting portion 300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fixing base 401 can be formed using a material such as rigid steel.

가이드바(405)는 고정베이스(401) 상부에 고정베이스(4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bar 405 may be formed on the fixing base 401 so as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base 401.

유동베이스(403)는 고정베이스(401)와 유사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지지부(300)를 고정하기 위한 돌기(404)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404)는 지지부(300)의 연결구(305)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3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연결구(305)와 억지끼움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404)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소재 및 용기(100)가 고정된 고정부(200)를 고정하고 있는 복수개의 지지부(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한 번에 여러 개의 소재를 처리할 수 있다. The flow base 403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size similar to that of the fixed base 401 and a projection 40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fix the supporting portion 300. The protrusion 404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enough to insert the coupling hole 305 of the supporting portion 300 and may be formed to have a degree of interference with the coupling hole 305 to stably fix the supporting portion 300 . ≪ / RTI > The protrusions 404 may be provided in one or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404, and when the protrusions 404 are provided in plurality, the protrusions 404 may fix the plurality of supporters 300 fixing the fixture 200 to which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fixed. This allows you to process multiple materials at once.

또한, 유동베이스(403)의 하부면에는 유동베이스(403)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바(405)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0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유동베이스(403)의 하부는 가이드바(405)와 맞물려져 유동베이스(403) 또는 고정베이스(40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A guide groove 406 may b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 base 403 to receive the guide bar 40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base 403.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base 403 is engaged with the guide bar 405 and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base 403 or the fixed base 401. [

구동기(410)는 고정베이스(401)의 상부에 유동베이스(403)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유동베이스(403)가 고정베이스(401) 상부에서 유동베이스(403) 또는 고정베이스(4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킨다. 구동기(410)의 동작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베이스(403)는 유동베이스(403) 또는 고정베이스(401)의 길이 방향, 예컨대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고, 이에 거치부(400)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부(300)와 고정부(200)도 유동베이스(403)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용기(100)에 수용되는 처리용액에 진동이 부여되며, 이렇게 부여된 진동에 의해 처리용액과 소재의 표면 간의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unit 41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base 40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oving base 403 so that the moving base 403 is positioned above the fixed base 401 and the length of the moving base 403 or the fixed base 401 Direction. 4, the flow base 403 is recipr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ow base 403 or the fixed base 401, and the mounting base 400 The supporting part 300 and the fixing part 20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part 300 mov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ow base 403. With this operation, vibration is imparted to the treatment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vessel 100, and the reaction between the treatment solution and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can be promoted by the vibration thus imparted.

또한, 구동기(4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구동기(4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유동베이스(403)의 이동 속도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유동베이스(403)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켜 용기(100)에 수용된 처리용액에 부여되는 진동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410.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r 410 to vary the moving speed or moving distance of the flow base 403. For example, the moving speed of the flow base 403 may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imparted to the process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vessel 100.

여기에서는 거치부(400)가 고정부(200)와 지지부(300)를 지지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정부(200)와 지지부(300)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고정베이스(401) 상부에 유동베이스(403)를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유동베이스(403)를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기를 구비하여, 진동발생기에 의한 진동에 의해 고정베이스(401) 상부에서 유동베이스(403)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시킬 수도 있다.
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mounting portion 400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supporting the fixing portion 200 and the supporting portion 300. However, in order to impart the vibration to the fixing portion 200 and the supporting portion 300 . For example, a flow base 403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base 401 so as to be flowable, and a vibrator for imparting vibration to the flow base 403 is provided, The base 403 can be mov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물(S), 예컨대 표면이 도금된 소재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treating a workpiece S, for example, a workpiece having its surface plated, us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5 to 8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material to be processed using the apparatus for treating a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한 소재(S)를 마련한다. 소재는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irst, a material S having a plating layer formed on its surface is provided. The material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 소재를 용기(100)의 하부, 예컨대 안착대(104) 상부에 안착시킨다. 소재를 안착대(104)에 안착시키기 전 안착대(104)의 삽입홈(106)에 기밀부재(11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용기(100)는 안착대(104)가 형성된 하부가 상부측에 배치되고 처리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제1개구(102)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A, the prepared material is se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for example, on the seat cushion 104. The hermetic member 11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6 of the mount table 104 before placing the workpiece on the mount table 104. [ 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100 on which the mounting table 104 is forme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irst opening 102 for injecting the processing solution may be disposed below.

이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가 안착된 용기(100)를 고정프레임(201)의 전면에 형성되는 삽입구(202)를 통해 고정프레임(201)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소재 및 용기(100)는 고정프레임(201)의 삽입구(202)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 시 고정프레임(201)의 후면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되어 정위치, 즉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소재 및 용기(100)를 고정프레임(201) 내부에 삽입하기 전 고정부재(210)는 상승한 상태로 고정프레임(201) 내부에는 소재 및 용기(1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5 (b), the container 100 on which the material is placed is inserted into the stationary frame 201 through the insertion port 20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tationary frame 201. [ At this time,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can be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through the insertion port 202 of the fixed frame 201. The movement of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is limit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frame 201, It can be stopped at a desired position. A space in which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can be accommodated can be secured inside the stationary frame 201 in a state where the stationary member 210 is elevated before inserting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into the stationary frame 201 .

소재 및 용기(100)가 고정프레임(201) 내부에 삽입되면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부재(2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부재(210)를 하강시킨다. 고정부재(210)는 하강하면서 그 단부를 통해 소재의 일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소재의 타면과 용기(100)의 안착대(104)는 서로 밀착되고, 기밀부재(110)에 의해 소재의 타면과 안착대(104) 표면 사이가 완전히 기밀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프레임(201) 및 고정부재(210)를 이용하여 소재와 용기(100)를 밀착시킴으로써 종래에 집게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소재와 용기(100)를 밀착시킬 때보다 소재와 용기(100) 간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소재를 처리, 예컨대 시험할 때 용기(100) 내에 수용되는 처리용액이 소재와 용기(100) 간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201, the fixing member 21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lower the fixing member 210 as shown in FIG. The fixing member 210 is lowered and presses one surface of the work through the end thereof. The other surface of the material and the seat 104 of the container 1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material and the surface of the seat 104 can be completely sealed by the hermetic member 110.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fixing frame 201 and the fixing member 21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 Can be ensu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eatm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vessel 100 from flowing out 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workpiece and the vessel 100 when the workpiece is processed, for example, during the test.

고정프레임(201) 내에 소재 및 용기(100)가 고정되면, 고정프레임(201)을 지지프레임(300)에 지지시킨다. 이때, 고정프레임(201)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지지부재(220a, 220b)를 지지프레임(300)의 양쪽 지지면(301, 302)에 형성되는 지지홈(304)에 삽입한다. 고정프레임(201)이 움직여도 무방하므로 고정프레임(201)을 지지프레임(300)에 고정할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는 고정프레임(201)에 소재 및 용기(100)를 고정시킨 후 지지프레임(300)에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01)을 지지프레임(300)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소재 및 용기(10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When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fixed in the fixed frame 201, the fixed frame 201 is supported on the supporting frame 300. 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s 220a and 220b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xed frame 201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s 304 formed on the support surfaces 301 and 302 of the support frame 300, respectively. It is not necessary to fix the stationary frame 201 to the support frame 300 because the stationary frame 201 may move. Herein, it is described that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fixed to the stationary frame 201 and then the stationary frame 201 is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300. Howev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stationary frame 201 is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300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may be fixed.

이후, 지지프레임(300)을 거치부(400)의 유동베이스(403) 상부에 고정시킨다. 이때, 지지프레임(300)의 바닥면(303)에 형성된 연결구(305)에 유동베이스(403)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404)를 억지끼움하여 고정시킨다. Thereafter, the support frame 30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base 403 of the mounting portion 400. At this time, the protrusion 40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base 403 is forcedly fitted to the connection hole 30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03 of the support frame 300.

만약 처리하고자 하는 소재가 여러 개인 경우, 고정부(200) 및 지지부(300)를 소재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하여 앞서 설명한 전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함으로써 유동베이스(403) 상부에 복수의 고정 및 지지부(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소재 및 용기(100)는 고정프레임(20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If there are a plurality of materials to be processed, the fixing unit 200 and the supporting unit 300 are provided i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materials, and the whole process described above is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support portion 300 can be fixed. At this time,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disposed below the stationary frame 201.

이와 같이 고정부(200) 및 지지부(300)가 거치부(400)에 고정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0a, 220b)를 기준으로 고정프레임(201)을 전방 또는 후방쪽으로 180°회전시켜 소재 및 용기(100)를 고정프레임(201)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여기에서 소재 및 용기(100)가 고정프레임(201)의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고정프레임(201)의 회전에 의해 용기(10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When the fixing part 200 and the supporting part 300 are fixed to the mounting part 400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frame 201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parts 220a and 220b as shown in FIG. 6b) And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201 by rotating them 180 degrees toward the rear side. 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disposed below or above the stationary frame 201, but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100 is relatively 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stationary frame 201.

이에 소재 및 용기(100)는 지지프레임(300)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가 지지프레임(300)으로부터 노출되어 지지프레임(300)의 상부로 노출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용기(100)의 제1개구(102)는 하부를 향하고 있다가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개구(102)를 통한 처리용액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frames 300 and are exposed from the support frame 300 and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300. Through this process, the first opening 102 of the vessel 100 faces downward and is directed upward, thereby enabling the supply of the treatment solution through the first opening 102.

고정프레임(201)의 회전을 통해 소재 및 용기(100)가 고정프레임(20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고정프레임(201)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레버(2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프레임(201) 측으로 이동시킨다. 레버(230)의 회전은 레버(230)의 일측이 지지프레임(300)의 일측면에 접촉할 때까지 수행되며, 레버(230)의 일측이 지지프레임(30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고정프레임(201)이 지지프레임(300)에 고정되면 레버(230)의 회전을 중단한다. When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are positioned above the fixed frame 201 through the rotation of the fixed frame 201, the lever 2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frame 20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201). The rotation of the lever 230 is performed until one side of the lever 230 contacts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300. One side of the lever 23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300, The rotation of the lever 230 is stopped when the support frame 201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300.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정프레임(201)이 지지프레임(300)에 고정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의 제1개구(102)를 통해 소재의 시험을 위한 처리용액을 주입한다. 이때, 용기(100)로 주입되는 처리용액은 소재 표면의 도금과 반응할 수 있는 다양한 처리용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소재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의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When the fixed frame 201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300 through this process, the treatment solution for testing the workpiece is pas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02 of the vessel 100 as shown in FIG. Inject. At this time, the treatment solution injected into the vessel 100 may be various treatment solutions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plating on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plating components formed on the workpiece surface.

또한, 시험하고자 하는 소재가 여러 개인 경우, 소재를 고정하고 있는 용기(100)에 동일한 처리용액 또는 서로 다른 처리용액을 주입하여 시험을 수행하면 한번에 여러 개의 시험 결과를 측정할 수 있다. Also,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aterials to be tested, it is possible to measure several test results at once by performing the test by injecting the same treatment solution or different treatment solution into the container 100 in which the material is fixed.

용기(100)에 처리용액이 주입되면, 용기(100)의 제2개구(103)를 통해 처리용액과 소재가 접촉하여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처리용액과 소재 간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400)에 구비되는 구동기(410)를 동작시켜 유동베이스(403)를 고정베이스(401)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다. 유동베이스(403)가 왕복이동함에 따라 용기(100) 내의 처리용액에 진동이 부여되어 처리용액과 소재 간의 반응이 촉진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를 이용하여 구동기(4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유동베이스(403)의 이동속도나 이동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처리용액에 부여되는 진동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When the treatment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100, the treatment solution and the material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opening 103 of the container 100 to cause a reaction. 7, the actuator 410 installed in the mounting part 400 is operated to move the flow base 40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xed base 401 . As the flow base 403 reciprocates, vibration may be applied to the treatment solution in the vessel 100 to promote the reaction between the treatment solution and the workpiece. At this tim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410 using the controller,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treatment solution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moving speed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ow base 403. [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예컨대 5 내지 10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구동기(410)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레버(23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프레임(300)으로부터 후퇴시킴으로써 고정프레임(201)이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레버(230) 작동 시 작업자는 고정프레임(201)을 잡고 있어야 고정프레임(201)과 지지프레임(300) 간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고정프레임(20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or example, 5 to 10 minutes have elapsed, the operation of the driver 410 is stopped. Then, the lever 23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o be retracted from the support frame 300 so that the fixed frame 201 is rotatable. At this time, when the lever 230 is operated, the operator must hold the fixed frame 201 to prevent the fixed frame 201 from rotating while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xed frame 201 and the supporting frame 300 is released.

다음,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0a, 220b)를 기준으로 고정프레임(201)을 회전시켜 용기(100) 내에 수용된 처리용액, 즉 소재 표면의 도금과 반응한 처리용액을 별도로 구비되는 처리용액받이(200)에 저장한다. 또는 고정프레임(201)을 지지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한 후 용기(100) 내의 처리용액을 처리용액받이(200)에 쏟아 저장할 수 있다. Next, the worker rotates the fixed frame 201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s 220a and 220b as shown in FIG. 8 to separate the treatm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vessel 100, that is, And stored in the treatment solution receiver 200 provided therein. Or after separating the fixed frame 201 from the support frame 300, the treatment solution in the vessel 100 may be poured into the treatment solution receiver 200.

그 다음, 다른 소재의 시험을 위해 전술한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하여 소재 표면의 도금과 반응한 처리용액을 처리용액받이(200)에 저장한다. Then,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for testing of other materials, and the treatment solution reacted with the plating of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is stored in the treatment solution receiver 200.

이후, 처리용액받이(200)에 저장된 처리용액을 이용하여 소재 표면의 도금 성분 및 도금량을 분석한다.
Then, the plating solution and the plating amount on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are analyzed using the treatment solution stored in the treatment solution receiver 200.

이처럼, 소재와 용기(100)를 기계적으로 고정시켜 시험을 진행하기 때문에 소재와 용기(100) 간의 기밀성을 확보하여 처리용액의 유출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처리용액 유출로 인해 작업장의 오염이나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test is performed by mechanically fixing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container 100 can be ensured and the outflow of the treatment solution can be suppressed or prevented. Thus, the contamination of the workplace and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the outflow of the treatment solution can be suppressed.

또한, 소재와 처리용액 간의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처리용액에 기계적으로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진동을 일정하게 부여할 수 있어 시험 결과의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mechanically vibrating the treatment solution so as to promote the reaction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treatment solution, workload of the operator can be reduced, vibration can be constantly applied, and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 can be secured.

그리고 한 번에 여러 개의 소재를 시험할 수 있어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작업 능률 저하를 억제하고, 그에 따라 작업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est a plurality of materials at one time, thereby suppressing the worker's work efficiency deterioration due to repetitive work,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용기 101: 몸체
104: 안착대 106: 삽입홈
110: 기밀부재 200: 고정부
201: 고정프레임 202: 삽입구
210: 고정부재 220a, 220b: 지지부재
230: 레버 300: 지지부(지지프레임)
301, 302: 지지면 303: 바닥면
304: 지지홈 305: 연결구
400: 거치부 401: 고정베이스
403: 유동베이스 404: 돌기
405: 가이드바 406: 가이드홈
410: 구동기 S: 피처리물(소재)
100: container 101: body
104: seat base 106: insertion groove
110: Hermetically sealed member 200:
201: stationary frame 202:
210: fixing member 220a, 220b: supporting member
230: lever 300: support part (support frame)
301, 302: support surface 303: bottom surface
304: support groove 305:
400: mounting part 401: fixed base
403: flow base 404: projection
405: guide bar 406: guide groove
410: Actuator S: material to be treated (material)

Claims (14)

내부에 처리용액이 수용되고, 일측에 소재가 안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상기 소재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A container in which a treatment solution is contained, and a material is placed on one side;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workpiece to the container; And
A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x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지지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fixed and which applies vibration to the support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기 소재를 안착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ainer includes a hollow body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a seating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so as to seat the material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기밀부재가 더 제공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seal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seating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적어도 전면과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중공형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면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unit includes:
At least a part of a front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which are open,
A fixing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frame and extend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xed fram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핀과, 상기 핀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핀과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t least one of the supporting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includes a pin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 lever connected to the pin,
Wherein the lever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pin and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n to fix the fixed frame to the support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거치부와 연결을 위한 연결구가 형성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surface that faces away from each other and a bottom surface that connects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surface with each other,
Wherein the support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urface, and a connection hole for connection with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가지는 고정베이스와,
상부면에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베이스 상부에 상기 고정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동베이스 및
상기 유동베이스를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fixed bas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area,
A fluidized be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ase, the fluidized bed being provided on the fixed base so as to be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ase,
And a driver for moving the flow bas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바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베이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가이드바와 맞물려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 guide bar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bas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ase,
And a guide groove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bar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low bas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고정베이스와,
상부면에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베이스 상부에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동베이스 및
상기 유동베이스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기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stationary base,
A flow base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at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being provided to be able to flow above the fixed base,
And a vibrator for imparting vibration to the flow base.
용기의 하부에 피처리물을 안착시키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이 안착된 용기를 고정부에 삽입하여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용기의 하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과정;
상기 고정부를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시키고,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켜 상기 용기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과정;
상기 용기 내부에 처리용액을 주입하는 과정; 및
상기 처리용액과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을 반응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방법.
Plac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nserting a container on which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placed into a fixing portion to fix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 close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A step of supporting the fixing part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supporting part and rotating the fixing part to expose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Injecting a treatment solution into the vessel; And
Reacting the treatment solution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treated;
And processing the object to be treat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처리용액과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을 반응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처리용액에 진동을 인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vibration to the treatment solution during a process of reacting the treatment solution with the surface of the treatment objec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처리용액에 진동을 인가하는 과정은 상기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거치부에 탑재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부를 진동기가 구비되는 거치부에 탑재하여 진동시켜 수행하는 피처리물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 of applying vibration to the treatment solution includes moving the support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mounting the support on a horizontally recipable mounting part, mounting the support part on a mounting part provided with the vibrator, Processing metho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처리용액과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을 반응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과 반응한 처리용액을 수집하여 성분을 분석하는 피처리물 처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collecting the treatment solution reacted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treated after the process of reacting the surface of the object with the treatment solution to analyze the component.
KR1020150055270A 2015-04-20 2015-04-20 Objec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7050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270A KR101705052B1 (en) 2015-04-20 2015-04-20 Objec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270A KR101705052B1 (en) 2015-04-20 2015-04-20 Objec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526A true KR20160124526A (en) 2016-10-28
KR101705052B1 KR101705052B1 (en) 2017-02-09

Family

ID=5724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270A KR101705052B1 (en) 2015-04-20 2015-04-20 Objec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05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70B1 (en) * 2018-06-01 2019-11-05 곽정민 Test apparatus for arching
KR20210038047A (en) * 2019-09-30 2021-04-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 fixing equipment for self-propulsion dynamomet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959A (en) * 1993-02-22 1994-09-02 Nec Corp Recovering apparatus for surface contaminant
KR20000010443A (en) 1998-07-31 2000-02-15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Rock piece shear supporting device
KR20010055806A (en) 1999-12-13 2001-07-04 이구택 The method and apparatus of measurement of coating weight
JP2002071670A (en) * 2000-08-30 2002-03-12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drug elution
JP2010030811A (en) * 2008-07-28 2010-02-12 Panasonic Corp Treatment device for protein solu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protein crystal
JP2012039880A (en) * 2010-08-12 2012-03-01 Olympus Corp Apparatus for treating biological tissu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959A (en) * 1993-02-22 1994-09-02 Nec Corp Recovering apparatus for surface contaminant
KR20000010443A (en) 1998-07-31 2000-02-15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Rock piece shear supporting device
KR20010055806A (en) 1999-12-13 2001-07-04 이구택 The method and apparatus of measurement of coating weight
JP2002071670A (en) * 2000-08-30 2002-03-12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drug elution
JP2010030811A (en) * 2008-07-28 2010-02-12 Panasonic Corp Treatment device for protein solu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protein crystal
JP2012039880A (en) * 2010-08-12 2012-03-01 Olympus Corp Apparatus for treating biological tissu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70B1 (en) * 2018-06-01 2019-11-05 곽정민 Test apparatus for arching
KR20210038047A (en) * 2019-09-30 2021-04-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 fixing equipment for self-propulsion dynam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052B1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052B1 (en) Objec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2157780B1 (en) Jig
US20170341192A1 (en) Measuring apparatus and support mechanism of columnar work piece
CA306471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 and rotational container agitation
TWI752340B (en) Electroplating equipment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540023B1 (en) Work holding jig and loading / unloading device
US11169063B2 (en) Deformation testing apparatus including a detachable/attachable test cartridge arranged on an upper part of a frame
KR101674720B1 (en) Vertical guide apparatus of specimen and a tensile tester of usin it
KR20100063840A (en) A holder apparatus for specimen in scanning elctron microscope
JP5597731B2 (en) Inspection pretreatment equipment
KR101404662B1 (en) Gripper device for equipments inspecting display panels
KR101749078B1 (en) Object Treatment Apparatus
KR101619083B1 (en) Insert installation jig for test-tray
CN211963963U (en) Biochemical quick oscillation dissolving device that uses
KR100290880B1 (en) device for gathering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 on surface of wafer
KR101805071B1 (en) Apparatus for Testing Concrete Materials with a Tilting Device
KR101388619B1 (en) apparatus for slimming glass
CN107782670A (en) A kind of cuvette test fixing device
CN207923403U (en) Clamping device and vibration test equipment
US10067087B2 (en) Biomolecule analyzer
CN220027086U (en) Test tube clamping device and magnetic rack with same
US11810797B2 (en) Wetting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950441B1 (en) Forming apparatus for pattern
KR20100051903A (en) A holder apparatus for specimen in scanning elctron microscope
KR101906497B1 (en) Capp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